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199B1 -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199B1
KR102614199B1 KR1020217031741A KR20217031741A KR102614199B1 KR 102614199 B1 KR102614199 B1 KR 102614199B1 KR 1020217031741 A KR1020217031741 A KR 1020217031741A KR 20217031741 A KR20217031741 A KR 20217031741A KR 102614199 B1 KR102614199 B1 KR 10261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yer structure
container body
oxygen barri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094A (ko
Inventor
야스히로 노나카
리나 호시카
다츠야 오시타
류이치 츠츠미
고타 우카이
가즈노리 미후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21013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steam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ke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Cuttability
    • B32B2307/581Resistant to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65D81/20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ag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개구부, 및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내표면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A)와, 당해 용기 본체 (A)의 당해 개구부를 덮는 뚜껑재 (B)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A)는, 내표면 위에, 내용물과 내표면 사이를 증기가 유통 가능한 증기 유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1층의 산소 배리어층 (a)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A')로 구성되어 있고, 뚜껑재 (B)는, 적어도 2개의 천공을 갖는 층 구조체 (b-1)과, 당해 층 구조체 (b-1)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당해 천공을 봉쇄하는 층 구조체 (b-2)를 구비하고, 당해 층 구조체 (b-1) 및 당해 층 구조체 (b-2) 중 적어도 하나가 산소 배리어층 (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
본 발명은,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찬 등의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배(日配; daily-delivered) 반찬 또는 일배 식품이라 칭해지는 식품(이하, 이것들을 총칭하여 단순히 일배 식품이라고도 함)은, 식품 공장 등에서 조리·가공된 식품이 성형 용기 내에 수용되고, 당해 용기에 탑 시트나 커버링 뚜껑을 배치한 상태에서 유통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식품을 포장 용기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살균 솥에 수용하고, 당해 살균 솥을 진공으로 한 후에 고온 고압의 증기를 용기 본체 내에 도입하여 식품을 고온 고압의 증기로 살균하고, 당해 살균 솥을 감압하여 식품을 냉각하고, 당해 살균 솥에서 꺼낸 포장 용기에 국물 또는 물을 충전한 후에 개구부를 뚜껑체로 밀봉하여 레토르트 살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포장 용기에 수용한 식품을 리테이너에 옮기지 않고, 그대로 살균하고, 살균 후에는 포장 용기의 개구부에 뚜껑을 덮는 것 만으로 그대로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009937호
하지만, 이러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사용한 식품의 살균에는 몇가지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하나의 예로서는, 포장 용기 내에 수용한 식품의 살균이 불균일해지고, 결과적으로 먹는 맛의 열화를 초래하여, 소비 기한의 실질적인 연장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포장 용기 내에 도입된 증기가 수용된 식품의 주위에 균등하게 퍼지지 않음으로써, 살균 처리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식품이 반찬인 경우, 그 외형이 항상 일정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점에서, 식품의 종류나 외형의 차이에 의하지 않고, 보다 균일한 살균을 가능하게 하는 포장 용기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상기 문제 외의 예로서는,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 자체가 아직 상기 용도에 충분히 적합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점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가, 용기 내부를 외기로부터 적절히 차단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 않음으로써, 증기 살균의 효과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고온 고압의 증기 살균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되는 포장 용기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의 해결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한 균일한 살균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내용물의 살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1] 개구부, 및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내표면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A)와, 당해 용기 본체 (A)의 당해 개구부를 덮는 뚜껑재 (B)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로서, 당해 용기 본체 (A)가, 당해 내표면 위에, 당해 내용물과 당해 내표면 사이를 증기가 유통 가능한 증기 유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1층의 산소 배리어층 (a)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A')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뚜껑재 (B)가, 적어도 2개의 천공을 갖는 층 구조체 (b-1)와, 당해 층 구조체 (b-1)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당해 천공을 봉쇄하는 층 구조체 (b-2)를 구비하고, 당해 층 구조체 (b-1) 및 당해 층 구조체 (b-2) 중 적어도 하나가 산소 배리어층 (b)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2] 상기 뚜껑재 (B)에서의 상기 산소 배리어층 (b)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1]의 포장 용기;
[3] 상기 뚜껑재 (B)의 내측을 구성하는 면에서의, JIS R325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물 접촉각이 70°이하인, [1] 또는 [2]의 포장 용기;
[4] 상기 뚜껑재 (B)에서의 상기 층 구조체 (b-1)의 상기 천공이 1mm 이상 20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포장 용기;
[5] 상기 뚜껑재 (B)가, 상기 층 구조체 (b-1)과 상기 층 구조체 (b-2) 사이에 점착층을 구비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포장 용기;
[6] 상기 용기 본체 (A)에서의 상기 산소 배리어층 (a)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포장 용기;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용기 본체 (A)로서, 개구부, 및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내표면을 포함하고, 당해 내표면 위에, 당해 내용물과 당해 내표면 사이를 증기가 유통 가능한 증기 유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1층의 산소 배리어층 (a)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A')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내표면이, 용기 바닥부 (a1) 및 당해 용기 바닥부 (a1)의 주변으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용기 측벽부 (a2)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증기 유통부가 당해 개구부와 연통하는, 용기 본체 (A);
[8]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다층 구조체 (A')로서, 산소 배리어층 (a)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및 가공 전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A');
[9]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층 구조체 (b-1)에 사용되는 층 구조체 (B')로서, 적어도 1층의 산소 배리어층 (b)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180℃ 이하의 융점을 갖는 실런트층을 구비하는, 층 구조체 (B');
[10] 20℃ 및 65%RH에서의 산소 배리어성이 10cc/(㎡·day·atm) 이하인 [9]의 층 구조체 (B');
[11] 뚫림 강도(puncture strength)가 10N 내지 40N인, [9] 또는 [10]의 층 구조체 (B');
[12] 상기 산소 배리어층 (b)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층 구조체 (B');
[13]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층 구조체 (B')에 적어도 2개의 천공을 구비하는, 층 구조체 (b-1);
[14] 상기 산소 배리어층 (b)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13]의 층 구조체 (b-1);
[15]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장 용기와 증기 살균된 내용물을 구비하는, 증기 살균 제품으로서, 당해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 (A)의 내표면에 당해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고, 당해 용기 본체 (A)와 당해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뚜껑재 (B)가 밀폐되어 있는, 증기 살균 제품;
[16] 상기 용기 본체 (A)와 상기 뚜껑재 (B)로 포위되는 영역의 산소 농도가 5체적% 이하인, [15]의 증기 살균 제품;
[17] 상기 용기 본체 (A)와 상기 뚜껑재 (B)로 포위되는 영역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0.5체적% 이상 40체적% 이하인, [15] 또는 [16]의 증기 살균 제품;
[18] 상기 증기 살균된 내용물이 식품인,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증기 살균 제품;
[19] 상기 내용물이 식품이고, 그 내용물을 증기 살균하기 위해 사용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포장 용기;
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된 내용물에 대한 살균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내용물의 살균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내용물의 변질이나 부패를 한층 지연시켜, 소비자에 대하여 내용물의 품질에 대한 안심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a)는 당해 포장 용기의 측면도이고, 그리고 (b)는 당해 포장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의 단면도로서, (a)는 당해 포장 용기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고, (b)는 당해 포장 용기의 세로 방향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 (A)의 상면도로서, (a)는 도 2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 (A)의 상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를 구성할 수 있는 용기 본체 (A)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당해 용기 본체 (A)의 상면도이고, (c)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를 구성할 수 있는 용기 본체 (A)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당해 용기 본체 (A)의 상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의 제조 방법에서 채용될 수 있는 용기 본체 (A) 내의 내용물 F를 감압 환경 하에 노출시킨 후에 살균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a)는 감압 환경 하에서 층 구조체 (b-1)의 천공(132)을 통하여 용기 본체 (A)로부터의 탈기가 수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감압 상태를 해제한 후에, 층 구조체 (b-1)의 천공(132)을 통하여 용기 본체 (A) 내에 증기가 도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술한다.
(포장 용기)
우선,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외관적 특징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 용기(100)는, 용기 본체 (A)(110) 및 뚜껑재 (B)(130)를 구비한다. 뚜껑재 (B)(130)는, 용기 본체 (A)(11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덮고, 당해 개구부의 외주부에서 밀착되어 있다. 이로써, 뚜껑재 (B)(130)와 용기 본체 (A)(110)와의 밀착 부분에서는 통기가 차단되어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재 (B)(130)에는, 적어도 2개의 천공(132)이 마련된 층 구조체 (b-1)(134)을 포함하고, 그리고 당해 천공(132)을 봉쇄하도록, 층 구조체 (b-2)(136)가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 (A))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 (A)(110)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A)(110)는, 위쪽에 개구하는 개구부(112)를 통하여 원하는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내표면(114)을 갖는다. 내표면(114)은, 용기 바닥부 (a1)(118) 및 당해 용기 바닥부 (a1)(118)의 주변에서 위쪽으로 뻗는 용기 측벽부 (a2)(1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a)에 있어서, 용기 본체 (A)(110)의 내표면(114)을 구성하는 용기 측벽부 (a2)(116)는, 개구부(112)로부터 용기 바닥부 (a1)(118)를 향해서 경사져 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 (A)(110)에는, 개구부(112) 주위를 따라 플랜지부(120)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플랜지부(120)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뚜껑재 (B)(130)의 변연 부분과, 예를 들어, 히트 씰, 접착제 등의 주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밀착 가능한 부분을 갖는다. 또한, 플랜지부(120)에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방향을 향해 팽출한 팽출부(121)가 플랜지부(120)를 따라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팽출부(121)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용기 본체 (A)(110)를 구성하는 4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팽출부(121)를 구성하는 능선이 날카롭게 구부러짐으로써 구성되는 첨단(尖端) 부분(123)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첨단 부분(123)에서는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 (A)(110)에 밀착한 뚜껑재 (B)(130)를 용기 본체 (A)(110)로부터 보다 적은 힘으로 떼어낼 수 있다.
다시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본체 (A)(110)는 내표면(114) 위에 증기 유통부(122)를 구비한다. 증기 유통부(122)는 용기 본체 (A)(110)의 개구부(112)와 연통한다. 용기 본체 (A)(110)가 당해 증기 유통부(122)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도시하지 않음)과 내표면(114) 사이를 증기가 유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유통부(122)는, 용기 본체 (A)(110)의 용기 바닥부 (a1)(118)에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 (A)(110)의 용기 바닥부 (a1)(118)에는, 대략 균등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124)가 마련되어 있고, 증기 유통부(122)는, 1개의 돌기부(124)와, 그것에 인접하는 다른 돌기부(1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24)는, 용기 본체 (A)(110)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과, 예를 들어 점접촉 또는 선접촉의 양식으로 지지하고, 돌기부(124)와 내용물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가능한 한 저감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 (A)(110)의 용기 바닥부 (a1)(118)에 있어서, 복수의 증기 유통부(122)는 대략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용기 본체 (A)(110)에 의하면, 용기 본체 (A)(110)에 수용된 내용물(예를 들어, 식품)을 증기로 살균할 때, 용기 바닥부 (a1)(118)에 형성된 증기 유통로(122)를 통과하여, 내용물의 상면 및 측면뿐만 아니라, 당해 내용물의 하면으로부터 보다 많은 증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로써, 증기에 의한 내용물의 보다 균등하고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해진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기부(124)의 높이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 바닥부 (a1)(118)의 내측 최하면(즉, 용기 본체 (A)(110)의 내표면(114)에서의 가장 아래쪽의 높이)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2mm 이상, 3mm 이상, 또는 4mm 이상이다. 그리고 돌기부(124)의 높이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 바닥부 (a1)(118)의 내측 최하면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15mm 이하, 13mm 이하, 또는 10mm 이하이다. 돌기부(124)의 높이가 이러한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증기 유통로(122)에 증기가 보다 한층 유입하기 쉬워지고, 내용물의 하면측의 증기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돌기부(124)의 높이는, 용기 본체 (A)(110)의 깊이(즉, 용기 본체 (A)(110)의 개구부(112)로부터 연직 방향에서의 내표면(114)의 가장 아래쪽의 부분까지의 거리) L의 10% 이상 40% 이하인 것이 좋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증기 유통로(122)의 단면적(즉, 도 2의 (a)에서의 1개의 돌기부(124)의 정점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돌기부(124)의 정점을 잇는 직선과 이들 2개의 돌기부(124) 사이의 능선으로 구성되는 도형의 면적에 상당한다)이 증가하기 때문에 증기 유통로(122)에 증기가 보다 한층 유입하기 쉬워지고, 내용물의 하면측의 증기 살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에 대하여, 상기의 도 2의 (a)에서는, 용기 본체 (A)(110)(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120))에 대하여, 층 구조체 (b-1)(134) 및 층 구조체 (b-2)(136)로 구성되는 대략 평탄한 뚜껑재 (B)가 밀착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용기 본체 (A) 및 뚜껑재 (B)는, 이러한 형태의 조합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도 3의 (a) 내지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용기 본체 (A) 및 뚜껑재 (B)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100a)는, 플랜지부(120a)를 갖는 용기 본체 (A)(110a)와, 뚜껑측 플랜지부(131a)를 갖는 층 구조체 (b-1)(134a) 및 층 구조체 (b-2)(136)로 구성되는 뚜껑재(130a)를 구비한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100a)는, 뚜껑재(130a)의 뚜껑측 플랜지부(131a)가, 용기 본체 (A)(110a)의 플랜지부(120a)를 덮어 감합하는 형태(외감합형)를 갖는다. 뚜껑측 플랜지부(131a)와 플랜지부(120a)의 접촉 부분은, 히트 씰, 접착제 등의 주지의 수단을 이용하여 밀착되어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100b)는, 용기 본체 (A)(110b)와, 층 구조체 (b-1)(134b) 및 층 구조체 (b-2)(136)로 구성되는 뚜껑재(130b)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 (A)(110b)는, 위쪽으로 돌출한 볼록부를 포함하는 플랜지부(120b)를 갖고, 층 구조체 (b-1)(134b)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뚜껑측 플랜지부(131b)를 갖는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100b)는, 뚜껑재(130b)의 뚜껑측 플랜지부(131b)의 오목부가, 용기 본체 (A)(110b)의 플랜지부(120b)에서의 볼록부를 수용하여 감합하는 형태(내외 감합형)를 갖는다. 뚜껑측 플랜지부(131b)와 플랜지부(120b)와의 접촉 부분은, 히트 씰, 접착제 등의 주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밀착되어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100c)는, 플랜지부(120c)를 갖는 용기 본체 (A)(110c)와 뚜껑측 플랜지부(131c)를 갖는 층 구조체 (b-1)(134c) 및 층 구조체 (b-2)(136)로 구성되는 뚜껑재(130c)를 구비한다.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100c)는, 용기 본체 (A)(110c)의 플랜지부(120c)가, 뚜껑재(130c)의 뚜껑측 플랜지부(131c)를 덮어 감합하는 형태(내감합형)를 갖는다. 뚜껑측 플랜지부(131c)와 플랜지부(120c)와의 접촉 부분은, 히트 씰, 접착제 등의 주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밀착되어 있다.
도 3의 (d)에 나타내는 포장 용기(100d)는, 플랜지부(120d)를 갖는 용기 본체 (A)(110d)와, 뚜껑측 플랜지부(131d)를 갖는 층 구조체 (b-1)(134d) 및 층 구조체 (b-2)(136)로 구성되는 뚜껑재(130d)를 구비한다. 도 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100d)는, 뚜껑재(130d)의 뚜껑측 플랜지부(131d)가, 용기 본체 (A)(110d)의 플랜지부(120d)를 덮어 포개지는 형태(레이어드 타입)를 갖는다. 뚜껑측 플랜지부(131d)와 플랜지부(120d)와의 접촉 부분은, 히트 씰, 접착제 등의 주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 (A)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a)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 (A)의 상면도이다.
용기 본체 (A)(110)에 있어서, 돌기부(124)는, 용기 바닥부 (a1)(118) 위에 대략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고, 각 돌기부(124) 사이에,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각각에 곧게 뻗은, 복수의 증기 유통로(1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A)(1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4의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A)(110')는, 용기 바닥부(a1)(118)에 있어서, 복수의 반원통상의 돌기를 동일한 방향(도 4의 (b)에서는 상하 방향)에 배치하고, 이것을 1개에 연결한 돌기부(124')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또한, 도 4의 (b)에서 도 4의 (a)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 경우, 돌기부(124')를 구성하는 반원통상의 돌기의 사이에는, 복수의 증기 유통로(122')가 동일 방향(도 4의 (b)에서는 상하 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 (A)(110')에 있어서, 돌기부(124')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돌기부(124)가 점접촉의 양식으로 내용물을 지지하는 용기 본체 (A)(110)와 비교하여, 내용물을 선접촉의 양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이 매우 부드러운 식품(예를 들어, 생선 조림 같은, 비교적 형상이 무너지기 쉬운 반찬)의 경우에도, 내용물과 용기 본체 (A)(110')와의 접촉을 가능한 한 저감하여, 내용물의 하방면측의 증기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혹은,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A)(110")는, 용기 바닥부 (a1)(118)에서 복수의 반원통상의 돌기부(124")를 갖고, 당해 돌기부(124")의 몇개(도 4의 (c)에서는 3개))가 한 쌍이 되어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정렬한 블록(126)을 구성하고, 당해 블록(126)이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및 가로 방향에 배치한 다른 블록과 비교하여 90°회전해서 배치된 것이라도 좋다(한편, 도 4의 (c)에서, 도 4의 (a)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 경우, 1개의 블록(126) 내의 돌기부(124")와 그에 인접하는 다른 돌기부(124") 사이에는 증기 유통로(122")가, 당해 블록(126) 내에서 동일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c)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 (A)(110")에 있어서, 돌기부(124")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돌기부(124)가 점접촉의 양식으로 내용물을 지지하는 용기 본체 (A)(110)와 비교하여, 내용물을 선접촉의 양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 (A)(110')와 비교하여, 증기 유통로(122")가 적어도 2방향(도 4의 (c)에서는 상하 방향 및 가로 방향)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내용물이 매우 부드러운 식품의 경우에도, 내용물과 용기 본체 (A)(110")와의 접촉을 가능한 한 저감하는 동시에, 바닥부(118)에 있어서,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내용물의 하방면측의 증기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상하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지향하는 증기 유통로(122")가 내용물로 막힌 경우라도,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증기의 유입이 가능해지고, 내용물의 증기 살균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층 구조체 (A'))
다시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 용기(100)에 있어서, 용기 본체 (A)(110)는 복수의 층이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구조체 (A')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 (A')는 산소 배리어층 (a)을 포함한다.
다층 구조체 (A')에서의 산소 배리어층 (a)의 층 수는, 산소 배리어성을 보다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복수층 갖고 있어도 좋고,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산소 배리어층 (a)은, 기체의 투과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고, 예를 들어, 20℃, 65%RH 조건 하에서, JIS-K7126-2(2006년) 제2부(등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산소 투과도가 100cc·20μm/(㎡·day·atm) 이하의 층이고, 바람직하게는 50cc·20μm/(㎡·day·at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cc·20μm/(㎡·day·atm) 이하의 층이다. 여기에서, 「10cc·20μm/(㎡·day·atm)」의 산소 투과도란, 20μm의 배리어재(산소 배리어층 (a) 단독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말함)에 있어서, 산소 1기압 하에서의 1일의 산소 투과량이 10cc인 것을 말한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은,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이하, 「EVOH」라고도 함.),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금속박 등의 가스 차단재를 포함한다. 특히, 양호한 산소 배리어성 및 용융 성형성을 갖는다는 이유로,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은, EVOH, 폴리아미드, 및 가공 전분, 또는 그것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우수한 용융 성형성을 갖고 있다는 이유로, EVOH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EVOH)
EVOH는,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틸렌-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 및 비누화는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당해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비닐 에스테르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포름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피발산 비닐 및 버사트산 비닐 등의 지방산 비닐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VOH의 에틸렌 단위 함유량은, 예를 들어, 20몰% 이상 22몰% 이상 또는 24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VOH의 에틸렌 단위 함유량은, 예를 들어, 60몰% 이하, 55몰% 이하, 또는 5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단위 함유량이 20몰% 이하이면, 그 용융 형성성 및 고온 하에서 산소 배리어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에틸렌 단위 함유량이 60몰% 이하이면, 산소 배리어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EVOH에서의 에틸렌 단위 함유량은, 예를 들어, 핵 자기 공명(NMR)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VOH의 비닐 에스테르 성분의 비누화도의 하한은, 예를 들어, 80몰% 이상, 90몰% 이상, 또는 99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도를 80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의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한편, EVOH의 비닐 에스테르 성분의 비누화도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0% 이하, 99.99% 이하라도 좋다. EVOH의 비누화도는, 1H-NMR 측정에 의해 비닐 에스테르 구조에 포함된 수소 원자의 피크 면적과, 비닐 알코올 구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다. EVOH의 비누화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A)를 구성하는 산소 배리어층 (a)에 양호한 산소 배리어성을 제공할 수 있다.
EVOH는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에틸렌 및 비닐 에스테르 및 그 비누화물 이외의 다른 단량체 유래의 단위를 갖고 있어도 좋다. EVOH가 이러한 다른 단량체 단위를 갖는 경우, EVOH의 전 구조 단위에 대한 당해 다른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상한은, 예를 들어, 30몰% 이하, 20몰% 이하, 10몰% 이하 또는 5몰% 이하이다. 또한, EVOH가 당해 다른 단량체 유래의 단위를 갖는 경우, 그 함유량의 하한은, 예를 들어, 0.05몰% 이상 또는 0.1몰% 이상이다.
이러한 EVOH가 갖고 있어도 좋은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부틸렌, 펜텐, 헥센 등의 알켄; 3-아실옥시-1-프로펜, 3-아실옥시-1-부텐, 4-아실옥시-1-부텐, 3,4-디아실옥시-1-부텐, 3-아실옥시-4-메틸-1-부텐, 4-아실옥시-1-부텐, 3,4-디아실옥시-1-부텐, 3-아실옥시-4-메틸-1-부텐, 4-아실옥시-2-메틸-1-부텐, 4-아실옥시-3-메틸-1-부텐, 3,4-디아실옥시-2-메틸-1-부텐, 4-아실옥시-1-펜텐, 5-아실옥시-1-펜텐, 4,5-디아실옥시-1-펜텐, 4-아실옥시-1-헥센, 5-아실옥시-1-헥센, 6-아실옥시-1-헥센, 5,6-디아실옥시-1-헥센, 1,3-디아세톡시-2-메틸렌프로판 등의 에스테르기 함유 알켄 또는 그 비누화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산 또는 그 무수물, 염, 또는 모노 혹은 디알킬에스테르 등;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 비닐 술폰산, 알릴 술폰산, 메타알릴 술폰산 등의 올레핀 술폰산 또는 그 염;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β-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 화합물; 알킬비닐에테르류, 비닐케톤, N-비닐피롤리돈,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EVOH는, 우레탄화, 아세탈화, 시아노에틸화, 옥시알킬렌화 등의 수법을 거쳐 변성된 EVOH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변성된 EVOH는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의 용융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EVOH로서, 에틸렌 단위 함유량, 비누화도, 공중합체 성분, 변성의 유무 또는 변성의 종류 등이 다른 EVOH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EVOH는, 괴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무용매 또는 알코올 등의 용액 중에서 중합이 진행 가능한 괴상 중합법 또는 용액 중합법이 사용된다.
용액 중합법에 사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이다. 중합 반응액에서의 용매의 사용량은, 목적으로 하는 EVOH의 점도 평균 중합도나 용매의 연쇄 이동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좋고, 반응액에 포함되는 용매와 전 단량체의 질량비(용매/전 단랑체)는 예를 들어, 0.01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이다.
그리고, 상기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사이클로프로필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 이소부티릴퍼옥사이드, 쿠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온도는 20℃ 내지 90℃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시간은 2시간 내지 15시간이 바람직하고, 3시간 내지 11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율은, 주입한 비닐 에스테르에 대해서 10% 내지 90%가 바람직하고, 30% 내지 80%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후의 용액 중의 수지 함유율은 5% 내지 85%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에서는, 소정 시간의 중합 후 또는 소정의 중합율에 도달한 후, 필요에 따라 중합 금지제가 첨가되고, 미반응의 에틸렌 가스를 증발 제거하여, 미반응의 비닐 에스테르가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공중합체 용액에 알칼리 촉매가 첨가되고, 상기 공중합체가 비누화된다. 비누화의 방법에는, 연속식 및 회분식 중 어느 것도 채용되어도 좋다. 첨가 가능한 알칼리 촉매의 예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알칼리 금속 알코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비누화 반응 후의 EVOH는, 알칼리 촉매, 아세트산 나트륨이나 아세트산 칼륨 등의 부생염류, 기타 불순물을 함유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중화나 세정하는 것에 이것들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누화 반응 후의 EVOH를, 소정의 이온(예를 들어, 금속 이온, 염화 이온)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물(예를 들어, 이온 교환수)로 세정할 때,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등의 부생염류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일부를 잔존시켜도 좋다.
EVOH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금속염, 산, 붕소 화합물, 가소제, 필러, 블로킹 방지제, 활제, 안정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건조제, 가교제, 각종 섬유 등의 보강재,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의 열 안정성이나 다른 수지와의 접착성이 양호하다는 이유로, 금속염 및 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은, 층간 접착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VOH가 금속염을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의 하한은, EVOH에 대하여 당해 금속염의 금속 원자 환산으로, 예를 들어, 1ppm 이상, 5ppm 이상, 10ppm 이상, 또는 20ppm 이상이다. 그리고, EVOH가 금속염을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의 상한은, EVOH에 대하여 당해 금속염의 금속 원자 환산으로, 예를 들어, 10000ppm 이하, 5000ppm 이하, 1000ppm 이하, 또는 500ppm 이하이다. 금속염 함유량이 상기 하한 및 상한으로 구성되는 범위 안에 있음으로써,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의 층간 접착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용기 본체 (A)를 재활용할 때의 EVOH의 열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복실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은, EVOH를 용융 성형할 때의 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EVOH가 카복실산 화합물을 함유할 경우, 카복실산의 함유량(즉, EVOH를 포함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건조 조성물 중의 카복실산의 함유량)의 하한은, 예를 들어, 1ppm 이상, 10ppm 이상, 또는 50ppm 이상이다. 그리고, 카복실산 화합물의 함유량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000ppm 이하, 1000ppm 이하, 또는 500ppm 이하이다. EVOH가 인산 화합물을 함유할 경우, 인산의 함유량(즉, EVOH를 포함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인산 화합물의 인산 라디칼 환산 함유량)의 하한은, 예를 들어 1ppm 이상, 10ppm 이상, 또는 30ppm 이상이다. 그리고, 인산 화합물의 함유량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000ppm 이하, 1000ppm 이하, 또는 300ppm 이하이다. EVOH가 카복실산 화합물 또는 인산 화합물을 상기 범위 내에서 함유함으로써, EVOH의 용융 성형시의 열 안정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EVOH가 상기 붕소 화합물을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즉, EVOH를 포함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건조 조성물 중의 붕소 화합물의 붕소 환산 함유량)의 하한은, 예를 들어, 1ppm 이상 10ppm 이상, 또는 50ppm 이상이다. 그리고, 붕소 화합물의 상한은, 예를 들어, 2000ppm 이하, 1000ppm 이하, 또는 500ppm 이하이다. EVOH가 붕소 화합물 또는 인산 화합물을 상기 범위 내에서 함유함으로써, EVOH의 용융 성형시의 열 안정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카복실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또는 붕소 화합물을 EVOH를 포함하는 산소 배리어층 (a)에 함유시키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EVOH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펠렛화시에 이것들을 첨가하여 혼련해도 좋다. 상기 카복실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또는 붕소 화합물의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건조 분말로서 첨가하는 방법, 소정의 용매를 함침시킨 페이스트 상태에서 첨가하는 방법, 소정의 액체에 현탁시킨 상태에서 첨가하는 방법, 소정의 용매에 용해시켜서 용액으로서 첨가하는 방법, 소정의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 화합물을 EVOH 중에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 소정의 용매에 용해시켜서 용액으로서 첨가하는 방법 및 소정의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첨가제로서 첨가되는 이들 화합물의 용해성, 비용, 취급의 용이함, 작업 환경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면, 물인 것이 좋다.
다층 구조체 (A')에서의 산소 배리어층 (a)이 EVOH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할 경우, 당해 산소 배리어층 (a)에서의 EVOH의 비율은, 예를 들어, 60질량% 이상, 70질량% 이상, 80질량% 이상, 90질량% 이상, 또는 100질량%이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산소 배리어층 (a)의 주성분」이란, 산소 배리어층 (a)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큰 질량%를 갖는 성분을 가리켜 말한다.
다층 구조체 (A')에서의 산소 배리어층 (a)가 EVOH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할 경우, 당해 산소 배리어층 (a)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3μm 이상, 5μm 이상, 또는 10μm 이상이다. 그리고, 당해 산소 배리어층 (a)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0μm 이하, 또는 50μm 이하이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산소 배리어층 (a)의 평균 두께」란,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되는 상기 EVOH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산소 배리어층 (a)의 층 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산소 배리어층 (a)의 평균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 (A)의 내구성이나 유연성, 외관 특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는, 인산 화합물과 다가 금속의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써 형성되는 배리어층을 갖는다. 이 구조체는,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과 다가 금속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혼합하여 코팅제를 조제하고, 당해 코팅제를 기재 위에 도포하고, 다가 금속의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가 금속 원자를 M으로 나타내면, 다가 금속 원자 M과 링 원자 사이에는 M-O-P로 표시되는 결합이 형성된다. M-O-P 결합은 적외 흡수 스펙트럼에서의 특성 흡수대가 1080cm-1 내지 1130cm-1의 영역에 관찰할 수 있고, 당해 복합 구조체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 800cm-1 내지 1400cm-1의 영역에서의 최대 흡수 파수는 1080cm-1 내지 1130cm-1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구조체의 최대 흡수 파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당해 복합 구조체는 우수한 산소 배리어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코팅제를 도포하는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직물, 종이류 등의 섬유 집합체; 목재;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 집합체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름 또는 시트 등의 층상이라도 좋다. 기재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복합 구조체에 양호한 기계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는 이유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원소로서는, 2분자 이상의 인 화합물이 반응 가능한 다가 금속 원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원소가 사용될 수 있다. 다가 반-금속 원소라도 좋다. 다가 금속 원소의 예로서는, 마그네슘, 칼슘, 아연, 알루미늄, 규소, 티타늄, 지르코늄 등의 원소를 들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원소의 화합물로서는, 인 화합물과 반응하고 복합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가 금속 화합물은 용제에 용해한 용액으로서 사용해도, 다가 금속 화합물의 미립자를 용제에 분산한 분산액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예를 들어, 질산 알루미늄을 다가 금속 화합물로서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가 금속 화합물의 미립자를 물 또는 수성 용제 중에 분산시켜서, 분산액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분산액으로서는, 산화 알루미늄 미립자의 분산액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다가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는 그 표면에 수산기를 갖고 있고, 수산기의 존재에 의해 상기 인 화합물과 반응하여 상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다가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는, 예를 들어, 가수분해 가능한 특성기가 금속 원자에 결합한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이것을 가수분해하고 이 가수분해 생성물을 축합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원료의 예로서는, 염화 알루미늄,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생성물을 축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졸겔법 등의 액상 합성법을 들 수 있다. 다가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는 또한, 예를 들어, 구상, 편평상, 다면체상, 섬유상, 또는 침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소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유로, 섬유상 또는 침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산소 배리어성 및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1nm 이상 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 화합물로서는, 다가 금속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상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계 화합물 및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인산, 폴리인산, 아인산, 포스폰산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인산으로서는, 피로인산, 3인산, 또는 4개 이상의 인산이 축합한 폴리인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산계 화합물의 유도체로서는, 인산염, 에스테르(예를 들어, 인산 트리메틸), 할로겐화물, 탈수물(예를 들어, 5산화인)을 들 수 있다.
이 인 화합물은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을 용제로 하는 수용액이나 저급 알코올 용액과 같은 친수성의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코팅제는, 다가 금속 화합물의 용액 또는 분산액과, 인 화합물의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코팅제에는, 기타 성분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기타 성분의 예로서는, 고분자 화합물, 금속 착체, 점도 화합물, 가교제, 가소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의 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세트산 비닐의 부분 비누화물,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다당류(예를 들어, 전분), 아크릴계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그것들의 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교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고, 용제를 제거 건조해서 얻어진 도포막을, 예를 들어, 가열 처리함으로써, 다가 금속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상기 결합을 형성하여,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가열 처리에 채용되는 온도는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7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에 채용되는 온도가 낮은 경우, 충분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가열 처리에 채용되는 온도의 상한은, 기재 필름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예를 들어, 240℃ 이하, 또는 220℃ 이하이다. 또한, 가열 처리에 요하는 시간의 하한은, 예를 들어, 0.1초 이상, 1초 이상, 또는 5초 이상이다. 가열 처리에 요하는 시간의 상한은, 예를 들어, 1시간 이하, 15분 이하, 또는 5분 이하이다. 한편, 이러한 가열 처리는, 대기 분위기 하, 질소 분위기 하, 또는 아르곤 분위기 하 중 어느 곳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0.05μm 이상, 또는 0.1μm 이상이다.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예를 들어, 4μm 이하, 또는 2μm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란,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되는 상기 복합 구조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산소 배리어층 (a)의 층 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보다도 작으면, 균일한 두께의 층을 성형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상회하면,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유연성, 연신성, 열성 형성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가공 전분)
가공 전분의 원료가 되는 전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밀, 옥수수, 타피오카, 감자, 쌀, 귀리, 애로루트(arrowroot), 및 완두 원료에 유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전분으로서는, 하이 아밀로오스 전분이 바람직하고, 하이 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 및 하이 아밀로오스 타피오카 전분이 보다 좋다.
가공 전분은, 상기 전분을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인 관능기로 하이드록시기가 치환되도록 화학적으로 개질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으로서는, 상기 전분을 탄소수 2 내지 6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포함하도록 개질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전분을 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개질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이, 상기 전분을 탄소수 2 내지 6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포함하도록 개질한 것인 경우, 상기 가공 전분의 치환기로서는, 탄소수 2 내지 4의 관능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테르 치환기를 생성 가능한 하이드록시에틸기 또는 하이드록시부틸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 전분이 상기 전분을 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개질된 것인 경우, 관능기로서는, 부탄산 에스테르 또는 보다 저급의 동족체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말레산, 프탈산 또는 옥테닐 숙신산 무수물 등의 디카복실산 무수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공 전분으로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기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아밀로오스 전분이 바람직하고, 하이드록시프로필화 하이 아밀로오스 전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의 치환도는, 무수 글루코오스 단위당의 치환기의 평균수로 표시되고, 통상, 최대값은 3이다. 상기 가공 전분의 치환도로서는, 0.05 이상 1.5 미만이 바람직하다.
가공 전분은, 기타 전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기타 전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이 아밀로오스 전분과 로우 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가공 전분은 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가공 전분에 대하여, 물은 가소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물의 함유율의 상한은, 예를 들어, 20질량% 이하, 또는 12질량% 이하이다.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수분 함유율은, 일반적으로, 사용 환경 하의 상대 습도에서의 평형 수분 함유율이다.
가공 전분은, 1 또는 복수의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1 또는 복수의 수용성 폴리머의 함유율의 상한은, 예를 들어, 20질량% 이하, 또는 12질량% 이하이다. 1 또는 복수의 수용성 폴리머의 함유율의 하한은, 예를 들어, 1질량% 이상, 또는 4질량% 이상이다.
가공 전분은, 1 또는 복수의 가소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의 예로서는, 소르비톨, 글리세롤, 말티톨, 및 크실리톨, 및 이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가공 전분에서의 1 또는 복수의 가소제의 함유율의 상한은, 예를 들어, 20질량% 이하, 또는 12질량% 이하이다.
가공 전분은, 윤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윤활제의 예로서는,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 및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염, 및 이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가공 전분에서의 윤활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질량% 이하이다.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10μm 이상, 또는 100μm 이상이다.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00μm 이하, 또는 800μm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란,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되는 상기 가공 전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산소 배리어층 (a)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산소 배리어층 (a)의 층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보다도 작으면, 균일한 두께의 층을 성형하는 것이 곤란해져,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상회하면,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유연성, 연신성, 열 성형성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층상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중에 무기 층상 화합물이 분산되어 있으면 무기 층상 화합물에 기인하는 배리어성을 발현하는 층이다. 무기 층상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층상 화합물로서는, 팽윤성 운모, 클레이, 몬모릴로나이트, 스멕타이토,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무기 층상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층상 화합물은 유기 처리된 유기 변성 무기 층상 화합물이라도 좋다.
무기 층상 화합물은, 예를 들어 판상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형, 비원형, 타원형, 대략 장원형, 대략 고치형 등의 임의의 외관을 갖는다. 무기 층상 화합물은, 전자 현미경에 의해 측정 가능한 판상 결정의 장변의 평균 길이가 소정의 범위를 충족시키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층상 화합물의 장변의 평균 길이는 70nm 이상이 바람직하고, 80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n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 층상 화합물은 연신시에 발생한 응력에 의해 필름면 내에 배향하지만, 무기 층상 화합물의 장변의 평균 길이가 70nm 미만이면, 배향의 정도가 불충분하고, 충분한 산소 투과 성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무기 층상 화합물의 장변의 평균 길이는 2000nm 이하라도 좋다.
무기 층상 화합물은 또한, 두께가 2μm를 초과하는 조대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층상 화합물이 2μm를 초과하는 조대물을 포함할 경우, 투명성이나 연신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무기 층상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에서의, 무기 층상 화합물의 함유량은 당해 배리어층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증착층)
무기 증착층은, 예를 들어 기재 위에 무기물을 증착해서 얻어지는 배리어층이다. 무기 증착층을 구성할 수 있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직물, 종이류 등의 섬유 집합체; 목재;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 집합체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가 상기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그 형태는, 필름 또는 시트 등의 층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것들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수산기 함유 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6, 및 나일론-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기재로서 사용할 경우, 기재는 연신 필름 또는 무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가공 적성(인쇄, 라미네이트 등)이 우수하므로,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축 연신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축 연신 필름은, 동시 이축 연신법, 순차 이축 연신법, 및 튜뷸러 연신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이축 연신 필름이라도 좋다.
기재에 사용될 수 있는 종이류로서는, 예를 들어 크래프트지, 상질지, 모조지, 글라신지, 파치먼트지(parchment paper), 합성지, 백판지, 마닐라 보드, 밀크 카톤(milk-carton) 원지, 컵(cup) 원지, 아이보리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의 형태가 층상인 경우, 그 두께는, 얻어지는 다층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1 내지 1,000μm가 바람직하고, 5 내지 50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9 내지 20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주석, 인듐, 니켈, 티타늄, 크롬 등의 금속; 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질화 규소 등의 금속 질화물;산질화 규소 등의 금속 질화 산화물; 탄질화 규소 등의 금속 탄화 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산소 혹은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규소, 산화 마그네슘, 및 질화 규소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무기 증착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증착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진공 증착 법(예를 들어 저항 가열 증착법, 전자 빔 증착법, 분자선 에피택시법 등), 이온 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듀얼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등) 등의 물리 기상 성장법; 열 화학 기상 성장법(예를 들어, 촉매 화학 기상 성장법), 광 화학 기상 성장법, 플라즈마 화학 기상 성장법(예를 들어, 용량 결합 플라즈마법, 유도 결합 플라즈마법, 표면파 플라즈마법, 전자 사이클로트론 공명 플라즈마법 등), 원자층 퇴적법, 유기 금속 기상 성장법 등의 화학 기상 성장법을 들 수 있다.
무기 증착층의 두께는, 무기 증착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0.002 내지 0.5μm가 바람직하고, 0.005 내지 0.2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내지 0.l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다층 구조체의 배리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양호해지는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무기 증착층의 두께가 0.002μm 미만이면,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무기 증착층의 배리어성 발현의 재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무기 증착층이 충분한 배리어성을 발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무기 증착층의 두께가 0.5μm를 초과하면, 다층 구조체를 잡아당기거나 굴곡시키거나 한 경우에 무기 증착층의 배리어성이 저하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금속박)
금속박은, 전연성(展延性)이 우수한 금속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복층의 구조체이다. 금속박에 포함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당해 금속박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의 형태를 갖는다.
(열가소성 수지층)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 (A')는 적어도 1층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층 구조체 (A')에서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층 수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층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층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 구조체 (A')에서 열가소성 수지층이 복수 포함되는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열가소성 수지층은, 단일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 중 어느 것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다층 구조체 (A')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함으로써, 연신성 및 열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100μm 이상, 또는 200μm 이상이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예를 들어, 1000μm 이하, 500μm 이하, 또는 400μm 이하이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란,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열가소성 수지층의 층 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가 100μm 이상이면, 적층할 때의 두께의 조정이 용이하고, 상기 다층 구조체 (A')의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500μm 이하이면, 열 성형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유리 전이 온도 또는 융점까지 가열함으로써 연화하여 소성을 나타내는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로 그라프트 변성한 그라프트화 폴리올레핀 수지,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비닐 에스테르 수지, 아이오노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방향족 또는 지방족 폴리케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기계적 강도나 성형 가공성이 양호하다는 이유로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이외의 수지,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이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첨가제의 함유율은 열가소성 수지층의 총량에 대하여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 (A')는 적어도 1층의 접착층(이하, 「Ad」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층 구조체 (A')에서의 접착층은, 예를 들어, 상기 산소 배리어층 (a) 및 열가소성 수지층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되는 접착층의 층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층 구조체 (A')에서 접착층이 복수 포함되는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접착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공지의 접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층 구조체 (A')의 제조 방법에 맞추어 당업자에게 있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상기 다층 구조체 (A')를 제조하는 경우, 접착층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2액 반응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에 공지의 실란 커플링제 등의 소량의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상기 다층 구조체 (A')를 제조하는 경우, 접착층에는, 산소 배리어층 (a) 및 열가소성 수지층에 대하여 접착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접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올레핀계 중합체에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그 에스테르 또는 그 무수물을 화학적(예를 들어 부가 반응, 그라프트 반응 등)에 결합시켜서 얻어지는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올레핀계 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예를 들어, 저압 폴리에틸렌, 중압 폴리에틸렌, 고압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등의 폴리올레핀, 올레핀과 다른 모노머(예를 들어, 비닐 에스테르,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 등)와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아세트산 비닐의 함유량 5 내지 55질량%),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공중합체(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의 함유량 8 내지 35질량%)가 바람직하고,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그 에스테르 또는 그 무수물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복실산, 또는 그 모노 혹은 디에스테르, 또는 그 무수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복실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에스테르, 말레산 모노에틸 에스테르, 말레산 디에틸 에스테르, 푸마르산 모노메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무수 말레산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의 올레핀계 중합체로의 부가량 또는 그라프트량(변성도)은, 올레핀계 중합체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01질량% 내지 15질량%, 바람직하는 0.001질량% 내지 10질량%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의 올레핀계 중합체로의 부가 반응, 그라프트 반응은, 예를 들어, 용매(크실렌 등), 촉매(과산화물 등)의 존재 하에서 라디칼 중합법 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의 210℃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2g/10분 내지 3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g/10분 내지 10g/1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접착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체 (A')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100μm 이상 또는 200μm 이상이다. 또한, 당해 다층 구조체 (A')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예를 들어, 2000μm 이하, 1000μm 이하, 또는 800μm 이하이다. 다층 구조체의 평균 두께가 100μm 이상이면, 내충격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다층 구조체의 평균 두께가 2000μm 이하이면, 제조 비용이 저하되고, 양호한 열 성형성을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 (A')의 층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산소 배리어층 (a)을 E, 접착층을 Ad, 열가소성 수지층을 T로 나타낸 경우, 예를 들어 T/E/T, E/Ad/T, T/Ad/E/Ad/T 등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다층 구조체 (A')를 구성하는 각 층은, 단층 또는 다층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내충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다층 구조체 (A')는, 최외층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 구조체 (A')는, 공압출 성형법, 공사출 성형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공압출 성형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압출 라미네이트법, 공압출 시트 성형법, 공압출 인플레이션 성형법, 및 공압출 블로우 성형법을 들 수 있다.
(뚜껑재 (B))
다시 도 1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 용기(100)의 뚜껑재 (B)(130)를 구성하는 층 구조체 (b-1)(134)와 층 구조체 (b-2)(136)는, 당해 층 구조체 (b-2)(136)가 층 구조체 (b-1)(134)에 마련된 천공(132)의 전부를 봉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층 구조체 (b-1)(134) 및 층 구조체 (b-2)(136)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은 산소 배리어층 (b)를 포함한다.
뚜껑재 (B)의 내측을 구성하는 면에서의, JIS R3257(1999년 「기반 유리 표면의 습윤성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물 접촉각은, 70°이하가 바람직하고, 65°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물 접촉각이 70도 이하임으로써,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포장 용기가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내용물(예를 들어, 식품)를 수용하고 있었다고 해도 (예를 들어, 증기 살균 제품으로서 점두에 진열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와 함께, 포장 용기의 내부에 흐림(fogging)이 발생하지 않아, 내용물을 쉽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와 같은 저온 하에서의 보관에 의해서도, 흐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 점에서 뚜껑재 (B)의 외관성이 향상된다. 당해 물 접촉각을 70°이하로 조정하는 수단으로서는 뚜껑재 (B)의 내측을 구성하는 재료에 적절한 것을 사용하거나, 뚜껑재 (B)의 내측을 구성하는 재료에 후술하는 방담제를 첨가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층 구조체 (b-1))
층 구조체 (b-1)에 마련된 천공은, 층 구조체 (b-1)의 표리를 관통하고, 층 구조체 (b-1) 위에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공은, 후술하는 증기 살균 시의 용기 본체 (A)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또한 증기를 유입 및 배출하여 효율적인 살균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천공은 또한, 살균 후에 포장 용기 내의 산소를 질소 치환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천공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갖는다. 천공의 직경의 하한은, 예를 들어, 1mm 이상, 1.5mm 이상 또는 2mm 이상이다. 천공의 직경이 1mm 이상인 것에 의해, 증기 살균 시에 증기를 층 구조체 (b-1)로부터 용기 본체 (A) 내에 유입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고,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 (A) 내의 산소를 질소 치환할 때에도 효율적인 당해 치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천공의 직경의 상한은, 예를 들어 20mm 이하, 15mm 이하, 또는 10mm 이하이다. 천공의 직경이 이것들보다도 큰 경우에는, 증기 살균 후에, 낙하균에 의해 내용물의 오염이 촉진될 우려가 있다.
층 구조체 (b-1)는, 이하의 층 구조체 (B')에 상기 천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층 구조체 (B'))
층 구조체 (B')는, 상기 층 구조체 (b-1)에 대하여 천공을 형성하기 전의 단층 또는 다층의 구조체이다. 층 구조체 (B')는 또한, 용기 본체 (A)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층 구조체 (B')를 구성할 수 있는 층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산소 배리어층 (b), 열가소성 수지층, 접착제층, 및 실런트층을 들 수 있다.
층 구조체 (B')가 산소 배리어층 (b)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산소 배리어층 (b)는, 층 구조체 (B') 내에서 1층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층 구조체 (B')에서 산소 배리어층 (b)가 다수 포함될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산소 배리어층 (b)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 및 상한은, 예를 들어, 상기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될 수 있는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 및 상한의 각각과 동일한 범위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산소 배리어층 (b)의 1층의 평균 두께」란, 층 구조체 (B')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산소 배리어층 (b)의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산소 배리어층 (b)의 층 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산소 배리어층 (b)를 구성할 수 있는 재료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될 수 있는 산소 배리어층 (a)와 동일한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재료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EVOH, 폴리아미드,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가공 전분, 및 그것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산소 배리어층 (b)는, EVOH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 구조체 (B')가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 당해 열가소성 수지층 및 접착제층은, 층 구조체(B') 내에서 각각 1층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층 구조체 (B')에서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접착제층이 복수 포함되는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층 구조체 (B')에서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 및 상한은, 예를 들어, 상기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 및 상한의 각각과 동일한 범위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층 구조체 (B')에서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란, 층 구조체 (B')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열가소성 수지층의 층 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층 구조체 (B')에서의 열가소성 수지층 및 접착제층을 구성할 수 있는 재료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 및 접착제층과 동일한 재료를 들 수 있다.
층 구조체 (B')가 실런트층을 포함할 경우, 당해 실런트층은, 층 구조체 (B') 중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을 구성한다.
실런트층은, 예를 들어 180℃ 이하, 바람직하는 110℃ 이상 1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170℃ 이하의 융점을 갖는다. 실런트층이 이러한 융점을 가짐으로써, 층 구조체 (B')는 용기 본체 (A)를 구성하는 다층 구조체 (A')와의 밀봉성을 높이고, 본 발명의 포장 용기에서, 용기 본체 (A)와 뚜껑재 (B)(즉 층 구조체 (B'))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런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폴리 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로 그라프트 변성한 그라프트화 폴리올레핀 수지, 할로겐화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비닐 에스테르 수지, 아이오노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방향족 또는 지방족 폴리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증기 살균에서의 내구성이 양호하고(증기 살균 전후로 변형하기 어려운, 층간의 디라미네이션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 등), 및 천공을 제작하기 쉬운 것으로부터,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110℃를 초과하는 증기 살균에 대해서도 내구성을 가지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층 구조체 (B')는 또한 방담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방담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 구조체 (B')가 다층 구조체인 경우, 방담제는, 예를 들어, 뚜껑재 (B)로서 사용할 때에 용기 본체 (A)에 대향하는 측의 층에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 구조체 (B')에 사용 가능한 방담제에는, 일반적으로 「방담제」 혹은 「대전 방지제」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방담 효과를 갖는 것의 전부가 포함된다. 방담제의 예로서는,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아민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고급 지방산 알카놀 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층 구조체 (B')에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한 방담제의 양은,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첨가하는 층 구조체 (B')의 층을 구성하는 재료에 대하여, 15000ppm 내지 30000ppm이 바람직하고, 17000ppm 내지 25000ppm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담제의 함유량이 이러한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층 구조체 (B')(즉, 뚜껑재 (B))는, 즉효성이 우수한 방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층 구조체 (B') 자체의 성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방담제가 블리드 아웃한다는 문제에서도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방담제는, 첨가된 층 구조체 (B')의 층 내에서, 친수기 부분을 층 외에, 친유기 부분을 층 내에 배향하기 때문에, 당해 층의 외표면에서의 습윤성이 향상된다. 이 결과, 당해 층 표면에서 응집한 수분이 물방울을 형성하지 않고 박막상으로 퍼지므로, 당해 층 표면의 흐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방담제를 포함하는 층 구조체 (B')를 구성하는 층에는,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활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들의 함유량은, 당해 첨가제의 종류 등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데, 방담제가 첨가된 층 구조체 (B')의 층 내의 재료(단, 방담제를 제외함)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의 함유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방담제가 제공하는 방담 효과가 저감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층 구조체 (B')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40μm 이상, 또는 50μm 이상이다. 또한, 당해 층 구조체 (B')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예를 들어 400μm 이하, 350μm 이하, 또는 300μm 이하이다. 층 구조체 (B')의 평균 두께가 40μm 이상이면, 내충격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또한, 층 구조체 (B')의 평균 두께가 400μm 이하이면, 제조 비용이 저하되고, 양호한 열 성형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층 구조체 (B')가 다층인 경우, 층 구조체 (B')의 층 구조는(여기서 산소 배리어층 (b)를 E, 접착층을 Ad, 열가소성 수지층을 T로 나타내면), 예를 들어 T/E/T, E/Ad/T, T/Ad/E/Ad/T, T/E/Ad/T 등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층 구조체 (B')가 다층인 경우, 층 구조체 (B')는, 공압출 성형법, 공사출 성형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 구조체 (B')는, 단층 또는 다층 중 어느 것이든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20℃, 65%RH 조건 하에서, JIS-K7126-2(2006년) 제2부(등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산소 투과도가 예를 들어, 100cc·20μm/(㎡·day·at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cc·20μm/(㎡·day·at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cc·20μm/(㎡·day·atm) 이하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층 구조체 (B')가 전체로서 이러한 범위의 산소 투과도를 갖고 있음으로써, 용기 본체 (A)와 뚜껑재 (B)(즉, 층 구조체 (B')) 사이의 가스 배리어성은, 내용물을 수용하였을 때에도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 구조체 (B')는, 단층 또는 다층 중 어느 것이든 관계 없이, 전체로서, 예를 들어, 10N 내지 40N, 바람직하는 13N 내지 35N의 뚫림 강도를 갖는다. 층 구조체 (B')가 전체로서 이러한 범위의 뚫림 강도를 갖고 있음으로써, 상기 층 구조체 (b-1)을 제작할 때에, 층 구조체 (B')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천공을 마련할 수 있다.
(층 구조체 (b-2))
층 구조체 (b-2)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체이다. 층 구조체 (b-2)는 또한, 용기 본체 (A)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도 좋다.
층 구조체 (b-2)를 구성할 수 있는 층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산소 배리어층 (b), 열가소성 수지층, 및 접착제층을 들 수 있다.
층 구조체 (b-2)가 산소 배리어층 (b)를 포함할 경우, 당해 산소 배리어층 (b)는, 층 구조체 (b-2) 내에서 1층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층 구조체 (b-2)에서 산소 배리어층 (b)가 다수 포함될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산소 배리어층 (b)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 및 상한은, 예를 들어, 상기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될 수 있는 산소 배리어층 (a)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 및 상한의 각각과 동일한 범위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산소 배리어층 (b)를 구성할 수 있는 재료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될 수 있는 산소 배리어층 (a)와 동일한 재료를 들 수 있고, EVOH, 폴리아미드,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금속박, 및 가공 전분, 및 그것들의 조합이 바람직하고, 금속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층 구조체 (b-2)가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접착제층을 포함할 경우, 당해 열가소성 수지층 및 접착제층은, 층 구조체 (b-2) 내에서 각각 1층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층 구조체 (b-2)에서 열가소성 수지층 및/또는 접착제층이 다수 포함되는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층 구조체 (b-2)에서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 및 상한은, 예를 들어, 상기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 및 상한의 각각과 동일한 범위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용어 「층 구조체 (b-2)에서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1층의 평균 두께」란, 층 구조체 (b-2)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전체의 두께의 합계를 당해 열가소성 수지층의 층 수로 나눈 값을 가리켜 말한다.
층 구조체 (b-2)에서의 열가소성 수지층 및 접착제층을 구성할 수 있는 재료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다층 구조체 (A')에 포함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 및 접착제층과 동일한 재료를 들 수 있다.
층 구조체 (b-2)는 또한, 방담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층 구조체 (B')와 동일한 방담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층 구조체 (b-2)에서의 방담제의 함유량은,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층 구조체 (B')와 동일한 함유량이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방담제를 포함하는 층 구조체 (b-2)를 구성하는 층에는,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활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들의 함유량도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층 구조체 (b-2)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예를 들어 40μm 이상, 또는 50μm 이상이다. 또한, 당해 층 구조체 (b-2)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예를 들어 400μm 이하, 350μm 이하, 또는 300μm 이하이다. 층 구조체 (b-2)의 평균 두께가 40μm 이상이면, 내충격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또한, 층 구조체 (b-2)의 평균 두께가 400μm 이하이면, 제조 비용이 저하되고, 양호한 열 성형성을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층 구조체 (b-2)가 다층인 경우, 층 구조체 (b-2)의 층 구조는(여기서 산소 배리어층 (b)를 E, 접착층을 Ad, 열가소성 수지층을 T로 나타내면), 예를 들어 T/E/T, E/Ad/T, T/Ad/E/Ad/T, T/E/Ad/T 등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층 구조체 (b-2)가 다층인 경우, 층 구조체 (b-2)는, 공압출 성형법, 공사출 성형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뚜껑재 (B)는, 상술한 바와 같은 층 구조체 (b-1) 및 층 구조체 (b-2)를 구비한다. 여기서, 뚜껑재 (B)에 있어서, 층 구조체 (b-2)는, 층 구조체 (b-1) 위의 천공을 완전히 봉쇄하고 있다. 또한, 뚜껑재 (B)는, 층 구조체 (b-1)과 층 구조체 (b-2)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이것들의 사이에 점착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점착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및 수산기를 갖는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교성 단량체로서,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점착 특성을 해치지 않을 정도로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예를 들어, 아세트산 비닐, 스티렌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단독으로, 또는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 병용하여 아세트산 에틸 등의 용매에 용해하고, 아조계, 과산화물계의 각종 공지의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가열하는 용액 중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점착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점착 부여 수지는, 수지산 및 다가 알코올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수산기가가 10 내지 25의 수지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산으로서는, 로진류 등의 수지산 모노머를 들 수 있고, 로진으로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톨 오일 로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온시의 점착성이 특히 우수한 것으로부터, 수지산은 수지산 다이머를 5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산 다이머란 통상 중합 로진이라 칭해지는 것이고, 로진류 등의 수지산 모노머의 이량화물을 말한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 글리세린 등의 3가 알코올,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폴리글리세린 등의 4가 이상의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세균, 먼지 등의 오염물이나 산소의 침입을 방지하고, 수용된 살균 후의 내용물의 품질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또한,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보관하였을 때의 포장 용기의 흐림이 저감 또는 해소되어, 내용물의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살균된 내용물을 수용한 증기 살균 제품으로서 유용하다.
(증기 살균 제품)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은, 상기 포장 용기 및 증기 살균된 내용물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 (A)의 내표면에 살균된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고, 용기 본체 (A)의 개구부가, 당해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뚜껑재 (B)로 밀폐되어 있다.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에서는, 용기 본체 (A)와 뚜껑재 (B)로 포위되는 영역(용기 본체 (A)와 뚜껑재 (B)로 구성되는 밀폐 공간)과, 외부와의 공기(예를 들어, 산소)의 이동은, 용기 본체 (A) 및 뚜껑재 (B)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어 있다. 이로써 증기 살균 제품 내의 밀폐 공간은, 소정의 가스 농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에서의 용기 본체 (A)와 뚜껑재 (B)로 포위되는 영역(밀폐 공간)의 산소 농도는, 예를 들어 5체적% 이하, 바람직하게는 3체적% 이하이다. 밀폐 공간 안이 이러한 산소 농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증기 살균 제품이 장기간에 걸쳐 보존되었다고 해도, 밀폐 공간 안의 산소 농도를 비교적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내용물의 부패나 산화에 따른 당해 제품의 열화 또는 변질의 진행을 억제하고, 실질적으로 내용물의 보존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에서의 용기 본체 (A)와 뚜껑재 (B)로 포위되는 영역(밀폐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예를 들어, 0.5체적% 이상 40체적% 이하, 바람직하는 5체적% 이상 35체적% 이하이다. 밀폐 공간 안이 이러한 이산화탄소 농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일반 생균의 증가를 억제하는 동시에, 내용물의 먹는 맛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의 밀봉 공간에는, 내용물의 부패나 산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제균된 가스(예를 들어 산소 가스, 공기 등)나 불활성 가스(예를 들어 질소 가스, 탄산 가스)가 충전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은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내용물은, 예를 들어, 보존 또는 수송에 있어서, 세균, 먼지 등의 오염물이나 산소와의 접촉을 원하지 않는 물품이고,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이 포함된다. 식품이 바람직하고, 특히 고온 고압 하에서의 증기 살균에 있어서 외관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식품(예를 들어, 수용 시에 고형인 식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으로서 수용 가능한 식품으로서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햄버그, 미트볼, 닭튀김, 어묵, 구운 생선, 우엉조림, 만두 등의 반찬류; 햄, 소시지, 베이컨 등의 가공육 제품; 우동, 메밀국수, 파스타, 중화면 등의 면류; 조리된 및/또는 반조리된 고형의 냉장 또는 냉동용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증기 살균 제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의 제조 방법은, (S1) 개구부, 및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내표면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A) 내에 내용물을 배치하는 공정; (S2) 당해 용기 본체 (A)의 당해 개구부에 적어도 2개의 천공을 갖는 층 구조체 (b-1)을 배치하여, 당해 개구부를 당해 층 구조체 (b-1)로 봉쇄하는 공정; (S3) 당해 층 구조체 (b-1)의 당해 천공을 통하여 당해 용기 본체 (A)의 당해 내표면에 증기를 유통시켜서, 당해 내용물을 살균하는 공정; (S4) 당해 층 구조체 (b-1)의 당해 천공을, 층 구조체 (b-2)로 봉쇄하는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의 제조 방법은, 다른 형태로서 (S1) 개구부, 및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내표면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A) 내에 내용물을 배치하는 공정; (S2'(a)) 당해 용기 본체 (A)의 당해 개구부에 층 구조체 (B')를 배치하여, 당해 개구부를 당해 층 구조체 (B')로 봉쇄하는 공정; (S2'(b)) 당해 층 구조체 (B')에 적어도 2개의 천공을 마련하여, 층 구조체 (b-1)을 얻는 공정; (S3) 당해 층 구조체 (b-1)의 당해 천공을 통하여 당해 용기 본체 (A)의 당해 내표면에 증기를 유통시켜서, 당해 내용물을 살균하는 공정; (S4) 당해 층 구조체 (b-1)의 당해 천공을, 층 구조체 (b-2)로 봉쇄하는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S3)과 상기 공정 (S4) 사이에, (S3(b)) 상기 용기 본체 (A) 안을 감압하여 당해 용기 본체 (A) 안의 상기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을 냉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정 (S3(b))과 상기 공정 (S4) 사이에, (S3(c)) 당해 용기 본체 (A) 내에 제균된 가스를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정 (S3(c))과 상기 공정 (S4) 사이에(S3(d) 상기 천공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 (A) 내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또한 당해 천공의 나머지로부터 그 불활성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포장 용기 내의 가스를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S3)과 공정 (S4) 사이에, 공정 (S3(b)), 공정 (S3(c)) 및/또는 공정 (S3(d))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내용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증기 살균 제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경향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의 제조 방법의 몇가지 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제조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증기 살균 제품이 제조된다. 도 5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개구부(112)를 갖는 용기 본체(A)(110)의 내표면(114) 위에 내용물 F가 배치된다(도 5의 (S1)). 도 5의 (S1)에서, 내용물 F는, 용기 본체 (A)(110)의 용기 바닥부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124)의 꼭대기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돌기부(124)와 내용물 F 사이에는 복수의 증기 유통부(122)에 상당하는 공동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내용물 F는, 그 상단이 용기 본체 (A)(110)의 개구부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입되는 증기가 내용물 F의 상단도 통과하여 살균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에, 용기 본체 (A)(110)의 개구부(112)에, 미리 적어도 2개의 천공(132)이 마련된 층 구조체 (b-1)(134)가 배치되고, 개구부(112)가 층 구조체 (b-1)(134)로 봉쇄된다(도 5의 (S2)). 구체적으로는, 층 구조체 (b-1)(134)는, 개구부(112)의 외주부(예를 들어, 용기 본체 (A)(110)의 플랜지부(120))와, 히트 씰 또는 접착제 등의 당업자에게 공지의 수단에 의해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 (A)(110) 안은, 층 구조체 (b-1)에 마련된 천공(132)에 의해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그 후, 층 구조체 (b-1)(134)의 천공(132)을 통하여 용기 본체 (A)(110)의 내표면(114)에 증기가 통과되고, 내용물 F의 살균이 수행된다. 여기에서, 이 내용물 F의 살균은, 내용물 F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A)(110)를 상압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행되어도 좋고, 혹은 내용물 F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A)(110)를 일단 감압 환경 하에 노출한 후에 수행되어도 좋다. 감압 환경 하에 노출한 후에 수행된 경우에는, 내용물 F가 산화 열화되어 품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경향이 된다.
내용물 F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A)(110)를 상압의 상태를 유지한 채 내용물 F의 살균이 수행되는 경우, 도 5의 (S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 구조체 (b-1)에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천공(132) 중의 일부로부터 용기 본체 (A)(110) 안에 증기가 도입되어, 나머지 천공으로부터 탈기가 수행된다.
내용물 F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A)(110)를 일단 감압 환경 하에 노출한 후에 살균이 수행되는 경우에서는, 우선, 층 구조체 (b-1)(134)를 배치한 용기 본체 (A)(110)는, 예를 들어, 감압 환경 하에 두어지고, 천공(132)을 통해서 용기 본체 (A)(110) 내의 공기가 외부에 배출(탈기)된다(도 6의 (a)). 이 경우, 내용물 F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110) 및 층 구조체 (b-1)은, 예를 들어, 일단 밀폐 가능한 용기(202) 내에 배치된다. 밀폐 가능한 용기(202)에는, 밸브(204)를 구비하고 또한 하류에 진공 펌프 등의 감압 장치(208)에 접속된 관(206), 및 밸브(205)를 구비하고 또한 밸브(205)의 개방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수단을 통해서 증기가 도입되는 관(207)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205)를 닫은 상태에서, 밸브(205)를 개방하고 또한 감압 장치(208)를 가동시키면, 관(206)을 통해서 밀폐 가능한 용기(202) 안은 감압되고, 이로써, 천공(132)을 통하여 용기 본체 (A)(110) 안의 공기가 관(20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 후, 예를 들어 밸브(204)가 닫힌 상태에서, 밸브(205)가 개방함으로써, 밀폐 가능한 용기(202) 안의 감압 상태가 해제되고, 관(207)을 통해서 밀폐 가능한 용기(202) 내에 증기가 도입된다. 밀폐 가능한 용기(202)에 도입된 증기는, 또한 층 구조체 (b-1)에 마련된 천공(132)의 전부를 통하여 용기 본체 (A)(110) 안에 도입되고, 내용물 F가 직접 증기에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5의 (S3) 및 도 6의 (b) 중 어느 경우에도 층 구조체 (b-1)(134)와 용기 본체 (A)(110)의 사이의 영역에 증기가 도입된다. 이 내용물 F의 살균에 있어서, 도입된 증기는 당해 영역에 균일하게 퍼지고, 특히 증기 유통부(122)의 공동 안도 통과한다. 이 점에서, 내용물 F의 외표면의 보다 많은 부분에서 증기와 직접 접촉하고, 내용물 F의 살균을 보다 균일 및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내용물 F의 살균을 위해 도입되는 증기의 온도는, 내용물 F의 종류나 크기, 용기 본체 (A)의 내용량 등에 의해 변동하기 때문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 내지 145℃,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35℃이다. 도입되는 증기의 온도가 100℃를 하회하면, 내용물 F에 대하여 충분한 살균 효과를 부여할 수 없거나, 혹은 상기의 도입을 장시간 수행할 필요가 생기는 경향이 있다. 도입되는 증기의 온도가 145℃를 초과하면, 내용물 F에 대한 살균뿐만 아니라 그 자체의 품질을 훼손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증기의 도입 시간도 또한, 내용물 F의 종류나 크기, 용기 본체 (A)의 내용량 등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초간 내지 5분간, 바람직하게는 1초간 내지 1분간이다. 증기의 도입 시간이 1초 미만이면, 증기를 통하여 내용물 F에 부여되는 에너지량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원하는 살균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증기의 도입 시간이 1분을 넘으면, 내용물 F에 대한 살균뿐만 아니라 그 자체의 품질을 훼손하는 경우가 있다. 내용물 F의 살균은 이와 같이 하여 수행된다.
상기의 증기 도입 후, 살균된 내용물 F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A)(110)는, 예를 들어, 감압 환경 하에 두어지고, 천공(132)을 통하여 용기 본체 (A)(110) 안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용물 F를 냉각하는 것(이하, 공정 S3(b)라고도 함)이 바람직하다. 공정 S3(b)를 거침으로써, 내용물 F에 대한 온도 부하나 내용물 F와 수증기(물)와의 접촉 기회를 저감하고, 내용물 F의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경향이 된다. 공정 S3(b) 후에는 제균된 가스(예를 들어 공기, 질소, 탄산 가스 등)을 충전하는 것(이하, 공정 S3(c)이라고도 함)에 의해, 용기 본체 (A) 안을 상압 또는 양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S3(c) 시에 불활성 가스(예를 들어 질소 가스, 탄산 가스 등)을 충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후 용기 본체 (A)의 가스를 당해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는 것(이하, 공정 S3(d)라고도 함)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균된 가스나 불활성 가스는, 예를 들어, 층 구조체 (b-1)에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천공(132) 중의 일부로부터 용기 본체 (A)(110) 안에 도입하고, 또한 나머지 천공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인 가스 치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증기의 도입 전의 탈기로부터, 증기의 도입에 의한 살균, 살균 후의 감압, 및 제균된 가스의 충전은, 단시간 조리 살균 장치 RIC(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사쿠쇼 제조)와 같은 공지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제조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공정 S3(d) 직후에 층 구조체 (b-1)(134)의 천공(132)이 층 구조체 (b-2)(136)에 의해 봉쇄된다(도 5의 (S4)). 도 5의 (S4)에 있어서, 복수의 천공(132)은, 하나의 층 구조체 (b-2)에 의해 봉쇄되어 있으나, 복수의 천공(132)의 각각이 다른 층 구조체 (b-2)로 봉쇄되어도 좋다. 이러한 봉쇄는,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공지의 라벨러나 씰링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1 제조 방법을 통하여 증기 살균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은, 이하의 제2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개구부(112)를 갖는 용기 본체 (A)(110)의 내표면(114) 위에 내용물 F가 배치된다(도 7의 (S1)). 이것은 상기 도 5의 (S1)에 나타낸 것과 같다.
그 다음에, 용기 본체 (A)(110)의 개구부(112)에, 층 구조체 (B')(135)가 배치되고, 개구부(112)가 층 구조체 (B')(135)로 봉쇄된다(도 7의 (S2'(a)). 구체적으로는, 층 구조체 (B')(135)는, 개구부(112)의 외주부(예를 들어, 용기 본체 (A)(110)의 플랜지부(120))와, 히트 씰 또는 접착제 등의 당업자에게 공지의 수단에 의해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 (A)(110)의 내부는, 층 구조체 (B')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있다.
그 후, 층 구조체 (B')(135)에 적어도 2개의 천공(132)이 마련된다(도 7의 (S2'(b)). 구체적으로는, 암(139)에 마련된 복수의 천공 지그(140)로 층 구조체 (B')(135)를 천설(穿設)함으로써, 용기 본체 (A)(110)의 내부를 외부와 통기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층 구조체 (B')로의 천공 지그(140)에 의한 천설은, 단순히 뚫어서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고, 혹은 천공 지그(140)에 미리 마련된 임의의 가열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층 구조체 (B')를 용융하여 마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 (A)에 미리 배치된 상태에서 층 구조체 (b-1)(134)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층 구조체 (b-1)(134)를 배치한 용기 본체 (A)(110)는, 예를 들어, 감압 환경 하에 두어지고, 천공(132)을 통해서 용기 본체 (A)(110) 안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탈기)해도 좋다. 이로써, 내용물 F가 산화 열화되어 품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경향이 된다.
그 후, 층 구조체 (b-1)(134)의 천공(132)을 통하여 용기 본체 (A)(110)의 내표면(114)에 증기가 통과되고, 상기 제1 제조 방법에서 수행된 내용물 F의 살균(도 5의 (S3) 또는 도 6의 (b))와 동일하게 하여 내용물 F의 살균이 수행된다(도 7의 (S3) 또는 도 6의 (b)). 상기의 증기 도입 후, 본 발명의 제2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살균된 내용물 F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 (A)(110)는, 예를 들어, 감압 환경 하에 두어지고, 천공(132)을 통하여 용기 본체 (A)(110) 안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해도 좋다. 또한, 천공(132)을 통하여 용기 본체 (A)(110)의 내부에는, 제균된 가스(예를 들어 산소 가스, 공기 등)나 불활성 가스(예를 들어 질소 가스, 탄산 가스 등)이 충전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증기 도입 전의 탈기로부터, 증기의 도입에 의한 살균, 살균 후의 감압, 및 가스 치환은, 단시간 조리 살균 장치 RIC(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사쿠쇼 제조)와 같은 공지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층 구조체 (b-1)(134)의 천공(132)이 층 구조체 (b-2)(136)에 의해 봉쇄된다(도 7의 (S4)). 이것은 상기 도 5의 (S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제2 제조 방법을 통해서 증기 살균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기 살균 제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내용물 F가 배치된 용기 본체 (A)(110)에 있어서, 내용물 F의 하방에 복수의 증기 유통로(122)가 형성된다. 이로써, 내용물 F는 상방, 측방, 하방을 불문하고, 모든 방향에서 살균을 위해 도입되는 증기와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용물 F는 보다 균일 및 효율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와 같이 하여 살균된 내용물은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용기 본체 (A) 및 뚜껑재 (B)(층 구조체 (b-1) 및 (b-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장기간에 걸친 품질 유효 기한(예를 들어, 상미 기한 또는 소비 기한)을 갖는 제품으로서 시장에 유통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재료에는 이하와 같았다:
(1) EVOH
·「에발(상표) J171B」: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에틸렌 단위 함유량 32몰%
·「에발(상표) E105B」: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에틸렌 단위 함유량 44몰%
·「에발(상표) G156B」: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에틸렌 단위 함유량 48몰%
·「에발(상표) 필름 EF-XL」: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이축 연신 EVOH필름, 두께 12μm
(2) 가공 전분
·「Plantic(상표) E」: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PE/Ad/배리어/Ad/PE의 층 구성을 갖는 필름)
(3) 나일론
·「MX 나일론 S6007」: 미츠비시 가스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4)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이하의 제조예 1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5) 기타 재료
·「노바텍(상표) PP EA7AD」: 닛폰 폴리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폴리프로필렌(이하, 「PP」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애드머(상표) QF500」: 미츠이 카가쿠사 제조, 접착성 폴리올레핀(이하「Ad」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파일렌(상표) 필름 P5562」: 토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방담성을 갖는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두께 20μm(이하 「OPP1」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OP U-1」: 미츠이 카가쿠 토셀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두께 20μm(이하, 「OPP2」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음.)
·「타케락(상표) A-385」: 타케다 야쿠힌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액계 접착제
·「타케네이트(상표) A-10」: 타케다 야쿠힌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액계 접착제
·「엠블렘(상표) ONBC-15」: 유니치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연신 나일론 필름, 두께 15μm(이하, 「ONY」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제조예 1: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의 제조)
(코팅액 (S-1)의 조제)
증류수 230질량부를 교반하면서 70℃로 승온하였다. 그 증류수에, 트리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 88질량부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액온을 서서히 95℃까지 상승시키고, 발생하는 이소프로판올을 유출시킴으로써 가수분해 축합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액체에, 60질량%의 질산 수용액 4.0질량부를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교반함으로써 가수분해 축합물의 입자의 응집체를 해교시켰다. 그 후, 그 액체를, 고형물 농도가 산화알루미늄 환산으로 10질량%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분산액 22.50질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54.29질량부 및 메탄올 18.80질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교반함으로써, 분산액을 얻었다. 이어서, 액온을 15℃로 유지한 상태에서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85질량%의 인산 수용액 4.41질량부를 적하에 의해 첨가하고, 점도가 1,500mPa·s가 될 때까지 15℃에서 교반을 계속하고, 목적한 코팅액 (S-1)을 얻었다. 코팅액 (S-1)에서의, 알루미늄 원자와 인 원자와의 몰비는, 알루미늄 원자:인 원자=1.15:1.00이었다.
(유기 인 화합물 (BO-1)의 합성)
질소 분위기 하에서, 비닐 포스폰산 10g 및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2염산염 0.025g을 물 5g에 용해시키고, 8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냉각 후, 중합 용액에 물 15g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셀룰로오스막(스펙트럼 래버러토리즈사 제조 Spectra/Por(등록상표)를 이용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 중의 물을 증류제거한 후, 5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하여, 유기 인 화합물(BO-1; 폴리(비닐술폰산))을 얻었다. GPC 분석 결과에 의하면, 유기 인 화합물 (BO-1)의 수 평균 분자량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환산으로 10,000이었다.
(코팅액 (T-1)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유기 인 화합물 (BO-1) 67질량%와, 중량 평균 분자량 60,000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메이세이 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알콕스(등록상표) L-6」) 33질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조제하였다. 이 혼합물을, 물과 메탄올과의 혼합 용매(질량비로 물:메탄올=7:3)로 용해시키고, 고형물 농도가 1질량%의 코팅 용액 (T-1)을 얻었다.
(다층 구조체 (B1)(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의 제작)
우선, 기재인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레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루미러(등록상표) P60; 두께 12μm)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0.3μm가 되도록 바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조제한 코팅액 (S-1)을 도공하였다. 도공 후의 필름을, 110℃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160℃에서 1분간 열처리함으로써, 기재 위에 층의 전구체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에, 무기 인 화합물 (BI)의 질량 WBI와 유기 인 화합물 (BO)의 질량 WBO와의 비 WBO/WBI=1.10/98.90이 되도록 바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액 (T-1)을 도공하고, 11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220℃에서 1분간 열처리함으로써 층 (Y1-1)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다층 구조체 (B1))를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채용한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았다.
(1) 산소 투과 측정
MOCON INC. 제조 산소 투과도 측정 장치 OX-TRAN2/20형(검출 한계치 0.0005cc/pck·day·atm, 및 0.1cc/㎡·day·atm)을 이용하여, 얻어진 다층 용기 및 다층 필름의 산소 투과도를, 20℃, 65%RH의 조건 하에서 JIS-K7126-2(2006년) 제2부(등압법)에 준거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포장 용기의 산소 투과도를 용기 본체 (A)의 산소 투과도(cc/pck·day·atm)와 뚜껑재 (B)의 산소 투과도(cc/㎡·day·atm)에 뚜껑재 면적을 곱한 것의 합계로부터 산출하고, 포장 용기 내측의 체적으로 나눔으로써 포장 용기 단위당의 산소 투과도(cc/㎤·day·atm)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2) 용기 내 가스 조성의 측정
MOCON Europe사 제조 CheckPoint3을 이용하여 포장 용기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3) 일반 세균수(호기성 균수)
얻어진 샘플에 대하여, 10℃, 50%RH에서 15일간 보관한 후의 식품 위생 검사 지침·미생물편(2015년)을 준용하고, 표준 한천 배지법(35℃±1℃, 48±3시간)으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4) 물 접촉각
쿄와 카이멘 카가쿠사 제조 접촉각 측정 시험기 DropMaster500을 이용하여, JIS R3257에 준거해서, 얻어진 층 구조체 (b-1)의 용기 내면측의 물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5) 외관 특성
얻어진 샘플을, 10℃, 50%RH에서 15일간 보관한 후, 23℃ 하에 1분 유지하여 외관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판단하였다.
A: 뚜껑재 내측에 흐림이 없다.
B: 뚜껑재 내측에 흐림이 있다.
(6) 식품의 색
얻어진 샘플을, 10℃, 50%RH에서 15일간 보관하고, 그 후 개봉하여 내부의 식품(연어구이)의 착색 상황을 패널 5명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하고, 합의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판단하였다.
A: 보관 전과 거의 다르지 않다.
B: 약간 퇴색되어 있다.
C: 상당히 퇴색되어 있다.
(7) 식품의 냄새
얻어진 샘플을, 10℃, 50%RH에서 15일간 보관하고, 그 후 개봉하여 내부의 식품(연어구이)의 냄새를 패널 5명에 의해 확인하고, 합의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판단하였다.
A: 보관 전과 거의 다르지 않다.
B: 약간 냄새가 나지 않게 되었다.
C: 거의 냄새가 나지 않게 되었다.
(8) 식품의 맛
얻어진 샘플을, 10℃, 50%RH에서 15일간 보관하고, 그 후 개봉하여 내부의 식품(연어구이)의 맛을 패널 5명에 의해 확인하고, 합의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판단하였다.
A: 보관 전과 거의 다르지 않다.
B: 약간 맛이 나지 않게 되었다.
C: 거의 맛이 나지 않았다.
(실시예 1)
(다층 구조체 (A')의 제작)
산소 배리어층으로서 EVOH 「에발(상표) J171B」, 열가소성 수지층으로서 폴리프로필렌 「노바텍(상표) PP EA7AD」(PP) 및 접착층으로서 접착성 폴리올레핀 「애드머(상표) QF500」(Ad)를 이용하여, 이하의 표 1에 기재된 방법/조건으로 3종 5층(PP/Ad/EVOH/Ad/PP=270μm/15μm/30μm/15μm/270μm)의 다층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막에 있어서는 제막 다이를 갖는 압출기의 하류에 온도 제어가 가능한 인취 롤을 배치하고, 권취기로 권취함으로써 목적한 다층 구조체 (A')를 얻었다.
Figure 112021113170897-pct00001
(용기 본체 (A)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다층 구조체 (A')를 열 성형기(가부시키가이샤 아사노 세사쿠쇼 제조)를 이용하여, 시트 온도 150℃에서 용기 형상(세로 12cm×가로 9cm×높이 3cm)에 열 성형(압공: 5kg/c㎡, 플러그 온도: 150℃, 금형 온도: 70℃를 사용)함으로써, 도 3의 (b)에 나타내는 외관을 갖는 용기 본체 (A)를 얻었다. 또한, 이 용기 본체 (A)의 용기 바닥부에 마련된 돌기부의 높이(외측 바닥부로부터 돌기부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는 5.0mm였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다층 구조체 (A') 및 본체 용기 (A)의 특징을 표 2에 나타낸다.
(층 구조체 (b-1)의 제작)
방담성을 갖는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파일렌(상표) 필름 P5562」(OPP1)의 한면에, 2액계 접착제(「타케락(상표) A-385」/「타케네이트 A-10」)를 고형분 2.5g/㎡의 목부(目付)로 도포한 후, 산소 배리어층으로서 사용하는 이축 연신 EVOH 필름 「에발(상표) EF-XL」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적층하였다. 그 다음에, 연신 나일론 필름 「엠블렘(상표) ONBC-15」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하고, OPP1/EF-XL/ONY의 구성을 갖는 층 구조체 (b-1)을 47μm의 두께로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층 구조체 (b-1)의 특징을 표 3에 나타낸다.
(증기 살균 샘플의 제작)
에신 팩사 제조 팩 실러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용기 본체 (A)의 내측 바닥부에 식품으로서 70g의 연어구이를 배치하였다. 그 후, 용기 본체 (A)의 개구부에 상기에서 얻어진 층 구조체 (b-1)의 OPP1측을 덮어 씌우고, 양자를 히트 씰에 의해 밀폐하였다.
다음에, 용기 본체 (A) 위의 층 구조체 (b-1)에, 구멍 지름 4mm의 천공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6개 천설하였다. 그 후, 이 천설한 용기를,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사쿠쇼 제조 『단시간 조리 살균 장치 RIC』(이하, 단순히 RIC라고도 함)의 처리조 내에 배치하고, 당해 RIC를 가동시켜서 처리조 안을 감압함으로써 천공을 통해 용기 본체 (A) 내의 탈기를 수행하였다. 그 다음에, 천공을 통해서 용기 본체 (A) 내에 125℃의 증기를 도입하여 식품의 살균을 10초간 걸쳐 수행하였다. 또한, 식품 하부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이 증기에 의한 살균 시의 식품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 바, 125℃였다. 이어서 RIC의 처리조 안을 감압함으로써, 천공을 통해 용기 본체 (A) 내의 증기를 배출하고, 또 처리조 내의 감압을 유지하여 식품을 냉각하였다. 그 후, 처리조 안을 상압으로 되돌리고, 처리조의 뚜껑을 열어, 살균된 식품을 포함한 용기 본체 (A)를, 층 구조체 (b-1)를 갖는 상태인 채로 꺼내고, 천공을 통해 용기 본체 (A) 안에 1.0kg/c㎡의 압력으로 15초간 걸쳐 질소를 봉입하였다.
최종적으로, 층 구조체 (b-2)로서, 마크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알루미늄 테이프 「No. 8063」(알루미늄층 50μm, 접착층 50μm(이하 「알루미늄」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를 이용하여, 층 구조체 (b-1) 위의 천공을 전부 봉쇄함으로써, 증기 살균 샘플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증기 살균 시료에 대하여, 상술한 평가 방법에 따라서, 샘플 용기 내의 가스 조성의 측정, 일반 세균수(호기성 균수), 물 접촉각, 외관 특성, 식품의 색, 식품의 냄새, 식품의 맛을 각각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16, 18 및 19)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다층 구조체 (A'), 용기 본체 (A), 층 구조체 (b-1) 및 층 구조체 (b-2)에 대하여, 각각 표 2 및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내용물, 층 구성의 종류 및 두께, 산소 배리어층의 종류, 용기 본체 (A)의 외관 및 돌기부의 높이, 및 천공의 구멍 지름 및 구멍 수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증기 살균 샘플을 얻었다.
당해 샘플에 대하여, 상술한 평가 방법에 따라서, 샘플 용기 내의 가스 조성의 측정, 일반 세균수(호기성 균수), 물 접촉각, 외관 특성, 식품의 색, 식품의 냄새, 식품의 맛을 각각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표 3에 기재한 층 구조체 (b-1) 및 층 구조체 (b-2)를 사용하여, 층 구조체 (b-1)의 천공을 층 구조체 (b-2)로 봉쇄할 때에, 층 구조체 (b-1)의 전체를 덮도록 층 구조체 (b-2)의 OPP2측으로 히트 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증기 살균 샘플을 얻었다. 또한, 층 구조체 (b-2)로서는, 실시예 1의 층 구조체 (b-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당해 샘플에 대하여, 상술한 평가 방법에 따라서, 샘플 용기 내의 가스 조성의 측정, 일반 세균수(호기성 균수), 물 접촉각, 외관 특성, 식품의 색, 식품의 냄새, 식품의 맛을 각각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용기 본체 (A) 대신에, 돌기부가 없는 평탄한 용기 바닥부를 갖는 용기 본체(그밖의 치수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용기 본체 (A)와 동일하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증기 살균 샘플을 얻었다. 당해 샘플에 대하여, 상술한 평가 방법에 따라서, 샘플 용기 내의 가스 조성의 측정, 일반 세균수(호기성 균수), 물 접촉각, 외관 특성, 식품의 색, 식품의 냄새, 식품의 맛을 각각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층 구조체 (b-1) 대신에, 천공의 구멍 수를 1개로 줄인 층 구조체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증기 살균 샘플을 얻었다. 당해 샘플에 대하여, 상술한 평가 방법에 따라서, 샘플 용기 내의 가스 조성의 측정, 일반 세균수(호기성 균수), 물 접촉각, 외관 특성, 식품의 색, 식품의 냄새, 식품의 맛을 각각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다층 구조체 (A') 및 용기 본체 (A), 및 층 구조체 (b-1) 대신에, PP만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체 (A') 및 용기 본체 (A), 및 층 구조체 (b-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증기 살균 샘플을 얻었다. 당해 샘플에 대하여, 상술한 평가 방법에 따라서, 샘플 용기 내의 가스 조성의 측정, 일반 세균수(호기성 균수), 물 접촉각, 외관 특성, 식품의 색, 식품의 냄새, 식품의 맛을 각각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21113170897-pct00002
Figure 112021113170897-pct00003
Figure 112021113170897-pct00004
표 2 내지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9에서 제작된 증기 살균 샘플에 사용한 포장 용기는 모두 우수한 산소 투과도를 갖고 있고, 포장 용기에 대하여 적절한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9에서 제작된 증기 살균 샘플은, 돌기부(즉, 증기 유통부)를 갖고 있지 않은 용기 본체 (A)를 사용한 비교예 1의 샘플과 비교하여, 15일 후의 호기성 균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있고, 내용물인 식품에 대하여 보다 장기간에 걸쳐 살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9에서 제작된 증기 살균 샘플에 수용된 식품은, 예를 들어 비교예 1 내지 3에 기재된 것에 비하여, 색, 냄새, 및 맛의 전부에서 양호 또는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방담성 필름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13, 15, 16, 18, 19에서는, 저온(10℃)에서 15일간 보관한 후라도 뚜껑재 내부에 흐림이 발생하지 않아,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의 살균을 보다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내용물의 살균 상태가 보다 장기간에 걸쳐 유지된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내용물의 살균 및 보존 기간의 향상을 희망하는, 예를 들어, 식품 분야, 화장품 분야, 의약품 분야에서 유용하다.
100 포장 용기
110, 110', 110" 용기 본체 (A)
112 개구부
114 내표면
116 용기 측벽부 (a2)
118 용기 바닥부 (a1)
120 플랜지부
121 팽출부
122, 122', 122" 증기 유통부
123 첨단 부분
124, 124', 124" 돌기부
126 블록
130 뚜껑재 (B)
132 천공
134 층 구조체 (b-1)
135 층 구조체 (B')
136 층 구조체 (b-2)
139 암
140 천공 지그

Claims (19)

  1. 개구부, 및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내표면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 (A)와, 당해 용기 본체 (A)의 당해 개구부를 덮는 뚜껑재 (B)를 구비하는 포장 용기로서,
    당해 용기 본체 (A)가, 당해 내표면 위에, 당해 내용물과 당해 내표면 사이를 증기가 유통 가능한 증기 유통부를 구비하고, 용기 바닥부에 복수의 돌기부를 갖고, 또한 적어도 1층의 산소 배리어층 (a)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A')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뚜껑재 (B)가, 적어도 2개의 천공을 갖는 층 구조체 (b-1)과, 당해 층 구조체 (b-1)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당해 천공을 봉쇄하는 층 구조체 (b-2)를 구비하고,
    당해 층 구조체 (b-1) 및 당해 층 구조체 (b-2) 중 적어도 하나가 산소 배리어층 (b)를 포함하고,
    당해 증기 유통부가 1개의 돌기부와 그것에 인접하는 다른 돌기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당해 돌기부의 높이가 4mm 이상 15mm 이하인, 포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재 (B)에서의 상기 산소 배리어층 (b)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재 (B)의 내측을 구성하는 면에서의, JIS R325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물 접촉각이 70°이하인, 포장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재 (B)에서의 상기 층 구조체 (b-1)의 상기 천공이 1mm 이상 20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포장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재 (B)가, 상기 층 구조체 (b-1)과 상기 층 구조체 (b-2) 사이에 점착층을 구비하는, 포장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A)에서의 상기 산소 배리어층 (a)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포장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용기 본체 (A)로서, 개구부, 및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내표면을 포함하고,
    당해 내표면 위에, 당해 내용물과 당해 내표면 사이를 증기가 유통 가능한 증기 유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1층의 산소 배리어층 (a)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A')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내표면이, 용기 바닥부(a1) 및 당해 용기 바닥부(a1)의 주변으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용기 측벽부(a2)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증기 유통부가 당해 개구부와 연통하는, 용기 본체 (A).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다층 구조체 (A')로서, 산소 배리어층 (a)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및 가공 전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A').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층 구조체 (b-1)에 사용되는 층 구조체 (B')로서, 적어도 1층의 산소 배리어층 (b)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180℃ 이하의 융점을 갖는 실런트층을 구비하는, 층 구조체 (B').
  10. 제9항에 있어서, 20℃ 및 65%RH에서의 산소 배리어성이 10cc/(㎡·day·atm) 이하인, 층 구조체 (B').
  11. 제9항에 있어서, 뚫림 강도가 10N 내지 40N인, 층 구조체 (B').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배리어층 (b)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층 구조체 (B').
  13. 제9항에 기재된 층 구조체 (B')에 적어도 2개의 천공을 구비하는, 층 구조체 (b-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배리어층 (b)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인 및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가공 전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무기 층상 화합물, 무기 증착층,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층 구조체 (b-1).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포장 용기와 증기 살균된 내용물을 구비하는, 증기 살균 제품으로서, 당해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 (A)의 내표면에 당해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고, 당해 용기 본체 (A)와 당해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뚜껑재 (B)가 밀폐되어 있는, 증기 살균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A)와 상기 뚜껑재 (B)로 포위되는 영역의 산소 농도가 5체적% 이하인, 증기 살균 제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A)와 상기 뚜껑재 (B)로 포위되는 영역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0.5체적% 이상 40체적% 이하인, 증기 살균 제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살균된 내용물이 식품인, 증기 살균 제품.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식품이고, 당해 내용물을 증기 살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포장 용기.
KR1020217031741A 2019-03-04 2020-03-03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 KR102614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8957 2019-03-04
JPJP-P-2019-038957 2019-03-04
PCT/JP2020/008842 WO2020179771A1 (ja) 2019-03-04 2020-03-03 包装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気殺菌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094A KR20210137094A (ko) 2021-11-17
KR102614199B1 true KR102614199B1 (ko) 2023-12-19

Family

ID=7233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741A KR102614199B1 (ko) 2019-03-04 2020-03-03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36334A4 (ko)
JP (1) JP7301952B2 (ko)
KR (1) KR102614199B1 (ko)
CN (1) CN113453895B (ko)
TW (1) TW202100339A (ko)
WO (1) WO202017977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3215A (ja) * 2011-01-14 2012-08-02 S & B Foods Inc 食品製造および貯蔵用容器、食品の製造法および食品
JP2014043276A (ja) * 2011-12-09 2014-03-13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包装材及び包装体
JP2015020782A (ja) * 2013-07-19 2015-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3227B2 (ja) 1995-06-26 1997-11-26 株式会社日阪製作所 食材の殺菌方法
JPH0976339A (ja) * 1995-09-14 1997-03-25 Tokuyama Corp ポリプロピレン蓋
JP4380979B2 (ja) * 2002-11-13 2009-12-09 株式会社クラレ 樹脂組成物及び多層構造体
JP2008068574A (ja) * 2006-09-15 2008-03-27 Kureha Corp 包装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0958B2 (ja) * 2007-09-14 2012-04-0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加熱殺菌処理食品の保存方法
RU2561268C1 (ru) * 2014-07-23 2015-08-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вердь"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KR20170064451A (ko) * 2015-12-01 2017-06-09 아사히 가세이 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식품 보존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3215A (ja) * 2011-01-14 2012-08-02 S & B Foods Inc 食品製造および貯蔵用容器、食品の製造法および食品
JP2014043276A (ja) * 2011-12-09 2014-03-13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包装材及び包装体
JP2015020782A (ja) * 2013-07-19 2015-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6334A4 (en) 2022-11-09
EP3936334A1 (en) 2022-01-12
CN113453895B (zh) 2023-10-24
JPWO2020179771A1 (ja) 2021-12-23
KR20210137094A (ko) 2021-11-17
TW202100339A (zh) 2021-01-01
WO2020179771A1 (ja) 2020-09-10
CN113453895A (zh) 2021-09-28
JP7301952B2 (ja)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5863B (zh) 具有活性氧气阻隔层和铁基氧气清除层的多层薄膜
US9260596B2 (en) Oxygen-absorbing resin composition
EP2018960B1 (en) Antibacterial laminate
KR102422858B1 (ko) 다층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사용한 포장재 및 제품, 전자 디바이스의 보호 시트 및 코팅액
AU2009312009B2 (en) Formed product
JP6014790B1 (ja) 多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包装材および製品、ならびに電子デバイスの保護シート
TWI650334B (zh) 作爲氧去除劑之環氧基終端之聚丁二烯
JP2023126363A (ja) 包装容器
KR102614199B1 (ko) 포장 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증기 살균 제품
JP7339872B2 (ja) 多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包装材、真空断熱体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保護シート
JP7415232B2 (ja) 多層構造体及び包装体
JP7255141B2 (ja) 積層体、包装体及び包装物品
JP6899733B2 (ja) 多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包装材および製品、ならびに電子デバイスの保護シート
WO2021117865A1 (ja) 殺菌処理用の包装容器
JP7339870B2 (ja) 多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包装材および製品、ならびに電子デバイスの保護シート
JP7439504B2 (ja) 積層体、包装体及び包装物品
US20230025201A1 (en) Multilay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ckaging Material and Vacuum Insulator Including Same, and Protective Sheet for Electronic Device
JP2020157571A (ja) 積層体、包装体及び包装物品
CN201506530U (zh) 聚氯乙烯、乙烯-乙烯共聚物复合硬片
US20230017050A1 (en) Multilayer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Same, Packaging Material and Product Including Same, and Protective Sheet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