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126B1 -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 Google Patents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126B1
KR102520126B1 KR1020220079080A KR20220079080A KR102520126B1 KR 102520126 B1 KR102520126 B1 KR 102520126B1 KR 1020220079080 A KR1020220079080 A KR 1020220079080A KR 20220079080 A KR20220079080 A KR 20220079080A KR 102520126 B1 KR102520126 B1 KR 10252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inert gas
cover
ascon
inn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철
홍유림
Original Assignee
(주)리팔트코리아
홍기철
홍유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팔트코리아, 홍기철, 홍유림 filed Critical (주)리팔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7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콘 박스의 내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된 아스콘 보온 박스 내부에 아스콘을 수용하여 아스콘을 도로건설현장에 이송시켜 배출할 때까지 아스콘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함과 동시에 아스콘의 노화 및 산화되어 물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 박스와 상기 외부 박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 박스로 형성되되 상측이 개방된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를 상기 박스 본체에서 개폐시키는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에는 상기 외부 박스의 외측에서부터 내부 박스의 내측까지 관통하는 주입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주입모듈을 통해 상기 내부 박스의 내측에 불활성가스가 주입되어 아스콘의 상부에 불활성가스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Ascon heat insulation box capable of injecting inert gas}
본 발명은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콘 박스의 내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된 아스콘 보온 박스 내부에 아스콘을 수용하여 아스콘을 도로건설현장에 이송시켜 배출할 때까지 아스콘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함과 동시에 아스콘의 노화 및 산화되어 물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포장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 이하 '아스콘')는 흑색의 고체 또는 반고체 물질로 주성분은 탄화수소이며, 아스팔틴이라는 고체성분이 마르틴이라는 유상성분 속에 분산된 것이다.
이러한, 아스콘은 그 종류에 따라 도로포장용과 공항포장용으로 나누어 사용하거나, 포장 또는 건축분야의 방수가공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로포장용이나 공항포장용 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에는 모래, 석분, 파쇄석, 자갈 등의 골재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아스콘이라고 한다.
이러한 아스콘은 제작 공장에서부터 도로건설현장까지 이송에 있어서 아스콘의 품질유지를 위하여 아스콘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별도의 아스콘 저장장치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스콘을 저장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650호(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이하 '종래기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적재부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유로; 상기 히터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적재부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아스콘을 배출시키는 아스콘 배출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아스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아스콘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배출구의 끝단부에 구비된 제2센서; 및 상기 제1·제2센서의 감지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가 보상되어 배출되는 상기 아스콘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기 위한 추가적인 열을 상기 히터부가 더 발생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아스콘을 일정 온도로 유지한 상태로 간편하게 시공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고, 수용된 아스콘이 시공을 위해 배출되더라도 배출된 아스콘의 온도를 시공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아스콘을 수용하는 적재부 내에 유로를 형성하여 히터부를 통해 발생한 열을 유로로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적재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아스콘의 온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히터부를 지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히터부를 통하여 수용부 내의 아스콘에 열을 공급하더라도 열이 수용부 내의 겉부분에만 전달되어 내부로까지 충분히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열이 수용부 내측에 배치된 아스콘에게 까지 영향을 끼치기 어려워 아스콘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히터부를 통하여 아스콘에 열 전달이 잘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수용부 내에 너무 많은 열이 전달되어 아스콘의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아스콘 배출부로 배출되는 아스콘의 온도가 너무 높아 골재에 AP가 흘러내려 탈리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아스콘의 상측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아스콘이 노화 및 산화되어 물성 변화가 발생할 뿐 아니라 아스콘의 온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스콘을 저장하여 이송하는 아스콘 저장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로도 아스콘 제조 공장에서부터 도로건설현장까지 아스콘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한 상태로 저장 및 이송이 가능할 뿐 아니라 아스콘이 노화 및 산화되어 물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아스콘 저장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650호(2011.07.19.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박스 본체의 외부 박스와 내부 박스를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주입모듈을 통해 내부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상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아스콘의 상부로 불활성가스층을 형성함으로써 아스콘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아스콘이 노화 및 산화되어 물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 박스와 내부 박스가 목재와 고정장치에 의해 이격되어 내부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스콘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 박스와 내부 박스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의 내부에 고온 단열재와 단열보드가 구비되고 방습제가 도포됨으로써 내부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 박스와 내부 박스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서 온도 차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통해 내부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을 적정 온도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는, 외부 박스(11)와 상기 외부 박스(11)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 박스(13)로 형성되되 상측이 개방된 박스 본체(10); 상기 박스 본체(10)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덮개(30); 상기 덮개(30)를 상기 박스 본체(10)에서 개폐시키는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를 포함하는 아스콘 보온 박스에 있어서,
상기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는,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면 및 상기 덮개(3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0);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30)와 상기 가이드부(110)를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제1실린더(120); 양단이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10)의 일단부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부(130); 상기 가이드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30)를 상기 박스 본체(10)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장치(140); 상기 덮개(30)의 상면과 상기 지지부(130)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모듈(50)은,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주입관(51); 상기 주입관(5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관의 일측을 개폐하는 주입밸브(53); 상기 주입관(51)의 타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관(51)의 타측을 개폐하는 개폐밸브(55); 상기 주입밸브에 상시 가스 주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외부 박스의 측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가스통(57); 및 상기 주입관(51)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밀폐하는 패킹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내부 박스의 내부에는 불황성가스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 박스 내부에 주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주입량 및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활성 가스 감지 센서는, 상기 주입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 박스(13) 내부의 불활성가스의 주입량 및 농도가 기준치 이하가 되면 상기 불활성가스 감지 센서가 상기 주입밸브(53)로 개방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주입밸브는 개방시켜 상기 내부 박스(13)의 내부로 불활성가스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 박스(13) 내부의 불활성가스의 주입량 및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상기 불활성가스 감지 센서가 상기 주입밸브(53)로 폐쇄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주입밸브(53)를 폐쇄시켜 불활성가스의 주입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활성가스는, 헬륨, 아르곤, 크립톤, 라돈, 질소, 탄산가스, 크세논, 네온 , 제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20)에 의해 승하강되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승하강가이드(121)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제1승하강가이드(121)는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이면서 상기 가이드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0)는,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덮개(3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111);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13); 상기 덮개(30)의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113)에 안착되는 가이드레일(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14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에 결합되는 ㄱ자형상의 가압클램프(141)와 상기 가압클램프(141)가 덮개(30)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가압부재(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140)의 상측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퍼(40)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40)는 상기 가압클램프(14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실린더(120)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110)가 승하강될 때 함께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일측에는 덮개(3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117)가 양측 가이드프레임(111)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복수의 제1실린더(120) 중 상기 박스 본체(10)의 일측 단부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실린더(120)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 상기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형상의 지지브라켓(132); 상기 지지브라켓(132)의 측면 내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15)의 측면이 접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롤러(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지지브라켓(132)의 절곡부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고정블럭(133); 상기 제1고정블럭(133)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고정블럭(134); 일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고정블럭(133)에 결합되어 가이드프레임(111)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지지바(137); 일측이 상기 제1고정블럭(133)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고정블럭(134)에 결합되어 가이드프레임(111) 및 지지브라켓(13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지지바(1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덮개(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체인(161); 상기 지지부(13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163); 상기 구동모터(163)에 결합되되 상기 체인(161)과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구동기어(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상부판(31)과 하부판(33)으로 형성되고,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는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장치(220)에 의해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는 고온 단열재(23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 본체(10)의 내부 박스(13) 외면과 상기 덮개(30)의 상부판(31) 내면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00)에는 복수의 고정바(210)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바(210)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장치(220)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상기 박스 본체(10)의 내부 박스(13) 외면 및 상기 덮개(30)의 상부판(31) 내면과 접촉이 차단되고, 상기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의 이격공간, 상기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 및 상기 복수의 고정바(210)에는 방습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에는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장치(220)에 의해 상기 외부 박스(11)가 내부 박스(13)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는 고온 단열재(230)가 충진되고,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는 외기와 아스콘의 온도 차에 의해 습기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방습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박스(11) 일측면의 하측과 상기 내부 박스(13) 일측면의 하측에는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연통하는 배출구(300)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00)의 상측에는 상기 배출구(300)를 개폐하는 개폐문(310)이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문(310)은 개폐 실린더(312)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습제는, 절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10중량부를 첨가하여 가열 교반하여 제1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콤파운드(asphalt compound) 30~70 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2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2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닐린(PANI) 1~5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3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3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zeolite) 6~12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4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4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부텐(Polybutene) 1~5중량부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0.2~0.8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자연냉각시켜 제5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5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일렌(xylene) 30~70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제5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솔벤트 용제 3호를 10~40중량부를 첨가하고 용해하여 제6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박스 본체의 외부 박스와 내부 박스를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주입모듈을 통해 내부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상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아스콘의 상부로 불활성가스층을 형성함으로써 아스콘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아스콘이 노화 및 산화되어 물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박스와 내부 박스가 목재와 고정장치에 의해 이격되어 내부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스콘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박스와 내부 박스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의 내부에 고온 단열재와 단열보드가 구비되고 방습제가 도포됨으로써 내부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 박스와 내부 박스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서 온도 차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통해 내부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을 적정 온도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가압장치가 상승되어 덮개의 누름이 해제된 후 덮개가 상승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구동모터가 작동되어 덮개가 일측으로 이동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가압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아스콘 보온 박스의 내측에 스크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외부 박스의 하측에 지지플레이트와 승강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외부 박스의 하측에 지지플레이트와 승강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주입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주입모듈의 주입밸브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개폐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개폐문과 보조 개폐문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를 트럭에 적재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트럭에 적재된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가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스크류가 설치된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를 트럭에 적재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는 아스콘 제조 장치로부터 출하되는 아스콘을 수용하여 아스콘을 도로건설현장에 이송시켜 배출할 때까지 아스콘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박스 본체(10)의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바(210) 및 고정장치(220)에 의해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가 이격되고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고온 단열재(230) 및 방습제가 충진되거나 도포됨으로써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담겨진 아스콘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스콘이 적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박스 본체(10)의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 이격공간의 상측과 덮개(30)의 하측 각각에 단열수지(240)가 구비되어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가 덮개(3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가 덮개(30)에 직접 접촉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열전도를 차단하여 아스콘을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박스 본체(10)의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주입모듈을 통해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상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아스콘의 상부로 불활성가스층을 형성함으로써 아스콘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공기에 의해 아스콘이 노화되거나 산화되어 물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1)는 박스 본체(10), 덮개(30),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박스 본체(10)는 아스콘이 담겨지는 아스콘 보온 박스(1)의 본체이다.
박스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박스 본체(10)는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박스(11)는 박스 본체(10)의 외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외부 박스(11)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내부 박스(13)가 외부 박스(11)의 내측에 위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박스(11)는 강판 등의 강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박스(11)의 내측에는 내부 박스(13)가 구비될 수 있다. 내부 박스(13)는 외부 박스(1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외부 박스(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박스(13)이 외부 박스(1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내부 박스(13)이 외부 박스(11)의 내측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고정바(210) 및 고정장치(220)에 의해 외부 박스(11)과 내부 박스(13)이 일체화되었을 때 외부 박스(11)과 내부 박스(13)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박스(11)과 내부 박스(13)이 고정장치(220) 및 고정바(210)에 의해 상호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 박스(13)에서 외부 박스(11)로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외부 박스(11)과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 내부에 고온 단열재(230) 및 방습제를 충진되거나 도포되고, 단열보드(250) 등이 설치되어 열전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내부 박스(13)에 담겨진 아스콘을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박스 본체(10)에는 주입모듈(50)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모듈(50)은 박스 본체(10)의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입모듈(50)은 외부 박스(11)의 외측에서부터 시작되어 내부 박스(13)의 내측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주입모듈(50)은 박스 본체(10)의 4방향의 측면에 어디든지 형성될 수 있다.
주입모듈(50)은 내부 박스(13)의 내측으로 불활성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모듈(50)은 주입관(51)과 주입관(5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주입밸브(53)와 주입관(5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개폐밸브(55)와 주입밸브(53)에 결합되되 외부 박스(11)의 측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가스통(57) 및 주입관(51)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패킹재(59)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관(51)은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입관(51)은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중공형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입관(51)은 고열에도 형상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고내열성의 재질일 뿐 아니라 주입관(51)을 통해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관(51)의 일측 단부에는 주입밸브(53)가 구비될 수 있다.
주입밸브(53)는 주입관(5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자동 밸브 또는 수동 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주입밸브(53)는 수동 밸브로 적용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밸브 같이 구조의 밸브를 사용할 수 있고, 자동 밸브로 적용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밸브는 후술하는 불활성 가스 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개방 신호 및 폐쇄 신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밸브(53)에는 가스통(57)이 연결될 수 있다. 주입밸브(53)에는 주입노즐(54)이 형성되고 주입노즐(54)에 가스통(57)과 주입밸브(5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주입밸브(53)는 가스를 저장하고 내부의 압력에 의해 가스가 주입되도록 하는 가스통(57)과 결합됨으로써 주입밸브(53)가 개방되면 가스통(57) 내부의 가스가 주입관을 통해 내부 박스(13)로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주입관(51)의 타측 단부에는 개폐밸브(55)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밸브(5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방향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방향 밸브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로브라켓과 밀폐부재 및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스프링이 밀폐부재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유로브라켓과 주입관(5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밸브(55)는 가스의 주입이 이루어지면 주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폐부재가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유로브라켓과 주입관(51) 사이에 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유로를 통해 가스가 이동되어 내부 박스(13)로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주입밸브(53)가 폐쇄되어 가스의 주입이 중단되게 되면 주입관(51) 내부에서 가스에 의한 압력이 소실되게 되고 압력이 소실됨에 따라 밀폐부재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어 다시 주입관(51)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방향 밸브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로브라켓과 유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밀폐부재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밀폐부재가 유로브라켓의 일단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가스가 주입되면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폐부재가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유로브라켓의 일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뿐 아니라 일방향으로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압력 소실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일방향 밸브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폐밸브(55)는 주입관(51) 내부에 가스의 주입에 따른 압력이 존재하는 경우 개방되어 내부 박스(13)의 내부로 불활성가스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주입관(51) 내부의 압력이 소실되는 경우 폐쇄되어 내부 박스(13)와 주입관(51) 사이를 밀폐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내부 박스(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결국, 주입밸브(53)와 개폐밸브(55)는 이중으로 주입관(51)의 양측 단부를 개폐함으로써 불활성가스의 주입이 이루어질 때 외에 주입관(51)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가 주입관(51)을 통해 내부 박스(13)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입관(51)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는 패킹재(59)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패킹재(59)는 주입관(5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주입밸브(53)와 주입관(51)의 접촉면과 주입관(5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밸브와 주입관(51)의 접촉면에 구비되어 주입관(5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패킹하여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입밸브(53)와 개폐밸브와 주입관(5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 박스(13)로 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입모듈(50)을 통해 내부 박스(13)의 내부로 불활성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불활성가스는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상부로 주입되어 아스콘의 상부애 불활성가스층(B)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불활성가스는 헬륨, 아르곤, 크립톤, 라돈, 질소, 탄산가스, 크세논, 네온 , 제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박스(13)에 적재된 아스콘(A)의 상부에 불활성가스층(B)이 형성되어 아스콘과 공기가 접촉되는 것이 차단됨으로 인해 아스콘이 공기에 의해 노화 및 산화되어 물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활성가스층(B)은 아스콘(A)과 공기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기에 의해 아스콘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효과 또한 나타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를 통해 건설현장까지 아스콘의 온도저하 및 물성변화 없이 제조상태 그대로의 아스콘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내부 박스(13)의 내측에는 불활성 가스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불활성 가스 감지 센서는 주입밸브(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 박스(13) 내부의 불활성가스의 주입량 및 농도가 기준치 이하가 되면 주입밸브(53)로 개방신호를 전송하여 주입밸브(53)를 개방시켜 내부 박스(13)의 내부로 불활성가스가 주입되도록 하고,
주입량 및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주입밸브(53)로 폐쇄신호를 전송하여 주입밸브(53)를 폐쇄시켜 불활성가스의 주입을 중단킬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형성된 불황성가스층(B)이 건설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상측에는 덮개(30)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30)는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덮개(30)는 상부판(31)과 하부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박스 본체(10)와 덮개(30)는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는 덮개(30)가 박스 본체(10)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는 가이드부(110), 제1실린더(120), 지지부(130), 가압장치(140), 구동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가이드프레임(111)과 가이드롤러(113)와 가이드레일(115)과 복수의 롤러(1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111)은 외부 박스(11)의 양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111)은 외부 박스(11)의 양측 상부에서 외부 박스(1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덮개(3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30)가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1)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가이드프레임(111)의 상측에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1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3)는 가이드프레임(111)의 상측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3)는 덮개(30)가 체인(161)과 구동모터(163)에 의해 이동될 때 롤러의 회전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덮개(30)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1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5)은 덮개(30)의 양측으로 삼각관의 꼭짓점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5)은 복수의 가이드롤러(113)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덮개(30)가 구동부(160)에 의해 이동될 때 가이드레일(115)과 가이드롤러(113)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의 상측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덮개(3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111)의 사이에는 복수의 롤러(117)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117)는 덮개(30)가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이동될 때 덮개(30)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덮개(30)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롤러(117)는 박스 본체(10)의 일단부 상측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박스 본체(10)의 상부가 전체면적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지 않고 일부면적만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박스 본체(10)의 일단부 상측에 개방되지 않은 부분에 복수의 롤러(117)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제1실린더(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실린더(120) 각각은 박스 본체(10)의 측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프레임(111)의 하측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린더(120)의 구동을 통해 가이드부(110)를 승하강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이드부(110)의 가이드롤러(113)와 가이드레일(115)에 의해 덮개(30)를 승하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제1실린더(120)는 가이드부(110)의 승하강 및 덮개(3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이면서 가이드프레임(111)의 하측에는 복수의 제1승하강가이드(121)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승하강가이드(121)는 제1실린더(120)에 의해 승하강되는 가이드프레임(111)의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1실린더(120)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복수의 제1승하강가이드(121)가 가이드프레임(111)이 뒤틀림없이 승하강될 수 있게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가이드프레임(111)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양단이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에 결합되되 박스 본체(10)의 일단부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가이드부(110)의 가이드프레임(111)을 지지할 수 있고 후술하는 구동모터(16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한 쌍의 제1실린더(120)의 측면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와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형상의 지지브라켓(132)과 지지브라켓(132)의 측면 내측에 각각 구비되되 가이드레일(115)의 측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롤러(135)와 지지브라켓(132)의 절곡부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고정블럭(133)과 제1고정블럭(133)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가이드프레임(111)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고정블럭(134)과 일측이 가이드프레임(111)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고정블럭(133)에 결합되어 가이드프레임(111)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지지바(137)와 일측이 제1고정블럭(133)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고정블럭(134)에 결합되어 가이드프레임(111) 및 지지브라켓(13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지지바(1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는 복수의 제1실린더(120) 중 일측 단부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실린더(120)의 측면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는 제1실린더(120)에 의해 호퍼(40)가 승하강될 때 호퍼(40)의 하측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되는 지지브라켓(132)의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승하강가이드(131)에 의해 지지브라켓(132)이 뒤틀림없이 승하강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지지브라켓(132)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132)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브라켓(132)의 양단은 전술한 제2승하강가이드(131) 각각에 결합되고 중간부분은 후술하는 호퍼(4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132)은 양단부가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132)의 중간부분에는 구동부(160)가 결합될 수 있고 양측의 절곡부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제1고정블럭(13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132)에는 한 쌍의 제1고정블럭(13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블럭(133)은 후술하는 제1지지바(137)가 결합됨으로써 제1고정블럭(133)에 의해 제1지지바(137)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제1지지바(137)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의 지지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지지바(137)는 일측은 가이드프레임(111)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고정블럭(13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지지바(137)는 가이드프레임(111)이 자중에 의해 휨이 발생하거나 덮개(30)가 가이드프레임(111)의 상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덮개(30)에 무게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덮개(3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프레임(11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바(137)는 강재재질의 막대 형상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와이어 및 강선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프레임(111)의 측면에는 제2고정블럭(134)이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블럭(134)은 제1고정블럭(133)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블럭(134)에는 후술하는 제2지지바(138)가 결합됨으로써 제2고정블럭(134)에 의해 제2지지바(138)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제2지지바(138)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 및 지지브라켓(132)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지지바(138)는 일측은 제1고정블럭(133)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고정블럭(134)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가이드롤러(135)는 지지브라켓(132)의 양측 내면에 각각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15)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가이드롤러(135)가 가이드레일(115)의 측면에서 가이드레일(115)을 가이드하여 덮개(30)가 보다 용이하게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111)에는 복수의 가압장치(14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장치(140)는 가이드프레임(111)과 결합되는 ㄱ자형상의 가압클램프(141)와 가압클램프(141)가 덮개(30)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가압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클램프(141)는 가이드프레임(111)의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압클램프(141)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클램프(141)는 제1실린더(120)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이 승하강될 때 함께 승하강됨으로써 덮개(30)의 상측을 가압하거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30)가 박스 본체(10)의 상측으로 밀착되도록하여 보다 확실하게 박스 본체(10)를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가압클램프(141)에는 가압부재(143)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143)는 가압클램프(141)가 덮개(30)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143)는 가압클램프(141)가 덮개(30)측으로 가압될 때 덮개(3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43)가 덮개(30)의 상측을 가압하여 후술하는 패킹재(241)가 최대수축점에 도달할 때까지 덮개(3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30)가 보다 강하게 박스 본체(10)를 밀폐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30)의 하측에는 구동모터(163)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163)는 지지브라켓(132)의 중간부분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60)는 덮개(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체인(161)과 지지부(130)의 중간부분에 결합되는 구동모터(163)와 구동모터(163)의 일측에 결합되되 체인(161)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구동기어(1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인(161)은 덮개(3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체인(161)은 후술하는 구동기어(165)와 치합됨으로써 구동기어(165)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63)의 구동에 의해 덮개(30)를 아스콘 보온 박스(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지지부(130)의 중간부분이면서 체인(161)의 상측에는 구동모터(163)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163)는 일반적인 모터를 사용하거나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공압동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모터(163)는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65)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기어(165)와 치합되는 체인(161)이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덮개(3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모터(163)의 일측에는 구동기어(165)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기어(165)는 체인(161)과 치합되도록 형성됨으로서 구동모터(165)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덮개(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클램프(141)의 상측에는 호퍼(40)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호퍼(40)가 가압클램프(141)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가이드프레임(111)과 가압클램프(141)와 호퍼(40)가 일체화되고 이에 따라 제1실린더(120)에 구동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과 가압클램프(141)와 호퍼(40)가 모두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호퍼(40)는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퍼(40)가 상측의 폭이 넓고 하측의 폭은 좁게 형성됨으로써 아스콘 제조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아스콘이 호퍼(40)를 통해 내부 박스(13)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호퍼(40)는 아스콘을 내부 박스(13)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깔대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아스콘 보온 박스(1)의 내측으로 아스콘이 보다 용이하게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호퍼(40)는 덮개(3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호퍼(40)와 덮개(3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통해 덮개(30)가 상승되어 덮개(30)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에 의한 덮개(30)의 개방 구동 과정을 설명한다.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는 제1실린더(120)의 인장 구동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11)이 상측으로 상승됨에 따라 덮개(30)의 상측을 가압하는 가압장치(140)의 가압클램프(141)가 함께 상승되어 덮개(30)의 상면과 이격됨으로써 덮개(30)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후에 제1실린더(120)가 지속적으로 인장 구동하여 가이드프레임(111)이 덮개(3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5)을 지지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림에 따라 덮개(30)가 상승되어 박스 본체(10)의 상측과 이격됨으로써 박스 본체(1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스 본체(10)의 상측으로 이격된 덮개(30)는 상면에 구비된 체인(161)과 치합된 구동기어(165)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63)의 구동에 의해 덮개(30)가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30)가 가이드프레임(111)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박스 본체(10)의 상부가 완전하게 개방되어 아스콘 제조 장치에서 출하되는 아스콘을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에 의한 덮개(30)의 폐쇄 구동 과정을 설명한다.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는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아스콘의 적재가 완료되면 구동모터(163)의 구동을 통해 덮개(30)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덮개(30)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박스 본체(10)의 상측에 도달하게 되면 제1실린더(120)가 수축 구동하여 가이드프레임(111)을 하강시킴으로써 덮개(30)가 하강되어 박스 본체(10)의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이후에 제1실린더(120)가 지속적으로 수축 구동하여 가압장치(140)의 가압클램프(141)가 덮개(30)의 상면과 밀착되어 덮개(30)를 가압함으로써 덮개(30)를 외부 박스 본체(10)의 상측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의 폐쇄 구동 과정에 의해 가압장치(140)가 덮개(30)의 상측을 가압하여 덮개(30)가 박스 본체(10)의 상측을 강하게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박스 본체(10)의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 및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는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장치(220)는 외부 박스(11)의 외측에서 외부 박스(11)를 관통한 후 일측 단부가 내부 박스(13)에 체결되어 외부 박스(11)를 내부 박스(13)의 외측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박스(11)는 복수의 고정장치(220)에 의해 내부 박스(13)의 외측에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고정장치(220)에 의해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장치(220)는 덮개(30)의 하부판(33)을 상부판(31)에 고정하면서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덮개(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장치(220)는 하부판(33)의 외측에서 하부판(33)을 관통한 후 일측 단부가 상부판(31)에 체결되어 하부판(33)이 상부판(31)에 고정되게 한다.
즉,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결합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장치(220)와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을 결합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장치(220)에 의해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 및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 및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 박스(13)의 내측에 담겨진 아스콘의 열이 외부 박스(11) 및 덮개(30)의 상부판(31)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 및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고온 단열재(230)가 채워져 아스콘 보온 박스(1)에 담겨진 아스콘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스콘의 온도를 더욱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고정장치(220)는 덮개(30)의 하부판(33) 및 외부 박스(11)를 후술하는 열전도율이 거의 없는 복수의 고정바(210)에 고정함으로써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가 복수의 고정장치(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고,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이 복수의 고정장치(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부 박스(13)의 내측에 담겨진 아스콘의 열이 외부 박스(11) 및 덮개(30)의 상부판(31)으로 전도되어 아스콘 보온 박스(1)에 담겨진 아스콘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내부 박스(13)의 외면과 덮개(30)의 상부판(31)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고정바(21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은 전술한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내부 박스(13) 및 덮개(30)의 상부판(31)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후술하는 복수의 고정바(210)를 고정하여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 박스(13)의 외면과 덮개(30)의 상부판(31)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은 중앙부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된 중앙부분에 후술하는 고정바(21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은 강재로 형성되고, 일면이 내부 박스(13)의 외면 또는 덮개(30)의 상부판(31) 내측에 용접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에는 복수의 고정바(210)가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바(210)는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에 각각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복수의 고정장치(220)의 일측 단부가 각각 체결되게 된다. 즉, 복수의 고정바(210)는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에 각각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내부 박스(13) 및 덮개(30)의 상부판(31)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아스콘 보온 박스(1)에 담겨진 아스콘의 열이 복수의 고정장치(220)를 통해 외부로 전도되어 아스콘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바(210)는 열전도율이 거의 없는 목재 또는 MC나일론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과 복수의 고정장치(220)의 사이에 열전도율이 거의 없는 고정바(210)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고정장치(220)에 의해 내부 박스(13)의 내측에 담겨진 아스콘의 열이 외부 박스(11)로 전도되거나 덮개(30)의 상부판(31)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바(210)에 의해 내부 박스(13)의 내측에 담겨진 아스콘의 열이 복수의 고정장치(220)를 통해 외부로 전도되어 아스콘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복수의 고정장치(220)를 내부 박스(13)에 직접 체결하게 되면 내부 박스(13)에 수용된 아스콘의 열이 내부 박스(13)와 복수의 고정장치(220)를 통해 외부 박스(11) 및 덮개(30)의 상부판(31)으로 전도되어 아스콘 보온 박스(1)에 담겨진 아스콘의 온도가 단시간에 저하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내부 박스(13) 및 덮개(30)의 상부판(31)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거의 없는 복수의 고정바(210)에 복수의 고정장치(220)의 일측 단부를 각각 고정함으로써, 외부 박스(11)를 내부 박스(13)의 외측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뿐만 아니라,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에 후술하는 고온 단열재(230)를 채울 수 있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 및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고온 단열재(230)가 충진될 수 있다. 고온 단열재(230)는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 및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의 이격공간에 충진되어 아스콘 보온 박스(1)에 수용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온 단열재(230)는 세라믹울(ceramic wool), 미네랄울(mineral wool), 셀룰로오스(cellulose), 세라믹페이퍼(ceramic paper), 우레탄, 세라크울(cerak wool), 바이오세라크울(biocerak wool) 및 암면(rock wool)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박스(11)의 내측면 및 덮개(30)의 하부판(33) 상측면 각각에는 단열보드(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단열보드(250)는 세라믹보드, 세라믹포, 실리카보드, 실리카포와 같은 세라믹계와 실리카계 단열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단열보드(250)가 외부 박스(11)의 내측면 및 덮개(30)의 하부판(33) 상측면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1)에 수용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 박스(11) 및 덮개(30)의 상부판(31)로 전도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박스(11) 및 덮개(30)의 상부판(31)의 외기가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 및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전도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온 단열재(230)와 단열보드(250)에 의해 단열 효과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부 박스(13)에 담겨진 아스콘의 온도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이격공간의 상측에는 단열수지(240)가 구비될 수 있다. 단열수지(240)는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이격공간 상측을 마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단열수지(240)는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및 덮개(30)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전도의 차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아스콘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30)는 하부판(33)의 하측에 단열수지(240)를 더 구비하거나 덮개(30)의 하부판(33)을 단열수지(240)로 형성할 수 있다. 덮개(30)의 하측에 단열수지(240)를 구비하거나 덮개(30)의 하부판(33)을 단열수지(240)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상측에 구비되는 단열수지(240)와 덮개(30)의 하측에 구비되는 단열수지(240)가 접촉되거나 단열수지(240)로 형성되는 덮개(30)의 하부판(33)과 접촉됨으로써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상측과 덮개(30)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아스콘의 열이 덮개(30)를 통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열수지(240)는 단열효과가 우수한 베이클라이트판 또는 MC나일론판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상측에 구비된 단열수지(240)의 상측과 덮개(30)의 하측에 구비된 단열수지(240)의 하측 각각에는 패킹재(241)가 구비될 수도 있고, 덮개(30)의 하측에 구비된 단열수지(240)의 하측 가장자리 또는 단열수지(240)로 형성된 덮개(30)의 하부판(33)의 하측 가장자리에만 패킹재(241)가 구비될 수도 있다.
패킹재(241)는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상측과 덮개(30)의 접촉면을 패킹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1)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재(241)는 발포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고, 열전도율이 낮고 내열성이 강한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외부 박스(11)의 내면과 내부 박스(13)의 외면과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 및 복수의 고정바(210)에는 방습제가 도포되거나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의 내면과 상부판(31)의 내면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200) 및 고정바(210)에도 방습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방습제는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 및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외기와 아스콘의 온도 차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방습제는 외부 박스(11)의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 및 덮개(30)의 내부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고온 단열재(230)를 충진하기 이전에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박스(11)의 내면과 내부 박스(13)의 외면과 고정 브라켓(200) 및 고정바(210)에 방습제를 도포함으로써,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통해 내부 박스(13)에서 외부 박스(11)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의 내면과 상부판(31)의 내면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200) 및 고정바(210)에 방습제를 도포함으로써,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통해 덮개(30)의 하부판(33)에서 상부판(31)으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와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 및 복수의 고정바(210)가 습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스콘 보온 박스(1)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방습제는 절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10중량부를 첨가하여 가열 교반하여 제1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제1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콤파운드(asphalt compound) 30~70 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2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제2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닐린(PANI) 1~5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3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제3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zeolite) 6~12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4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제4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부텐(Polybutene) 1~5중량부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0.2~0.8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자연냉각시켜 제5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제5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일렌(xylene) 30~70중량부를 첨가하고, 제5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솔벤트 용제 3호를 10~40중량부를 첨가하고 용해하여 제6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외부 박스(11) 일측면의 하측과 내부 박스(13) 일측면의 하측에는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연통하는 배출구(30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00)는 아스콘 보온 박스(1)의 내측에 적재된 아스콘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이다.
배출구(300)의 둘레 및 외측에 단열수지(24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배출구(300)의 외면과 후술하는 개폐문(31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스콘의 열이 배출구(300) 및 개폐문(31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구(300)에는 덮개(3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개폐문(310)이 구비될 수 있다. 개폐문(310)은 배출구(300)의 상측이면서 외부 박스(11)의 외측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문(310)은 개폐 실린더(312)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출구(300)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 실린더(312)는 일측이 개폐문(310)과 결합되고 타측은 외부 박스(1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실린더(312)의 작동에 의해 개폐문(310)이 배출구(300)를 밀폐하거나 개방하거나 하여 개폐문(310)에 의한 배출구(30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폐 실린더(312)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개폐문(310)은 배출구(300)와 접촉하는 내측면 둘레에 단열수지(240)가 구비되거나, 배출구(300)와 접촉되는 개폐문(310)의 내측면에 단열수지(24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300)와 개폐문(310)에 각각 단열수지(240)가 구비됨으로써 배출구(300)와 개폐문(310)이 직접 접촉되지 않아 배출구(300)에서 개폐문(310)으로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문(310)에는 보조 배출구 및 보조 개폐문(3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배출구 및 보조 개폐문(320)은 개폐문(3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개폐문(310)에 의해 배출되는 아스콘의 양보다 적은 양의 아스콘을 배출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배출구는 배출구(3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조 개폐문(320)은 개폐문(3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조 개폐문(320)에는 보조 개폐 실린더(322)가 구비되어 보조 개폐문(32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개폐문(310)에 보조 배출구 및 보조 개폐문(320)을 형성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1)로부터 적은 양의 아스콘을 배출할 때 개폐문(310)에 의해 외기가 아스콘 보온 박스(1) 내부로 보다 적게 유입되도록 하여 아스콘의 온도 저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개폐 실린더(322)는 전술한 개폐 실린더(312)와 동일하게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개폐문(320)은 보조 개폐 실린더(322)에 의한 개폐 외에도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 조작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 조작 장치는 작업자가 보조 개폐문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락킹 구조로 형성되어 보조 개폐 실린더(322)의 구동 없이도 용이하게 보조 개폐문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출구 및 보조 개폐문(320)은 배출구(300) 및 개폐문(310)과 동일하게 보조 배출구의 둘레 및 보조 개폐문(320) 내측면 둘레에도 단열수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 배출구와 접촉되는 보조 개폐문(320)의 내측면 둘레에 단열수지(240)를 구비함으로써 보조 배출구와 보조 개폐문(320)이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조 배출구와 보조 개폐문(320)에 의해 외부로 아스콘의 온도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300)의 둘레와 개폐문(310)의 내측면 둘레 및 보조 배출구의 둘레와 보조 개폐문(320)의 내측면 둘레에 구비되는 단열수지(240)의 일측에는 패킹재(2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개폐문(310)의 내측면 둘레 및 보조 개폐문(320)의 내측면 둘레에 구비되는 단열수지(240)의 가장자리에만 패킹재(241)가 구비될 수도 있다.
패킹재(241)는 배출구(300)와 개폐문(310) 및 보조 배출구와 보조 개폐문(320)의 접촉면을 패킹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1)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스콘 보온 박스(1)를 덤프트럭이 아닌 일반트럭에 적재하여 아스콘을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여 배출할 경우를 대비하여 아스콘 보온 박스(1)의 외부 박스(11) 하측에는 아스콘 보온 박스(1)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500)의 일측 단부는 아스콘 보온 박스(1)의 외부 박스(11) 하부 일측 단부와 힌지로 결합되며, 후술하는 승강부재(600)에 의해 아스콘 보온 박스(1)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경우 외부 박스(11)와 지지플레이트(500)를 결합하는 힌지를 기준으로 아스콘 보온 박스(1)가 회전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1)의 타측이 승하강 될 수 있게 된다.
지지플레이트(500)와 외부 박스(11)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의 내부에는 승강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부재(600)는 유압실린더 및 공압실린더로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500)와 외부 박스(11)를 상호 결합하도록 구비되고 유압실린더 및 공압실린더의 인장 및 수축에 의해 승강부재(600)가 구동되어 아스콘 보온 박스(1)의 타측을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재(600)의 구동을 통해 아스콘 보온 박스(1)의 타측이 상승되거나 하강됨으로써 아스콘 보온 박스(1)에 적재된 아스콘을 배출구(30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아스콘 보온 박스(1)를 덤프트럭이 아닌 일반트럭에 적재하여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크류(400)에 의한 배출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하여, 내부 박스(13)의 내부 하측 중앙부에 배출구(300)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스크류(400)를 형성할 수 있다.
스크류(400)는 내부 박스(13)의 내측의 일단부에서부터 배출구(300)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400)는 회전에 의해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을 배출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덤프트럭이 아닌 일반트럭에 아스콘 보온 박스(1)를 탑재함에 있어서 아스콘 보온 박스(1)의 하부에 승강부재(600)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도, 내부 박스(13)의 내측에 구비된 스크류(400)의 회전에 의해 내부 박스(13)의 내부에 적재된 아스콘을 배출구(300)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스콘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부 박스(11)의 외측 하부에는 무게측정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무게측정센서는 아스콘 보온 박스(1)의 전체적인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아스콘 적재량의 의해 달라지는 무게측정값에 의해 아스콘의 적재량을 파악할 수 있다.
무게측정센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로드셀이거나 유압센서 및 무게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8 내지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아스콘 보온 박스는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부에 탑재될 수 있다. 즉, 아스콘 보온 박스(1)를 시공 현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스콘 보온 박스(1)를 승강장치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아스콘 보온 박스(1)를 트럭에 탑재 후 고정장치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스콘 보온 박스(1)가 트럭에 탑재되어 고정됨으로써 아스콘 제조공장에서 시공 현장으로 아스콘의 이송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아스콘 보온 박스(1)를 덤프트럭에 탑재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플레이트(500)와 승강부재(600) 및 스크류(400)가 설치되지 않은 아스콘 보온 박스(1)를 탑재하여 덤프트럭의 승강장치에 의해 아스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아스콘 보온 박스(1)를 덤프트럭이 아닌 일반 트럭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아스콘 보온 박스(1)에 지지플레이트(500)와 승강부재(600)가 더 설치된 아스콘 보온 박스(1)를 탑재하거나, 아스콘 보온 박스(1)의 내측에 스크류(400)가 더 설치된 아스콘 보온 박스(1)를 탑재하여 아스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아스콘 보온 박스
10 : 박스 본체
11 : 외부 박스 13 : 내부 박스
30 : 덮개 31 : 상부판
33 : 하부판
40 : 호퍼
50 : 주입모듈
51 : 주입관 53 : 주입밸브
55 : 패킹재
100 :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
110 : 가이드부 111 : 가이드프레임
113 : 가이드롤러 115 : 가이드레일
117 : 롤러
120 : 제1실린더 121 : 제1승하강가이드
130 : 지지부
131 : 제2승하강가이드 132 : 지지브라켓
133 : 제1고정블럭 134 : 제2고정블럭
135 : 측면 가이드롤러 137 : 제1지지바
138 : 제2지지바
140 : 가압장치 141 : 가압클램프
143 : 가압부재
160 : 구동부 161 : 체인
163 : 구동모터 165 : 구동기어
200 : 고정 브라켓 210 : 고정바
220 : 고정장치 230 : 고온 단열재
240 : 단열수지 250 : 단열보드
300 : 배출구
310 : 개폐문 312 : 개폐 실린더
320 : 보조 개폐문 322 : 보조 개폐 실린더
400 : 스크류
500 : 지지플레이트
600 : 승강부재
A : 아스콘
B : 불활성가스층

Claims (19)

  1. 외부 박스(11)와 상기 외부 박스(11)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 박스(13)로 형성되되 상측이 개방된 박스 본체(10);
    상기 박스 본체(10)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덮개(30);
    상기 덮개(30)를 상기 박스 본체(10)에서 개폐시키는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를 포함하는 아스콘 보온 박스에 있어서,
    상기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100)는,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면 및 상기 덮개(3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0);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30)와 상기 가이드부(110)를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제1실린더(120);
    양단이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10)의 일단부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부(130);
    상기 가이드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30)를 상기 박스 본체(10)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장치(140);
    상기 덮개(30)의 상면과 상기 지지부(130)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에는 상기 외부 박스(11)의 외측에서부터 내부 박스(13)의 내측까지 관통하는 주입모듈(50)이 구비되고,
    상기 주입모듈(50)을 통해 상기 내부 박스(13)의 내측에 불활성가스가 주입되어 아스콘의 상부에 불활성가스층(B)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입모듈(50)은,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주입관(51);
    상기 주입관(5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관(51)의 일측을 개폐하는 주입밸브(53);
    상기 주입관(51)의 타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관(51)의 타측을 개폐하는 개폐밸브(55);
    상기 주입밸브(53)에 상시 가스 주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외부 박스의 측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가스통(57); 및
    상기 주입관(51)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밀폐하는 패킹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박스(13)의 내부에는,
    불황성가스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 박스(13) 내부에 주입되는 불활성가스의 주입량 및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 감지 센서는,
    상기 주입밸브(53)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 박스(13) 내부의 불활성가스의 주입량 및 농도가 기준치 이하가 되면 상기 불활성가스 감지 센서가 상기 주입밸브(53)로 개방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주입밸브는 개방시켜 상기 내부 박스(13)의 내부로 불활성가스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 박스(13) 내부의 불활성가스의 주입량 및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상기 불활성가스 감지 센서가 상기 주입밸브(53)로 폐쇄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주입밸브(53)를 폐쇄시켜 불활성가스의 주입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가스는,
    헬륨, 아르곤, 크립톤, 라돈, 질소, 탄산가스, 크세논, 네온 , 제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120)에 의해 승하강되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승하강가이드(121)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제1승하강가이드(121)는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면이면서 상기 가이드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10)는,
    상기 박스 본체(10)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덮개(3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111);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13);
    상기 덮개(30)의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113)에 안착되는 가이드레일(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14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에 결합되는 ㄱ자형상의 가압클램프(141)와 상기 가압클램프(141)가 덮개(30)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가압부재(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140)의 상측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퍼(40)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40)는 상기 가압클램프(14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실린더(120)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110)가 승하강될 때 함께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일측에는 덮개(3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117)가 양측 가이드프레임(111)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복수의 제1실린더(120) 중 상기 박스 본체(10)의 일측 단부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실린더(120)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
    상기 한 쌍의 제2승하강가이드(13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형상의 지지브라켓(132);
    상기 지지브라켓(132)의 측면 내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15)의 측면이 접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롤러(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지지브라켓(132)의 절곡부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고정블럭(133);
    상기 제1고정블럭(133)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고정블럭(134);
    일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1)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고정블럭(133)에 결합되어 가이드프레임(111)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지지바(137);
    일측이 상기 제1고정블럭(133)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고정블럭(134)에 결합되어 가이드프레임(111) 및 지지브라켓(13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지지바(1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덮개(30)의 상면에 구비되는 체인(161);
    상기 지지부(13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163);
    상기 구동모터(163)에 결합되되 상기 체인(161)과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구동기어(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30)는,
    상부판(31)과 하부판(33)으로 형성되고,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는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장치(220)에 의해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는 고온 단열재(23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10)의 내부 박스(13) 외면과 상기 덮개(30)의 상부판(31) 내면에는 각각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00)에는 복수의 고정바(210)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바(210)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장치(220)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상기 박스 본체(10)의 내부 박스(13) 외면 및 상기 덮개(30)의 상부판(31) 내면과 접촉이 차단되고,
    상기 덮개(30)의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의 이격공간, 상기 복수의 고정 브라켓(200) 및 상기 복수의 고정바(210)에는 방습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의 사이에는 복수의 고정장치(22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장치(220)에 의해 상기 외부 박스(11)가 내부 박스(13)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는 고온 단열재(230)가 충진되고,
    상기 박스 본체(10)의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방습제가 도포되어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외기와 아스콘의 온도 차에 의한 습기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박스(11) 일측면의 하측과 상기 내부 박스(13) 일측면의 하측에는 상기 외부 박스(11)와 내부 박스(13)를 연통하는 배출구(300)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00)의 상측에는 상기 배출구(300)를 개폐하는 개폐문(310)이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문(310)은 개폐 실린더(312)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19.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방습제는,
    절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1~10중량부를 첨가하여 가열 교반하여 제1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1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팔트 콤파운드(asphalt compound) 30~70 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2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2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닐린(PANI) 1~5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3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3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올라이트(zeolite) 6~12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열 교반하여 제4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4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부텐(Polybutene) 1~5중량부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0.2~0.8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자연냉각시켜 제5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제5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일렌(xylene) 30~70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제5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솔벤트 용제 3호를 10~40중량부를 첨가하고 용해하여 제6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0220079080A 2022-06-28 2022-06-28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52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080A KR102520126B1 (ko) 2022-06-28 2022-06-28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080A KR102520126B1 (ko) 2022-06-28 2022-06-28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126B1 true KR102520126B1 (ko) 2023-04-13

Family

ID=8597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080A KR102520126B1 (ko) 2022-06-28 2022-06-28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12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826A (ja) * 1991-08-30 1993-03-09 Meisei Kogyo Kk 断熱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15603Y1 (ko) * 2000-10-16 2001-03-15 중원산기주식회사 아스콘 저장빈의 밀폐장치
KR100824982B1 (ko) * 2007-11-14 2008-04-28 한빛테크원 (주) 친환경 음식 폐기물 원거리 운송박스
KR200454650Y1 (ko) 2009-03-26 2011-07-19 신운철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101553232B1 (ko) * 2014-03-27 2015-09-15 주식회사 대광티엔알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20150124807A (ko) * 2014-04-29 2015-11-06 신운철 덤프형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JP3204131U (ja) * 2016-02-10 2016-05-19 ガイア株式会社 冷凍・冷蔵倉庫の外壁構造
KR20160127994A (ko) * 2015-04-28 2016-11-07 인화건설산업주식회사 아스콘 저장용 보온박스
KR101943868B1 (ko) * 2018-06-26 2019-01-30 (주)옥련건설 도로보수용 아스콘 보온장치
KR20190021036A (ko) * 2017-08-22 2019-03-05 홍기철 아스콘 보온박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826A (ja) * 1991-08-30 1993-03-09 Meisei Kogyo Kk 断熱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15603Y1 (ko) * 2000-10-16 2001-03-15 중원산기주식회사 아스콘 저장빈의 밀폐장치
KR100824982B1 (ko) * 2007-11-14 2008-04-28 한빛테크원 (주) 친환경 음식 폐기물 원거리 운송박스
KR200454650Y1 (ko) 2009-03-26 2011-07-19 신운철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KR101553232B1 (ko) * 2014-03-27 2015-09-15 주식회사 대광티엔알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20150124807A (ko) * 2014-04-29 2015-11-06 신운철 덤프형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KR20160127994A (ko) * 2015-04-28 2016-11-07 인화건설산업주식회사 아스콘 저장용 보온박스
JP3204131U (ja) * 2016-02-10 2016-05-19 ガイア株式会社 冷凍・冷蔵倉庫の外壁構造
KR20190021036A (ko) * 2017-08-22 2019-03-05 홍기철 아스콘 보온박스
KR101943868B1 (ko) * 2018-06-26 2019-01-30 (주)옥련건설 도로보수용 아스콘 보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68365B2 (en) Tilting apparatus with an offset connection between base and tilt arm
KR102520126B1 (ko)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0890954B1 (ko)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2520131B1 (ko)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018758B1 (ko) 아스콘 보온박스
KR102520137B1 (ko)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423924B1 (ko) 레일형 덮개 개폐 장치가 구비된 아스콘 보온 박스
JP2019525044A (ja) ストーンコラムを作成するための振動装置及びストーンコラム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
KR102520144B1 (ko) 불활성가스 주입이 가능한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423925B1 (ko)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423921B1 (ko) 덮개 개폐 장치가 구비된 아스콘 보온 박스
KR102423889B1 (ko) 아스콘 보온 운반용 특장차
KR102423908B1 (ko) 아스콘 보온 박스
KR101692715B1 (ko) 덤프형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KR102423919B1 (ko) 조립형 아스콘 보온 박스
KR200215603Y1 (ko) 아스콘 저장빈의 밀폐장치
KR101148258B1 (ko) 덤프형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JP4866714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の貯蔵サイロ
WO2000018667A1 (en) Self raising hopper for delivering aggregate
CN217100209U (zh) 一种自动伸缩保温棚
KR20030047436A (ko)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JP4109794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サイロの垂直搬送装置
EP2177415B1 (fr) Wagon pour le transport de véhicules automobiles
KR100640271B1 (ko) Mspc 조성물 이송장치
RU2274594C1 (ru) Конвейер пластинчатый передвижной с изменяемой высотой подъ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