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021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021A
KR20220103021A KR1020210157019A KR20210157019A KR20220103021A KR 20220103021 A KR20220103021 A KR 20220103021A KR 1020210157019 A KR1020210157019 A KR 1020210157019A KR 20210157019 A KR20210157019 A KR 20210157019A KR 20220103021 A KR20220103021 A KR 2022010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inion gear
elastic member
spool shaf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드 샴술 조하리 빈 이스마일
아부 스피안 빈 아맛
베두위 무함마드 자이디 빈 바촉
바이하키 빈 삽투
무함마드 알리프 나즈린 빈 노라즈미
모드 슈크리 나즈리 빈 무스타파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22010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과제] 캐스팅 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 선단(先端)보다 축 방향 외방(外方)에서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진동 및 노크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와 스풀축(4)과 제1 탄성 부재(42)와 제1 베어링(44)과 피니언 기어(15)와 압압(押壓) 부재(46)와 제2 탄성 부재(48)를 구비한다. 제1 탄성 부재(42)는, 스풀축(4)의 외주면(外周面)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어링(44)은, 제1 탄성 부재(42)에 접촉하는 내주면(內周面)(44d)을 가지는 내륜(內輪)(44a)과, 외륜(外輪)(44b)을 가진다. 압압 부재(46)는, 피니언 기어(15)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피니언 기어(15)에 의하여 제1 단(端)(4a)에 가까워지는 제1 방향으로 압압된다. 제2 탄성 부재(48)는,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과 압압 부재(46)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15)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피니언 기어(15)에 의하여 압압 부재(46)가 압압되는 것으로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을 제1 방향으로 압압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에 지지된 스풀축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축의 양단(兩端)이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은, 내륜(內輪)과 외륜(外輪)과 복수의 전동체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전동체의 주위에는, 내부 간극(間隙)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8-7578호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6467218호
특허 문헌 1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캐스팅 시에 스풀축이 고속 회전한다. 스풀축이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베어링에 설치된 내부 간극에 의하여 진동이나 노크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2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베어링의 내부 간극을 좁히도록 내륜을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피니언 기어가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로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의 선단(先端)보다 축 방향 외방(外方)에서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는 압박 수단을 설치할 스페이스가 없다. 또한, 압박력이 감아올릴 때의 피니언 기어의 회전 저항이 될 우려가 있고,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캐스팅 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 선단보다 축 방향 외방에서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진동 및 노크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축과 제1 탄성 부재와 제1 베어링과 피니언 기어와 압압(押壓)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축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은, 제1 단(端)과, 제1 단과 반대 측의 제2 단을 가진다. 제1 탄성 부재는, 스풀축의 외주면(外周面)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어링은, 릴 본체에 배치되고, 스풀축의 제1 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베어링은, 제1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는 내륜과, 외륜과, 내륜과 외륜과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동체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는, 스풀축에 일체(一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위치와, 스풀축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스풀축의 제1 단에 가까워지는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압압 부재는, 피니언 기어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피니언 기어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압압된다. 제2 탄성 부재는, 제1 베어링의 외륜과 압압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피니언 기어에 의하여 압압 부재가 압압되는 것으로 제1 베어링의 외륜을 제1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피니언 기어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압압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를 통하여 제1 베어링의 외륜이 피니언 기어에 제1 방향으로 압압된다. 또한, 제1 탄성 부재는, 스풀축의 외주면과 제1 베어링의 내륜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압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를 통하여 제1 베어링의 외륜이 피니언 기어에 제1 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제1 베어링의 외륜이 제1 베어링의 내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베어링은, 축 방향의 내부 간극이 작아진다. 그 결과, 캐스팅 시에 있어서,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진동이나 노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에 의하여 내륜의 축 방향의 느슨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압압 부재는, 피니언 기어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 피니언 기어에 의한 제1 방향으로의 압압이 해제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줄 감기 시에 있어서, 압압 부재가 피니언 기어의 회전 저항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에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을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압압 부재는, 제1 베어링과 제2 베어링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 제2 베어링에 접촉하고, 피니언 기어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제2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압압 부재를 제1 베어링과 제2 베어링과의 축 방향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스페이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에 의하여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는, 스풀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전동체의 중심보다도 제1 방향 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제1 탄성 부재가 제2 탄성 부재에 대하여 보다 축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제1 베어링의 외륜이 탄성 부재를 통하여 압압 부재에 압압되었을 때에, 제2 탄성 부재에 의하여 제1 베어링의 내륜에 축 방향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는, O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간단한 구성으로,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진동이나 노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스팅 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 선단보다 축 방향 외방에서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진동 및 노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피니언 기어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
도 4는 피니언 기어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 스풀(3)과 스풀축(4)과 핸들(5)과 회전 전달 기구(10)와 클러치 기구(20)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낚시를 행할 때에, 낚시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前), 그 반대 방향을 후(後)라고 한다. 또한, 좌우란, 양 베어링 릴(100)을 후방(後方)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우를 말한다. 또한, 스풀축(4)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경(徑)방향이라고 한다.
릴 본체(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6)과 제1 측 커버(7)와 제2 측 커버(8)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6)은, 제1 측판(側板)(6a)과 제2 측판(6b)과 복수의 연결부(6c)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6a)은, 프레임(6)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측판(6a)은, 보스부(6d)를 가지고 있다. 제2 측판(6b)은, 제1 측판(6a)과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6)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부(6c)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을 연결한다.
제1 측 커버(7)는, 프레임(6)의 제1 측판(6a)의 우측방(右側方)을 덮는다. 제1 측 커버(7)는, 보스부(7a)를 가지고 있다. 제2 측 커버(8)는, 프레임(6)의 제2 측판(6b)의 좌측방(左側方)을 덮는다.
스풀(3)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3)은, 제1 측판(6a)과 제2 측판(6b)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3)은, 스풀축(4)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4)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4)은, 릴 본체(2)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4)은, 스풀(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풀축(4)은, 제1 단(4a)과, 제1 단(4a)과 반대 측의 제2 단(4b)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단(4a)은, 스풀축(4)의 우단(右端)에 상당하고, 제2 단(4b)은, 스풀축(4)의 좌단(左端)에 상당한다. 제2 단(4b)은, 제2 측 커버(8)의 내측에 배치된 베어링(11)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단(4a)은, 후술하는 제1 베어링(44)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5)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핸들(5)은, 릴 본체(2)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10)는, 핸들(5)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한다. 회전 전달 기구(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13)과 구동 기어(14)와 피니언 기어(15)를 가지고 있다. 구동축(13)은, 핸들(5)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13)은, 구동축(13)의 외주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구동 기어(14)는, 구동축(13)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어(14)에는, 제1 측 커버(7) 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드래그 기구를 통하여, 핸들(5)의 회전이 전달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5)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상(筒狀)의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15)는, 내주부를 스풀축(4)이 관통한다. 피니언 기어(15)는, 제1 측 커버(7)의 보스부(7a)에 배치된 베어링(16a)(제2 베어링의 일례)과, 제1 측판(6a)의 보스부(6d)에 배치된 베어링(16b)에 의하여 스풀축(4)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피니언 기어(15)는, 스풀축(4)에 지지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피니언 기어(15)는, 스풀축(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위치(도 3에 도시하는 위치)와, 스풀축(4)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도 4에 도시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스풀축(4)의 제1 단(4a)에 가까워지는 제1 방향(X1)과, 제1 방향(X1)과는 반대의 제2 방향(X2)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방향(X1) 및 제2 방향(X2)은, 축 방향과 평행하다. 덧붙여, 이하에서는, 피니언 기어(15)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를 연결 상태, 피니언 기어(15)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를 해제 상태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클러치 기구(20)는, 핸들(5)의 회전력을 스풀(3)에 전달 및 차단하기 위한 기구이다. 클러치 기구(20)는, 계합(係合) 핀(20a)과 계합 오목부(20b)를 가지고 있다.
계합 핀(20a)은, 스풀축(4)에 고정되어 있다. 계합 핀(20a)은, 양단이 스풀축(4)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스풀축(4)을 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계합 오목부(20b)는, 연결 상태에 있어서 계합 핀(20a)에 계합한다. 계합 오목부(20b)는, 피니언 기어(15)의 제2 방향(X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20b)는, 제2 방향(X2)으로부터 제1 방향(X1)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계합 오목부(20b)는, 계합 핀(20a)의 양단이 계합하도록, 경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20)가 전달 상태에 있을 때, 즉, 연결 상태에 있어서, 계합 핀(20a)이 계합 오목부(20b)에 계합하여 핸들(5)의 회전력이 스풀(3)에 전달된다. 한편, 클러치 기구(20)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 즉, 해제 상태에 있어서, 계합 핀(20a)이 계합 오목부(20b)로부터 이탈하여, 핸들(5)의 회전력은 스풀(3)에 전달되지 않는다.
클러치 기구(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후부(後部)에 배치된 클러치 조작 부재(21) 및 클러치 조작 부재(21)에 연동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의하여, 전달 상태와 차단 상태가 전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21) 및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30)는, 축 방향으로 스풀축(4)을 압압하는 것으로 스풀(3)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조정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마찰 플레이트(30a)와, 제2 마찰 플레이트(30b)와, 바닥이 있는 통상의 조작 부재(30c)를 가지고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30a)와 제2 마찰 플레이트(30b)는, 스풀축(4)을 축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30a)는, 조작 부재(30c)의 저부(底部)에 배치되고, 스풀축(4)의 제1 단(4a)에 접촉한다. 제2 마찰 플레이트(30b)는, 제2 측 커버(8)에 배치되고, 스풀축(4)의 제2 단(4b)에 접촉한다. 조작 부재(30c)는, 제1 측 커버(7)의 보스부(7a)의 외주면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 부재(30c)의 회동 조작에 따라, 조작 부재(30c)와 함께 제1 마찰 플레이트(30a)가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4)에 작용하는 축 방향의 압압력이 변화하여, 스풀(3)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조정된다.
양 베어링 릴(100)은, 제1 탄성 부재(42)와 제1 베어링(44)과 압압 부재(46)와 제2 탄성 부재(4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탄성 부재(42)는,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제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탄성 부재(42)는, O링이다. 제1 탄성 부재(42)는, 스풀축(4)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42)는, 예를 들어, 스풀축(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홈(4c)에 장착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42)는, 제1 베어링(44)의 내주부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베어링(44)은, 스풀축(4)의 제1 단(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베어링(44)은, 제1 측 커버(7)의 보스부(7a)의 내주부에 있어서, 베어링(16a)으로부터 제1 방향(X1)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제1 베어링(44)은, 빠짐 방지 부재(50)에 의하여, 제1 방향(X1)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제1 베어링(44)은, 내륜(44a)과 외륜(44b)과 복수의 전동체(44c)를 가지고 있다. 내륜(44a)은, 제1 탄성 부재(42)에 접촉하는 내주면(44d)을 가지고 있다. 제1 탄성 부재(42)는, 내주면(44d)에 의하여 압압되어 있다. 내주면(44d)은, 스풀축(4)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1 탄성 부재(42)는, 전체가 내륜(44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베어링(44)은, 내륜(44a)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다. 외륜(44b)은, 보스부(7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외륜(44b)은, 빠짐 방지 부재(5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전동체(44c)는, 내륜(44a)과 외륜(44b)과의 사이에서 전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전동체(44c)의 각각은, 도시하지 않는 보지(保持) 부재에 의하여 서로 둘레 방향으로 사이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동체(44c)는, 구상(球狀)이지만, 원기둥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복수의 전동체(44c)의 주위에는, 내부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42)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전동체(44c)의 중심(C)보다도 제1 방향(X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42)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내륜(44a)의 중심(C)보다도 제1 방향(X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46)는, 대략 링 형상의 부재이고, 스풀축(4)의 축 둘레에 있어서, 스풀축(4)과 경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46)는, 보스부(7a)의 내주부에 배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46)는, 외주면이 보스부(7a)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압압 부재(46)는, 제1 베어링(44)과 베어링(16a)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46)는, 베어링(16a)과 제2 탄성 부재(48)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46)는, 해제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5)에 의하여 제1 방향(X1)으로 압압된다. 압압 부재(46)는, 해제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16a)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압압 부재(46)는, 연결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5)에 의한 제1 방향(X1)으로의 압압이 해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부재(46)는, 연결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5)로부터 떨어져 있고, 베어링(16a)에 접촉하고 있다.
압압 부재(46)는, 관통 구멍(52)과 제1 측면(53)과 제2 측면(54)을 가지고 있다. 관통 구멍(52)은, 스풀축(4)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2)은, 압압 부재(46)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2)의 직경은, 피니언 기어(15)의 외경(外徑)보다도 작다.
제1 측면(53)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베어링(44)과 마주본다. 제1 측면(53)은, 제1 베어링(44)과 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제1 측면(53)은, 내측면(內側面)(53a)과 외측면(外側面)(53b)과 사면(斜面)(53c)을 포함한다.
내측면(53a) 및 외측면(53b)은,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면(53a)은, 축 방향에 있어서, 외측면(53b)보다도 제1 베어링(44)에 근접하고 있다. 외측면(53b)은, 내측면(53a)보다도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면(53b)은,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과 축 방향으로 마주본다. 사면(53c)은, 내측면(53a)과 외측면(53b)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내측면(53a)과 외측면(53b)을 접속하고 있다. 사면(53c)은, 내측면(53a) 및 외측면(53b)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사면(53c)은, 내측면(53a)으로부터 외측면(53b)을 향하여 제1 베어링(4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사면(53c)은, 적어도 일부가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과 축 방향으로 마주본다.
제2 측면(54)은, 축 방향에 있어서, 베어링(16a)과 마주본다. 제2 측면(54)은, 내측면(54a)과 외측면(54b)을 포함한다. 내측면(53a) 및 외측면(53b)은,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면(54a)은, 베어링(16a)의 내륜 및 피니언 기어(15)와 축 방향으로 마주본다. 내측면(54a)은, 축 방향에 있어서, 외측면(54b)보다도 베어링(16a)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내측면(54a)과 외측면(54b)과의 사이에는, 축 방향에 있어서 단차(段差)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면(54a)은, 연결 상태 및 해제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16a)의 내륜과 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내측면(54a)은, 연결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5)로부터 떨어져 있다. 내측면(54a)은, 해제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5)에 접촉하여 제1 방향(X1)으로 압압된다.
외측면(54b)은, 내측면(54a) 및 베어링(16a)의 내륜보다도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면(54b)은, 베어링(16a)의 외륜과 축 방향으로 마주본다. 외측면(54b)은, 연결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16a)의 외륜에 접촉하고 있고, 해제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16a)의 외륜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2 탄성 부재(48)는,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제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탄성 부재(48)는, O링이다. 제2 탄성 부재(48)는,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과 압압 부재(4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탄성 부재(48)는, 압압 부재(46)의 제1 측면(53)의 외측면(53b) 및 사면(53c)에 접촉하고 있다. 제2 탄성 부재(48)는, 외륜(44b)의 제2 방향(X2)을 향하는 측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2 탄성 부재(48)의 내경(內徑)은, 제1 측면(53)의 내측면(53a)의 외경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탄성 부재(48)는, 해제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15)에 의하여 압압 부재(46)가 압압되는 것으로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을 제1 방향(X1)으로 압압한다. 연결 상태에서는, 제2 탄성 부재(48)는, 축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 상태에서는, 제2 탄성 부재(48)는, 압압 부재(46) 및 제1 베어링(44)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8)는, 베어링(16a) 및 제1 베어링(44)과의 축 방향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스페이서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즉, 압압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8)는, 베어링(16a) 및 제1 베어링(44)의 축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양 베어링 릴(100)에서는, 피니언 기어(15)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압압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8)를 통하여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이 피니언 기어(15)에 제1 방향(X1)으로 압압된다. 또한, 제1 탄성 부재(42)는, 스풀축(4)의 외주면과 제1 베어링(44)의 내륜(44a)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압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8)를 통하여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이 피니언 기어(15)에 제1 방향(X1)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제1 베어링(44)의 외륜(44b)이 제1 베어링(44)의 내륜(44a)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5)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베어링(44)은, 축 방향의 내부 간극이 작아진다. 그 결과, 캐스팅 시에 있어서, 스풀축(4)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44)의 진동이나 노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42)에 의하여 제1 베어링(44)의 내륜(44a)의 축 방향의 느슨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부재(46)는, 연결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16a)에 접촉하고 있었지만, 연결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16a)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 부재(46)의 제1 측면(53)에 사면(53c)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사면(53c)은,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탄면이어도 무방하다. 혹은, 압압 부재(46)의 제1 측면(53)의 외측면(53b)에 제2 탄성 부재(48)를 보지하기 위한 홈이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2: 릴 본체
4: 스풀축
4a: 제1 단
4b: 제2 단
15: 피니언 기어
16a: 베어링(제2 베어링의 일례)
42: 제1 탄성 부재
44: 제1 베어링
44a: 내륜
44b: 외륜
44c: 전동체
46: 압압 부재
48: 제2 탄성 부재
X1: 제1 방향
X2: 제2 방향

Claims (5)

  1. 릴 본체와,
    제1 단(端)과, 상기 제1 단과 반대 측의 제2 단을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의 외주면(外周面)에 장착된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는 내륜(內輪)과, 외륜(外輪)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과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동체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축의 상기 제1 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베어링과,
    상기 스풀축에 일체(一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위치와, 상기 스풀축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스풀축의 상기 제1 단에 가까워지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압(押壓)되는 압압 부재와,
    상기 제1 베어링의 상기 외륜과 상기 압압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하여 상기 압압 부재가 압압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베어링의 상기 외륜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압하는 제2 탄성 부재
    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압압이 해제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2 베어링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베어링에 접촉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스풀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전동체의 중심보다도 상기 제1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O링인,
    양 베어링 릴.
KR1020210157019A 2021-01-14 2021-11-15 양 베어링 릴 KR20220103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04010 2021-01-14
JP2021004010A JP2022108840A (ja) 2021-01-14 2021-01-14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021A true KR20220103021A (ko) 2022-07-21

Family

ID=8232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019A KR20220103021A (ko) 2021-01-14 2021-11-15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82960B2 (ko)
JP (1) JP2022108840A (ko)
KR (1) KR20220103021A (ko)
CN (1) CN114762493A (ko)
TW (1) TW2022330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67022A (ja) * 2021-04-22 2022-11-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7578A (ja) 2016-07-11 2018-01-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467218B2 (ja) 2014-12-19 2019-02-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5598B2 (ja) * 2017-12-27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7218B2 (ja) 2014-12-19 2019-02-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18007578A (ja) 2016-07-11 2018-01-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82960B2 (en) 2023-02-21
CN114762493A (zh) 2022-07-19
US20220217959A1 (en) 2022-07-14
TW202233062A (zh) 2022-09-01
JP2022108840A (ja)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467B1 (ko) 양 베어링 릴
US9901084B2 (en) Dual-bearing reel
KR20110006601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버 드래그 기구
KR20110006600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사운드 발생 장치
KR102442021B1 (ko) 양 베어링 릴
KR20220103021A (ko) 양 베어링 릴
KR102661354B1 (ko) 양 베어링 릴
US6264019B1 (en) Clutch cover assembly
US6446778B1 (en) Release assembly for use with a friction clutch
JP2017165380A (ja) 車体補強装置
JP2020010650A (ja) 釣り用リール
JP5196297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
CN112005979B (zh) 钓鱼用绕线轮
CN208013823U (zh) 踏板助力器总成和具有其的车辆
JP3879975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5869840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7171132B2 (ja) クラッチ機構
USH132H (en) Twin-plate clutch
JP4834786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JP2018191571A (ja) 両軸受リール
JP2009524779A (ja) 自動車両、特にオートバイ用の多板クラッチ
JP4367000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S60252827A (ja) クラツチカバ−組立体
JP2022117258A (ja) 回動リターン構造
KR20220154010A (ko) 양 베어링 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