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350B1 -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350B1
KR102287350B1 KR1020190088797A KR20190088797A KR102287350B1 KR 102287350 B1 KR102287350 B1 KR 102287350B1 KR 1020190088797 A KR1020190088797 A KR 1020190088797A KR 20190088797 A KR20190088797 A KR 20190088797A KR 102287350 B1 KR102287350 B1 KR 10228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onstruction
unit
transfer unit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649A (ko
Inventor
임기열
Original Assignee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3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6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12Supplying or proportioning liquid ingredients
    • B28C7/122Supplying or proportioning liquid ingredients by means of a measuring chamber, e.g. contai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부재 내부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는 기존의 시공 시스템과 달리 작업 현장까지 시공용 부재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작업 중단 또는 종료 시에도 이송 부재 내부에 시공용 자재가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용 자재 이송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공용 자재를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운반하여 보수재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잔여물에 의한 장치의 파손율이 낮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시공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DEVICE FOR TRANSFERING CONSTRUCT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송 부재 내부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용 자재와 같은 시공용 자재는 시멘트와 모래 및 혼화재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이러한 자재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 또는 건설 현장에서 시공하는 종래 시공 시스템은 시공용 자재와 같은 원료가 담겨진 소정 규격의 포대를 작업현장으로 수송시킨 다음, 작업현장에서 수송된 원료와 물을 작업자가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설물에 시공, 보수 또는 보강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공 시스템은 많은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고 작업현장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이용되기 어렵고 혼합과정 중에 시공용 자재의 분진 등이 날려 작업환경을 악화시킨다. 또한, 작업자에 따라 균일한 품질관리 및 신뢰성 확보가 어렵고, 시공비용 상승 및 작업 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5350호는 건조 모르타르를 사일로에 공급 저장한 다음 이와 연결된 이송 호스를 통해 압축공기로 건조 모르타르 이송하여 물과 함께 혼합한 다음, 이를 배출부로 펌핑하는 시공용 자재 시공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공 시스템은 시공장소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시공용 자재와 같은 시공용 자재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믹서로 이송하기 때문에, 작업을 정지 또는 완료한 경우에 호스 내부에 시공용 자재가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자재의 이송 거리가 멀어질수록 이송 호스의 길이가 증가하고, 작업 정지 또는 완료시 호스의 길이 만큼 거리만큼 호스 내부에 시공용 자재가 잔류하게 되어 고착되거나, 무게로 인하여 호스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호스 내부에 시공용 자재가 가득 채워져 있는 경우 작업 재개시 이송 장치의 펌프 등에 부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작업 현장까지 시공용 부재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작업 중단 또는 종료 시에도 이송 부재 내부에 시공용 자재가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시공용 자재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시공용 자재 이송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공용 자재를 편리하게 이송하여 보수제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잔여물에 의한 장치의 파손율이 낮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 펌프,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는 제1 이송부, 일단부가 상기 이송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1 호스 부재,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로부터 시공용 자재를 공굽받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에 연결되는 감지 부재 및 상기 제2 이송부에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용 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자재 공급부 및 상기 자재 공급부와 연결되는 상기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는 기존의 시공 시스템과 달리 작업 현장까지 시공용 부재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작업 중단 또는 종료 시에도 이송 부재 내부에 시공용 자재가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용 자재 이송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공용 자재를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운반하여 보수재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잔여물에 의한 장치의 파손율이 낮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시공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 이송 펌프;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는 제1 이송부; 일단부가 상기 이송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1 호스 부재;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로부터 시공용 자재를 공급받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에 연결되는 감지 부재; 및 상기 제2 이송부에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는 제2 호스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호스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 이송부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제2 호스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 부재 내부의 시공용 자재의 잔존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제2 호스 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이송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 펌프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상기 이송 부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이송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로 투입되는 시공용 자재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3 이송부와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 호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제3 이송부는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이송부로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 시공용 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자재 공급부; 및 상기 자재 공급부와 연결되는 상기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연통 부재는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적재부와 자재 공급부의 내부 압력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시공 시스템(100)은 이송 펌프(110),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는 제1 이송부(121), 일단부가 상기 이송 펌프(11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이송부(121)와 연결되는 제1 호스 부재(122), 상기 제1 이송부(121)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121)로부터 시공용 자재를 공굽받는 제2 이송부(131), 상기 제2 이송부(131)에 연결되는 감지 부재(133) 및 상기 제2 이송부(131)에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1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공용 자재는 분체 형태의 결합재, 골재 또는 이들의 혼합재일 수 있다. 상기 결합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시멘트, 모르타르, 석고계 플라스터,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석회, 아스팔트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재 등일 수 있다. 상기 결합재는 물과 혼합되어 점성을 띠는 상태가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화 반응이 일어나 골재 등의 원료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골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입도가 작은 분체 상태의 모래, 흙, 미장용 경량발포 골재, 색모래, 석분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재 등일 수 있다. 상기 골재는 시공용 자재의 기초 재료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 펌프(110)는 상기 제1 이송부(121)로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면 가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펌프(110)는 제1 호스 부재(122)를 통해 제1 이송부(121)에 투입되는 시공용 자재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2 이송부(121)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이송 부재(134)를 통하여 작업 현장까지 압송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이송 펌프(110)는 연속펌프일 수 있으며, 상기 시공용 자재의 이송 거리, 이송량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크기와 길이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121)는 투입된 시공용 자재를 압송하기 위해 자재에 압력을 직접 가하는 공간이다.
상기 제1 호스 부재는(122) 일단부가 상기 이송 펌프(11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이송부(121)와 연결되어 이송 펌프(110)에서 생성하는 공압을 제1 이송부(121)로 전달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1 호스 부재(122)는 이송 펌프(11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보다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호스 부재(132)는 복수의 관 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관과 이송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다수의 부위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절곡부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131)는 작업 중지 시 이송 부재(134) 내부에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를 이송 부재(134)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시공용 자재의 잔존량을 감지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를 위하여 감지 부재(133)와 연결된다.
상기 감지 부재(133)는 이송 부재(134) 내부에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의 잔존량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상기 감지 부재(133)는 시공 작업이 중지되어,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의 작동을 중지하더라도, 이송 부재(134) 내부에 시공용 자재의 잔존량을 측정하고,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를 모두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이송 펌프(110)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감지 부재(133)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가 작동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작동하여 시공용 자재의 잔존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만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여,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를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131)에는 제2 호스 부재(132)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호스 부재(132)의 타단부는 별도의 펌프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의 구성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펌프(1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감지 부재(133)는 제2 호스 부재(132)와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감지 부재(133)가 상기 제2 호스 부재(132)에 연결되는 경우, 펌프 장치에서 발생되어 제2 호스 부재(132)를 통해 이송 부재(134)로 가해지는 공압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이송 부재(134) 내부에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호스 부재(132)는 펌프 장치(110)로부터 생성되는 공압을 이송 부재(134)로 직접 보내어, 감지 부재(133)가 공압의 변화량을 직접 감지할 수 있도록 시공용 자재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제1 호스 부재(122)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이송부(131) 또한 마찬가지로 제1 이송부(121)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2 호스 부재(132)는 펌프 장치와 상대적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보다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호스 부재(132)는 복수의 관 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관과 이송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다수의 부위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절곡부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이송 부재(134)는 작업 현장까지 시공용 자재가 이송되기 위한 이송로로 이용되는 것이며 이송 거리, 이송량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크기와 길이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이송 부재(134)는 이동이 자유롭고 형상이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보다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호스 부재(132)는 복수의 관 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관과 이송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다수의 부위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절곡부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이송 부재(134)는 시공용 자재가 배출되는 말단에 시공용 자재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부착된 노즐 또는 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면 미도시).
본 발명의 상기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는 상기 제1 이송부(121)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121)로 투입되는 시공용 자재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제3 이송부(141) 및 상기 제3 이송부(141)와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 호스 부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송부(141)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가 작동을 중지할 경우 공압을 이용하여 시공용 자재가 제1 이송부(121)로 투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호스 부재(142)는 타단부가 펌프 장치와 연결되어 펌프 장치로부터 발생된 공압을 제3 이송부(131)로 전달한다. 상기 펌프 장치는 별도의 펌프 장치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의 구성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펌프(11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3 호스 부재(142)는 펌프 장치와 상대적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보다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호스 부재(142)는 복수의 관 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관과 이송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다수의 부위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절곡부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제3 호스 부재(142)는 시공용 자재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제1 호스 부재(122)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이송부(141) 또한 마찬가지로 제1 이송부(121)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3 호스 부재(142)는 제3 이송부(141)로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만 일정 시간 동안만 공압을 전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제3 이송부(141) 및 제3 호스 부재(142)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의 작동이 중지되고, 감지 부재(133)와 이송 펌프(110)의 작동에 의하여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가 배출되는 동안 제1 이송부(121) 내부로 더 이상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지 않도록 자재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공압을 형성한다.
상기 제3 이송부(14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압으로 인하여, 이송 부재(134) 내부에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의 양을 감지하기 위해 제2 호스 부재(132)를 통해 제2 이송부(131)로 전달되는 공압이 이송부재(134)의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부(121, 131 및 141)은 제1 내지 제3 호스 부재(122, 132 및 142)의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나. 단일한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200)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시스템(200)은 시공용 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210),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자재 공급부(220) 및 상기 자재 공급부(220)와 연결되는 이송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와 동일한 것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적재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시공용 자재를 적재할 수 있는 일정 용량의 적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적재부(210)는 상부에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는 투입구(211)를 구비하며, 투입된 시공용 자재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적재부(210)의 하부에 쌓이게 된다. 상기 적재부(100)는 하부에 개폐 작동되는 게이트(212)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212)의 개폐 작동에 의해 자재 공급부(220)로 투입되는 시공용 자재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210)의 형태는 각기둥, 원통형, 각뿔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적재부(210)의 소재 또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내구성을 고려하였을 때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재 공급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21)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221)는 상기 적재부(2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재부(210)에 적재된 시공용 자재가 하부에 쌓이면 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1 이송부(121)로 이송한다. 상기 스크류(221)는 모터, 엔진 등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스크류(221)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회전축부재와 나선블레이드가 결합된 형태 또는 일체형의 나선 스크류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제1 이송부(121) 또는 제3 이송부 (141)의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는 부분은 상기 스크류(210)의 직경 크기로 제작되어 스크류(221) 일부가 맞물려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공용 자재를 제1 이송부(121) 또는 제3 이송부 (141)로 보다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고, 상기 맞물림에 의하여 제1 이송부(121)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어 제1 이송부(121) 내의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공용 자재의 이송 효율과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시스템(200)은 상기 적재부(210)와 자재 공급부(220)를 연통하는 연통 부재(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 부재(222)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에서 발생하는 공압에 의하여 적재부(210)에 발생하는 압력을 낮추기 위한 것이며, 적재부(210)와 자재 공급부(220)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통 부재를 이용하여 자재 공급부(220)에서 발생하는 일정 이상의 압력을 해소시킴으로써, 게이트(212)의 개폐 또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100) 작동 여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자재 공급부(220) 내부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방지하고, 이에 따른 스크류(221)를 포함한 자재 공급부(220)의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연통 부재(222)는 개폐 부재(22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통 부재(222)와 적재부(210) 연결 부분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통 부재(222) 내부 또는 연통 부재(222)와 자재 공급부(220)의 연결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223)는 상기 적재부와 자재 공급부의 내부 압력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개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100 : 시공용 자재 이송 장치
110 : 이송 펌프 121 : 제1 이송부
122 : 제1 호스 부재 131 : 제2 이송부
132 : 제2 호스 부재 133 : 감지 부재
134 : 이송 부재 141 : 제3 이송부
142 : 제3 호스 부재 200 : 시공 시스템
210 : 적재부 211 : 투입구
212 : 게이트 220 : 자재 공급부
221 : 스크류 222 : 연통 부재
222 : 개폐 부재

Claims (9)

  1. 이송 펌프;
    시공용 자재가 투입되는 제1 이송부;
    일단부가 상기 이송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는 제1 호스 부재;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시공용 자재를 공급받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에 연결되는 감지 부재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로 투입되는 시공용 자재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제3 이송부;
    상기 제3 이송부와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 호스 부재; 및
    상기 제2 이송부에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호스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호스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2 이송부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제2 호스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 부재 내부의 시공용 자재의 잔존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스 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이송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 펌프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상기 이송 부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이송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5. 삭제
  6. 삭제
  7. 시공용 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자재 공급부;
    상기 자재 공급부와 연결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적재부와 상기 자재 공급부를 연통하는 연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적재부와 상기 자재 공급부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감소시키고,
    상기 이송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인 시공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는 개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적재부와 자재 공급부의 내부 압력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시스템.
KR1020190088797A 2019-07-23 2019-07-23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KR10228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97A KR102287350B1 (ko) 2019-07-23 2019-07-23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97A KR102287350B1 (ko) 2019-07-23 2019-07-23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649A KR20210011649A (ko) 2021-02-02
KR102287350B1 true KR102287350B1 (ko) 2021-08-06

Family

ID=7455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797A KR102287350B1 (ko) 2019-07-23 2019-07-23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3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3181B2 (ja) * 2000-09-22 2008-02-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軟弱土もしくは土砂の改良・圧送システム
KR101253321B1 (ko) * 2012-07-06 2013-04-10 주식회사 용진개발 건축물 외부 단열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외부 단열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33B1 (ko) * 2009-06-24 2012-04-20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토출압력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기포콘크리트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기포콘크리트 시공 자동화시스템
KR20110009469A (ko) * 2009-07-22 2011-01-28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공급 배관의 막힘 위치를 찾아내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3181B2 (ja) * 2000-09-22 2008-02-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軟弱土もしくは土砂の改良・圧送システム
KR101253321B1 (ko) * 2012-07-06 2013-04-10 주식회사 용진개발 건축물 외부 단열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외부 단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649A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535B2 (en) System and process for mixing and delivering building materials
EP1053088B1 (en) Mobile cement additive and concrete admixture manufacturing process and system
US1120387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delivering building materials
CN212948498U (zh) 一体化折叠式车载移动搅拌站及其主支撑框架和输送装置
US8911138B2 (en) 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crete mixer
US20140216302A1 (en) Atmospheric Storage Mechanical Weight Batch Blending Plant
KR20210112204A (ko)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
CN110435011A (zh) 混凝土移动生产设备
KR100672003B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102287350B1 (ko)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US20120097755A1 (en) Shotcrete Carrier and Method of Applying Shotcrete
KR101935350B1 (ko) 보수 모르타르 시공 시스템
KR200417671Y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RU2659362C1 (ru) Мобильный автономный завод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стенов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и дорож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2190098B1 (ko)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US3026094A (en) Method of mixing and delivering aggregate mixtures
KR20070006237A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102036698B1 (ko) 이동식 병렬형 시공 시스템
US3624794A (en) Inspection means for concrete-handling system
KR101195571B1 (ko) 초속경 특수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배치플랜트의 배출수단이 장착된 혼합장치
KR102036696B1 (ko) 이동식 시공 시스템
KR101151906B1 (ko) 초속경 특수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의 초속경 건식 모르타르 저장장치
Walker Shotcrete: Systematically Sprayed Support
IT202100010937A1 (it) Sistema perfezionato per la produzione di materiali da costruzione
Harle Different methods of placing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