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021B1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021B1
KR102442021B1 KR1020170046743A KR20170046743A KR102442021B1 KR 102442021 B1 KR102442021 B1 KR 102442021B1 KR 1020170046743 A KR1020170046743 A KR 1020170046743A KR 20170046743 A KR20170046743 A KR 20170046743A KR 102442021 B1 KR102442021 B1 KR 10244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operation lever
adjustment member
reel body
doubl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359A (ko
Inventor
타케시 이쿠타
아키라 나고
싱고 아오키
슌사쿠 아사카
šœ사쿠 아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8002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88Axially engaged
    • A01K89/0189Coaxial of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조작하기 쉬운 조작 레버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와, 스풀(3)과, 스풀축과, 조정 부재(6)와, 조작 레버(7)를 구비한다. 조정 부재(6)는, 릴 본체(2)에 취부(取付)된다. 조정 부재(6)는, 스풀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레버(7)는, 떼어내기 가능하고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조정 부재(6)에 취부된다.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 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은, 일반적으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스풀축에 마찰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기구이다. 이것에 의하여, 줄 방출 시의 스풀축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고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 레버가 릴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취부(取付)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를 둘레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75861호
상술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보다 조작하기 쉬운 조작 레버가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조작하기 쉬운 조작 레버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있는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제1 릴 본체부와, 제2 릴 본체부와, 스풀과, 스풀축과, 조정 부재와,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릴 본체부는, 제1 릴 본체부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스풀은, 제1 릴 본체부와 제2 릴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풀축은,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조정 부재는, 제1 릴 본체부에 취부된다. 또한, 조정 부재는, 스풀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는, 조정 부재로부터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것과 함께 제2 릴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조작 레버 본체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 본체부가, 경방향으로 늘어날뿐만 아니라, 제2 릴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릴 본체부 측으로부터 양 베어링 릴을 보지(保持)한 손으로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핸들을 조작하는 손뿐만 아니라, 반대 측의 손에 의하여도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조작 레버 본체부는, 제2 릴 본체부 측으로부터 양 베어링 릴을 보지한 상태의 손이 닿도록, 제2 릴 본체부 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조작 레버는, 보다 조작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 본체부는, 축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 본체부를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핸들을 조작하는 손과 반대의 손에 의하여 조작하기 쉽도록 조작 레버 본체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조정 부재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취부되는 취부부를 더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조작 레버 본체부가 축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조작 레버 본체부와 상기 취부부를 연결하는 힌지(hinge)부를 더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취부부는, 제1 통상부(筒狀部)를 가진다. 그리고, 조정 부재는, 제1 통상부에 감합(嵌合)하는 제2 통상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취부부는, 제1 통상부로부터 내측(內側)으로 연장되고, 축 방향에 있어서 조정 부재와 당접(當接)하는 내측 플랜지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측 플랜지부에 의하여, 취부부와 조정 부재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부재는, 제2 통상부로부터 외측(外側)으로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부를 더 가진다. 그리고, 제1 통상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외측 플랜지부와 당접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측 플랜지부에 의하여, 취부부와 조정 부재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 본체부의 선단부(先端部)는, 경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스풀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릴 본체부의 최외주면(最外周面)과 중복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 본체부는, 제2 릴 본체부를 향하여 곡절(曲折) 또는 만곡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 본체부는, 기단부(基端部)와, 조작부를 가진다. 기단부는, 조정 부재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작부는, 기단부의 선단부로부터 제2 릴 본체부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부는, 제1 릴 본체부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기단부는, 경방향 및 축 방향으로 계단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기단부는, 제2 릴 본체부 측으로 경사하여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조작하기 쉬운 조작 레버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정면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양 베어링 릴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조작 레버의 단면도.
도 5는 변형예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측면도.
도 7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단면도.
도 8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측면도.
도 9는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축 방향이란, 스풀축이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경방향이란 스풀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경방향을 나타내고, 둘레 방향이란 스풀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둘레 방향을 나타낸다.
[양 베어링 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 스풀(3), 스풀축(4), 원웨이 클러치(5), 조정 부재(6), 및 조작 레버(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 베어링 릴(100)은, 제1 마찰 플레이트(8), 압박 부재(9), 및 핸들(1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2)는,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복수의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릴 본체부(21)는, 제1 측판(21a) 및 제1 커버(21b)를 가지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수용 공간 내에, 회전 전달 기구(11) 등이 수용되어 있다. 제2 릴 본체부(22)는, 제2 측판(22a) 및 제2 커버(22b)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은,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과 연결부(2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릴 본체(2)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는, 돌출부(24)를 더 가진다. 돌출부(24)는, 원통상(圓筒狀)이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24)는, 제1 커버(21b)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돌출부(24)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6)가, 이 돌출부(24)에 취부된다. 상세하게는, 조정 부재(6)가, 돌출부(24)에 나합(螺合)한다. 돌출부(24)는, 제1 릴 본체부(21)의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連通)하고 있다. 이 돌출부(24) 내에 있어서, 스풀축(4)의 일방(一方)의 단부(端部)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
스풀(3)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3)은, 대략 원통상이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3)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3)은, 스풀축(4)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
스풀축(4)은, 스풀(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풀축(4)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스풀축(4)은,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2a, 12b)를 통하여, 제1 릴 본체부(21) 및 제2 릴 본체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5)는, 스풀축(4)에 취부된다. 원웨이 클러치(5)는, 외륜(外輪)(51), 및 복수의 전동체(52)를 가지고 있다. 외륜(51)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외륜(51)은, 돌출부(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외륜(51)은, 돌출부(24)의 내주면(內周面)과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된다.
외륜(51)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마찰 플레이트(8)와 제2 마찰 플레이트(13)에 의하여 협지되고 있다. 즉, 제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8, 13)에 의하여, 외륜(51)의 회전이 제동되어 있다.
전동체(52)는, 스풀축(4)과 외륜(51)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체(52)는, 스풀축(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외륜(51)에 전달한다. 한편, 전동체(52)는, 스풀축(4)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외륜(51)에 전달하지 않는다.
[조정 부재]
조정 부재(6)는, 제1 릴 본체부(21)에 취부되어 있다. 조정 부재(6)는 원통상이다. 상세하게는, 조정 부재(6)는, 원판부(圓板部)(61)와, 원판부(61)의 외주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62)(제2 통상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조정 부재(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6)는, 릴 본체(2)의 돌출부(24)에 나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6)는, 축 둘레에 회전하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정 부재(6)는,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축(4)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풀축(4)과 외륜(51)과는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6)는, 외륜(51)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부재(6)를 회전시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정 부재(6)가 외륜(51)을 압압(押壓)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륜(51)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덧붙여, 조정 부재(6)는, 제1 마찰 플레이트(8)를 통하여 외륜(51)을 압압한다.
조정 부재(6)의 내주면과 돌출부(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실(seal) 부재(6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 부재(63)에 의하여, 릴 본체(2)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 부재(63)에 의하여, 조정 부재(6)가 낚시꾼의 뜻에 반(反)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조정 부재(6)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제1 마찰 플레이트]
원웨이 클러치(5)의 외륜(51)과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와의 사이에 제1 마찰 플레이트(8)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8)는, 환상(環狀)의 플레이트이며, 외륜(51)과 접촉하고 있다. 덧붙여, 제1 마찰 플레이트(8)는, 외륜(51)과 접촉하는 한편, 전동체(52)와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제1 마찰 플레이트(8)는, 예를 들어, 카본 클로스(carbon cloth)제(製)이다.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는, 제1 마찰 플레이트(8)를 통하여 외륜(51)을 축 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다.
[압박 부재]
압박 부재(9)는, 원웨이 클러치(5)의 외륜(51)을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를 향하게 하여 압박한다. 즉, 압박 부재(9)는, 외륜(51)이 제1 마찰 플레이트(8)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외륜(51)을 압박하고 있다. 덧붙여, 압박 부재(9)는, 제2 마찰 플레이트(13)를 통하여 외륜(51)을 압박하고 있다. 제2 마찰 플레이트(13)는, 환상이며, 원웨이 클러치(5)의 외륜(51)과 접촉하고 있다. 덧붙여, 제2 마찰 플레이트(13)는, 전동체(52)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압박 부재(9)는, 축 방향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박 부재(9)는, 제1 베어링 부재(12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제1 베어링 부재(12a)는, 돌출부(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段差部)(241)에 의하여, 원웨이 클러치(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압박 부재(9)는, 예를 들어 접시 용수철이다. 압박 부재(9)의 외주부가 제2 마찰 플레이트(13)를 통하여 원웨이 클러치(5)의 외륜(51)을 압박한다. 또한, 압박 부재(9)의 내주부가 제1 베어링 부재(12a)의 내륜(內輪)에 지지되어 있다. 압박 부재(9)가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여도, 스풀축(4)의 단면(端面)(4a)은, 조정 부재(6)의 바닥면(61a)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조작 레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7)는, 조작 레버 본체부(71), 취부부(72), 및 힌지부(73)를 가지고 있다.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덧붙여,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조정 부재(6)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조정 부재(6)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제2 릴 본체부(2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제2 릴 본체부(22)를 향하여 곡절하고 있다.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기단부(711)와, 조작부(712)를 가지고 있다. 기단부(711)는, 조정 부재(6)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기단부(711)는, 조정 부재(6)에 취부된 취부부(72)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711)는, 경방향 및 축 방향으로 계단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기단부(711)는, 취부부(72)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된 후, 축 방향의 제2 릴 본체부(22) 측으로 연장되고, 그 후, 재차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부(712)는, 기단부(711)의 선단부로부터 제2 릴 본체부(22)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부(712)는, 제1 릴 본체부(21)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712)는, 경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1 릴 본체부(21)의 최외주면(211)과 중복하고 있고, 중복 영역 R을 획정(劃定)하고 있다. 덧붙여, 제1 릴 본체부(21)의 최외주면(211)이란, 스풀축(4)을 중심으로 하는 제1 릴 본체부(21)의 외주면 중 가장 직경이 큰 외주면을 말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부부(72)는, 조정 부재(6)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취부된다. 취부부(72)는, 제1 원통부(721)(제1 통상부의 일례)와, 내측 플랜지부(722)를 가지고 있다. 제1 원통부(721)는, 제2 원통부(62)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원통부(62)는, 제1 원통부(721) 내에 감합한다. 즉, 제1 원통부(721)의 내경(內徑)은, 제2 원통부(62)의 외경(外徑)과 거의 동일하다.
내측 플랜지부(722)는, 제1 원통부(721)로부터 경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 플랜지부(722)는, 환상이다. 이 내측 플랜지부(722)는, 축 방향에 있어서, 조정 부재(6)와 당접한다. 상세하게는, 내측 플랜지부(722)는, 조정 부재(6)의 원판부(61)의 외주 단부와 당접하고 있다. 덧붙여, 원판부(61)의 외주 단부에는, 환상의 오목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611)에 내측 플랜지부(722)가 감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내측 플랜지부(722)가 조정 부재(6)와 당접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7)의 축 방향의 제2 릴 본체부(22) 측으로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7)가 축 방향에 있어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축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힌지부(73)를 통하여 취부부(72)에 취부되어 있다. 힌지부(73)는, 조작 레버 본체부(71)가 축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조작 레버 본체부(71)와 취부부(72)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조작 레버(7)는, 떼어내기 가능하게 조정 부재(6)에 취부되어 있다. 조작 레버(7)는, 조정 부재(6)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핸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0)은, 스풀축(4)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제1 릴 본체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10)이 회전하면, 회전 전달 기구(11)를 통하여 스풀축(4)이 회전한다.
[회전 전달 기구]
회전 전달 기구(11)는, 핸들(10)의 회전을 스풀축(4)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회전 전달 기구(11)는, 구동축(11a), 구동 기어(11b), 피니언 기어(11c), 및 클러치 기구(11d)를 가진다. 구동축(11a)은, 핸들(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1b)는, 구동축(11a)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1c)는, 구동 기어(11b)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1c)는 통상(筒狀)이며, 스풀축(4)이 피니언 기어(11c) 내를 관통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11d)는,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을 스풀축(4)에 전달하거나, 차단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기구(11d)는, 계합(係合) 핀(11e)과 계합 오목부(11f)에 의하여 구성된다. 계합 핀(11e)은, 스풀축(4)을 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계합 오목부(11f)는, 피니언 기어(11c)의 일방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계합 핀(11e)이 계합 오목부(11f)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이 스풀축(4)에 전달된다. 한편, 피니언 기어(11c)가 계합 핀(11e)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핀(11e)과 계합 오목부(11f)와의 계합이 해제되면,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이 스풀축(4)에 전달되지 않는다.
[양 베어링 릴의 동작]
다음으로, 양 베어링 릴(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낚싯줄을 스풀(3)로부터 방출하는 캐스팅 시에는, 스풀축(4)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스풀축(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5)의 전동체(52)를 통하여 외륜(51)에 전달되고, 외륜(51)이 회전한다. 외륜(51)은, 제1 마찰 플레이트(8)를 통하여, 조정 부재(6)에 의하여 압압되어 있다. 즉, 외륜(51)은 조정 부재(6)에 의하여 제동되어 있기 때문에, 외륜(51)의 회전 속도가 억제된다. 외륜(51)과 스풀축(4)과는 연동하고 있기 때문에, 줄 방출 시의 스풀축(4)의 회전 속도도 억제되고, 백래시가 방지된다.
조작 레버(7)를 둘레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조정 부재(6)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외륜(51)에 대한 조정 부재(6)의 압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7)를 둘레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4)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덧붙여, 조작 레버(7)는, 예를 들어, 제2 릴 본체부(22)를 보지한 손에 의하여, 조작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조작 레버(7)는, 축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조작 레버(7)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조작 레버(7)를 취부하는 릴 본체의 크기에 따라 조작 레버(7)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
낚싯줄을 감을 때, 스풀축(4)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동체(52)는, 이 스풀축(4)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외륜(51)에 전달하지 않는다. 즉, 스풀축(4)과 외륜(51)과는 연동하지 않고, 조정 부재(6)에 의한 제동력이 스풀축(4)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줄 감기 시에는, 조정 부재(6)에 의한 회전 저항이 스풀축(4)에 생기지 않고, 스풀축(4)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조작 레버(7)는,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과 함께, 제2 릴 본체부(2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릴 본체부(22)를 보지한 상태의 손에 의하여, 조작 레버(7)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정 부재(6)는, 원웨이 클러치(5)를 통하여 스풀축(4)의 회전을 제동하고 있었지만, 원웨이 클러치(5)를 생략하여 스풀축(4)의 회전을 직접 제동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마찰 플레이트(8)가 스풀축(4)의 단면(4a)에 접촉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변형예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곡절하여 있지만,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만곡하여 있어도 무방하다.
변형예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 본체부(71)의 기단부(711)는 계단상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기단부(711)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711)는, 축 방향의 제2 릴 본체부(22) 측으로 경사하여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 기단부(711)의 선단부로부터 조작부(712)가 축 방향의 제2 릴 본체부(22)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변형예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취부부(72)의 내측 플랜지부(722)에 의하여 조작 레버(7)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부부(72)가 내측 플랜지부(722)를 가지는 대신에, 조정 부재(6)가 외측 플랜지부(64)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외측 플랜지부(64)는, 제2 원통부(62)로부터 경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취부부(72)의 제1 원통부(721)가 축 방향에 있어서 외측 플랜지부(64)에 당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레버(7)의 축 방향의 제2 릴 본체부(22)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힌지부(73)를 통하여 취부부(72)에 취부되어 있지만, 조작 레버(7)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7)는, 힌지부를 가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조작 레버 본체부(71)는, 취부부(72)로부터 직접 연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즉, 조작 레버 본체부(71)와 취부부(72)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21: 제1 릴 본체부
22: 제2 릴 본체부
3: 스풀
4: 스풀축
6: 조정 부재
7: 조작 레버
71: 조작 레버 본체부
711: 기단부
712: 조작부
72: 취부부
721: 제1 원통부
722: 내측 플랜지부
73: 힌지부
100: 양 베어링 릴

Claims (13)

  1. 제1 릴 본체부와,
    상기 제1 릴 본체부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릴 본체부와,
    상기 제1 릴 본체부와 상기 제2 릴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스풀축과,
    상기 제1 릴 본체부에 취부(取付)되고, 상기 스풀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로부터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것과 함께 제2 릴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조작 레버 본체부를 가지고, 둘레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스풀축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는 조작 레버
    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조정 부재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조정 부재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취부되는 취부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 레버는 힌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조작 레버 본체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취부부에 취부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조작 레버 본체부가 축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상기 조작 레버 본체부와 상기 취부부를 연결하고 있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릴 본체부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나합(螺合)하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는, 제1 통상부(筒狀部)를 가지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1 통상부에 감합(嵌合)하는 제2 통상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는, 상기 제1 통상부로부터 내측(內側)으로 연장되고,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와 당접(當接)하는 내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2 통상부에서 외측(外側)으로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1 통상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와 당접하는,
    양 베어링 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 본체부의 선단부(先端部)는, 경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릴 본체부의 최외주면(最外周面)과 중복하는,
    양 베어링 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 본체부는, 상기 제2 릴 본체부를 향하여 곡절(曲折) 또는 만곡하는,
    양 베어링 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 본체부는,
     상기 조정 부재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부(基端部)와,
     상기 기단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2 릴 본체부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
    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 릴 본체부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는, 경방향 및 축 방향으로 계단상으로 연장되는,
    양 베어링 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는, 상기 제2 릴 본체부 측으로 경사하여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베어링 릴.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46743A 2016-09-08 2017-04-11 양 베어링 릴 KR102442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5312A JP7122081B2 (ja) 2016-09-08 2016-09-08 両軸受リール
JPJP-P-2016-175312 2016-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59A KR20180028359A (ko) 2018-03-16
KR102442021B1 true KR102442021B1 (ko) 2022-09-13

Family

ID=6128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743A KR102442021B1 (ko) 2016-09-08 2017-04-11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21922B2 (ko)
JP (2) JP7122081B2 (ko)
KR (1) KR102442021B1 (ko)
CN (1) CN107801700B (ko)
TW (1) TWI7222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6344B2 (ja) * 2017-05-17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602730B2 (en) * 2017-06-23 2020-03-31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KR102184732B1 (ko) * 2018-05-10 2020-11-3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JP7122897B2 (ja) * 2018-07-19 2022-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US11154042B2 (en) * 2019-10-17 2021-10-26 Trika Inc. Baitcaster with internal gear set
US11808410B2 (en) 2020-06-10 2023-11-07 Tatsuno Corporation Hydrogen fill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194A (ja) * 1999-03-19 2000-09-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20050253008A1 (en) 2004-05-13 2005-11-17 Liang-Jen Chang Fishing reel
JP2010104262A (ja) * 2008-10-28 2010-05-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2065574A (ja) 2010-09-22 2012-04-0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9924A (en) * 1955-09-30 1958-11-11 Enterprise Mfg Co Free spool fishing reel
SE432512B (sv) * 1980-03-18 1984-04-09 Abu Ab Centrifugalbromsanordning vid fiskerulle
JPS58155036A (ja) * 1982-03-09 1983-09-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JPH0168777U (ko) * 1987-10-29 1989-05-08
US4901944A (en) * 1987-11-24 1990-02-20 Ryobi, Ltd. Fishing reel having a spool shaft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JP2534332Y2 (ja) * 1989-10-16 1997-04-30 株式会社 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503245Y2 (ja) * 1991-02-15 1996-06-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クラッチ装置
US5875986A (en) * 1994-09-08 1999-03-02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fishline releasing characteristic
JPH09275861A (ja) * 1996-04-19 1997-10-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5904310A (en) * 1996-11-08 1999-05-18 Daiwa Seiko, Inc. Double bearing type of a fishing reel having a rotatable and slidable clutch member supported by a bearing
US5996921A (en) * 1997-03-06 1999-12-07 Ryobi Limited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for baitcasting reel
US6053444A (en) * 1997-03-18 2000-04-25 Diawa Seiko, Inc. Fishline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type reel
US6530535B2 (en) * 2000-03-16 2003-03-1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US6457208B1 (en) * 2001-01-08 2002-10-01 William Keith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in the winding of a rounded turn knob
JP3967661B2 (ja) * 2002-03-05 2007-08-2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7377367B2 (en) * 2005-02-18 2008-05-27 Shimano Inc. Hydraulic disc brake lever assembly
US7401748B2 (en) * 2006-12-19 2008-07-22 Shimano Inc. Spool assembly for spinning reel
JP6649699B2 (ja) * 2015-05-27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60904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60903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49801B2 (ja) * 2016-02-26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194A (ja) * 1999-03-19 2000-09-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20050253008A1 (en) 2004-05-13 2005-11-17 Liang-Jen Chang Fishing reel
JP2010104262A (ja) * 2008-10-28 2010-05-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2065574A (ja) 2010-09-22 2012-04-0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38328A (ja) 2018-03-15
CN107801700A (zh) 2018-03-16
TWI722210B (zh) 2021-03-21
KR20180028359A (ko) 2018-03-16
JP2021182937A (ja) 2021-12-02
JP7122081B2 (ja) 2022-08-19
CN107801700B (zh) 2021-10-08
TW201811174A (zh) 2018-04-01
JP7142133B2 (ja) 2022-09-26
US10721922B2 (en) 2020-07-28
US20180064083A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021B1 (ko) 양 베어링 릴
KR102502467B1 (ko) 양 베어링 릴
JP6649801B2 (ja) 両軸受リール
CN106172292B (zh) 双轴承渔线轮
KR102491582B1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489975B1 (ko) 낚시용 릴
KR102502468B1 (ko) 양 베어링 릴
KR102562262B1 (ko) 양 베어링 릴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6775059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US10869469B2 (en) Drag knob and fishing reel
JP6971612B2 (ja) 両軸受リール
JP6965124B2 (ja) 両軸受リール
JP6876159B2 (ja) 両軸受リール
KR20210045288A (ko) 양 베어링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