KR102291519B1 -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519B1
KR102291519B1 KR1020210052810A KR20210052810A KR102291519B1 KR 102291519 B1 KR102291519 B1 KR 102291519B1 KR 1020210052810 A KR1020210052810 A KR 1020210052810A KR 20210052810 A KR20210052810 A KR 20210052810A KR 102291519 B1 KR102291519 B1 KR 10229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air
path
slip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현
이종석
Original Assignee
미도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도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미도산업개발(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31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comprising means for supplying an additional liquid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방지 도료와 공기를 혼합, 분사하여 요철을 갖는 미끄럼방지 피복층을 형성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Non-slip spray coating apparatus and the non-slip spray coating composition of being used in the same and the non-slip spray coating roa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방지 도료와 공기를 혼합, 분사하여 요철을 갖는 미끄럼방지 피복층을 형성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사람의 통행이나 차량의 주행을 편하게 하기 위해,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포장체로 포장되며, 포장체의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미끄럼방지 피복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 피복층은 도료 분사 장치를 이용해 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도료 분사 장치는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or)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를 도료와 혼합하여 외부로 분사함으로써, 요철을 갖는 미끄럼방지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요철을 갖는 미끄럼방지 피복층은 매끈한 표면을 갖는 피복층에 비해 미끄럼 방지, 마찰로 인한 소음 저감, 접지력 증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 개발되어 공지된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를 살펴 보면, 한국등록특허 10-0568617(등록일자 2006년03월31일)에 교반기용 에어모터(140)의 구동축(142)에 연결되어 교반기용 에어모터(140)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는 샤프트(150)와 상기 샤프트(15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임펠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논스키드 도료를 교반하는 교반기(100)와; 상기 교반기(100)에서 교반된 논스키드 도료를 스프레이하기 위해 펌프용 에어모터(240)와 연동되어, 일측에는 논스키드 도료가 흡입되는 도료 흡입구(25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논스키드 도료가 토출되는 도료 토출구(254)가 형성되는 배송펌프(250)와 상기 도표 토출구(254)에 설치되어 논스키드 도료가 토출되는 호스(256)로 이루어지는 토출기(200)와; 상기 토출기(200)로부터 호스(256)를 통해 공급받은 논스키드 도료를 에어공급장치에서 에어호스(3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와 혼합하여 도장 대상물에 스프레이하는 에어 스프레이건(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고점도인 논스키드 도료를 도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100)는 교반기용 에어모터(140)와 샤프트(150) 사이에 상기 구동축(142)과 연결된 태양기어(172)와 상기 태양기어(172)와 치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50)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유성기어(174)로 이루어지는 변속기어부(170)가 설치되어, 상기 교반기용 에어모터(140)의 구동력이 조절되고, 상기 샤프트(150)는 교반기용 에어모터(140)의 구동에 의해 축회전과 원회전을 동시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키드 도료의 도장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0967800(등록일자 2010년06월25일)에는 엠보싱 무늬 형성을 위한 도료 분사 장치로서, 압송판; 상기 압송판을 중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 도료가 저장되며, 일단이 상기 압송판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고, 타단이 상기 압송판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도료를 토출하는 토출구로 형성되는 도료 탱크; 및 중력 및 상기 압송판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도료 탱크의 토출구로부터 이송된 도료를 에어콤프레셔에서 공급된 분사 공기압을 이용하여 노즐 외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건을 포함하되, 상기 압송판은 상기 도료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료 탱크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프레이건은 상기 에어콤프레셔에 의한 분사 공기압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의 점도, 상기 분사 공기압 및 상기 노즐의 직경은 시공면에 형성할 엠보싱 무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도료 분사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262052(등록일자 2013년05월02일)에는 격벽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는 복수 개의 구획실을 갖고, 전측을 개방한 바디; 상기 구획실 각각의 내부로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탄성코트용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주입부; 상기 구획실 내부에 각각 공급된 탄성코트용 도료를 상기 바디의 개방된 전측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구획실에 번갈아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후측에 구비되는 에어주입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구획실에 공급된 도료를 번갈아 분사 안내하도록 상기 격벽에 힌지 연결된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분출되는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해당 구획실을 개방하면서 이웃한 구획실을 막는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도료를 포함한 에어의 직진 분사를 유도하기 위해 에어홀을 갖는 원추 형상의 어댑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976088(등록일자 2019년04월30일)에는 이송 카트(3)에 페인트 배출 호퍼(5)와 페인트 살포기(10)가 장착되며, 페인트 배출 호퍼(5)의 하부에 페인트살포기(10)가 배치되어, 도료배출 호퍼(5)에서 배출되는 페인트가 페인트 살포기(10)에 의해 도로에 흩뿌려지게 되는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살포기(10)는 긴 띠형태의 스트립 부재(21)가 "∧" 형태로 절곡되어, 경사부(22)와 경사부(23) 사이에 반원 형태의 곡면부(24)가 형성되고, 곡면부(24)의 중앙에 구멍(25)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 부재(21)가 회전 원통부(26)에 장착되어, 스트립 부재(21)의 곡면부(24)가 회전 원통부(26)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제 1 그룹(GR1)이 다수개의 스트립 부재(21)로 구성되고, 제 1 그룹(GR1)의 스트립 부재(21)가 회전 원통부(11)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제 1 그룹(GR1)에 이웃하는 제 2 그룹(GR2)의 스트립 부재(21)가 제 1그룹(G1)의 스트립 부재(21)와 엇갈리게 배열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그룹이 회전 원통부(2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료 분사 장치는 노즐에 도달하기 전 미리 바디 내부에서 도료와 공기가 혼합되기 때문에 바닥에 도달하기 전 공기 방울이 파괴되어 미끄럼방지 피복층의 요철 형성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분사되는 도료의 점도가 낮아 레벨링에 의한 요철무늬 또는 엠보싱무늬가 무너지기 쉬우므로 요철 형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한국등록특허 10-1976088는 회전방식으로 도료가 분사되기 때문에 비산되는 도료의 손실이 많아 현장에서 사용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피복층의 요철 형성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10-0568617(등록일자 2006년03월31일) 한국등록특허 10-0967800(등록일자 2010년06월25일) 한국등록특허 10-1262052(등록일자 2013년05월02일) 한국등록특허 10-1976088(등록일자 2019년04월30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끄럼방지 피복층의 요철 형성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고,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공급로가 공기 이송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공기 이송부와, 도료가 공급되는 도료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가 공기 이송로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도료 이송부와, 공기 이송부의 하단부 및 도료 이송부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중심부에 도료 이송부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도료 이송로와 연통되는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공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고정공과 연통되는 혼합 분사로가 관통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연통공과 연통되며 혼합 분사로에 사선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 분사로가 관통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고, 혼합 분사로에서 혼합된 공기와 도료는 외부로 분사되어 요철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료 이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도료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는 제1도료 이송관과, 제1도료 이송관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도료 이송로와 연통되는 제2도료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며, 공기 이송로에 삽입되는 제2도료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이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공기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고, 제1공기 이송로와 수직하게 공기 공급로가 관통 형성되는 제1공기 이송관과, 제1공기 이송관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공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제2공기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는 제2공기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사 노즐부는 연결부가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결합구와, 결합공으로 삽입되며 하단부가 걸림편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고, 외측면에 걸림편과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혼합 분사로가 관통 형성되고, 혼합 분사로에 사선 방향으로 공기 분사로가 관통 형성되는 분사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는 분사 노즐부의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면 혼합 분사로의 하단을 덮거나 노출시켜, 혼합 분사로에서 외측으로 분사되는 도료-공기 혼합물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와; 연화제와; 경화제와; 골재;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되어 요철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미끄럼방지 도료로서, 미끄럼방지 피복층 두께 2~3mm, 면적 8~10㎡ 기준으로,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700cc, 경화제 300~600g, 골재 1~2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중도 도료와;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600cc, 경화제 300~800g, 골재 3~4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상도 도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끄럼방지 도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화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또는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 연화제는 친환경 비프탈레이트 연화제로서, 트리에틸시트레이트(TEC, triethyl citrate),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ATEC, acetyltriethylcitrate), 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TPC, tripropylcitrate), 아세틸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ATPC, acetyl tripropylcitrate), 트리부틸시트레이트(TBC, tributylcitrate),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acetyltributylcitrate), 트리헥실시트레이트(THC, trihexyl citrate) 또는 아세틸트리헥실시트레이트(ATHC, acetyltrihexylcitr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경화제는 유기 과산화물로서, 케톤퍼옥사이드, 퍼옥시케탈,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퍼옥사이드, 디아크릴퍼옥사이드, 메틸이소부틸케톤퍼옥사이드, 메틸시클로헥산퍼옥사이드, 아세틸아세톤퍼옥사이드, 디퍼쿠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디라우릴퍼옥사이드, 디-터트-부틸 퍼옥사이드, 쿠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는 겨울철 경화촉진을 위하여 금속염계코발트,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아민계 촉진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경화촉진제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피복층 두께 2~3mm, 면적 8~10㎡ 기준으로,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700cc, 경화제 300~600g, 골재 1~2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중도 도료를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하여 중도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도 상부에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600cc, 경화제 300~800g, 골재 3~4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상도 도료를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하여 상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로 분사되기 직전에 도료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 도달시까지 공기 방울이 유지되어 유지될 수 있어, 피복층의 요철 형성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분사로에서 분사된 공기가 사선 방향으로 교차되며 충돌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공기 방울이 형성되어 피복층이 비획일적인 요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적합한 미끄럼방지 도료가 제공되어 미끄럼방지 피복층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시공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의 분사 노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의 분사량 조절부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미끄러방지 도료 분사 장치(1)는 도료 탱크(미도시)로부터 이송된 도료를 컴프레셔(미도시)에서 공급된 공기와 혼합하여 분사해 요철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공기 이송부(10), 도료 이송부(20), 연결부(30), 분사 노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이송부(10)는 공기의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컴프레셔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공기 이송부(10)와 컴프레셔 사이에는 공기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이송부(10)는 내부 중심부에 공기 이송로(111, 1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이송로(111, 121)와 연통되게 공기 공급로(112)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이송로(111, 1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공급로(112)는 공기 이송로(111, 121)와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컴프레셔와 연결될 수 있다.
도료 이송부(20)는 도료의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도료 탱크와 연결되어 도료 탱크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료 이송부(20)는 내부 중심부에 도료 이송로(211, 2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단부가 공기 이송로(111, 12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도료 이송부(20)의 상단부는 도료 탱크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료 이송로(211, 2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공기 이송로(111, 121)에 삽입된 도료 이송부(2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공기와 도료가 혼합되지 않게 이들의 이송을 안내하는 것으로, 공기 이송부(10)의 하단부와 도료 이송부(20)의 하단부를 감싸며 이들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30)는 내부 중심부에 도료 이송부(20)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도료 이송로(221)와 연통되는 고정공(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공(3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공기 이송로(121)와 연통되는 연통공(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공(31)과 연통공(32)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이격되어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분사 노즐부(40)는 도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것으로, 연결부(3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분사 노즐부(40)는 내부 중심부에 고정공(31)과 연통되는 혼합 분사로(4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혼합 분사로(42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통공(32)과 연통되는 복수의 공기 분사로(42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분사로(422)는 혼합 분사로(421)의 중앙부에 사선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혼합 분사로(4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분사로(422)는 일직선으로 형성되되, 혼합 분사로(421)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장치(1)는 외부로 분사되기 직전에 도료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 도달시까지 공기 방울이 유지될 수 있어, 피복층의 요철 형성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장치(1)는 서로 다른 공기 분사로(422)에서 분사된 공기가 사선 방향으로 교차되며 충돌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공기 방울이 형성되어 피복층이 비획일적인 요철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1)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공기 이송부(10)는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제1공기 이송관(11) 및 제1공기 이송관(11)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공기 이송관(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 이송관(11)은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제1공기 이송로(1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제1공기 이송로(111)와 수직 또는 경사지게 공기 공급로(1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공급로(112)는 제1공기 이송로(111)의 내주연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 이송관(11)은 하단부에 제2공기 이송관(1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단부에 제1도료 이송관(21)의 하단이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공기 이송로(111)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제2공기 이송관(12)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113)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113)의 내주연에는 제2공기 이송관(12)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1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공기 이송로(111)는 제2도료 이송관(22)의 삽입이 가능하되, 제1도료 이송관(21)의 삽입이 불가할 수 있다. 또한, 제1공기 이송로(111)의 내주연과 제2도료 이송관(22)의 외주연 사이에는 공기의 이송을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공기 이송로(111)의 내주연의 직경은 제1도료 이송관(21)의 외주연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2도료 이송관(22)의 외주연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2공기 이송관(12)은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제2공기 이송로(1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공기 이송관(12)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제1공기 이송관(11)의 나사산(114)과 치합되는 나사산(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기 이송로(121)는 제2도료 이송관(22)의 삽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공기 이송로(121)의 내주연과 제2도료 이송관(22)의 외주연 사이에는 공기의 이송을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공기 이송로(121)의 내주연의 직경은 제2도료 이송관(22)의 외주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료 이송부(20)는 도료 탱크와 연결되는 제1도료 이송관(21) 및 제1도료 이송관(21)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 이송로(111, 121)에 삽입 가능한 제2도료 이송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료 이송관(21)은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제1도료 이송로(2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도료 이송로(211)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제2도료 이송관(22)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도료 이송관(22)은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제2도료 이송로(2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도료 이송관(22)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제1도료 이송관(21)의 나사산(212)과 치합되는 나사산(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도료 이송관(22)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연결부(30)의 나사산(311)과 치합되는 나사산(2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도료 이송관(22)은 공기 이송로(111, 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부 및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도료 이송관(22)은 상호 결합된 제1공기 이송관(11) 및 제2공기 이송관(12)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제2공기 이송관(12) 및 제2도료 이송관(2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30)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고정공(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고정공(31)과 이격되어 연통공(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고정공(31)의 상단부 내주연에는 제2공기 이송관(12)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34)이 외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공(31)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제2도료 이송관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33)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34)과 걸림턱(33) 사이에 위치한 고정공(31)의 내주연에는 제2도료 이송관(22)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분사 노즐부(40)로의 삽입을 위해 결합홈(35)이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35)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분사 노즐부(40)와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3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사 노즐부(40)는 연결부(30)의 하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41) 및 결합구(41)에 삽입되어 하단부가 결합구(41)의 외부로 노출되는 분사팁(4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구(41)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공(4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공(411)의 상단부 내주연에는 연결부(30)의 나사산(351)과 치합되는 나사산(4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공(411)의 하단부 내주연에는 분사팁(4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412)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분사팁(42)은 결합공(411)에 삽입 가능한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혼합 분사로(4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혼합 분사로(421)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공기 분사로(42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혼합 분사로(421)의 내주연의 직경은 공기 분사로(422)의 내주연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공기 분사로(422)는 사선 방향으로 혼합 분사로(421)와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기 분사로(422)의 상단은 혼합 분사로(421)와 이격되되, 공기 분사로(422)의 하단은 혼합 분사로(421)의 중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공기 분사로(422)는 연통공(32)보다 적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팁(42)의 외주연에는 걸림편(412)과 걸림 가능한 걸림돌기(423)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공(411)으로 삽입된 분사팁(42)은 걸림편(412)에 걸린 걸림돌기(423)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일부는 걸림편(412)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분사팁(42)은 상단이 혼합 분사로(421)의 내주연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단이 혼합 분사로(421)의 내주연에서 분사팁(42)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분사팁(42) 상단의 경사진 구조는 걸림돌기(423)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장치(1)는 각 구성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장치(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분사 노즐부(40)에 분사량 조절부(50)가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료 분사 장치(1)는 혼합 분사로(421)에서 외측으로 분사되는 도료-공기 혼합물의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분사량 조절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량 조절부(50)는 분사팁(42)의 외주연을 따라 상, 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구(51) 및 이동구(51)와 함께 이동하며 혼합 분사로(421)의 하단을 덮거나 노출시키는 조절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구(51)는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분사팁(42)이 삽입 가능한 관통공(5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동구(51)의 상단부 내주연에는 분사팁(42)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424)과 치합되는 나사산(5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 내주연에는 내측방향으로 고정홈(5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구(51)는 분사팁(42)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에 따라 분사팁(42)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절구(5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중심부에 분사팁(42)이 삽입 가능한 토출구(521)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구(52)는 탄성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되며 토출구(521)로 삽입된 분사팁(42)의 외주연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조절구(52)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고정돌기(522)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522)는 고정홈(513)에 걸려 조절구(52)가 이동구(5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구(51)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구(52)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여 혼합 분사로(421)의 덮였던 하단이 노출될 수 있으며, 조절구(52)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여 혼합 분사로(421)의 노출되었던 하단이 덮여 가려질 수 있다.
도 6은 조절구(52)가 혼합 분사로(421)의 하단 일부를 가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이동구(51) 및 조절구(5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혼합 분사로(421)의 하단이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과 같은 상태의 도료 분사 장치(1)는 도 7과 같은 상태의 도료 분사 장치(1)보다 단위 시간당 분사량이 적으며, 분사 범위도 좁다.
즉,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장치(1)는 조절구(52)가 혼합 분사로(421)를 덮는 정도로 도료-공기 혼합물의 분사량 및 분사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만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로서,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와; 연화제와; 경화제와; 골재;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되어 요철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미끄럼방지 도료를 특징적 구성으로 하는 바,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는 미끄럼방지 피복층 두께 2~3mm, 면적 8~10㎡ 기준으로,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700cc, 경화제 300~600g, 골재 1~2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중도 도료와;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600cc, 경화제 300~800g, 골재 3~4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상도 도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틸메타아크릴(MMA)계 수지는, 에스테르, 아크릴, 메타크릴산을 기초로 한 합성물로서, 탄소 이중결합의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MMA는 분말 경화 촉진제(벤젠과산화물)를 혼합하면 촉매반응에 경화되면서 양생(중합)되며, 따라서 분말 경화촉진제의 분량은 온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양생 과정 중에는 긴 탄소분자(-C-C-) 고리가 생성되어 미끄럼저항, 내구성, 내마모성, 유연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경화타입의 바닥 및 포장 마감 재료이다.
또한, MMA수지를 이용한 바닥재나 포장재는, 온도에 상관없이 30 내지 60분 이내에 경화되므로(속경화형 메타아크릴 결합재) 동절기 시공에도 우수한 작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특유의 탄성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하여 모체(도로, 콘크리트)의 수축 또는 팽창에도 불구하고 크랙 및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골재는, 내마모성이 높아 도로의 내구성을 높여주고, 도로 표면의 미끄러운 정도를 낮게 하여 미끄럼 저항력을 높여 주며, 종래에는 자갈이나, 모래 등의 골재만으로 미끄럼 저항력을 높이는 데에 그쳤으나, 재료비가 많이 들고, 효능에도 한계가 있어 추가적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었는바, 본 발명에서는 규사 뿐만 아니라, 제강슬래그 등으로부터 재생된 재생골재, 규사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화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즉, 수지는 긴 끈 같은 분자가 모여서 된 것으로, 분자 사이에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할수록 딱딱해지는 데, 이때 분자 사이에 연화제가 끼어들면 수지 분자 사이의 직접 끌어당기는 힘이 약해져 잘 휘게되므로 연화제는 수지에 잘 섞일 수 있는 성질, 즉 섞임성[混和性:compatibility]이 있는 것이어야 하며, 또한 유연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내열성, 내한성, 내연성, 전기적 성질 등 다른 성질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연화제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아디페이트(DOA),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TCP) 등이 사용 가능하고, DOP나 DOA는 옥틸기 대신에 다른 기(基)로 바꾼 것도 사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화제는 친환경 비프탈레이트 연화제로서, 트리에틸시트레이트(TEC, triethyl citrate),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ATEC, acetyltriethylcitrate), 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TPC, tripropylcitrate), 아세틸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ATPC, acetyl tripropylcitrate), 트리부틸시트레이트(TBC, tributylcitrate),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acetyltributylcitrate), 트리헥실시트레이트(THC, trihexyl citrate) 또는 아세틸트리헥실시트레이트(ATHC, acetyltrihexylcitr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화제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수지(MMA)에 대하여 상기 사용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유연성이 미약하여 도로포장층이 박리되는 등의 단점이 있고, 상기 사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길어지고 물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유기 과산화물로서, 케톤퍼옥사이드, 퍼옥시케탈,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퍼옥사이드, 디아크릴퍼옥사이드, 메틸이소부틸케톤퍼옥사이드, 메틸시클로헥산퍼옥사이드, 아세틸아세톤퍼옥사이드, 디퍼쿠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디라우릴퍼옥사이드, 디-터트-부틸 퍼옥사이드, 쿠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경화제는 상기 사용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반응성이 미흡하여 도료 물성이 저하되고, 상기 사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빨라 도료 분사 가사시간이 짧아져 작업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는 겨울철 경화촉진을 위하여 금속염계코발트,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아민계 촉진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경화촉진제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이때, 상기 경화촉진제는 여름철에는 상기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경화가 빠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피복층은, 미끄럼방지 피복층 두께 2~3mm, 면적 8~10㎡ 기준으로,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700cc, 경화제 300~600g, 규사 1~2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중도 도료를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하여 중도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도 상부에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600cc, 경화제 300~800g, 규사 3~4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상도 도료를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하여 상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공법에 의하여 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
10 : 공기 이송부
20 : 도료 이송부
30 : 연결부
40 : 분사 노즐부
50 : 분사량 조절부

Claims (11)

  1. 공기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고,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공급로가 상기 공기 이송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공기 이송부와,
    도료가 공급되는 도료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공기 이송로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도료 이송부와,
    상기 공기 이송부의 하단부 및 상기 도료 이송부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기 도료 이송부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도료 이송로와 연통되는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상기 공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혼합 분사로가 관통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혼합 분사로에 사선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 분사로가 관통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이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공기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 이송로와 수직하게 공기 공급로가 관통 형성되는 제1공기 이송관과, 상기 제1공기 이송관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공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제2공기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는 제2공기 이송관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 분사로에서 혼합된 공기와 도료는 외부로 분사되어 요철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이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도료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는 제1도료 이송관과,
    상기 제1도료 이송관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도료 이송로와 연통되는 제2도료 이송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 이송로에 삽입되는 제2도료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부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며 하단부가 상기 걸림편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고, 외측면에 상기 걸림편과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혼합 분사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혼합 분사로에 사선 방향으로 상기 공기 분사로가 관통 형성되는 분사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부의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면 상기 혼합 분사로의 하단을 덮거나 노출시켜, 상기 혼합 분사로에서 외측으로 분사되는 도료-공기 혼합물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
  6.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와; 연화제와; 경화제와; 골재;를 포함하여 조성되어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되어 요철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미끄럼방지 도료로서, 미끄럼방지 피복층 두께 2~3mm, 면적 8~10㎡ 기준으로,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700cc, 경화제 300~600g, 골재 1~2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중도 도료와;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600cc, 경화제 300~800g, 골재 3~4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상도 도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또는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제는 친환경 비프탈레이트 연화제로서, 트리에틸시트레이트(TEC, triethyl citrate),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ATEC, acetyltriethylcitrate), 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TPC, tripropylcitrate), 아세틸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ATPC, acetyl tripropylcitrate), 트리부틸시트레이트(TBC, tributylcitrate),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acetyltributylcitrate), 트리헥실시트레이트(THC, trihexyl citrate) 또는 아세틸트리헥실시트레이트(ATHC, acetyltrihexylcitrate)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유기 과산화물로서, 케톤퍼옥사이드, 퍼옥시케탈,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퍼옥사이드, 디아크릴퍼옥사이드, 메틸이소부틸케톤퍼옥사이드, 메틸시클로헥산퍼옥사이드, 아세틸아세톤퍼옥사이드, 디퍼쿠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디라우릴퍼옥사이드, 디-터트-부틸 퍼옥사이드, 쿠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는 겨울철 경화촉진을 위하여 금속염계코발트,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아민계 촉진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경화촉진제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도료
  11. 미끄럼방지 피복층 두께 2~3mm, 면적 8~10㎡ 기준으로,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700cc, 경화제 300~600g, 골재 1~2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중도 도료를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하여 중도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도 상부에 MMA(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 25kg, 연화제 500~600cc, 경화제 300~800g, 골재 3~4kg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상도 도료를 상기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에 의하여 분사하여 상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KR1020210052810A 2021-03-03 2021-04-23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KR102291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8105 2021-03-03
KR1020210028105 2021-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519B1 true KR102291519B1 (ko) 2021-08-20

Family

ID=7746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810A KR102291519B1 (ko) 2021-03-03 2021-04-23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519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17B1 (ko) 2004-02-12 2006-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논스키드 도료의 도장장치 및 도장방법
JP2008093603A (ja) * 2006-10-13 2008-04-24 Eko Seisakusho:Kk スプレーガン
JP2010522248A (ja) * 2007-03-22 2010-07-01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水性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KR100967800B1 (ko) 2010-01-18 2010-07-05 동화기영 주식회사 도료 분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엠보싱 무늬 시공 방법
JP4796773B2 (ja) * 2005-01-17 2011-10-19 コスモテック株式会社 塗装用スプレーガン
KR101247332B1 (ko) * 2010-12-30 2013-03-26 한국세라믹기술원 중방식 도료용 실리카계 무기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방식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2052B1 (ko) 2012-07-16 2013-05-21 주식회사 디앤에스퍼티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KR20150068842A (ko) * 2013-12-12 2015-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JP6151915B2 (ja) * 2009-10-09 2017-06-21 ロッテ ケミカ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塗料用樹脂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から製造された樹脂成形品
KR101974712B1 (ko) * 2017-03-08 2019-05-02 조성암 도료 분사장치
KR101976088B1 (ko) 2017-04-17 2019-05-07 장명석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치
KR102159619B1 (ko) * 2020-03-31 2020-09-24 대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젖은 노면에서 재귀반사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노면 표지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17B1 (ko) 2004-02-12 2006-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논스키드 도료의 도장장치 및 도장방법
JP4796773B2 (ja) * 2005-01-17 2011-10-19 コスモテック株式会社 塗装用スプレーガン
JP2008093603A (ja) * 2006-10-13 2008-04-24 Eko Seisakusho:Kk スプレーガン
JP2010522248A (ja) * 2007-03-22 2010-07-01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水性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JP6151915B2 (ja) * 2009-10-09 2017-06-21 ロッテ ケミカ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塗料用樹脂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から製造された樹脂成形品
KR100967800B1 (ko) 2010-01-18 2010-07-05 동화기영 주식회사 도료 분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엠보싱 무늬 시공 방법
KR101247332B1 (ko) * 2010-12-30 2013-03-26 한국세라믹기술원 중방식 도료용 실리카계 무기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방식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2052B1 (ko) 2012-07-16 2013-05-21 주식회사 디앤에스퍼티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KR20150068842A (ko) * 2013-12-12 2015-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KR101974712B1 (ko) * 2017-03-08 2019-05-02 조성암 도료 분사장치
KR101976088B1 (ko) 2017-04-17 2019-05-07 장명석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치
KR102159619B1 (ko) * 2020-03-31 2020-09-24 대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젖은 노면에서 재귀반사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노면 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1562A (en) Method of producing a multi-patterned coating
US478599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electrostatic spray coating
US200300802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liquids and fillers for spray application
KR102291519B1 (ko)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CN101240567B (zh) 采用触变性聚氨酯和织物片材的防水层和楼面的构建方法
WO2003031078A1 (fr) Panneau de carrosserie revetu d'un materiau amortissant les vibrations, dispositif de revetement de materiau amortissant les vibrations et procede d'application de materiau amortissant les vibrations
US90177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oating to a surface
US3788555A (en) Apparatus for projecting plural component material upon a suitable base
KR100967800B1 (ko) 도료 분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엠보싱 무늬 시공 방법
KR102360486B1 (ko) 논-슬립 페인트 포설장치
KR100949189B1 (ko) 무기질 엠보싱형 논슬립 주차장 바닥마감재 및 그 시공장치
CN101939113A (zh) 喷涂装置
CN100400176C (zh) 喷涂耐火材料的装置及其喷嘴
CA2528600A1 (en) Dispensing apparatus
JP4547207B2 (ja) 衝突混合スプレーガン並びにそれを用いた塗装方法
KR101083270B1 (ko) 뿜칠형 엠보싱 무늬 시공 장치 및 방법
JP3833782B2 (ja) 多色塗装方法
JP4160886B2 (ja) 意匠性塗膜の形成方法
JP4118090B2 (ja) 舗装体の表面処理方法
JP2010017624A (ja) 意匠性塗膜の形成方法
JP3539880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転写仕上工法
JP2000140750A (ja) 多彩模様仕上げ法
KR101812276B1 (ko) 원형 돌출부 형성을 위한 2액형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0279879Y1 (ko) 경화제 분사기능을 구비한 아스팔트 혼합물 포설기
KR20230009072A (ko)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