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987B1 -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987B1
KR100448987B1 KR10-2001-0077927A KR20010077927A KR100448987B1 KR 100448987 B1 KR100448987 B1 KR 100448987B1 KR 20010077927 A KR20010077927 A KR 20010077927A KR 100448987 B1 KR100448987 B1 KR 10044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y
concrete
conveyor
chute
mix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436A (ko
Inventor
조남원
Original Assignee
삼부토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토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토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9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09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conveyor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댐(1)의 정상면(3)에 이송차(10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차(100)에는 레미컨 공급 컨베이어(210)가 설치되며, 이 공급 컨베이어(210)에서 공급되는 레미콘을 철근(11)이 배근된 법면(2)을 따라 상승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 포장차(30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전,후방 위치와 상,하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과,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의 대차(320)의 골조(32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투입슈트(340)와, 상기 투입슈트(340)의 상,하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입슈트 변위 조절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슬립폼 포장차가 법면의 상단부에 도달하여 레미콘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를 모두 철거한 경우에도 공급 컨베이어와 투입슈트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레미콘이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에 자동으로 공급되어지며, 이에 따라 슬립폼 포장차는 법면의 최상단부까지 콘크리트층을 자동으로 타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APPARATUS TO SUPPLY REMICON FOR CASTING CONCRETE IN THE SLOPE OF A EMBANKMENT}
본 발명은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립폼 포장차가 법면의 상단부에 도달하여 레미콘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를 모두 철거한 경우에도 공급 컨베이어와 투입슈트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레미콘이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에 자동으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슬립폼 포장차는 법면의 최상단부까지 콘크리트층을 자동으로 타설할 수 있도록 한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의 법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는 재래 방식에 의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공기가 길어지는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급경사면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발된 공법으로서 슬립 폼(Slip Form)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방법이 있다.
슬립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공법은 댐 등의 경사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안내레일을 설치하고, 이 안내레일 위로 구동할 수 있도록 슬립 폼을 설치하여 경사면의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의 구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슬립 폼을 안내레일을 따라 끌어올려 다음 구간에 콘크리트를 연속작업으로 타설하는 식으로 댐 상단부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슬립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방법으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43256호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방법에서는 슬립 폼이 법면의 상단부에 도달하여 대차의 전방부에 레미콘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가 제거된 때에는 레미콘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없게 되므로 레미콘을 수작업에 의해 공급하여 작업자가 삽으로 일일이 펼쳐 주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슬립폼 포장차가 법면의 상단부에 도달하여 레미콘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를 모두 철거한 경우에도 공급 컨베이어와 투입슈트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레미콘이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에 자동으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슬립폼 포장차는 법면의 최상단부까지 콘크리트층을 자동으로 타설할 수 있게 되는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가 채용된 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댐 법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장면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슬립폼 포장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레미콘 공급부와 이송차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레미콘 타설부와 슬립폼 포장차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레미콘 공급부의 이송차에 슬립폼 포장차가 탑재된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레미콘 공급부의 이송차에 레미콘 공급 컨베이어와 가이드 레일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이송차의 평면도.
도 8은 슬립폼 포장차에서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9는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슬립폼 포장차의 골조에 투입슈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공급 컨베이어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위 조절수단의측면도 및 종단면도.
도 13은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14 및 도 15는 법면의 상단부를 타설하는 작용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댐 2 : 법면
3 : 정상면 11 : 철근
100 : 이송차 101 : 대차
210 : 공급 컨베이어 211 : 컨베이어 프레임
212 : 롤러 213 : 래크
300 : 슬립폼 포장차 320 : 대차
321 : 골조 323 : 가이드 레일
340 : 투입슈트 600 : 투입슈트 변위 조절수단
610 : 실린더 620, 630 : 힌지부
640 : 힌지부 710 : 실린더
700 :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
711, 712 : 힌지부 720 : 외부틀
721 : 가이드 레일 730 : 모터
731 : 피니언 732 : 구동축
740 : 힌지부 750 : 실린더
751 : 플러저 752, 753 : 힌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는 댐의 정상면에 이송차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차에는 공급 컨베이어가 설치되며, 이 공급 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레미콘을 철근이 배근된 법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 포장차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전,후방 위치와 상,하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과, 상기 슬립폼 포장차의 대차의 골조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투입슈트와, 상기 투입슈트의 상,하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입슈트 변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댐 법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장면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슬립폼 포장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레미콘 공급부와 이송차를 보인 정면도, 도 4에는 레미콘 타설부와 슬립폼 포장차를 보인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5에는 레미콘 공급부의 이송차에 슬립폼 포장차가 탑재된 형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레미콘 공급부의 이송차에 레미콘 공급 컨베이어와 가이드 레일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면에서 부호 1은 댐을 보인 것이고, 2는 댐(1)의 법면(2)을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이 관련된 포장장치는 댐(1)의 법면(2)에 콘크리트층을 시공하기 위한 것이며, 개념적으로 댐(1)의 정상면(頂上面)(3)에서 레미콘을 공급하는 레미콘 공급부와, 법면(2)에 레미콘을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레미콘 타설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미콘 공급부는 정상면(3)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차(100)가 설치되고, 이송차(100)에는 레미콘 트럭(4)으로부터 배출되는 레미콘을 공급하기 위한 레미콘 공급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레미콘 타설부는 법면(2)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미콘 공급수단(200)에서 공급되는 레미콘을 철근(11)이 배근된 법면(2)에 타설하는 슬립폼 포장차(30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10)의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레미콘 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레미콘을 슬립폼 포장차(300)까지 이송하는 슈트(330)가 설치된다.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는 도 2, 도 4 및 도 5와 같이 대차(320)의 양단부에 가이드 레일(310)과 대응되는 지지바(325)가 각각 고정되고, 양쪽 지지바(325)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326)가 결합되어 있으며, 대차(320)의 하부에는 흙손과 같이 콘크리트면을 반반하게 하는 슬립 폼(340)이 결합되어 있다.
이 슬립폼 포장차(300)는 법면(2)의 하부에서 포장작업을 하면서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포장작업이 완료되면 이송차(100)의 가이드 레일(311) 위에 탑재되어 다음 구간으로 이동된다.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를 콘크리트 타설구간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00)은 도 7과 같이 이송차(100)에 윈치(410)가 설치되고 도 4와 같이 슬립폼 포장차(300)의 대차(320)에 결합된 풀리(420)에 로프(421)가 권회되어 윈치(410)에 의해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의 주변에는 포장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지원장치가 설치되며, 이 지원장치는 가이드 레일(310)과 철근(11) 등의 필요한 자재를 운반하고 타설에 수반된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지원차(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댐(1)의 정상면(3)에는 이송차(150)가 설치되며 이송차(150)에는 지원차(5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윈치(410)가 설치된다.
상기 지원차(500)는 운반하기 위한 자재 및 부수작업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복수대가 설치된다.
상기 레미콘 공급부의 이송차(100) 및 레미콘 공급수단(200), 그리고 레미콘 타설부의 슈트(330) 및 슬립폼 포장차(300)는 법면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중추적인 구성이며, 지원장치는 공사가 원활하게 하고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이 감소되도록 지원하여 시공이 유리하게 진행되도록 기여한다.
도 7은 이송차의 평면도를 보인 것으로, 도 3, 6,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이송차(100)는 대차(101)의 하부에 롤러(102)가 결합되어 정상면(3)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대차(101)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를 탑재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311)이 법면(2) 위의 가이드 레일(31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형태로 지지바(312)의 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이송차(100)에는 도 3, 6, 7과 같이 슬립폼 포장차(300)가 인상되면서 작용되는 힘에 의해 전복되지 않도록 무게를 조절하기 위한 웨이트 박스(140)가 양쪽에 구비되고, 이 웨이트 박스(140)에 모래와 같은 중량 조절재를 담아 무게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미콘 공급수단(200)은 이송차(100)의 대차(101) 중간부에 공급 컨베이어(210)를 대차(101)의 폭방향으로 설치하여, 레미콘 트럭(4)에서 배출되는 레미콘이 공급 컨베이어(210)의 일단부에 구비된 호퍼(217)로 유입되고, 타단부에 구비된 호퍼(218)로 배출되어 법면(2)에 설치된 슈트(330)로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슈트(330)는 법면(2)의 양쪽 가이드 레일(310) 중간부에 설치되고, 그 상단부가 공급 컨베이어(210)가 배출 호퍼(218)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10은 레미콘 슈트의 측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11은 레미콘 슈트의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슈트(3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단위 슈트(331)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슈트(331)는 양쪽변부에 다수개의 받침부재(332)가 고정되고, 보강부재(333)가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슬립폼 포장차에서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9는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로서, 이하 도 4,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에는 상기 슈트(330)로 공급되는 레미콘을 철근(11)이 소정 폭으로 배근된 법면(2)에 고르게 투입하기 위한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3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350)는 컨베이어 벨트(354)가 컨베이어 프레임(351)에 결합된 캐리어 롤러(355)와 리턴 롤러(356)에 권회되어 엔드리스형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슬립폼 포장차(300)의 대차(320)에 설치된 골조(321)의 일측에 컨베이어 지지부(322)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 지지부(322)의 하측 양단부에 가이드 레일(323)이 고정되어 있으며, 컨베이어 프레임(351)의 상측 양단부에는 다수개의 롤러(352)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롤러(352)가 양쪽 가이드 레일(323)에 삽입되어 컨베이어 프레임(351)이 상기 가이드 레일(323)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35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골조(321)에 구비된 고정부(324)에는 모터(360)가 고정되고, 고정부(324) 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축(362)이 모터(360)의 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351)의 양쪽 하단부에는 래크(353)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362)의 양단부에는 래크(353)와 맞물리는 피니언(361)이 고정되어 모터(360)의 구동력으로 컨베이어 프레임(351)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350)는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투입호퍼(357)가 양단부에 결합되고, 양쪽 투입호퍼(357) 사이의 길이가 슬립폼 포장차(300)가 타설하는 구간의 폭(S)의 반절 이하가 되도록 제작된다.
도 10에는 슬립폼 포장차의 골조에 투입슈트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11 및 도 12에는 공급 컨베이어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위 조절수단의 측면도 및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변위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과, 투입슈트(3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입슈트 변위 조절수단(600)은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가 법면(2)의 상단부에 도달한 경우에도 레미콘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타설하도록 함으로써 법면(2) 상단부의 타설을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은 이송차(100)의 대차(101)와 외부틀(720)의 하측 네모서리부에 실린더(710)가 힌지부(711),(712)로 결합되고, 컨베이어 벨트(214)가 컨베이어 프레임(211)에 결합된 캐리어 롤러(215)와 리턴 롤러(216)에 권회되어 엔드리스형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공급 컨베이어(210)가 외부틀(72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높이가 실린더(710)에 의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 외부틀(720)의 상측 양단부에 가이드 레일(721)이 고정되고, 컨베이어 프레임(211)의 상측 양단부에는 다수개의 롤러(2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롤러(212)가 양쪽 가이드 레일(721)에 삽입됨으로써 컨베이어 프레임(211)이 상기 가이드 레일(323)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11)의 양쪽 하단부에는 래크(21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틀(720)의 하부에는 모터(730)가 고정되고, 모터(730)의 축과 연결된 구동축(732)의 양단부에는 래크(213)와 맞물리는 피니언(731)이 고정되어 모터(730)의 구동력으로 컨베이어 프레임(211)이 전후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슈트(340)의 상,하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입슈트 변위 조절수단(600)은 투입슈트(340)를 골조(321)에 힌지부(64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투입슈트(340)와 골조(321)의 사이에 실린더(610)를 힌지부(630),(62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3은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의 다른 형태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외부틀(720)의 후단부를 대차(101)에 힌지부(74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대차(101)에 실린더(750)의 하단부를 힌지부(752)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플런저(751)의 선단부를 힌지부(753)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가 채용된 타설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댐(1)의 법면(2)의 일정한 타설구간에 콘크리트층을 타설함에 있어서는 정상면(3)의 가이드 레일(110) 위에 설치된 이송차(150)에 지원차(500)를 탑재하고 작업하고자 하는 구간으로 이송시킨 후, 지원차(500)에 가이드 레일(310), 단위 슈트(331) 및 철근(11) 등을 싣고 윈치(410)의 로프(421)를 풀어주면 지원차(500)가 법면(2) 위를 바퀴(도시되지 않음)로 굴러 하강한다.
이와 같이 지원차(500)로 가이드 레일(310)을 이송하여 타설하고자 하는 법면(2) 위에 가이드 레일(310)을 설치한 후, 이송차(100)에 슬립폼 포장차(300)를 탑재하여 타설하고자 하는 구간으로 이송시킨다.
이어서, 이송차(100)에 구비된 윈치(410)를 작동시켜 로프(421)를 풀어주면 슬립폼 포장차(300)가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대차(320)의 하부에 결합된 롤러(326)로 굴러 하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슬립폼 포장차(300)를 하강시켜 법면(2)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레미콘 타설작업을 시작하기 전 단계에서 법면(2)의 양쪽 가이드 레일(310) 사이의 타설구간에 지원차(500)로 이송한 철근(11)을 배근하고, 철근(11)이 배근된 영역의양쪽 변부에 거푸집을 형성하며, 타설구간의 중간부에 다수개의 레이콘 이송용 단위 슈트(331)를 직선상으로 설치한다.
이때 각 단위 슈트(331)는 다수개의 받침부재(332)가 양쪽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타설구간에 조합하여 세워두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타설구간에 철근(11)이 배근되고, 슈트(330)가 설치됨과 아울러 거푸집이 설치된 후, 댐(1)의 정상면(3)에서 레미콘 트럭(4)으로 운반된 레미콘을 이송차(100)에 설치된 공급 컨베이어(210)에 공급하면 레미콘이 공급 컨베이어(210)의 회동에 의해 슈트(330)로 공급되고, 슈트(330)를 타고 하부로 이동되어 슬립폼 포장차(300)에 설치된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350) 위로 투입된다.
그리고, 슬립폼 포장차(300)의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350)에 투입된 레미콘은 컨베이어 벨트(354)가 회동함에 따라 투입호퍼(357)를 통하여 법면(2) 좌우로 고르게 투입된다.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에는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350)를 조작하는 등 필요한 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여, 철근(11)이 배근된 법면(2) 위로 레미콘이 투입되면 통상의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다져 넣는 작업 등을 행한다.
이와 같이 타설작업을 하면서 슬립폼 포장차(300)가 이송차(100)의 윈치(410)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게 되면 슬립폼 포장차(300)의 하부에 결합된 슬립 폼(340)이 콘크리트의 표면에 접촉되어 위로 이동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표면이 흙손으로 미는것처럼 반반하게 된다.
또, 슬립폼 포장차(300)에 탑승한 작업자는 슬립폼 포장차(300)의 후방부에 설치된 가림부재 롤에서 캔버스와 같은 가림부재를 풀어 평탄하게 된 콘크리트 표면 위를 덮어 양생이 잘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행하면서 슬립폼 포장차(300)가 법면(2)의 상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도 14 및 도 15와 같이 공급 컨베이어(210)가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에 의해 대차(101)를 기준으로 하여 후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실린더(710)에 의해 전방부가 들어올려지고, 또 슬립폼 포장차(300)의 골조(321)에 결합된 투입슈트(340)의 상,하방 각도가 투입슈트 변위 조절수단(600)에 의해 조절되어 공급 컨베이어(210)를 타고 공급되는 레미콘이 투입슈트(340)에 낙하되므로 슬립폼 포장차(300)가 법면(2)의 상단부에 도달한 경우에도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350)에 레미콘이 자동으로 공급되어지며, 이에 따라 슬립폼 포장차(300)는 법면(2)의 최상단부까지 콘크리트층을 자동으로 타설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13에 도시된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의 다른 형태가 적용된 경우에는 공급 컨베이어(210)의 상,하방 각도를 조절하면서 실린더(750)를 작동시켜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위와 같이 하여 슬립폼 포장차(300)가 법면(2)의 정상부까지 이동하여 타설작업이 완료된 후, 윈치(410)를 작동시켜 로프(421)를 더 감아 주게 되면 슬립폼 포장차(300)가 이송차(100) 위로 연장 설치된 가이드 레일(311) 위로 탑재되며, 이와 같이 이송차(100) 위에 슬립폼 포장차(300)가 탑재되면 다음 타설구간으로 이송시켜 타설작업을 반복하여 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슬립폼 포장차(300)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댐(1)의 법면(2)을 일정한 폭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한 구간을 타설한 후에는 인접한 타설구간을 건너 뛰어 다음의 타설구간을 동일한 방법으로 타설함으로써 타설구간 사이의 중간구간 타설 시에는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타설된 콘크리트면을 이용하여 타설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는 이송차의 대차에 설치되는 공급 컨베이어를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에 의해 전,후로 위치 조절이 되고, 실린더에 의해 상,하방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과 아울러 슬립폼 포장차의 골조에 투입슈트를 상,하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 슬립폼 포장차가 법면의 상단부에 도달하여 레미콘을 이송하기 위한 슈트를 모두 철거한 경우에도 공급 컨베이어와 투입슈트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레미콘이 자주형 레미콘 투입 컨베이어에 자동으로 공급되어지며, 이에 따라 슬립폼 포장차는 법면의 최상단부까지 콘크리트층을 자동으로 타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법면의 상단부를 타설함에 있어서 인력으로 레미콘을 공급하여 타설하는 다른 공법에 비하여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될 뿐아니라, 시공품질이 향상되며, 시공기일과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댐 법면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에 매우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댐(1)의 정상면(3)에 이송차(10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차(100)에는 레미컨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컨베이어(210)가 설치되며, 이 공급 컨베이어(210)에서 공급되는 레미콘을 철근(11)이 배근된 법면(2)을 따라 상승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립폼 포장차(30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전,후방 위치와 상,하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과, 상기 슬립폼 포장차(300)의 대차(320)의 골조(32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투입슈트(340)와, 상기 투입슈트(340)의 상,하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입슈트 변위 조절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은 상기 이송차(100)의 대차(101)와 외부틀(720)의 하측 네모서리부에 실린더(710)가 힌지부(711),(712)로 결합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가 상기 외부틀(7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높이가 실린더(710)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틀(720)의 상측 양단부에 가이드 레일(721)이 고정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컨베이어 프레임(211)의 상측 양단부에는 결합된다수개의 롤러(212)가 상기 양쪽 가이드 레일(7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11)이 상기 가이드 레일(323)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외부틀(720)이 하부에는 모터(730)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730)의 축과 연결된 구동축(732)의 양단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11)의 양쪽 하단부에 고정된 래크(213)와 맞물리는 피니언(731)이 고정되어 상기 모터(730)의 구동력으로 컨베이어 프레임(211)이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 변위 조절수단(700)은 상기 공급 컨베이어(210)의 외부틀(720)의 후단부를 대차(101)에 힌지부(74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대차(101)에 실린더(750)의 하단부를 힌지부(752)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플런저(751)의 선단부를 힌지부(753)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슈트 변위 조절수단(600)은 상기 투입슈트(340)를 상기 골조(321)에 힌지부(64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투입슈트(340)와 상기 골조(321)의 사이에 실린더(610)를 힌지부(630),(62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KR10-2001-0077927A 2001-12-10 2001-12-10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KR10044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27A KR100448987B1 (ko) 2001-12-10 2001-12-10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27A KR100448987B1 (ko) 2001-12-10 2001-12-10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36A KR20030047436A (ko) 2003-06-18
KR100448987B1 true KR100448987B1 (ko) 2004-09-18

Family

ID=2957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927A KR100448987B1 (ko) 2001-12-10 2001-12-10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78B1 (ko) * 2001-12-10 2005-03-17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작업 지원장치
KR100476477B1 (ko) * 2001-12-10 2005-03-17 삼부토건주식회사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KR100836856B1 (ko) * 2008-02-26 2008-06-11 (주)삼우아이엠씨 마무리 작업모듈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CN106760544B (zh) * 2017-02-22 2019-01-29 广东龙越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用墙壁水泥铺设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36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75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bagged mail from a loading dock into a highway vehicle
JPH02209504A (ja) 材料受取装置及び方法
WO2010020089A1 (zh) 板材生产线系统
KR100543579B1 (ko)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CN112879046A (zh) 整体式自动液压移动仰拱栈桥滑模台车及其施工方法
KR100448987B1 (ko)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레미콘 공급장치
JPH07145603A (ja) 枕木間隙のコンクリート注入装置
KR100476477B1 (ko)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슬립폼 포장장치
KR20170002011A (ko) 철도 공사용 콘크리트 연속 타설을 위한 재료공급장치
FI128156B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concrete mass in sliding casting process and casting machine
KR100476478B1 (ko)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작업 지원장치
US2314647A (en) Batch charging apparatus for concrete mixers
CN112878714A (zh) 一种自动化建筑工程用砌砖机
KR20060127329A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상부구조 시공방법
KR102097600B1 (ko) 와이어메쉬의 자동공급이 가능한 콘크리트 포설장비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포설방법
US20110002762A1 (en) Site Dumping Moving Floor Hopper Method and Apparatus
CN214933418U (zh) 一种自卸料的混合料提升装置
JPS5922846B2 (ja) ダム建設工事におけるコンクリ−トの打設方法及びその装置
US3274659A (en)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articles
JP3622890B2 (ja) メッシュ敷設式連続舗装工法及びその施工機械
KR100687137B1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용 철근대차
JP3395565B2 (ja) ダムコンクリートの打設装置及び打設方法
CN107288347A (zh) 一种混凝土浇筑设备及使用该设备的混凝土浇筑方法
JP2779185B2 (ja) ドライミックス材の水中打設装置
JP3381044B2 (ja) ダム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