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886Y1 -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886Y1
KR200233886Y1 KR2020000030977U KR20000030977U KR200233886Y1 KR 200233886 Y1 KR200233886 Y1 KR 200233886Y1 KR 2020000030977 U KR2020000030977 U KR 2020000030977U KR 20000030977 U KR20000030977 U KR 20000030977U KR 200233886 Y1 KR200233886 Y1 KR 200233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kneaded
frame
width direction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정밀
Priority to KR2020000030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886Y1/ko

Links

Landscapes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화물 유입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형상의 다수의 내화용기에 내화물을 연속해서 유입시공하므로 작업성이 극대화됨은 물론 내화물의 균일하고 일정한 유입 시공으로 우수한 시공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세워 설치된 프레임(5)상에서 내화물과 정량의 혼련수를 혼련하는 믹서부(10)와; 상기 믹서부(10)에 의해 혼련 내화물을 공급받아 이를 내화용기에 공급하는 공급호퍼(50)을 갖는 내화물공급부(70)로 구성하되, 상기 공급호퍼(50)는 길이방향은 물론 폭방향,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므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공급호퍼를 길이방향, 그 폭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이동조절하면서 직선이나 곡면을 복합적으로 갖는 다양한 형상의 내화용기에 혼련 내화물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입 시공하고, 또한 다수의 내화용기에 연속적으로 혼련 내화물을 유입시공하도록 하므로서, 작업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우수한 시공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화물 유입시공장치{FIREPROOF MATERIAL INFLOW DEVICE FOR A FURNACE IN A STATE OF HOT}
본 고안은 내화물 유입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화물을 적재한 공급호퍼가 길이방향의 이송은 물론 폭방향과 회전이동하면서 다양한 형상의 다수의 내화용기에 내화물을 연속해서 유입시공하므로 작업성이 극대화됨은 물론 내화물의 균일하고 일정한 유입시공으로 우수한 시공체를 제공하는 내화물 유입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화물의 유입 시공은 내화용기 내에 형틀을 설치하고, 상기 내화용기와 형틀 사이로 내화물을 첨수 혼련한 혼련 내화물을 유입하고, 이를 양생시킨 후, 형틀을 제거하여 시공체를 구축하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혼련 내화물의 특성상 일정하고 균일한 유입시공은 물론 신속하면서도 치밀한 유입시공을 행해야만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할 경우에 시공체의 불균일, 층간 분리, 견고성 저하 등으로 내화시공체의 수명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개선하고자, 먼저 상기 혼련 내화물의 치밀한 유입시공은 형틀의 내부에 바이브레이터(Vibrator)를 설치하여 유입 시공 중에 내화용기에 진동을 주므로 상기 혼련 내화물의 치밀한 유입시공을 이루었다.
또한, 상기 혼련 내화물의 균일하고, 일정한 유입시공을 위해서는 특허공보 제1999-2527호에서와 같이, 용융금속용기의 상부에 원추형분배장치를 설치하고, 그상부로 선회슈우트를 구비하여, 믹서에 의한 혼련된 내화물을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여 낙하하면, 상기 내화물이 선회슈우트 상부로 낙하되고, 이 선회슈우트를 선회하면서 원추형의 경사면을 갖는 분배장치에 의해 용융금속용기의 전체내주면을 따라 균일하고 일정한 유입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상기 용융금속용기의 상부에 원추형분배장치를 설치한 것과, 그 상부로 선회슈우트를 선회작동하도록 설치한 것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는 상기 용융금속용기가 원형일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용융금속용기가 다양한 직선이나 곡면을 복합적으로 갖는 형상의 경우에는 내화물의 균일하고 일정한 유입 시공이 곤란하다.
또한, 다수의 용융금속용기에 상기한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직선이나 곡면을 복합적으로 갖는 형상의 용기에는 수작업에 의해 내화물을 유입 시공하게 되므로, 이에따른 인력과 장비의 필요는 물론 균일하고 일정한 유입 시공의 작업이 곤란하고, 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직선이나 곡면을 복합적으로 갖는 다양한 형상의 내화용기에 혼련 내화물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입 시공하므로 우수한 시공체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혼련 내화물을 다수의 내화용기에 연속적으로 유입 시공하는 작업을 행하도록 하므로서 작업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워 설치된 프레임상에서 내화물과 정량의 혼련수를 혼련하는 믹서부와; 상기 믹서부에 의해 혼련 내화물을 공급받아 이를 내화용기에 공급하는 공급호퍼를 갖는 내화물공급부로 구성하되, 상기 공급호퍼는 길이방향은 물론 폭방향,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직선 및 곡선을 복합적으로 형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내화용기에 혼련내화물을 유입 시공함은 물론 다수의 내화용기에 연속적으로 유입 시공 가능하도록 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믹서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공급호퍼의 요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a,b,c는 내화용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프레임 10: 믹서부
15: 혼련수정량공급부 20: 가이드레일
30: 이동프레임 35: 폭방향가이드레일
40: 폭방향이동프레임 50: 공급호퍼
51: 본체 52: 배출구
55: 바이브레이터 56: 도어
70: 내화물공급부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 설치된 프레임(5)의 상부에서, 내화물과 혼련수정량공급부(15)에 의해 공급되는 정량의 혼련수를 혼련하는 믹서부(10)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20)을 따라 하부의 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바퀴(R1)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30)과, 상기 이동프레임(30)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폭방향가이드레일(35)(35)을 따라 하부의 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바퀴(R2)로 폭방향으로 이동조절되는 폭방향이동프레임(40)과, 상기 폭방향이동프레임(40)의 상부에 세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5)의 상부 중앙으로 회전모터(M3)의 구동기어(M3-1)와 기어부(58)가 치합되어 회전조절하도록 지지설치되는 공급호퍼(50)로 된 내화물공급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호퍼(50)는 상부에 내화물을 유입 안내하는 보조호퍼(53)가 연장 설치되고 하부에 내화물을 배출하는 배출구(52)를 형성하며, 일측이 상광 하협의 경사면(51')을 갖는 삼각형태의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경사면(51')에 설치되어 내화물의 배출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55)와, 상기 본체(51)의 배출구(51')를 작동실린더(S)의 작동에 따라 개폐작동하도록 설치된 도어(5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혼련수정량공급부(15)는 물탱크(16)와 공급펌프(17) 및 가온된 혼련수를 공급하기 위한 히터(18), 미세하게 혼련수를 첨가할 수 있는 첨가수공급밸브(19)로 구성되어 정량의 혼련수를 적정의 온도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5)의 하부에는 공급호퍼(50)의 배출구(52) 하부 위치로 배수관(71)을 세워 설치하고, 그 하부의 지면에 배수조(72)를 연통되게 형성하여, 미도시된 고압세척장치에 의해 상기 믹서부(10) 상부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믹서부(10), 공급호퍼(50)를 세척하고, 그 세척한 물은 하부의 배수조로 낙하하여 배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조(72)는 상부가 개방된 격벽(73)에 의한 구획공간부(74)를 형성하여 세척수에 포함된 내화물은 침전시키고, 그 세척한 물만 구획공간부(74)로 넘치게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5)의 상부에는 일측으로 연장 설치된 레일(6)에 내화물포대(2)를 운반하는 호이스트(7)가 이동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2는 내화물을 믹서부(10)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이고, 13은 믹서부의 하부 도어를 개폐작동시키는 실린더, M4는 믹서부를 구동시켜 내화물과 혼련수를 혼련시키는 구동모터, P,P'는 내화용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내화물을 유입 시공할 내화용기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호퍼(50)가 이동하는 위치, 즉 가이드레일(20)(20)상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프레임(5)상부의 레일(6)을 이용하여 호이스트(7)로 내화물포대(2)를 이동시켜 내화물을 믹서부(10)에 공급하고, 혼련수정량공급부(15)에 의해 상기 믹서부(10)에 혼련수를 정량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혼련수는 물탱크(16)내의 히터(18)에 의해 적당히 가온된 상태로 공급펌프(17)의 작동으로 공급하고, 또한 미세조정 혼련수는 별도의 첨가수공급밸브(19)를 개폐조절하면서 보충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믹서부(10)내에 정량의 혼련수와 내화물이 공급되면 이를 혼합하여 혼련 내화물을 만든다.
이와 같이, 혼련 내화물이 준비완료되면, 그 하부의 도어를 개폐하여 혼련 내화물을 그 하부로 낙하하여 공급호퍼(50)에 충진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공급호터(50)를 이동시켜 내화용기(P)의 내측 외주연을 따라 유입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화용기(P)의 내부에는 형틀이 삽입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작동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모터(M1)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30)을 가이드레일(20)(20)을 따라 이동시켜, 내화용기(P)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구동모터(M1)에 의한 이동프레임(30)의 이동조절과, 상기 이동프레임(30)상부에서 구동모터(M2)에 의해 폭방향이동프레임(40)을 폭방향가이드레일(35)(35)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조절을 행하게 된다.
즉, 공급호퍼(50)를 전후방향과, 그 폭방향으로 이동조절하면서, 공급호퍼내의 혼련 내화물을 내화용기(P)의 내측 외주연을 따라 일정하고 균일하게 유입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내화용기(P)의 코너부위, 특히 라운드를 갖는 코너부위에서는 상기 공급호퍼(50)를 회전모터(M3)에 의해 회전시키므로, 혼련 내화물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호퍼(50)는 그 배출구(52)를 유압실린더(S)에 의해 작동하는 도어(56)를 개폐하므로 혼련 내화물을 공급조절하게 된다.
결국, 상기 공급호퍼(50)는 전후방향과, 그 폭방향은 물론 회전작동하면서 도 7a,b,c에서와 같이 직선과 곡선을 복합적으로 갖는 다양한 형상의 내화용기(P)에 혼련 내화물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입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공급호퍼(50)에 의한 혼련 내화물의 유입시, 상기공급호퍼(50)의 본체(51)는 일측이 경사면(51')을 형성하고 있고, 그 외측의 바이브레이터(55)에 의해 진동을 일으켜 공급호퍼(50)내의 혼련 내화물의 유입 시공을 원활히 하게 됨은 물론 치밀하게 유입 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화용기(P)에 혼련 내화물의 유입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호퍼(50)를 가이드레일(20)(2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일측의 내화용기(P')에 전술한 방법으로 혼련 내화물을 주입하게 된다.
즉, 다수의 내화용기(P)(P')에 연속적으로 혼련 내화물을 주입 시공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혼련 내화물의 유입 시공시, 공급호퍼(50)내의 혼련 내화물이 떨어지면, 상기 공급호퍼(50)를 가이드레일(20)(20)을 따라 최초 위치로 원위치 이동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믹서부(10)에 의해 혼련 내화물을 다시 보충한 뒤, 이를 다시 이동시켜 내화용기(P)내에 혼련 내화물을 유입 시공하는 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공급호퍼(50)에 의한 혼련 내화물의 유입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호퍼(50)를 가이드레일(20)(20)을 따라 최초의 위치로 원위치 시키고, 상기 믹서부(10)와 공급호퍼(50)내에 뭍어 있는 내화물이 굳어지기 전에 고압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므로, 다음의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믹서부(10)와, 공급호퍼(50)를 세척한 물은 하부의 배수관(71)을 통해 배수조(72)로 낙하되어 이에 포함된 내화물을 분리한 상태로 배수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때, 지지프레임(80)의 중앙으로 믹서부(10)를 지지설치하고, 상기 믹서부(10)의 저면에는 혼련 내화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구(11)를 외주연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프레임(80)이 하부의 구동모터(M5)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바퀴(R3)로 가이드레일(82)(8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믹서부(10)내의 혼련 내화물을 유입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전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때, 상기 공급호퍼(50)에 혼련 내화물을 보충하기 위해 공급호퍼(50)를 원위치 시키는 작업을 생략하고자, 상기 믹서부(10)가 설치된 지지프레임(80)을 직접 이동시키면서 하부의 내화용기(P)(P')에 혼련 내화물을 유입 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믹서부(10)는 그 하부의 도어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작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혼련 내화물을 외주연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11)에 의해 내화용기의 내측외주연으로 유입 시공하되, 충분한 양의 혼련 내화물을 갖고 있어, 다수의 내화용기(P)(P')에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주입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화용기(P)(P')내에 혼련 내화물의 유입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므로 유입 시공 시간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혼련 내화물의 층간분리 등의 문제를 완전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급호퍼를 길이방향, 그 폭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이동조절하면서 직선이나 곡면을 복합적으로 갖는 다양한 형상의 내화용기에 혼련 내화물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입 시공하고,
또한, 다수의 내화용기에 연속적으로 혼련 내화물을 유입시공하도록 하므로서, 작업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우수한 시공체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내화용기에 혼련 내화물을 유입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세워 설치된 프레임(5)의 상부에서, 내화물과 혼련수정량공급부(15)에 의해 공급되는 정량의 혼련수를 혼련하는 믹서부(10)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20)을 따라 하부의 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바퀴(R1)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30)과, 상기 이동프레임(30)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폭방향가이드레일(35)(35)을 따라 하부의 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바퀴(R2)로 폭방향으로 이동조절되는 폭방향이동프레임(40)과, 상기 폭방향이동프레임(40)의 상부에 세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5)의 상부 중앙으로 회전모터(M3)의 구동기어(M3-1)와 치합되어 회전조절하도록 지지설치되는 공급호퍼(50)로 된 내화물공급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퍼(50)는 상부에 내화물을 유입 안내하는 보조호퍼(53)가 연장 설치되고 하부에 내화물을 배출하는 배출구(52)를 형성하며, 일측이 상광 하협의 경사면(51')을 갖는 삼각형태의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경사면(51')에 설치되어 내화물의 배출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55)와, 상기 본체(51)의 배출구(51')를 작동실린더(S)의 작동에 따라 개폐작동하도록 설치된 도어(56)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80)의 중앙으로 믹서부(10)를 지지설치하고, 상기 믹서부(10)의 저면에는 혼련 내화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구(11)를 외주연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프레임(80)이 하부의 구동모터(M5)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바퀴(R3)로 가이드레일(82)(8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믹서부(10)내의 혼련 내화물을 유입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KR2020000030977U 2000-11-06 2000-11-06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KR200233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77U KR200233886Y1 (ko) 2000-11-06 2000-11-06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77U KR200233886Y1 (ko) 2000-11-06 2000-11-06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886Y1 true KR200233886Y1 (ko) 2001-09-26

Family

ID=7306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977U KR200233886Y1 (ko) 2000-11-06 2000-11-06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88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306B1 (ko) 2017-01-09 2017-03-27 주식회사 유한정밀 스크류 피딩식 부정형 내화물 유입시공기
KR101733766B1 (ko) * 2016-06-17 2017-05-11 주식회사 유한정밀 내화물 유입시공장치의 혼련기
KR101754629B1 (ko) * 2017-01-09 2017-07-10 주식회사 유한정밀 믹서 스윙식 부정형 내화물 유입시공기
KR102030486B1 (ko) 2019-08-12 2019-10-10 (주)한성테크 개폐문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물 혼련장치
KR102034876B1 (ko) 2019-08-12 2019-10-21 (주)한성테크 혼련효율을 향상한 내화물 혼련장치
KR102308878B1 (ko) 2020-04-07 2021-10-06 (주)한성테크 내화물 혼련장치
KR102499860B1 (ko) 2021-09-14 2023-02-16 (주)한성테크 분진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물 혼련장치
KR20230105502A (ko) 2022-01-04 2023-07-11 (주)한성테크 내화물 혼련장치의 제어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766B1 (ko) * 2016-06-17 2017-05-11 주식회사 유한정밀 내화물 유입시공장치의 혼련기
KR101719306B1 (ko) 2017-01-09 2017-03-27 주식회사 유한정밀 스크류 피딩식 부정형 내화물 유입시공기
KR101754629B1 (ko) * 2017-01-09 2017-07-10 주식회사 유한정밀 믹서 스윙식 부정형 내화물 유입시공기
KR102030486B1 (ko) 2019-08-12 2019-10-10 (주)한성테크 개폐문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물 혼련장치
KR102034876B1 (ko) 2019-08-12 2019-10-21 (주)한성테크 혼련효율을 향상한 내화물 혼련장치
KR102308878B1 (ko) 2020-04-07 2021-10-06 (주)한성테크 내화물 혼련장치
KR102499860B1 (ko) 2021-09-14 2023-02-16 (주)한성테크 분진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물 혼련장치
KR20230105502A (ko) 2022-01-04 2023-07-11 (주)한성테크 내화물 혼련장치의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3886Y1 (ko)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JP6933917B2 (ja) コンクリートミキサ及びこれが用いられる生コンクリート製造装置
KR20160012734A (ko) 고점도 혼합물 믹서의 세척 방법
US3459409A (en) Mixing and conveyor system
KR20110009021U (ko) 타일 작업용 모르타르 공급기
CN207373444U (zh) 一种具有可控布料和真空排泡功能的搅拌机
KR20150065338A (ko) 고무 이형제 희석장비
GB2344296A (en) Vehicle comprising apparatus for making foamed concrete
CN215540691U (zh) 一种具有加热调温功能的干投机
JPH0768081A (ja)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KR200266831Y1 (ko)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약액 교반장치
KR101198364B1 (ko) 이동수단이 구비된 샌드믹서
KR101391954B1 (ko) 유화아스팔트 공급장치
JP2793143B2 (ja) 洗米装置
KR20160002135A (ko) 콘크리트관을 제조하기 위해 원심성형 중인 콘크리트에 보강섬유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KR101311774B1 (ko) 원료 혼합장치
KR101136563B1 (ko) 몰드 성형용 석고코어 제조 장치
CN221001015U (en) Concrete pouring structure and system
KR100537741B1 (ko) 관 성형장치
CN111168857B (zh) 一种混凝土搅拌机及运用该搅拌机的混凝土生产工艺
CN207859131U (zh) 一种复合保温砖用下料斗
PL125717B1 (en) Gypsum casting apparatus
KR890003204Y1 (ko) 콘크리트재료 자동투입기
JP2001055702A (ja) 舗装機械における乳剤撒布装置
KR100805710B1 (ko)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