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771A -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771A
KR20220093771A KR1020200184827A KR20200184827A KR20220093771A KR 20220093771 A KR20220093771 A KR 20220093771A KR 1020200184827 A KR1020200184827 A KR 1020200184827A KR 20200184827 A KR20200184827 A KR 20200184827A KR 20220093771 A KR20220093771 A KR 2022009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lder
plate
punch
le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517B1 (ko
Inventor
김명효
김성진
정대환
Original Assignee
일광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광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광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5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lips, clamps, or like fastening or attaching devices, e.g. for electric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은: 제1펀치부가 플레이트에서 브러시 홀더부의 제1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2펀치부가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분리홀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3펀치부가 브러시 홀더부의 이동홀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4펀치부가 브러시 홀더부의 제2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1절곡부가 브러시 홀더부의 제1측면부와 하면부를 절곡하는 단계; 테두리 절단부가 브러시 홀더부의 제1스크랩편를 절단하는 단계; 제2절곡부가 브러시 홀더부의 상면부의 양측을 절곡하는 단계; 및 분리 절단부가 브러시 홀더부의 제2스크랩편을 절단하여 플레이트에서 브러시 홀더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IMPROVING THE PROCESS AND PRODUCTIVITY OF THE BRUSH HOLDER PART OF THE MOTOR}
본 발명은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러시 홀더부에서 절단 부위의 버가 브러시 홀더부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브러시 홀더부가 제조될 수 있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러시 홀더부는 모터의 고정자(stater)에 설치된다. 브러시 홀더부의 내부에는 브러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러시는 전선에 연결되고, 전선은 전원공급부에 연결된다. 브러시가 회전자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자에 전원이 공급된다.
브러시 홀더부는 멀티 포밍 밴딩기에 의해 제조된다. 멀티 포밍 밴딩기는 플레이트에서 브러시 홀더 영역의 외측을 피어싱하고, 브러시 홀더 영역을 밴딩함으로써 브러시 홀더를 제조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브러시 홀더부를 피어싱할 때에 버가 발생되며, 버가 브러시 홀더부의 내측으로 향하므로, 브러시가 브러시 홀더부의 내부에서 이동될 때에 브러시가 버에 걸려 손상되거나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7188호(2011. 12. 22 공개, 발명의 명칭: 모터 브러시홀더)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러시 홀더부에서 절단 부위의 버가 브러시 홀더부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브러시 홀더부가 제조될 수 있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은: 제1펀치부가 플레이트에서 브러시 홀더부의 제1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2펀치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분리홀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3펀치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이동홀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4펀치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제2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1절곡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제1측면부와 하면부를 절곡하는 단계; 테두리 절단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제1스크랩편를 절단하는 단계; 제2절곡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면부의 양측을 절곡하는 단계; 및 분리 절단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제2스크랩편을 절단하여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브러시 홀더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펀치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기 제1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레그 서포터부가 상기 제1레그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1레그 커터부가 제1레그 서포터부의 둘레부를 펀칭하여 상기 제1레그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펀치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분리홀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분리홀 커터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에 제1분리홀부를 형성하고, 제2분리홀 커터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타측에 제2분리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펀치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기 이동홀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3이동 커터부가 상기 이동홀부를 형성하고, 제3분리 커터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타측에 제3분리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기 제1측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절곡하는 단계에서는, 제1레그안착부가 제2레그부에 접촉되고, 제1경사절곡부가 상기 제1레그안착부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측면부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하고, 제1푸시절곡부가 상기 제1측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상측으로 절곡할 수 있다.
상기 제1펀치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기 제1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어싱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가이드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어싱부, 상기 제1펀치부, 상기 제2펀치부, 상기 제3펀치부, 상기 제4펀치부, 상기 제1절곡부, 상기 테두리 절단부, 상기 제2절곡부 및 상기 분리 절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이송 경로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금형에 배치되는 제1펀치부, 제2펀치부, 제3펀치부, 제4펀치부 및 테두리 절단부가 플레이트를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가공하므로, 버(bur)가 브러시 홀더부의 절단 부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동금형에 배치되는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브러시 홀더부의 하면부, 상면부, 제1절곡부 및 제2측면부를 상측(버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올려 절곡하므로, 브러시 홀더부에서 절단 부위의 버가 브러시 홀더부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브러시 홀더부가 제조된다. 따라서, 브러시부가 브러시 홀더부에서 이동될 때에 버에 걸리거나 버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브러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에서 브러시 홀더부가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장치(100)는 고정금형(101), 이동금형(102), 제1펀치부(120), 제2펀치부(130), 제3펀치부(140), 제4펀치부(150), 제1절곡부(260), 테두리 절단부(170), 제2절곡부(280) 및 분리 절단부(190)를 포함한다.
브러시 홀더부(20)는 모터의 고정자(stater)에 설치된다. 브러시 홀더부(20)의 내부에는 브러시부(미도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러시부는 전선(미도시)에 연결되고, 전선은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된다. 브러시가 회전자(rotator)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자에 전원이 공급된다.
브러시 홀더부(20)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브러시의 전선 연결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홀부(28)가 형성된다. 이동홀부(28)는 브러시 홀더부(20)의 상면부(27)에 브러시 홀더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상면부(27)의 양측에는 제1측면부(24)와 제2측면부(25)가 수직하게 절곡되고, 제1측면부(24)에는 제1레그부(21)가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측면부(25)에는 제2레그부(22)가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1레그부(21)와 제2레그부(22)는 각각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금형(101)에는 플레이트(10)가 공급된다. 이동금형(102)은 고정금형(101)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고정금형(101)은 이동금형(10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동금형(102)의 플레이트(10) 공급측에는 피어싱부(110)가 설치된다. 피어싱부(110)는 플레이트(10)의 폭방향 양측에 1피치(P1-P10) 간격으로 가이드홀부(11)를 형성한다. 이때, 플레이트(10)는 1피씩(P1-P10) 이동되고, 이동금형(102)은 플레이트(10)가 1피씩(P1-P10) 이동될 때마다 1번씩 하강된다.
이동금형(102)에는 제1펀치부(120), 제2펀치부(130), 제3펀치부(140), 제4펀치부(150), 제1절곡 가이드부(180), 테두리 절단부(170), 제2절곡홈부(160) 및 분리 절단부(190)가 설치되고, 고정금형(101)에는 제1펀치홀부(220), 제2펀치홀부(230), 제3펀치홀부(240), 제4펀치홀부(250), 제1절곡부(260), 테두리 절단부(270), 제2절곡부(280) 및 분리 절단홀부(290)가 설치된다.
피어싱부(110), 제1펀치부(120), 제2펀치부(130), 제3펀치부(140), 제4펀치부(150), 제1절곡부(260), 테두리 절단부(170), 제2절곡부(280) 및 분리 절단부(190)는 플레이트(10)의 이송 경로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이동금형(102)이 1번 하강될 때마다 피어싱부(110), 제1펀치부(120), 제2펀치부(130), 제3펀치부(140), 제4펀치부(150), 제1절곡부(260), 테두리 절단부(170), 제2절곡부(280) 및 분리 절단부(190)가 플레이트(10)의 해당 구간을 동시에 가공한다.
피어싱부(110)는 제1펀치부(120)의 플레이트(10) 공급측에 배치되고, 플레이트(10)의 폭방향 양측에 1피치 간격으로 가이드홀부(11)를 형성한다. 플레이트(10)가 1피치씩 이동될 때마다 피어싱부(110)가 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가이드홀부(11)를 형성하므로, 플레이트(10)의 양측에 1피치(P1-P10) 간격으로 가이드홀부(11)가 형성된다.
제1펀치부(120)는 브러시 홀더부(20)의 제1레그부(21)를 형성하도록 이동금형(102)에 배치된다. 제1펀치부(120)는 피어싱부(11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가이드홀부(11)가 형성된 후 플레이트(10)가 1피치 이동되면, 제1펀치부(120)가 플레이트(10)에 제1레그부(21)를 형성한다.
제2펀치부(130)는 플레이트(10)의 폭방향 양측에 분리홀부(13,14)를 형성하도록 이동금형(102)에 배치된다. 제2펀치부(130)는 제1펀치부(12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제3펀치부(140)는 브러시 홀더부(20)에 이동홀부(28)를 형성하도록 이동금형(102)에 배치된다. 제3펀치부(140)는 제2펀치부(13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제4펀치부(150)는 브러시 홀더부(20)의 제2레그부(22)를 형성하도록 이동금형(102)에 배치된다. 제4펀치부(150)는 제3펀치부(14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제1절곡 가이드부(180)는 브러시 홀더부(20)의 제1측면부(24)와 하면부(26)를 상측으로 절곡하도록 이동금형(102)에 설치된다. 제1절곡 가이드부(180)는 제4펀치부(15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및 2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테두리 절단부(170)는 브러시 홀더부(20)의 제1스크랩편(16)을 절단한다. 테두리 절단부(170)는 제1절곡 가이드부(16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제2절곡홈부(180)는 브러시 홀더부(20)의 상면부(27)의 양측을 상측으로 절곡하도록 이동금형(102)에 설치된다. 제2절곡홈부(180)는 테두리 절단부(17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분리 절단부(190)는 브러시 홀더부(20)의 제2스크랩편(17)를 절단하여 플레이트(10)에서 브러시 홀더부(20)를 분리시키도록 이동금형(102)에 설치된다. 분리 절단부(190)는 제2절곡홈부(18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고정금형(101)에 배치되는 제1펀치부(120), 제2펀치부(130), 제3펀치부(140), 제4펀치부(150) 및 테두리 절단부(170)가 플레이트(1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가공하므로, 버(bur)가 브러시 홀더부(20)의 절단 부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동금형(102)에 배치되는 제1절곡부(260)와 제2절곡부(280)가 브러시 홀더부(20)의 하면부(26), 상면부(27), 제1절곡부(260) 및 제2측면부(25)를 상측(버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올려 절곡하므로, 브러시 홀더부(20)에서 절단 부위의 버가 브러시 홀더부(20)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브러시 홀더부(20)가 제조된다. 따라서, 브러시부가 브러시 홀더부(20)에서 이동될 때에 버에 걸리거나 버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브러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펀치부(120)는 제1레그부(21)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레그 서포터부(121)와, 제1레그 서포터부(121)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제1레그 커터부(123)를 포함한다. 제1레그 커터부(123)가 제1레그 서포터부(121)의 외측에서 하강되면서 제1레그부(21)의 둘레부를 절단하므로, 제1레그 서포터부(121)에 대응되도록 제1레그부(21)가 형성된다.
제2펀치부(130)는 플레이트(10)의 폭방향 일측에 제1분리홀부(13)를 형성하도록 이동금형(102)에 배치되는 제1분리홀 커터부(131)와, 플레이트(10)의 폭방향 타측에 제2분리홀부(14)를 형성하도록 이동금형(102)에 배치되는 제2분리홀 커터부(133)를 포함한다. 제1분리홀 커터부(131)와 제2분리 커터부(133)가 하강되면서 제1분리홀부(13)와 제2분리홀부(14)를 동시에 형성한다.
제3펀치부(140)는 이동홀부(28)를 형성하도록 이동금형(102)에 배치되는 제3이동 커터부(141)와, 플레이트(10)의 폭방향 타측에 제3분리홀부(미도시)를 형성하도록 이동금형(102)에 배치되는 제3분리 커터부(143)를 포함한다. 이동홀부(28)는 플레이트(10)의 폭방향과 나란한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제3이동 커터부(141)와 제3분리 커터부(143)가 하강되면서 이동홀부(28)와 제3분리홀부를 동시에 형성한다.
제1절곡홈부(180)는 제2레그부(22)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레그안착홈부(161)와, 제1레그안착홈부(161)의 둘레부에 제1측면부(24)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하도록 고정금형(101)에 설치되는 제1경사절곡홈부(163)와, 제1측면부(24)와 하면부(26)를 상향으로 수직하게 절곡하도록 고정금형(101)에 설치되는 제1푸시절곡홈부(165)를 포함한다. 이때, 제1레그안착홈부(161)와 제1경사절곡홈부(163)는 제4펀치부(15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되고, 제1푸시절곡홈부(165)는 제4펀치부(150)가 설치된 영역에서 2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레그안착홈부(161)와 제1경사절곡홈부(163)가 제1측면부(24)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하고, 플레이트(10)가 1피치 이동된 후 제1푸시절곡홈부(165)가 측면부와 하면부(26)를 상향으로 수직하게 절곡한다.
테두리 절단부(170)는 플레이트(10)의 일측 스크랩에 대향되도록 플레이트(10)의 일측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테두리 절단부(170)가 제1스크랩편(16)을 절단하면, 제스크랩편(161)은 고정금형(101)의 테두리 절단홀부(270)를 통해 배출된다.
제2절곡홈부(180)는 상면부(27)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하는 제2경사절곡홈부(181)와, 제2경사절곡홈부(181)의 일측에 제2측면부(25)를 지지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고정금형(101)에 설치되는 제2서포트 가이드홈부(183)와, 하면부(26)와 상면부(27)를 상향으로 절곡하도록 고정금형(101)에서 제2서포트 가이드홈부(183)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푸시절곡홈부(185)를 포함한다. 제2경사절곡홈부(181)는 테두리 절단부(170)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되고, 제2서포트 가이드홈부(183)와 제2푸시절곡홈부(185)는 제2경사절곡홈부(181)가 설치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에서 브러시 홀더부가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금형(101)에는 피어싱부(110)에 대향되도록 피어싱홀부(210)가 형성된다. 피어싱홀부(210)는 피어싱부(110)를 형성할 때에 발생되는 스크랩을 외부에 배출한다.
피어싱부(110)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는 제1펀치홀부(220)가 형성된다. 제1펀치홀부(220)는 제1펀치부(12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펀치홀부(220)가 형성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는 제2펀치홀부(230)가 형성된다. 제2펀치홀부(230)는 제2펀치부(13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펀치홀부(230)는 제1분리 커터홀부(231)와 제2분리 커터홀부(233)를 포함한다. 제1분리 커터홀부(231)와 제2분리 커터홀부(233)는 플레이트(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제3펀치홀부(240)는 제2펀치홀부(230)가 형성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형성된다. 제3펀치홀부(240)는 제3펀치부(14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3펀치홀부(240)는 제3이동 커터홀부(241)와 제3분리 커터홀부(243)를 포함한다. 제3이동 커터홀부(241)와 제3분리 커터홀부(243)는 플레이트(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제4펀치홀부(250)는 제3펀치홀부(240)가 형성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형성된다. 제4펀치홀부(250)는 제4펀치부(15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절곡부(260)는 제4펀치홀부(250)가 형성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형성된다. 제1절곡부(260)는 제1절곡홈부(18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절곡부(260)는 제1레그안착부(261), 제1경사절곡부(263) 및 제1푸시절곡부(265)를 포함한다.
테두리 절단홀부(270)는 제1절곡홈부(180)가 형성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형성된다. 테두리 절단홀부(270)는 테두리 절단부(17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테두리 절단부(170)에서 절단된 제1스크랩편(16)은 테두리 절단홀부(270)를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제2절곡부(280)는 테두리 절단홀부(270)가 형성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형성된다. 제2절곡부(280)는 제2절단홈부(18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분리 절단홀부(290)는 제2절곡부(208)가 형성된 영역에서 1피치 이격된 영역에 형성된다. 분리 절단홀부(290)는 분리 절단부(19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부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100)는 이동금형(102)이 1번 하강될 때마다 피어싱부(110), 제1펀치부(120), 제2펀치부(130), 제3펀치부(140), 제4펀치부(150), 제1절곡부(260), 테두리 절단부(170), 제2절곡부(280) 및 분리 절단부(190)가 플레이트(10)의 해당 구간을 동시에 가공한다. 아래에서는 플레이트(10)의 해당 구간에서 플레이트(10)가 가공되는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플레이트(10)가 고정금형(101)과 이동금형(102) 사이에 1피치씩 이송된다(S11). 1피치는 브러시 홀더부(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플레이트(10)가 1피치 이동된 후 이동금형(102)이 하강되면, 피어싱부(110)가 플레이트(10)에 가이드홀부(11)를 형성한다(S12). 이때, 가이드홀부(11)는 플레이트(10)의 양측에 하나씩 형성된다. 피어싱부(110)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은 피어싱홀부(210)를 통해 배출된다.
제1펀치부(120)가 플레이트(10)에 브러시 홀더부(20)의 제1레그부(21)를 형성한다(S13). 이때, 제1레그 서포터부(121)가 제1레그부(21)에 접촉되고, 제2레그 커터부(123)가 제1레그 서포터부(121)의 둘레부를 펀칭하여 제1레그부(21)를 형성한다. 제1펀치부(120)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은 제1펀치홀부(220)를 통해 배출된다.
제2펀치부(130)가 플레이트(10)의 폭방향 양측에 제1분리홀부(13)를 형성한다(S14). 이때, 제1분리홀 커터부(131)가 플레이트(10)의 폭방향 일측에 제1분리홀부(13)를 형성하고, 제2분리홀 커터부(133)가 플레이트(10)의 폭방향 타측에 제2분리홀부(14)를 형성한다. 제2펀치부(130)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은 제2펀치홀부(230)를 통해 배출된다.
제3펀치부(140)가 브러시 홀더부(20)의 이동홀부(28)를 형성한다(S15). 이때, 제3이동 커터부(141)가 이동홀부(28)를 형성하고, 제3분리 커터부(143)가 플레이트(10)의 폭방향 타측에 제3분리홀부를 형성한다. 제3펀치부(140)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은 제3펀치홀부(240)를 통해 배출된다.
제4펀치부(150)가 브러시 홀더부(20)의 제2레그부(22)를 형성한다(S16). 제4펀치부(150)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은 제3펀치홀부(240)를 통해 배출된다.
제1절곡부(260)가 브러시 홀더부(20)의 제1측면부(24)와 하면부(26)를 절곡한다(S17). 제1절곡부(260)는 이동금형(102)의 제1절곡 가이드부(160)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때, 제1레그 안착부(261)가 제2레그부(22)에 접촉되고, 제1경사절곡부(263)가 제1레그 안착부(26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제1측면부(24)를 경사지게 절곡하고, 제1푸시절곡부(265)가 제1측면부(24)와 하면부(26)를 수직하게 절곡한다.
테두리 절단부(170)가 브러시 홀더부(20)의 제1스크랩편(16)를 절단한다(S18). 테두리 절단부(170)가 일측 스크랩을 절단하면, 제1스크랩편(16)은 고정금형(101)의 테두리 절단홀부(270)를 통해 배출된다.
제2절곡부(280)가 브러시 홀더부(20)의 상면부(27)의 양측을 절곡한다(S19). 이때, 제2경사 절곡부(281)가 상면부(27)를 경사지게 절곡하고, 제2서포트 가이드부(283)가 제2경사 절곡부(281)의 일측에서 제2측면부(25)를 지지하고, 제2서포트 가이드부(283)가 브러시 홀더부(20)의 하면부(26)와 상면부(27)를 가압하여 상측으로 절곡한다.
분리 절단부(190)가 브러시 홀더부(20)의 제2스크랩편(17)를 절단하여 플레이트(10)에서 브러시 홀더부(20)를 분리시킨다(S20). 따라서, 이동금형(102)이 한 번 하강할 때마다 하나의 분리 절단부(190)가 제조된다. 분리 절단부(190)가 제2스크랩편(17)을 절단하면, 제2스크랩편(17)은 고정금형(101)의 분리 절단홀부(2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플레이트 11: 가이드홀부
13: 제1분리홀부 14: 제2분리홀부
16: 일측 스크랩부 17: 타측 스크랩부
20: 브러시 홀더부 21: 제1레그부
22: 제2레그부 23: 전선 접속부
24: 제1측면부 25: 제2측면부
26: 하면부 27: 상면부
28: 이동홀부 100: 제조장치
101: 고정금형 102: 이동금형
110: 피어싱부 120: 제1펀치부
121: 제1레그 서포터부 123: 제1레그 커터부
130: 제2펀치부 131: 제1분리홀 커터부
133: 제2분리홀 커터부 140: 제3펀치부
141: 제3이동 커터부 143: 제3분리 커터부
150: 제4펀치부 160: 제1절곡 가이드부
161: 제1레그안착홈부 163: 제1경사절곡홈부
165: 제1푸시절곡홈부 170: 테두리 절단부
180: 제1절곡홈부 181: 제2경사절곡홈부
183: 제2서포트 가이드홈부 185: 제2푸시절곡홈부
190: 분리 절단부 210: 피어싱홀부
220: 제1펀치홀부 230: 제2펀치홀부
231: 제1분리 커터홀부 233: 제2분리 커터홀부
240: 제3펀치홀부 241: 제3이동 커터홀부
243: 제3분리 커터홀부 250: 제4펀치홀부
260: 제1절곡부 261: 제1레그안착부
263: 제1경사절곡부 265: 제1푸시절곡부
270: 테두리 절단홀부 280: 제2절곡부
290: 분리 절단홀부

Claims (7)

  1. 제1펀치부가 플레이트에서 브러시 홀더부의 제1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2펀치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분리홀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3펀치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이동홀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4펀치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제2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1절곡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제1측면부와 하면부를 절곡하는 단계;
    테두리 절단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제1스크랩편를 절단하는 단계;
    제2절곡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면부의 양측을 절곡하는 단계; 및
    분리 절단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제2스크랩편을 절단하여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브러시 홀더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기 제1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레그 서포터부가 상기 제1레그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1레그 커터부가 제1레그 서포터부의 둘레부를 펀칭하여 상기 제1레그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펀치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분리홀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분리홀 커터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에 제1분리홀부를 형성하고,
    제2분리홀 커터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타측에 제2분리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펀치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기 이동홀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제3이동 커터부가 상기 이동홀부를 형성하고,
    제3분리 커터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타측에 제3분리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기 제1측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절곡하는 단계에서는,
    제1레그안착부가 제2레그부에 접촉되고,
    제1경사절곡부가 상기 제1레그안착부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측면부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하고,
    제1푸시절곡부가 상기 제1측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상측으로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브러시 홀더부의 상기 제1레그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피어싱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가이드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부, 상기 제1펀치부, 상기 제2펀치부, 상기 제3펀치부, 상기 제4펀치부, 상기 제1절곡부, 상기 테두리 절단부, 상기 제2절곡부 및 상기 분리 절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이송 경로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KR1020200184827A 2020-12-28 2020-12-28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KR10246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827A KR102465517B1 (ko) 2020-12-28 2020-12-28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827A KR102465517B1 (ko) 2020-12-28 2020-12-28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71A true KR20220093771A (ko) 2022-07-05
KR102465517B1 KR102465517B1 (ko) 2022-11-11

Family

ID=8240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827A KR102465517B1 (ko) 2020-12-28 2020-12-28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5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671U (ko) * 1998-03-11 1999-10-15 김규태 스포트용접장치가 구비된 복합 프레스금형
JP2005073317A (ja) * 2003-08-27 2005-03-17 Mitsuba Corp ブラシ保持装置
KR100794452B1 (ko) * 2007-03-09 2008-01-17 동광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스테빌라이져바의 마운팅 브라켓 성형방법
KR20100073280A (ko) * 2008-12-23 2010-07-01 조일공업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차량 시트용 시트 백 프레임의 상부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상부 브라켓
JP4860744B2 (ja) * 2009-10-27 2012-01-25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JP2012191676A (ja) * 2011-03-08 2012-10-04 Nippon Densan Corp モータ及び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JP2015208212A (ja) * 2014-04-09 2015-11-19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ホルダ装置及び回転電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671U (ko) * 1998-03-11 1999-10-15 김규태 스포트용접장치가 구비된 복합 프레스금형
JP2005073317A (ja) * 2003-08-27 2005-03-17 Mitsuba Corp ブラシ保持装置
KR100794452B1 (ko) * 2007-03-09 2008-01-17 동광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스테빌라이져바의 마운팅 브라켓 성형방법
KR20100073280A (ko) * 2008-12-23 2010-07-01 조일공업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차량 시트용 시트 백 프레임의 상부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상부 브라켓
JP4860744B2 (ja) * 2009-10-27 2012-01-25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JP2012191676A (ja) * 2011-03-08 2012-10-04 Nippon Densan Corp モータ及び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JP2015208212A (ja) * 2014-04-09 2015-11-19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ホルダ装置及び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517B1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20467A (ja) 打ち抜き加工装置および打ち抜き加工方法
KR102431934B1 (ko)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복합프로그래시브 금형장치
JP2012000631A (ja) パンチプレスの追切り切断用パンチ金型、コーナー切断用パンチ金型、および板材の開口形成方法
KR102465517B1 (ko)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쉬 홀더부 공정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JPH0515665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の製法
CN218015158U (zh) 一种冲切装置、制带机构及焊接设备
JPS6032435B2 (ja) モ−タブランクの製造方法とその切断工具
JP4749044B2 (ja) 電気かみそり器の内刃及びその製法
KR101866339B1 (ko) 버 발생 방지가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절단용 프레스 칼금형 및 그 제작방법
JP4446800B2 (ja) トリム型
KR101936298B1 (ko) 코어 소재 절단장치와 이를 갖는 적층 코어 제조시스템 및 적층 코어 제조방법
CN211965553U (zh) 一种精密冲切模具
JP2004154800A (ja) プレス成形装置
JP7344860B2 (ja) 剥離装置、剥離方法、及び剥離プログラム
CN220144522U (zh) 一种刹车踏板支架切断模具
JPH0823060A (ja) リード切断成形方法及びリード切断成形金型
JP2006346687A (ja) プレス順送金型装置およびモータ又はイグニッション用のコア
CN205551335U (zh) 全自动切脚装置
JP2686822B2 (ja) 波形放熱板の製造方法及び波形放熱板の切断方法
JP4439563B2 (ja) シェービング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CN217252095U (zh) 级进冲压模具
JPH0366415A (ja) 曲げ型装置
JPH09271858A (ja) 帯状材の打抜き方法及び打抜き装置
JPH0732059A (ja) プレス加工方法
CN111936247B (zh) 废料部的废料上升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