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650Y1 -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650Y1
KR200454650Y1 KR2020090003487U KR20090003487U KR200454650Y1 KR 200454650 Y1 KR200454650 Y1 KR 200454650Y1 KR 2020090003487 U KR2020090003487 U KR 2020090003487U KR 20090003487 U KR20090003487 U KR 20090003487U KR 200454650 Y1 KR200454650 Y1 KR 200454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n
temperature
unit
heater uni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760U (ko
Inventor
우시언
정동진
허명선
안세천
전용덕
신운철
Original Assignee
신운철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운철,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filed Critical 신운철
Priority to KR2020090003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6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7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6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B28C5/466Heating, e.g. using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가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아스콘을 저장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유로; 상기 히터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적재부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아스콘을 배출시키는 아스콘 배출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아스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아스콘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배출구의 끝단부에 구비된 제2센서; 및 상기 제1·제2센서의 감지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가 보상되어 배출되는 상기 아스콘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기 위한 추가적인 열을 상기 히터부가 더 발생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아스콘을 일정 온도로 유지한 상태로 시공 현장까지 수용 이송이 가능하고, 수용된 아스콘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에도 수용부 내의 아스콘의 온도 및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아스콘의 온도를 각각 감지한 후, 그 감지값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적인 열을 상기 히터부가 더 발생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함으로써, 아스콘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주위에 열을 빼앗겨 적정 온도보다 낮아지더라도 배출되는 아스콘이 시공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R2020090003487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온도 유지

Description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Movable apparatus for storing asphalt concrete}
본 고안은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스콘을 수용한 상태로 시공 현장까지 이동이 가능하고, 수용된 아스콘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아스콘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에도 적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아스콘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사용되고 있는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 이하 '아스콘'이라고 한다)는 탄화수소이며 아스팔틴이라는 고체성분이 마르틴이라는 유상성분 속에 분산된 흑색의 혼합물로서, 그 종류에 따라 도로포장용과 공항포장용으로 사용하거나, 포장 또는 건축분야의 방수가공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는, 도로포장용이나 공항포장용 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에 모래, 석분, 파쇄석, 자갈 등의 골재를 혼합한 것을 아스콘이라고 한다.
이러한 아스콘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석, 모래, 돌가루, 및 자갈과 같은 골재를 담고 있는 골재함(10)으로부터 투입되는 골재를 벨트(20)를 통해 드라이어(30)의 내부로 이송시킨 후, 오일버너(40)를 통해 드라이어(30) 내부에 충진된 골재를 가열한다. 그리고, 오일버너(40)에 의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유해가스들은 공기배출장치(45)와 집진장치(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드라이어(30) 내에서 가열된 골재들은 이송용 엘리베이터(80)에 의해 스크린(50)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스크린(50)에서 크기별로 분류된 후, 하강하여 믹서기(60)로 이동된다. 이 믹서기(60) 내부에서 충진재타워(70)로부터 충진되는 각종 미세 충진재 및 아스팔트와 혼합되어 아스콘을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아스콘은 믹서기(60)의 하부에서 대기하고 있는 아스콘 운반차량에 채워진 후 현장으로 옮겨진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아스콘을 운반하는 차량은 덤프트럭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이 운반차량에 적재되는 아스콘의 온도는 약 180℃내지 200℃의 고온상태로 적재되어 시공 현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상부가 개방된 운반차량에 적재된 아스콘을 현장으로 이동하는 시간과 현장에서 작업하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아스콘의 온도는 점점 낮아지며, 도로포장용이나 공항포장용에 사용되는 아스콘의 적정한 온도인 약 150℃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로포장을 하는 현장에서는 현저하게 낮아진 아스콘을 사용할 때, 바닥에 하차된 아스콘을 믹싱기로 평탄화하는 작업을 더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미 포장되어 있는 도로 일부분의 파손된 부분을 보수하거나, 맨홀이 매설되는 그 주위의 포장작업을 할 때는 온도가 낮아진 아스콘을 사용하기에 매 우 불리하다. 특히, 맨홀 주위를 보강하는 포장 작업의 경우 수 km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으므로, 이동시간을 포함하여 장시간이 소요된다.
그런데, 이렇게 장시간에 걸친 도로의 보수/보강작업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온도가 낮아진 아스콘의 일부분이 굳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 시간이 경과된 현장에서는 굳어진 아스콘을 사용할 수 없으며, 굳어진 아스콘이 소량일 경우 도로의 일측에 버려지는 환경오염의 문제점도 동반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서 아스콘을 운반하는 방식으로 덤프트럭을 이용하였으므로, 이 트럭에 저장된 아스콘을 현장 작업에서 출하할 경우 굴삭기로 소정량을 빼내거나, 작업자들이 삽을 이용하여 적정량을 출하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스콘을 일정 온도로 유지한 상태로 간편하게 시공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고, 수용된 아스콘이 시공을 위해 배출되더라도 배출된 아스콘의 온도를 시공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는,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가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아스콘을 저장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일측에 설 치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유로; 상기 히터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적재부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아스콘을 배출시키는 아스콘 배출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아스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아스콘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배출구의 끝단부에 구비된 제2센서; 및 상기 제1·제2센서의 감지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가 보상되어 배출되는 상기 아스콘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기 위한 추가적인 열을 상기 히터부가 더 발생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는, 상기 적재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스콘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전에, 상기 히터부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열의 양이 상기 제3센서의 측정값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우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스콘 배출부의 작동값 또는 작동 예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히터부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열의 양이 상기 아스콘 배출부에 의한 상기 아스콘의 배출 속도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에 의하면, 아스콘을 저장할 수 있는 적재부에 히터부에 의한 가열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아스콘이 시공 현장으로 간편하게 이송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현장에서 시공이 이루어지는 장시간 동안 아스콘을 적재부에 일정 고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의 수용부 내에 아스콘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에도, 수용부 내에 설치된 제1센서 및 배출구의 끝단부에 설치된 제2센서를 통해 수용부 내의 아스콘의 온도 및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아스콘의 온도를 각각 감지한 후, 그 감지값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적인 열을 상기 히터부가 더 발생하도록 히터부를 제어함으로써, 아스콘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주위에 열을 빼앗겨 적정 온도보다 낮아지더라도 배출되는 아스콘이 시공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아스콘의 온도를 확인하기 전, 즉 아스콘의 배출이 시작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도,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센서의 측정값에 반비례하는 추가적인 열을 히터부가 발생하도록 히터부를 제어하여, 현장의 기온 변화에 관계없이 시공에 적절한 온도의 아스콘이 배출 시작 시점부터 바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현장까지의 아스콘의 이송 거리가 먼 경우, 계절변화에 따라 현장의 기온이 매우 낮거나 높은 경우, 시공 시간이 길어지는 맨홀 보수시공의 경우 등에도 시공에 적절한 온도를 갖는 아스콘을 항상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 현장에 공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 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는 아스콘 제조장치로부터 제조된 아스콘(A)을 저장하는 적재부(100)가 구비된다. 이 적재부(100)는 수용부(110)와 개구부(112)가 포함되며, 이 적재부(100)의 일측에는 히터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112)에는 개폐기(140)가 설치된다.
즉, 아스콘 제조장치로부터 생산된 아스콘(A)을 적재부(100)에 충진시킨 후, 이 적재부(100)의 내부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열을 순환시키면서, 도로포장 및 도로의 보수 및 보강 작업을 하는 현장으로 운반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적재부(100)는 아스콘(A)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12)와, 아스콘(A)이 저장될 수 있는 수용부(110)를 갖는다. 이 적재부(100)의 측면(114), 또는 바닥면(116)에는 각각 유로(118a, 118b)가 형성된다. 이 유로(118a, 118b)는 측면(114)과 바닥면(116) 중 어느 한 곳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 분리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로 연통된 유로(118a, 118b)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유로(118a, 118b)는 적재부(100)의 상부 측벽에 형성되는 유출구(119a) 및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19b)와 연통된다.
상기 유입구(119b)와 상기 유출구(119a) 사이에는 상기 유로(118a, 118b)가 형성되는데, 이 유로(118a,118b)의 상기 유입구(119b)는 상기 히터부(130)와 연통 되고, 상기 유출구(119a)는 상기 적재부(100) 내부와 연통된다. 즉, 상기 유로(118a, 118b)는 상기 적재부(100)의 바닥면(116)과 측면(114) 내부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에는 히터부(130)가 구비된다. 이 히터부(130)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산업현장 및 열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수많은 기기에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130)는 그 일측에 송풍기(150)가 결합된다. 상기 송풍기(150)는 상기 유입구(119b)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150)는 하나의 유입구(119b), 또는 다수개의 유입구(119b)와 연결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적재부(100)의 내부, 즉 수용부(110)에는 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160)가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센서(160)는 제어부(180)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10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히터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기(140)는 상기 개구부(112)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적재부(100)의 상단 양측에 결합되고,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 개폐기(140)는 상기 적재부(100)의 중심부를 향해 양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기(140)는 유리섬유 단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의 손실을 가장 이상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는, 적재부(100)의 내부에 아스콘 배출장치(190)를 구비한다. 상기 아스콘 배출장치(190)는 구동부(191)와 회전축(192), 그리고 스크류(193)와 배출구(194)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100)의 전방 외측에는 상기 히터부(130)와 인접된 위치에 구동부(19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91)는 전기적 에너지로 작동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91)에는 회전축(192)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192)의 양측 끝단은 상기 적재부(100)의 전방과 후방의 각각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19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9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외주부에는 나선형의 스크류(193)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92)은 상기 적재부(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바,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부(100)의 바닥면(116) 중심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16)은 상기 스크류(193)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193)가 위치되는 상기 적재부(100)의 후방에는 배출구(194)가 구비된다. 이 배출구(194)는 상기 적재부(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개구부를 갖는다.
한편, 이러한 배출구(194)의 끝단부에는 제2센서(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센서(200)는 배출구(194)를 통해 배출되는 아스콘(A)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2센서(200)의 감지값에 따라 그 감지값이 기설정된 적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히터부(130)가 추가적인 열을 발생하도록 히터부(130)를 제어하여, 배출되는 아스콘(A)의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 록 한다.
한편, 상기 표시부(170)는 적재부(100)의 아스콘(A) 온도인 제1센서(160)의 감지값, 배출구(194)를 통해 배출되는 아스콘(A)의 온도인 제2센서(200)의 감지값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70)는 히터부(130)가 발생하는 열량 또는 히터부(130)에 인가되는 전력이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스콘 제조장치에서 생산된 아스콘(A)을 운반차량에 구비된 적재부(100)에 싣는다. 이 적재부(100)에 아스콘이 채워지면 개폐기(140)를 덮고, 아스팔트 바닥의 보강 및 보수작업이 이루어지는 시공 현장으로 간편하게 옮겨진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센서(160)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적재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아스콘이 적정 온도보다 기설정된 값만큼 높은 온도가 유지되도록 히터부(1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시공하기에 적절한 아스콘의 적정 온도가 150℃이고, 기설정된 값이 2℃라고 가정할 때, 제어부(180)는 적재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아스콘의 온도가 152℃로 유지되도록 히터부(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기설정된 값은, 적재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아스콘(A)이 아스콘 배출장치(190)에 의해 배출구(194)로 배출될 때, 배출되면서 외부로 빼앗기는 열에 의해 아스콘(A)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감안하여 적재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아 스콘(A)의 온도를 좀 더 높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아스콘 배출장치(190)를 통해 아스콘(A)이 시공 위치에 배출된다. 즉, 상기 구동부(191)를 작동시켜 스크류(193)와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192)이 회전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적재부 내부에 수용된 아스콘(A)이 배출구(194)를 통해 일정하게 배출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실제로 배출구(194)를 통해 배출되는 아스콘(A)의 온도인 제2센서(200)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제1센서(160)의 감지값과의 차이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적정 온도보다 그 차이값만큼 높은 온도로 적재부(100) 내부의 아스콘(A) 온도가 유지되도록 히터부(130)를 제어한다.
즉, 앞서 설명한 예에 있어서, 제2센서(200)의 감지값이 148℃라면, 제1센서(160)의 감지값과의 차이값은 4℃가 되고, 적정 온도인 150℃보다 차이값인 4℃가 높은 154℃로 적재부(100) 내부의 아스콘(A) 온도가 유지되도록 추가적인 열을 발생시키도록 히터부(13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80)의 제어로써, 배출구(194)를 통해 배출되는 아스콘(A)의 온도는 계속적으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공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의 구성, 작용효과 및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는 제3센서(300), 제어부(180') 및 표시부(170')를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와 그 구성이 유사하 다. 따라서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의 제3센서(300), 제어부(180') 및 표시부(17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상기 제3센서(300)는 적재부(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시공 현장의 대기 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배출구(194)를 통해 아스콘(A)이 배출되기 전에 이러한 제3센서(30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히터부(130)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열의 양이 제3센서(300)의 측정값에 반비례하도록 히터부(13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센서(160)의 감지값이 시공에 적절한 아스콘(A)의 온도보다 기설정된 값만큼 더 높게 유지될 수 있도록 히터부(130)를 제어하는데,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센서(30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의 기준이 되는 대기 온도와 비교하여, 제3센서(300)의 측정값에 반비례하도록 기설정된 값을 보정한다.
예를 들어, 시공에 적절한 아스콘(A)의 온도가 150℃이고 기설정된 값이 2℃인데, 이러한 기설정된 값의 기준이 되는 대기 온도가 20℃이라고 하고, 제3센서(300)의 측정값이 5℃라고 한다면, 제3센서(30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의 기준이 되는 대기온도보다 15℃ 작은 값이므로, 이 작은 값에 반비례하도록 기설정된 값을 크게 보정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값이 2℃에서 4℃로 크게 보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보정되는 값의 크기는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의 구조 및 배출구(194)의 위치 등의 기계적인 특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180')는 적재부(100) 내부의 아스콘(A)이 적정 온도인 150℃보다 보정된 값만큼 더 높은 154℃로 유지되도록 히터부(130)가 추가적인 열을 더 발생하도록 히터부(130)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3센서(300)의 측정값인 대기의 온도를 반영하여 적재부(100)에 수용된 아스콘(A)의 온도를 결정하는 이유는, 대기의 온도가 낮을수록 아스콘(A) 배출 시에 많은 열을 빼앗기게 되고, 그에 따라 배출구(194)의 아스콘(A) 온도가 더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대기의 온도가 낮을수록 적재부(100)에 수용된 아스콘(A)의 온도를 더 높게 유지시키고, 이에 따라 배출구(194)를 통해 아스콘(A)을 배출을 시작할 때에도 시공에 적절한 온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배출구(194)를 통한 아스콘(A)의 배출이 시작되면, 제어부(180')는 배출되는 아스콘(A)의 실제 온도인 제2센서(200)의 감지값에 따라 히터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표시부(17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3센서(300)의 측정값인 현재 대기의 온도와 이에 의한 기설정된 값의 보정값을 함께 작업자에게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를 이용하면, 아스콘을 일정 온도로 유지한 상태로 시공 현장까지 수용 이송이 가능하고, 적재부(100)의 아스콘(A)이 배출될 때 빼앗기는 열의 양을 감안하되, 대기의 온도에 따른 빼앗기는 열의 양의 증감까지 고려하여 적재부(100)의 아스콘(A)의 온도를 적정 온도보다 소정의 온도만큼 높게 유지시킴으로써, 배출구(194)를 통해 배출되는 아스 콘(A)이 항상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스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적재부 110 : 수용부
112 : 개구부 114 : 측면
116 : 바닥면 118a, 118b : 유로
119a : 유출구 119b : 유입구
130 : 히터부 140 : 개폐기
150 : 송풍기 160 : 제1센서
170, 170' : 표시부 180, 180' : 제어부
190 : 아스콘 배출장치 191 : 구동부
192 : 회전축 193 : 스크류
194 : 배출구 200 : 제2센서
300 : 제3센서 A : 아스콘

Claims (3)

  1.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가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아스콘을 저장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유로;
    상기 히터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적재부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아스콘을 배출시키는 아스콘 배출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아스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아스콘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배출구의 끝단부에 구비된 제2센서; 및
    상기 제1·제2센서의 감지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가 보상되어 배출되는 상기 아스콘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기 위한 추가적인 열을 상기 히터부가 더 발생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센서;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스콘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전에, 상기 히터부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열의 양이 상기 제3센서의 측정값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우선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스콘 배출부의 작동값 또는 작동 예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히터부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열의 양이 상기 아스콘 배출부에 의한 상기 아스콘의 배출 속도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2020090003487U 2009-03-26 2009-03-26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200454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487U KR200454650Y1 (ko) 2009-03-26 2009-03-26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487U KR200454650Y1 (ko) 2009-03-26 2009-03-26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60U KR20100009760U (ko) 2010-10-06
KR200454650Y1 true KR200454650Y1 (ko) 2011-07-19

Family

ID=4420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487U KR200454650Y1 (ko) 2009-03-26 2009-03-26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650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122A (ko)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경동플랜트 아스팔트 저장탱크
KR102423908B1 (ko) 2021-10-06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423925B1 (ko) 2021-10-28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423889B1 (ko) 2021-10-28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423921B1 (ko) 2021-10-28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덮개 개폐 장치가 구비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423919B1 (ko) 2021-10-06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조립형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423924B1 (ko) 2021-10-28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가 구비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520131B1 (ko) 2022-07-18 2023-04-11 (주)리팔트코리아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520144B1 (ko) 2022-07-18 2023-04-12 (주)리팔트코리아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520126B1 (ko) 2022-06-28 2023-04-13 (주)리팔트코리아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520137B1 (ko) 2022-07-18 2023-04-13 (주)리팔트코리아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346B1 (ko) * 2013-01-14 2014-12-31 황익현 아스팔트 노면 가열 및 혼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790Y1 (ko) 2000-09-26 2001-03-15 주식회사디에스피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재료 저장장치
KR100661407B1 (ko) 2004-10-01 2007-01-02 신운철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100750199B1 (ko) 2007-03-09 2007-08-17 이텍산업 주식회사 도로보수차의 아스콘 보온장치
KR100766906B1 (ko) 2007-05-14 2007-10-15 최병만 열매체유의 간접열을 이용한 아스콘용 보온 및 재생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790Y1 (ko) 2000-09-26 2001-03-15 주식회사디에스피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재료 저장장치
KR100661407B1 (ko) 2004-10-01 2007-01-02 신운철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100750199B1 (ko) 2007-03-09 2007-08-17 이텍산업 주식회사 도로보수차의 아스콘 보온장치
KR100766906B1 (ko) 2007-05-14 2007-10-15 최병만 열매체유의 간접열을 이용한 아스콘용 보온 및 재생차량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122A (ko)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경동플랜트 아스팔트 저장탱크
KR102423908B1 (ko) 2021-10-06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423919B1 (ko) 2021-10-06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조립형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423925B1 (ko) 2021-10-28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423889B1 (ko) 2021-10-28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423921B1 (ko) 2021-10-28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덮개 개폐 장치가 구비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423924B1 (ko) 2021-10-28 2022-07-21 (주)리팔트코리아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가 구비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520126B1 (ko) 2022-06-28 2023-04-13 (주)리팔트코리아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520131B1 (ko) 2022-07-18 2023-04-11 (주)리팔트코리아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520144B1 (ko) 2022-07-18 2023-04-12 (주)리팔트코리아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520137B1 (ko) 2022-07-18 2023-04-13 (주)리팔트코리아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60U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650Y1 (ko)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US20200384666A1 (en) Mobile mixing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7458746B1 (en) Mobile asphalt production machine
US9951535B2 (en) System and process for mixing and delivering building materials
CA231153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heated pavement repair materials
KR101128050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KR100664971B1 (ko)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의 이동식 재생장치
US1120387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delivering building materials
KR101013213B1 (ko)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US20040184889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aterials
KR101692715B1 (ko) 덤프형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KR200353623Y1 (ko)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101949394B1 (ko) 레미콘 트럭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70003122A (ko) 아스팔트 저장탱크
KR100661407B1 (ko)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20020011787A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 플랜트
KR101148258B1 (ko) 덤프형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WO2005090035A1 (en) Movable apparatus for storing asphalt concrete
JP2007008094A (ja) 改質硫黄固化体打設装置
KR20150085294A (ko) 이동식 아스콘 보온저장장치
AU2010100118A4 (en) A Compact Concrete Producing and Transporting Equipment
KR101838673B1 (ko) 이동식 포장 패칭 차량을 위한 자동온도조절식으로 제어되는 아스팔트 히터
KR102287350B1 (ko)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KR101195573B1 (ko) 초속경 특수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플랜트
KR101093368B1 (ko) 도로보수용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