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04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041A
KR20220107041A KR1020227022240A KR20227022240A KR20220107041A KR 20220107041 A KR20220107041 A KR 20220107041A KR 1020227022240 A KR1020227022240 A KR 1020227022240A KR 20227022240 A KR20227022240 A KR 20227022240A KR 20220107041 A KR20220107041 A KR 20220107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fall prevention
plate
opening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601B1 (ko
Inventor
유지 하치노
가나에 세기
다카토 오다
Original Assignee
핫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핫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핫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판상 부재(100)의 개구(100H)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1)로서,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100H)보다 넓게 되어 있으며 표시 화면(10a)의 주위를 덮는 프레임부(10)와,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100H)보다 좁게 되어 있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에 있어 상기 표시 화면(10a)과는 반대쪽에, 상기 판상 부재(100)에 설치된 경우에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100H)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일부가 상기 개구(100H))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자동화(factory automation, FA) 관련 기기의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 HMI) 기기로서, 패널 마운트(panel mount)식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패널 마운트식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표시기가 개시되어 있다. 패널 마운트식의 표시기를 선반 패널에 설치함에 있어 소정의 설치 개소에 장착하고서 설치 브라켓의 나사를 조임으로써 표시기를 선반 패널에 고정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58600호
패널 등에 표시 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패널의 앞면에서 표시 장치를 끼워넣고 패널의 뒤에서 브라켓(bracket)에 의해 고정한다. 그러나, 패널의 뒤로 이동할 때에는, 표시 장치를 받치고 있던 손을 떼고서 패널의 뒷면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패널의 뒷면으로 이동할 때에 작업자가 손을 떼면, 장치가 패널로부터 낙하할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설치할 때의 낙하 방지 대책이 이루어진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양태에 의하면, 판상(板狀) 부재의 개구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로서, 정면시(正面視)로 보았을 때에 개구보다 넓게 되어 있으며 표시 화면의 주위를 덮는 프레임부와,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개구보다 좁게 되어 있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장치는, 본체부에 있어 표시 화면과는 반대쪽에, 판상 부재에 설치된 경우에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일부가 상기 개구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可動) 낙하 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설치시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동 낙하 방지부 부근을 확대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동 낙하 방지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동 낙하 방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1)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2)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3)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4)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5)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6)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7)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8)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9)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10)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11)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로부터 탈거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판상 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12)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 내용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각 실시형태에 따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 있어 각 부의 축척은 실제와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XYZ 직교 좌표계가 설정되어 있다. 도면의 지면에 대해 수직인 좌표축에 대해서는, 좌표축의 동그라미 안에 X표시가 되어 있으면 지면 뒷면 방향이 (+), 동그라미 안에 검정 원 표시가 되어 있으면 지면 앞면 방향이 (+)임을 나타낸다. 다만, 당해 좌표계는 설명을 위해 규정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자세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1~도7에 있어 X축 및 Y축은 표시 장치(1)의 표시 화면(10a)에 평행한 축이다. 구체적으로, X축은 표시 장치(1)의 표시 화면(10a)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이다. 또한, Y축은 표시 장치(1)의 표시 화면(10a) 폭 방향에 평행한 축이다. Z축은 표시 장치(1)의 표시 화면(10a)에 수직인 축이다.
표시 장치(1)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Z축을 앞쪽, -Z쪽을 뒷쪽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X쪽을 오른쪽, -X쪽을 왼쪽, +Y쪽을 윗쪽, -Y쪽을 아랫쪽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의 +Z쪽을 정면, -Z쪽을 뒷면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8~도20에서 X축 및 Y축은 판상 부재(100)의 앞면(100F) 또는 판상 부재(110)의 앞면(110F)에 평행한 축이다. Z축은 판상 부재(100)의 앞면(100F) 또는 판상 부재(110)의 앞면(110F)에 수직인 축이다.
<<표시 장치(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1)는 이른바 패널 마운트식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표시기이다. 표시 장치(1)는 제어 패널의 앞면 도어 등과 같은 판상 부재에 설치된다. 당해 판상 부재는 개구를 갖는다. 그리하여, 표시 장치(1)는 판상 부재의 개구로 앞쪽에서부터 삽입되어 뒷쪽에서부터 고정된다. 표시 장치(1)는 측정 결과나 기기 상태 등을 표시하는 출력 장치 및 설정이나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표시 장치(1)는 프레임부(10), 본체부(20), 부속부(30)를 구비한다.
<프레임부(10)>
프레임부(10)는 내부에 표시 화면(10a)을 가진다. 즉, 프레임부(10)는 표시 화면(10a)의 주위를 덮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표시 화면(10a)은 표시를 행한다. 또한, 표시 화면(10a)은 터치 패널로서 입력을 행한다. 프레임부(10)는 앞면(10F), 뒷면(10B), 측면(10S1,10S2,10S3,10S4)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프레임부(10)의 앞면(10F)에는 표시 화면(10a)이 구비된다. 또한, 표시 화면(10a)의 주위에는 테두리부(10b)가 구비된다.
측면(10S1,10S2,10S3,10S4)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프레임부(10)의 중심에 대해 각각 오른쪽, 윗쪽, 왼쪽, 아랫쪽에 위치한다.
표시 화면(10a)은 화상이나 문자 등을 표시한다. 또한, 조작자는 표시 화면(10a)으로부터 실정이나 입력을 행한다. 테두리부(10b)는 표시 화면(10a)의 주위에 배치된다. 테두리부(10b)는 표시 화면(10a)의 보호를 위해 구비된다.
프레임부(10)는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표시 장치(1)가 설치되는 판상 부재가 갖는 개구(예를 들어, 후술하는 판상 부재(100)의 개구(100H))보다 넓게 되어 있다.
<본체부(20)>
본체부(20)는 표시 장치(1)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판 등을 내장하고 있다. 본체부(20)는 프레임부(10)의 뒷면(10B)에 설치된다. 본체부(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20)는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프레임부(10)보다 작다. 즉, 본체부(20)는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표시 장치(1)가 설치되는 판상 부재가 갖는 개구(예를 들어, 후술하는 판상 부재(100)의 개구(100H))보다 좁게 되어 있다. 본체부(20)는 측면(20S1,20S2,20S3,20S4)을 가진다. 또한, 본체부(20)는 뒷면(20B)을 가진다.
측면(20S1,20S2,20S3,20S4)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본체부(20)의 중심에 대해 각각 오른쪽, 윗쪽, 왼쪽, 아랫쪽에 위치한다.
측면(20S1)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프레임부(10)의 측면(10S1)보다 왼쪽에 위치한다. 측면(20S1)은 브라켓 결합 구멍(21a)을 갖는다. 브라켓 결합 구멍(21a)은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에 설치할 때(도 17 참조)에 설치 브라켓(60a)과 결합된다.
측면(20S2)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프레임부(10)의 측면(10S2)보다 아랫쪽에 위치한다. 측면(20S2)은 브라켓 결합 구멍(21b,21c,21d)을 갖는다. 브라켓 결합 구멍(21b,21c,21d)은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에 설치할 때(도 17 참조)에 설치 브라켓(60b,60c,60d)과 결합된다.
측면(20S3)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프레임부(10)의 측면(10S3)보다 오른쪽에 위치한다. 측면(20S3)은 브라켓 결합 구멍(21e)을 갖는다. 브라켓 결합 구멍(21e)은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에 설치할 때(도 17 참조)에 설치 브라켓(60e)과 결합된다.
측면(20S4)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프레임부(10)의 측면(10S4)보다 윗쪽에 위치한다. 측면(20S4)은 브라켓 결합 구멍(21f,21g,21h)을 갖는다. 브라켓 결합 구멍(21f,21g,21h)은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에 설치할 때(도 17 참조)에 설치 브라켓(60f,60g,60h)과 결합된다.
뒷면(20B)은 고정 낙하 방지부(41,42) 및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구비한다.
고정 낙하 방지부(41,42)는 뒷면(20B)의 아랫쪽 단부에 측면(20S4)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도 3 참조). 즉, 고정 낙하 방지부(41,42)는 본체부(20)의 표시 화면(10a) 반대쪽에 구비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가동 낙하 방지부(50) 부근을 확대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가동 낙하 방지부(50) 부근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5의 I-I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가동 낙하 방지부(50)의 분해 사시도이다.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본체부(20)의 뒷면(20B)에 설치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축 A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달리 말하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체부(20)는 뒷면(20B)을 형성하는 뒷면 플레이트(22)와, 측면(20S1,20S2,20S3,20S4)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23)를 구비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축 AX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 부재(51)를 통해 나사(52)에 의해 뒷면 플레이트(22)에 설치된다. 즉,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표시 화면(10a)과는 반대쪽에 구비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원통 부재(51)를 통해 뒷면 플레이트(22)에 설치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축 AX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체부(20)는,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소정 각도 범위 밖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뒷면 플레이트(22)에 이동 제한부(22a,22b)를 구비한다. 이동 제한부(22a)는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X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Y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 제한부(22b)는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Y축에 평행한 방향보다 +X 쪽인 위치로부터 -X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부속부(30)>
부속부(30)는 표시 장치(1)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판 등을 내장(內藏)하고 있다. 부속부(30)는 특히 외부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전원 장치 등을 내장하고 있다. 부속부(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부속부(30)는 본체부(20)의 뒷면(20B)에 설치된다. 부속부(30)는 정면시(正面視)로 보았을 때에 본체부(20)보다 작다.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에 설치>
도8~도1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판상 부재(100)는, 예를 들어, 제어 패널의 앞면 도어 등이다. 판상 부재(100)는 앞면(100F)과 뒷면(100B)을 가진다. 또한, 판상 부재(100)는 개구(100H)를 가진다.
표시 장치(1)는, 판상 부재(100)의 앞면(100F) 쪽에서 본체부(20)를 삽입함으로써 판상 부재(100)에 설치된다.
개구(100H)는, 표시 장치(1)의 본체부(20)를 개구(100H)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본체부(20)보다 수mm 정도 크게 형성된다. 또한, 개구(100H)는, 프레임부(10)가 개구(100H)를 관통하지 않도록,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프레임부(10)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판상 부재(100)의 크기는 도8~도18에 나타내는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상 부재(100)는, 표시 장치(1)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100H)를 가질 수 있다면, 크기룰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한, 도8~도18에서 중력은 Y축 방향의 -Y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한다. 즉, 판상 부재(10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판상 부재(100)에 대해 앞쪽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앞쪽으로 경사진 표시 장치(1)는 경사진 상태에서 표시 장치(1) 아랫쪽에서부터 화살표 A1 및 화살표 A2를 따라 판상 부재(100)의 개구(100H)에 삽입된다.
표시 장치(1)의 아랫쪽이 삽입되면, 개구(100H)의 하부(100H1)에서 고정 낙하 방지부(41,42)가 판상 부재(100)에 접촉한다. 따라서, 개구(100H)에 삽입된 표시 장치(1)의 아랫쪽이 개구(100H)로부터 앞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 장치(1)의 아랫쪽이 삽입된 상태에서 표시 장치(1)의 윗쪽이 개구(100H)에 삽입된다. 도 10은 표시 장치(1)의 아랫쪽이 삽입된 상태의 표시 장치(1) 윗쪽이 개구(100H)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화살표 A3을 따라 회전시킨 상태에서 표시 장치(1)의 윗쪽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은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화살표 A3를 따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자중에 의해 화살표 A3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표시 장치(1)의 아랫쪽이 삽입된 상태의 표시 장치(1) 윗쪽이 개구(100H)에 삽입되는 경우에,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판상 부재(100)의 앞면(100F)에 접촉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판상 부재(100)의 앞면(100F)에 접촉하가 때문에, 그 상태로는 표시 장치(1)의 윗쪽은 개구(100H)에 삽입될 수 없다.
그리하여,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화살표 A3를 따라 회전시킨다.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화살표 A3를 따라 회전시키면,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개구(100H)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표시 장치(1)의 윗쪽을 개구(100H)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화살표 A3를 따라 회전시키면,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개구(100H) 안쪽에 위치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개구(100H) 안쪽에 있을 때의 가동 낙하 방지부(50)의 위치가 제1 위치의 일 예이다.
또한, 표시 장치(1)의 윗쪽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자중에 의해 화살표 A3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4에서와 같이,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화살표 A3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판상 부재(100)의 뒷면(100B)에 접촉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판상 부재(100)의 뒷면(100B)에 접촉하면, 표시 장치(1)의 윗쪽은 개구(100H)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즉,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화살표 A3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 낙하 방지부(50)의 일부가 개구(100H) 바깥쪽에 위치한다. 가동 낙하 방지부(50)의 일부가 개구(100H) 바깥쪽에 있을 때의 가동 낙하 방지부(50)의 위치가 제2 위치의 일 예이다.
표시 장치(1)의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표시 장치(1)의 이동 제한부(22a)는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표시 장치(1)의 이동 제한부(22b)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 및 도 16은 표시 장치(1)가 판상 부재(100)의 개구(100H)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표시 장치(1)가 판상 부재(100)의 개구(100H)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표시 장치(1)의 고정 낙하 방지부(41,42) 및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판상 부재(100)의 뒷면(100B)에 접촉한다. 표시 장치(1)의 고정 낙하 방지부(41,42) 및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판상 부재(100)의 뒷면(100B)에 접촉함으로써, 표시 장치(1)가 개구(100H)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는 고정 낙하 방지부(41,42) 및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구비함으로써, 판상 부재(100)의 개구(100H)에 삽입된 상태에서 표시 장치(1)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7 및 도 18은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에 최종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1)는 설치 브라켓(60a,60b,60c,60d,60f,60g,60h)을 각각 브라켓 결합 구멍(21a,21b,21c,21d,21f,21g,21h)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결합 구멍(21a,21b,21c,21d,21f,21g,21h)의 나사를 조임으로써, 프레임부(10)의 뒷면(10B)과 설치 브라켓(60a,60b,60c,60d,60f,60g,60h) 각각의 사이에 판상 부재(100)를 두고 체결한다. 프레임부(10)의 뒷면(10B)과 설치 브라켓(60a,60b,60c,60d,60f,60g,60h) 각각의 사이에 판상 부재(100)를 두고 체결함으로써,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에 설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로부터 탈거>
도 19는 가(假) 설치 상태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로부터 탈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가설치 상태의 표시 장치(1)는 도 19에서 P로 나타내는 세 곳에서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가설치 상태의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는, 지지되어 있지 않은 쪽인,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왼쪽으로(화살표 A4를 따라) 비스듬하게 위로 당김으로써 탈거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비교적 부드러운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설치 상태의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00)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1)의 윗쪽을 화살표 A5를 따라 강하게 당김에 의해서도 탈거할 수 있다.
한편, 판상 부재(100)의 뒷면(100B) 쪽에서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조작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설치 상태의 표시 장치(1)를 탈거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의 설치 방향>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를 판상 부재(110)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판상 부재(110)는 앞면(110F) 및 뒷면(110B)을 갖는다.
표시 장치(1)를 종형(縱型)으로 해서 판상 부재(1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앞면(110F) 쪽에서부터 개구로 삽입되어 뒷면(110B)으로부터 고정된다. 표시 장치(1)를 종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종방향(Y축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판상 부재(110)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1)를 종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아랫쪽에 둔다. 그리고, 고정 낙하 방지부(41,42)가 횡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를 종형 표시 장치로 해서 판상 부재(110)에 설치할 수 있다.
<작용·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낙하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표시 장치가 흘러내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와 같이, 두께가 얇은 경우에 표시 장치가 흘러내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는 고정 낙하 방지부(41,42)를 구비하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아랫쪽에서 표시 장치(1)가 자중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 낙하 방지부(41,42)가 없어도 된다. 한편,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구비함으로써, 표시 장치(1)가 앞쪽으로 회전하면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판상 부재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판상 부재는 앞쪽이나 뒤쪽으로 경사져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쪽으로 경사져 있더라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는 고정 낙하 방지부(41,42) 및 가동 낙하 방지부(50)를 구비함으로써 표시 장치(1)가 앞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판상 부재가 앞쪽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에, 판상 부재가 앞쪽으로 경사진 각도가 크면, 자중에 의해 가동 낙하 방지부(5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가 있게 되는 바, 판상 부재는 수직에 대해 60° 이하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 부재가 수직에 대해 30° 이하로 경사져 있다면 보다 바람직하다.
가동 낙하 방지부(50)는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축 AX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스프링 등과 같은 추력(推力) 부재,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부재 등의 가압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주된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서 여러 형태로 생략, 치환, 변경될 수 있다.
1 표시 장치
10 프레임부
10a 표시 화면
10b 테두리부
10F 앞면
10B 뒷면
10S1,10S2,10S3,10S4 측면
20 본체부
20B 뒷면
20S1,20S2,20S3,20S4 측면
21a,21b,21c,21d,21e,21f,21g,21h 브라켓 결합 구멍
22 뒷면 플레이트
22a,22b 이동 제한부
23 프레임 부재
30 부속부
41,42 고정 낙하 방지부
50 가동 낙하 방지부
51 원통 부재
52 나사
60a,60b,60c,60d,60e,60f,60g,60h 설치 브라켓
100 판상 부재
100F 앞면
100B 뒷면
100H 개구
100H1 하부
110 판상 부재
110F 앞면
A1,A2,A3,A4,A5 화살표
AX1 축

Claims (6)

  1. 판상 부재의 개구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로서,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보다 넓게 되어 있으며 표시 화면의 주위를 덮는 프레임부와,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보다 좁게 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있어 상기 표시 화면과는 반대쪽에, 상기 판상 부재에 설치된 경우에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상기 개구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정면시로 보았을 때에 일부가 상기 개구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 낙하 방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낙하 방지부와는 서로 다르며, 상기 본체부에 있어 상기 표시 화면과는 반대쪽에서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고정 낙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낙하 방지부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인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낙하 방지부는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인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낙하 방지부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가동 낙하 방지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인 표시 장치.
KR1020227022240A 2020-12-21 2020-12-21 표시 장치 KR102668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47762 WO2022137303A1 (ja) 2020-12-21 2020-12-21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041A true KR20220107041A (ko) 2022-08-01
KR102668601B1 KR102668601B1 (ko) 2024-05-22

Family

ID=8215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240A KR102668601B1 (ko) 2020-12-21 2020-12-2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43710B2 (ko)
KR (1) KR102668601B1 (ko)
CN (1) CN114981866A (ko)
TW (1) TWI806257B (ko)
WO (1) WO202213730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8600A (ja) 2011-09-08 2013-03-28 Hakko Denki Kk 表示器
KR20140001824A (ko) * 2010-10-21 2014-01-07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JP2014038892A (ja) * 2012-08-10 2014-02-27 Digital Electronics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6375B2 (en) * 2002-05-24 2005-08-09 Toshiba Transport Engineering Inc. Unit connecting mechanis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6317494A (ja) * 2005-05-10 2006-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TWI409729B (zh) * 2009-04-17 2013-09-21 Innolux Corp 顯示裝置及其組裝方法
JP5502642B2 (ja) * 2010-07-22 2014-05-28 株式会社デジタル 電子機器の仮止め構造
JP5649638B2 (ja) * 2012-12-10 2015-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
JP6102411B2 (ja) * 2013-03-28 2017-03-2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用取付具
CN205229887U (zh) * 2013-03-28 2016-05-11 Eizo株式会社 控制台装设用图像显示装置
WO2015100396A1 (en) *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s for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JP6625414B2 (ja) * 2015-11-30 2019-12-25 株式会社Lixil 躯体の支持構造
CN107613701B (zh) * 2017-09-21 2020-02-18 江苏力威剪折机床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和拆卸的钣金机箱
CN208175225U (zh) * 2018-05-28 2018-11-30 厦门高卓立光电有限公司 具有保护结构的单色图形oled显示装置
CN210130022U (zh) * 2019-03-05 2020-03-0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显示设备底座及智能显示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824A (ko) * 2010-10-21 2014-01-07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JP2013058600A (ja) 2011-09-08 2013-03-28 Hakko Denki Kk 表示器
JP2014038892A (ja) * 2012-08-10 2014-02-27 Digital Electronics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7303A1 (ja) 2022-06-30
CN114981866A (zh) 2022-08-30
TWI806257B (zh) 2023-06-21
TW202226923A (zh) 2022-07-01
JP7343710B2 (ja) 2023-09-12
JPWO2022137303A1 (ko) 2022-06-30
KR102668601B1 (ko)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14700A (ja) 電子装置
KR20220107041A (ko) 표시 장치
EP0900636A1 (en) Hand-held control device
KR100893343B1 (ko) 전자 기기
JP5227849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JP6354254B2 (ja) 電子装置
JP6940391B2 (ja) 数値制御装置
US824345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JP3855338B2 (ja) ナビゲーション用角速度センサ
JP6383306B2 (ja) 押圧操作装置
TWI620918B (zh) 儀表板及顯示機器
JP2009002993A (ja) 表示装置
JP6405017B2 (ja) 電子機器
CN110326375B (zh) 壳体和基板向壳体的设置方法
JP4419859B2 (ja) プリント基板とケースの組付構造
JP6062972B2 (ja) キーボード
JP2022132436A (ja) スイッチ部材、スイッチ構造およびスイッチ構造を備える電子機器
JP5473749B2 (ja) 電子機器
JP201916719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97801A (ja) 車載表示装置
JP6302266B2 (ja)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電子機器
JP2005230951A (ja) 工作機械
JP2020107696A (ja) アース構造
JP2007299786A (ja) 電子機器
JPH08236960A (ja) 機器の取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