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148B1 -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148B1
KR101217148B1 KR1020120086239A KR20120086239A KR101217148B1 KR 101217148 B1 KR101217148 B1 KR 101217148B1 KR 1020120086239 A KR1020120086239 A KR 1020120086239A KR 20120086239 A KR20120086239 A KR 20120086239A KR 101217148 B1 KR101217148 B1 KR 101217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ase
sealant
crack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규
Original Assignee
(유)이지스건설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이지스건설,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filed Critical (유)이지스건설
Priority to KR1020120086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4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for heating or drying foundation, paving, or materials thereon, e.g. pai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2Devices for making, treating or filling grooves or like channels in not-yet-hardened paving, e.g. for joints or markings; Removable forms therefor; Devices for introducing inserts or removable insert-supports in not-yet-hardened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되는 덕트; 덕트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하는 가열판; 베이스에 설치되고 덕트에 연결되어서 덕트 하부의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부;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핸들; 베이스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가 용융되도록 가열부에 연결되며, 베이스가 균열홈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부로 가열하여서 건조시키고 가열된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하므로, 하나의 장비로 아스팔트 균열홈 가열 및 실런트 주입 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로 두가지 기능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아스팔트 균열 유지보수 장비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체 장비의 크기도 그만큼 축소되므로 장비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Asphalt pavement crack repair methods and repair device that use infrared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아스팔트 균열홈 가열 및 실런트 주입 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실런트가 균열홈에 확실하게 고착되며,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Hot Mix Asphalt, HMA)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공비 및 재료비가 다른 포장공법에 비해 저렴해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가열 아스팔트 포장은 활하중에 의한 충격흡수 및 탄성력이 좋아서 많이 적용된 공법이다.
그러나 공용중에 아스팔트 표면에서 조금씩 균열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균열 등은 아스팔트 바인더 함량 부족, 혼합물에서 굵은 골재를 결합시켜주는 세골재량의 부족, 다짐부족으로 인한 과다한 공극율의 증가, 아스팔트 바인더의 지나친 노화, 설계하중 이상의 활하중, 도로의 국부적 침하 및 노상, 노체의 단면이탈, 자동차의 충격하중 등에 의한 균열이 있다.
이러한 균열은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 종방향 균열, 횡방향 균열, 시공조인트에 의한 균열, 거북등 균열, 블록 균열 등이 발생하고 발생원인에 따라 미끄럼 균열, 수축균열, 반사균열 등이 발생된다.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균열진행 과정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데, 표면으로부터 점점 아래쪽으로 확정되어지고, 균열된 부분으로 우수 및 물 등에 의해서 침투수가 발생되며, 도로의 기초부분은 침투수로 인하여 연화되고 포장도로는 도로기초가 지탱해주던 힘을 잃게 된다. 차량 하중이 아래쪽으로 영향이 미쳐 침투수로 연화된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기초부를 압축하여 반복되면서 피로를 증가시킨다. 연화된 아스팔트 기초부와 도로의 표층부분이 만나는 지점이 새로운 균열 포인트가 되고 이러한 작용이 반복되면서 균열이 점차 더 진행되며 균열이 없었던 부분까지도 새로운 균열이 발생되어 포장도로를 파괴한다.
이렇게 파괴된 포장도로는 여러 가지 아스팔트 파손의 원인이 되며, 적절한 시기에 보수하지 않으면 손상의 양과 정도를 증가시켜 보수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유지보수가 계속적으로 지연될 때에 덧씌우기와 재포장의 시행시기를 앞당기며 이로 인해 전체수명비용(Life Cycle Cost)은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적절한 아스팔트 포장의 유지보수에 대한 상대적 필요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평탄성, 미끄럼, 포트홀 등에 의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유지관리를 제때 못하면 심한 수준의 파손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투자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유지보수 중 가장 보편화된 보수는 아스팔트 균열부에 아스팔트 실런트를 가지고 균열부에 충진하는 공법이 가장 보편화된 공법이다.
아스팔트 실런트에 의한 균열충진은 일상적이 유지관리 활동으로서, 균열을 깨끗이 청소하고 충진재를 주입하여 포장 내부로 물이나 딱딱한 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지보수 균열폭은 6.0㎜~12.0㎜ 이상의 균열이 충진대상이 된다.
정확한 아스팔트 실런트 균열 충전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구간에 교통표지판 및 안내차량을 설치하고, 균열내 이물질이나 흙, 식물뿌리 등을 제거하며, 압축공기 또는 고압수로 균열 부분을 청소한다.
그리고 균열부분을 완전히 건조시키고, 균열 내부로 뜨거운 균열 충전물을 노면보다 5㎜정도 낮게 붓는다. 균열을 가득 채우고 넘치는 부분은 스퀴지로 긁어낸 후 완전히 실런트가 양생된 후, 교통통제 표지판 및 안내차량을 철수하여 교통을 개방한다.
균열보수는 앞에서 언급한 시공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균열 충진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균열 충진재는 아스팔트 폴리머와 고무가 혼합된 제품을 사용하며 가장 효과적인 제품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균열 충진재는 기온의 온도변화와 아스팔트 포장 표면의 온도상승의 변화가 크고 겨울에 아스팔트 포장이 수축되어 균열충진재가 늘어나면서 접착력이 감소되어 이탈 또는 탈락, 균열 부분에 하자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균열면에 이물질 제거를 철저히 하거나 접착재를 도포하는 경우가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스팔트 균열홈 가열 및 실런트 주입 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런트가 균열홈에 확실하게 고착되도록 한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는,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되는 덕트; 덕트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하는 가열판; 베이스에 설치되고 덕트에 연결되어서 덕트 하부의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부;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는,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되는 덕트; 덕트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하는 가열판; 베이스에 설치되고 덕트에 연결되어서 덕트 하부의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부;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핸들; 베이스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가 용융되도록 가열부에 연결되며, 베이스가 균열홈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는,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하는 히터부; 베이스에 설치되고 히터부에 연결되어서 히터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핸들; 베이스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가 용융되도록 가열부에 연결되며, 베이스가 균열홈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다른 특징은, 덕트는, 하부에 가열판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점화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점화공간의 일측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점화플러그가 설치되어 있고, 점화공간의 타측에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가스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가열판은, 복수의 단위가열판들이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되, 이 단위가열판은, 상측의 제1판 및 하측의 제2판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제1판의 인접한 두 변은 제2판의 대응 두 변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제2판의 나머지 두 변은 제1판의 대응 두 변보다 더 돌출되어서, 두 단위가열판을 맞댈 시 이음부위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며; 제1판 및 제2판 사이의 둘레에는 열기가 유입되어서 제1판 및 제2판의 둘레로 확산되도록 확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1판에는 베이스의 내부와 확산통로가 연결되도록 연결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가열부는, 가스가 충전되고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통과,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통에 연결되어서 가스가 공급되는 분배관과, 가스통 및 분배관에 연결되어서 가스통 내의 가스가 분배관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연결호스와, 분배관에 복수개 설치되고 분배관 측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덕트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분사노즐은, 분배관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마련된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일체로 연장된 중공형의 원추형몸체와, 원추형몸체에 나선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사구와, 원추형몸체의 외면에 나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분사구에서 나오는 가스의 분사방향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는 나선형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가열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발전기와, 발전기에 연결되고 발전기로부터 발전된 직류 전원을 일정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히터부에 설치되고 히터부의 열매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인버터 및 히터부에 연결되고 인버터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며 히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와, 인버터에 공급된 전류량과 히터부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검출하고 온도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인버터, 히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히터부는, 하부면이 아스팔트의 균열홈에 대응되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바디와, 히터바디의 수납공간에 내장되는 절곡된 형태의 열선과, 열선이 내장된 히터바디의 수납공간에 충전되고 열선에서 발생된 열을 히터바디에 전달하는 탄소나노튜브와, 히터바디의 수납공간 상부에 결합되어서 열선 및 탄소나노튜브를 수납공간 내부에 밀봉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히터바디의 수납공간은, 탄소나노튜브와 히터바디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조면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실런트주입부는, 베이스에 설치되고 실런트가 공급되는 실런트통과, 실런트통의 일측에 설치되고 용융된 실런트가 아스팔트의 균열홈에 주입되도록 하는 실런트공급구와, 실런트통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열부에 연결되며 실런트통 내부의 실런트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버너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은,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설치되는 덕트와, 덕트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하는 가열판과, 베이스에 설치되고 덕트에 연결되어서 덕트 하부의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핸들과, 베이스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가 용융되도록 가열부에 연결되며 베이스가 균열홈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를 포함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로서, 균열홈 내에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축공기 또는 고압수로 균열홈 내부를 청소하는 이물질제거단계; 이물질제거단계 후 균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균열홈 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균열홈을 가열하는 균열홈가열단계; 균열홈가열단계 후 가열된 균열홈 내부에 실런트를 주입하며 균열홈을 따라 아스팔트의 상부면을 긁어 내어서 균열홈보다 더 돌출되게 도포된 실런트를 긁어내는 실런트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균열홈가열단계에서, 균열홈은 180~200℃의 온도로 가열하고, 실런트도포단계에서, 실런트는 190~21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며, 상기의 가열온도에서 실런트를 균열홈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설치되는 덕트와, 덕트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하는 가열판과, 베이스에 설치되고 덕트에 연결되어서 덕트 하부의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베이스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가 용융되도록 가열부에 연결되며 베이스가 균열홈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부로 가열하여서 건조시키고 가열된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하므로, 하나의 장비로 아스팔트 균열홈 가열 및 실런트 주입 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로 두가지 기능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아스팔트 균열 유지보수 장비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체 장비의 크기도 그만큼 축소되므로 장비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균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균열홈을 가열하여 균열홈 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균열홈을 180~200℃의 온도로 가열하며, 실런트가 190~21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한 후 가열된 상태의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한다. 균열홈 부분이 가열되면서 골재들을 고정하던 접착제의 일부가 용융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실런트를 주입하면 실런트가 용융 상태의 아스팔트 접착제에 혼합되며, 이에 따라 실런트가 균열홈에 확실하게 고착된다.
본 발명의 히터부는, 하부면이 아스팔트의 균열홈에 대응되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바디와, 히터바디의 수납공간에 내장되는 열선과, 열선이 내장된 히터바디의 수납공간에 충전되고 열선에서 발생된 열을 히터바디에 전달하는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히터바디의 수납공간은 탄소나노튜브와 히터바디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조면 처리된다. 따라서, 히터바디의 수납공간에 탄소나노튜브를 충전시킨 후 열선을 가열시키면 열선의 열이 탄소나노튜브를 통해 히터바디 전체에 신속히 전달되며 이에 따라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바디의 내부면인 수납공간은 조면 처리되므로 이러한 수납공간 내에 탄소나노튜브가 충전되면 히터바디와 탄소나노튜브와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며, 이에 따라 히터바디와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될 뿐 아니라 증대된 접촉면적에 비례하게 이들 사이의 열전도가 그만큼 빨라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가열판을 보인 부분 저면도
도 4는 단위가열판을 발췌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개략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개략적 단면도
도 11은 가열부를 보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가열판을 보인 부분 저면도이고, 도 4는 단위가열판을 발췌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아스팔트 포장의 아스팔트 바인더는 커트백 아스팔트로서 석유용제를 혼합제조한 액체 아스팔트이다. 저온에서는 낮은 점도를 유지하고 골재와 혼합된 후 휘발성 용제가 증발됨으로써, 아스팔트가 골재표면에 남는 원리이다.
이러한 아스팔트 바인더는 석유 용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1) 균열보수시 석유 용제를 가열하여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의 연화점까지 가열을 하여 아스팔트(1) 포장 균열홈(2) 부가 녹기 시작할 때 아스팔트 실런트(62)를 190℃~210℃까지 가열하여 녹인 후 이 실런트(62)를 주입 또는 충진하므로 접착력이 증대되도록 하며, 균열보수 후 공용중에 실런트(62)가 접착력 감소로 탈락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아스팔트(1) 포장 균열홈(2) 부분 및 주입 실런트(62)가 서로 일체화되므로 기온에 의한 수축팽창시 탄성력을 확보하여 아스팔트(1) 포장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1) 포장 균열홈(2) 부분의 표면가열은 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아스팔트(1) 포장 표면을 180℃~200℃로 가열하므로 실런트(62) 주입시 접착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1) 포장표면 적외선 가열장치는 LPG 가스로 가열하는 방법과, 디젤 발전기(71)로 가열하는 방법이 있으며, LPG 가스와 실런트(62) 주입기계를 일체화하는 방법과, 디젤 발전기(71)와 실런트(62) 주입기계 일체화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1) 포장표면 적외선 가열장치의 크기는 가열장치 아래부분에 세라믹 모듈판인 단위가열판(31)을 서로 연결하여서 적외선 가열장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고, 기본이 되는 크기는 길이 160㎝, 폭 60㎝이며, 이러한 단위가열판(31)들의 갯수에 따라 적외선 가열장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베이스(10), 덕트(20), 가열판(30), 가열부(40), 핸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10)는,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베이스(10)의 하부에는 캐스터(11)가 설치되어 있어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를 간편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덕트(20)는, 베이스(10)에 설치된다. 이 덕트(20)는, 하부에 가열판(30)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점화공간(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점화공간(21)의 일측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점화플러그(22)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20)의 점화공간(21)의 타측에는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가스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가열판(30)은, 덕트(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한다.
이 가열판(30)은, 복수의 단위가열판(31)들이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며, 가열판(30)의 둘레에는 마감브라켓(36)이 결합되어서 가열판(30)의 둘레를 마감한다.
이 단위가열판(31)은, 상측의 제1판(32) 및 하측의 제2판(33)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제1판(32)의 인접한 두 변은 제2판(33)의 대응 두 변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제2판(33)의 나머지 두 변은 제1판(32)의 대응 두 변보다 더 돌출되어서, 두 단위가열판(31)을 맞댈 시 이음부위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단위가열판(31)의 제1판(32) 및 제2판(33) 사이의 둘레에는 열기가 유입되어서 제1판(32) 및 제2판(33)의 둘레로 확산되도록 확산통로(34)가 형성되어 있고, 제1판(32)에는 베이스(10)의 내부와 확산통로(34)가 연결되도록 연결홈(35)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열판(30)은, 단위가열판(31)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조립되며, 이에 따라 단위가열판(31)들의 조립 갯수를 조절하여서 가열판(30) 전체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위가열판(31)의 둘레에는 확산통로(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위가열판(31)들을 서로 조립하면 확산통로(34)들이 서로 연결된다. 이 단위가열판(31)의 일면에는 덕트(20)의 점화공간(21)과 확산통로(34)들이 연결되도록 연결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점화공간(21) 내의 고온의 열기가 연결홈(35)을 통해 확산통로(34)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점화공간(21) 내의 고온의 열기가 확산통로(34)를 통해 고르게 확산된다.
그러므로 가열판(30) 전체에 열기가 고르게 확산되므로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40)는, 베이스(10)에 설치되고 덕트(20)에 연결되어서 덕트(20) 하부의 가열판(30)을 가열한다. 가열부(40)는, 가스통(41), 분배관(42), 연결호스(43), 분사노즐(44), 점화플러그(22)로 이루어진다.
가스통(41)은, 가스가 충전되고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분배관(42)은, 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통(41)에 연결되어서 가스가 공급된다. 연결호스(43)는, 가스통(41) 및 분배관(42)에 연결되어서 가스통(41) 내의 가스가 분배관(42)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분사노즐(44)은, 분배관(42)에 복수개 설치되고 분배관(42) 측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덕트(20) 내부로 분사한다. 점화플러그(22)는, 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사노즐(44)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킨다.
여기서, 분사노즐(44)은 가스의 분사력을 강하게 하면서도 분사되는 가스를 회전시키는 와류형 분사노즐(44)로써, 그 상단부에는 분배관(42)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45)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45)로부터 그 아래쪽으로는 중공형의 원추형몸체(46)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 원추형몸체(46)에는 나선방향을 따라 가스가 최종 분사되는 홀인 다수개의 분사구(47)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원추형몸체(46)의 외면에는 나선방향으로 배열된 분사구(47)와 일치되는 나선형가이드홈(48)이 형성되며, 이 나선형가이드홈(48)은 분사구(47)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의 분사방향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와류형 분사노즐(44)의 나선형 분사구(47) 및 나선형가이드홈(48)을 통해 분사되는 가스가 회전하는 동시에 와류를 형성하면서 덕트(20)에 분사되므로써, 가스가 덕트 내부에서 고르게 확산되어서 점화되므로 가열판(30) 전체를 비교적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핸들(50)은,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10)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는, 가스가 가스통(41), 연결호스(43)를 통해 분배관(42)으로 공급되면 분사노즐(44)에서 분사되고 이에 따라 점화플러그(22)가 작동되면서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된다.
분사노즐(44)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됨에 따라 단위가열판(31)들을 가열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세라믹재의 단위가열판(31)이 가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시킨다. 가열판(30)이 가열되면 핸들(50)을 잡고 균열홈(2)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균열홈(2)을 가열시킨다.
도 5 및 도 6은 상술한 구성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에 실런트주입부(60)가 더 설치된 구성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덕트(20)와, 덕트(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하는 가열판(30)과, 베이스(10)에 설치되고 덕트(20)에 연결되어서 덕트(20) 하부의 가열판(30)을 가열하는 가열부(40)와,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10)를 이송시키는 핸들(50)과,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62)가 용융되도록 가열부(40)에 연결되며 베이스(10)가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2)에 실런트(62)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6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은 실런트주입부(60)를 제외한 베이스(10), 가열판(30), 가열부(40), 핸들(5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실런트주입부(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실런트주입부(60)는, 실런트통(61), 실런트공급구(63), 버너(64)로 이루어진다.
실런트통(61)은,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실런트(62)가 공급된다. 실런트공급구(63)는, 실런트통(61)의 일측에 설치되고 용융된 실런트(62)가 아스팔트(1)의 균열홈(2)에 주입되도록 한다. 버너(64)는, 실런트통(61)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열부(40)에 연결되며 실런트통(61) 내부의 실런트(62)를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덕트(20)와, 덕트(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하는 가열판(30)과, 베이스(10)에 설치되고 덕트(20)에 연결되어서 덕트(20) 하부의 가열판(30)을 가열하는 가열부(40)와,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62)가 용융되도록 가열부(40)에 연결되며 베이스(10)가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2)에 실런트(62)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6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부(40)로 가열하여서 건조시키고 가열된 균열홈(2)에 실런트(62)를 주입하므로, 하나의 장비로 아스팔트(1) 균열홈(2) 가열 및 실런트(62) 주입 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로 두가지 기능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아스팔트 균열 유지보수 장비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체 장비의 크기도 그만큼 축소되므로 장비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둘째, 본 발명은 균열홈(2)을 따라 이동하면서 균열홈(2)을 가열하여 균열홈(2) 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균열홈(2)을 180~200℃의 온도로 가열하며, 실런트(62)가 190~21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한 후 가열된 상태의 균열홈(2)에 실런트(62)를 주입한다.
균열홈(2) 부분이 가열되면서 골재들을 고정하던 접착제의 일부가 용융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실런트(62)를 주입하면 실런트(62)가 용융 상태의 아스팔트 접착제에 혼합되며, 이에 따라 실런트(62)가 균열홈(2)에 확실하게 고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하는 히터부(73)와,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히터부(73)에 연결되어서 히터부를 가열하는 가열부(70)와,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10)를 이송시키는 핸들(50)로 이루어진다.
가열부(70)는,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발전기(71)와, 발전기(71)에 연결되고 발전기(71)로부터 발전된 직류 전원을 일정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며 히터부(73)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72)와, 히터부(73)에 설치되고 히터부(73)의 열매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82)와, 인버터(72) 및 히터부(73)에 연결되고 인버터(7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며 히터부(73)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80)와, 인버터(72)에 공급된 전류량과 히터부(73)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검출하고 온도센서(82)의 신호를 전달받아 인버터(72), 히터부(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1)로 이루어진다.
히터부(73)는, 하부면이 아스팔트(1)의 균열홈(2)에 대응되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75)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바디(74)와,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에 내장되는 절곡된 형태의 열선(77)과, 열선(77)이 내장된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에 충전되고 열선(77)에서 발생된 열을 히터바디(74)에 전달하는 탄소나노튜브(78)와,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 상부에 결합되어서 열선(77) 및 탄소나노튜브(78)를 수납공간(75) 내부에 밀봉하는 커버(79)로 이루어진다.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은, 탄소나노튜브(78)와 히터바디(74)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조면(76) 처리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발전기(71)가 구동되어서 전원이 발생되면 인버터(72)에 공급되며 인버터(72)에 공급된 전원은 교류전력으로 변환되어 히터부(73)에 공급된다. 인버터(72) 및 히터부(73)에는 축전기(80)가 연결되어서 인버터(7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며 히터부(73)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81)는 인버터(72)에 공급된 전류량과 히터부(73)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검출하고 온도센서(82)의 신호를 전달받아 인버터(72), 히터부(73)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선(77)이 내장되는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에는 탄소나노튜브(78)가 충전된다. 히터바디(74)는 알루미늄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탄소나노튜브 복합금속을 사용할 수가 있다. 탄소나노튜브 복합금속는,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강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며 특히 열전도가 높아서 히터바디(74)의 전면에 열전달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열효율을 증대 시킨다.
따라서 히터바디(74)의 대부분에 형성된 수납공간(75)에 탄소나노튜브를 충전시킨 후 열선(77)을 가열시키면 열선(77)의 열이 탄소나노튜브(78)를 통해 히터바디(74) 전체에 신속히 전달되며 이에 따라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터바디(74)의 내부면인 수납공간(75)은 조면(76) 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75) 내에 탄소나노튜브(78)가 충전되면 히터바디(74)와 탄소나노튜브(78)와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며, 이에 따라 히터바디(74)와 탄소나노튜브(78)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될 뿐 아니라 증대된 접촉면적에 비례하게 이들 사이의 열전도가 그만큼 빨라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의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에 실런트주입부(60)가 더 설치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하는 히터부(73)와,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히터부(73)에 연결되어서 히터부를 가열하는 가열부(70)와,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10)를 이송시키는 핸들(50)과,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62)가 용융되도록 가열부(70)에 연결되며, 베이스(10)가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2)에 실런트(62)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6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들 중 베이스(10), 히터부(73), 가열부(70), 핸들(50)은 도 7 및 도 8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런트주입부(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런트주입부(60)는,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실런트(62)가 공급되는 실런트통(61)과, 실런트통(61)의 일측에 설치되고 용융된 실런트(62)가 아스팔트(1)의 균열홈(2)에 주입되도록 하는 실런트공급구(63)와, 실런트통(61)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열부(70)에 연결되며 실런트통(61) 내부의 실런트(62)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부(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히터부(73)는 베이스(10)에 설치되어서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73)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이러한 히터부(73)는, 하부면이 아스팔트(1)의 균열홈(2)에 대응되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75)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바디(74)와,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에 내장되는 절곡된 형태의 열선(77)과, 열선(77)이 내장된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에 충전되고 열선(77)에서 발생된 열을 히터바디(74)에 전달하는 탄소나노튜브(78)와,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 상부에 결합되어서 열선(77) 및 탄소나노튜브(78)를 수납공간(75) 내부에 밀봉하는 커버(79)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히터바디(74)의 대부분에 형성된 수납공간(75)에 탄소나노튜브를 충전시킨 후 열선(77)을 가열시키면 열선(77)의 열이 탄소나노튜브(78)를 통해 히터바디(74) 전체에 신속히 전달되며 이에 따라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균열홈(2)을 따라 이동하면서 히터부(73)가 균열홈(2)을 가열하여 균열홈(2) 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균열홈(2)을 180~200℃의 온도로 가열하며, 실런트(62)가 190~21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한 후 가열된 상태의 균열홈(2)에 실런트(62)를 주입한다.
균열홈(2) 부분이 가열되면서 골재들을 고정하던 접착제의 일부가 용융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실런트(62)를 주입하면 실런트(62)가 용융 상태의 아스팔트 접착제에 혼합되며, 이에 따라 실런트(62)가 균열홈(2)에 확실하게 고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다.
먼저, 균열홈(2) 내에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축공기 또는 고압수로 균열홈(2) 내부를 청소하는 이물질제거단계(S10)를 갖는다.
이물질제거단계(S10) 후, 균열홈(2)을 따라 이동하면서 균열홈(2) 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균열홈(2)을 가열하는 균열홈가열단계(S20)를 갖는다. 균열홈가열단계(S20)에서, 균열홈(2)은 180~200℃의 온도로 가열한다.
그리고, 균열홈가열단계(S20) 후 가열된 균열홈(2) 내부에 실런트(62)를 주입하며 균열홈(2)을 따라 아스팔트(1)의 상부면을 긁어 내어서 균열홈(2)보다 더 돌출되게 도포된 실런트(62)를 긁어내는 실런트도포단계(S30)를 포함한다.
실런트도포단계(S30)에서, 실런트(62)는 190~21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며, 상기의 가열온도에서 실런트(62)를 균열홈(2)에 주입한다.
1 : 아스팔트 2 : 균열홈
10 : 베이스 11 : 캐스터
20 : 덕트 21 : 점화공간
22 : 점화플러그 23 : 가스배출구
30 : 가열판 31 : 단위가열판
32 : 제1판 33 : 제2판
34 : 확산통로 35 : 연결홈
36 : 마감브라켓 40 : 가열부
41 : 가스통 42 : 분배관
43 : 연결호스 44 : 분사노즐
45 : 체결부 46 : 원추형몸체
47 : 분사구 48 : 나선형가이드홈
50 : 핸들 60 : 실런트주입부
61 : 실런트통 62 : 실런트
63 : 실런트공급구 64 : 버너
70 : 가열부 71 : 발전기
72 : 인버터 73 : 히터부
74 : 히터바디 75 : 수납공간
76 : 조면 77 : 열선
78 : 탄소나노튜브 79 : 커버
80 : 축전기 81 : 제어부
82 : 온도센서

Claims (11)

  1.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덕트(20);
    덕트(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하는 가열판(30);
    베이스(10)에 설치되고 덕트(20)에 연결되어서 덕트(20) 하부의 가열판(30)을 가열하는 가열부(40);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10)를 이송시키는 핸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덕트(20)는,
    하부에 가열판(30)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점화공간(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점화공간(21)의 일측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점화플러그(22)가 설치되어 있고, 점화공간(21)의 타측에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가스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
  2.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덕트(20);
    덕트(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하는 가열판(30);
    베이스(10)에 설치되고 덕트(20)에 연결되어서 덕트(20) 하부의 가열판(30)을 가열하는 가열부(40);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10)를 이송시키는 핸들(50);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62)가 용융되도록 가열부(40)에 연결되며, 베이스(10)가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2)에 실런트(62)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덕트(20)는,
    하부에 가열판(30)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점화공간(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점화공간(21)의 일측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점화플러그(22)가 설치되어 있고, 점화공간(21)의 타측에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가스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
  3.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아스팔트(1)의 균열홈(2)을 가열하는 히터부(73);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히터부(73)에 연결되어서 히터부를 가열하는 가열부(70);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10)를 이송시키는 핸들(50);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62)가 용융되도록 가열부(70)에 연결되며, 베이스(10)가 균열홈(2)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2)에 실런트(62)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열부(70)는,
    베이스(10)에 설치되는 발전기(71)와, 발전기(71)에 연결되고 발전기(71)로부터 발전된 직류 전원을 일정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며 히터부(73)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72)와, 히터부(73)에 설치되고 히터부(73)의 열매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82)와, 인버터(72) 및 히터부(73)에 연결되고 인버터(7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며 히터부(73)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기(80)와, 인버터(72)에 공급된 전류량과 히터부(73)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검출하고 온도센서(82)의 신호를 전달받아 인버터(72), 히터부(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열판(30)은,
    복수의 단위가열판(31)들이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되,
    이 단위가열판(31)은, 상측의 제1판(32) 및 하측의 제2판(33)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제1판(32)의 인접한 두 변은 제2판(33)의 대응 두 변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제2판(33)의 나머지 두 변은 제1판(32)의 대응 두 변보다 더 돌출되어서, 두 단위가열판(31)을 맞댈 시 이음부위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며;
    제1판(32) 및 제2판(33) 사이의 둘레에는 열기가 유입되어서 제1판(32) 및 제2판(33)의 둘레로 확산되도록 확산통로(34)가 형성되어 있고, 제1판(32)에는 베이스(10)의 내부와 확산통로(34)가 연결되도록 연결홈(35)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열부(40)는,
    가스가 충전되고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통(41)과,
    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통(41)에 연결되어서 가스가 공급되는 분배관(42)과,
    가스통(41) 및 분배관(42)에 연결되어서 가스통(41) 내의 가스가 분배관(42) 측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연결호스(43)와,
    분배관(42)에 복수개 설치되고 분배관(42) 측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덕트(20)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44)과,
    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되고 분사노즐(44)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분사노즐(44)은,
    분배관(42)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마련된 체결부(45)와,
    체결부(45)로부터 아래쪽으로 일체로 연장된 중공형의 원추형몸체(46)와,
    원추형몸체(46)에 나선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분사구(47)와,
    원추형몸체(46)의 외면에 나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분사구(47)에서 나오는 가스의 분사방향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는 나선형가이드홈(4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
  8. 삭제
  9. 청구항 3에 있어서, 히터부(73)는,
    하부면이 아스팔트(1)의 균열홈(2)에 대응되고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납공간(75)이 형성되어 있는 히터바디(74)와,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에 내장되는 절곡된 형태의 열선(77)과, 열선(77)이 내장된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에 충전되고 열선(77)에서 발생된 열을 히터바디(74)에 전달하는 탄소나노튜브(78)와,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 상부에 결합되어서 열선(77) 및 탄소나노튜브(78)를 수납공간(75) 내부에 밀봉하는 커버(79)로 이루어지며;
    히터바디(74)의 수납공간(75)은, 탄소나노튜브(78)와 히터바디(74)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조면(76)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실런트주입부(60)는,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실런트(62)가 공급되는 실런트통(61)과,
    실런트통(61)의 일측에 설치되고 용융된 실런트(62)가 아스팔트(1)의 균열홈(2)에 주입되도록 하는 실런트공급구(63)와,
    실런트통(61)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열부(40)(70)에 연결되며 실런트통(61) 내부의 실런트(62)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버너(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
  11. 가열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따라 이동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설치되는 덕트와, 덕트의 저면에 설치되고 아스팔트의 균열홈을 가열하는 가열판과, 베이스에 설치되고 덕트에 연결되어서 덕트 하부의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핸들과, 베이스에 설치되고 투입된 실런트가 용융되도록 가열부에 연결되며 베이스가 균열홈을 따라 이동될 시 균열홈에 실런트를 주입하는 실런트주입부를 포함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장치에 의한 방법으로서,
    균열홈(2) 내에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축공기 또는 고압수로 균열홈(2) 내부를 청소하는 이물질제거단계(S10);
    이물질제거단계(S10) 후 균열홈(2)을 따라 이동하면서 균열홈(2) 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균열홈(2)을 가열하는 균열홈가열단계(S20);
    균열홈가열단계(S20) 후 가열된 균열홈(2) 내부에 실런트(62)를 주입하며 균열홈(2)을 따라 아스팔트(1)의 상부면을 긁어 내어서 균열홈(2)보다 더 돌출되게 도포된 실런트(62)를 긁어내는 실런트도포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균열홈가열단계(S20)에서, 균열홈(2)은 180~200℃의 온도로 가열하고,
    실런트도포단계(S30)에서, 실런트(62)는 190~21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며, 상기의 가열온도에서 실런트(62)를 균열홈(2)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KR1020120086239A 2012-08-07 2012-08-07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 KR101217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239A KR101217148B1 (ko) 2012-08-07 2012-08-07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239A KR101217148B1 (ko) 2012-08-07 2012-08-07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148B1 true KR101217148B1 (ko) 2012-12-31

Family

ID=4790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239A KR101217148B1 (ko) 2012-08-07 2012-08-07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14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55B1 (ko) * 2013-02-07 2013-04-16 (주)한동알앤씨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장비
KR101337516B1 (ko) * 2013-05-01 2013-12-05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유리섬유를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 및 방수 공법에 이용되는 실란트 가열도포장치
KR101541248B1 (ko) * 2014-09-01 2015-08-03 주식회사 로드씰 도로보수용 균열부 봉함 장치
KR102087387B1 (ko) * 2019-10-25 2020-03-10 (주)화인코왁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종균열 또는 포트홀 보수공법
KR20200107477A (ko) 2019-03-08 2020-09-16 최원철 다기능 아스팔트 조인트 보강재 포설장치
KR102184399B1 (ko) * 2020-04-20 2020-11-30 서윤석 도로침하 보수방법
KR102209726B1 (ko) 2020-06-29 2021-01-29 주식회사다음산업 이동식 아스팔트 가열장치
CN114395968A (zh) * 2022-02-25 2022-04-26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沥青公路施工用裂缝修补装置
CN114855577A (zh) * 2022-04-15 2022-08-05 安徽优特公路养护科技有限公司 一种路面灌缝机用灌缝枪
CN115012284A (zh) * 2022-02-21 2022-09-06 徐州市交通规划设计研究院 一种沥青道路损伤临时补救设备
CN117054294A (zh) * 2023-10-13 2023-11-1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沥青再生剂扩散性能的测试装置及评价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451B1 (ko) * 2005-04-28 2006-05-25 유한회사 로드씰 포장도로의 균열 보수방법
KR100666163B1 (ko) * 2004-05-06 2007-01-09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크랙실링 장치
KR100708342B1 (ko) * 2005-07-13 2007-04-19 전승배 가열식 아스팔트 유지보수 및 시공 성능개선 장치
KR100717808B1 (ko) * 2005-12-19 2007-05-11 인해엔지니어링(주) 아스팔트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163B1 (ko) * 2004-05-06 2007-01-09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크랙실링 장치
KR100583451B1 (ko) * 2005-04-28 2006-05-25 유한회사 로드씰 포장도로의 균열 보수방법
KR100708342B1 (ko) * 2005-07-13 2007-04-19 전승배 가열식 아스팔트 유지보수 및 시공 성능개선 장치
KR100717808B1 (ko) * 2005-12-19 2007-05-11 인해엔지니어링(주) 아스팔트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955B1 (ko) * 2013-02-07 2013-04-16 (주)한동알앤씨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장비
KR101337516B1 (ko) * 2013-05-01 2013-12-05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유리섬유를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 및 방수 공법에 이용되는 실란트 가열도포장치
KR101541248B1 (ko) * 2014-09-01 2015-08-03 주식회사 로드씰 도로보수용 균열부 봉함 장치
KR20200107477A (ko) 2019-03-08 2020-09-16 최원철 다기능 아스팔트 조인트 보강재 포설장치
KR102157956B1 (ko) * 2019-03-08 2020-09-18 최원철 다기능 아스팔트 조인트 보강재 포설장치
KR102087387B1 (ko) * 2019-10-25 2020-03-10 (주)화인코왁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종균열 또는 포트홀 보수공법
KR102184399B1 (ko) * 2020-04-20 2020-11-30 서윤석 도로침하 보수방법
KR102209726B1 (ko) 2020-06-29 2021-01-29 주식회사다음산업 이동식 아스팔트 가열장치
CN115012284A (zh) * 2022-02-21 2022-09-06 徐州市交通规划设计研究院 一种沥青道路损伤临时补救设备
CN114395968A (zh) * 2022-02-25 2022-04-26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沥青公路施工用裂缝修补装置
CN114855577A (zh) * 2022-04-15 2022-08-05 安徽优特公路养护科技有限公司 一种路面灌缝机用灌缝枪
CN114855577B (zh) * 2022-04-15 2024-01-09 安徽凯风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路面灌缝机用灌缝枪
CN117054294A (zh) * 2023-10-13 2023-11-1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沥青再生剂扩散性能的测试装置及评价方法
CN117054294B (zh) * 2023-10-13 2024-01-3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沥青再生剂扩散性能的测试装置及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148B1 (ko) 적외선 가열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포장 균열보수방법 및 그 장치
KR101254955B1 (ko)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장비
KR101254956B1 (ko)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 시공방법
CN104947574A (zh) 一种多功能沥青路面养护车
CN107524070A (zh) 一种多级沥青路面就地热再生设备及方法
KR20090131611A (ko)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유지보수차량
CN110616627A (zh) 一种沥青路面裂缝快速修补装置
KR101217055B1 (ko) 내통회전드럼과 외통회전드럼의 2중 드럼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방법
CN110184887A (zh) 沥青路面施工方法
CN105755935A (zh) 一种微波就地热再生成套设备
KR101121414B1 (ko) 폐고무를 포함하는 줄눈재를 도로 줄눈에 주입하기 위한 줄눈재 용융 및 시공장치
CN101255675B (zh) 沥青路面就地热再生车
CN201180251Y (zh) 沥青路面就地热再生车沥青路面加热装置
CZ28221U1 (cs) Zařízení pro opravu asfaltových povrchů
KR100862922B1 (ko) 도로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CN201873934U (zh) 拖车型沥青路面微波养护车
CN205990579U (zh) 一种沥青摊铺机
KR20120062132A (ko) 친환경 폐아스콘 재생설비
KR101306087B1 (ko) 아스팔트 도로의 안전보수 시스템
CN205990580U (zh) 沥青摊铺机
CN201058965Y (zh) 沥青路面修补用热风加热装置
CN207331411U (zh) 一种多级沥青路面就地热再生设备
KR102157956B1 (ko) 다기능 아스팔트 조인트 보강재 포설장치
WO2007000102A1 (fr) Système de remise en état d’un revêtement en asphalte en le ramollissant à l’aide de rayonnements thermiques
CN105297592A (zh) 再生拌合料分层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