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779A -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779A
KR20220098779A KR1020227019670A KR20227019670A KR20220098779A KR 20220098779 A KR20220098779 A KR 20220098779A KR 1020227019670 A KR1020227019670 A KR 1020227019670A KR 20227019670 A KR20227019670 A KR 20227019670A KR 20220098779 A KR20220098779 A KR 20220098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ackaging container
lid member
region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노나카
리나 호시카
다츠야 오시타
요우이치 하마다
메구미 이마무라
류이치 츠츠미
가즈노리 미후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22009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65D81/20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부와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포장 용기로서, 플랜지부는 뚜껑 부재와 1차 씰되는 1차 씰 영역과, 뚜껑 부재와 2차 씰되는 2차 씰 영역과,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최상부와,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 최상부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하부와, 1차 씰 영역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관통 영역을 갖고, 또한,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플랜지 하부의 상면과 뚜껑 부재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동시에, 뚜껑 부재와의 사이에 외부와 수용부 안의 사이에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유통로가 형성되고, 2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일본국 특원2019-22387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의 기재에 편입된다.
본 발명은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반찬 등의 식품을 내용물로서 포장하고 살균 처리할 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포장 식품에는 식품 공장 등에서 조리·가공된 식품이 개구를 갖는 용기 내에 수용되고, 그 용기에 탑 시트나 뚜껑을 덮은 상태로 유통되는 것이 있다. 하지만, 톱 시트나 뚜껑을 이용한 포장 식품은 완전히 밀봉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외기가 용기 내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포장 식품의 보존 가능기간이 대체로 1~2일로 매우 짧아, 폐기 로스율이 매우 높다(제품 수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포장 식품으로서, 용기와 뚜껑이 히트 씰되는 등 용기 안이 완전히 밀봉되어 보존 가능기간을 늘린 포장 식품이 유통하게 되었다. 그 중에는 냉장 보존함으로써 보존 가능기간이 2주를 넘는 포장 식품도 있다.
하지만, 히트 씰 등으로 용기를 밀봉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세균의 침입을 막을 수는 있어도, 성형 용기의 내부는 완전 무균의 상태는 아니다. 따라서, 유통 과정에서 환경이 변화함으로써 용기 안의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존 가능 기간을 더 길게 하기 위해서는 식품 공장에서의 작업 환경을 가능한 한 무균 상태에 가깝게 하기 위해, 청정도를 엄격히 관리할 것이 요구된다. 종래, 식품을 용기에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 살균한 후, 클린 룸(무균실) 내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뚜껑 부재로 밀폐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특허문헌 1), 예를 들어, 조리·가공된 식품을 취급하는 작업 환경의 청정도는 NASA 규격 클린 룸의 10000 또는 1000 레벨과 같은 하이 레벨까지 관리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클린 룸을 도입할 경우, 공조 설비의 설치나 유지 관리에는 엄청난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식품 이외에도, 제품으로서 시장에 유통시키기 전에 살균 처리해야 할 대상물이 여러가지 존재하고, 그 대상물을 효율적으로 살균 처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9937호
본 발명은 내용물을 살균 처리할 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예를 들어, 내용물의 일례인 식품의 살균 처리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식품의 품질 유지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살균용 가스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하고, 그 후 상기 내용물을 밀봉하여 유통시키기 위한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로서, 위쪽에 개구를 갖고 또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개구를 덮는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에서 1차 씰되는 1차 씰 영역과, 상기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 후의 2차 씰 공정에서 2차 씰되는 2차 씰 영역과,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최상부와,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 최상부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하부와, 상기 1차 씰 영역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적어도 1개의 관통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 하부 사이에 외부와 상기 수용부 내 사이에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2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관통 영역의 일부에 금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관통 영역은 위쪽으로 향하여 팽출한 만곡면을 갖고 있고, 상기 만곡면의 상단이 상기 플랜지 최상부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관통 영역은 아래쪽으로 패인 오목부이고, 상기 금이 상기 오목부 내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의 전체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 영역은 복수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는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포장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살균용 가스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하고, 그 후 상기 내용물을 밀봉하여 유통시키기 위한 포장 용기로서, 위쪽에 개구를 갖고 또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개구를 덮는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에서 1차 씰되는 1차 씰 영역과, 상기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 후의 2차 씰 공정에서 2차 씰되는 2차 씰 영역을 갖고,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뚜껑 부재와의 사이에 외부와 상기 수용부 내 사이에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2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의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1차 씰 영역보다도 내측에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유통로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에 금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금을 경계로 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위쪽으로 향해서 변형됨으로써 형성되는 플랜지 최상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유통로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위쪽으로 향해 변형되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위쪽으로 향해서 팽출한 만곡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플랜지부는 상면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최상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유통로가 형성되게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 구멍은 복수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1차 씰 영역의 상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2차 씰 영역의 상면은 상기 1차 씰 영역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2차 씰 영역의 상면과 상기 뚜껑 부재의 하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틈이 상기 유통로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수용부는 내용물이 올려 놓여지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은 요철 형상을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추가로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뚜껑 부재는 적어도 1층의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상기 포장 용기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II-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에서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상기 포장 용기의 관통 구멍 형성 공정 및 식품 수용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포장 용기의 관통 구멍 형성 공정 및 식품 수용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V-V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상기 포장 용기의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포장 용기의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a의 VII-V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기 포장 용기의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상기 포장 용기의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a의 IX-IX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도 10a의 X-X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상기 포장 용기의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상기 포장 용기의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11a의 XI-X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12a의 XII-X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상기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상기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13a의 XIII-XI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도 12a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의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2a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의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14a의 XIV-XIV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15a의 XV-XV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6a는 상기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6b는 상기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16a의 XVI-XV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관통 구멍 형성 공정 전의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18a의 XVIII-XVI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a는 상기 포장 용기의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9b는 상기 포장 용기의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19a의 XIX-XIX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0a의 XX-XX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1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1a의 XXI-XX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2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2a의 XXII-XX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3a는 상기 포장 용기의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3b는 상기 포장 용기의 2차 씰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3a의 XXIII-XXI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4a의 XXIV-XXIV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5a의 XXV-XXV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4a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5a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평면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4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5a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8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도 28a의 XXVIII-XXVI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9a는 상기 포장 용기에서의 관통 구멍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관통 구멍 형성 공정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b는 상기 포장 용기에서의 관통 구멍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플랜지부에 금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29c는 상기 포장 용기에서의 관통 구멍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플랜지 최상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29d는 상기 포장 용기에서의 관통 구멍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플랜지 최상부 형성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0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관통 구멍 형성 공정 전의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0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도 30a의 단면도이다.
도 30c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단면도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관통 구멍 형성 공정 전의 상기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1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도 31a의 단면도이다.
도 31c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식도이고,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단면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c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 형성 공정 후의 모식도이고,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9는 이 제조 방법의 각 공정을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일례로서의 식품을, 살균용 가스의 일례로서의 가열 증기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하고, 그 후, 상기 내용물(예를 들어, 식품)을 밀봉하여 포장 식품으로서 유통시키기 위한 살균 처리용 포장 용기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1)는 위쪽에 개구(20)를 갖는 수용부(2)와, 수용부(2)의 개구 테두리(21)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뻗는 플랜지부(3)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4)를 구비한다.
이하, 포장 용기(1)에서의 상하 방향은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9의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3)에서의 내측 및 외측은 플랜지부(3)에서의 개구 테두리(21)에서 가까운 측 및 먼 측과 일치하고 있다.
용기 본체(4)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 부재에 의해 폐색 가능한 용기이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4)는 트레이 형상이지만, 컵 형상, 보틀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4)의 재질은 합성 수지이다. 용기 본체(4)의 두께는 부위에 따라 불균일하지만, 어느 부위에서도 같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4)에서는 플랜지부(3)의 두께가 수용부(2)의 두께보다도 크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4)에서는 수용부(2) 및 플랜지부(3)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4)는 한장의 시트를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뚜껑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다. 뚜껑 부재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필름재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뚜껑 부재를 구성하는 필름재는 이축 연신된 플라스틱제의 필름재이다.
수용부(2)는 식품을 수용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부(2)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바닥판(22)을 포함한다. 또한, 수용부(2)는 바닥판(22)의 외주연으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측벽(23)을 포함한다.
바닥판(22)은 예를 들어,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직사각형판상이다. 또한, 바닥판(22)은 식품과 접촉하는 바닥판 상면(220)과, 용기 본체(4)를 재치면에 올려 놓을 때에 이 재치면에 올려 놓여지는 면인 바닥판 하면(221)을 갖는다.
바닥판 상면(220)은 요철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바닥판 상면(220)의 4개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중앙부에는 바닥판 상면(220)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돌출설치된 복수의 바닥판 돌기부(2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 상면(220)의 4개의 모서리부는 각각 모서리부의 정점에 가까운 부위일수록 위쪽에 위치하는 바닥판 경사면(2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 돌기부(222)의 각각은 대략 균등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바닥판 돌기부(222, 222)의 사이에는 증기가 유통하는 증기 유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 돌기부(222)는 용기 본체(4)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예를 들어 점접촉 또는 선접촉의 양식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돌기물(222)은 바닥판 돌기부(222)와 내용물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가능한 한 저감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 돌기부(222, 222)의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증기 유통부가 대략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4)에 수용된 내용물(예를 들어, 식품)을 증기로 살균할 때, 바닥부에 형성된 증기 유통로를 통과하여, 내용물의 상면 및 측면뿐만 아니라, 상기 내용물의 하면에서도 증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로써, 증기에 의한 내용물이 보다 균등하고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해진다.
바닥판 돌기부(222)의 높이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 바닥부의 내측 최하면(즉, 용기 본체(4)의 내표면에서의 가장 아래쪽의 높이)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2mm 이상, 3mm 이상, 또는 4mm 이상이다. 그리고 바닥판 돌기부(222)의 높이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 바닥부의 내측 최하면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15mm 이하, 13mm 이하, 또는 10mm 이하이다. 바닥판 돌기부(222)의 높이가 이러한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증기 유통로에 증기가 보다 한층 유입되기 쉬워지고, 내용물의 하면측의 증기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바닥판 돌기부(222)의 높이는 용기 본체(4)의 깊이(즉, 용기 본체(4)의 개구(20)로부터 연직 방향에서의 내표면의 가장 아래쪽의 부분까지의 거리)의 1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증기 유통로의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증기 유통로에 증기가 보다 한층 유입되기 쉬워지고, 내용물의 하면측의 증기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바닥판 경사면(223)은 수용부(2)의 모서리부를 없애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바닥판 경사면(223)은 수용부(2) 내에 수용된 식품을 꺼낼 때에, 이 식품이 바닥판(22)의 모서리부 근방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 식품을 수용부(2)에서 꺼내기 쉽게 한다. 또한, 바닥판 경사면(223)은 바닥판 돌기부(222)와 간격을 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측벽(23)은 예를 들어, 위쪽에 위치하는 부위일수록 평면시에서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벽(23)의 상단테두리는 수용부(2)의 개구 테두리(21)를 구성하고 있다.
플랜지부(3)는 뚜껑 부재와 씰되는 부위이다. 플랜지부(3)는 예를 들어,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부(3)는 대략 판상이고, 평면시에서 수용부(2)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3)는 평면시에서 4개소의 모서리부를 갖는 환상이다.
또한, 플랜지부(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한 플랜지 상면(30)과, 아래쪽을 향한 플랜지 하면(35)을 갖는다. 또한, 플랜지부(3)는 개구(20)를 덮는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에서 씰되는 1차 씰 영역(31)과, 뚜껑 부재와 2차 씰 공정에서 씰되는 2차 씰 영역(32)을 갖는다. 또한, 플랜지부(3)는 플랜지 최상부(33)와 플랜지 하부(34)를 갖는다. 플랜지 최상부(33)는 플랜지 상면(30)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을 갖는다. 플랜지 하부(34)는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하부 상면(340)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부(3)는 플랜지부(3)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관통 영역(36)을 갖는다(도 1a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 즉 관통 영역(36)은 1차 씰 영역(31)보다도 내측에 위치한다. 관통 영역(36)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은 플랜지 하면(35)과 플랜지 상면(30) 사이를 관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부(3)에서는 관통 영역(36)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에 마련되는 관통 영역(36)의 수는 하나라도 좋지만, 플랜지부(3) 내에 기체를 유입시키는 관통 구멍, 및, 플랜지부(3) 내로부터 기체를 유출시키는 관통 구멍의 양쪽을 플랜지부(3)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플랜지부(3)에서는 관통 영역(36)이 플랜지부(3)의 모서리부의 수와 같은 수(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마련되어 있다.
1차 씰 영역(31)은 플랜지부(3)의 일부이고, 뚜껑 부재와 플랜지부(3)를 1차 씰 공정에 의해서 임시 씰하기 위한 영역이다. 1차 씰 공정은 수용부(2)에 식품을 수용한 후이고 수용한 식품의 살균 전에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1차 씰 영역(31)은 플랜지부(3)의 외주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1차 씰 영역(31)은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연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차 씰 영역(31)은 플랜지부(3)의 외주부에서의 외주연보다도 내측이고, 둘레 방향에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차 씰 영역(31)은 플랜지부(3)의 외주부에서의 외주연보다도 내측이고,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따라서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2차 씰 영역(32)은 밀봉 공정으로서의 2차 씰 공정에서, 뚜껑 부재와 플랜지부(3)가 씰되는 영역이다. 2차 씰 공정은 수용부(2)에 수용한 식품을 살균한 후에 행해진다. 2차 씰 영역(32)은 플랜지부(3)의 적어도 일부이다. 또한, 2차 씰 영역(32)은 1차 씰 영역(31)과 중복하는(같은)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2차 씰 영역(32)은 플랜지부(3)의 전역이다.
플랜지부(3)의 상면(30)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높이)는 플랜지부(3)가 플랜지 최상부(33)나 플랜지 하부(34)를 포함함으로써 불균일하게 되어 있다(도 1b 참조).
플랜지 최상부(33)는 상면이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은 플랜지 하부 상면(340)보다도 예를 들어, 1mm이상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 최상부(33)는 1차 씰 공정을 행한 후이고 2차 씰 공정을 행하기 전에, 뚜껑 부재를 플랜지 하부 상면(340)보다도 위쪽에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 최상부(33)는 플랜지부(3)를 부분적으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볼록부이다. 이로써,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은 위쪽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 최상부(33)는 중공이지만, 중실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부(3)에는 다른 형상의 플랜지 최상부(33)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렌지 최상부(33)는 평면시에서 타원형상을 갖는 제 1 플랜지 최상부(33A)와, 평면시에서 원형상을 갖는 제 2 플랜지 최상부(33B)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 최상부(33A) 및 제 2 플랜지 최상부(33B)는 모두,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이 만곡면상을 갖는 볼록부이다. 또한, 제 1 플랜지 최상부(33A) 및 제 2 플랜지 최상부(33B)는 모두, 높이(상하 방향에서의 치수)가 평면시에서의 외경보다도 작은 볼록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 최상부(33)는 관통 영역(36)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최상부(33)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 영역(36)보다도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 최상부(33)는 전부, 관통 영역(36)보다도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 최상부(33)는 각 관통 영역(36)의 내측에 복수(예를 들어 한쌍씩)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 최상부(33)는 각 관통 영역(36)에 대응하도록 그 내측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어도 좋지만, 1차 씰 공정을 행한 후에, 뚜껑 부재를 복수의 플랜지 최상부(33)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복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 하부(34)는 상면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 하부(34)는 플랜지부(3) 중 상기 플랜지 최상부(33)를 제외한 부위이다.
관통 영역(36)은 예를 들어, 수용부(2)를 사이에 두는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가 4개소에 모서리부를 갖는 환상일 경우, 관통 영역(36)은 평면시에서 플랜지부(3)의 각 모퉁이부에 각각 1개소씩, 합계 4개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관통 영역(36)의 형상은 모두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통 영역(36)은 아래쪽으로 패인 오목부이다. 또한, 관통 영역(36)은 평면시에서 원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영역(36)은 아래쪽으로 향해 대략 반구형상으로 패인 오목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관통 영역(36)의 오목부에는 또한 홈부(360)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영역(36)의 상면(361)은 아래쪽을 향해 패여 있고, 상기 상면(361)에는 아래쪽으로 패인 홈부(360)가 마련되어 있다.
홈부(360)의 형상은 예를 들어, 관통 영역(36)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인 최하점에서 교차하는(예를 들어, 이 최하점에서 대략 직교하는) 십자형상이다. 바꿔 말하면, 홈부(360)는 평면시에서, 관통 영역(36)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형상을 갖는다. 홈부(360)의 폭(홈부(360)가 뻗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치수)는 예를 들어, 0.5mm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용기를 이용한 처리 대상물의 살균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에서의 살균 처리 방법은 식품을 내용물로 하고, 주된 공정으로서, 식품 수용 공정, 관통 구멍 형성 공정, 1차 씰 공정, 살균 공정, 및, 2차 씰 공정을 차례로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 수용 공정, 관통 구멍 형성 공정, 1차 씰 공정, 탈기 공정, 살균 공정, 냉각 공정, 가스 치환 공정, 및 2차 씰 공정을 차례로 행한다. 이하, 이 일 실시형태에서의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방법으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1)에 식품(F)을 수용하는 식품 수용 공정을 행한 후, 플랜지부(3)의 1차 씰 영역(31)보다도 내측에, 관통 영역(36)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38)을 형성하는 관통 구멍 형성 공정을 행한다. 식품(F)으로서는 예를 들어, 매일 배달 식품, 즉 식품 공장 등에서 조리, 가공된 식품이나 냉장 가공 식품 등의 임의의 식품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구멍(38)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의 일부에, 금(380)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구멍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관통 영역(36)은 관통 영역(36)의 외주연(363)이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의 주위의 영역과 연속된 상태에서, 이 주위의 영역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바꿔 말하면, 관통 영역(36)은 관통 영역(36)의 외주연(363)을 경계로 하여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의 주위의 영역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관통 구멍 형성 공정에서는 금(380)은 관통 영역(36)을 위쪽에서 가름으로써 형성된다. 금(380)을 형성할 때에는 예를 들어, 선단에 천공침을 구비한 천공용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천공침을 관통 영역(36)에 찌르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천공침은 관통 영역(36)에 마련된 홈부(360)에 의해 안내되어, 관통 영역(36)의 최하점에 꽂히고, 관통 영역(36)은 홈부(360)를 따라 갈라진다. 그 결과, 관통 영역(36)은 십자형상의 금(380)을 경계로 4개의 부위로 나뉜다.
이어서, 도 6a, 도 6b,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2)의 개구(20)를 덮는 뚜껑 부재(5)와, 플랜지부(3)의 1차 씰 영역(31)을 씰하는 1차 씰 공정을 행한 후, 플랜지부(3)과 뚜껑 부재(5)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로(R)를 통하여 수용부(2) 내에 가열 증기(S)를 유통시켜서, 식품(F)을 가열 증기(S)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하는 살균 공정을 행한다(도 7 참조). 본 실시형태의 1차 씰 공정은 플랜지부(3)의 외주부인 1차 씰 영역(31)과 뚜껑 부재(5)를, 플랜지부(3)의 외주부의 둘레 방향에서 선형으로 씰하는 공정이다(도 6a 참조). 또한, 이 1차 씰 공정에서, 뚜껑 부재(5)는 예를 들어 히트씰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함으로써 1차 씰 영역(31)에 열 용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균 공정을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사쿠쇼 제조, 단시간 조리 살균 장치 RIC(이하, 단순히 RIC라고도 함)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단시간 조리 살균 장치 RIC(도시하지 않음)란, 처리 대상이 되는 용기를 넣은 식품을 수용 가능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 장치와, 상기 처리조 안을 탈기하여 진공 상태로 하는 감압 장치와, 상기 처리조 안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균 공정의 전에 수용부(2) 안을 탈기하는 탈기 공정을 행한다. 탈기 공정을 행할 때에는 트레이 위에 식품(F)을 수용하고 뚜껑 부재(5)를 1차 씰한 포장 용기(1)를 복수개 늘어놓고, 또한 상기 트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포개어 쌓은 상태에서 RIC를 구성하는 처리조 안에 수용한다. 처리조의 뚜껑을 닫아 처리조를 밀봉한 후, 상기 처리조 안을 진공 상태까지 탈기한다. 처리조 안이 진공 상태까지 탈기되면, 유통로(R)를 통하여 수용부(2) 안의 공기도 탈기되어, 수용부(2) 안도 처리조 안과 같은 진공 상태가 된다.
살균 공정에서는 처리조 안에 가열 증기(S)를 공급하는 동시에 처리조 안의 온도를, 예를 들어, 100℃ 내지 145℃로 한다. 처리조 안에 공급된 가열 증기(S)는 플랜지부(3)의 아래쪽으로부터 유통로(R)(관통 구멍(38) 및 틈(C))를 통하여, 수용부(2) 내에 유통한다. 이로써, 수용부(2) 안에 수용된 식품(F)은 가열 증기(S)에 의해 살균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균 공정 후에 식품(F)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행한다. 냉각 공정에서는 상기 처리조 안을 감압하여 가열 증기(S)를 배출하고, 또한 상기 처리조 안을 진공 상태로 함으로써 그 수분이 증발하여 식품(F)에서 잠열이 빼앗기고, 식품(F)이 냉각된다.
또한, 냉각 공정 후, 상기 처리조의 뚜껑을 열어 식품(F)이 수용된 포장 용기(1)를 트레이와 함께 꺼낸다.
그 후, 바람직하게는 가스 치환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가스 치환 공정에서는 유통로(R)를 통하여 수용부(2) 안에, 질소 가스나 탄산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스 치환 공정 및 2차 씰 공정은 포장 용기(1)가 히트씰기의 금형에 올려 놓아진 상태에서 행해진다. 상기 금형에는 포장 용기(1)를 올려 놓았을 때에 용기 본체(4)에 형성된 관통 구멍(38)을 통하여 불활성 가스를 공급 가능한 공급로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치환 공정에서는 4개소의 관통 구멍(38) 중 어느 하나의 관통 구멍(38)에 금형의 공급로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금형에는 남은 3개의 관통 구멍(38)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공기 배출용의 배출로가 형성되어 있고, 공급된 불활성 가스에 의해 압출된 포장 용기(1) 내의 공기는 상기 배출로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가스 치환 공정을 행한 후,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 부재(5)와 2차 씰 영역(32)을 씰하는 2차 씰 공정을 행한다. 이로써, 포장 용기(1)와 뚜껑 부재(5)와 식품(F)으로 구성되는 포장 식품(6)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2차 씰 공정은 플랜지부(3)의 외주부인 2차 씰 영역(32)과 뚜껑 부재(5)를 면형상으로 씰하는 공정이다. 2차 씰 공정에서, 뚜껑 부재(5)는 히트씰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함으로써 2차 씰 영역(32)에 열 용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트씰기는 용기 본체(4)가 올려 놓여지고 가스 치환을 행한 상기 금형(받침 금형)과, 위쪽에서 뚜껑 부재(5)를 누르는 금형(히트씰용 금형)을 구비하고 있고, 2차 씰 공정은 가스 치환 후 받침 금형에 포장 용기를 올려 놓은 채로 신속하게 씰을 행하므로, 포장 용기(1) 안의 산소 농도를 극히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 용기(1)의 2차 씰 영역(32)은 플랜지부(3)의 전역이므로, 2차 씰을 행할 때에, 플랜지부(3)의 전역은 상하 방향에서 가압되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8)이 폐색되는 동시에, 플랜지 최상부(33)도 찌부러져서 틈(C)도 폐색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2차 씰 후의 포장 용기(1)에 있어서, 관통 구멍(38)은 뚜껑 부재(5)만으로 폐색되어 있지만, 2차 씰을 행할 때에, 상면이 평탄면이 되어 있는 금형에 플랜지부(3)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플랜지부(3)의 전역을 상하 방향에서 가압함으로써, 2차 씰 후의 포장 용기(1)에 있어서, 관통 구멍(38)이 뚜껑 부재(5)에 더하여 변형된(찌부러진) 관통 영역(36)에 의해 폐색되어도 좋다. 또한, 2차 씰을 행할 때에, 플랜지부(3) 중 플랜지 최상부(33)를 제외한 전역을 상하 방향에서 가압해도 좋다. 이 경우, 플랜지 최상부(33)는 찌부러지지 않고 남은 상태에서 틈(C)이 폐색된다.
이상의 포장 용기(1)는 예를 들어, 수용부(2)에 식품(F)을 수용하고,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에 관통 구멍(38)을 마련한 후에, 뚜껑 부재(5)와 플랜지부(3)의 1차 씰 영역(31)을 씰하고, 또한, 수용부(2) 내에 유통로(R)를 통하여 가열 증기(S)를 유통시켜서 식품(F)을 살균한 후, 뚜껑 부재(5)와 플랜지부(3)의 2차 씰 영역(32)을 씰하도록 하는 포장 식품(6)의 포장 용기(1)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포장 용기(1)에서는 플랜지부(3)의 1차 씰 영역(31)보다도 내측에 관통 구멍(38)이 마련되면, 이 관통 구멍(38)이 유통로(R)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1차 씰 영역(31)과 뚜껑 부재(5)가 씰되면, 플랜지 하부(34)와 뚜껑 부재(5) 사이에 틈(C)이 생기고, 이 틈(C)이 유통로(R)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식품(F)을 살균할 때에, 가열 증기(S)가 플랜지부(3)의 아래쪽에서, 관통 구멍(38) 및 틈(C)에 의해 구성되는 유통로(R)를 통하여 수용부(2) 안에 유통함으로써, 수용부(2) 안의 식품(F)의 살균이 가능하다.
특히, 이 포장 용기(1)에서는 플랜지 하부 상면(340)보다도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이 위쪽에 위치하므로, 식품(F)을 살균할 때에, 플랜지 최상부(33)가 유통로(R)에 포함되는 틈(C)을 유지한다. 따라서, 플랜지 최상부(33)에 의해 이 틈(C)이 폐색되지 않은 상태를 확실히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 증기(S)를 수용부(2) 안에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포장 용기(1)에서는 유통로(R) 위에 뚜껑 부재(5)가 위치하는 즉, 유통로(R)가 뚜껑 부재(5) 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낙하균이 유통로(R)를 통하여 포장 용기(1) 안에 혼입되기 어렵다. 또한, 2차 씰 영역(32)이 뚜껑 부재(5)와 씰됨으로써 유통로(R)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뚜껑 부재(5)와 용기 본체(4)의 2차 씰에 의해, 포장 용기(1)가 식품(F)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관통 영역(36)의 일부에 금(380)을 형성함으로써 관통 구멍(38)을 마련하면(도 5 참조), 관통 구멍(38)의 형성시에 플랜지부(3)의 일부가 파단되지 않고 플랜지부(3)의 파편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부(2) 안에 플랜지부(3)의 파편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관통 영역(36)이 아래쪽으로 패인 오목부이므로(도 2 참조), 관통 구멍(38)을 형성할 때에, 이 패인 관통 영역(36)에 천공침을 찌름으로써, 관통 영역(36)의 천공된 부위가 플랜지부(3)의 다른 영역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 채로 유지되고(도 5 참조), 이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되돌아가기 어렵다. 이로써 관통 구멍(38)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랜지부(3)의 2차 씰 영역과 뚜껑 부재(5)가 씰될때까지, 관통 구멍(38)의 관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수용부(2)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관통 영역(36)이 배치되어 있으므로(도 1a 참조), 이 위치에 관통 구멍(38)을 마련하면, 관통 구멍(38)을 통하여 수용부(2)의 양측에서 기체를 유통시킴으로써(도 4a 참조), 식품(F)의 가열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용기 본체(4) 및 뚜껑 부재(5)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기 본체(4) 및 뚜껑 부재(5)는 적어도 1층의 산소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4) 및 뚜껑 부재(5)가 가스 배리어층을 구비함으로써, 살균 처리 후의 호기성균의 증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각 실시형태에서 달성되는 품질 유지 기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산소 배리어층을 생각할 수 있다.
산소 배리어층은 기체의 투과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고, 예를 들어, 20℃, 65%RH 조건 하에서, JIS-K7126-2(2006년) 제2부(등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산소 투과도가 100cc·20μm/(m2·day, atm) 이하의 층이고, 바람직하게는 50cc·20μm/(m2·day, at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cc·20μm/(m2·day, atm) 이하의 층이다. 여기에서, 「10cc·20μm/(m2·day, atm)」의 산소 투과도란, 20μm의 배리어재(산소 배리어층 단독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말함)에 있어서, 산소 1기압 하에서의 1일의 산소 투과량이 10cc인 것을 말한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은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이하, 「EVOH」라고도 함.),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 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금속박 등의 가스 배리어재를 포함한다. 특히, 양호한 산소 배리어성 및 용융 성형성을 갖는다는 이유로, 상기 산소 배리어층은 EVOH, 폴리아미드, 및 가공 전분,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우수한 용융 성형성을 갖고 있다는 이유로, EVOH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EVOH)
EVOH는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틸렌-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 및 비누화는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비닐 에스테르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포름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피발산 비닐, 및 버사트산 비닐 등의 지방산 비닐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EVOH의 에틸렌 단위 함유량은 예를 들어, 20몰% 이상, 22몰% 이상, 또는 24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VOH의 에틸렌 단위 함유량은 예를 들어 60몰% 이하, 55몰% 이하, 또는 5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단위 함유량이 20몰% 이하이면, 그 용융 형성성 및 고온 하에서의 산소 배리어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에틸렌 단위 함유량이 60몰% 이하이면, 산소 배리어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EVOH에서의 에틸렌 단위 함유량은 예를 들어, 핵 자기 공명(NMR)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EVOH의 비닐 에스테르 성분의 비누화도는 예를 들어, 80몰% 이상, 90몰% 이상, 또는 99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도를 80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한편, EVOH의 비닐 에스테르 성분의 비누화도는 예를 들어, 100% 이하, 99.99% 이하라도 좋다. EVOH의 비누화도는 1H-NMR 측정에 의해 비닐 에스테르 구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피크 면적과, 비닐 알코올 구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다. EVOH의 비누화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용기 본체(4)나 뚜껑 부재(5)를 구성하는 산소 배리어층에 양호한 산소 배리어성을 제공할 수 있다.
EVOH는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에틸렌 및 비닐 에스테르 및 그 비누화물 이외의 다른 단량체 유래의 단위를 갖고 있어도 좋다. EVOH가 이와 같은 다른 단량체 단위를 갖는 경우, EVOH의 전 구조 단위에 대한 상기 다른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0몰% 이하, 20몰% 이하, 10몰% 이하 또는 5몰% 이하이다. 또한, EVOH가 상기 다른 단량체 유래의 단위를 갖는 경우, 그 함유량은 예를 들어, 0.05몰% 이상 또는 0.1몰% 이상이다.
이러한 EVOH가 갖고 있어도 좋은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부틸렌, 펜텐, 헥센 등의 알켄; 3-아실옥시-1-프로펜, 3-아실옥시-1-부텐, 4-아실옥시-1-부텐, 3,4-디아실옥시-1-부텐, 3-아실옥시-4-메틸-1-부텐, 4-아실옥시-1-부텐, 3,4-디아실옥시-1-부텐, 3-아실옥시-4-메틸-1-부텐, 4-아실옥시-2-메틸-1-부텐, 4-아실옥시-3-메틸-1-부텐, 3,4-디아실옥시-2-메틸-1-부텐, 4-아실옥시-1-펜텐, 5-아실옥시-1-펜텐, 4,5-디아실옥시1-펜텐, 4-아실옥시-1-헥센, 5-아실옥시-1-헥센, 6-아실옥시-1-헥센, 5,6-디아실옥시-1-헥센, 1,3-디아세톡시-2-메틸렌프로판 등의 에스테르기 함유 알켄 또는 비누화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산 또는 그 무수물, 염, 또는 모노 혹은 디알킬에스테르 등;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 비닐설폰산, 알릴설폰산, 메타알릴설폰산 등의 올레핀설폰산 또는 그 염;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β-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 화합물; 알킬비닐에테르류, 비닐케톤, N-비닐피롤리돈, 염화 비닐, 염화 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EVOH는 우레탄화, 아세틸화, 시아노에틸화, 옥시알킬렌화 등의 수법을 거쳐 변성된 EVOH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변성된 EVOH는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용융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EVOH로서, 에틸렌 단위 함유량, 비누화도, 공중합체 성분, 변성의 유무 또는 변성의 종류 등이 다른 EVOH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EVOH는 괴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무용매 또는 알코올 등의 용액 중에서 중합이 진행 가능한 괴상 중합법 또는 용액 중합법이 이용된다.
용액 중합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코올, 바람직하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이다. 중합 반응액에서의 용매의 사용량은 목적으로 하는 EVOH의 점도 평균 중합도나 용매의 연쇄 이동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좋고, 반응액에 포함되는 용매와 전 단량체와의 질량비(용매/전 단랑체)는 예를 들어, 0.01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이다.
그리고, 상기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토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사이클로프로필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 이소부티릴퍼옥사이드, 쿠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토,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온도는 20℃ 내지 90℃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시간은 2시간 내지 15시간이 바람직하고, 3시간 내지 11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율은 주입하는 비닐 에스테르에 대하여 10% 내지 90%가 바람직하고, 30% 내지 80%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후의 용액 중의 수지 함유율은 5% 내지 85%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에서는 소정 시간의 중합 후 또는 소정의 중합율에 도달한 후, 필요에 따라 중합 금지제가 첨가되고, 미반응의 에틸렌 가스를 증발 제거하여, 미반응의 비닐 에스테르가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공중합체 용액에 알칼리 촉매가 첨가되어, 상기 공중합체가 비누화된다. 비누화의 방법에는 연속식 및 회분식 중 어느 것도 채용되어도 좋다. 첨가 가능한 알칼리 촉매의 예로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알칼리 금속 알코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비누화 반응 후의 EVOH는 알칼리 촉매, 아세트산 나트륨이나 아세트산 칼륨 등의 부생염류, 기타 불순물을 함유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중화나 세정함으로써, 이것들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누화 반응 후의 EVOH를, 소정의 이온(예를 들어 금속 이온, 염화물 이온)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물(예를 들어, 이온 교환수)로 세정할 때,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등의 부생염류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그 일부를 잔존시켜도 좋다.
EVOH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금속염, 산, 붕소 화합물, 가소제, 필러, 블로킹 방지제, 활제, 안정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건조제, 가교제, 각종 섬유 등의 보강재,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열 안정성이나 다른 수지와의 접착성이 양호하다는 이유로, 금속염 및 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은 층간 접착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VOH가 금속염을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은 EVOH에 대하여 상기 금속염의 금속 원자 환산으로, 예를 들어, 1ppm 이상, 5ppm 이상, 10ppm 이상, 또는 20ppm 이상이다. 그리고, EVOH가 금속염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EVOH에 대하여 상기 금속염의 금속 원자 환산으로, 예를 들어, 10000ppm 이하, 5000ppm 이하, 1000ppm 이하, 또는 500ppm 이하이다. 금속염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및 상한으로 구성되는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층간 접착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용기 본체(4)를 재활용할 때의 EVOH의 열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복실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은 EVOH를 용해 성형할 때의 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EVOH가 카복실산 화합물을 함유할 경우, 카복실산의 함유량(즉, EVOH를 포함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건조 조성물 중의 카복실산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ppm 이상, 10ppm 이상, 또는 50ppm 이상이다. 그리고, 카복실산 화합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000ppm 이하, 1000ppm 이하, 또는 500ppm 이하이다. EVOH가 인산 화합물을 함유할 경우, 인산의 함유량(즉, EVOH를 포함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인산 화합물의 인산근 환산 함유량)은 예를 들어, 1ppm 이상 10ppm 이상, 또는 30ppm 이상이다. 그리고, 인산 화합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000ppm 이하, 1000ppm 이하, 또는 300ppm 이하이다. EVOH가 카복실산 화합물 또는 인산 화합물을 상기 범위 내에서 함유함으로써, EVOH의 용융 성형시의 열 안정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EVOH가 상기 붕소 화합물을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즉, EVOH를 포함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건조 조성물 중의 붕소 화합물의 붕소 환산 함유량)은 예를 들어, 1ppm 이상, 10ppm 이상, 또는 50ppm 이상이다. 그리고, 붕소 화합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2000ppm 이하, 1000ppm 이하, 또는 500ppm 이하이다. EVOH가 붕소 화합물 또는 인산 화합물을 상기 범위 내에서 함유함으로써, EVOH의 용융 성형시의 열 안정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카복실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또는 붕소 화합물을, EVOH를 포함하는 산소 배리어층에 함유시키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EVOH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펠릿화 시에 이것들을 첨가하여 혼련해도 좋다. 상기 카복실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또는 붕소 화합물의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건조 분말로서 첨가하는 방법, 소정의 용매를 함침시킨 페이스트 상태에서 첨가하는 방법, 소정의 액체에 현탁시킨 상태에서 첨가하는 방법, 소정의 용매에 용해시켜서 용액으로서 첨가하는 방법, 소정의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 화합물을 EVOH 중에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소정의 용매에 용해시켜서 용액으로서 첨가하는 방법 및 소정의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첨가제로서 첨가되는 이들 화합물의 용해성, 비용, 취급의 용이함, 작업 환경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면,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구조체에서의 산소 배리어층이 EVOH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할 경우, 상기 산소 배리어층에서의 EVOH의 비율은 예를 들어, 60질량% 이상, 70질량% 이상, 80질량% 이상, 90질량% 이상, 또는 100질량%이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산소 배리어층의 주성분」이란, 산소 배리어층을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큰 질량%를 갖는 성분을 가리키며 말한다.
다층 구조체에서의 산소 배리어층이 EVOH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할 경우,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3μm 이상, 5μm 이상, 또는 10μm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100μm 이하, 또는 50μm 이하이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산소 배리어층의 평균 두께」란, 다층 구조체에 포함되는 상기 EVOH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전체 두께의 합계를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층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산소 배리어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4)나 뚜껑 부재(5)의 내구성이나 유연성, 외관 특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는 인 화합물과 다가 금속의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형성되는 배리어층을 갖는다. 이 구조체는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과 다가 금속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혼합하여 코팅제를 조제하고, 상기 코팅제를 기재 위에 도포하고, 다가 금속의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가 금속 원자를 M으로 나타내면, 다가 금속 원자 M과 인 원자 사이에는 M-O-P로 표시되는 결합이 형성된다. M-O-P 결합은 적외 흡수 스펙트럼에서의 특성 흡수대가 1080cm-1 내지 1130cm-1의 영역에 관찰할 수 있고, 상기 복합 구조체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 800cm-1 내지 1400cm-1의 영역에서의 최대 흡수 파수는 1080cm-1 내지 1130cm-1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구조체의 최대 흡수 파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복합 구조체는 우수한 산소 배리어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코팅제를 도포하는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포백, 종이류 등의 섬유 집합체; 목재;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 집합체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름 또는 시트 등의 층상이라도 좋다. 기재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복합 구조체에 양호한 기계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는 이유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원소로서는 2분자 이상의 인 화합물이 반응 가능한 다가 금속 원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원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가 금속 원소는 반다가 금속 원소라도 좋다. 다가 금속 원소의 예로서는 마그네슘, 칼슘, 아연, 알루미늄, 규소, 티타늄, 지르코늄 등의 원소를 들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원소의 화합물로서는 인 화합물과 반응하여 복합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가 금속 화합물은 용제에 용해된 용액으로서 사용해도, 다가 금속 화합물의 미립자를 용제에 분산한 분산액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예를 들어, 질산 알루미늄을 다가 금속 화합물로서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가 금속 화합물의 미립자를 물 또는 수성 용제 중에 분산시켜서, 분산액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분산액으로서는 산화 알루미늄 미립자의 분산액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다가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는 그 표면에 수산기를 갖고 있고, 수산기의 존재에 의해 상기 인 화합물과 반응하여 상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다가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는 예를 들어, 가수분해 가능한 특성기가 금속 원자에 결합한 화합물을 원료로 하고, 이것을 가수분해하고, 이 가수분해 생성물을 축합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원료의 예로서는 염화 알루미늄,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생성물을 축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졸겔법 등의 액상 합성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가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는 예를 들어, 구상, 편평상, 다면체상, 섬유상, 또는 침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 섬유상 또는 침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산소 배리어성 및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1nm 이상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 화합물로서는 다가 금속 화합물과 반응하여 상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계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인산, 폴리인산, 아인산, 포스폰산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인산으로서는 피로인산, 3인산, 또는 4개 이상의 인산이 축합한 폴리인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산계 화합물의 유도체로서는 인산염, 에스테르(예를 들어, 인산 트리메틸), 할로겐화물, 탈수물(예를 들어, 5산화 인)을 들 수 있다.
이 인 화합물은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을 용제로 하는 수용액이나, 저급 알코올 용액과 같은 친수성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코팅제는 다가 금속 화합물의 용액 또는 분산액과, 인 화합물의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코팅제에는 기타 성분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기타 성분의 예로서는 고분자 화합물, 금속 착체, 점도 화합물, 가교제, 가소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의 예로서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세트산 비닐의 부분 비누화물,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다당류(예를 들어, 전분), 아크릴계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그것들의 염,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이소 부틸렌-무수 말레산 교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고, 용제를 제거 건조해서 얻어진 도포막을, 예를 들어, 가열 처리함으로써, 다가 금속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상기 결합을 형성하여,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가열 처리에 채용되는 온도는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7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에 채용되는 온도가 낮은 경우, 충분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가열 처리에 채용되는 온도의 상한은 기재 필름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예를 들어, 240℃, 또는 220℃이다. 또한, 가열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0.1초 이상, 1초 이상, 또는 5초 이상이다. 또한, 가열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1시간 이하, 15분 이하, 또는 5분 이하이다. 한편, 이러한 가열 처리는 대기 분위기 하, 질소 분위기 하, 또는 아르곤 분위기 하 중 어느 쪽에서 행하여도 좋다.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0.05μm 이상, 또는 0.1μm 이상이다.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4μm 이하, 또는 2μm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란, 다층 구조체에 포함되는 상기 복합 구조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층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보다도 작으면, 균일한 두께의 층을 성형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웃돌면,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유연성, 연신성, 열 성형성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가공 전분)
가공 전분의 원료가 되는 전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밀, 옥수수, 타피오카, 감자, 쌀, 귀리, 칡, 및 완두 원료에 유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전분으로서는 하이 아밀로오스 전분이 바람직하고, 하이 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 및 하이아밀로오스 타피오카 전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은 상기 전분을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인 관능기로 하이드록시기가 치환되도록 화학적으로 개질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으로서는 상기 전분을 탄소수 2 내지 6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포함하도록 개질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전분을 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개질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이 상기 전분을 탄소수 2 내지 6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포함하도록 개질한 것인 경우, 상기 가공 전분의 치환기로서는 탄소수 2 내지 4의 관능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테르 치환기를 생성 가능한 하이드록시에틸기 또는 하이드록시부틸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 전분이 상기 전분을 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개질된 것인 경우, 관능기로서는 부탄산 에스테르 또는 보다 저급의 동족체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말레산, 프탈산 또는 옥테닐숙신산 무수물 등의 디카복실산 무수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공 전분으로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기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아밀로스 전분이 바람직하고, 하이드록시프로필화 하이 아밀로스 전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의 치환도는 무수 글루코오스 단위당의 치환기의 평균수로 표시되고, 통상, 최대값은 3인, 상기 가공 전분의 치환도로서는 0.05 이상 1.5 미만이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은 기타 전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기타 전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이 아밀로스 전분과 로우 아밀로스 전분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가공 전분은 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가공 전분에 대하여, 물은 가소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물의 함유율은 예를 들어, 20질량% 이하, 또는 12질량% 이하이다.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수분 함유율은 일반적으로, 사용 환경 하의 상대 습도에서의 평형 수분 함유율이다.
가공 전분은 1 또는 복수의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1 또는 복수의 수용성 폴리머의 함유율은 예를 들어, 20질량% 이하, 또는 12질량% 이하이다. 또한, 1 또는 복수의 수용성 폴리머의 함유율은 예를 들어, 1질량% 이상, 또는 4질량% 이상이다.
가공 전분은 1 또는 복수의 가소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의 예로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말티톨, 및 크실리톨, 및 이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가공 전분에서의 1 또는 복수의 가소제의 함유율은 예를 들어, 20질량% 이하, 또는 12질량% 이하이다.
가공 전분은 윤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윤활제의 예로서는 탄소 수지 12 내지 22의 지방산, 및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염, 및 이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가공 전분에서의 윤활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질량% 이하이다.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10μm 이상, 또는 100μm 이상이다.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1000μm 이하, 또는 800μm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란, 다층 구조체에 포함되는 상기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층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보다도 작으면, 균일한 두께의 층을 성형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의 1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한도를 웃돌면,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유연성, 연신성, 열 성형성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층상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중에 무기 층상 화합물이 분산되어 있으면 무기 층상 화합물에 기인하는 배리어성을 발현하는 층이다. 무기 층상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층상 화합물로서는 팽윤성 운모, 클레이 몬모릴로나이트, 스멕타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무기 층상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층상 화합물은 유기 처리된 유기 변성 무기 층상 화합물이라도 좋다.
무기 층상 화합물은 예를 들어 판상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형, 비원형, 타원형, 대략 장원형, 대략 견형(; 누에고치 모양) 등의 임의의 외관을 갖는다. 무기 층상 화합물은 전자 현미경에 의해 측정 가능한 판상 결정의 장변의 평균 길이가 소정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층상 화합물의 장변의 평균 길이는 70nm 이상이 바람직하고, 80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n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 층상 화합물은 연신시에 발생한 응력에 의해 필름면 내에 배향하는데, 무기 층상 화합물의 장변의 평균 길이가 70nm 미만이면, 배향의 정도가 불충분하고, 충분한 산소 투과 성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무기 층상 화합물의 장변의 평균 길이는 2000nm 이하라도 좋다.
무기 층상 화합물은 또한, 두께가 2μm를 초과하는 조대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층상 화합물이 2μm를 초과하는 조대물을 포함할 경우, 투명성이나 연신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무기 층상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에서의, 무기 층상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배리어층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증착층)
무기 증착층은 예를 들어 기재 위에 무기물을 증착해서 얻어지는 배리어층이다. 무기 증착층을 구성할 수 있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포백, 종이류 등의 섬유 집합체; 목재;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 집합체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가 상기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그 형태는 필름 또는 시트 등의 층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수산기 함유 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6, 및 나일론-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기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기재는 연신 필름 또는 무연신 필름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가공 적성(인쇄, 라미네이트 등)이 우수하므로,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축 연신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축 연신 필름은 동시 이축 연신법, 축차 이축 연신법, 및 튜불러 연신법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이축 연신 필름이라도 좋다.
기재에 사용될 수 있는 종이류로서는 예를 들어 크래프트지, 상질지, 모조지, 글라신지, 황산지, 합성지, 백판지, 마닐라 판지, 우유 카톤 원지, 컵 원지, 아이보리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의 형태가 층상일 경우, 그 두께는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이 양호해지는 것으로부터 1μm 내지 1,000μm가 바람직하고, 5μm 내지 50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9μm 내지 20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주석, 인듐, 니켈, 티타늄, 크롬 등의 금속; 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질화 규소 등의 금속 질화물; 산질화 규소 등의 금속 질화 산화물; 탄질화 규소 등의 금속 탄화 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산소 또는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규소, 산화 마그네슘, 및 질화 규소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무기 증착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증착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예를 들어 저항 가열 증착법, 전자 빔 증착법, 분자선 에피택시법 등), 이온 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듀얼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등) 등의 물리 기상 성장법; 열화학 기상 성장법(예를 들어, 촉매 화학 기상 성장법), 광화학 기상 성장법, 플라즈마 화학 기상 성장법(예를 들어, 용량 결합 플라즈마법, 유도 결합 플라즈마법, 표면파 플라즈마법, 전자 사이클로트론 공명 플라즈마법 등), 원자층 퇴적법, 유기 금속 기상 성장법 등의 화학 기상 성장법을 들 수 있다.
무기 증착층의 두께는 무기 증착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0.002μm 내지 0.5μm가 바람직하고, 0.005μm 내지 0.2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μm 내지 0.1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다층 구조체의 배리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양호해지는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무기 증착층의 두께가 0.002μm 미만이면,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무기 증착층의 배리어성 발현의 재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무기 증착층이 충분한 배리어성을 발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무기 증착층의 두께가 0.5μm를 초과하면, 다층 구조체를 잡아당기거나 굴곡시키거나 한 경우에 무기 증착층의 배리어성이 저하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금속박)
금속박은 전연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복층의 구조체이다. 금속박에 포함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박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포장 용기에 의하면, 산소의 침입을 방지하고, 수용된 살균 후의 내용물의 품질을 보다 한층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추가할 수 있고,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플랜지 최상부(33A, 33B)는 모두, 높이(상하 방향에서의 치수)가 평면시에서의 외경보다도 작은 볼록부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에, 높이와 평면시에서의 외경이 대략 같은 제 3 플랜지 최상부(33C)가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 3 플랜지 최상부(33C)는 평면시에서 원형상이다.
상기 실시형태의 관통 구멍(38)은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에 천공침을 찌름(즉, 관통 영역(36)을 파단함)으로써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통 구멍(38)이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을 꿰뚫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관통 구멍 형성 공정에 있어서,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을 꿰뚫음으로써, 관통 구멍(38)이 형성되면,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은 플랜지부(3)로부터 제거된다. 이 구성에서는 관통 구멍 형성 공정을 행하고나서 2차 씰 영역(32)의 씰이 행해질 때까지의 동안, 기체의 관통 구멍(38)으로의 유통이 관통 영역(36)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가열 증기(S)는 관통 구멍(38)을 원활하게 유통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플랜지 최상부(33)가 관통 영역(36)의 내측에 위치하고, 1차 씰 영역(31)이 관통 영역(36)의 외측에 위치하는 즉, 플랜지 최상부(33)와 1차 씰 영역(31)이 이간되어 있지만, 플랜지 최상부(33)가 1차 씰 영역(31)을 겸하여도 좋다. 1차 씰 영역(31)은 관통 영역(36)보다도 외측에 위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구성에서는 복수의 플랜지 최상부(33)의 적어도 하나가 관통 영역(36)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 최상부(33)는 관통 영역(36)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1차 씰 영역(31)을 겸하는 제 4 플랜지 최상부(33D)를 갖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플랜지 최상부(33)는 볼록조의 제 4 플랜지 최상부(33D)라도 좋다. 또한, 플랜지 최상부(33)에서는 제 4 플랜지 최상부(33D)의 상면과 같이 상면(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이 평탄면이라도 좋다(도 12b 참조). 플랜지 최상부(33)가 볼록조인 경우, 예를 들어,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마련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플랜지 최상부(33)는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해서 마련되는 볼록조인 것이 생각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2차 씰 영역(32)이 플랜지부(3)의 전역에 마련되어 있지만, 플랜지부(3)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플랜지 최상부(33)가 1차 씰 영역(31)을 겸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12a 및 도 12b 참조) 2차 씰 공정을 행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하부(34) 중 1차 씰 영역(31)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2차 씰 영역(32)을 겸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2차 씰 공정에서 면 씰을 행하고 있었지만,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하는 선 씰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씰을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2차 씰 영역(32)은 위쪽으로 돌출되는 볼록조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2차 씰 영역(32)의 상면은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1차 씰 영역(31)을 겸하는 제 4 플랜지 최상부(33D)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또한, 플랜지부(3)는 뚜껑 부재(5)와 1차 씰 영역(31)이 씰되었을 때에, 2차 씰 영역(32)의 상면과 뚜껑 부재(5)의 하면 사이에 틈(C)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1차 씰 공정을 행한 후로서 2차 씰 공정을 행할 때까지의 사이 즉, 식품(F)을 살균할 때에,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에 의해 지지되는 뚜껑 부재(5)와 플랜지 하부 상면(340) 사이에 틈(C)이 생기고, 제 1 플랜지 상면(230)이 이 틈(C)을 유지하여 틈(C)이 폐색되지 않은 상태를 확실히 유지함으로써, 가열 증기(S)가 유통로(R)를 통하여 수용부(2) 내에 유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3)에 플랜지 최상부(33)와 같은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지만, 아래쪽으로 패인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에 플랜지 하부(34)로서 홈부(39)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홈부(39)는 개구 테두리(21)를 따라서 둘레 방향에 연속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39)는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3)에 오목부가 마련되는 구성에서는 이 오목부에 관통 영역(36)이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3)의 홈부(39)에 관통 영역(36)이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되는 홈부(39) 중, 수용부(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변에, 관통 영역(36)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변에 마련되는 관통 영역(36)은 예를 들어, 수용부(2)를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관통 구멍 형성 과정을 행하면, 플랜지부(3)의 홈부(39)에 관통 구멍(38)이 마련된다.
또한, 이 경우, 1차 씰 영역(31)은 플랜지부(3)의 홈부(39)의 외측(플랜지 최상부(33))에,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차 씰 영역(31)은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플랜지부(3)의 홈부(39)에 관통 영역(36)이 마련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15a 및 도 15b 참조),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차 씰 영역(32)은 플랜지부(3)의 홈부(39)의 내측에, 개구 테두리(21)를 따라서 둘레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차 씰 영역(32)은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의 플랜지부(3)에서는 1차 씰 영역(31)의 내측에 관통 영역(36)이 마련된 홈부(39)가 배치되고, 또한, 홈부(39)의 내측에 2차 씰 영역(32)이 배치된다.
또한, 관통 영역(36)은 플랜지부(3)의 복수의 모서리 중 일부의 모서리에만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이 플랜지부(3)의 모서리 중 수용부(2)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한쌍만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관통 구멍(38)은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모서리 중 수용부(2)를 사이에 두는 위치의 한쌍의 모서리에만 마련된다.
또한, 플랜지 최상부(33)는 반구형상과 같은 마운드 형상의 볼록부의 제 5 플랜지 최상부(33E)라도 좋다. 또한, 플랜지 최상부(33)는 원뿔형상, 원뿔대형상, 원기둥형상, 다각기둥형상, 다각뿔형상 등 기타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수용부(2)의 바닥판(22)은 대략 직사각형판상이었지만, 대략 정사각형판상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22)은 사각형판상 이외에도, 기타 다각형판상이나 원판상 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플랜지부(3)에 관통 영역(36)이 마련되고, 관통 구멍 형성 공정을 행함으로써 플랜지부(3)에 관통 구멍(38)이 마련되어 있지만, 플랜지부(3)에 관통 영역(36)이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도 18 내지 도 21의 구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는 뚜껑 부재(5)와 1차 씰 공정에서 씰되는 1차 씰 영역(31)을 갖고, 또한, 뚜껑 부재(5)와 1차 씰 영역(31)이 씰되었을 때에, 뚜껑 부재(5)와의 사이에 외부와 수용부(2) 내와의 사이에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유통로(R)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플랜지 최상부(33)가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에 틈을 둔 상태에서,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 장척(長尺) 형상으로 뻗는 볼록조이다. 또한, 플랜지 최상부(33)가 1차 씰 영역(31)을 겸한다. 또한, 도 19a 및 도 19b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하부(34) 중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해서 마련된 부위가 2차 씰 영역(32)을 겸한다.
이 경우, 1차 씰 영역(31)의 상면(예를 들어,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은 플랜지 상면(30)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고, 2차 씰 영역(32)의 상면(예를 들어, 플랜지 하부 상면(340) 중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해서 마련된 부위)은 1차 씰 영역(31)의 상면(예를 들어,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또한, 플랜지부(3)는 뚜껑 부재(5)와 1차 씰 영역(31)이 씰되었을 때에, 2차 씰 영역(32)의 상면(예를 들어, 플랜지 하부 상면(340))과 뚜껑 부재(5)의 하면과의 사이에 틈(C)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틈(C)이 유통로(R)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1차 씰 공정이 선 씰에 의해 행해지고 있었지만, 적어도 1점을 씰하는 스팟 씰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어,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에는 제 6 플랜지 최상부(33F)로서 볼록부가 복수 마련되고, 제 6 플랜지 최상부(33F)가 1차 씰 영역(31)을 겸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플랜지 최상부(33F)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뿔대형상이다. 또한, 플랜지 최상부(33F)는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와, 플랜지부(3)의 각 변의 중앙에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1차 씰 영역(31)이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틈을 두어 마련되는 경우, 1차 씰 공정을 행한 후에 가열 증기(S)가 이 둘레 방향에서의 1차 씰 영역(31)끼리의 틈을 통하여, 수용부(2) 내에 유통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가열 증기(S)를 수용부(2) 내에 유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에 플랜지 하부(34)로서 오목부가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플랜지 하부(34)는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틈을 두어 배치되고, 예를 들어,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 최상부(33)는 플랜지부(3)의 각 변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플랜지 최상부(33)는 1차 씰 영역(31)을 겸하고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1차 씰 공정을 행한 후, 뚜껑 부재(5)의 하면과 플랜지 하부 상면(340)의 사이에 틈(C)이 생기고, 이 틈(C)이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열 증기(S)가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로부터 수용부(2) 내에 유통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플랜지부(3)에 형성되는 각 관통 구멍(38)의 형상이나 크기는 같았지만, 달라도 좋다. 예를 들어,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 중 이웃하는 1쌍의 모서리부에 관통 구멍(38A)이 마련되고,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 중 상기 이웃하는 1쌍의 모서리부 이외의 1쌍의 모서리부에 관통 구멍(38A)과 다른 크기의 관통 구멍(38B)이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관통 구멍(38A)의 직경은 관통 구멍(38B)의 직경보다도 크다.
또한, 플랜지 최상부(33)는 평면시에서 U자형상이나 원호상의 볼록조라도 좋다. 예를 들어, 관통 구멍(38A)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7 플랜지 최상부(33G)는 평면시에서 U자형상의 볼록조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 7 플랜지 최상부(33G)는 관통 구멍(38A)의 외주 중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38A)의 내측에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제 5 플랜지 최상부(33E)가 개구 테두리(21)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포장 용기(1)에서는 1차 씰 영역(31)은 플랜지부(3)의 외주연이다.
이와 같이 1차 씰 영역(31)의 내측에서, 관통 구멍(38A)의 외측 및 내측의 양쪽 위치에, 플랜지 최상부(3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관통 구멍(38A)의 외측 및 내측에 있어서, 플랜지 최상부 상면(330)이 뚜껑 부재(5)를 지지하므로, 관통 구멍(38A)과 뚜껑 부재(5) 사이에 틈(C)이 생긴 채로 유지되고, 따라서, 관통 구멍(38A)이 폐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3)에 오목부로서 홈부(39)가 마련되어 있었지만, 스폿 형상의 오목부(39)가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목부(39)는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에 마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9)의 바닥에 관통 구멍(38B)이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2차 씰 공정을 행한 후에, 플랜지부(3) 중 관통 구멍(38)을 포함하는 일부를 제거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술한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에 관통 구멍(38)이 마련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22a 및 도 22b 참조),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최상부(33E)와 관통 구멍(38) 사이에 2차 씰 영역(32)을 마련하여, 2차 씰 공정을 행한 후에, 관통 구멍(38)과 2차 씰 영역(32) 사이의 절단 선(L)으로, 플랜지부(3)를 절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차 씰 영역(31)과 2차 씰 영역(32) 사이에, 관통 구멍(38)이 위치하는 구성에서는 플랜지부(3) 중 관통 구멍(38)의 주위에 물방울이 모이기 쉽지만, 플랜지부(3) 중 관통 구멍(38)을 포함하는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이러한 물방울이 포장 용기(1)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23에서는 절단선(L)이 플랜지부(3)의 4개의 모서리부를 절취하도록 마련되어 있지만, 관통 구멍(38)과 2차 씰 영역(32) 사이에서 뻗고, 또한,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에서 전체 둘레에 연속해서 절취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즉, 절단선(L)이 플랜지부(3)의 관통 구멍(38)을 포함하는 외주부를 절취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관통 영역(36)은 평면시에서 원형상이었지만, 타원형상 등의 장척형상 등이라도 좋고, 이 경우, 관통 구멍(38)은 슬릿형상 등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관통 구멍(38)은 십자모양의 홈부(360)를 마련한 관통 영역(36)에 금(380)을 형성하거나, 관통 영역을 꿰뚫거나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24a 및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에, 평면시에서 U자 형상의 금(380)을 형성함으로써, 각 관통 구멍(38)이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플랜지부(3)는 금(380)을 경계로 하여 플랜지부(3)의 일부(예를 들어, 관통 영역(36))가 위쪽으로 향해서 변형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8 플랜지 최상부(33H)이며, 상면이 상기 플랜지부(3)의 상면(30)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제 8 플랜지 최상부(33H)를 갖는다. 또한 제 8 플랜지 최상부(33H)에 의해 뚜껑 부재(5)와 플랜지부(3) 사이에 유통로(R)가 형성되는 구체적으로는 관통 영역(36)에, U자 형상의 금(380)을 형성하고, 금(380)의 기단부끼리를 잇는 직선(381)을 경계로 하여, U자 형상의 금(380)의 내측 부분이 플랜지부(3)의 다른 영역보다도 위쪽으로 구부려짐으로써, 관통 구멍(38)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8 플랜지 최상부(33H)가 형성된다. 또한, 관통 구멍(38)의 근방에, 제 2 플랜지 최상부(33B)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도 25a 및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에, 한개의 선상의 금(380)을 형성함으로써, 각 관통 구멍(38)이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관통 영역(36)이 금(380)의 양 단으로부터 뻗는 한쌍의 직선(381)을 경계로 하여,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 이외의 영역보다도 위쪽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관통 구멍(38)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8 플랜지 최상부(33H)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 영역(36)이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 이외의 영역보다도 위쪽으로 변형됨으로써, 관통 구멍(38)이 형성되는 구성에서는 플랜지부(3)의 아래쪽으로부터 가열 증기(S)가 수용부(2)에 유통할 때에, 가열 증기(S)에 의해 관통 영역(36)이 들어올려진 채로 유지되기 쉽기 때문에, 관통 구멍(38)을 개방한 상태에서 유지하기 쉽다.
또한, 도 26a 및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이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 이외의 영역보다도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관통 구멍(38)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8 플랜지 최상부(33H)가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관통 구멍(38)의 근방에 제 3 플랜지 최상부(33C)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도 27a 및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이 위쪽으로 변형시킬 때에는 플랜지부(3)와 관통 영역(36)의 경계(382)에 상부로부터 지그를 사용하여 구덩이를 형성하고, 상기 구덩이를 기점으로 하여 관통 영역(36)을 위쪽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플랜지부(3)의 경계(382)가 구부러지기 쉬워지고, 관통 영역(36)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유지되기 쉽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3)의 일부가 금(380)을 경계로 하여 변형됨으로써 제 8 플랜지 최상부(33H)가 형성되고, 제 8 플랜지 최상부(33H)에 의해 유통로(R)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열 증기(S)가 이 유통로(R)을 통하여 수용부(2) 내에 유통 가능하다.
또한,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었을 때에 제 8 플랜지 최상부(33H)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랜지부(3)에 플랜지 최상부(33)로서 제 8 플랜지 최상부(33H)만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3)에 제 8 플랜지 최상부(33H) 외에, 별도 플랜지 최상부(33)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플랜지부(3)에 금(380)을 형성하여 관통 구멍(38)을 형성하는 것 만으로, 가열 증기(S)가 유통되는 유통로(R)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었을 때에, 관통 영역(36)이 제 8 플랜지 최상부(33H)가 되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공정에 의해 관통 구멍(38)을 형성하면 좋다. 우선,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에 금(380)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 결정을 행하고,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용의 지그에 의해 금(380)을 형성한다. 또한, 도 2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의 경계(382)에 구덩이를 형성하는 지그를 박아넣고, 그 충격으로 도 2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을 위쪽으로 변형시켜서 관통 구멍(38)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0a 및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은 위쪽으로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이고, 볼록부의 상단이 제 8 플랜지 최상부(33H)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관통 영역(36)은 예를 들어, 위쪽으로 향해 팽출한 만곡면을 가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관통 영역(36)에서는 만곡면의 상단이 제 8 플랜지 최상부(33H)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영역(36)은 밥공기 모양이다. 이 관통 영역(36)의 상면의 전역은 만곡면이다. 또한, 관통 영역(36)의 외주연은 원호상의 부위와, 직선상의 부위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영역(36)의 외주연에서는 원호상의 부위는 직선형상의 부위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관통 영역(36)의 외주연의 일부(예를 들어, 원호상의 부위)에 금(380)을 형성하여, 관통 영역(36)을 위쪽으로 향해서 변형함으로써,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이 위쪽으로 향해서 볼록형상의 만곡면이 된다.
또한, 관통 영역(36)이 위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인 경우, 볼록부의 상면의 전역이 만곡되어 있지 않은 경사면이라도 좋고, 볼록부의 상면의 일부만이 만곡면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도 31a 및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은 상면의 상부가 위쪽으로 향해서 팽출된 만곡면인 볼록부이고, 만목면의 상단이 제 8 플랜지 최상부(33H)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관통 영역(36)의 상면의 하부는 경사면이다. 관통 영역(36)의 외주연은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직사각형상이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관통 영역(36)의 외주연의 일부(예를 들어, 외주연 중 외측에 위치하는 한 변을 제외한 부위, 즉, 직사각형상의 외주연 중 3변 및 한쌍의 모서리부)에 금(380)을 형성하여, 관통 영역(36)을 위쪽으로 향해서 변형함으로써, 도 3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영역(36)이 위쪽으로 향해서 팽출한 만곡면이다.
이와 같이 위쪽으로 향해서 변형되는 플랜지부(3)의 일부(예를 들어, 관통 영역(36))이 위쪽으로 향해서 팽출한 만곡면인 구성에서는 1차 씰 영역(31)과 뚜껑 부재(5)가 씰되면, 플랜지부(3)에 금(380)을 형성함으로써 위쪽으로 향해서 구부러진 볼록형상의 만곡면이 뚜껑 부재(5)를 손상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4 내지 도 31의 포장 용기(1)에서, 관통 영역(36)은 금(380)을 경계로 하여 플랜지부(3)의 다른 영역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써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플랜지부(3) 중 관통 영역(36) 이외의 부위는 플랜지 최상부(33)를 구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플랜지부(3)의 모서리부에 관통 구멍(38)이 배치되고 있지만,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모서리부 이외의 영역에 관통 구멍(38)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는 하나의 수용부(2)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도 32b 내지 도 3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2)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관통 구멍(38)은 이웃하는 수용부(2)의 사이(수용부(2)에 끼이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플랜지부(3)에 관통 영역(36)이 마련되어 있지만, 관통 영역(36) 대신에, 플랜지부(3)에 미리 관통 구멍(38)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포장 식품(6)의 제조 방법은 관통 구멍 형성 과정을 포함하지 않고, 식품 수용 공정, 1차 씰 공정, 살균 공정, 및 2차 씰 공정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식품 수용 공정, 관통 구멍 형성 공정, 1차 씰 공정, 살균 공정, 및, 2차 씰 공정이 차례로 행해지고 있지만, 관통구명 형성 공정을 행한 후에 식품 수용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포장 용기(1)는 플랜지부(3)의 관통 영역(36)에 관통 구멍(38)을 마련하여 수용부(2)에 식품(F)을 수용한 후에, 뚜껑 부재(5)와 플랜지부(3)의 1차 씰 영역(31)을 씰하고, 또한, 수용부(2) 내에 유통로(R)를 통하여 가열 증기(S)를 유통시켜서 식품(F)을 살균한 후, 뚜껑 부재(5)와 플랜지부(3)의 2차 씰 영역(32)을 씰하도록 하는 포장 식품(6)의 포장 용기(1)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의 플랜지부(3)는 개구 테두리(21)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 둘레 방향에서 도중에 끊어진 상태에서(간격을 두어)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포장 용기(1)에서는 수용부(2)와 플랜지부(3)는 1부재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4)는 다른 부재로서 수용부(2) 및 플랜지부(3)를 형성하고, 수용부(2)나 플랜지부(3)를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수용부(2)와 플랜지부(3)가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살균 대상물로서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내용물은 예를 들어, 보존 또는 수송에 있어서, 세균, 먼지 등의 오염물이나 산소와의 접촉을 원하지 않는 물품이며, 식품, 화장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의료용 기기, 위생 용품, 이화학 용품, 바이오 관련 용품 등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식품이 바람직하고, 특히 고온 고압 하에서의 증기 살균에 있어서 외관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식품(예를 들어, 수용시에 고형인 식품)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살균용 가스로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증기를 이용했지만, 내용물에 따라서 오존 가스, 산화 에틸렌, 포름알데히드, 아세트 산, 산화 에틸렌, 이산화 염소 등의 다른 살균 작용이 있는 가스를 사용해도 좋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살균 처리할 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살균된 내용물을 장기에 걸쳐 품질 유지 가능한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살균용 가스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하고, 그 후 상기 내용물을 밀봉하여 유통시키기 위한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로서, 위쪽에 개구를 갖고 또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개구를 덮는 덮는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에서 1차 씰되는 1차 씰 영역과, 상기 뚜껑 부재와 1차 씰 후의 2차 씰 공정에서 2차 씰되는 2차 씰 영역과,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최상부와,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 최상부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하부와, 상기 1차 씰 영역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 하부 사이에 외부와 상기 수용부 안의 사이에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2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포장 용기는 예를 들어, 수용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플랜지부의 관통 영역에 관통 구멍을 마련한 후, 혹은 플랜지부의 관통 영역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여 수용부에 식품을 수용한 후에, 뚜껑 부재와 플랜지부의 1차 씰 영역을 씰하고, 또한, 수용부 내에 유통로를 통하여 살균용 가스를 유통시켜서 내용물을 살균한 후, 뚜껑 부재와 플랜지부의 2차 씰 영역을 씰할 때에 사용하는 용기로서 적합하다.
이 포장 용기에서는 플랜지부의 1차 씰 영역보다도 내측에 관통 구멍이 마련되면, 이 관통 구멍이 유통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1차 씰 영역과 뚜껑 부재가 씰되면, 플랜지부의 플랜지 하부와 뚜껑 부재 사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이 유통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내용물을 살균할 때에, 살균용 가스가 플랜지부의 아래쪽으로부터 관통 구멍 및 틈에 의해 구성되는 유통로를 통하여 수용부 내에 유통함으로써, 수용부 내의 내용물의 살균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 포장 용기에서는 플랜지 하부의 상면보다도 플랜지 최상부의 상면이 위쪽에 위치하므로, 내용물을 살균할 때에, 플랜지 최상부가 뚜껑 부재를 지지하기 때문에,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유통로를 구성하는 틈이 폐색되지 않은 상태를 확실히 유지한 상태에서, 살균용 가스를 수용부 내에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포장 용기에서는 유통로 위에 뚜껑 부재가 위치하는 즉, 유통로가 뚜껑 부재 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살균용 가스에 의한 살균 후에도, 낙하균이 유통로를 통해서 용기 내에 혼입되기 어렵다. 또한, 2차 씰 영역과 뚜껑 부재가 씰됨으로써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뚜껑 부재와의 씰에 의해, 상기 포장 용기가 내용물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관통 영역의 일부에 금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통 영역에 관통 구멍을 형성했을 때에, 플랜지부의 일부가 파단되어 플랜지부의 파편이 생기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수용부 내에 플랜지부의 파편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 영역은 위쪽으로 향해서 팽출한 만곡면을 갖고 있고, 상기 만곡면의 상단이 상기 플랜지 최상부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 씰 영역과 뚜껑 부재가 씰되면, 상기 만곡면이 뚜껑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지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관통 영역은 아래쪽으로 패인 오목부이고, 상기 금이 상기 오목부 내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통 구멍을 형성할 때에, 아래쪽으로 패인 관통 영역을 위쪽에서 천공함으로써, 관통 영역의 천공된 부위가 플랜지부의 다른 영역보다도 아래쪽으로 향한 채로 유지되기 쉽고, 따라서, 이 부위에 의해 관통 구멍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 영역은 복수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는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를 사이에 두는 대향 위치에 관통 영역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위치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면, 관통 구멍을 통해서 수용부의 양측에서 기체를 유통시킴으로써, 식품의 가열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포장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살균용 가스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하고, 그 후 상기 내용물을 밀봉하여 유통시키기 위한 포장 용기로서, 위쪽에 개구를 갖고 또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개구를 덮는 덮개 부재와 1차 씰 공정에서 1차 씰되는 1차 씰 영역과, 상기 뚜껑 부재와 1차 씰 후의 2차 씰 공정에서 씰되는 2차 씰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뚜껑 부재와의 사이에 외부와 상기 수용부 안의 사이에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2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포장 용기는 수용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뚜껑 부재와 플랜지부의 1차 씰 영역을 씰하고, 또한, 수용부 내에 유통로를 통하여 살균용 가스를 유통시켜서 내용물을 살균한 후, 뚜껑 부재와 플랜지부의 2차 씰 영역을 씰하도록 하는 용기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포장 용기에서는 1차 씰 영역과 뚜껑 부재가 씰되면, 내용물을 살균할 때에, 살균용 가스가 플랜지부의 아래쪽에서 유통로를 통해서 수용부 안에 유통함으로써, 수용부 안의 내용물의 살균이 가능하다.
또한, 이 포장 용기에서는 유통로 위에 뚜껑 부재가 위치하는 즉, 유통로가 뚜껑 부재 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살균용 가스에 의한 살균 후에도 낙하균이 유통로를 통하여 용기 내에 혼입되기 어렵다. 또한, 2차 씰 영역과 뚜껑 부재가 씰됨으로써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뚜껑 부재와의 씰에 의해, 상기 포장 용기가 내용물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의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1차 씰 영역보다도 내측에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한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유통로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 씰 공정 후의 상태에서, 살균용 가스가 플랜지부의 아래쪽으로부터 유통로의 일부가 되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수용부 안까지 유통함으로써, 수용부 안의 식품의 살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에 금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통 구멍을 마련할 때에 플랜지부의 일부가 파단하지 않고 플랜지부의 파편이 생기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수용부 안에 플랜지부의 파편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금을 경계로 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위쪽으로 향해서 변형됨으로써 형성되는 플랜지 최상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유통로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에 금을 형성함으로써 관통 구멍과 플랜지 최상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위쪽으로 향해 변형되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위쪽으로 향해서 팽출한 만곡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 씰 영역과 뚜껑 부재가 씰되면, 상기 만곡면이 뚜껑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지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플랜지부는 상면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한 플랜지 최상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 씰 공정을 행하고나서 2차 씰 공정이 행해질 때까지의 사이 즉, 내용물을 살균할 때에,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뚜껑 부재가 지지되기 때문에, 형성된 유통로를 통해서 수용부 안에 보다 확실하게 살균용 가스를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 구멍은 복수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는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를 사이에 두어 배치된 관통 구멍을 통하여, 수용부의 양측으로부터 기체를 유통시킴으로써, 식품의 가열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1차 씰 영역의 상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2차 씰 영역의 상면은 상기 1차 씰 영역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2차 씰 영역의 상면과 상기 뚜껑 부재의 하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틈이 상기 유통로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 씰 공정을 행하고나서 2차 씰 공정이 행해질 때까지의 사이 즉, 식품을 살균할 때에, 2차 씰 영역의 상면보다도 1차 씰 영역의 상면이 위쪽에 위치하므로, 1차 씰 영역이 유통로의 일부가 되는 상기 틈을 유지하기 때문에, 1차 씰 영역은 틈이 폐색되지 않은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여, 관통 구멍을 통해서 수용부 안에 기체를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용기에서는 상기 수용부는 내용물이 올려 놓여지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은 요철 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에 내용물을 배치하면, 상기 내용물의 아래쪽에 틈이 생기기 때문에, 수용부 내에 살균용 가스를 유통시키면, 내용물의 위쪽에 더하여 아래쪽에도 살균용 가스가 유통하게 된다. 따라서, 살균용 가스에 의해 내용물을 위쪽 및 아래쪽의 양쪽에서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추가로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뚜껑 부재는 적어도 1층의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나 뚜껑 부재가 가스 배리어층을 구비함으로써, 포장 용기 안의 멸균 상태를 보다 길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살균 처리할 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살균된 내용물을 장기에 걸쳐 품질 유지 가능한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포장 용기
2 수용부
3 플랜지부
4 용기 본체
5 뚜껑 부재
6 포장 식품
20 개구
21 개구 테두리
22 바닥판
23 측벽
30 플랜지 상면
31 1차 씰 영역
32 2차 씰 영역
33 플랜지 최상부
33A 제 1 플랜지 최상부
33B 제 2 플랜지 최상부
33C 제 3 플랜지 최상부
33D 제 4 플랜지 최상부
33E 제 5 플랜지 최상부
33F 제 6 플랜지 최상부
33G 제 7 플랜지 최상부
33H 제 8 플랜지 최상부
34 플랜지 하부
35 플랜지 하면
36 관통 영역
38, 38A, 38B 관통 구멍
39 홈부(오목부)
220 바닥판 상면
221 바닥판 하면
222 바닥판 돌기부
223 바닥판 경사면
230 제 1 플랜지 상면
330 플랜지 최상부 상면
340 플랜지 하부 상면
360 홈부
361 상면
362 하면
363 외주연
380 금
381 직선
382 경계
C 틈
F 식품
L 절단선
R 유통로
S 가열 증기

Claims (15)

  1.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살균용 가스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하고, 그 후 상기 내용물을 밀봉하여 유통시키기 위한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로서,
    위쪽에 개구를 갖고 또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개구를 덮는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에서 1차 씰되는 1차 씰 영역과,
    상기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 후의 2차 씰 공정에서 2차 씰됨으로써 내용물이 완전히 밀봉되는 2차 씰 영역과,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최상부와,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 최상부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하부와,
    상기 1차 씰 영역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적어도 1개의 관통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 하부 사이에 외부와 상기 수용부 안의 사이에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2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관통 영역의 일부에 금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 포장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은 위쪽으로 향해서 팽출한 만곡면을 갖고 있고,
    상기 만곡면의 상단이 상기 플랜지 최상부를 구성하고 있는 포장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은 아래쪽으로 패인 오목부이고, 상기 금이 상기 오목부 안에 형성되는 포장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 영역은 복수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는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포장 용기.
  6.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살균용 가스에 노출시킴으로써 살균하고, 그 후 상기 내용물을 밀봉하여 유통시키기 위한 포장 용기로서,
    위쪽에 개구를 갖고 또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개구를 덮는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에서 1차 씰되는 1차 씰 영역과,
    상기 뚜껑 부재와 1차 씰 공정 후의 2차 씰 공정에서 2차 씰되는 2차 씰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뚜껑 부재와의 사이에 외부와 상기 수용부 안의 사이에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2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유통로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1차 씰 영역보다도 내측에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한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유통로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에 금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금을 경계로 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위쪽으로 향해서 변형됨으로써 형성되는 플랜지 최상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유통로가 형성되는 포장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쪽으로 향해 변형되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위쪽으로 향해 팽출한 만곡면을 갖는 포장 용기.
  11.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플랜지 최상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 최상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유통로가 형성되는 포장 용기.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 구멍은 복수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는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포장 용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씰 영역의 상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2차 씰 영역의 상면은 상기 1차 씰 영역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뚜껑 부재와 상기 1차 씰 영역이 씰되었을 때에, 상기 2차 씰 영역의 상면과 상기 뚜껑 부재의 하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틈이 상기 유통로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용물이 올려 놓여지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은 요철 형상을 갖는 포장 용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는 추가로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뚜껑 부재는 적어도 1층의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
KR1020227019670A 2019-12-11 2020-12-11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 KR202200987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3878 2019-12-11
JPJP-P-2019-223878 2019-12-11
PCT/JP2020/046262 WO2021117865A1 (ja) 2019-12-11 2020-12-11 殺菌処理用の包装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779A true KR20220098779A (ko) 2022-07-12

Family

ID=7633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670A KR20220098779A (ko) 2019-12-11 2020-12-11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074623A4 (ko)
JP (1) JP7372985B2 (ko)
KR (1) KR20220098779A (ko)
CN (1) CN114929593A (ko)
TW (1) TW202130282A (ko)
WO (1) WO20211178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4822A (ja) * 1983-12-22 1985-07-18 株式会社新日本食研 包装食品の加熱殺菌方法
EP0192348A3 (en) * 1985-02-12 1988-07-20 Fgl Project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lves
FR2698082B1 (fr) * 1992-11-13 1994-12-23 Mat Metallique Elec Const Récipient étanche au gaz.
JP2683227B2 (ja) 1995-06-26 1997-11-26 株式会社日阪製作所 食材の殺菌方法
KR20030041820A (ko) * 2001-11-20 2003-05-27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및 포장용기
JP4277475B2 (ja) * 2002-03-04 2009-06-10 凸版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
NZ520678A (en) * 2002-08-09 2004-12-24 Vertex Pacific Ltd Gas control packaging
JP4876679B2 (ja) * 2005-04-05 2012-02-15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7695B2 (ja) * 2005-07-25 2011-01-05 越後製菓株式会社 容器封入食品の製造方法
JP5014079B2 (ja) 2007-11-16 2012-08-29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
FR2990196B1 (fr) * 2012-05-03 2015-05-01 Technitrans Barquette de reception, de conditionnement et de conservation de produits alimentaires
KR101391841B1 (ko) * 2013-11-19 2014-05-07 (주)태방파텍 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1536268B1 (ko) * 2015-01-22 2015-07-13 정희국 음식물 조리용 용기의 함몰 방지구조
JP6203340B1 (ja) * 2016-07-26 2017-09-27 フジフーズ株式会社 食品包装容器の二重シール密封方法および食品包装容器
KR102012769B1 (ko) * 2017-11-13 2019-08-21 (주)태방파텍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9937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4623A4 (en) 2024-01-17
JPWO2021117865A1 (ko) 2021-06-17
JP7372985B2 (ja) 2023-11-01
WO2021117865A1 (ja) 2021-06-17
CN114929593A (zh) 2022-08-19
TW202130282A (zh) 2021-08-16
EP4074623A1 (en)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0596B2 (en) Oxygen-absorbing resin composition
KR100530684B1 (ko)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다층 구조체
EP0515795B1 (en) Multilayered container and package utilizing the same
KR100460560B1 (ko) 장시간 가공성이 개선된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수지조성물 및 이의 성형물
KR100489724B1 (ko) 층간 접착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로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JP2001164059A (ja) ロングラン性に優れた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からなる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構造体
JPWO2018168903A1 (ja)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US20160297182A1 (en) Multilayer container
KR20070089090A (ko) 내방사선성을 갖는 고투명 폴리프로필렌 시트 형성용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내방사선성 및 전자선멸균성이 우수한 포장체
KR20040037083A (ko) 개방하기 용이한 용기용 포장재
JP4722270B2 (ja) 低臭性および層間接着性に優れた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からなる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構造体
KR20220098779A (ko) 살균 처리용의 포장 용기
CN1318096C (zh) 包装产品的热处理方法及经热处理的包装产品
JP2001164070A (ja) 低臭性に優れた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からなる樹脂組成物
JP5615623B2 (ja) ヒートシール用フィルム及び包装袋
JP4647065B2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からなる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構造体
JP5307960B2 (ja) ロングラン性の改善された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物
KR102614199B1 (ko)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
TWI844629B (zh) 包裝容器及使用其之蒸氣殺菌製品
JP5093959B2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樹脂組成物
WO2004078606A1 (ja) 多層容器
WO2024085228A1 (ja) 多層フィルム、包装材及び反応装置
CN206678510U (zh) 双重容器
KR20230042733A (ko) Ptp 용 덮개재 및 ptp 포장체
JP2021160155A (ja) 生分解性ラミネート紙及び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