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42A -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 Google Patents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42A
KR20150068842A KR1020130154966A KR20130154966A KR20150068842A KR 20150068842 A KR20150068842 A KR 20150068842A KR 1020130154966 A KR1020130154966 A KR 1020130154966A KR 20130154966 A KR20130154966 A KR 20130154966A KR 20150068842 A KR20150068842 A KR 20150068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resin
weight
paints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209B1 (ko
Inventor
정우철
김남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무사시도료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무사시도료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209B1/ko
Priority to US14/331,550 priority patent/US9234114B2/en
Publication of KR2015006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Abstract

아크릴 수지 10 내지 40 중량%, 셀룰로오스계 수지 1 내지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1 내지 30 중량%, 그리고 용매 잔부량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4,000 g/mol 인 도료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RESIN COMPOSITION FOR PAINT AN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장 부품에서 오디오, 공조기기 등 조작부 스위치 버튼이 다수 사용되고 있다. 스위치 버튼류는 사용자에 의한 손 접촉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부품으로,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광택도가 낮고 표면 경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도료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무광 도료는 표면 스크래치에 의한 손상에 취약하고 표면 질감이 열세하여 작동시 손에 의한 터치감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낮은 광택도를 유지하기 위해 소광제를 첨가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표면 스크래치에 의해 소광제가 유실되면서 부분적인 표면 광택 차이에 의한 표면 손상 및 오염이 쉽게 인지되는 문제가 있다.
일 구현예는 내마모성 및 저광택을 유지하면서 표면 터치감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도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구현예는 아크릴 수지 10 내지 40 중량%; 셀룰로오스계 수지 1 내지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1 내지 30 중량%; 및 용매 잔부량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4,000 g/mol 인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2 내지 15 ℃ 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500 내지 20,000 g/mol 일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Tg)는 10 내지 50 ℃ 일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소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카본블랙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본블랙은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아조계 안료, 아조레이크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료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무정형 실리카, 나노 실리카, 에틸렌계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광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광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프로펜 중합체, 폴리에틸렌, 분산제, 표면조절제, 습윤 분산제, 소포제, 슬립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을 제공한다.
기타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내마모성 및 저광택을 유지하면서 표면 터치감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도료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됨에 따라, 자동차 내장 부품의 도막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도막을 적용한 자동차 내장 부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내약품성, 내마모성 및 표면 경도가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 부품 중 손 접촉이 많은 버튼부에 사용할 경우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4,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00 내지 3,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500 내지 2,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내약품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도막 표면의 우수한 질감 및 터치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2 내지 15 ℃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 ℃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 표면의 끈적임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표면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중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내약품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도막 표면의 우수한 질감 및 터치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상기 아크릴 수지의 보조 수지로 기능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안료, 첨가제 등의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표면의 가교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7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000 내지 3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25,000 내지 3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내약품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안료 및 첨가제의 분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아크릴 수지와 함께 도막의 표면에 우수한 터치감을 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 내지 2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000 내지 1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도막의 표면 끈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 내지 50 ℃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 ℃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막 표면의 끈적임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표면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에틸렌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등의 알코올 화합물과 아디프산, 이소프탈산 등의 산 화합물을 축합 반응하여 얻어진 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내약품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도막 표면의 우수한 질감 및 터치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가소제는 도막의 표면 경도를 낮추어 우수한 터치감을 줄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도막 표면의 우수한 터치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카본블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상기 도료 수지 조성물 내에 첨가되어 색상 구현이 우수하고 도막 형성 이후 레이저 컷팅(laser cutting)성이 우수하다.
상기 카본블랙의 크기는 0.2 내지 60 ㎛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40 ㎛ 일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의 크기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색상 구현이 우수하고 레이저 컷팅성이 우수하다.
상기 카본블랙은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색상 구현이 용이하고 레이저에 의한 커팅성이 우수하여 그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막의 물성이 우수하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도장 컬러에 따라 다양한 채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아조계 안료, 아조레이크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료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색상 구현이 용이하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소광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무정형 실리카, 나노 실리카, 에틸렌계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정형 실리카는 비결정성 구조로 흡수율이 우수하며 내수성이 우수하다.
상기 소광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광제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도막의 표면 광택을 낮게 유지할 뿐 아니라 내스크래치성 또한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프로펜 중합체, 폴리에틸렌, 분산제, 표면조절제, 습윤 분산제, 소포제, 슬립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도막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상기 용매는 에스테르계 용매, 케톤계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의 예로는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케톤계 용매의 예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잔부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고 도료의 흐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도료용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막은 자동차 내장 부품, 구체적으로는 오디오, 공조기기 등의 버튼부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도막을 적용한 자동차 내장 부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자동차 내장 부품, 구체적으로 버튼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층(10) 위에 차폐 프라이머 도장을 진행하여 차폐 프라이머 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차폐 프라이머 층 위에 일 구현예에 따른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클리어 도장을 진행하여 도막(30)을 형성한 다음, 레이저 컷팅을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상기 도막은 내마모성 및 저광택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표면 터치감 및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6
하기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으로 혼합하여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아크릴 수지
(A-1) 중량평균분자량이 1,7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8℃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A-2)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28℃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B) 셀룰로오스계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65,000 g/mol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sigma-Aldrich 社)를 사용하였다.
(C)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22℃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SK케미칼)를 사용하였다.
(D) 가소제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를 사용하였다.
(E) 카본블랙
크기가 0.8㎛인 카본블랙을 사용하였다.
(F) 안료
C.I. 안료 블루 15(CAS. 147-14-8)를 사용하였다.
(G) 소광제
무정형 실리카(Grace 社, Syloid®)를 사용하였다.
(H) 첨가제
(H-1)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g/mol 인 프로펜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H-2)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g/mol 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다.
(H-3) 분산제(BYK Chemical. Co.의 BYK 348)을 사용하였다.
(H-4) 표면조정제(BYK Chemical. Co.의 BYK 333)을 사용하였다.
(I) 용매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및 메틸에틸케톤을 6:4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A) 아크릴 수지 (A-1) 25 30 30 - 10 15 33 30
(A-2) - - - 30 - - - -
(B) 셀룰로오스계 수지 2 1 2 - 5 10 - -
(C) 폴리에스테르 수지 5 1 - - 15 10 - 2
(D) 가소제 1 1 1 1 3 3 - 1
(E) 카본블랙 2 2 2 2 2 2 2 2
(F) 안료 0.5 0.5 0.5 0.5 0.5 0.5 0.5 0.5
(G) 소광제 5 5 5 5 5 5 5 5
(H) 첨가제 (H-1) 0.5 0.5 0.5 0.5 0.5 0.5 0.5 0.5
(H-2) 0.5 0.5 0.5 0.5 0.5 0.5 0.5 0.5
(H-3) 0.5 0.5 0.5 0.5 0.5 0.5 0.5 0.5
(H-4) 0.5 0.5 0.5 0.5 0.5 0.5 0.5 0.5
(I) 용매 57.5 57.5 57.5 57.5 57.5 57.5 57.5 57.5
평가 1: 도막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른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에 차폐 프라이머(무사시330)를 도포한 후 20㎛의 두께로 도장한 후 80℃ 및 40분간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도막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막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터치감: 손톱을 이용하여 표면을 3초간 눌러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1시간 내에 회복됨
○: 6시간 내에 회복됨
X: 회복 불가
(2) 내마모성: 왕복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하중 1kgf, 시험 속도 30회 왕복/분, 마찰 스트로크 100mm의 조건으로 양면범포 마찰재를 이용하여 10,000회 왕복했을 때의 플라스틱 기재의 노출여부 및 도막 손상여부를 비교하였다.
(3) 내스크래치성: JIS K 6718에 따라, 표면을 사파이어 팁으로 하중 0.5kgf, STROKE 100±5㎜, 마찰 속도 100 mm/sec 표면에 스크래치를 주었다. 이때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표면 손상 없음
○: 미세한 스크래치 발생하나 육안으로 확인 안됨
△: 미세한 스크래치 발생하나 육안으로 확인 가능
X: 육안으로 쉽게 확인되는 스크래치 발생
(4) 내열성 및 내광성: 내열성은 80℃ 챔버에 300시간 방치하고, 내광성은 CI4000 장비를 이용하여 84 MJ/cm2의 광원에 노출시켰다. 이때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변색 없고, 바둑판 눈금 평가 후 도막 손상 없음
○: 미세한 변색이 있으며, 바둑판 눈금 평가 후 끝단부 미세 박리 발생
△: 변색 발생하고, 바둑판 눈금 평가 후 1칸 이상 박리 발생
X: 변색 발생하고, 바둑판 눈금 평가 후 5칸 이상 박리 발생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터치감 X X
내마모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도막 벗겨짐 도막 벗겨짐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스크래치성 X X
내열성 및 내광성 X
상기 표 1 및 표 2를 통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6의 경우와 비교하여 표면 터치감 및 슬립감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수지를 적은 함량으로 사용한 비교예 3 및 4의 경우, 표면 경도 및 내구성 부족으로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며, 또한 아크릴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수지의 분산 및 작업성이 저하되어 도장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아크릴 수지 10 내지 40 중량%;
    셀룰로오스계 수지 1 내지 10 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1 내지 30 중량%; 및
    용매 잔부량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4,000 g/mol 인
    도료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2 내지 15 ℃ 인 도료용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500 내지 20,000 g/mol 인 도료용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10 내지 50 ℃ 인 도료용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가소제
    를 더 포함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카본블랙
    을 더 포함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은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아조계 안료, 아조레이크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안료
    를 더 포함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무정형 실리카, 나노 실리카, 에틸렌계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소광제를 더 포함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프로펜 중합체, 폴리에틸렌, 분산제, 표면조절제, 습윤 분산제, 소포제, 슬립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
    를 더 포함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도료용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도료용 수지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도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
KR1020130154966A 2013-12-12 2013-12-12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KR101619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66A KR101619209B1 (ko) 2013-12-12 2013-12-12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US14/331,550 US9234114B2 (en) 2013-12-12 2014-07-15 Resin composition for paint an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66A KR101619209B1 (ko) 2013-12-12 2013-12-12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42A true KR20150068842A (ko) 2015-06-22
KR101619209B1 KR101619209B1 (ko) 2016-05-10

Family

ID=5336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966A KR101619209B1 (ko) 2013-12-12 2013-12-12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34114B2 (ko)
KR (1) KR1016192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8848A (zh) * 2020-09-17 2020-11-24 福州展辰新材料有限公司 耐黄变无光净味pu聚氨酯清面漆及其制备方法
KR102291519B1 (ko) * 2021-03-03 2021-08-20 미도산업개발(주)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4377B (zh) * 2018-09-26 2020-12-29 上海乘鹰新材料有限公司 一种柔韧性优的镭射转移涂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526A (ja) 2001-05-28 2002-12-04 Kansai Paint Co Ltd 塗料組成物及び塗膜形成方法
TW200530352A (en) 2004-02-09 2005-09-16 Nippon Paint Co Ltd Metallic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site film
WO2008119390A1 (en) 2007-04-02 2008-10-09 Inxel Trademark & Patents Sagl Method for preparing paints and inks using a resin coated pigment
JP5026755B2 (ja) 2006-09-21 2012-09-19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中塗り塗料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8848A (zh) * 2020-09-17 2020-11-24 福州展辰新材料有限公司 耐黄变无光净味pu聚氨酯清面漆及其制备方法
CN111978848B (zh) * 2020-09-17 2022-10-21 福州展辰新材料有限公司 耐黄变无光净味pu聚氨酯清面漆及其制备方法
KR102291519B1 (ko) * 2021-03-03 2021-08-20 미도산업개발(주)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4114B2 (en) 2016-01-12
US20150166817A1 (en) 2015-06-18
KR101619209B1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5125C1 (ru) Система многослойного покрытия,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и подложка с покрытием, нанесенным при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и
US9084982B2 (en) Water-absorbing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produced using same
CN101405339B (zh) 聚酯系薄膜用粘合剂组合物及使用其的光学薄膜
WO2007013368A1 (ja) インキジェッ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キ
JP2008150484A (ja) 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
KR101619209B1 (ko)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JP2008195857A (ja) 水系塗料、それより得られる塗膜および塗装品
KR20190003653A (ko) 공중합체, 및 조성물
KR20200027998A (ko) 저 휘발성 유기 화합물 수계 자외선 경화성 단일-층 코팅 조성물, 이의 적용 방법 및 이로 코팅된 기재
JP2009191097A (ja) 金属薄膜用塗料組成物、および金属薄膜用塗料組成物を用いた光輝性樹脂製品
JP2008049524A (ja) 積層フィルム
JP6637950B2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シート
KR20160138206A (ko) 친수성 단층막
KR20190009353A (ko) 기능성막,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70120754A (ko) 이중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6206712B2 (ja)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4351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型物
JP2006213814A (ja) 接着剤組成物
WO2019159974A1 (ja) 防曇性積層体及び防曇性積層体の製造方法
JP6391963B2 (ja)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29266A (ko) 계면 활성제, 코팅 조성물 및 레지스트 조성물
TWI778937B (zh) 化妝薄片、面板、具有化妝薄片之物品、及具有面板之物品
TW201127919A (en) Reflection prevention lamin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urable composition
KR101869203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184896B1 (ko) Uv 경화형 고연신율 및 고기능성 코팅액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