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824A -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 Google Patents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824A
KR20140001824A KR1020137005228A KR20137005228A KR20140001824A KR 20140001824 A KR20140001824 A KR 20140001824A KR 1020137005228 A KR1020137005228 A KR 1020137005228A KR 20137005228 A KR20137005228 A KR 20137005228A KR 20140001824 A KR20140001824 A KR 20140001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ember
wall
female screw
frame
rotation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117B1 (ko
Inventor
야스하루 나이토
토모노리 코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토라이토
Publication of KR2014000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owels (AREA)

Abstract

기기(1)의 프레임(2)의 삽입 볼록부(11)가 벽(100)의 개구부(101)에 삽입된다. 프레임(2)의 제 1 체결부(120)가 벽(100)의 제 1 벽면(100a)에 대향한다. 삽입 볼록부(11)의 삽통 구멍(20a)을 삽통하는 제 1 나사 부재(22, 22B)가 나사 축선(L1) 상에서 제 2 나사 부재(23, 23A, 23B, 23C)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프레임(2)로부터 제 1 방향(X1)으로 노정 가능한 조작 기구(22, 22B, 35)의 조작부(22, 36)의 조작에 의해 제 2 나사 부재(23, 23A, 23B, 23C)의 나사 축선(L1) 주위의 회전 위치를 제 1 회전 위치(P1) 및 제 2 회전 위치(P2)로 조작 가능하다. 프레임(2)의 제 1 체결부(120)와 제 1 회전 위치(P1)로 변위한 제 2 나사 부재(23, 23A, 23B, 23C)의 제 2 체결부(280, 283) 사이에서 벽(100)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한다.

Description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WALL-MOUNTABLE DEVICE}
본 발명은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피커 폰과, 스피커 폰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이들 스피커 폰 및 드라이버를 수용한 케이스를 갖는 스피커 등의 기기는 벽의 개구에 장착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플랜지부라 칭하는 판형상의 부분과, 이 플랜지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둘레 벽을 갖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둘레 벽은 벽의 후방에 배치된 사각 원고리 형상의 외측면을 갖고 있다. 이 밖에 측면의 한측면에는 금구를 장착하기 위한 록킹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 구멍에는 장착 금구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록킹 구멍에 걸려진 상태의 장착 금구는 플랜지부와 벽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부분을 갖고 있고, 이 부분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에는 나사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부와 나사에 의해 벽을 사이에 둠으로써 전자 기기가 벽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 기기를 벽에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우선 작업자가 장착 금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전자 기기를 벽의 정면측으로부터 벽의 개구에 감입한다. 이에 따라, 둘레 벽이 벽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플랜지부는 벽의 개구의 주위 부분에 접한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가 벽의 정면측으로부터 개구에 끼워진 상태로 작업자는 전자 기기를 한쪽의 손으로 잡으면서 다른 쪽의 손으로 장착 금구를 잡는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다른 쪽의 손을 벽의 배면측으로 접촉시켜, 이 장착 금구를 둘레 벽의 록킹 구멍에 건다. 이어서, 작업자는 장착 금구 나사 구멍에 나사를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나사는 벽의 배면측에 접촉한다. 그 결과, 나사의 선단과 플랜지부의 외주연부에 의해 벽을 사이에 두고 전자 기기가 벽에 고정된다.
전자 기기를 분리할 시에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를 행한다. 즉 오퍼레이터는 벽의 배면측으로부터 나사를 느슨하게 하고, 이어서 장착 금구를 전자 기기의 록킹 구멍으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전자 기기를 벽의 개구로부터 발취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64103 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문헌 1 기재의 구성에서는 전자 기기를 벽에 착탈하는 작업에 수고가 든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기기는 벽의 정면측으로부터 벽의 개구에 착탈되는 한편 벽의 배면측으로부터 장착 금구 및 나사의 착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벽의 정면측에서의 작업과, 벽의 배면측에서의 작업이라는 벽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의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벽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 손을 접촉할 필요가 있어 수고가 든다.
전자 기기를 벽에 착탈할 때에 전자 기기를 테이프 등으로 임시 고정한 상태로 벽의 이면측에서 장착 금구나 나사를 착탈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역시 임시 고정의 작업이 필요하며 수고가 든다. 또한, 벽이 클 경우에는 벽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손을 접촉시킬 수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한사람의 작업이 곤란하다. 따라서 두명이 전자 기기를 벽에 장착할 필요가 있어 역시 수고가 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벽에 대한 착탈 작업이 용이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벽면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의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2 벽면을 갖고, 상기 제 1 벽면 및 상기 제 2 벽면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기 벽에 장착하기 위해 나사 축선상에서 서로 연결된 제 1 나사 부재 및 제 2 나사 부재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노정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나사 부재의 상기 나사 축선 주위의 회전 위치를 제 1 회전 위치 및 제 2 회전 위치로 조작 가능한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벽의 상기 제 1 벽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에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삽입 볼록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대향부는 상기 제 1 벽면의 상기 개구부의 주연에 대향되도록 구성된 제 1 체결부를 갖고 있다. 상기 삽입 볼록부는 상기 나사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삽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 1 나사 부재는 상기 삽통 구멍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삽통되어 상기 제 2 나사 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2 나사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에 대향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에 대향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 제 2 체결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대향부의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 변위한 상기 제 2 나사 부재의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벽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이, 상기 제 2 나사 부재는 상기 나사 축선에서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과, 상기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은 상기 제 2 체결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과 같이,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제 2 나사 부재로서의 암나사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 1 나사 부재로서의 수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기구로서의 상기 수나사 부재는 상기 수나사 부재와 상기 암나사 부재의 마찰 맞물림력을 통해 상기 암나사 부재의 위치를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과 같이,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제 2 나사 부재와 도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 2 나사 부재로부터 상기 삽입 볼록부의 상기 삽통 구멍을 통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과 같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나사 부재를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과 같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나사 부재를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과 같이, 상기 삽입 볼록부의 외측면의 일부에 상기 제 2 나사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수용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과 같이, 상기 제 2 나사 부재로서의 암나사 부재는 상기 제 1 나사 부재로서의 수나사 부재에 결합된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에서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상기 제 2 체결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9의 발명과 같이, 상기 프레임은 상기 통형상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는 벽의 제 1 벽면측으로부터의 작업만으로 기기를 벽에 착탈할 수 있으므로 기기의 착탈에 드는 수고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제 2 나사 부재가 제 2 회전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기기의 프레임의 삽입 볼록부를 제 1 벽면측으로부터 제 2 방향을 따라 벽의 개구부에 삽입하고, 또한 프레임의 대향부의 제 1 체결부를 벽의 제 1 벽면의 개구부의 주연에 대향시킨다. 이어서, 벽의 제 1 벽면측으로부터 조작 기구의 조작부를 조작 함으로써 제 2 나사 부재를 제 1 회전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대향부의 제 1 체결부에 제 2 나사 부재의 제 2 체결부가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벽의 제 1 벽면측으로부터 제 1 나사 부재를 회전시켜서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 사이에서 벽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한다. 이에 따라, 기기를 벽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벽에 장착된 기기를 벽으로부터 분리할 시에는 상기와 반대의 작업을 행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2 나사 부재의 상기 제 2 체결부를 상기 나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 2 체결부를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나사 부재로서의 수나사 부재가 조작 기구를 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 나사 부재로서의 암나사 부재의 회전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부재와 수나사 부재를 각각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기를 벽에 착탈할 시의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기기 부품 점수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 기구로서 제 2 나사 부재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조작 부재를 사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 2 나사 부재의 회전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기기를 벽에 장착하기 위해 제 1 나사 부재를 회전시켰을 시에 제 1 회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제 2 나사 부재가 그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나사 부재를 제 1 회전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벽의 제 1 벽면측으로부터 기기의 장착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벽의 제 2 벽면측에 배치된 제 2 나사 부재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눈으로 볼 수 없어도 제 2 나사 부재를 확실하게 제 1 회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 2 나사 부재를 눈으로 볼 수 없어도 안심하게 기기의 장착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기기의 장착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기기를 벽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 1 나사 부재를 회전시켰을 시에 제 2 회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제 2 나사 부재가 그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나사 부재를 제 2 회전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벽의 제 1 벽면측으로부터 기기의 분리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벽의 제 2 벽면측에 배치된 제 2 나사 부재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눈으로 볼 수 없어도 제 2 나사 부재를 확실하게 제 2 회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 2 나사 부재를 눈으로 볼 수 없어도 기기를 분리할 시에 제 2 나사 부재가 벽에 걸려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기기의 장착의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수용 오목부에 제 2 나사 부재를 수용하고, 또한 수용 오목부 내에 스톱퍼부를 배치함으로써 제 2 나사 부재 및 스톱퍼부가 삽통부의 외측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나사 부재가 제 2 회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시에 제 2 나사 부재가 프레임의 대향부와 대향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벽에 기기의 프레임을 삽통했을 시에 암나사 부재가 걸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기기의 장착의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기기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삽통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기기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통형상부에 암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암나사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나사 부재와 암나사 부재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수나사 부재와 암나사 부재의 마찰 맞물림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나사 부재의 회전에 맞춰서 암나사 부재를 회전시키고 싶을 때에 암나사 부재를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기기의 장착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수나사 부재 및 암나사 부재를 회전시키고 있을 시에 이들 수나사 부재 및 암나사 부재의 중심 축선으로서의 나사 축선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나사 부재 및 암나사 부재를 스무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기의 장착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기기와, 이 기기가 장착되는 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기기의 사시도이며, 기기의 커버가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기기가 벽에 장착된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며, 도 2B는 기기가 벽에 장착된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2B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기기를 좌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 및 도 4B은 기기 벽에 대한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기기를 벽에 장착하기 위한 다른 장착 형태를 본 발명의 참고 형태로서 도시하는 기기와 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기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기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기기의 주요부의 도면이며, 도 8A는 암나사 부재가 제 2 회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도 8B은 암나사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C는 암나사 부재가 제 1 회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기기의 주요부를 후방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며, 도 9A는 암나사 부재가 제 1 회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9B은 암나사 부재가 제 2 회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기기와, 이 기기가 장착되는 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기기의 사시도이며, 기기의 커버가 슬라이드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기기(1)는 예를 들면, 경보음 등의 음성을 발하기 위한 스피커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기(1)로서 스피커 장치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 이외의 기기, 특히 전자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기(1)는 벽(100)의 개구부(101)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100)은 예를 들면, 공작 기계의 제어 선반을 수용한 하우징의 정면의 도어이다. 개구부(101)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벽(100)을 관통하는 구멍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100)의 제 2 벽면으로서의 후방 벽면(100b)으로부터 본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좌우 및 전후의 방향을 말한다.
작업자는 기기(1)를 벽(100)의 제 1 벽면으로서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개구부(101)에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기(1)는 프레임(2)과, 프레임(2)에 수용된 스피커 유닛(3)과, 프레임(2)의 제 1 방향으로서의 전방(X1)에 장착된 커버(4)를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2)은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피커 유닛(3)은 음을 발하기 위한 스피커 폰이나, 스피커 폰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나, 드라이버에 접속된 메모리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스피커 유닛(3)은 메모리 장치에 기억된 데이타에 의거하여 스피커 폰으로부터 음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메모리 장치는 드라이버로부터 분리 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이며, 메모리 카드의 교환 시 등에 기기(1)가 벽(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커버(4)는 프레임(2)의 전방(X1)(제 1 방향)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2)의 전방면을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4)는 프레임(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버(4)는 정면으로 봤을 때[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봤을 때]에, 프레임(2)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4)는 정면으로 봤을 때에 프레임(2)의 전방면의 전부를 덮은 위치(도 1A 참조)와, 프레임(2)의 네 코너를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벽(100)의 전방(X1)]으로 노정한 위치(도 1B 참조)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A는 기기(1)가 벽(100)에 장착된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며, 도 2B는 기기(1)가 벽(100)에 장착된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프레임(2)은 전후 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반체(半體) 부재(5, 6)를 갖고 있다. 프레임(2)은 이들 2개의 반체 부재(5,6)를 고정 나사(7, 8) 등에 의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반체 부재(5)와 반체 부재(6)의 경계면(9)은 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에 위치되어 있고 대략 연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프레임(2)은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에 배치된 전방 벽(10)과, 전방 벽(10)으로부터 후방(X2)으로 연장되는 벽(100)의 개구부(101)를 통해 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으로 연장되는 삽입 볼록부(11)를 포함하고 있다.
기기(1)는 그 우측 상부 및 좌측 하부에 있어서 벽(100)에 고정되어 있다. 기기(1)의 우측 상부와 벽(1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과, 기기(1)의 좌측 하부와 벽(1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는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기기(1)의 우측 상부와 벽(1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주로 설명하고, 기기(1)의 좌측 하부와 벽(1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B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기기(1)를 좌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전방 벽(10)은 구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스피커 유닛(3)의 스피커 폰의 음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벽(10)에는 플랜지 형상의 대향부(12)(주연부)가 설치되어 있다. 대향부(12)는 벽(100)의 주연부(101a)의 전방 벽면(100a)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대향부(12)는 주연부(101a)의 전방 벽면(100a)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대향하고 있다. 대향부(12)의 일부에 의해 후술하는 제 1 체결부(120)가 구성되어 있다.
대향부(12)와 전방 벽면(100a) 사이에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패킹(13)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2)과 벽(100) 사이가 액밀적으로 밀봉되어 있어 프레임(2)과 벽(100) 사이를 수분 등의 이물이 통과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삽입 볼록부(11)는 기기(1)를 벽에 장착할 시에 개구부(101)를 삽통하는 부분이며, 전방 벽(10)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서의 후방(X2)[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삽입 볼록부(11)는 배면으로 봤을 때[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으로부터 봤을 때]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둘레 벽(14)과, 이 둘레 벽(14)의 후단을 막는 후방 벽(15)을 포함하고 있다. 전방 벽(10), 둘레 벽(14) 및 후방 벽(15)에 의해 스피커 유닛(3)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 벽(14)의 우측 상부에는 둘레 벽(14)의 외측면(14a)의 일부를 함몰시킴으로써 수용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8)는 후방으로부터 봤을 때에 대략 직사각형을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오목부(18)는 둘레 벽(14)의 외측면(14a)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L 자형 측면(19)과, 둘레 벽(14)의 우측 상부에 설치된 시트부(20)와, 후방 벽(15)의 우측 상부에 설치되어 시트부(20)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수용부(2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L 자형 측면(19)은 상하로 연장되는 제 1 면(19a)과, 제 1 면(19a)의 하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면(19b)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트부(20)에는 나사 삽통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20)의 전방면에는 시트면(20b)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면(20b)에는 나사 삽통 구멍(20a)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단차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삽통 구멍(20a)은 전방 벽(10)에 형성된 통과 구멍(10a)을 통해 프레임(2)의 전방으로 노정 가능하다. 커버(4)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이 통과 구멍(10a) 및 나사 삽통 구멍(20a)을 기기(1)의 전방으로 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부(21)에는 나사 삽통 구멍(20a)과 동축으로 나란한 유지부로서의 유지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기기(1)는 나사 삽통 구멍(20a)을 삽통하는 제 1 나사 부재로서의 수나사 부재(22)와, 유지 구멍(21a)에 유지된 제 2 나사 부재로서의 암나사 부재(2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는 프레임(2)을 벽(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프레임(2)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는 나사 축선(L1)위에서 서로 나사 결합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나사 부재로서의 수나사 부재(22)는 수나사로서의 기능과 암나사 부재(23)를 조작하는 조작 기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고, 암나사 부재(23)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나사 부재(22)는 프레임(2)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후방 벽면(100b)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나사 부재(22)는 조작부로서의 헤드부(221)와, 헤드부(221)로부터 후방(X2)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222)를 포함하고 있다. 헤드부(221)는 통과 구멍(10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수나사부(221)는 프레임(2)의 전방측[벽(100)의 전방(X1)]에 배치되어 있어 프레임(2)의 전방(X1)으로 노정 가능하다. 헤드부(221)와 수나사부(222) 사이에는 고리 형상의 플랜지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3)는 시트면(20b)에 접촉하고 있다.
플랜지부(223)와 고리 형상의 단차부(20c) 사이에는 O링 등의 시일링 부재(24)가 배치되어 있어 수나사 부재(22)와 프레임(2) 사이로부터 수분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수나사부(222)는 나사 삽통 구멍(20a)을 삽통하고 있고, 수용 오목부(18)로 연장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8) 내에 있어서 수나사부(222)는 암나사 부재(23)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23)는 프레임(2)의 대향부(12)와 협동하여 벽(100)을 사이에 둠으로써 프레임(2)을 벽(100)에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23)는 통형상부(25)와, 이 통형상부(25)에 고정된 소편부(2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소편부(26)는 통형상부(25)와 단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통형상부(25)는 예를 들면, 직경보다도 전체 길이가 길다,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통형상부(25)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51)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251)은 나사 삽통 구멍(20a)의 후방에 있어서 수나사 부재(22)의 수나사부(22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수나사부(222)와 암나사부(251) 사이에는 마찰 맞물림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나사 부재(22)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암나사 부재(23)도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어 수나사 부재(22)에 의해 암나사 부재(23)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형상부(25)의 후방부는 수용부(21)의 유지부로서의 유지 구멍(21a)에 삽통되어 있고, 이 유지 구멍(2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통형상부(25)는 프레임(2)의 후방 벽(15)의 이면, 즉 기기(1)의 후방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소편부(26)는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편부(26)는 전후 방향에 관해 시트부(20)와 수용부(21) 사이를 변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편부(26)는 예를 들면, 1mm∼5mm의 범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소편부(26)는 통형상부(25)에 인접하는 평판부(27)와, 평판부(27)로부터 암나사 부재(23)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8)를 포함하고 있다. 평판부(27)에는 나사 삽통 구멍(27a)이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 부재(22)가 삽통되어 있다. 연장부(28)는 평판부(27)에 연속하는 제 1 부분(281)과, 제 1 부분(281)의 선단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전후 방향로 연장되는 제 2 부분(282)을 포함하고 있다.
암나사 부재(23)의 연장부(28)의 제 2 부분(282)의 단부면에 의해 제 2 체결부(28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분(282)이 나사 축선(L1)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에 상당하고, 통형상부(25)가 나사 축선(L1)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에 상당한다.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가 벽(100)에 고정되어 있을 때, 제 2 부분(282)은 배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있어서 수용 오목부(18)[둘레 벽(1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벽(100)의 후방 벽면(100b)에 접하고 있다. 제 2 부분(282) 및 대향부(12)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어 있고, 패킹(13) 및 벽(100)을 협지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배면으로 봤을 때, 암나사 부재(23)의 외형부(231)는 나사 축선(L1)으로부터의 길이가 불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 부재(23)의 연장부(28)의 제 2 부분(282)에 설치된 제 2 체결부(280)와, 프레임(2)의 대향부(12)에 설치된 제 1 체결부(120)가 벽(100)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을 때의 암나사 부재(23)의 회전 방향의 위치가 제 1 회전 위치(P1)로서 규정되어 있다. 즉 암나사 부재(23)가 제 1 회전 위치(P1)에 위치하고 있을 때, 암나사 부재(23)의 연장부(28)의 제 2 부분(282)의 외형부(231)의 일부인 제 2 체결부(280)는 대향부(12)의 제 1 체결부(120)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프레임(2)은 암나사 부재(23)를 제 1 회전 위치(P1)에 유지하기 위한 제 1 스톱퍼부(31)과, 암나사 부재(23)를 후술하는 제 2 회전 위치(P2)에 유지하기 위한 제 2 스톱퍼부(32)를 포함하고 있다. 각 스톱퍼부(31, 32)는 수용 오목부(1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스톱퍼부(31)는 둘레 벽(14)의 L 자형 측면(19)의 제 1 면(19a)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톱퍼부(31)는 암나사 부재(23)의 연장부(28)에 접촉함으로써 암나사 부재(23)가 그 이상 제 1 스톱퍼(31)측(도 2B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스톱퍼부(32)는 둘레 벽(14)의 L 자형 측면(19)의 제 2 면(19b)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스톱퍼부(32)는 암나사 부재(23)의 연장부(28)에 접촉함으로써 암나사 부재(23)가 그 이상 제 2 스톱퍼측(도 2B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기기(1)의 벽(100)으로의 장착, 분리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에서 작업을 할 일 없이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의 작업만에 의해 기기(1)를 용이하게 벽(100)에 착탈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기기(1)를 벽(100)에 장착할 시에는 우선 기기(1)를 손(미도시)으로 잡고, 벽(100)의 전방에 선다. 이어서, 작업자는 기기(1)의 프레임(2)의 삽입 볼록부(11)를 벽(1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X2)으로 개구부(101)에 삽통한다. 이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23)는 제 2 회전 위치(P2)에 위치하고 있어 배면으로 봤을 때에 프레임(2)의 삽입 볼록부(11)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즉, 암나사 부재(23)의 외형부(231)와 전방 벽(10)의 대향부(12)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것을 회피하는 제 2 회전 위치(P2)에 암나사 부재(23)가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암나사 부재(23)의 연장부(28)는 제 2 스톱퍼부(32)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암나사 부재(23)는 후방으로부터 봤을 때에 삽입 볼록부(11)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2)의 삽입 볼록부(11)를 개구부(101)에 삽통할 시에 암나사 부재(23)가 개구부(101)에 걸릴 일이 없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대향부(12)에 장착된 패킹(13)을 벽(100)의 개구부(101)의 주위의 전방 벽면(100a)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커버(4)를 회전시켜 프레임(2)의 전방 벽(10)의 네 코너[통과 구멍(10a) 등]를 전방으로 노정시킨다. 이 때, 수나사 부재(22)는 암나사 부재(23)에 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공구(105)를 사용하여 수나사 부재(2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는 암나사 부재(23)가 제 1 스톱퍼부(31)에 접할 때까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암나사 부재(23)가 제 1 스톱퍼부(31)에 접촉함으로써 암나사 부재(23)는 제 1 회전 위치(P1)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의 연장부(28)의 제 2 부분(282)의 제 2 체결부(280)는 벽(100)을 사이에 두고 대향부(12)의 제 1 체결부(120)와 대향한다. 수나사 부재(22)를 더 회전시키면 수나사 부재(22)는 암나사 부재(23)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그 결과, 암나사 부재(23)는 벽(100)측[전방(X1)]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의 제 2 부분(282)의 단부면의 제 2 체결부(280)가 벽(100)의 후방 벽면(100b)에 접촉한다. 그 결과, 암나사 부재(23)의 제 2 부분(282)의 제 2 체결부(280)와, 프레임(2)의 대향부(12)의 제 1 체결부(120)에 의해 벽(100)이 협지되어 기기(1)가 벽(100)에 장착된다(고정된다).
한편, 벽(100)에 장착된 기기(1)를 벽(100)으로부터 분리할 시는 상기와 반대인 작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수나사 부재(22)를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기기(1)를 장착할 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와 수나사 부재(22) 사이에 작용하고 있던 축력이 해제되고, 암나사 부재(23)는 약간 후방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와 벽(100)의 후방 벽면(100b)의 접촉이 해제된다. 그 후, 암나사 부재(23)는 수나사 부재(22)와 암나사 부재(23)의 마찰 맞물림력에 의해 암나사 부재(23)가 제 2 스톱퍼부(32)에 접촉할 때까지 수나사 부재(2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수나사 부재(22)에 수지를 용착하는 등 하여 암나사 부재(23)와의 마찰 맞물림력을 향상시켜도 좋다.
도 4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23)의 연장부(28)가 제 2 스톱퍼부(32)에 접촉하면 암나사 부재(23)가 제 2 회전 위치(P2)에 유지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기기(1)를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기기(1)를 벽(10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자는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기기(1)를 조작함으로써 기기(1)를 벽(100)에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으로 손을 뻣는 작업이 필요없다. 즉 작업자는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 및 후방 벽면(100b)측의 쌍방에 손을 접촉하는 수고가 드는 작업이나, 기기(1)를 임시 고정하는 작업이나 두사람의 작업이 불필요하며 기기(1)의 착탈에 걸리는 수고(메인터넌스의 수고)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에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를 장착한 상태인 채로 벽(100)에 기기(1)의 삽입 볼록부(11)를 삽통 가능하다. 따라서 수나사 부재(22), 암나사 부재 및 조작 부재를 프레임(2)과는 별도로 보관해 둘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 등의 부품이 분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벽(100)의 두께에 따라 암나사 부재(23)의 제 2 부분(282)의 제 2 체결부(28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벽(100)의 두께에 관계없이 기기(1)를 벽(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벽(100)의 두께에 관계없이 대향부(12)와 벽(100) 사이의 패킹(13)에 의해 벽(100)과 기기(1) 사이의 시일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기기(1)의 이면측으로부터의 방수·방진용의 시일링 처리가 불필요하다.
또한, 수나사 부재(22)가 암나사 부재(23)를 조작하는 조작 기구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의 회전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부재와, 수나사 부재(22)를 각각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기(1)를 벽에 착탈할 시의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기기(1)의 부품 점수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에는 제 1 스톱퍼부(3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기(1)를 벽(100)에 고정하기 위해 수나사 부재(22)를 회전시켰을 시에 제 1 회전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암나사 부재(23)가 그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를 제 1 회전 위치(P1)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기기(1)의 장착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에 배치된 암나사 부재(23)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눈으로 볼 수 없어도 암나사 부재(23)를 확실하게 제 1 회전 위치(P1)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암나사 부재(23)를 눈으로 볼 수 없어도 안심하게 기기(1)의 장착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기기(1)의 장착의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에는 제 2 스톱퍼부(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기(1)를 벽(1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수나사 부재(22)를 회전시켰을 시에 제 2 회전 위치(P2)에 위치되어 있는 암나사 부재(23)가 그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를 제 2 회전 위치(P2)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기기(1)의 분리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에 배치된 암나사 부재(23)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눈으로 볼 수 없어도 암나사 부재(23)를 확실하게 제 2 회전 위치(P2)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암나사 부재(23)를 눈으로 볼 수 없어도 기기(1)를 분리할 시에 암나사 부재(23)가 벽에 걸려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기기(1)의 장착의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암나사 부재(23), 제 1 스톱퍼부(31) 및 제 2 스톱퍼부(32)를 수용 오목부(18) 내에 배치함으로써 암나사 부재(23) 및 각 스톱퍼부(31, 32)가 삽입 볼록부(11)의 외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가 제 2 회전 위치(P2)에 위치하고 있을 시에 암나사 부재(23)가 프레임(2)의 대향부(12)와 대향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벽(100)에 기기(1)의 프레임(2)을 삽통했을 때에 암나사 부재(23)가 걸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기기(1)의 장착의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기기(1)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삽입 볼록부(11)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기기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부(25)에 암나사부(251)를 형성함으로써 암나사부(251)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나사 부재(22)와 암나사 부재(23)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수나사 부재(22)와 암나사 부재(23)의 마찰 맞물림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나사 부재(22)의 회전에 맞춰서 암나사 부재(23)를 회전시키고 싶을 때[암나사 부재(23)를 제 1 회전 위치(P1)와 제 2 회전 위치(P2) 사이에서 변위시키고 싶을 때]에 암나사 부재(23)를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2)에 형성된 유지 구멍(21a)에서 통형상부(25)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를 회전시키고 있을 시에 이들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의 중심 축선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를 스무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기(1)의 장착의 수고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도면에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5의 참고 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를 벽(100)의 전방 벽면(100a)에 고정해도 좋다. 암나사 부재(23)는 기기(1)의 후방면에 개방되어 있다. 벽(100)에는 나사 삽통 구멍(100c)이 형성되어 있다. 기기(1)를 벽(100)에 장착할 시에는 기기(1)의 후방 벽(15)을 벽(100)의 전방 벽면(100a)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수나사 부재(22)를 나사 삽통 구멍(100c)에 삽통한다. 이에 따라, 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으로부터 수나사 부재(22)를 암나사 부재(23)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기기(1)를 벽(100)에 장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기(1)는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도 5의 참고 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100)의 후방 벽면(100b)측으로부터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기(1)의 장착의 범용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벽(100)에 개구부(101)를 형성하는 일 없이 기기(1)를 벽(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암나사 부재(23)를 대신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23A)를 사용해도 좋다. 이 암나사 부재(23A)가 암나사 부재(23)와 다른 점은 통형상부(25)가 생략되어 있다는 점과, 소편부(26A)에 암나사부(261)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이 경우도 수나사 부재(22)와 암나사 부재(23A)의 나사 결합에 의해 암나사 부재(23A)가 벽(10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실시형태의 수나사 부재(22) 및 암나사 부재(23)를 대신하여, 도 7의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 부재(22B), 암나사 부재(23B) 및 조작 부재(35)를 설치해도 좋다.
수나사 부재(22B)는 플랜지부(223)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 이외에는 수나사 부재(22)와 마찬가지 구성이다. 조작 부재(35)는 수나사 부재(22B) 및 암나사 부재(23B)와는 별도의체로 형성된 부재이다. 조작 부재(35)는 통과 구멍(10a)에 배치된 돌기 형상의 조작부(36)와, 조작부(36)가 장착된 플랜지부(37)와, 플랜지부(37)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 부재 본체(38)를 포함하고 있다.
암나사 부재(23B)의 회전 방향에 관해 조작부(36)의 위치와 암나사 부재(23B)의 연장부(28)의 위치는 일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7)에는 나사 삽통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삽통 구멍(39)에는 수나사 부재(22)가 삽통되어 있다. 플랜지부(37)는 패킹(40)을 통해 수나사 부재(22B)의 헤드부(221)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37)는 시일링 부재(24)에 접촉하고 있다.
조작 부재 본체(38)는 나사 삽통 구멍(20a)을 삽통하고 있다. 조작 부재 본체(38)에는 나사 삽통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 본체(38)의 외주면에는 수나사 부재(22B)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결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결합부(41)는 돌기이며, 예를 들면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2개소 배치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23B)는 통형상부(25B)와 소편부(26)를 갖고 있다. 통형상부(25B)은 제 1 결합부(41)에 결합된 제 2 결합부(42)와, 제 2 결합부(42)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나사부(222)에 나사 결합된 암나사부(251)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결합부(42)는 수나사 부재(22B)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다. 제 2 결합부(42)는 대응하는 제 1 결합부(41)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 부재(35)는 암나사 부재(23B)와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35)에 의해 암나사 부재(23B)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수나사 부재(22B)를 회전시킴으로써 암나사 부재(23B)를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벽(100)의 전방 벽면(100a)측으로부터 조작부(36)를 조작함으로써 암나사 부재(23)의 회전 위치를 제 1 회전 위치(P1)나 제 2 회전 위치(P2) 등 소망의 위치로 확실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암나사 부재(23B)의 회전 방향에 관해 조작부(36)의 위치와 암나사 부재(23B)의 연장부(28)의 위치가 일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B)의 연장부(28)의 위치를 암나사 부재(23B)를 눈으로 보지 않고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기기(1)를 벽(100)에 대해 착탈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실시형태의 암나사 부재(23)를 대신하여 도 8A 및 도 8B의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23C)를 사용해도 좋다. 암나사 부재(23C)는 통형상부(25)와, 통형상부(25)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8C)를 포함하고 있다. 연장부(28C)는 통형상부(25)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고, 통형상부(25)의 둘레 방향에 관해 예를 들면 180°이하(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180°)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28C)는 제 2 체결부(283)를 갖고 있다. 제 3 체결부(283)는 암나사 부재(25)가 제 1 회전 위치(P1)에 위치하고 있을 시에 벽(100)의 후방 벽면(100b) 및 대향부(12)의 제 1 체결부(120)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체결부(283)는 나사 축선(L1)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체결부(283)는 기기(1)를 벽(100)에 장착할 시의 수나사 부재(22)의 회전 방향[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기(1)를 정면으로 봤을 때의 시계 방향]을 따라 후방(X2)으로 진행하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8C)가 나사 축선(L1)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에 상당하고, 통형상부(25)가 나사 축선(L1)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에 상당한다. 또한, 연장부(28C)도 나사 축선(L1)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28C1)과, 나사 축선(L1)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28C2)을 갖고 있고, 그 나사 축선(L1)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28C1)에 제 2 체결부(283)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에는 제 2 스톱퍼(32C)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스톱퍼부(32C)는 시트부(20)에 설치된 돌기이며, 제 2 회전 위치(P2)에 위치하고 있을 시의 연장부(28C)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23C)가 제 2 회전 위치(P2)에 위치하고 있을 시에, 연장부(28C)는 수용 오목부(1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부터 기기(1)를 벽(100)에 고정하기 위해 수나사 부재(22)를 회전시키고 암나사 부재(23C)를 회전시키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 부재(23C)가 제 1 회전 위치(P1)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연장부(28C)는 수용 오목부(18)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때, 암나사 부재(23C)는 연장부(28C)의 제 2 체결부(283)가 벽(100)의 후방 벽면(100b)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다. 제 2 체결부(283)가 벽(100)의 후방 벽면(100b)에 접촉하면 암나사 부재(23C)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수나사 부재(22)를 더 회전시킴으로써 암나사 부재(23C)가 전방으로 변위하고, 제 2 체결부(283)와 대향부(12)의 제 1 체결부(120)에 의해 벽(100)을 협지한다.
이 경우, 개구부(101)에 삽입 볼록부(11)를 삽통한 상태에서 암나사 부재(23C)를 회전시켰을 시에 연장부(28C)의 제 2 체결부(283) 중 벽(100)의 두께에 대응한 부분이 벽(100)의 후방 벽면(100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암나사 부재(23C)를 제 2 회전 위치(P2)로부터 제 1 회전 위치(P1)로 변위시킴과 동시에 연장부(28C)를 벽(100)의 후방 벽면(100b)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28C)를 벽(100)의 후방 벽면(100b)에 접촉시키기 위해 수나사 부재(22)를 회전시켜서 수나사부(222)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수나사 부재(22)를 회전하는 횟수가 적어질 수 있고, 기기(1)의 장착에 걸리는 수고를 보다 적게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실시형태의 제 2 스톱퍼부(32)를 대신하여 도 9A 및 도 9B의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톱퍼부(32D)를 설치해도 좋다. 이에 따라, 암나사 부재(23)가 제 2 스톱퍼부(32D)에 접촉했을 시에 암나사 부재(23)가 그 이상 제 2 스톱퍼(32D)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제 2 스톱퍼부(32D)는 L 자형 측면(19D)의 제 1 면(19aD)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면(19aD)은 제 1 면(19a)(도 2B 참조)과 비교하여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스톱퍼부(32D)는 제 1 스톱퍼부(31)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23)는 대략 180°의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23)는 중심 축선(L1) 주위로 제 1 회전 위치(P1)로부터 대략 180°회전함으로써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톱퍼부(32D)에 접촉하여 제 2 회전 위치(P2)에 있어서 회전을 규제한다.
이 경우, 제 1 스톱퍼부(31)와 제 2 스톱퍼부(32D)를 동일 평면[제 1 면(19aD)]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회전 위치(P1)와 제 2 회전 위치(P2)의 상대 위치, 즉 암나사 부재(23)가 중심 축선(L1) 주위를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를 보다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편부(26, 26A)는 L 자형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기(1)의 우측 상부 및 좌측 하부를 벽(100)에 고정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기(1)의 4코너를 벽(100)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킹(13)을 폐지하고, 제 1 체결부(120)와 제 2 체결부(280)가 벽(100)을 직접 체결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나사 부재가 수나사 부재이며, 제 2 나사 부재가 암나사 부재이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제 1 나사 부재가 암나사 부재이며, 제 2 나사 부재가 수나사 부재라도 좋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방향이 전방이며, 제 2 방향이 후방이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제 1 방향이 후방이며, 제 2 방향이 전방이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상세에 설명했지만 상기의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변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로 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10월 21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특허 출원 제 2010-236630 호에 대응하고 있고, 본 출원의 전 개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1: 기기 2: 프레임
11: 삽입 볼록부 12: 대향부
120: 제 1 체결부 14a: (삽통부의) 외측면
18: 수용 오목부 20a: (프레임의) 나사 삽통 구멍
21a: 유지 구멍(유지부)
22, 22B: 나사 부재(제 1 나사 부재. 조작 기구)
221: 두부(조작부)
23, 23A, 23B, 23C: 암나사 부재(제 2 나사 부재)
231: 암나사 부재의 외형부 25, 25B: 통형상부
251: 암나사부 28, 28C: 연장부
280, 283: 제 2 체결부 31: 제 1 스톱퍼부(스톱퍼부)
32, 32C, 32D: 제 2 스톱퍼부(스톱퍼부)
35: 조작 부재(조타 기구) 36: 조작부
100: 벽 101: 개구부
100a: 전방 벽면(제 1 벽면) 100b: 후방 벽면(제 2 벽면)
101a: 주연부 L1: 나사 축선
P1: 제 1 회전 위치 P2: 제 2 회전 위치

Claims (9)

  1.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벽면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의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2 벽면을 갖고, 상기 제 1 벽면 및 상기 제 2 벽면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기 벽에 장착하기 위해 나사 축선상에서 서로 연결된 제 1 나사 부재 및 제 2 나사 부재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노정 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나사 부재의 상기 나사 축선 주위의 회전 위치를 제 1 회전 위치 및 제 2 회전 위치로 조작 가능한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벽의 상기 제 1 벽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삽입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제 1 벽면의 상기 개구부의 주연에 대향되도록 구성된 제 1 체결부를 갖고,
    상기 삽입 볼록부는 상기 나사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삽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 1 나사 부재는 상기 삽통 구멍에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삽통되어 상기 제 2 나사 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나사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에 대향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에 대향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 제 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부의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 변위한 상기 제 2 나사 부재의 상기 제 2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벽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나사 부재는 상기 나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과, 상기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부분은 상기 제 2 체결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제 2 나사 부재로서의 암나사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 1 나사 부재로서의 수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기구로서의 상기 수나사 부재는 상기 수나사 부재와 상기 암나사 부재의 마찰 맞물림력을 통해 상기 암나사 부재의 위치를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제 2 나사 부재와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제 2 나사 부재로부터 상기 삽입 볼록부의 상기 삽통 구멍을 통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나사 부재를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나사 부재를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볼록부의 외측면의 일부에 상기 제 2 나사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수용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나사 부재로서의 암나사 부재는 상기 제 1 나사 부재로서의 수나사 부재에 결합된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상기 제 2 체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통형상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KR1020137005228A 2010-10-21 2011-10-19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KR101916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6630 2010-10-21
JP2010236630A JP5532333B2 (ja) 2010-10-21 2010-10-21 壁に取り付け可能な機器
PCT/JP2011/074057 WO2012053554A1 (ja) 2010-10-21 2011-10-19 壁に取り付け可能な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24A true KR20140001824A (ko) 2014-01-07
KR101916117B1 KR101916117B1 (ko) 2018-11-07

Family

ID=4597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228A KR101916117B1 (ko) 2010-10-21 2011-10-19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00232A1 (ko)
EP (1) EP2632238A4 (ko)
JP (1) JP5532333B2 (ko)
KR (1) KR101916117B1 (ko)
CN (1) CN103155729B (ko)
WO (1) WO20120535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041A (ko) * 2020-12-21 2022-08-01 핫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8350B2 (ja) 2016-11-14 2022-09-16 ハンジョウ ディーエーシー バイオテック シーオー.,エルティディ. 共役連結体、該連結体を含有する細胞結合分子-薬物共役体、並びに該共役体及び連結体の使用及び製造方法
JP6278328B1 (ja) * 2017-05-31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防災機器、防災機器取付構造及び機器収容箱
US10014674B1 (en) * 2017-07-05 2018-07-03 Seeless Solutions, Inc. Recessed wall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JP6608898B2 (ja) 2017-11-07 2019-11-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ファンユニットを備えるモータ駆動装置
JP7014587B2 (ja) * 2017-12-15 2022-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6994U (ko) * 1990-11-30 1992-07-28
US5221814A (en) * 1991-08-02 1993-06-22 Amp Incorporated Blind mounting face plate and anchor means
US5331119A (en) * 1992-01-08 1994-07-19 Square D Company Speaker support frame
JPH0637463A (ja) * 1992-07-20 1994-02-10 Fujitsu Ltd 端末装置の壁面取り付け構造
US5349513A (en) * 1993-10-26 1994-09-20 Taylor Iii William N Light fixture
JP3930609B2 (ja) * 1997-07-04 2007-06-13 チューナ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におけるフロントパネルの作動機構
US6132070A (en) * 1998-07-30 2000-10-17 Hubbell Incorporated Self-aligning canopy structure for connection to a mounting plate adapter utilized for attaching an exit sign to a junction box
JP2001210966A (ja) * 2000-10-26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機器の取付装置
US6550570B2 (en) * 2001-01-16 2003-04-22 Multi Service Corporation Speaker enclosure and mounting method for isolating and insulating faceplate and speakers from a surrounding mounting surface
JP4177714B2 (ja) * 2003-06-10 2008-11-05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用ボックス
JP4211031B2 (ja) 2003-08-08 2009-01-21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の取付装置
US8023664B2 (en) * 2008-06-27 2011-09-20 High Hit Enterprises Co., Ltd. Rapid installation and detachment device for flush mounting speaker on ceiling or wall
JP4999874B2 (ja) 2009-03-31 2012-08-1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041A (ko) * 2020-12-21 2022-08-01 핫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2238A1 (en) 2013-08-28
EP2632238A4 (en) 2015-10-28
WO2012053554A1 (ja) 2012-04-26
JP2012089753A (ja) 2012-05-10
US20130200232A1 (en) 2013-08-08
CN103155729A (zh) 2013-06-12
KR101916117B1 (ko) 2018-11-07
JP5532333B2 (ja) 2014-06-25
CN103155729B (zh)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824A (ko) 벽에 장착 가능한 기기
JP2007178502A (ja) ディスプレイと支持具の連結構造、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
US10107017B2 (en) In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JP2007234416A (ja) 防水装置
US9162633B2 (en) Decoration part
US9774937B2 (en) Speaker unit
WO2010095345A1 (ja) 部品取付構造
JP200715617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8374377B2 (en) Speaker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WO2021038929A1 (ja) 押しボタン装置
JP5822694B2 (ja)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WO2021131764A1 (ja) 車両用カメラ装置
WO2021038931A1 (ja) 押しボタン装置
US9481311B2 (en) Accessory mounting structure to vehicle dashboard
WO2015166904A1 (ja) 電動工具
JP6715108B2 (ja) 表示装置
JP6257990B2 (ja) 表示装置の取付具
CN218032172U (zh) 一种用于显示屏支架的快拆结构
US20230306941A1 (en) Rotary op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JP2014228095A (ja) クランプ機構
JP2017218017A (ja) 作業車輌
JP4403450B2 (ja) 遊技機
JP2009080322A (ja) 表示板の取付装置
JP2013247249A (ja) 取り付け構造および機器
JP2017014711A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