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179A - 티켓 발행기 - Google Patents

티켓 발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179A
KR20220132179A KR1020210037148A KR20210037148A KR20220132179A KR 20220132179 A KR20220132179 A KR 20220132179A KR 1020210037148 A KR1020210037148 A KR 1020210037148A KR 20210037148 A KR20210037148 A KR 20210037148A KR 20220132179 A KR20220132179 A KR 20220132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ticket
driving
issu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형
Original Assignee
조두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두형 filed Critical 조두형
Priority to KR102021003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179A/ko
Publication of KR20220132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티켓 발행 시 드라이버의 안전과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는 티켓 발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티켓 발행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 전후진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티켓 발행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된 본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직선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켓 발행기{Ticket issuing apparatus}
본 발명은 티켓 발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켓 발행 시 드라이버의 안전과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는 티켓 발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켓 발행기는 무인으로 사용자의 조작과 비용 지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티켓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티켓 발행기는 발행기 몸체와 상기 발행기 몸체의 전면에 구비된 티켓 조작부, 발행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비용 결제부, 발행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티켓 인쇄부, 발행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티켓 인출부, 발행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거스름돈을 지급하는 거스름돈 지급부, 발행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거스름돈 인출부 및 발행기 몸체의 내부에 사용자의 티켓 조작부 조작에 따라 비용 결제부와 티켓 인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티켓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티켓 조작부는 사용자가 화면 터치에 따라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게 한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비용 결제부는 동전 투입부와 지폐 투입부 및 카드 리더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스름돈 지급부는 동전 지급부와 지폐 지급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티켓 발행기는 사용자가 터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티켓 조작부를 조작하여 발행받고자 하는 티켓을 선택하게 되면, 티켓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비용지불을 요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른 비용을 비용 지불부를 통하여 현금 또는 카드를 이용하여 지불하고, 사용자의 지불에 따라 티켓제어부는 티켓 인쇄부를 제어하여 티켓이 티켓 인출부로 발행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비용지불부를 통한 비용지불에 있어 거스름돈이 발생하게 되면, 거스름돈 지급부를 거스름돈 인출부로 거스름돈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거스름돈을 가져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티켓 발행기는 프레임에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차량을 이용하는 고속도로 톨게이트나 드라이브 스루의 경우에 조작판이나 티켓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차량 밖으로 운전자가 나와야하는 불편한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00-0006226
본 발명에 따르면 티켓 발행기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적당한 거리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티켓 발행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티켓 발행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 전후진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티켓 발행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된 본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직선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본체 사이의 밀착 부위에는 상기 본체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속된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랙 기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의 인출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인출 거리 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티켓 발행기는 티켓 발행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더라도 본체가 인출되어 운전자에게 근접하게 되므로 드라이버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발행기의 작동 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발행기의 작동 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발행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발행기의 내부 구성부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발행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발행기는, 프레임(20), 본체(30), 그리고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본체(30)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대략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본체(30)가 출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20)은 본체(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도가 일정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본체(30)가 지지되면서 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금속재질과 같이 강도가 강한 재질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는, 도 3을 참고하면, 가이드 레일(21)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30)의 가이드 부재(31)와 구속되어 본체(30)의 출입을 부드럽게 슬라이딩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본체(30) 사이의 밀착 부위에는 상기 본체(30)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21)과 상기 가이드 레일(21)에 구속된 가이드 부재(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20)의 하부에는 구동모터(22)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22)의 회전축 은 상기 프레임(20)의 패널을 관통하고, 끝단에는 구동기어(23)가 설치되어 구동모터(22)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슬라이딩 전후진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티켓 발행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30)는 본체(30)가 출입 시 빗방울이나 이물질의 투입이 방지되도록 뚜껑(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30)의 내부에는 각종 전장품이 설치되고, 전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30)의 측면에는 가이드 부재(31)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1)과 함께 본체(30)가 프레임(20)에 대하여 슬라이딩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30)의 저면에는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랙 기어(3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2)의 작동에 의해 구동기어(23)가 회전하게 되면 랙 기어(32)가 고정된 본체(30)는 전후진하여 프레임(20)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30)가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의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의 인출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30)의 인출 거리 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센서의 감지된 내용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본체(30)의 인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본체(30)를 직선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30)에 설치된 랙 기어(32)와,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되고 상기 랙 기어(32)에 맞물리는 구동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2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본체(30)는 상기 프레임(2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켓 발행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본체(30)가 프레임(20)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고, 도 2의 경우에는 본체(30)가 프레임(2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티켓 발행기는 캐비닛(10) 내부에 프레임(20)과 본체(30)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캐비닛(10)은 본체(3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본체(30)나 프레임(20)과 마찬가지로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본체(30)의 전면에는 할인권, 신용카드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물론 각 후방에는 할인권과 신용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영수증 발행과 무인시스템에 설치된 경우 원격으로 관리자와 대화할 수 있도록 인터폰이 설치되어 있다. 그 외 전술한 센서 등과 각종 LED 제품들과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티켓 발행기의 본체(30)가 외측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바, 구동모터(22)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 레일(21)과 가이드 부재(31)의 안내에 의해 본체(30)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렇게 본체(30)가 인출되면 차량에 탑승한 경우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다음 티켓을 뽑지 않고 운전석에서 여유롭게 티켓 발행 등의 여러 업무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티켓 발행기의 작동을 위한 기술 구성이 잘 나타나 있다. 구동모터(22)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23)가 회전할 것이고, 이에 맞물린 랙 기어(32)가 고정된 본체(30)는 가이드 레일(21)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 직선 이동할 것이다. 결국 본체(30)는 프레임(20)에 출입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23)의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30)는 프레임(20)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인출될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티켓 발행기 내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체(30) 내부에는 티켓(33)이 롤 형태로 감겨 보관되어 있고, 작동 상황에 따라 티켓으로 발행될 것이다. 그 외 다른 작동을 위한 전자 부품들이 본체(30) 내부에 설치되어 보호되고, 본체(30)와 함께 프레임(20)에 대하여 전후진 슬라이딩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캐비닛
20 : 프레임 21 : 가이드 레일
22 : 구동모터 23 : 구동기어
30 : 본체 31 : 가이드 부재
32 : 랙 기어 33 : 티켓
40 ; 뚜껑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 전후진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티켓 발행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된 본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직선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티켓 발행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본체 사이의 밀착 부위에는 상기 본체의 슬라이딩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속된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 티켓 발행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랙 기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티켓 발행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티켓 발행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의 인출 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티켓 발행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인출 거리 내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는, 티켓 발행기.

KR1020210037148A 2021-03-23 2021-03-23 티켓 발행기 KR20220132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148A KR20220132179A (ko) 2021-03-23 2021-03-23 티켓 발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148A KR20220132179A (ko) 2021-03-23 2021-03-23 티켓 발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179A true KR20220132179A (ko) 2022-09-30

Family

ID=8345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148A KR20220132179A (ko) 2021-03-23 2021-03-23 티켓 발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1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226A (ko) 1998-06-19 2000-01-25 오틸리오 마세롤리; 카를로 코그리아티 227의제조공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226A (ko) 1998-06-19 2000-01-25 오틸리오 마세롤리; 카를로 코그리아티 227의제조공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588B1 (ko) 차량 운전자를 위한 금융자동화기기
KR20220132179A (ko) 티켓 발행기
KR20090023290A (ko) 자동 거래 장치
JP3956295B2 (ja) 給油装置
JP5176705B2 (ja) 自動取引装置
JPH0693277B2 (ja) 価値ある紙類を引出しそして預入れるための装置
JP2008225935A (ja) 顧客操作型自動発券端末
KR100774726B1 (ko) 톨게이트 통과 시 요금 정산방법 및 그 장치
US7035822B1 (en) Self-service terminal
KR100465051B1 (ko) 온라인 즉석복권기능을 가진 주유시스템 및 주유시스템의온라인복권제공방법
EP2333729B1 (e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2020030747A (ja) 駐車場管理機
JPH07272064A (ja) 自動取引装置
KR101531595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5708329B2 (ja) 取引装置
KR100312773B1 (ko) 주차요금 자동 정산기의 점검방법
JP2017134481A (ja) 釣銭機能付注文用操作装置
JPH06215234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721465A (ja) 売出伝票自動発行器
JP6453428B1 (ja) 遊技機
JP3882770B2 (ja) 給油装置
JPH01319889A (ja) 駐車券用発券機
JPH07152933A (ja) 車種別駐車場管理装置
KR200237228Y1 (ko) 인터넷 화면을 갖는 지하철및 기차등의 티켓 발매기
JP3746163B2 (ja) 発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