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922B1 -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922B1
KR100862922B1 KR1020080026361A KR20080026361A KR100862922B1 KR 100862922 B1 KR100862922 B1 KR 100862922B1 KR 1020080026361 A KR1020080026361 A KR 1020080026361A KR 20080026361 A KR20080026361 A KR 20080026361A KR 100862922 B1 KR100862922 B1 KR 10086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crack
road
fil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도
김영섭
Original Assignee
김정도
김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도, 김영섭 filed Critical 김정도
Priority to KR102008002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 E01C23/097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materials, e.g. crack sealants
    • E01C23/09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materials, e.g. crack sealants and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smoothing, gr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r installing surface markings or signals in the paving, e.g. grooving for striping or for producing rumble strips, forming marker-receiving re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 도로 유지보수방법은, 외부가 단열제(A)로 단열되는 몸체(10); 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란트가 투입되는 투입부(21) 및 투입부(21)에 실링되게 덮여지는 덮개(22)를 가지는 가열탱크(20); 몸체(10)에 설치되어 가열탱크(20)에 수납된 실란트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그 가열탱크(20)를 가열하는 메인버너(40); 가열탱크(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용용된 실란트를 토출하는 토출부(50); 및 토출부(5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그 토출부(50)로부터 토출되는 액상의 실란트를 보수예정부분으로 안내하는 실란트안내부(60);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도로에 형성된 보수예정부분인 크랙(c)을 따라 좌,우측으로 10mm ~ 70mm 위치에 1mm ~ 20mm 깊이의 실란트홈(g)을 길게 형성하는 실란트홈형상단계(S2); 크랙(c) 내부에 실란트안내부(60)로부터 토출되는 실란트(s)를 충진하는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이후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크랙(c) 외부 및 실란트홈(g)을 덮도록 실란트를 도포하는 크랙외부 실란트도포단계(S9); 크랙 외부 및 실란트홈을 덮도록 도포된 실란트를 밀대(70)를 이용하여 크랙(c)을 따라 60mm ~120mm 폭으로 펼치는 실란트 펼침단계(S10); 밀대(70)에 의하여 펼쳐진 실란트의 양쪽 가장자리를 로울러를 이용하여 도로 표면에 압착시키는 로울러압착단계(S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a road repairing method for repairing road}
본 발명은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아스콘포장도로는 아스콘에 골재를 혼합하고 가열한 혼합물로 포장한 도로로서, 유동성과 탄력성이 높아 차량의 주행성이 우수하고, 주행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아스콘의 경우 열에 취약하여 여름철과 같이 무더운 계절에 장기간 차량의 반복적인 무거운 하중을 받게 되면, 크랙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아스콘에 크랙이 발생될 경우, 크랙이 발생된 보수예정부분을 넓은 면적으로 파낸 다음 아스콘 혼합물(실란트)을 파낸 부분에 포설하여 다졌다.
그런데 크랙이 발생된 보수예정부분을 파내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아 작업진행이 더디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었고, 또한 보수예정부분을 기계적 충격을 가해 파내는 과정에서 보수예정부분이 아닌 곳까지 파내게 되어, 더큰 하자의 원인이 되곤 하였다. 특히, 보수예정부분을 파내는 장비들은 주로 외국에서 수입한 고가 장비이기 때문에, 과도한 보수비용이 발생되었다.
또한 보수예정부분을 실란트로 보수할 경우, 통행되는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실란트로 전달되어, 실란트가 보수된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습기가 침투되면 실란트는 보수된 부분으로부터 급격히 분리되어 다시 보수를 하여야 하였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수예정부분을 파내지 않고 보수할 수 있으며, 보수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유지보수방법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외부가 단열제(A)로 단열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란트가 투입되는 투입부(21) 및 상기 투입부(21)에 실링되게 덮여지는 덮개(22)를 가지는 가열탱크(20)와; 상기 가열탱크(20)를 가열하는 메인버너(40)와; 상기 가열탱크(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용용된 상기 실란트를 토출하는 토출부(50)와; 상기 토출부(50)로부터 토출되는 액상의 실란트를 보수예정부분으로 안내하는 실란트안내부(60);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도로에 형성된 보수예정부분인 크랙(c)을 따라 좌,우측으로 10mm ~ 70mm 위치에 1mm ~ 20mm 깊이의 실란트홈(g)을 길게 형성하는 실란트홈형상단계(S2); 상기 크랙(c) 내부에 상기 실란트안내부(60)로부터 토출되는 실란트(s)를 충진하는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상기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이후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랙(c) 외부 및 실란트홈(g)을 덮도록 실란트를 도포하는 크랙외부 실란트도포단계(S9); 상기 크랙 외부 및 실란트홈을 덮도록 도포된 실란트를 밀대(70)를 이용하여 상기 크랙(c)을 따라 60mm ~120mm 폭으로 펼치는 실란트 펼침단계(S10); 상기 밀대(70)에 의하여 펼쳐진 실란트의 양쪽 가장자리를 로울러를 이용하여 도로 표면에 압착시키는 로울러압착단계(S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랙 좌우측의 실란트홈(g)이 상기 크랙(c)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홈형성단계(S2)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랙(c)을 따라 그 크랙(c)의 폭보다 넓은 실란트구멍(h)을 형성하는 실란트구멍형성단계(S1)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랙(c)의 깊이가 깊을 경우, 상기 크랙(c) 내부에 채움재(k)를 채워넣는 채움재채움단계(S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에 따르면, 도로에 형성된 보수예정부분을 보수함에 있어, 실란트가 보수예정부분에 효과적으로 부착되도록 함으로서 완벽한 보수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크랙과 같은 보수예정부분을 파내지 않고도 보수할 수 있어 보수시간 및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유지보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장치는, 외부가 단열제(A)로 단열되는 몸체(10)와; 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란트가 투입되는 투입부(21) 및 투입부(21)에 실링되게 덮여지는 덮개(22)를 가지는 가열탱크(20)와; 가열탱크(20) 내부에 고압을 발생하기 위한 펌프(30)와; 몸체(10)에 설치되어 가열탱크(20)에 수납된 실란트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그 가열탱크(20)를 가열하는 메인버너(40)와; 가열탱크(20) 내부에서 실란트가 용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버너(40)에 비하여 적은 연소열을 제공하는 서브버너(45)와; 가열탱크(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용용된 실란트를 토출하는 토출부(50)와; 토출부(5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그 토출부(50)로부터 토출되는 액상의 실란트를 보수예정부분으로 안내하는 실란트안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12)가 설치된다. 이러한 바퀴(12)는 본원의 도로 유지보수장치가 어떠한 방향으로 방향을 바꿔 이동할 있도록 360도 회전가능한 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후방에는 작업자가 본원의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13)이 설치된다.
몸체(10)에는 상기한 메인버너(40) 및 서브버너(45)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탱크(F)가 수납되는 연료탱크수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탱크수납부(14)에 수납되는 연료탱크로서 예를 들면 LPG 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탱크(20)는, 크랙 보수를 위한 실란트를 액상으로 용융시키기 위한 것이다. 실란트는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지만, 170℃ 이상의 열을 받으면 용융된다. 이때 가열탱크(20)의 바닥에는 용융된 실린트가 효과적으로 흐르도록 경사부(24)가 형성되고, 경사부(24)의 단부에 형성된 공급관은 토출부(50)의 관체와 연결된다.
한편 가열탱크(20)에는 용융되는 실란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25)가 설치된다. 온도계(25)는 실란트 내부에 잠겨지는 센서와 연결되어, 그 실란트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작업자는 온도계(25)를 확인하면서 실란트의 용융된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펌프(30)는, 용융된 실란트를 연결관(51a)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펌프(30)는 가열탱크(20) 또는 몸체(10)에 설치되어, 가열탱크(20) 내부로 대기보다 높은 공기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공기압을 형성하는 펌프(3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버너(40) 및 서브버너(45)는 가열탱크(20)의 바닥으로 연소열을 제공한 다. 메인버너(40)는 가열탱크(20)에 투입된 실란트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초기에 많은 연소열을 제공한다. 서브버너(45)는 메인버너(40)가 정지된 이후에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서브버너(45)는 가열탱크(20) 내부에서 실란트가 용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메인버너(40)에 비하여 적은 연소열을 제공한다.
토출부(50)는, 가열탱크(20)에서 용융된 실란트를 실란트안내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토출부(50)는, 후방이 가열탱크(20)의 공급관과 연결되고, 전방에 실란트안내부(60)와 연결되는 연결관(51a)이 형성된 관체(51)와, 관체(51a)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52)와, 스크류(52)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5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실란트가 관체(51)의 후방으로 유입되면 회전되는 스크류(52)가 실린트를 연결관(51a)으로 강제 압송하고, 연결관(51a)과 연결된 실란트안내부(60)를 통하여 실란트는 보수예정부분으로 토출된다.
실란트안내관(60)은 연결관(51a)을 통하여 토출되는 실란트를 도로의 보수예정부분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란트안내관(60)은 연결관(51a)에 착탈되는 착탈부(61)와, 착탈부(61)와 연결되는 호스(62)와, 호스(62)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63)과, 호스(62)에 설치되어 그 호스(62)를 경유하는 실란트를 가열하는 히터(64)를 포함한다. 이때 호스(62)는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파이프(62a)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본원의 유지보수장치를 사용할 때 실란트안내관(60)의 착탈부(61)를 연결관(51a)에 결합시키고, 유지보수장치의 사용이 완료될 때에는 착탈부(61)를 연결관(51a)으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보관한다. 이때 호스(62)를 경유하는 실란트가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히터(64)는 호스(62)에 열을 계 속 제공한다.
도로의 보수예정부분에 실란트를 토출한 이후에는, 밀대(70)를 이용하여 그 실란트가 도로상에 편편해지도록 한다. 밀대(70)는 편편한 밑면을 가지며, 도로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는 실란트를 밀어서 도로상에 편편하게 펴지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유지보수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보수할 도로상에 크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크랙 내부에 채움재가 채워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채움재 상부에 실란트를 충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실란트 상부 및 실란트홈이 덮여지도록 실란트를 다시 도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 실란트 상부 및 실란트홈이 덮여지도록 도포된 실란트를 로울러를 이용하여 도로상에 편편하게 압착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다양한 융융 가능한 실란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도로유지보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수예정부분을 도로상에 형성된 크랙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보수예정부분이라 함은, 아스톤포장의 크랙이나, 아스팔트 도로 신축이음과 교량 신축이음 사이의 크랙이나, 침하되거나 파손된 맨홀 상부 주변이나, 교량과 도로의 접합부위나, 노후 아스팔트도로의 보수나, 교면 상부면에서 발생되는 파손이나, 크랙 유도를 향한 줄눈을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란트를 이용한 크랙보수작업 후 발생되는 하자의 가장 큰 원인은, 실란트 가 보수예정부분인 크랙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크랙으로부터 실란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크랙보수가 가능하며, 이를 상기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크랙보수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예비작업중 하나는 크랙(c)이 형성된 도로(A)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껌, 기름, 기타 이물질을 핸드 연마기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랙(c)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실란트구멍(h)을 형성하는 실란트구멍형성단계(S1)를 수행한다. 실란트구멍(h)은 크랙(c)의 폭보다 2mm ~ 20mm 정도 넓고, 크랙(c)의 깊이보다 2mm ~ 50mm 정도 깊게 형성한다. 특히, 크랙(c)의 방향이 급격하게 바뀌는 부분에 실란트구멍(h)을 형성하고, 크랙(c)의 양 단부에도 실란트구멍(h)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란트구멍(h)은 실란트가 크랙(c)에 충진될 때 함께 충진되며, 이에 따라 실란트의 부착 면적을 넓혀주어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형성된 크랙(c)을 따라 좌,우측으로 10mm ~ 70mm, 바람직하게는 좌,후측으로 20mm 되는 위치에 약 1mm ~ 20mm 깊이의 실란트홈(g)을 길게 형성하는 실란트홈형상단계(S2)를 수행한다. 이때 실란트홈(g)은 크랙(c)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홈(g)은 실란트에 의하여 메꾸어지는데, 이러한 실란트홈(g)에 메꾸어지는 실란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크랙(c)으로부터 실란트가 분리되는 것을 더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란트구멍형성단계(S1)나 실란트홈형성단계(S2)를 수행한 후, 발생되는 분진가루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단계(S3)를 수행한다. 클리닝단계(S3)는, 전동와이어 브러쉬를 이용하여 크랙(c)이 발생된 부분의 도로 표면을 갈아내고, 고압 청소기나 고압 브로워를 이용하여 크랙 부부의 먼지나 분진을 불어내어 클리닝하는 것이다.
이때 크랙(c)의 면에 습기가 있을 경우에 실란트가 잘 부착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열풍기등의 열기구를 이용하여 크랙(c) 내부 및 주위의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크랙건조단계(S4)를 수행한다.
또한, 미세한 크랙이 많을 경우 절삭기를 이용하여 크랙들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면형성단계(S5)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삭면의 깊이는 5mm 가 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로의 사정에 따라 부직포를 이용하여 보강한 후 시공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로의 상태나 크랙(c)의 깊이에 따라, 크랙(c) 내부에 실란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포장전용 접착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S6)를 수행할 수 있다. 프라이머는, 액상으로 되어 있으며, 프라이머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크랙(c)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크랙(c)의 깊이가 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랙(c) 내부에 채움재(k)를 채워넣는 채움재채움단계(S7)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크랙(c)의 깊이가 과도하게 깊으면 실란트가 크랙(c)을 통하여 지면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실란트(s)의 충진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크랙(c)에 채움 재(k)를 적당히 채워넣어 실란트(s)가 크랙(c)을 통하여 지면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실란트홈형성단계(S1), 실란트구멍형성단계(S2), 클리닝단계(S3), 크랙건조단계(S4), 절삭면형성단계(S5), 프라이머도포단계(S6), 채움재채움단계(S7)를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랙(c)을 따라 크랙 내부에 실란트(s)를 충진하는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를 수행한다.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는, 실란트안내부(60)의 노즐(63)을 크랙(c)에 밀착시킴으로써 그 노즐(63)로부터 토출되는 실란트가 크랙(c)의 내부로 충진되게 하는 것이다.
다음,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이후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크랙(c) 외부 및 실란트홈(g)을 덮도록 실란트를 도포하는 크랙외부 실란트도포단계(S9)를 수행한다.
다음, 크랙 외부 및 실란트홈을 덮도록 도포된 실란트를 밀대(70)를 이용하여 상기 크랙(c)을 따라 60mm ~120mm 폭, 바람직하게는 80mm ~ 100mm 폭으로 펼치는 실란트 펼침단계(S10)를 수행한다.
다음, 밀대(70)에 의하여 펼쳐진 실란트의 양쪽 가장자리를 로울러를 이용하여 도로 표면에 압착시키는 로울러압착단계(S11)를 수행한다. 이러한 로울러압착단계(S11)를 통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란트는 도로 표면에 편편하게 압착된다. 이때 사용되는 로울러의 무게는 10kg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유지보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하여 보수할 도로상에 크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크랙 내부에 채움재가 채워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채움재 상부에 실란트를 충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실란트 상부 및 실란트홈이 덮여지도록 실란트를 다시 도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 있어서, 실란트 상부 및 실란트홈이 덮여지도록 도포된 실란트를 로울러를 이용하여 도로상에 편편하게 압착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몸체 12 ... 바퀴
13 ... 핸들 20 ... 가열탱크
21 ... 투입부 22 ... 덮개
25 ... 온도계 25a ... 센서
30 ... 펌프 40 ... 메인버너
45 ... 서브버너 50 ... 토출부
51 ... 관체 51a ... 연결관
52 ... 스크류 53 ... 감속모터
60 ... 실란트안내부 61 ... 착탈부
62 ... 호스 62a ... 손잡이파이프
63 ... 노즐 64 ... 히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외부가 단열제(A)로 단열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란트가 투입되는 투입부(21) 및 상기 투입부(21)에 실링되게 덮여지는 덮개(22)를 가지는 가열탱크(20)와; 상기 가열탱크(20)를 가열하는 메인버너(40)와; 상기 가열탱크(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용용된 상기 실란트를 토출하는 토출부(50)와; 상기 토출부(50)로부터 토출되는 액상의 실란트를 보수예정부분으로 안내하는 실란트안내부(60);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도로에 형성된 보수예정부분인 크랙(c)을 따라 좌,우측으로 10mm ~ 70mm 위치에 1mm ~ 20mm 깊이의 실란트홈(g)을 길게 형성하는 실란트홈형상단계(S2);
    상기 크랙(c) 내부에 상기 실란트안내부(60)로부터 토출되는 실란트(s)를 충진하는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상기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이후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랙(c) 외부 및 실란트홈(g)을 덮도록 실란트를 도포하는 크랙외부 실란트도포단계(S9);
    상기 크랙 외부 및 실란트홈을 덮도록 도포된 실란트를 밀대(70)를 이용하여 상기 크랙(c)을 따라 60mm ~120mm 폭으로 펼치는 실란트 펼침단계(S10);
    상기 밀대(70)에 의하여 펼쳐진 실란트의 양쪽 가장자리를 로울러를 이용하여 도로 표면에 압착시키는 로울러압착단계(S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유지보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좌우측의 실란트홈(g)이 상기 크랙(c)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유지보수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홈형성단계(S2)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랙(c)을 따라 그 크랙(c)의 폭보다 넓은 실란트구멍(h)을 형성하는 실란트구멍형성단계(S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유지보수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내부 실란트충진단계(S8)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랙(c)의 깊이가 깊을 경우, 상기 크랙(c) 내부에 채움재(k)를 채워넣는 채움재채움단계(S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유지보수방법.
KR1020080026361A 2008-03-21 2008-03-21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KR100862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61A KR100862922B1 (ko) 2008-03-21 2008-03-21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61A KR100862922B1 (ko) 2008-03-21 2008-03-21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922B1 true KR100862922B1 (ko) 2008-10-13

Family

ID=4015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361A KR100862922B1 (ko) 2008-03-21 2008-03-21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9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349A (zh) * 2019-03-19 2019-06-07 宁夏交通建设股份有限公司 沥青路面坑槽修补机及修补方法
CN112127229A (zh) * 2020-09-10 2020-12-25 宿州云宏建设安装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沥青路面修复工艺
CN114657858A (zh) * 2022-05-19 2022-06-24 徐州市交通规划设计研究院 一种道路修复裂缝填补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857U (ko) * 1994-06-21 1996-01-19 주식회사 트래픽엔지니어링 도로용 봉합제 분사장치
JP2001355207A (ja) 2000-06-13 2001-12-26 Hanex Co Ltd 補修舗装材加熱装置及び補修方法
JP2003184026A (ja) 2001-12-14 2003-07-03 Sato Road Co Ltd アスファルト舗装のクラック補修工法および装置
KR20060097293A (ko) * 2005-03-05 2006-09-14 우신건축환경클리닉(주)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주입보수보강 방법
KR100727457B1 (ko) * 2006-06-02 2007-06-13 (주) 케이 이엔씨 도로보수용 실링재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857U (ko) * 1994-06-21 1996-01-19 주식회사 트래픽엔지니어링 도로용 봉합제 분사장치
JP2001355207A (ja) 2000-06-13 2001-12-26 Hanex Co Ltd 補修舗装材加熱装置及び補修方法
JP2003184026A (ja) 2001-12-14 2003-07-03 Sato Road Co Ltd アスファルト舗装のクラック補修工法および装置
KR20060097293A (ko) * 2005-03-05 2006-09-14 우신건축환경클리닉(주)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주입보수보강 방법
KR100727457B1 (ko) * 2006-06-02 2007-06-13 (주) 케이 이엔씨 도로보수용 실링재 주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349A (zh) * 2019-03-19 2019-06-07 宁夏交通建设股份有限公司 沥青路面坑槽修补机及修补方法
CN112127229A (zh) * 2020-09-10 2020-12-25 宿州云宏建设安装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沥青路面修复工艺
CN114657858A (zh) * 2022-05-19 2022-06-24 徐州市交通规划设计研究院 一种道路修复裂缝填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148B1 (ko)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
US4557626A (en) Road patching vehicle
KR100862922B1 (ko)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CN110359350B (zh) 一种道路桥梁沥青路面裂缝检测修复装置
FI124316B (fi) Menetelmä ja laite ajoradan päällysteessä olevan uran tai halkeaman korjaamiseksi ja paikkaamiseksi kuumalla paikkausaineella
CN215252402U (zh) 一种基于道路桥梁与隧道的裂缝修复装置
CN112176839A (zh) 一种沥青路面修复方法
CN205617222U (zh) 一种多功能沥青灌缝机
CN113174820A (zh) 一种基于道路桥梁的路面裂缝修补预处理系统及其方法
CN216156326U (zh) 一种市政道路用路面开裂灌缝装置
KR100986701B1 (ko)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도로의 절삭면의 미세먼지 및이물질제거장치
CN208328629U (zh) 一种公路路基养护路面灌缝装置
KR101121414B1 (ko) 폐고무를 포함하는 줄눈재를 도로 줄눈에 주입하기 위한 줄눈재 용융 및 시공장치
CN102121222A (zh) 水泥混凝土路面和沥青混凝土路面之间以及沥青混凝土路面之间的接缝的处理方法
JP3544187B2 (ja) アスファルト舗装のクラック修繕施工法
CN106049244A (zh) 一种路面热再生方法
CN109468906B (zh) 沥青路面接缝工艺
CA220318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rack repair product and repairing a crack using the product
CN208072156U (zh) 一种市政工程用沥青路面切缝修复装置
CN213740536U (zh) 一种透水沥青混凝土施工缝封堵设备
CN217026614U (zh) 一种公路工程用的公路裂缝处理装置
CN215906542U (zh) 一种公路养护用灌缝器
KR100328550B1 (ko) 구스 아스팔트 포설용 슈,노즐장치
CN219731595U (zh) 一种公路裂缝修补装置
CN211340340U (zh) 一种手推式沥青带贴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