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236A -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 Google Patents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236A
KR20140117236A KR1020130034020A KR20130034020A KR20140117236A KR 20140117236 A KR20140117236 A KR 20140117236A KR 1020130034020 A KR1020130034020 A KR 1020130034020A KR 20130034020 A KR20130034020 A KR 20130034020A KR 20140117236 A KR20140117236 A KR 2014011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screw conveyor
pipe
open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식
Original Assignee
최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식 filed Critical 최춘식
Priority to KR102013003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7236A/ko
Publication of KR2014011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93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or caster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는 저장된 주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주제 호퍼와, 상기 주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주제의 통로가 되는 제1 연결관과, 저장된 경화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경화제 호퍼와, 상기 경화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경화제의 통로가 되는 제2 연결관과,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는 이송관으로서,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가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과 통하도록 연결되고 전단부에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와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교반 임펠러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교반 임펠러와, 후단부가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멍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이송 호스 및 상기 이송 호스의 전단부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 AGITATOR AND SPRAYER OF TWO COMPONENT PAINT }
본 발명은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되면서 도장을 하는 도장기로서 조작이 간편하고 연속작업 효율이 높은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15분이면 건조가 시작되는 속건성 2액형 라이닝도료는 두께 1.5mm에서 5mm 정도 도표되는 특수도료로 주차장, 매장바닥, 공장바닥, 계단, 복도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실용성있는 도료이지만, 경화속도가 매우 빠른 속건성도료로써 도장시간을 맞추기가 상당히 어렵고, 도장작업시 소량의 자재를 자주 반복해서 수작업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도장면(바닥)에 부어 톱날이나 쇠손으로 밀어 도포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방식은 작업이 불편하고 허실이 많으며, 조금만 방심하면 건조로 인한 재료손실 및 산업쓰레기가 발생하고, 작업효율에 비하여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어 경계적인 손실의 피해가 있으며, 넓은 면의 도장은 굴곡이 심하여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개발된 도장기는 사용하는 도중 기계내의 꺽어진 부분에서부터 굳어들어 가면서 작업효율이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종래에는 기계가동이 안되므로 작업을 정지하고 정해진 시간마다 자주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속건성 2액형 도료를 도장하기 쉽고, 조작이 간편한 도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는 저장된 주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주제 호퍼와, 상기 주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주제의 통로가 되는 제1 연결관과, 저장된 경화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경화제 호퍼와, 상기 경화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경화제의 통로가 되는 제2 연결관과,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는 이송관으로서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가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과 통하도록 연결되고 전단부에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 임펠러와, 후단부가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멍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이송 호스 및 상기 이송 호스의 전단부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는저장된 주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주제 호퍼와, 상기 주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주제의 통로가 되는 제1 연결관과, 저장된 경화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경화제 호퍼와, 상기 경화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경화제의 통로가 되는 제2 연결관과,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는 이송관으로서,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가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과 통하도록 연결되고 전단부에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와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교반 임펠러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교반 임펠러와, 후단부가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멍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이송 호스 및 상기 이송 호스의 전단부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 호퍼는, 주제를 담기 위한 제1 고정 호퍼와, 상기 제1 고정 호퍼 내부에 위치하여 자중에 의해 가라앉으면 상기 제1 고정 호퍼의 배출구를 폐쇄하는 제1 개폐볼과,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상기 제1 고정 호퍼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주제가 채워지면 하방으로 이동하고 주제가 비워지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1 유동 호퍼 및 상기 제1 유동 호퍼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동 호퍼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1 고정 호퍼의 배출구를 관통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제1 개폐볼을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 고정 호퍼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제1 개폐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화제 호퍼는, 경화제를 담기 위한 제2 고정 호퍼와, 상기 제2 고정 호퍼 내부에 위치하여 자중에 의해 가라앉으면 상기 제2 고정 호퍼의 배출구를 폐쇄하는 제2 개폐볼과,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상기 제2 고정 호퍼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경화제가 채워지면 하방으로 이동하고 경화제가 비워지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2 유동 호퍼 및 상기 제2 유동 호퍼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동 호퍼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2 고정 호퍼의 배출구를 관통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제2 개폐볼을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 고정 호퍼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제2 개폐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교반 임펠러와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 및 상기 제2 교반 임펠러와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 각각에는 상기 이송관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장자리부에 상대적으로 큰 구멍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주입 경계판 및 상기 제1 교반 임펠러와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 및 상기 제2 교반 임펠러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 각각에는 상기 이송관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심부에 상대적으로 큰 구멍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배출 경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유동 호퍼의 외측면에는 제1 걸림돌기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유동 호퍼의 외측면에는 제2 걸림돌기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힌지 운동이 가능한 제1 리프트봉 및 제2 리프트봉이 인접하는 프레임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1 리프트봉 사이에 결합하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2 리프트봉 사이에 결합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1 유동 호퍼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제1 리프트봉을 눌러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재가 팽창하고, 상기 제1 유동 호퍼 안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가벼워지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리프트봉이 상기 걸림돌기를 들어올려서 상기 제1 유동 호퍼를 상승시키며, 상기 제2 유동 호퍼가 하강하면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2 리프트봉을 눌러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2 탄성부재가 팽창하고, 상기 제2 유동 호퍼 안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가벼워지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리프트봉이 상기 걸림돌기를 들어올려서 상기 제2 유동 호퍼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희석제를 담기 위한 희석제 호퍼 및 상기 희석제 호퍼와 상기 제1 연결관 또는 제2 연결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희석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1 연결관 또는 제2 연결관으로 유입되는 희석제의 통로가 되며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3 개폐 밸브가 구비된 제3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관에는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1 개폐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관에는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2 개폐 밸브가 구비되며, 에어 컴프레셔 및 상기 분무기를 연결하는 에어 호스의 중간 부분과 상기 제3 연결관 사이에 공압 밸브가 구비된 연결통로관이 구비되어 상기 공압 밸브를 절환함에 따라 상기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분무기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3 연결관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유동 호퍼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위쪽 영역과 아래쪽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가로지르는 제1 거름망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동 호퍼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위쪽 영역과 아래쪽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가로지르는 제2 거름망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개폐핀은 상기 제1 거름망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길게 뻗고, 상기 제2 개폐핀은 상기 거름망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길게 뻗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관의 전단부는 앞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노즐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여러 종류의 도장기가 개발되었으나, 2액형 도료의 경우 반응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10∼20분 사이에 도장이 완료되어야 할 뿐더러 혼합된 도료가 호퍼나 분무기 헤드에 유입되어 있다 하여도 늦은 속도에 의해 밀리는 부위부터 경화되어 안으로 침투하므로 결국 도료를 공급하는 통로가 차단되기도 하고 청소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용성이 없고 비능률적이라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는 데 장점이 있다.
또한, 2액형 도료가 혼합되어 일정하게 밀리면서 헤드를 통하여 공압으로 도포되는 과정에서 도료가 각진 모퉁이에 머무는 데가 없도록 구성되어 도료의 흐름이 매끄럽게 이루어지고 도료 통로 부품의 청소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남아있는 주제와 경화제는 호퍼에서 스크류로 이송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될 염려가 없으므로 덮어서 보관하였다가 다음 작업 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건조가 빠른 도료라 하더라도 부담없이 간편하게 도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희석제와 에어 분사에 의해 스크류에 남아있는 도료를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의 호퍼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의 이송관 및 컨베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는 프레임부(10), 이송관(20), 분무기(30), 에어호스(40), 연결통로관(50), 공압 밸브(51), 이송 호스(60), 구동수단(70), 회전축(80),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100),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10),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120), 제1 교반 임펠러(130), 제2 교반 임펠러(140), 주입 경계판(150), 배출 경계판(160), 제1 고정 호퍼(200), 제1 개폐볼(210), 제1 유동 호퍼(300), 제1 개폐핀(310), 제1 거름망(320), 제1 걸림돌기(330), 제1 리프트봉(340), 제1 탄성부재(350), 제1 연결관 (400), 제1 개폐 밸브(410), 제2 고정 호퍼(500), 제2 개폐볼(510), 제2 유동 호퍼(600), 제2 개폐핀(610), 제2 거름망(620), 제2 걸림돌기(630), 제2 리프트봉(640), 제2 탄성부재(650), 제2 연결관(700), 제2 개폐 밸브(710), 희석제 호퍼(800), 제3 연결관(810), 제3 개폐 밸브(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두 개의 박스가 붙어있는 형태를 가지며, 프레임부(10)의 내부에 각종 호퍼들(200, 300, 500, 600)과 연결관들(400, 700, 810) 및 구동수단(70)이 설치되고 이송관(20)과 에어 호스(40)는 뒤쪽 부분은 프레임부(10) 내부에 위치하고 앞쪽 부분은 프레임부(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앞뒤로 길게 뻗으며 이송관(20)의 전단부에는 이송 호스(60)가 연결되어 길게 뻗고 이송 호스(60)의 전단부에는 분무기(30)가 결합된다. 분무기(30)는 이송 호스(6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일직선으로 길게 뻗는 손잡이부와 맨 앞쪽의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무기(30)의 손잡이부의 맨 뒤에는 공압 레버가 구비되고 분무기(30)의 노즐은 에어 탱크와 연결된 에어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있는 에어 호스(40)와 연결되어 공압 레버를 세우거나 눕혀서 에어 호스(40)로부터 분무기(30) 노즐로의 에어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멈추게 한다.
이송관(20)은 전단면의 중심에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전단부가 앞부분이 뾰족한 원추 형태를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는 파이프 형태의 부재로서, 후단면에는 회전축(8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구동수단(70)은 전기 모터로서 프레임부(10)에 고정 설치되어 이송관(20)의 바로 뒤에 위치한다. 회전축(80)은 구동수단(70)의 모터 축과 결합되어 구동수단(70)이 작동하면 회전하는데, 회전축(80)은 이송관(20)의 후면 구멍을 통해 이송관(20)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이송관(20)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따라 이송관(20) 내부에서 앞뒤로 길게 뻗어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의 이송관(20)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회전축(80)의 뒤쪽 부분에는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100)가, 회전축(80)의 앞쪽 부분에는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120)가,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100)와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80)에는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10)가 결합된다.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100)와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1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주입 경계판(150), 제1 교반 임펠러(130) 및 배출 경계판(160)이 뒤에서부터 앞으로 평행하게 연달아 배치되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120)와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10) 사이 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주입 경계판(150), 제2 교반 임펠러(140) 및 배출 경계판(160)이 뒤에서부터 앞으로 평행하게 연달아 배치된다. 주입 경계판(150)과 배출 경계판(160)은 가장자리가 이송관(20)의 내측벽과 결합하여 고정되고, 제1 및 제2 교반 임펠러(130,140)는 회전축(80)과 결합하여 회전축(80)과 함께 회전한다.
도 3b는 주입 경계판(150), 제2 교반 임펠러(140) 및 배출 경계판(160)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주입 경계판(150)과 배출 경계판(160) 사이의 거리를 과장되게 크게 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약간의 틈새만 있다. 제1 및 제2 교반 임펠러(130,140)에 있는 블레이드들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되 앞으로 가면서 내려가도록 약간 경사지게 구성된다.
주입 경계판(150)은 가장자리부를 따라 대형 구멍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회전축(80)과 인접하는 부분에는 소형 구멍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이에 반해, 배출 경계판(160)은 회전축(80)과 인접하는 중심부에 대형 구멍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는 소형 구멍이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고정 호퍼(200)와 제1 유동 호퍼(3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 고정 호퍼(200)는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깔때기 형태의 하부의 하면 중심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제1 개폐볼(210)이 배출구 위에 올려져서 제1 배출구를 막고 있다. 제1 고정 호퍼(200)의 내부에는 주제가 채워져 있다.
한편, 제1 유동 호퍼(300)가 상부가 제1 고정 호퍼(200)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1 고정 호퍼(200)는 제1 유동 호퍼(300)에 삽입되어 있으며, 제1 유동 호퍼(300)는 제1 탄성부재(350)에 매달려있는 제1 리프트봉(340)에 걸려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유동 호퍼(300)의 외측면의 좌우 양쪽 부분에는 제1 걸림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위에서 볼 때 "U" 자형으로 구부러진 제1 리프트봉(340) 중 일부는 제1 걸림돌기(3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반고리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제1 리프트봉(340)의 양쪽 끝단은 프레임부(100)의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한 쌍의 제1 탄성부재(350)의 한쪽 말단은 제1 리프트봉(340)의 양쪽 끝단부 각각에 결합하고 한 쌍의 제1 탄성부재(350)의 다른 한쪽 말단은 프레임부(100)의 내측벽에 고정 결합되어 있어서 제1 리프트봉(340)이 제1 유동 호퍼(300)를 직접적으로 떠받들고 있으며, 제1 리프트봉(340)은 제1 탄성부재(350)에 매달려 있으므로 결국 제1 유동 호퍼(300)는 제1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350)는 코일 스프링이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유동 호퍼(300)의 하부에는 제1 유동 호퍼(300)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1 거름망(3200)이 제1 유동 호퍼(300)의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제1 고정 호퍼(200)로부터 배출되는 주제는 예외 없이 제1 거름망(320)을 지나도록 구성된다. 제1 거름망(320)의 상면 중심에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느다란 핀인 제1 개폐핀(310)이 고정 설치되며, 제1 유동 호퍼(300)가 상승하면 제1 개폐핀(310)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고정 호퍼(200)의 배출구를 관통하여 제1 개폐볼(210)을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제1 고정 호퍼(200) 및 제1 유동 호퍼(300)의 구성과 제2 고정 호퍼(500) 및 제2 유동 호퍼(600)의 구성은 완전히 동일하며, 제1 고정 호퍼(200) 및 제1 유동 호퍼(300)는 주제를 담고, 제2 고정 호퍼(500) 및 제2 유동 호퍼(600)는 경화제를 담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제2 고정 호퍼(500) 및 제2 유동 호퍼(6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연결관(400)은 제1 유동 호퍼(200)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주제의 통로가 되며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1 개폐 밸브(410)가 구비되고 하단이 이송관(20)의 후방부의 내부 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제2 연결관(700)은 제2 유동 호퍼(200)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주제의 통로가 되며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2 개폐 밸브(710)가 구비되고 하단이 이송관(20)의 후방부의 내부 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된다.
희석제 호퍼(800)는 희석제를 담기 위한 호퍼로서 프레임부(100)에 고정 설치되고, 제3 연결관(810)은 희석제 호퍼(800)와 제2 연결관(700) 사이에 연결되어 희석제 호퍼(800)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제2 연결관(700)으로 유입되는 희석제의 통로가 되며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3 개폐 밸브(820)가 구비된 파이프이다. 에어 호스(40)의 중간 부분과 제3 연결관(810)은 공압 밸브(51)가 구비된 연결통로관(50)에 의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공압 밸브(51)를 절환함에 따라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분무기(30)로 이동되거나 제3 연결관(810)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하나의 프레임부(100)에 여러 개를 설치하여 번갈아 사용하면 더욱 다양한 무늬를 가지는 도장면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무 작업 전에 제1 개폐 밸브(410)와 제2 개폐 밸브(710)는 개방하고 제3 개폐 밸브(820) 및 공압 밸브(51)는 차단한다.
제1 고정 호퍼(200)에 주제를 넣고 제2 고정 호퍼(500)에 경화제를 넣을 때 제1 유동 호퍼(300) 및 제2 유동 호퍼(600)에 내용물이 없거나 내용물이 정량보다 적게 들어있을 때는 제1 및 제2 탄성부재(350,650)의 수축에 의해 제1 및 제2 리프트봉(340,640)이 제1 및 제2 걸림돌기(330,630)를 잡아 올려서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유동 호퍼(300,600)가 상승하여 제1 및 제2 개폐핀(310,610)이 제1 및 제2 개폐볼(210,510)을 밀어올려 제1 및 제2 고정 호퍼(200,500)의 배출구가 개방됨으로써 내용물이 제1 및 제2 유동 호퍼(300,600)로 이송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유동 호퍼(300,600)에 내용물이 정량 공급되면 중량으로 인하여 제2 유동 호퍼(600)가 하강함으로써 도 2a와 같이 제1 및 제2 개폐핀(310,610)이 제1 및 제2 고정 호퍼(200,500)로부터 빠져 나가서 제1 및 제2 개폐볼(210,510)이 폐쇄됨으로써 항상 제1 및 제2 유동 호퍼(300,600) 내의 내용물은 일정량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비율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유동 호퍼(300)에서 배출된 주제는 제1 연결관(400)을 통해 이송관(20) 내부로 유입되어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고, 제2 유동 호퍼(600)에서 배출된 주제는 제2 연결관(700)을 통해 이송관(20) 내부로 유입되어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된다.
주제와 경화제는 주입 경계판(150)의 구멍을 통해 제1 교반 임펠러(130)로 전달되고 제1 교반 임펠러(130)의 고속 회전에 의해 밀려서 배출 경계판(160)의 구멍을 지나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110)로 전달되고 다시 한번 제2 교반 임펠러(140)를 지난 다음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12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교반 작용에 의해 주제와 경화제가 완전히 혼합된다.
혼합된 도료는 이송관(20)을 빠져나와 이송 호스(60)를 지나서 분무기(30)에 도달하며 공압 레버를 작동하여 에어 호스(40)로부터 공기를 분사시켜 분무기 노즐을 통해 도장면으로 도료가 분사된다.
분무 작업이 완료되면 제1 개폐 밸브(410)와 제2 개폐 밸브(710) 및 제3 개폐 밸브(820)를 차단하고, 공압 밸브(51)는 개방하면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에어 호스(40)를 타고 공급되는 에어가 연결통로관(50) 및 제2 연결관(700)을 통해서 이송관(20)의 내부로 분사되어 이송관(20) 내부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분무기(30) 노즐을 통해 분출되어 청소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공압 밸브(51)는 차단하고 희석제 호퍼(800)의 희석제를 배출하기 위해 제3 개폐 밸브(820)를 개방하면 희석제가 제3 연결관(810)을 지나 이송관(20) 내부로 공급되어 스크류의 작용에 의해 희석제가 남아있는 찌꺼기를 완전 세척한다.
그런 후에 다시 한번 제1 개폐 밸브(410)와 제2 개폐 밸브(710) 및 제3 개폐 밸브(820)를 차단하고 공압 밸브(51)는 개방하면 희석제까지 분무기(30) 노즐을 통해 완전히 배출시킴으로써 장치 내부에 불순물이나 찌꺼기가 남아있지 않게 완전히 청소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프레임부 20: 이송관
30: 분무기 40: 에어호스
50: 연결통로관 51: 공압 밸브
60: 이송 호스 70: 구동수단
80: 회전축 100: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
110: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120: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130: 제1 교반 임펠러 140: 제2 교반 임펠러
150: 주입 경계판 160: 배출 경계판
200: 제1 고정 호퍼 210: 제1 개폐볼
300: 제1 유동 호퍼 310: 제1 개폐핀
320: 제1 거름망 330: 제1 걸림돌기
340: 제1 리프트봉 350: 제1 탄성부재
400: 제1 연결관 410: 제1 개폐 밸브
500: 제2 고정 호퍼 510: 제2 개폐볼
600: 제2 유동 호퍼 610: 제2 개폐핀
620: 제2 거름망 630: 제2 걸림돌기
640: 제2 리프트봉 650: 제2 탄성부재
700: 제2 연결관 710: 제2 개폐 밸브
800: 희석제 호퍼 810: 제3 연결관
820: 제3 개폐 밸브

Claims (9)

  1. 저장된 주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주제 호퍼;
    상기 주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주제의 통로가 되는 제1 연결관;
    저장된 경화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경화제 호퍼;
    상기 경화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경화제의 통로가 되는 제2 연결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는 이송관으로서,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가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과 통하도록 연결되고 전단부에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 임펠러;
    후단부가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멍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이송 호스; 및
    상기 이송 호스의 전단부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2. 저장된 주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주제 호퍼;
    상기 주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주제의 통로가 되는 제1 연결관;
    저장된 경화제를 정량 배출하기 위한 경화제 호퍼;
    상기 경화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경화제의 통로가 되는 제2 연결관;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는 이송관으로서,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가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과 통하도록 연결되고 전단부에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이송관의 전방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와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교반 임펠러;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이송관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교반 임펠러;
    후단부가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멍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이송 호스; 및
    상기 이송 호스의 전단부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호퍼는,
    주제를 담기 위한 제1 고정 호퍼;
    상기 제1 고정 호퍼 내부에 위치하여 자중에 의해 가라앉으면 상기 제1 고정 호퍼의 배출구를 폐쇄하는 제1 개폐볼;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상기 제1 고정 호퍼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주제가 채워지면 하방으로 이동하고 주제가 비워지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1 유동 호퍼; 및
    상기 제1 유동 호퍼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동 호퍼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1 고정 호퍼의 배출구를 관통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제1 개폐볼을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1 고정 호퍼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제1 개폐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화제 호퍼는,
    경화제를 담기 위한 제2 고정 호퍼;
    상기 제2 고정 호퍼 내부에 위치하여 자중에 의해 가라앉으면 상기 제2 고정 호퍼의 배출구를 폐쇄하는 제2 개폐볼;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상기 제2 고정 호퍼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경화제가 채워지면 하방으로 이동하고 경화제가 비워지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2 유동 호퍼; 및
    상기 제2 유동 호퍼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동 호퍼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2 고정 호퍼의 배출구를 관통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제2 개폐볼을 밀어냄으로써 상기 제2 고정 호퍼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제2 개폐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 임펠러와 상기 공급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 및 상기 제2 교반 임펠러와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 각각에는 상기 이송관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장자리부에 상대적으로 큰 구멍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주입 경계판; 및
    상기 제1 교반 임펠러와 상기 중간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 및 상기 제2 교반 임펠러와 상기 배출 스크류 컨베이어 사이 각각에는 상기 이송관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심부에 상대적으로 큰 구멍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배출 경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호퍼의 외측면에는 제1 걸림돌기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유동 호퍼의 외측면에는 제2 걸림돌기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힌지 운동이 가능한 제1 리프트봉 및 제2 리프트봉이 인접하는 프레임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1 리프트봉 사이에 결합하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2 리프트봉 사이에 결합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1 유동 호퍼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제1 리프트봉을 눌러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재가 팽창하고, 상기 제1 유동 호퍼 안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가벼워지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리프트봉이 상기 걸림돌기를 들어올려서 상기 제1 유동 호퍼를 상승시키며,
    상기 제2 유동 호퍼가 하강하면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상기 제2 리프트봉을 눌러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2 탄성부재가 팽창하고, 상기 제2 유동 호퍼 안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가벼워지면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리프트봉이 상기 걸림돌기를 들어올려서 상기 제2 유동 호퍼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희석제를 담기 위한 희석제 호퍼; 및
    상기 희석제 호퍼와 상기 제1 연결관 또는 제2 연결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희석제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1 연결관 또는 제2 연결관으로 유입되는 희석제의 통로가 되며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3 개폐 밸브가 구비된 제3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에는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1 개폐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관에는 통로의 개폐를 위한 제2 개폐 밸브가 구비되며,
    에어 컴프레셔 및 상기 분무기를 연결하는 에어 호스의 중간 부분과 상기 제3 연결관 사이에 공압 밸브가 구비된 연결통로관이 구비되어 상기 공압 밸브를 절환함에 따라 상기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분무기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3 연결관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호퍼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위쪽 영역과 아래쪽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가로지르는 제1 거름망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동 호퍼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위쪽 영역과 아래쪽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가로지르는 제2 거름망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개폐핀은 상기 제1 거름망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길게 뻗고, 상기 제2 개폐핀은 상기 거름망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길게 뻗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전단부는 앞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노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KR1020130034020A 2013-03-26 2013-03-26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KR20140117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020A KR20140117236A (ko) 2013-03-26 2013-03-26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020A KR20140117236A (ko) 2013-03-26 2013-03-26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36A true KR20140117236A (ko) 2014-10-07

Family

ID=5199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020A KR20140117236A (ko) 2013-03-26 2013-03-26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723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8977A (zh) * 2021-06-30 2021-10-29 蒋仕明 一种制药用包衣机管道
KR102336935B1 (ko) * 2021-08-25 2021-12-08 전청민 엠보형 미끄럼 방지재 도료분사장치
CN114100907A (zh) * 2021-11-25 2022-03-01 江苏国邦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石墨烯锂电池极片加工装置
CN115121171A (zh) * 2022-06-28 2022-09-30 桐柏泓鑫新材料有限公司 硝酸银结晶前精度控制提浓调节罐
CN117861531A (zh) * 2024-03-11 2024-04-12 奶酪博士(安徽)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斩拌装置
CN115121171B (zh) * 2022-06-28 2024-06-04 桐柏泓鑫新材料有限公司 硝酸银结晶前精度控制提浓调节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8977A (zh) * 2021-06-30 2021-10-29 蒋仕明 一种制药用包衣机管道
CN113558977B (zh) * 2021-06-30 2023-12-08 济川(上海)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制药用包衣机管道
KR102336935B1 (ko) * 2021-08-25 2021-12-08 전청민 엠보형 미끄럼 방지재 도료분사장치
CN114100907A (zh) * 2021-11-25 2022-03-01 江苏国邦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石墨烯锂电池极片加工装置
CN114100907B (zh) * 2021-11-25 2022-07-19 江苏国邦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石墨烯锂电池极片加工装置
CN115121171A (zh) * 2022-06-28 2022-09-30 桐柏泓鑫新材料有限公司 硝酸银结晶前精度控制提浓调节罐
CN115121171B (zh) * 2022-06-28 2024-06-04 桐柏泓鑫新材料有限公司 硝酸银结晶前精度控制提浓调节罐
CN117861531A (zh) * 2024-03-11 2024-04-12 奶酪博士(安徽)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斩拌装置
CN117861531B (zh) * 2024-03-11 2024-06-04 奶酪博士(安徽)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斩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3863A (en) Mixing apparatus
CN108970981B (zh) 一种中药炮制用的辅助加工设备
CN206926083U (zh) 水泥搅拌装置
CN207385354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保温材料搅拌机
US6269978B1 (en) Dispensing and dosing machine for dyestuffs
KR20140117236A (ko)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CN108970435B (zh) 一种环保涂料生产用便于清洗的配比装置
CN106823971A (zh) 分散混合设备及物料分散混合方法
CN110624433A (zh) 搅拌装置及搅拌机器人
EP1603664A1 (en) Mixer with cleaning device
CN107774155A (zh) 用于分散机的搅拌结构
CN212700579U (zh) 一种喷雾干燥设备的送料装置
CN114950234A (zh) 一种便于计量的称重配料混合器及其使用方法
CN211922178U (zh) 一种沥青混合料自动配比搅拌机
CN209287129U (zh) 一种调味酱料混合搅拌装置
CN209323308U (zh) 一种沥青搅拌机
CN112337382A (zh) 金属切削液混合装置
CN209465253U (zh) 一种便于维护的注塑件喷漆装置
CN109208872A (zh) 砂浆喷涂装置
CN207973969U (zh) 一种移动式再生沥青混合料冷搅拌设备
CN218689148U (zh) 一种混合配料装置
CN209275336U (zh) 一种粉料罐
CN109692591A (zh) 一种预混料混合机与成品仓清洗方法
CN219560154U (zh) 一种塑料玩具搪胶用颜料供给装置
KR102510866B1 (ko)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