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659B1 -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 Google Patents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659B1
KR101294659B1 KR1020120067820A KR20120067820A KR101294659B1 KR 101294659 B1 KR101294659 B1 KR 101294659B1 KR 1020120067820 A KR1020120067820 A KR 1020120067820A KR 20120067820 A KR20120067820 A KR 20120067820A KR 101294659 B1 KR101294659 B1 KR 10129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ane
solubl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137A (ko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훈 filed Critical 조성훈
Publication of KR2013004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servo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색 후 초기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도색 후 마모시에도 적정의 재귀반사 휘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단시간 내에 건조되도록 할 목적으로, 도로의 차선 도색용 도료 내에 유리비드와 속건성 재료가 함유되고, 이러한 도료의 도색 장치에서 분사수단의 도료 분사 차단시 공압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중 압력으로 노즐을 차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 특징인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PAINTING DEVICE OF WATERSOLUBLE PAINTS MIXED BEAD FOR TRAFFIC LANE}
본 발명은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시간 내에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 유리 비드와 속건성 재료가 포함된 친환경의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 및 그 도료를 이용하여 도색하는데 적합한 도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선은 도로 상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방향을 안내하는 지시선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우천시나 야간 중의 차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선을 도색한 다음, 건조되기 전에 차선 위에 유리 비드(bead)를 살포하여 차선 표면에 유리 비드를 고정시킴으로써 재귀반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차선 표면에 유리 비드가 고착된 경우, 자동차의 타이어와 반복적으로 접촉되어 압력이 가해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차선이 마모되어 유리비드와의 고착력이 저하되는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차선 표면에 고착된 비드가 탈리되어 재귀 반사성을 소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경우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차선을 도색해야 하는 등 유지 보수 비용의 증가로 경제적 손실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뿐만 아니라 종래의 차선은 도색 후 경화속도가 느려서 차선을 도색한 직후 일정 시간 차량 통행을 제한하기 때문에 도로 통행시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리 비드가 혼합된 도료를 도색하는 방안을 상정해 볼 수 있으나, 이는 도료 내에 일정 크기 이상의 유리 비드가 혼합되어 있는 특성으로 노즐이 쉽게 막혀서 차선을 시공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울 뿐 아니라 노즐을 빈번하게 교체할 수밖에 없으므로 공기가 연장되어 시공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시간 내에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 유리비드와 속건성 재료가 포함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 유리비드 및 속건성 재료가 포함된 차선용 도료를 도색하는데 적합한 도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5 ~ 42중량%의 석분과, 속건성 아크릴 에멀젼을 포함하는 25 ~ 28중량%의 전색제와,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서 6 ~ 12중량%의 착색안료와, 물, 메탄올, 에탄올 중 선택된 2 ~ 5중량%의 용매와, 2 ~ 5중량%의 첨가제와, 반사체로서 10 ~ 30 중량%의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 구동수단(10)과,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된 스크류(22)가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도료 투입구(21)가 구비된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배출된 도료를 믹싱하도록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된 임펠러(31)가 구비된 교반기(30)와, 상기 교반기에서 배출된 도료를 송기하는 에어리스(airless) 펌프(40)와, 상기 펌프를 통해 송기된 도료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50)와, 상기 보일러(50)에서 배출된 도료를 분사 또는 차폐하는 분사수단(60)과, 상기 분사수단(60)의 도료 차폐시 도료가 상기 이송수단으로 송기되도록 상기 분사수단과 이송수단을 상호 연결하는 회귀관(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선용 도료 내에 유리비드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차선 도색 후 초기 적정의 재귀 반사 휘도를 유지할 수 있고, 도색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차선 마모 후에도 적정의 재귀반사 휘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색후 경화시간이 단축되므로 차량 통행을 신속히 재개할 수 있게 되어 차량 운행의 안전성과 교통 통제에 빠른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더욱이 공압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이중 압력 차폐 구조에 의해 분사 중단시 노즐을 폐쇄하므로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차선 시공이 용이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되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게다가 비드가 혼합된 액상 도료를 사용할 수 있는 등, 차선 도색용 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에서 보일러를 확대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에서 분사노즐 개방 상태를 보인 분사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에서 분사노즐 폐쇄 상태를 보인 분사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압축 필터링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 조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는 체질안료, 전색제(展色劑), 착색안료, 용매, 첨가제 및 반사체 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질안료는 무기질 재료로서 석분(石粉)을 사용하며, 그 예로서 탄산칼슘, 중탄, 칼슘카보네이트 분말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전색제(展色劑)는,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을 비롯하여 도료 도색 후 신속히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 속건성 아크릴 에멀젼을 더 포함하며, 양 물질의 혼합비는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해 계절을 고려하여 속건성 아크릴 에멀젼 20 ~ 40중량부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착색안료는 도로에 도색되는 차선 색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주로 중앙 분리선에 사용되는 노란색이나 차선 혹은 횡단보도에 사용되는 흰색, 그리고 버스전용차선 등에 사용되는 청색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색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물을 대체하여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틸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용성이므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제품이다.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유착제 중에서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 첨가물의 혼합비율은, 소포제 11 ~ 16중량%, 분산제 12 ~ 18중량%, 계면활성제 8 ~ 12중량%, 증점제 4 ~ 9중량%, 유착제 45 ~ 65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반사체는 유리 비드(bead)나 투명합성수지 비드와 같이 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그 재료는 제한이 없으나 제조의 용이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유리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도료를 조성하는 각 물질의 적정 혼합비율은, 석분 35 ~ 42중량%, 속건성 아크릴 에멀젼을 포함하는 전색제 25 ~ 28중량%, 착색안료 6 ~ 12중량%, 용매 2 ~ 5중량%, 첨가제 2 ~ 5중량% 및 반사체로서 비드 10 ~ 30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비드가 10중량% 이하이면 소망하는 반사휘도를 얻을 수 없고, 30중량% 이상이면 유동성이 저하되어 도색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위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한다.
[실시예 1]
탄산칼슘 분말 40중량%, 속건성 아크릴 에멀젼을 함유한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27중량%, 흰색 안료 8중량%, 에탄올 3중량%, 참가제 4중량%, 유리비드 18중량%를 교반, 혼합한 흰색 도료를 36℃로 가열한 상태에서 도로에 도포, 경화시킨 후 도색 초기 및 6개월이 경과한 후 각 시점의 재귀반사 휘도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 1의 결과를 얻었다.
측정 시점 7일 경과 후 180일 경과 후
재귀반사 휘도(mcd·m-2·lx-1) 265 176
[실시예 2]
탄산칼슘 분말 39중량%, 속건성 아크릴 에멀젼을 함유한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27중량%, 노란색 안료 9중량%, 에탄올 3중량%, 참가제 4중량%, 유리비드 18중량%를 교반, 혼합한 노란색 도료를 36℃로 가열한 상태에서 도로에 도포, 경화시킨 후 도색 초기 및 6개월이 경과한 후 각 시점의 재귀반사 휘도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의 결과를 얻었다.
측정 시점 도색후 7일 이내 180일 경과 후
재귀반사 휘도(mcd·m-2·lx-1) 186 128
[실시예 3]
탄산칼슘 분말 39중량%, 속건성 아크릴 에멀젼을 함유한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27중량%, 청색 안료 9중량%, 에탄올 3중량%, 참가제 4중량%, 유리비드 18중량%를 교반, 혼합한 청색 도료를 36℃로 가열한 상태에서 도로에 도포, 경화시킨 후 도색 초기 및 6개월이 경과한 후 각 시점의 재귀반사 휘도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 3의 결과를 얻었다.
측정 시점 도색후 7일 이내 180일 경과 후
재귀반사 휘도(mcd·m-2·lx-1) 123 91
위 표 1 및 표 2의 흰색 차선 및 노란색 차선의 각 재귀반사 휘도는 미국 재료시험협회(ASTM)와 한국도로공사에서 정한 도로 차선의 재귀반사 휘도 기준에 상회하는 수치이고, 청색 차선의 경우 한국도로공사에서 정한 도로 차선의 재귀반사 휘도 기준에 상회하는 수치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도로의 차선용 도료를 도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에서 보일러를 확대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용 도료 도색 장치는 모터 등의 동력 구동수단(10)과,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10)과 연결된 스크류(22)가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도료 투입구(21)가 구비된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20)에서 배출된 도료를 믹싱하도록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1O)과 연결된 임펠러(31)가 구비된 교반기(30)와, 상기 교반기(30)에서 배출된 도료를 송기하는 에어리스(airless) 펌프(40)와, 상기 펌프(40)를 통해 송기된 도료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50)와, 상기 보일러(50)에서 배출된 도료를 분사 또는 차폐하는 분사수단(60) 및 상기 분사수단(60)의 도료 차폐시 도료가 상기 이송수단(20)으로 송기되도록 상기 분사수단(60)과 이송수단(20)을 상호 연결하는 회귀관(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10)은 별도의 모터 등의 구동수단 또는 도색용 차량의 엔진을 사용할 수 있고,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수단(10)이 제2이송수단(20') 내의 제2스크류(22') 및 제2교반기(30') 내의 제2임펠러(31')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이송수단(20')의 제2투입구(21')에는 상기 이송수단(20)에 투입되는 도료와 다른 색상의 도료를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송수단(20)에 흰색 도료를 투입하고, 제2이송수단(20')에 노란색 도료를 투입하면 하나의 도색 장치에서 2가지 색상의 도료를 함께 투입하여 후술하는 분사수단(60) 및 제2분사수단(60')의 노즐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하는 색상을 도색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50)는, 내부에 물(51)이 충진되는 동시에 전기 가열봉 등 각종 가열원인 히터(52)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에어리스 펌프(40)에 의해 송기된 도료를 보일러(50) 내부에서 일정 시간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보일러(50) 내부에 수회 굴절된 굴곡관(53)이 설치된다.
본 발명과 같이 도료 내에 유리비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굴곡관(53)의 직경(내경)과 도료의 온도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굴곡관(53)의 내경을 10 ~ 30mm 범위로 설계하는 한편, 도료의 온도는 30 ~ 40℃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기 히터(52)에 의해서 가열되는 보일러(50) 내부의 물 온도는 60 ~ 80℃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굴곡관(53)을 경유한 도료가 상기 분사수단(60)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굴곡관(53)의 길이를 10 ~ 30m 범위로 설계한다. 이 경우 에어리스 펌프(40)를 통해 토출된 도료가 10 ~ 30m 범위의 굴곡관(53)을 경유하면서 30 ~ 40℃로 가열되는 동시에 압력이 점진적으로 균일하게 되어 굴곡관(53)에서 분사수단(60)으로 토출되는 도료의 이송 압력이 일정하게 되며, 따라서 분사수단(60)에서 분사되는 도료의 양이 균일하여 차선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50)에는 다른 색상의 도료를 가열하기 위해 제2굴곡관(53')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에어리스펌프(40')에 의해 송기된 도료 역시 제2굴곡관(53')을 경유하면서 소망하는 온도로 가열되는 동시에 일정한 압력으로 토출되므로 제2분사수단(60')으로 분사되는 도료의 양이 균일하다.
분사수단(60)으로 분사되는 도료의 압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는 상기 보일러(50) 내의 굴곡관(53) 내경을 확장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굴곡관(53)의 일단은 에어리스 펌프(40)와 연결되어 도료가 유입되는 인입관(53a)과 연결되고, 굴곡관(53)의 타단은 분사수단(60)과 연결되어 도료가 배출되는 토출관(53b)과 연결되며, 이때 상기 인입관(53a)과 토출관(53b)의 내경보다 굴곡관(53)의 내경을 더 크게 확장하면 굴곡관(53) 내에서 도료가 정체된 다음 토출관(53b)으로 토출되므로 인입관(53a)의 도료 유입 압력이 불균일하더라도 토출관(53b)의 토출압력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인입관(53a)과 토출관(53b)의 내경은 6 ~ 10mm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굴곡관(53)의 내경은 10 ~ 30mm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때 인입관(53a)과 토출관(53b)의 내경이 10mm로 선택한 경우 굴곡관(53)은 그보다 큰 수치로 선택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굴곡관(53)은 열전도를 높이기 위해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 파이프를 적용하거나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호스 재료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회귀관(70) 및 제2회귀관(70')은 각각 분사수단(60) 및 제2분사수단(60')에서 각 도료를 분사하지 않을 때 도료를 다시 이송수단(20) 및 제2이송수단(20')으로 송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의 분사수단(60) 설명을 통해 구체화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에서 분사노즐 개방 상태를 보인 분사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에서 분사노즐 폐쇄 상태를 보인 분사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료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기준으로 노즐(62)이 구비된 방향을 '전(前)'이라 칭하고 스프링(620)이 설치된 방향을 '후(後)'로 칭하기로 하며, 제2분사수단(6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수단(60)은, 전방 내부에 노즐(62)과 연결된 도료충진공간(63)이 형성되고 중간 내부에 실린더(64) 공간이 형성되며 후방 내부에 가압공간(65)이 형성된 본체(61)와, 상기 도료충진공간(63)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50)에서 이송된 도료가 유입되는 도료입구(66)와, 상기 도료충진공간(63)의 타측에서 상기 회귀관(70)과 연결된 도료출구(67)와, 상기 실린더(64) 내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피스톤(611)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611)에서 상기 노즐(62)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62)을 개폐 가능하게 된 개폐핀(610)과, 상기 피스톤(6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단부와 상기 가압공간(65)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620)과, 상기 실린더(64)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교차 주입하게 된 제1유로(68) 및 제2유로(6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사수단(60)에서 도 3과 같이 제1유로(68)에 공압(유압을 포함한다)이 형성되면 실린더(64) 내의 피스톤(611)이 후퇴하는 것과 연동하여 피스톤(611) 전방에 형성된 개폐핀(610)이 후진하여 노즐(62)을 개방하는 한편, 가압공간(65) 내의 스프링(620)은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보일러(50)에서 송기된 도료는 도료입구(66)를 통해 도료충진공간(63)으로 유입되어 일부는 노즐(62)을 통해 분사되어 도로 상에 차선을 도색하고, 일부는 도료출구(67)를 통해 배출되어 회귀관(70)을 경유하여 이송수단(20)으로 송기된다.
반대로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차선 도색을 위한 분사를 중지시키기 위해 제2유로(69)에 공압(유압을 포함한다)을 형성하면, 공기 압력에 의해서 실린더(64) 내의 피스톤(611)이 전진하여 개폐핀(610)의 전단부가 노즐(62)을 폐쇄함으로써 도료 분사를 중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핀(610)이 실린더(64) 내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에 의해서 전진하는 동안 스프링(620)의 탄성력이 더 작용하여 이중 압력으로 개폐핀(610)을 전진시키므로, 상기 개폐핀(610)은 고압력으로 노즐을 폐쇄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개폐핀(610)의 전단부와 노즐(62) 접촉부분에 유리비드가 끼더라도 유리비드가 고압에 의해서 부서지면서 노즐을 폐쇄하게 되어 노즐(62)을 통해 도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62)이 폐쇄된 경우에도 도료충진공간(63)으로 유입된 도료는 전량 회귀관(70)을 경유하여 이송수단(20)으로 송기되므로 분사수단(60) 내부에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분사수단(60)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체(61)의 후단에는 가압공간으로 나사 결합되어 내입된 조절기(6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프링(620)의 후단은 상기 조절기(630)에 지지된다. 이 경우 조절기(6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620)이 신축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스프링(62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노즐(62)의 폐쇄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핀(610)의 전단부가 노즐(62)을 강한 힘으로 폐쇄하는 것을 고려하여 개폐핀(610)의 전단부에 강도가 큰 초경 소재의 개폐구(612)를 설치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구동수단 20, 20'... 이송수단 21, 21'... 투입구
22, 22'... 스크류 30, 30'... 교반기 31, 31'... 임펠러
40, 40'... 에어리스 펌프(airless pump) 50... 보일러
51... 물 52... 히터 53, 53'... 굴곡관
53a, 53a'... 인입관 53b, 53b'... 토출관
60... 분사수단 61... 본체 62... 노즐
63... 도료 충진공간 64... 실린더 65... 가압공간
66... 도료입구 67... 도료출구 68... 제1유로
69... 제2유로 70... 회귀관
610... 개폐핀 611... 피스톤 612... 개폐구
620... 스프링 630... 조절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로서,
    동력 구동수단(10)과,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된 스크류(22)가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도료 투입구(21)가 구비된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배출된 도료를 믹싱하도록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된 임펠러(31)가 구비된 교반기(30)와,
    상기 교반기에서 배출된 도료를 송기하는 에어리스(airless) 펌프(40)와,
    상기 펌프를 통해 송기된 도료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50)와,
    상기 보일러(50)에서 배출된 도료를 분사 또는 차폐하는 분사수단(60)과,
    상기 분사수단(60)의 도료 차폐시 도료가 상기 이송수단으로 송기되도록 상기 분사수단과 이송수단을 상호 연결하는 회귀관(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50)는, 내부에 충진된 물(51)을 60 ~ 80℃ 범위로 가열하는 히터(52)가 구비되고, 상기 보일러 내부의 물 충진 공간을 경유하는 도료 이송용 관은 수회 굴절된 굴곡관(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굴곡관(53)의 내경은 10 ~ 30mm이고, 길이는 10 ~ 30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굴곡관(53)의 일단은 도료가 유입되는 인입관(53a)과 연결되고 타단은 도료를 배출하는 토출관(53b)과 연결되되, 상기 인입관(53a)과 토출관(53b)의 내경보다 굴곡관(53)의 내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입관과 토출관의 내경은 6 ~ 10mm 범위이고, 굴곡관의 내경은 10 ~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60)은, 전방 내부에 노즐(62)과 연결된 도료충진공간(63)이 형성되고 중간 내부에 실린더(64) 공간이 형성되며 후방 내부에 가압공간(65)이 형성된 본체(61)와,
    상기 도료충진공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이송된 도료가 유입되는 도료입구(66)와,
    상기 도료충진공간의 타측에서 상기 회귀관과 연결된 도료출구(67)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피스톤(611)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에서 상기 노즐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을 개폐 가능하게 된 개폐핀(610)과,
    상기 피스톤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단부와 상기 가압공간(65)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620)과,
    상기 실린더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어 압력을 교차 형성하도록 마련된 제1유로(68) 및 제2유로(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20)의 후단은 상기 본체의 후단에서 가압공간으로 나사 결합되어 내입된 조절기(630)에 지지되어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폐핀의 전단은 초경 소재의 개폐구(6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KR1020120067820A 2011-11-01 2012-06-25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KR101294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804 2011-11-01
KR20110112804 2011-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137A KR20130048137A (ko) 2013-05-09
KR101294659B1 true KR101294659B1 (ko) 2013-08-09

Family

ID=4865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820A KR101294659B1 (ko) 2011-11-01 2012-06-25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044B1 (ko) * 2019-12-31 2020-08-19 (주)신진테크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892Y1 (ko) * 1996-05-06 1999-02-18 장철수 차량탑재용 차선도색장치
KR100977998B1 (ko) 2010-03-15 2010-08-25 (주)선화건설 차선 도색장치
KR20110004699A (ko) * 2009-07-08 2011-01-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선 인식이 용이한 도로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1153864B1 (ko) 2011-07-12 2012-06-18 대동안전주식회사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상온경화형 도로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892Y1 (ko) * 1996-05-06 1999-02-18 장철수 차량탑재용 차선도색장치
KR20110004699A (ko) * 2009-07-08 2011-01-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선 인식이 용이한 도로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0977998B1 (ko) 2010-03-15 2010-08-25 (주)선화건설 차선 도색장치
KR101153864B1 (ko) 2011-07-12 2012-06-18 대동안전주식회사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상온경화형 도로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044B1 (ko) * 2019-12-31 2020-08-19 (주)신진테크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137A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998B1 (ko) 차선 도색장치
KR101443857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장치 및 이액형 물질을 이용한 시공방법
US4373670A (en) Apparatus for applying road marking materials to roadways
KR101336625B1 (ko) 차선 도색장치용 이액형 도료 믹싱장치
KR101757412B1 (ko)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CN110735371B (zh) 一种耐候性彩色树脂罩面及其制备方法
KR101848234B1 (ko) 속건형 무용제 에폭시 도장 장치
KR101161144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294659B1 (ko)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KR101477750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용 도료 조성물
GB2505017A (en) Forming self illuminating ground surface by coating sprayed base layer containing particles with photoluminescent liquid sealant
CN111074729A (zh) 一种双组分等体积比路面材料的一体化智能施工车
KR101528245B1 (ko)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0760584B1 (ko) 차량을 이용한 초속경 도로 미끄럼 방지제 도포장치 및방법
KR101344370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US20180030678A1 (en) Striping apparatus
KR101487932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방법
CN103526683A (zh) 一种自行走双组份外混标线设备
KR101387584B1 (ko) 도료 및 경화제를 정밀하게 혼합할 수 있는 혼합 파이프를 포함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JP4911554B2 (ja) アスファルト系塗布材の吹付け装置
JP2796782B2 (ja) 道路表面処理剤および道路表面処理構造と道路表面処理装置
KR101400114B1 (ko) 차선도색장치
US11964300B2 (en) Process and device for quick dry and or rapid set aqueous external coatings
KR101487390B1 (ko) 이액형 수지의 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