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600B1 -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600B1
KR102088600B1 KR1020190123190A KR20190123190A KR102088600B1 KR 102088600 B1 KR102088600 B1 KR 102088600B1 KR 1020190123190 A KR1020190123190 A KR 1020190123190A KR 20190123190 A KR20190123190 A KR 20190123190A KR 102088600 B1 KR102088600 B1 KR 10208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lking
joint
module
driving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2019012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and f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06Methods of making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는, 줄눈이 형성된 콘크리트 포장 바닥면에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바퀴를 구비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줄눈에 삽입되어 주행하는 안내휠 및 이 안내휠에 연결되어 줄눈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 및 주행방향을 따라 위치한 줄눈을 향하여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주행경로 확인을 안내하기 위한 줄눈 조준용 레이저포인터 및 이 레이저포인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행 방향에 위치한 줄눈을 실시간 촬영하여 표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경로확인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진 가이드모듈; 상기 가이드모듈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줄눈 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구동회전하는 브러쉬 및 이 브러쉬의 후방에 위치되어 줄눈과 그 주변부의 이물질을 진공압으로 흡입하여 포집 처리하는 흡입부 및 상기 브러쉬와 흡입부를 감싸는 것으로 바닥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청소모듈;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킹을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투입 및 보관하기 위한 제1,2액공급부 및 이들 제1,2액공급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구동원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탱크로 이루어진 코킹공급모듈; 상기 청소모듈의 후방에 위치되어 줄눈의 내부에 액상의 코킹을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 교반탱크에 연결되어 코킹제를 공급받는 주입노즐 및 이 주입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코킹량을 조절하는 코킹조절밸브로 이루어진 코킹충전모듈; 상기 코킹충전모듈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코킹이 주입된 줄눈을 실시간 촬영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충전확인 이미지센서;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주행감지센서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주행속도에 따른 코킹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코킹충전모듈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이탈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이탈 발생시 코킹충전모듈과 청소모듈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공정 자동화에 따른 시공품질을 양호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시공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종전의 수작업에 비해 최소의 작업인력만으로도 단시간에 시공을 마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줄눈 크기 변화에 대한 접착성과 수밀성이 우수한 액상 마감재를 사용하므로 줄눈의 팽창과 수축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Description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Filter Change Typr Oral irrigator}
본 발명은 포장 바닥면의 줄눈재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신수축에 의한 균열이 다방면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줄눈에 대한 시공재 시공작업을 자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균일한 시공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옥상 슬라브나 지하 주차장 또는 도로 등을 포장하는 경우에 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성 포장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을 주재로 혼합한 것으로 양생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물이 차지하고 있던 미세한 공간에 공극이 발생하고, 이렇게 공극이 발생된 콘크리트는 대기의 열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공극으로부터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포장 바닥면에 발생하는 균열은 수분이 유입되어 누수를 비롯하여 구조물에 장해를 일으키는 악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원인이 되므로 콘크리트의 팽창과 수축 조절과 구조물 변형 수용 그리고 부등침하와 진동을 방지하여 균열진행을 일정하게 유도하거나 억제시키기 위한 줄눈을 시공하는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무분별한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된 균열의 방향과 형태를 일정하게 유도하여 구조적인 안정을 도모할 목적으로 격자형의 줄눈이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줄눈은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습식 컷팅 기계나 건식 컷팅 기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면을 가로와 세로로 컷팅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줄눈은 외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작용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 현상을 일정하게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균열이 다방면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균열이 커지는 확장 현상을 방지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내구성 약화를 야기할 수 있는 누수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 슬래브에 작용하는 온도와 응력 변화에 따라 줄눈의 간격 역시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줄눈 사이에는 빗물이나 물청소시 사용되는 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줄눈 마감재가 시공되며, 이러한 줄눈 마감재는 하절기 콘크리트 포장 바닥면의 팽창으로 인하여 줄눈이 좁아지는 경우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동절기 콘크리트 포장 바닥면의 수축 현상으로 인하여 줄눈이 벌어지는 경우에도 유연하여 늘어날 수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 줄눈의 내벽과의 밀착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빗물이나 빗물이나 용수의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줄눈은 시공 후 적절한 줄눈 마감재에 의해 메꾸어짐으로써 마감 처리되는데, 이때의 줄눈 마감재는 크게 줄눈에 삽입 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미리 줄눈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성형 마감재와, 실런트류의 코킹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액상 마감재로 구분되며, 상기 성형 마감재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줄눈의 내벽과의 부착력이 저하되어 성형 마감재가 줄눈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성형 마감재는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미리 제작되는 반면에 콘크리트 포장 바닥면의 줄눈은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도록 시공하기 곤란하여 줄눈에 대한 완벽한 수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마감작업이 어렵고, 줄눈의 형상이 격자 형태나 휘어진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줄눈의 규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으며, 시공 이후에도 콘크리트 포장 바닥면의 수축과 팽창 현상으로 인하여 그 크기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성형 마감재와 줄눈 사이의 틈새를 통한 수분의 침투로 인한 폐단 현상을 야기하며, 특히 염화물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불량하고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성형 마감재가 지닌 단점은 액상 마감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대부분 해소될 수 있으므로, 에폭시, 우렌타, 폴리머 등의 성분으로 갖는 코킹이나 실란트류의 액상 마감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줄눈 시공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3631호에 개시된 ‘콘크리트도로의 줄눈보수시공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줄눈(110) 내부의 실리콘(120)을 제거하는 기존의 실리콘제거단계와, 상기 기존의 실리콘(120)이 제거된 줄눈(110)에 실리콘(120)을 충전하는 실리콘충전단계와, 상기 실리콘(120)이 충전된 줄눈(110) 위에 한지(130)를 커버하는 한지커버단계와, 상기 한지(130) 위로 가압롤러(140)를 롤링시켜 실리콘(120)이 줄눈(110) 내부에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는 가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도로의 줄눈보수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7412호에 개시된 ‘도로포장의 줄눈 시공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줄눈재를 이용하여 도로포장의 줄눈을 시공하는 줄눈 시공방법에 있어서, 끈형으로 형성되어 탄성 회복력에 의해 줄눈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는 줄눈재를 준비하는 줄눈재 준비단계; 상기 줄눈을 따라 줄눈 상에 줄눈재를 위치시킨 다음에 기계 삽입기를 통해 줄눈재를 줄눈 내부로 압입시켜 줄눈재가 중앙을 중심으로 양단이 상향 접혀지도록 줄눈 내부에 삽입하는 줄눈 삽입단계; 상기 줄눈 내에 삽입된 줄눈재의 상부에 실링부재를 도포하는 실링부재 도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계 삽입기는 하단이 줄눈 내부로 삽입가능 하도록 줄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하단의 줄눈재와 접촉하는 지점에는 고정칼날 설치홈이 절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 홈이 인입 형성된 압입봉과; 상기 압입봉의 고정칼날 설치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반형의 고정칼날과; 상기 압입봉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줄눈재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서 줄눈 기준 줄눈재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압입봉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압입봉의 상/하 방향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커버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의 줄눈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1987호에 개시된 ‘벽체의 줄눈 시공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르타르를 수용하며, 상기 모르타르를 하부로 배출하는 모르타르 용기; 상기 모르타르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모르타르를 일방향으로 강제로 배출하는 배출기; 상기 모터, 상기 모르타르 용기 및 상기 배출기를 상부에 탑재하며, 이동이 가능한 카트(Cart); 상기 모르타르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기의 배출구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모르타르를 일 방향의 타단으로 안내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상기 타단과 일단이 결합되며, 작업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가 구성되고, 상기 레베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르타르의 배출을 제어하는 조절 모듈; 및 상기 조절 모듈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 모듈을 통하여 이송된 상기 모르타르를 벽체의 줄눈에 토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토출 피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줄눈 시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줄눈 시공방법은 대부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줄눈 주변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필요시 스프레이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접착제인 프라이머를 줄눈 홈내에 도포한 뒤 코킹제가 충전된 코킹건을 이용하여 줄눈을 따라 일정량 주입하는 방식이어서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숙련도에 따라 시공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인건비 지출에 따른 경제적인 시공이 곤란하고 시공품질이 균일하지 못하여 재시공을 해야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43756호(2019.01.23.) 등록특허공보 제10-1877412호(2018.07.05) 등록특허공보 제10-1928694호(2018.1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줄눈 시공을 위한 액상 마감재를 자동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의 작업인력만으로도 단시간에 시공을 마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균일하고 우수한 시공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는, 줄눈이 형성된 콘크리트 포장 바닥면에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바퀴를 구비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줄눈에 삽입되어 주행하는 안내휠 및 이 안내휠에 연결되어 줄눈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 및 주행방향을 따라 위치한 줄눈을 향하여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주행경로 확인을 안내하기 위한 줄눈 조준용 레이저포인터 및 이 레이저포인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행 방향에 위치한 줄눈을 실시간 촬영하여 표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경로확인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진 가이드모듈; 상기 가이드모듈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줄눈 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구동회전하는 브러쉬 및 이 브러쉬의 후방에 위치되어 줄눈과 그 주변부의 이물질을 진공압으로 흡입하여 포집 처리하는 흡입부 및 상기 브러쉬와 흡입부를 감싸는 것으로 바닥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청소모듈;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킹을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투입 및 보관하기 위한 제1,2액공급부 및 이들 제1,2액공급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구동원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탱크로 이루어진 코킹공급모듈; 상기 청소모듈의 후방에 위치되어 줄눈의 내부에 액상의 코킹을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 교반탱크에 연결되어 코킹제를 공급받는 주입노즐 및 이 주입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코킹량을 조절하는 코킹조절밸브로 이루어진 코킹충전모듈; 상기 코킹충전모듈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코킹이 주입된 줄눈을 실시간 촬영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충전확인 이미지센서;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주행감지센서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주행속도에 따른 코킹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코킹충전모듈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이탈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이탈 발생시 코킹충전모듈과 청소모듈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이동대차는 상면이 평탄하고 하부에 복수의 바퀴가 구비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 작업자가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수직하게 돌출된 손잡이 및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에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또는 엔진 중 어느 하나로 된 주행구동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청소모듈과 코킹충전모듈 사이에는 상기 줄눈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100℃~150℃로 가열하는 열선이 감겨진 히터팁을 구비한 제습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청소모듈은 합성수지사 또는 금속사로 된 복수의 기모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줄눈 내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에 연결되어 구동 회전시키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성하는 브러쉬모터; 상기 이동대차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공압을 생성하는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의 일측에 구비되어 브러쉬 주변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이동대차의 전방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휠브라켓트; 상기 휠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줄눈에 삽입되어 구름회전하는 안내휠; 상기 휠브라켓트의 일단에 설치되어 안내휠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상기 줄눈에서의 이탈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코킹공급모듈은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킹제를 구성하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투입 및 보관하기 위한 제1액공급부와 제2액공급부; 상기 제1,2액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들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상기 코킹충전모듈에 액상의 코킹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교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공정 자동화에 따른 시공품질을 양호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시공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종전의 수작업에 비해 최소의 작업인력만으로도 단시간에 시공을 마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줄눈 크기 변화에 대한 접착성과 수밀성이 우수한 액상 마감재를 사용하므로 줄눈의 팽창과 수축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줄눈이 형성된 포장 바닥면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에서 가이드모듈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에서 청소모듈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에서 컨트롤러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줄눈 시공을 위한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판(11)과 손잡이(13) 그리고 주행구동원(19)을 구비한 이동대차(10)와, 이 이동대차(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줄눈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 및 감시하기 위한 가이드모듈(20)과, 상기 이동대차(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줄눈에 주입하기 위한 코킹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투입 및 보관하기 위한 제1,2액공급부(51,52) 및 이들 제1,2액공급부(51,52)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교반하는 교반탱크(53)로 이루어진 코킹공급모듈(50)과, 작업자로부터 조작력을 받는 조작부(15) 및 전장품의 동작상태와 위험 경고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로 이루어진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에는 지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11c)를 구비한 베이스판(11) 및 이 베이스판(11)의 일측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13) 그리고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버튼과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부(15) 및 여러 전장품의 동작 상태를 화면과 음향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17) 및 주행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주행구동원(19)으로 구성된 이동대차(10)와, 상기 이동대차(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줄눈(100)에 삽입되어 주행하는 안내휠(21) 및 이 안내휠(21)이 줄눈(100)에서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23) 및 줄눈(100)을 향해 레이저 빛을 조사하여 작업자가 주행경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줄눈조준 레이저포인터(25) 및 이 줄눈조준 레이저포인터(25)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주변부를 영상촬영하여 실시간 표시부(17)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경로확인 이미지센서(27)로 이루어진 가이드모듈(20)과, 상기 가이드모듈(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줄눈(100)내에 삽입되어 구동회전하는 브러쉬(31)및 이 브러쉬(31)에 의해 탈락된 이물질과 부유하는 이물질을 진공흡입압을 이용하여 포집 처리하는 흡입부(33) 그리고 이들 브러쉬(31)와 흡입부(33)를 감싸는 하우징(35)으로 이루어진 청소모듈(30)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킹을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분리 보관하는 제1,2액공급부(51,52) 및 이들 제1,2액공급부(51,52)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균일하게 혼합하는 교반탱크(53)로 이루어진 코킹공급모듈(50)과, 상기 코킹충전모듈(40)에 연결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코킹을 공급받아 줄눈에 토출하는 것으로 주입노즐(41)을 구비한 코킹충전모듈(40)과, 이 코킹충전모듈(4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코킹이 주입된 줄눈(100)을 촬영하여 표시부(17)를 통해 실시간 화면출력하는 충전확인 이미지센서(45) 끝으로 각종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주행속도에 따른 코킹의 토출량을 제어와 이탈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이탈시 코킹충전모듈(40)과 청소모듈(30)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컨트롤러(60)로 구성된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형성된 줄눈(100)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이동대차(10)와, 상기 이동대차(10)의 전방 일측에 제공되어 줄눈(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휠(21)과 이탈감지센서(23)를 구비한 휠브라켓트(22)로 이루어진 가이드모듈(20)과, 상기 이동대차(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코킹을 형성하기 위한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보관하기 위한 제1,2액공급부(51,52) 및 상기 이동대차(10)의 후방측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13) 그리고 각 전장품의 동작상태나 영상정보를 화면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17)로 이루어진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에서 가이드모듈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가이드모듈(20)을 구성하는 안내휠(21)이 줄눈(10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의 상기 안내휠(21)은 줄눈(10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주행할 수 있도록 폭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에서 양측으로 진행하면서 지름이 증가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에서 청소모듈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설명을 위해 청소모듈(30)을 뒤집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합성수지사 또는 금속사로 된 복수의 기모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 줄눈(100)에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줄눈(100)내의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브러쉬(31)와, 이 브러쉬(31)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쉬모터(42) 그리고 이 브러쉬(31)에 일측에 구비되어 브러쉬모터(42)에 의해 탈락된 이물질과 부유먼지 등을 흡입하여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흡입을 생성하는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된 흡입부(33)와, 상기 브러쉬(31)와 흡입부(33)를 감싸도록 구비된 일종의 덮개 요소로,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하우징(35)으로 이루어진 청소모듈(30)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에서 컨트롤러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는, 주행속도센서(61), 경로확인 이미지센서(27), 충전확인 이미지센서(45), 이탈감지센서(23)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6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상기 컨트롤러(60)는 표시부(17)와, 주행구동원(19)과 청소모듈(30) 그리고 코킹충전모듈(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구성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청소모듈(30)과 코킹충전모듈(40) 사이에 설치되어 줄눈(100)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히터팁(미도시)를 구비한 제어모듈(50)을 포함하는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1)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대차(10)와, 상기 이동대차(1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이동대차(10)의 주행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모듈(20)과, 상기 이동대차(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줄눈(100)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모듈(30)과, 상기 청소모듈(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청소된 줄눈(100) 내에 코킹을 주입하기 위한 코킹충전모듈(40)과, 상기 이동대차(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킹충전모듈(40)에 코킹을 공급하기 위한 코킹공급모듈(50)과, 코킹이 주입된 줄눈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기 위한 충전확인 이미지센서(45) 그리고 여러 센서를 통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각 전장품에 대한 동작을 제어 처리하기 위한 컨트롤러(60)로 구성된다.
이동대차(10)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형성된 줄눈(10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상면이 평탄하고 하부에 복수의 바퀴(11c)가 구비된 베이스판(11)과, 이 베이스판(11)의 상부 일측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13) 그리고 각종 조작을 위한 조작부(15) 및 동작 상태를 화면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 끝으로 주행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주행구동원(19)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콘크리트 바닥면에 구름접촉되는 네 개의 바퀴(11c)가 구비되며, 이들 복수개의 바퀴(11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행구동원(19)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받아 구동회전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주행구동원은 모터 또는 엔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제안하며, 이러한 모터 구동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손잡이(13)는 상기 이동대차(10)의 후방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제안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작업자가 이동대차(10)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위치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손잡이(13)는 상기 베이스판(11)에 대해 접히거나 펼칠 수 있도록 힌지(12)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15)는 상기 베이스판(11)에 설치되는 가이드모듈(20)과, 코킹충전모듈(40) 코킹공급모듈(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요소로, 복수의 버튼이나 스위치 또는 화면터치패널 등 공지의 다양한 입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는 동작 상태를 화면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경고음이나 동작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의 모니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표시부(17)는 경로확인 이미지센서(27)를 통해 촬영되는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충전확인 이미지센서(45)를 통해 코킹의 충전 상태를 촬영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가이드모듈(20)과 코킹충전모듈(40) 그리고 코킹공급모듈(50)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화면과 음향으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표시부(17)는 후술할 컨트롤러(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주행구동원(19)은 주행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이러한 주행구동원(19)은 상기 이동대차(10)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전,후진 또는 주행속도를 조작하기 위하여 손잡이(13)에 주행용 레버 및 브레이크 레버 등이 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가이드모듈(20)은 상기 이동대차(10)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대차가 코킹 주입을 위해 정확한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요소로서, 안내휠(21)과 이탈감지센서(23) 그리고 줄눈조준 레이저포인터(25) 및 경로확인 이미지센서(27)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휠(21)은 줄눈(100)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주행할 수 있도록 된 폭이 좁은 바퀴의 일종이다. 이러한 안내휠(21)은 상기 줄눈(100)에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에서 양측으로 진행하면서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휠브라켓트(2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휠브라켓트(22)는 일단이 상기 이동대차(10)의 전방 일측에 연결 지지되고, 타단은 이동대차(10)의 전방측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형태로 그 끝단에 상기 안내휠(21)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휠브라켓트(22)는 일단에 상기 안내휠(21)이 줄눈(100)에서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탈감지센서(23)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이탈감지센서(23)는 상기 안내휠(21)이 구비된 휠브라켓트(22)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이탈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변위량 측정센서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에서의 이탈감지센서(23)는 상기 안내휠(21)이 줄눈(100)에서 이탈되어 지면으로 올라가는 경우 높낮이에 변화가 발생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안내휠(21)이 줄눈(100)에서의 이탈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줄눈조준 레이저포인터(25)는 작업자가 이동대차(10)를 전진 이동시킬 때 줄눈(100)을 따라 정확하게 주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소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줄눈조준 레이저포인터(25)는 공지의 레이저 포인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이동대차(10)의 앞쪽 부분에 위치한 코킹 삽입을 위한 줄눈(100) 부분에 레이저 포인터가 위치되는 경우 정확한 경로상에 위치된 것이며, 만약 레이저 포인터가 줄눈(100)에서 벗어난 경우라면 경로에서 이탈된 것이다.
상기 경로확인 이미지센서(27)는 상기 줄눈조준 레이저포인터(25)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행 방향에 위치한 줄눈(100)을 실시간 촬영하여 이를 손잡이(13)의 일측에 마련된 표시부(17)를 통해 실시간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동대차(10)의 주행 경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경로확인 이미지센서(27)는 공지의 카메라모듈이 사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청소모듈(30)은 줄눈(100)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브러쉬(31) 및 이 브러쉬(31)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 처리하는 흡입부(33) 그리고 이들 브러쉬(31)와 흡입부(33)를 커버하는 덮개 요소인 하우징(35)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러쉬(31)는 줄눈(100)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구동 회전함으로써 줄눈(100) 내에 있는 이물질이나 먼지 또는 줄눈(100)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떼어내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사 또는 금속사로 된 복수의 기모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브러쉬(3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브러쉬모터(4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성이다.
상기 흡입부(33)는 상기 브러쉬(31)의 후방에 위치되어 줄눈(100)과 그 주변부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진공압으로 흡입하여 포집 처리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흡입부(33)는 이동대차(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공압을 생성하는 진공펌프(미도시)와,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 처리하기 위한 포집통(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구성은 진공청소기의 원리와 동일하므로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35)은 사익 브러쉬(31)와 흡입부(33)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된 일종의 커버 요소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줄눈(100)가 그 주변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지면을 향한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즉, 하우징(35)은 그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며, 지면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킹공급모듈(50)은 상기 이동대차(10)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킹을 형성하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보관하기 위한 제1,2액공급부(51,52) 및 이들 제1,2액공급부(51,52)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혼합 하기 위한 교반탱크(53)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액공급부(51,52)는 상기 이동대차(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킹을 구성하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투입 및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제1,2액공급부(51,52)는 주제와 경화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인 제1,2액주입구(51a,52a)가 상부에 마련되고, 이들 제1,2액주입구(51a,52a)의 하부에는 주입된 주제와 경화제를 보관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2액탱크(51b,52b)가 위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교반탱크(53)는 상기 제1,2액공급부(51,52)의 하부에 위치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공급받도록 연결되는 구성이며, 그 내부에는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날개(56)를 구비하며, 이때의 상기 교반날개(56)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교반구동원(5 5)에 연결되어 구동 회전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교반탱크(53)는 후술할 코킹충전모듈(40)에 혼합된 코킹을 공급하도록 배관 연결되는 구성이다.
코킹충전모듈(40)은 상기 청소모듈(30)의 후방에 위치되어 줄눈(100)의 내부에 액상의 코킹을 주입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코킹충전모듈(40)은 줄눈(100)에 코킹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노즐(41)과, 이 주입노즐(41)을 통해 토출되는 코킹량을 조절하기 위한 코킹조절밸브(43)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노즐(41)은 상기 액상의 코킹을 줄눈(100)에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그 끝단부가 줄눈(100)에 일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킹조절밸브(43)는 상기 주입노즐(41)과 상기 코킹공급모듈(50)을 구성하는 교반탱크(5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주입노즐(41)을 통해 토출되는 코킹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동 조절밸브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전기신호에 의해 밸브개폐량 조절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타입의 밸브가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코킹조절밸브(43)는 후술할 컨트롤러(6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이동대차(10)의 주행속도에 따라 적정량의 코킹이 주입노즐(41)을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충전확인 이미지센서(45)는 상기 코킹충전모듈(4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노즐(41)을 통해 코킹이 주입된 줄눈(100)을 실시간 촬영하여 상기 표시부(17)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것으로, 작업자는 상기 충전확인 이미지센서(45)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판단하여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확인 이미지센서(45)는 공지의 촬상소자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컨트롤러(60)는 상기 이동대차(10)의 주행속도에 따라 적정량의 코킹이 주입노즐(41)을 통해 주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이외에도 상기 이동대차(10)가 주행경로에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주입노즐(41)을 통해 코킹이 토출되지 않도록 단속함과 아울러 청소모듈(30)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단속 제어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컨트롤러(60)는 본 발명에서 이동대차(10)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주행속도센서(61)에 연결되어 속도신호를 실시간 인가받으며, 속도에 따라 줄눈(100)에 최적의 코킹량이 주입될 수 있도록 코킹충전모듈(40)을 구성하는 코킹조절밸브(43)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이동대차(10)의 주행 속도가 빠른 경우 상기 코킹조절밸브(43)의 개방량을 늘려 많은 량의 코킹이 주입노즐(41)을 통해 줄눈(1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이동대차(10)의 주행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상기 코킹조절밸브(43)의 개방량을 감소시켜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코킹이 상기 주입노즐(41)을 통해 줄눈(1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이동대차(10)의 주행속도에 따른 줄눈(100)에 대한 코킹 주입량은 기 설정된 값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컨트롤러(60)는 상기 이탈감지센서(23)로부터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이를 기초로 코킹충전모듈(40)과 청소모듈(30)에 동작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탈감지센서(23)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이동대차(10)가 주행경로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주입노즐(41)을 통해 코킹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동작을 중단하도록 코킹조절밸브(43)에 중지신호를 인가하고, 아울러 상기 청소모듈(30)을 구성하는 브러쉬모터(42)와 흡입부(33) 역시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청소모듈(30)과 코킹충전모듈(40) 사이에는 상기 줄눈(100)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100℃~150℃로 가열하는 열선이 감겨진 히터팁을 구비한 제습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습모듈(70)은 줄눈(100) 내에 습기나 물기가 존재하는 경우 코킹의 물성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온의 열로 제거하기 위한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고온으로 가열하는 히터팁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온의 열풍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대차(10)를 시공 현장으로 이동시킨 뒤 가이드모듈(20)을 구성하는 안내휠(21)을 줄눈(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이어서 청소모듈(30)과 코킹충전모듈(40) 및 코킹공급모듈(50)을 동작시키면 상기 청소모듈(30)은 줄눈(100)내의 이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하게 되고, 상기 코킹공급모듈(50)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코킹충전모듈(40)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코킹충전모듈(40)은 공급받은 코킹을 코킹조절밸브(43)와 주입노즐(41)을 경유하여 줄눈(100) 내부로 충전하게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모듈(20)은 안내휠(21)이 줄눈(100) 내에 위치한 상태로 주행을 하게 되며, 상기 이동대차(10)의 전방측에 설치된 줄눈조준 레이저포인터(25)는 줄눈을 조준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생성하게 된다. 작업자는 레이저 포인터의 위치가 줄눈을 따라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대차(10)가 정확한 경로로 주행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적인 수단으로 경로확인 이미지센서(27)를 안내휠(21)과 레이저 포인터를 표시부(17)를 통해 영상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코킹이 충전된 줄눈(100)은 주입노즐(41)의 후방측에 설치된 충전확인 이미지센서(45)를 통해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줄눈(100)의 충전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대차(10)가 주행 경로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안내휠(21)이 줄눈(100)에서 이탈된 것이므로 이탈감지센서(23)를 통해 컨트롤러(60)가 이탈감지정보를 인가받으며, 상기 컨트롤러(60)는 코킹충전모듈(40)의 동작을 중단하여 주입노즐(41)을 통해 코킹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이동대차(10)가 주행경로에서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상기 청소모듈(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중단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10 : 이동대차 11 : 베이스판
11c : 바퀴 12 : 힌지부
13 : 손잡이 15 : 조작부
17 : 표시부 19 : 주행구동원
20 : 가이드모듈 21 : 안내휠
22 : 휠라켓트 23 : 이탈감지센서
25 : 조준용 레이저포인터 27 : 경로확인 이미지센서
30 : 청소모듈 31 : 브러쉬
32 : 브러쉬모터 33 : 흡입부
35 : 하우징 40 : 코킹충전모듈
41 : 주입노즐 43 : 코킹조절밸브
45 : 충전확인 이미지센서 50 : 코킹공급모듈
51 : 제1액공급부 51a : 제1액주입구
51b : 제1액탱크 52 : 제2액공급부
52a : 제2액주입구 52b : 제2액탱크
53 : 교반탱크 55 : 교반구동원
56 : 교반날개 60 : 컨트롤러
61 : 주행속도센서 100 : 줄눈

Claims (5)

  1. 상면이 평탄하고 하부에는 줄눈이 형성된 콘크리트 포장 바닥면에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바퀴를 구비한 베이스판 및 이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 작업자가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수직하게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줄눈에 삽입되어 주행하는 안내휠 및 이 안내휠에 연결되어 줄눈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 및 주행방향을 따라 위치한 줄눈을 향하여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주행경로 확인을 안내하기 위한 줄눈 조준용 레이저포인터 및 이 레이저포인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행 방향에 위치한 줄눈을 실시간 촬영하여 표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경로확인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진 가이드모듈;
    상기 가이드모듈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줄눈 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구동회전하는 브러쉬 및 이 브러쉬의 후방에 위치되어 줄눈과 그 주변부의 이물질을 진공압으로 흡입하여 포집 처리하는 흡입부 및 상기 브러쉬와 흡입부를 감싸는 것으로 바닥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청소모듈;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킹을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투입 및 보관하기 위한 제1,2액공급부 및 이들 제1,2액공급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아 구동원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탱크로 이루어진 코킹공급모듈;
    상기 청소모듈의 후방에 위치되어 줄눈의 내부에 액상의 코킹을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 교반탱크에 연결되어 코킹제를 공급받는 주입노즐 및 이 주입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코킹량을 조절하는 코킹조절밸브로 이루어진 코킹충전모듈;
    상기 코킹충전모듈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코킹이 주입된 줄눈을 실시간 촬영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화면 출력하는 충전확인 이미지센서;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주행감지센서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주행속도에 따른 코킹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코킹충전모듈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이탈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이탈 발생시 코킹충전모듈과 청소모듈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
    상기 청소모듈과 코킹충전모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줄눈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100℃~150℃로 가열하는 열선이 감겨진 히터팁을 구비한 제습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에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또는 엔진 중 어느 하나로 된 주행구동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합성수지사 또는 금속사로 된 복수의 기모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줄눈 내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에 연결되어 구동 회전시키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성하는 브러쉬모터;
    상기 이동대차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진공압을 생성하는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의 일측에 구비되어 브러쉬 주변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이동대차의 전방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휠브라켓트;
    상기 휠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줄눈에 삽입되어 구름회전하는 안내휠;
    상기 휠브라켓트의 일단에 설치되어 안내휠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상기 줄눈에서의 이탈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공급모듈은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킹제를 구성하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투입 및 보관하기 위한 제1액공급부와 제2액공급부;
    상기 제1,2액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들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상기 코킹충전모듈에 액상의 코킹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교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KR1020190123190A 2019-10-04 2019-10-04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KR10208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190A KR102088600B1 (ko) 2019-10-04 2019-10-04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190A KR102088600B1 (ko) 2019-10-04 2019-10-04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600B1 true KR102088600B1 (ko) 2020-03-12

Family

ID=6980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190A KR102088600B1 (ko) 2019-10-04 2019-10-04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60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5137A (zh) * 2020-05-09 2020-08-14 刘阳红 一种竹纤维材料路面修复装置
CN111576166A (zh) * 2020-05-07 2020-08-25 东莞电建水环境治理技术有限公司 城市道路修复设备及修复方法
CN111794474A (zh) * 2020-08-05 2020-10-20 刘战军 一种瓷砖填缝装置
CN111997321A (zh) * 2020-08-26 2020-11-27 董荣宝 一种地面和墙角双用的瓷砖胶填充装置
CN112227661A (zh) * 2020-10-09 2021-01-15 刘凤江 一种自动美缝机
KR102380581B1 (ko) * 2021-08-04 2022-04-01 (주)세움특수건설 수지몰탈용 스프레드 포설장치
CN114737732A (zh) * 2022-03-11 2022-07-12 黄政兴 一种基于建筑施工的地表瓷板自动美缝机
KR20220144165A (ko) * 2021-04-19 2022-10-26 김동수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US11761158B2 (en) * 2021-09-30 2023-09-19 Pasquale J Baldi Vehicle based joint sealing system
CN117365066A (zh) * 2023-12-07 2024-01-09 爵氏(山东)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用美缝剂自动填涂机
CN117386108A (zh) * 2023-12-13 2024-01-12 德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地面砂浆的铺设装置及其铺设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070A (ko) * 2007-04-30 2008-11-04 박창순 콘크리트 성형줄눈용 채움재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090094915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시그마하이텍 도로용 컷팅기
KR20110045501A (ko) * 2009-10-27 2011-05-04 윤정근 전자 제어식 자동 차선도색장치
KR101363049B1 (ko) * 2013-11-13 2014-02-17 홍성필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활주로의 줄눈 보수 방법
KR101473169B1 (ko) * 2014-04-16 2014-12-16 (유)세윤건설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877412B1 (ko) 2017-11-28 2018-07-11 (주)명덕건설 도로포장의 줄눈 시공방법
KR101928694B1 (ko) 2018-03-05 2018-12-12 강정수 성형 줄눈재의 접합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943756B1 (ko) 2017-11-15 2019-01-30 주식회사 지엔지건설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성형 줄눈재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070A (ko) * 2007-04-30 2008-11-04 박창순 콘크리트 성형줄눈용 채움재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090094915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시그마하이텍 도로용 컷팅기
KR20110045501A (ko) * 2009-10-27 2011-05-04 윤정근 전자 제어식 자동 차선도색장치
KR101363049B1 (ko) * 2013-11-13 2014-02-17 홍성필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활주로의 줄눈 보수 방법
KR101473169B1 (ko) * 2014-04-16 2014-12-16 (유)세윤건설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943756B1 (ko) 2017-11-15 2019-01-30 주식회사 지엔지건설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성형 줄눈재 삽입장치
KR101877412B1 (ko) 2017-11-28 2018-07-11 (주)명덕건설 도로포장의 줄눈 시공방법
KR101928694B1 (ko) 2018-03-05 2018-12-12 강정수 성형 줄눈재의 접합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6166A (zh) * 2020-05-07 2020-08-25 东莞电建水环境治理技术有限公司 城市道路修复设备及修复方法
CN111535137A (zh) * 2020-05-09 2020-08-14 刘阳红 一种竹纤维材料路面修复装置
CN111794474A (zh) * 2020-08-05 2020-10-20 刘战军 一种瓷砖填缝装置
CN111997321A (zh) * 2020-08-26 2020-11-27 董荣宝 一种地面和墙角双用的瓷砖胶填充装置
CN112227661A (zh) * 2020-10-09 2021-01-15 刘凤江 一种自动美缝机
CN112227661B (zh) * 2020-10-09 2021-11-30 广东派的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美缝机
KR20220144165A (ko) * 2021-04-19 2022-10-26 김동수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KR102510866B1 (ko) * 2021-04-19 2023-03-16 김동수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KR102380581B1 (ko) * 2021-08-04 2022-04-01 (주)세움특수건설 수지몰탈용 스프레드 포설장치
US11761158B2 (en) * 2021-09-30 2023-09-19 Pasquale J Baldi Vehicle based joint sealing system
CN114737732A (zh) * 2022-03-11 2022-07-12 黄政兴 一种基于建筑施工的地表瓷板自动美缝机
CN114737732B (zh) * 2022-03-11 2024-03-26 广东龙创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建筑施工的地表瓷板自动美缝机
CN117365066A (zh) * 2023-12-07 2024-01-09 爵氏(山东)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用美缝剂自动填涂机
CN117365066B (zh) * 2023-12-07 2024-03-15 爵氏(山东)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用美缝剂自动填涂机
CN117386108A (zh) * 2023-12-13 2024-01-12 德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地面砂浆的铺设装置及其铺设方法
CN117386108B (zh) * 2023-12-13 2024-03-12 德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地面砂浆的铺设装置及其铺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600B1 (ko)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CA235283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cracks in roads
US20160032540A1 (en) Method and appratus for scanning and repairing road damage
KR101334516B1 (ko) 도로면 훼손부위 보수장치
KR101363049B1 (ko)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활주로의 줄눈 보수 방법
KR200454650Y1 (ko)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100358587B1 (ko) 약제 분사에 의한 상하수도 비굴착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JP2021147944A (ja) コンクリート養生用散水装置
KR102251019B1 (ko) 포장도로 균열 보수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 균열 보수 방법
CN106835913A (zh) 一种桁架式混凝土道路筑路及道路标线喷涂一体机
KR20160001764A (ko) 도로보수 자동화장치
CN209052987U (zh) 一种公路标识热熔标线机
CN112854690B (zh) 一种砌体灰缝标准化施工装置及使用方法
KR101319394B1 (ko) 줄눈부 보수용 진공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줄눈부 보수공법
KR101935402B1 (ko) 관로 보수 방법
CN106835914B (zh) 一种自动纠偏混凝土道路摊铺及道路标线机
CN104330047B (zh) 一种沥青混合料表面构造深度测试仪及其测试方法
KR20210061238A (ko) 맨홀 내부 보수 장치 및 맨홀 내부 보수 방법
KR100862922B1 (ko)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JP2023145277A (ja) 舗装路面補修装置
CN212561051U (zh) 一种侧石与平石的缝隙填充装置
CN111021176B (zh) 一种园林道路施工方法
CN113062624A (zh) 一种瓷砖空鼓修补方法及工具
CN111364332A (zh) 一种侧石与平石的缝隙填充装置
TWM485912U (zh) 自動畫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