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712B1 - 도료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도료 분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4712B1 KR101974712B1 KR1020170029265A KR20170029265A KR101974712B1 KR 101974712 B1 KR101974712 B1 KR 101974712B1 KR 1020170029265 A KR1020170029265 A KR 1020170029265A KR 20170029265 A KR20170029265 A KR 20170029265A KR 101974712 B1 KR101974712 B1 KR 101974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nt
- channel
- air
- granular material
- granu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31—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comprising means for supplying an additional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 B05B7/06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출구를 갖는 바디, 바디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분출구 측으로 도료를 공급받는 도료채널, 바디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분출구 측으로 에어에 의해 알갱이부재를 공급 안내하도록 바디에 형성되는 알갱이투입구와 연결되는 알갱이채널, 및 바디의 내부에서 분출구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도료채널을 통해 유동되는 도료와 상기 알갱이채널을 통해 유동되는 알갱이부재를 혼합 후 분출구로 토출 안내하는 알갱이혼합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도료에 알갱이를 혼합하여 뿜칠된 도료의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능성 알갱이를 뿜칠 직전의 도료에 혼합되도록 함에 따라 알갱이 표면 전체에 도료가 피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알갱이의 제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알갱이와 혼합된 도료를 바디의 토출 측에서 에어로써 강제 분출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함에 따라 뿜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도료에 알갱이를 혼합하여 뿜칠된 도료의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능성 알갱이를 뿜칠 직전의 도료에 혼합되도록 함에 따라 알갱이 표면 전체에 도료가 피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알갱이의 제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알갱이와 혼합된 도료를 바디의 토출 측에서 에어로써 강제 분출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함에 따라 뿜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료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료에 알갱이를 혼합하여 뿜칠된 도료의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능성 알갱이를 뿜칠 직전의 도료에 혼합되도록 함에 따라 알갱이 표면 전체에 도료가 피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알갱이의 제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알갱이와 혼합된 도료를 바디의 토출 측에서 에어로써 강제 분출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함에 따라 뿜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도료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스프레이는 건(gun)의 형태를 지니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와 함께 도료 및 샌드 등의 소재를 분사하면서 도장 작업 및 샌드브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 중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 건축용 인테리어 도장 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탄성코트는 특수 수용성 수지와 고급 안료로 설계된 최고급 인테리어 도료로서 크랙이 커버되고 보수 도장이 용이하며 천연 대리석질감의 환경 친화적인 수성 특수 도료이다.
특히, 탄성코트는 벽면용으로 사용되어 시멘트의 부식방지, 내구성, 습기 방지 등에 쓰이게 된다.
탄성코트용 스프레이 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83270호(발명의 명칭: 뿜칠형 엠보싱 무늬 시공 장치 및 방법)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에서 분출되는 도료는 벽체에 얇게 뿜칠 됨에 따라 찢어지는 등 강도가 약하게 되고, 벽체에 두껍게 뿜칠 됨에 따라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은 도료와 알갱이가 분출 전에 충분히 혼합되지 못함으로써, 뿜칠 후 알갱이가 바닥으로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료에 알갱이를 혼합하여 뿜칠된 도료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도료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능성 알갱이를 뿜칠 직전의 도료에 혼합되도록 함에 따라 알갱이 표면 전체에 도료가 피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알갱이의 제기능을 실현하고자 하는 도료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알갱이와 혼합된 도료를 바디의 토출 측에서 에어로써 강제 분출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함에 따라 뿜칠 내구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도료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는: 분출구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분출구 측으로 도료를 공급받는 도료채널;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분출구 측으로 에어에 의해 알갱이부재를 공급 안내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알갱이투입구와 연결되는 알갱이채널;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분출구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료채널을 통해 유동되는 도료와 상기 알갱이채널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알갱이부재를 혼합 후 상기 분출구로 토출 안내하는 알갱이혼합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알갱이채널과 구획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분출구 측으로 에어를 공급 안내하는 에어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분출구에 인접되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채널을 통해 이송되는 에어로써 상기 알갱이혼합영역에서 혼합된 상기 도료와 상기 알갱이부재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강제분출추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갱이채널은 알갱이공급부에 의해 알갱이부재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갱이공급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알갱이채널로 상기 알갱이부재를 공급하는 가이드관부재; 상기 알갱이부재를 상기 가이드관부재 내부로 토출 허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일측을 개폐 가능하게 막아 상기 알갱이부재를 설정량만큼 토출 안내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반복적인 개폐를 실현하기 위한 작동부; 및 상기 가이드관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알갱이부재를 외기를 통해 상기 알갱이채널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 상기 알갱이공급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알갱이채널로 상기 알갱이부재를 공급하는 가이드관부재; 상기 알갱이부재를 상기 가이드관부재 내부로 토출 허용하기 위해 일측에 개방홀을 통공한 탱크; 상기 개방홀을 반복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탱크에 저장된 상기 알갱이부재를 설정량만큼 토출 안내하는 작동부; 및 상기 가이드관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알갱이부재를 에어를 통해 상기 알갱이채널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도료에 알갱이를 혼합하여 뿜칠된 도료의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능성 알갱이를 뿜칠 직전의 도료에 혼합되도록 함에 따라 알갱이 표면 전체에 도료가 피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알갱이의 제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알갱이와 혼합된 도료를 바디의 토출 측에서 에어로써 강제 분출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함에 따라 뿜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알갱이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알갱이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알갱이공급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알갱이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알갱이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알갱이공급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알갱이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100)는 뿜칠된 상태의 입체감 제공을 위해 알갱이부재(4)의 표면에 도료(2)를 피막 형성 후 에어로써 분사 안내하는 설비로서, 바디(110)에 의해 외형을 형성한다.
특히, 바디(110)는 도료(2), 알갱이부재(4) 및 에어를 공급받아 분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바디(110)는 혼합된 도료(2)와 알갱이부재(4) 및 에어를 분출 허용하기 위해 일측(일단)에 분출구(112)를 형성한다. 물론, 분출구(112)의 크기,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바디(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디(110)는 손잡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바디(110)는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도료채널(120)을 형성한다. 즉, 도료채널(120)은 바디(110)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분출구(112) 측으로 도료(2)를 공급받아 이송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디(110)는 둘레면 또는 타측(타단)에 도료투입구(122)를 형성한다. 편의상, 도료투입구(122)는 바디(110)의 타측에 인접한 둘레면에 한 개 형성되고, 바디(100)의 타측에 다른 한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도료투입구(122)에는 도료공급부(150)가 연결된다. 도료공급부(150)는 설정량만큼의 도료(2)를 안정적으로 도료채널(1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료공급부(15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나의 도료공급부(150)가 복수 개의 도료투입구(122)에 동시에 도료를 공급할 수도 있고, 도료공급부(150) 각각이 대응되는 도료투입구(122)에 도료를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료투입구(122)가 복수 개 구비됨에 따라, 동일한 색상의 도료가 충분히 공급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가 동시에 공급되어 뿜칠됨으로써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도료채널(120)은 바디(110)의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10)는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알갱이채널(130)을 형성한다. 즉, 알갱이채널(130)은 바디(110)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분출구(112) 측으로 에어에 의해 알갱이부재(4)를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디(110)는 둘레면 또는 타측(타단)에 알갱이투입구(132)를 형성한다. 편의상, 알갱이투입구(132)는 바디(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알갱이채널(130)은 도료채널(120)과 나란하게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고, 도료채널(120)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에워싸도록 한 개 형성될 수도 있다.
편의상, 알갱이채널(130)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알갱이투입구(132)는 에어에 의해 이송되는 알갱이부재(4)를 공급받게 되고, 알갱이부재(4)를 공급받는 부위가 밀봉 처리된다. 물론, 알갱이투입구(132)의 크기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알갱이부재(4)는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알갱이부재(4)는 알갱이공급부(300)에 의해 알갱이투입구(132)로 이송 및 공급된다.
특히, 하나의 알갱이공급부(300)가 복수 개의 알갱이투입구(132)에 동시에 알갱이를 공급할 수도 있고, 알갱이공급부(300) 각각이 대응되는 알갱이투입구(132)에 도료를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바디(110)는 분출구(112) 내측에서 알갱이부재(4)와 도료(2)가 혼합되도록 알갱이혼합영역(140)을 형성할 수 있다.
알갱이혼합영역(140)은 바디(110)의 내부에서 분출구(112)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도료채널(120)을 통해 유동되는 도료(2)와 알갱이채널(130)을 통해 유동되는 알갱이부재(4)를 혼합 후 분출구(112)로 토출 안내하는 공간이다.
이에 따라, 도료채널(120)과 알갱이채널(130)은 바디(110)의 타측 내부에서 알갱이혼합영역(140) 전(前)까지 형성된다. 물론, 알갱이혼합영역(140)의 크기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알갱이부재(4)는 알갱이공급부(300)에 의해 에어와 함께 바디(110)의 알갱이채널(130)을 통해 이송되고, 바디(110)의 전측 내부에 형성된 알갱이혼합영역(140)에서 도료(2)와 혼합된다. 특히, 도료(2)는 알갱이혼합영역(140)에서 알갱이부재(4)의 표면에 일부 묻힘으로써 피막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알갱이부재(4)는 표면 전체가 도료(2)로 도포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제습 등의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알갱이부재(4)가 둘레면에 타공홀을 형성한 채 도료(2)의 일부 도포로 인해 타공홀 일부가 노출시, 알갱이부재(4)는 제습 및 탈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바디(110)는 알갱이채널(130)과 구획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분출구(112) 측으로 에어를 공급 안내하는 에어채널(200)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채널(200)은 도료채널(120)과 알갱이채널(130) 각각과 구획되도록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되고, 바디(110)의 축 방향을 따라 도료채널(120)과 알갱이채널(130)에 나란하게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에어채널(200)은 바디(110)의 둘레면 또는 타측에 에어투입구(202)를 형성한다. 그래서, 에어투입구(202)는 에어공급부(21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게 된다.
특히, 에어채널(200)은 도료채널(120)과 알갱이채널(130) 전체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에어채널(200)은 바디(110)의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투입구(202)는 바디(110)의 타단에 하나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에어투입구(202)로 투입되는 에어는 에어채널(200) 내부에서 나선상으로 흐름이 발생된다.
그리고, 바디(110)는 분출구(112)에 인접되는 내부에 형성되어, 에어채널(200)을 통해 이송되는 에어로써 알갱이혼합영역(140)에서 혼합된 도료(2)와 알갱이부재(4)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강제분출추진영역(4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강제분출추진영역(400)은 알갱이혼합영역(140)보다 바디(110)의 분출구(112) 측에 더 가깝도록 바디(110) 내부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에어채널(200)을 통해 나선상으로 유동이 발생되는 에어가 강제분출추진영역(400)에 도달하면서 와류를 형성함에 따라, 도료(2)와 알갱이부재(4)의 혼합율이 증대되고, 알갱이부재(4)의 표면에 부착된 도료(2)의 일부가 탈거됨으로써, 알갱이부재(4)의 표면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에어에 의해 분출구(112)로 분출 유도된다.
그래서, 에어채널(200)을 통해 이송되는 에어는 혼합된 상태로 분출구(112) 측으로 이동되는 도료(2)와 알갱이부재(4)를 분출구(112) 측으로 고압 분사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알갱이부재(4)에 묻은 도료(2) 일부를 탈거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에어채널(200)의 일측 단부는 이송되는 에어로 인해 알갱이혼합영역(140)에서 알갱이부재(4)와 도료(2)의 혼합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강제분출추진영역(400)은 알갱이혼합영역(140)에서 혼합된 알갱이부재(4)와 도료(2)가 분출구(112) 측으로 일정 이송된 상태에서 에어채널(200)의 에어와 만나도록 배치된다.
이때, 압력제어부(500)가 알갱이혼합영역(140)에서의 압력과 강제분출추진영역(400)에서의 압력을 비교 판단한다. 즉, 강제분출추진영역(400)에서의 압력이 알갱이혼합영역(140)에서의 압력보다 설정치를 초과하여 크거나, 또는 작을 경우, 압력제어부(500)는 에어채널(200)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유량)을 줄이거나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압력제어부(500)는 알갱이혼합영역(140)에 배치되는 압력계(도시하지 않음)와 강제분출추진영역(400)에 배치되는 압력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압력 신호를 받아 비교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알갱이공급부(300)는 알갱이투입구(132)로 알갱이부재(4)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알갱이공급부(300)는 가이드관부재(310), 호퍼(320), 개폐부재(330), 작동부(340) 및 송풍부(350)를 포함한다.
가이드관부재(310)는 바디(11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때, 가이드관부재(310)는 알갱이투입구(132)와 일치되도록 바디(110)의 타측에 밀봉 처리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그래서, 가이드관부재(310)는 알갱이투입구(132)를 통해 알갱이채널(130)로 알갱이부재(4)를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가이드관부재(3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호퍼(320)는 알갱이부재(4)를 토출 허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다. 특히, 호퍼(320)는 알갱이부재(4)를 공급받기 위해 상측이 개방될 수 있고, 알갱이부재(4)를 가이드관부재(31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된다.
물론, 호퍼(3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개폐부재(330)는 호퍼(320)의 개방된 일측, 즉 하측을 개폐 가능하게 막아 알갱이부재(4)를 설정량만큼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개폐부재(330)는 얇은 멤브레인이나 박판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작동부(340)는 개폐부재(330)가 호퍼(320)의 하측을 반복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송풍부(350)는 가이드관부재(310) 내부로 유입되는 알갱이부재(4)를 외기를 통해 알갱이채널(130) 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송풍부(350)는 에어펌프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작동부(340)는 리브(342) 및 요동핀(344)을 포함한다.
리브(342)는 가이드관부재(310)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리브(342)는 설정량의 에어가 가이드관부재(31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리브(3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관부재(310) 내측에 고정 장착된다.
특히, 가이드관부재(310)는 호퍼(320)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알갱이부재(4)를 유입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요동핀(344)은 일측이 리브에 연결되고, 타측이 개폐부재(330)에 연결된다. 그리고, 리브(342)는 요동핀(344)의 일측이 축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또는 진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에어가 가이드관부재(310)로 고압 유동되면, 요동핀(344)은 위치 고정된 채 반복적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로 인해, 요동핀(344)은 개폐부재(330)를 흔들게 된다. 그래서, 개폐부재(330)는 호퍼(320)의 하측을 반복적으로 개폐하게 되며, 알갱이부재(4)를 가이드관부재(310)로 투하 유도한다.
이때, 개폐부재(330)는 일부분이 호퍼(320)의 하측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이 호퍼(320)의 하측에 단순히 접한 상태가 된다.
특히, 가이드관부재(310)는 낙하한 알갱이부재(4)가 안정적으로 알갱이투입구(132)로 유입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알갱이공급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100)는 바디(110), 도료채널(120), 알갱이채널(130), 알갱이혼합영역(140), 에어채널(200), 강제분출추진영역(400), 도료공급부(150), 알갱이공급부(300), 에어공급부(210) 및 압력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110), 도료채널(120), 알갱이채널(130), 알갱이혼합영역(140), 에어채널(200), 강제분출추진영역(400), 도료공급부(150), 에어공급부(210) 및 압력제어부(50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알갱이공급부(300)는 가이드관부재(310), 탱크(360), 작동부(340) 및 송풍부(350)를 포함한다.
가이드관부재(31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탱크(360)는 알갱이부재(4)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저장된 알갱이부재(4)를 가이드관부재(310) 측으로 토출 허용하기 위해 일측에 개방홀(362)을 통공한다. 편의상, 개방홀(362)은 탱크(36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개방홀(362)의 개수와 직경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작동부(340)는 개방홀(362)을 통해 탱크(360)에 저장된 알갱이부재(4)를 설정량만큼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작동부(340)는 이동블록(346) 및 수용공간부(348)를 포함한다.
이동블록(346)은 각 개방홀(362)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개방홀(362)을 통과하며 탱크(360)의 내,외부로 반복 이동된다.
특히, 이동블록(346)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직경은 개방홀(362)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동블록(346)은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동시에 상하 작동될 수도 있고, 시간 차이를 두고 상하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블록(346)은 실린더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하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부(348)는 이동블록(346)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탱크(360) 내부의 알갱이부재(4)를 수용하여 탱크(360)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동블록(346)의 수용공간부(348)가 탱크(360) 내부에 위치할 경우, 알갱이부재(4)는 수용공간부(348)에 유입된다. 그리고, 이동블록(346)이 알갱이부재(4)를 수용한 채 탱크(360)의 하측(외측)으로 이동시, 알갱이부재(4)는 고압으로 유동되는 에어에 의해 수용공간부(348)로부터 이탈되며 가이드관부재(310)를 따라 바디(110)의 알갱이투입구(132)로 공급된다.
물론, 수용공간부(348)의 크기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탱크(360)는 가이드관부재(31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편의상, 3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탱크(360)가 복수 개 구비될 경우, 각각의 탱크(360)는 서로 다른 형태, 즉 다른 크기 또는 다른 색상의 알갱이부재(4)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탱크(360)는 동시에 알갱이부재(4)를 가이드관부재(310)에 공급할 수도 있고, 시차를 두고 가이드관부재(310)에 공급할 수도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알갱이공급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100)는 알갱이공급부(300)를 포함한다.
알갱이공급부(300)는 가이드관부재(310), 탱크(360), 작동부(340), 송풍부(도시하지 않음) 및 와류발생부(370)를 포함한다.
가이드관부재(310), 탱크(360), 작동부(340) 및 송풍부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와류발생부(370)는 가이드관부재(310)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에어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와류발생부(370)는 에어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이 에어가 수용공간부(348)에 수용된 알갱이부재(4)를 최대한 많이, 단시간에 이탈시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와류발생부(370)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100)는 바디(110), 노즐(111), 도료채널(120), 유동체채널(160), 에어채널(200) 및 캡(115)을 포함한다.
도료채널(120)은 바디(110)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분출구(112) 측으로 도료를 공급받아 이송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디(110)는 타측(타단)에 도료투입구(122)를 형성한다. 그래서, 도료는 도료투입구(122)를 통해 도료채널(120)을 따라 바디(110)의 일측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도료투입구(122)에는 도료공급부(150)가 연결된다. 도료공급부(150)는 설정량만큼의 도료를 안정적으로 도료채널(1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료공급부(15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도료채널(120)은 바디(110)에 원주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유격되게 배치되고, 최소한 도료의 토출측에 인접한 바디(110)의 일측 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노즐(111)은 중심축이 바디(110)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바디(11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111)의 굵기(직경)는 바디(110)의 굵기(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도료채널(120) 각각은 노즐(111)의 일단까지 연장 연장된다. 그래서, 노즐(111)은 일단에서 도료채널(120) 각각이 개방되게 구비된다.
이때, 노즐(111)은 바디(110)나 도료채널(12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도료를 직진 안내한다.
한편, 유동체채널(160)은 이웃한 도료채널(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바디(110)와 노즐(110)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노즐(111)을 통해 토출되는 복수 가닥의 도료끼리가 혼합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체를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유동체채널(160)을 통해 토출되는 유동체는 이웃하게 토출되는 도료끼리를 분리하는 격벽 기능을 한다. 여기서, 유동체는 외기 등 기체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캡(115)은 바디(110)의 일측 즉, 도료와 유동체의 토출측에 배치된다. 아울러, 캡(115)은 도료와 유동체의 토출 시점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바디(110)의 둘레면에 결합된다.
캡(115)은 도료 등의 토출을 위해 분출구(112)를 형성한다. 이때, 분출구(112)를 형성한 캡(115)의 내부 바닥면과 노즐(111)의 일단은 소정 유격된다. 그래서, 캡(115)의 내부 바닥면과 노즐(111)의 일단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료채널(120)을 통해 직진 토출되는 도료 각각은 유동체채널(160)을 통해 직진 토출되는 유동체에 의해 서로 간섭되거나 혼합되지 않은 채 빈 공간을 지나 분출구(112)로 분출 안내된다. 이때, 분출구(112)의 직경이 빈 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분출구(112)를 통과한 도료와 유동체는 확산되며 넓은 범위로 뿜칠될 수 있다.
특히, 캡(115)과 바디(110)는 체결부재(116)에 서로 나사 결합되거나, 상호 직접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부압력조절부재(118)가 체결부재(116)와 바디(110) 둘레면의 틈새, 체결부재(116)와 캡(115) 둘레면의 틈새, 또는 캡(115)과 바디(110)의 대향하는 테두리 사이 틈새를 밀봉하는 정도에 따라, 빈 공간 내부 압력이 조절 가능하게 됨으로써, 도료의 분출압력이 제어 가능하다.
물론, 캡(11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도료와 유동체는 노즐(111)에서 토출 후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에어에 의해 도료의 이송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상태로 노즐(111)에서 토출된 후 분출구(112) 측으로 이송된 후 분출구(112)를 통해 분출되는 분출력이 증가됨으로써, 고유의 색상을 유지한 채 분출될 수 있다.
한편, 바디(110)는 노즐(111)이 연장하는 일단(테두리)에 에어채널(200)을 형성한다. 이때, 에어채널(200)은 바디(110)의 내측에 나선상으로 형성되고, 에어채널(200)의 개방측을 통해 토출되는 에어의 토출 방향이 도료의 토출 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에어는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에어채널(200)에서 토출되는 에어가 도료의 토출 시점 이전에 토출되며 나선 궤적을 유지한 채 토출되는 도료 및 유동체와 만나게 된다.
그래서, 에어는 노즐(111)의 둘레를 감싸는 나선상 궤적을 따라 노즐(111)의 도로채널(120)을 통해 토출되는 도료 및 유동체채널(160)을 통해 토출되는 유동체를 절단함으로써 도료와 유동체가 비연속되게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도료 각각은 유동체에 의해 서로 구분된 상태로 설정량만큼이 벽체에 뿜칠되어 고른 입체감을 부여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100)는 바디(110), 노즐(111), 도료채널(120), 유동체채널(160), 에어채널(200) 및 캡(115)을 포함한다.
바디(110), 노즐(111), 도료채널(120), 에어채널(200) 및 캡(115)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유동체채널(160)은 노즐(111)의 전측인 캡(115) 측으로 유동체 특히, 에어를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동체채널(160)은 바디(110)와 노즐(111)의 중심 부위에서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편의상, 유동체채널(160)은 바디(110)와 노즐(111)의 중심축 상에 하나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료채널(120)은 유동체채널(160)을 중심으로 원주 궤적 상에 복수 개 배치되어 도료의 이송을 안내한다.
아울러, 노즐(111)은 캡(115)의 분출구(112) 측으로 개방되고, 유동체채널(160)에 연결되는 회오리형성부(113)를 형성한다. 이때, 유동체채널(160)은 회오리형성부(113)로 토출되는 유동체가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노즐(111)에서 회오리형성부(113) 내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동체채널(160)로 이송되는 유동체는 회오리형성부(113) 내측으로 토출시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며 개방측으로 분출된다. 나선 궤적을 유지한 채 회오리형성부(113)의 개방측으로 분출되는 유동체는 도료채널(120) 각각을 통해 토출되는 도료가 분출구(112) 측으로 안정적으로 연속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분출구(112) 측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도료는 에어채널(200)을 통해 분출되면서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에어에 의해 대략 정량씩 비연속되는 입자(알갱이) 형태로 벽체에 뿜칠되어 고른 입체감을 부여하게 된다. 즉, 도료와 유동체는 노즐(111)을 토출 후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에어에 부딪히면서 도료의 이송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상태로 토출 안내된다.
특히, 회오리형성부(113)는 유동체채널(160)에서 내측으로 분출되며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유동체에 유동 궤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심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심지(114)는 회오리형성부(113)의 내측에서 노즐(111)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유동체가 나선 궤적을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심지(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100)는 바디(110), 노즐(111), 도료채널(120), 유동체채널(160), 에어채널(200) 및 캡(115)을 포함한다.
도료채널(120)은 바디(110)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분출구(112) 측으로 도료를 공급받아 이송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디(110)는 타측(타단)에 도료투입구(122)를 형성한다. 그래서, 도료는 도료투입구(122)를 통해 도료채널(120)을 따라 바디(110)의 일측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도료투입구(122)에는 도료공급부(150)가 연결된다. 도료공급부(150)는 설정량만큼의 도료를 안정적으로 도료채널(1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료공급부(15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도료채널(120)은 바디(110)에 원주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유격되게 배치되고, 최소한 도료의 토출측에 인접한 바디(110)의 일측 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노즐(111)은 중심축이 바디(110)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바디(11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111)의 굵기(직경)는 바디(110)의 굵기(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도료채널(120) 각각은 노즐(111)의 일단까지 연장 연장된다. 그래서, 노즐(111)은 일단에서 도료채널(120) 각각이 개방되게 구비된다.
이때, 노즐(111)은 바디(110)나 도료채널(12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도료를 직진 안내한다.
한편, 유동체채널(160)은 이웃한 도료채널(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바디(110)와 노즐(110)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노즐(111)을 통해 토출되는 복수 가닥의 도료끼리가 혼합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체를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유동체채널(160)을 통해 토출되는 유동체는 이웃하게 토출되는 도료끼리를 분리하는 격벽 기능을 한다. 여기서, 유동체는 외기 등 기체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캡(115)은 바디(110)의 일측 즉, 도료와 유동체의 토출측에 배치된다. 아울러, 캡(115)은 도료와 유동체의 토출 시점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바디(110)의 둘레면에 결합된다.
캡(115)은 도료 등의 토출을 위해 분출구(112)를 형성한다. 이때, 분출구(112)를 형성한 캡(115)의 내부 바닥면과 노즐(111)의 일단은 소정 유격된다. 그래서, 캡(115)의 내부 바닥면과 노즐(111)의 일단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료채널(120)을 통해 직진 토출되는 도료 각각은 유동체채널(160)을 통해 직진 토출되는 유동체에 의해 서로 간섭되거나 혼합되지 않은 채 빈 공간을 지나 분출구(112)로 분출 안내된다. 이때, 분출구(112)의 직경이 빈 공간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분출구(112)를 통과한 도료와 유동체는 확산되며 넓은 범위로 뿜칠될 수 있다.
특히, 캡(115)과 바디(110)는 체결부재(116)에 서로 나사 결합되거나, 상호 직접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부압력조절부재(118)가 체결부재(116)와 바디(110) 둘레면의 틈새, 체결부재(116)와 캡(115) 둘레면의 틈새, 또는 캡(115)과 바디(110)의 대향하는 테두리 사이 틈새를 밀봉하는 정도에 따라, 빈 공간 내부 압력이 조절 가능하게 됨으로써, 도료의 분출압력이 제어 가능하다.
물론, 캡(11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도료와 유동체는 노즐(111)에서 토출 후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에어에 의해 도료의 이송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상태로 노즐(111)에서 토출된 후 분출구(112) 측으로 이송된 후 분출구(112)를 통해 분출되는 분출력이 증가됨으로써, 고유의 색상을 유지한 채 분출될 수 있다.
한편, 바디(110)는 노즐(111)이 연장하는 일단(테두리)에 에어채널(200)을 형성한다. 이때, 에어채널(200)은 바디(110)의 내측에 나선상으로 형성되고, 에어채널(200)의 개방측을 통해 토출되는 에어의 토출 방향이 도료의 토출 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에어는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 에어채널(200)에서 토출되는 에어가 도료의 토출 시점 이전에 토출되며 나선 궤적을 유지한 채 토출되는 도료 및 유동체와 만나게 된다.
그래서, 에어는 노즐(111)의 둘레를 감싸는 나선상 궤적을 따라 노즐(111)의 도로채널(120)을 통해 토출되는 도료 및 유동체채널(160)을 통해 토출되는 유동체를 절단함으로써 도료와 유동체가 비연속되게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도료 각각은 유동체에 의해 서로 구분된 상태로 설정량만큼이 벽체에 뿜칠되어 고른 입체감을 부여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장치(100)는 바디(110), 노즐(111), 도료채널(120), 유동체채널(160), 에어채널(200) 및 캡(115)을 포함한다.
바디(110), 노즐(111), 도료채널(120), 에어채널(200) 및 캡(115)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유동체채널(160)은 노즐(111)의 전측인 캡(115) 측으로 유동체 특히, 에어를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동체채널(160)은 바디(110)와 노즐(111)의 중심 부위에서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편의상, 유동체채널(160)은 바디(110)와 노즐(111)의 중심축 상에 하나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료채널(120)은 유동체채널(160)을 중심으로 원주 궤적 상에 복수 개 배치되어 도료의 이송을 안내한다.
아울러, 노즐(111)은 캡(115)의 분출구(112) 측으로 개방되고, 유동체채널(160)에 연결되는 회오리형성부(113)를 형성한다. 이때, 유동체채널(160)은 회오리형성부(113)로 토출되는 유동체가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노즐(111)에서 회오리형성부(113) 내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동체채널(160)로 이송되는 유동체는 회오리형성부(113) 내측으로 토출시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며 개방측으로 분출된다. 나선 궤적을 유지한 채 회오리형성부(113)의 개방측으로 분출되는 유동체는 도료채널(120) 각각을 통해 토출되는 도료가 분출구(112) 측으로 안정적으로 연속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분출구(112) 측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도료는 에어채널(200)을 통해 분출되면서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에어에 의해 대략 정량씩 비연속되는 입자(알갱이) 형태로 벽체에 뿜칠되어 고른 입체감을 부여하게 된다. 즉, 도료와 유동체는 노즐(111)을 토출 후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에어에 부딪히면서 도료의 이송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상태로 토출 안내된다.
특히, 회오리형성부(113)는 유동체채널(160)에서 내측으로 분출되며 나선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유동체에 유동 궤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심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심지(114)는 회오리형성부(113)의 내측에서 노즐(111)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유동체가 나선 궤적을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심지(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도료 분사장치 110: 바디
120: 도료채널 130: 알갱이채널
140: 알갱이혼합영역 150: 도료공급부
200: 에어채널 300: 알갱이공급부
400: 강제분출추진영역 500: 압력제어부
120: 도료채널 130: 알갱이채널
140: 알갱이혼합영역 150: 도료공급부
200: 에어채널 300: 알갱이공급부
400: 강제분출추진영역 500: 압력제어부
Claims (9)
-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분출구 측으로 도료를 공급받는 도료채널;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분출구 측으로 에어에 의해 알갱이부재를 공급 안내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알갱이투입구와 연결되는 알갱이채널;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분출구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료채널을 통해 유동되는 도료와 상기 알갱이채널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알갱이부재를 혼합 후 상기 분출구로 토출 안내하는 알갱이혼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알갱이채널과 구획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분출구 측으로 에어를 공급 안내하는 에어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분출구에 인접되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채널을 통해 이송되는 에어로써 상기 알갱이혼합영역에서 혼합된 상기 도료와 상기 알갱이부재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강제분출추진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에어채널을 통해 나선상으로 유동이 발생되는 에어가 상기 강제분출추진영역에 도달하면서 와류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도료와 상기 알갱이부재의 혼합율이 증대되고, 상기 알갱이부재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도료의 일부가 탈거됨으로써 상기 알갱이부재의 표면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에어에 의해 상기 분출구로 분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채널은 알갱이공급부에 의해 알갱이부재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공급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알갱이채널로 상기 알갱이부재를 공급하는 가이드관부재;
상기 알갱이부재를 상기 가이드관부재 내부로 토출 허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일측을 개폐 가능하게 막아 상기 알갱이부재를 설정량만큼 토출 안내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반복적인 개폐를 실현하기 위한 작동부; 및
상기 가이드관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알갱이부재를 외기를 통해 상기 알갱이채널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공급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알갱이채널로 상기 알갱이부재를 공급하는 가이드관부재;
상기 알갱이부재를 상기 가이드관부재 내부로 토출 허용하기 위해 일측에 개방홀을 통공한 탱크;
상기 개방홀을 반복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탱크에 저장된 상기 알갱이부재를 설정량만큼 토출 안내하는 작동부; 및
상기 가이드관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알갱이부재를 에어를 통해 상기 알갱이채널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채널을 나란하게 배치하고, 중심축이 상기 바디의 중심축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디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도료채널을 연장 형성하는 노즐;
이웃한 상기 도료채널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와 상기 노즐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복수 가닥의 상기 도료끼리 혼합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체를 토출 안내하는 유동체채널;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분출구를 형성하는 캡을 포함하여,
상기 도료와 상기 유동체는 각각 상기 노즐에서 토출 후 나선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도료의 이송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며 비연속적으로 상기 노즐에서 토출된 후 상기 분출구 측으로 이송된 후 상기 분출구를 통해 분출력을 증가시킴에 따라 고유의 색상을 유지한 채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노즐이 연장하는 일단에 에어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채널에서 토출되는 에어가 토출되는 상기 도료와 상기 유동체를 비연속되게 토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장치.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분출구 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유동체채널과 연결되어 유동체의 나선 궤적 유동을 안내하는 회오리형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오리형성부는 상기 유동체의 나선 궤적 유동의 지속성을 위해 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265A KR101974712B1 (ko) | 2017-03-08 | 2017-03-08 | 도료 분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265A KR101974712B1 (ko) | 2017-03-08 | 2017-03-08 | 도료 분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2748A KR20180102748A (ko) | 2018-09-18 |
KR101974712B1 true KR101974712B1 (ko) | 2019-05-02 |
Family
ID=6371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9265A KR101974712B1 (ko) | 2017-03-08 | 2017-03-08 | 도료 분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471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1519B1 (ko) * | 2021-03-03 | 2021-08-20 | 미도산업개발(주) |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2216B1 (ko) * | 2014-07-16 | 2015-10-23 | 조성암 |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의 분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3266B1 (ko) * | 2009-10-30 | 2012-02-20 | 조성암 |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
JP5651869B2 (ja) * | 2009-10-30 | 2015-01-14 | リード工業株式会社 | 気液混合ノズル、およびこの気液混合ノズルを用いたエマルジョン燃料燃焼システムならびに環境浄化液体噴霧システム |
-
2017
- 2017-03-08 KR KR1020170029265A patent/KR1019747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2216B1 (ko) * | 2014-07-16 | 2015-10-23 | 조성암 |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의 분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1519B1 (ko) * | 2021-03-03 | 2021-08-20 | 미도산업개발(주) |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2748A (ko) | 2018-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59589B2 (en) | A spray gun | |
US5330105A (en) | Aspirating nozzle and accessory systems therefor | |
US9586221B2 (en) | Fluid through needle for applying multiple component material | |
CA2680391A1 (en) | Opposed inductor improvements | |
US6074085A (en) | Cyclonic mixer | |
US9027506B2 (en) | Dense phase powder coating system for containers | |
JP2001096204A (ja) | 携帯小型化収斂型スプレーガン | |
US20200338578A1 (en) | Pneumatic material spray gun | |
JP6267538B2 (ja) | スプレーガン | |
KR101974712B1 (ko) | 도료 분사장치 | |
US11541406B2 (en) | Spray nozzle | |
US9987643B2 (en) | System and method having multi-component container for spray device | |
CN110976168A (zh) | 上粉系统 | |
KR101113266B1 (ko) |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 |
KR101562216B1 (ko) |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의 분사장치 | |
JP3216965U (ja) | 吹付ノズル装置 | |
JP4495485B2 (ja) | 流体噴射装置 | |
KR101389297B1 (ko) |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 |
JPH0330853A (ja) | 噴霧装置 | |
KR20200107154A (ko) | 에어 퍼징을 갖는 분체 이송 호퍼 | |
EP0094782A2 (en) | Improved mixing arrangement for plural component gun | |
KR20130123001A (ko) |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 |
JP2008142586A (ja) | 粉体塗装用スプレーガン装置 | |
JPH06142563A (ja) | 耐火材吹付機 | |
JPS57162663A (en) | Device for painting of two-pack type coating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