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601A - 통 압착 커피 베리 쥬스 - Google Patents

통 압착 커피 베리 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601A
KR20220062601A KR1020227012099A KR20227012099A KR20220062601A KR 20220062601 A KR20220062601 A KR 20220062601A KR 1020227012099 A KR1020227012099 A KR 1020227012099A KR 20227012099 A KR20227012099 A KR 20227012099A KR 20220062601 A KR20220062601 A KR 20220062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coffee
product
juice product
ber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몬드 샤흐트
브렌다 루단
헥터 엠. 델 발레
스티브 알몬
유 팡
후안 카를로스 모타메이어 아리스
로라 헤스
마르셀로 페레즈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2006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6Function of food ingredients pH modificatio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28Chlorog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8Caffeine, coffee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자들은 통 커피 베리로부터 생산된 커피 베리 쥬스가 커피 및 커피 베리 추출물 제품과 비교할 때 뚜렷한 맛 및 화학적 프로파일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개시된 발명은 커피 베리 쥬스 제품 및 커피 베리 쥬스 제품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카페인, 클로로겐산, 및 테르펜의 농도가 증가된 통 커피 베리의 용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 압착 커피 베리 쥬스
본 출원은 2020년 9월 18일에 출원되었고, 2019년 9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02,053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커피 베리(coffee berry)로 불리는 커피 체리(coffee cherry)는 커피 식물의 가지를 따라 클러스터로 성장하는 포도 크기 정도의 작고 둥근 열매이다. 이들은 녹색에서 진한 적색 또는 때로는 황적색으로 성숙한다. 이러한 열매의 껍질은 매끄럽고 팽팽하고 광이나며 씁쓸한 향미가 있는 반면, 과육은 수박, 히비스커스, 베리, 라즈베리, 및 크랜베리의 혼합 노트로 매우 달콤하고 부드럽고 과즙이 많다. 열매의 중심에는 두 개의 청록색 종자가 있으며, 이는 신선한 형태의 커피 콩이다.
커피 베리는 루비아세아에(Rubiaceae) 과에 속하며 코페아(Coffea) 속이다. 다수의 상이한 종의 커피 베리 식물이 있지만, 오늘날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두 가지 주요 식물은 간단히 아라비카 커피로 알려진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와 로부스타 커피로 알려진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이다. 오늘날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라비카 커피의 변종은 100 가지가 넘는다. 로부스타 커피는 카페인 함량이 더 높고 쓴맛이 더 많으며, 주로 블렌드 또는 인스턴트 커피에 사용된다.
커피 베리는 커피를 생산하기 위해 로스팅되고 가공되는 종자에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커피 베리의 과육은 쥬스가 될 수 있고 다른 과일 쥬스 또는 물과 조합될 수 있으며, 심지어 드링크용 분말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볶은 종자는 또한 갈아서 아이스크림, 구운 식품, 및 초콜릿의 향미를 내는 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커피 베리 식물의 잎을 말리고 침지시켜 약간의 카페인 차를 제조할 수 있다. 커피 베리의 과육과 껍질은 커피 생산 과정 중에 폐기되지만, 흔히 비료 및 가축 사료로 용도가 변경된다. 커피 베리가 슈퍼-과일로 더 널리 인식됨에 따라, 이제는 커피 외에 영양 보충제, 미용 제품, 에센셜 오일, 및 기타 자극 음료의 구성성분으로 더 흔히 발견된다. 커피 베리는 부패하기 매우 쉬우므로 수확 후 며칠 이내에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최종 쥬스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앞서 언급된 다양한 부분의 커피 베리를 모두 사용하는 공지된 제품은 없으며, 특히, 소비자용 쥬스 제품은 없다. 최종 제품의 비-제한적 예는 쥬스, 쥬스 드링크, 차, 수화 음료, 스파클링 음료 및 스무디와 같은 음료를 포함한다.
US6572915에는 과일 껍질, 알맹이 및 커피 체리와 같이 폐기물의 처리 시 존재하는 유익한 작용제로 과일 제품 및 커피를 농후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폐기물은 건조되고 적절한 유기 용매 및/또는 물로 추출된다. 추출물은 요망되는 경우 건조 및 정제되고, 과일 가공 폐기물과 같은 폐기물에 상응하는 식품에 블렌딩될 수 있고, 추출물은 과일 쥬스, 통조림 또는 냉동 과일 등과 조합될 수 있으며, 커피 체리 추출물은 분쇄 또는 동결-건조 커피와 조합될 수 있다. '915는 마지막 최종 제품에서 항산화제를 증가시키는 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EP 1863354에는 음료 제형이 카페인을 갖고(여기서 음료는 약 0.07 내지 약 0.30 ㎎/㎖의 범위의 카페인 수준을 포함함),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첨가된 향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는 커피 베리의 용도가 교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음료는 커피 체리 껍질 및 커피 체리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을 포함하고; 추출물은 음료의 표준화된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약 30%의 범위이고; 카페인의 적어도 일부는 추출물로부터 유래되고; 광학적 투명성은 적어도 약 10 미만의 헤이즈 값에 의해 측정되고; 첨가된 향의 적어도 일부는 추출물로부터 회수된 향으로부터 유래된다. 그러나, EP '354 특허에 제시된 카페인 수준은 커피 베리 전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생리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고수준의 카페인을 갖는 음료 제품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높은 카페인 수준을 갖는 최종 제품을 제공하지 않는다.
WO 2004/98320에는 커피 체리로부터 영양소를 분리하거나, 커피 체리 또는 이의 일부를 포함하는 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도 3). 커피 체리는 다양한 아플라톡신, 푸모니신, 오크라톡신, 및/또는 구토신(DON, 데옥시니발레놀)을 포함하는 극도로 낮은 농도의 마이코톡신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WO '320 출원은 커피 체리로부터 요망되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용매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카페인, 클로로겐산(CGA) 및 테르펜과 같은 천연 발생 성분을 포함하는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소비자 제품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개시는 쥬스, 쥬스 제품 및 쥬스 또는 쥬스 제품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쥬스는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다. 특히 바람직한 쥬스 제품은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쥬스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카페인, CGA, 및 테르펜의 농도가 증가된 통 커피 베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요지의 일 양태에서, 쥬스 제품의 제조 방법은 커피 베리를 쥬스 제품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갖고, 주요 구성성분이 커피 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피 베리는 세척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커피 베리를 용액과 접촉시켜 갈변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쥬스 제품은 음료인 것이 더욱더 특히 바람직하고, 적합한 음료는 쥬스, 및/또는 탄산 음료를 포함하는 것이 상정된다.
본 발명의 요지의 또 다른 양태에서, 커피 식물로부터 영양-풍부 형태의 커피 베리 쥬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커피 베리를 제공하고 분쇄하는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것이다. 또 다른 단계에서, 커피 베리는 통 커피 베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은, 추출물과 달리, 커피 베리 쥬스의 화학적 프로파일이 임의의 단일 특정 영양소 분획에 대해 향상되지 않고 오히려 커피 베리 전체의 화학적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화학적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요지의 추가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식품은 본 개시에 따른 커피 베리 쥬스 또는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쥬스 제품을 포함한다. 식품은 본질적으로 커피 베리 쥬스 또는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쥬스 제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식품은 대안적으로 커피 베리 쥬스 또는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쥬스 제품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추가 성분 또는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식품은 고체 식품, 반고체 식품, 유동성 식품, 냉동 식품, 드링크 또는 음료일 수 있다.
도 1은 커피 베리 쥬스 제조 공정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직접 증기 주입(DSI) 저온살균 처리의 유무에 관계없이 커피 베리 쥬스에서 휘발성을 보여주는 크로마토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통 커피 베리로부터 생산된 커피 베리 쥬스가 커피 및 커피 베리 추출물 제품과 비교할 때 뚜렷한 맛 및 화학적 프로파일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쥬스 제품"은 인간 및/또는 동물 영양, 건강-관리, 건강-개선, 및/또는 레크리에이션 목적을 위해 쥬스 또는 물 또는 다른 성분과 쥬스의 조합물로부터 제조된 음료 제품을 지칭한다. 특히 바람직한 쥬스 제품은 인간이 소비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쥬스"는 식물 물질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액체, 또는 그러한 액체의 희석된 형태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쥬스는 식물 물질을 가용화함으로써 생산되지 않는다. "추출물"은 열, 화학적 또는 고압 수단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식물 물질로부터 축출되거나 강제로 제거되는 물질이다. 추출물은 액체로 존재할 수 있지만, 식물에서 액체 형태로 자연적으로 발견되지 않으며, 대신에 식물의 액체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화학적 성분의 조합물이다.
본원에서 또한 사용되는 용어 "커피 베리"는 외과피 및 외부 중과피(즉, 과육)가 내부 중과피(즉, 점액) 및 내과피(즉, 외피)를 둘러싸고 이후 종자(즉, 콩)를 둘러싸는 커피 나무(코페아(Coffea) 종)의 열매를 지칭한다. 따라서, 용어 커피 베리는 구체적으로 베리의 줄기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통 커피 베리를 지칭한다.
용어 "익은 커피 베리"는 실질적으로 적색으로 감지될 수 있는 익은 단계에 도달한 커피 베리를 지칭한다. 이는 녹색의 덜 익은 커피 베리와 대조적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볼 때, 익은 커피 베리는 일반적으로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베리의 적어도 95%) 적색(또는 일부 경우에는 황색)을 갖는다. 따라서, 덜 익은 커피 베리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간의 녹색(적어도 5%, 보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10%)을 나타낼 것이다.
본원에서 또한 사용되는 용어 "영양소"는 섭취되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지칭하고,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섭취하는 사람에게 영양적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영양소는 구체적으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의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제공하고(예를 들어, 다당류), 신경계 및/또는 면역계와 상호 작용하여 조절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신경계 및/또는 면역계를 자극하거나(예를 들어, 카페인),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예를 들어, 항산화제로서의 폴리페놀)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페놀"은 식물에 의해 생산된 다양한 그룹의 화합물을 지칭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적어도 1 개의 OH 기 및 보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2 개의 OH 기가 공유 결합된 페놀 고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폴리페놀로는 엘라긴산, 타닌산, 바닐린, 카페인산, CGA, 퍼룰린산, 카테킨(예를 들어,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칼로카테킨), 플라보놀(예를 들어, 안토시아니딘, 퀘르세틴, 카엠프페롤), 및 다양한 그 밖의 플라보노이드, 및 이들의 글리코사이드 및 뎁시드(depside)를 포함한다. 추가로, 고려되는 폴리페놀은 또한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형태(예를 들어, 올리고머 프로안토시아니딘 또는 축합된 탄닌)일 수 있다.
용어 "약"은 당업자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은 측정의 정상적인 편차를 포함하기 위해 수치와 함께 사용되며, "대략"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명시된 값의 ±10%와 같이 전형적인 오차 한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약"은 또한 특정 초기 조성물로부터 생성되는 조성물에 대한 상이한 평형 조건으로 인해 상이한 양을 포괄한다. 용어 "약"에 의해 수정되든 아니든, 청구 범위는 양에 대한 등가물을 포함한다.
커피 베리 쥬스 및 쥬스 제품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커피 베리 쥬스 및 커피 베리 쥬스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이 본원에 기재될 것이다. 참고로, 커피 베리 쥬스는 완제품, 반제품 또는 중간 쥬스 제품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피 베리 쥬스는 마실 수 있는 최종의 즉시 소비되는 쥬스 제품일 수 있다. 쥬스 제품은 현재의 커피 베리 쥬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쥬스 제품은 본 발명의 커피 베리 쥬스 및 본 발명의 커피 베리 쥬스와 상이하거나 이로부터 유래되지 않은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커피 베리 쥬스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커피 베리는 코페아 아라비카 또는 이의 유도체, 코페아 카네포라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코페아 카네포라가 사용되는 구현예에서, 커피 베리는 크라시폴리아(Crassifolia), 고스웨일레리(gossweileri), 히에르니(hiernii), 히나울티(hinaultii), 쿠일루엔시스(kouilouensis), 라우렌티(laurentii), 마클라우디(maclaudii), 무니엔시스(muniensis), 엔간다(nganda), 올리고네우라(oligoneura), 오파카(opaca), 로부스타(robusta), 산쿠루엔시스(sankuruensis), 산쿠루엔시스(sankuruensis), 스툴만니(stuhlmannii), 트릴레시(trillesii), 우간다에(ugandae), 웰위치이(welwitschii), 윌데마니(wildemanii)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쥬스 제품이 코페아 아라비카 종으로부터의 커피 베리를 포함하는 경우, 커피 베리는 아카쿠아(acaqua), 아마렐(amarelle), 아나카페 14(Anacafe 14), 안구스티폴리아(angustifolia), 바티안(Batian), 브루봉 마야궤스 139(Bourbon Mayaguez 139), 브루봉 마야궤스 71(Bourbon Mayaguez 71), 버번(bourbon), 브레비스티풀라타(brevistipulata), 불라타(bullata), 카시오피(Casiopea), 카티모르 129(Catimor 129), 카티모르(catimor), 카티식(Catisic), 카투아이(Catuai), 카투이(catuey), 카투라(caturra), 센트로아메리카노(Centroamericano), 컬럼나리스(columnaris), 코스타 리카 95(Costa Rica 95), 쿠스카틀레코(Cuscatleco), 에렉타(erecta), 에발루나(Evaluna), 프론톤(Fronton), 게이샤(파나마)(Geisha(Panama)), H3, 하라 르완다(Harrar Rwanda), IAPAR 59, 이카페 90(Ihcafe 90), 잭슨 2/1257(Jackson 2/1257), 자바(Java), K7, KP423, 렘피라(lempira), 리마니(Limani), 로바타(lobata), 론지스티풀라타(longistipulata), 마라고기페(Maragogipe), 마르셀레사(Marsellesa), 미비리자(Mibiriza), 밀레니오(Milenio), 모카(Mokka), 모노스페르마(monosperma), 문도 마야(Mundo Maya), 문도 노보(Mundo Novo), 무르타 라리에르 펜둘라(murta Lali
Figure pct00001
re pendula), 나야리타(Nayarita), 네마야(Nemaya), 냐살란드(Nyasaland), 오바타 로조(Obata Rojo), 오로 아즈테카(Oro Azteca), 파카마라(Pacamara), 파카스(Pacas), 파체(Pache), 파라이네마(Parainema), 폴리스퍼마(polysperma), Pop3303/21, 푸베센스(pubescens), 푸르푸라센스(purpurascens), RAB C15, 로툰디폴리아(rotundifolia), 루이루 11(Ruiru 11), SL14, SL28, SL34, 스타마야(Starmaya), 스트라미네아(straminea), 순다나(sundana), T5175, T5296, T8667, 테키식(Tekisic), 투페이(tupey), 타이피카(typica), 바리에가테(variegate), 베네키아(Venecia), 빌라 사르키(Villa Sarchi)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변종으로부터 선택된다. 당업자는 다양한 맛 프로파일을 얻기 위해 다양한 변종 및 과의 커피 베리를 블렌딩할 수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단일 커피 베리 변종 또는 커피 베리 변종들의 조합물을 사용하면 요망되는 최종 커피 쥬스 제품에 따라 다양한 화학적 프로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쥬스 제품은 커피 베리 쥬스의 생산 중에 첨가되는 감귤 쥬스 및/또는 유기산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의 경우, 오렌지 쥬스, 레몬 쥬스, 라임 쥬스, 클레멘타인 쥬스, 시트론 쥬스, 탠저린 쥬스, 말산, 시트르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pH 개질제를 포함한다. 후술되는 열대 과일 쥬스를 포함하거나 배제하는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또한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감귤류 또는 유기산을 포함하거나 배제하는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또한 열대 과일 쥬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열대 과일 쥬스는 아세로라 쥬스, 아세로라 퓨레,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효소적 산화 개질제를 포함한다. 아세로라가 사용되는 구현예에서, 아세로라는 B-17, 드워프(Dwarf), 플로리다 스위트(Florida Sweet), 마노아 스위트(Manoa Sweet), 보몬트(Beaumont), 헤일리(Haley), 하와이안 퀸(Hawaiian Queen), 마우나윌리(Maunawili), 레드 점보(Red Jumbo), 렌보그(Rehnborg), 트로피컬 루비(Tropical Ruby) 및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변종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상기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적어도 약 100 ㎎/ℓ, 또는 약 200 ㎎/ℓ, 또는 약 300 ㎎/ℓ, 또는 약 400 ㎎/ℓ, 또는 약 5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가질 것이다.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의 화학적 프로파일은 약 500 ㎎/ℓ 내지 약 7,000 ㎎/ℓ, 또는 약 750 ㎎/ℓ 내지 약 6,000 ㎎/ℓ, 또는 약 1,000 ㎎/ℓ 내지 약 5,000㎎/ℓ, 또는 약 1,200 ㎎/ℓ 내지 약 4,000 ㎎/ℓ, 또는 약 1,400 ㎎/ℓ 내지 약 3,000 ㎎/ℓ, 또는 약 1,600 ㎎/ℓ 내지 약 2,6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약 100 ㎎/ℓ 내지 약 2,600 ㎎/ℓ, 약 300 ㎎/ℓ 내지 약 2,600 ㎎/ℓ, 약 500 ㎎/ℓ 내지 약 2,600 ㎎/ℓ, 약 700 ㎎/ℓ 내지 약 2,600 ㎎/ℓ, 약 900 ㎎/ℓ 내지 약 2,600 ㎎/ℓ, 약 1,100 ㎎/ℓ 내지 약 2,600 ㎎/ℓ, 약 1,300 ㎎/ℓ 내지 약 2,600 ㎎/ℓ, 약 1,500 ㎎/ℓ 내지 약 2,500 ㎎/ℓ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약 4,500 ㎎/ℓ 내지 약 7,000 ㎎/ℓ, 약 5,000 ㎎/ℓ 내지 약 7,000 ㎎/ℓ, 약 5,500 ㎎/ℓ 내지 약 7,000 ㎎/ℓ, 약 6,000 ㎎/ℓ 내지 약 7,000 ㎎/ℓ, 약 6,500 ㎎/ℓ 내지 약 7,000 ㎎/ℓ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농축물 유래가 아닌 쥬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쥬스 제품은 약 100 ㎎/ℓ 내지 약 24,000 ㎎/ℓ, 또는 350 ㎎/ℓ 내지 약 24,000 ㎎/ℓ, 또는 약 300 ㎎/ℓ 내지 약 20,000 ㎎/ℓ, 또는 약 500 ㎎/ℓ 내지 약 15,000 ㎎/ℓ, 또는 약 1,000 ㎎/ℓ 내지 약 10,000 ㎎/ℓ, 또는 약 2,000 ㎎/ℓ 내지 약 8,000 ㎎/ℓ, 또는 약 3,000 ㎎/ℓ 내지 약 6,000 ㎎/ℓ, 또는 약 4,000 ㎎/ℓ 내지 약 5,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약 10,000 ㎎/ℓ 내지 약 30,000 ㎎/ℓ, 또는 약 12,000 ㎎/ℓ 내지 약 28,000 ㎎/ℓ, 또는 약 14,000 ㎎/ℓ 내지 약 26,000 ㎎/ℓ, 또는 약 16,000 ㎎/ℓ 내지 약 24,000 ㎎/ℓ, 또는 약 18,000 ㎎/ℓ 내지 약 22,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한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550 ㎎/ℓ 내지 24,000 ㎎/ℓ, 또는 350 ㎎/ℓ 내지 12,000 ㎎/ℓ의 CGA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약 160 ㎎/ℓ 내지 약 5,500 ㎎/ℓ, 또는 약 500 ㎎/ℓ 내지 약 5,000 ㎎/ℓ, 또는 약 750 ㎎/ℓ 내지 약 4,000 ㎎/ℓ, 또는 약 1,000 ㎎/ℓ 내지 약 3,000 ㎎/ℓ, 또는 약 1,500 ㎎/ℓ 내지 약 3,000 ㎎/ℓ, 또는 약 2,000 ㎎/ℓ 내지 약 3,0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250 ㎎/ℓ 내지 5,500 ㎎/ℓ 또는 160 ㎎/ℓ 내지 3,5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유사한 구현예에서, CGA 함량은 5-O-카페오일퀸산(5-CQA) 수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이러한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350 ㎎/ℓ 내지 24,000 ㎎/ℓ의 5-CQA 함량을 포함한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550 ㎎/ℓ 내지 24,000 ㎎/ℓ 또는 350 ㎎/ℓ 내지 12,000 ㎎/ℓ의 5-CQA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의 CGA 함량은 총 CGA 함량의 80-90% 5-CQA이다.
농축물 유래가 아닌 쥬스를 포함하는 이러한 관련 구현예들에서, 쥬스 제품은 최종 쥬스 제품의 약 30% 내지 약 100%의 커피 베리 쥬스를 포함하는 최종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커피 베리 쥬스 성분의 0% 내지 50%로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커피 베리 쥬스 성분의 0% 내지 70%로 열대 과일 쥬스를 포함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쥬스 제품의 2% 내지 15%로 열대 과일 쥬스를 포함할 것이다.
일부 관련 구현예에서, 비-농축물-유래 쥬스 제품은 약 3° 내지 약 25°, 또는 약 4° 내지 약 20°, 또는 약 5° 내지 약 18°, 약 6° 내지 약 16°, 약 7° 내지 약 14°, 또는 약 8° 내지 약 12°, 또는 약 9° 내지 약 12°, 또는 약 10° 내지 약 12°, 또는 약 9° 내지 약 10°의 브릭스 값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의 브릭스 값은 약 12° 당 당량 이하, 약 11° 당 당량 이하, 약 10°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9°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8°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7°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6°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5° 당 당량 이하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커피 베리 쥬스를 형성하기 전에 0.5% 내지 2%의 열대 과일 쥬스로 전처리된 통 커리 베리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쥬스 제품은 이러한 추가의 쥬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농축물로부터 유래된 쥬스를 포함한다. 농축물 유래 쥬스 제품은 비-농축물-유래 쥬스 제품으로부터 물을 제거함으로써 비-농축물-유래 쥬스 제품에 비해 약 1.5x 내지 약 6x의 범위 내에서 더 높은 농도에 도달함을 수반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관련 구현예에서, 농축물 유래 커피 베리 쥬스는 약 800 ㎎/ℓ 내지 약 96,000 ㎎/ℓ, 약 2,000 ㎎/ℓ 내지 약 90,000 ㎎/ℓ, 약 5,000 ㎎/ℓ 내지 약 80,000 ㎎/ℓ, 약 7,000 ㎎/ℓ 내지 약 70,000 ㎎/ℓ, 약 9,000 ㎎/ℓ 내지 약 65,000 ㎎/ℓ, 약 12,000 ㎎/ℓ 내지 약 60,000 ㎎/ℓ, 약 15,000 ㎎/ℓ 내지 약 50,000 ㎎/ℓ, 약 17,000 ㎎/ℓ 내지 약 40,000 ㎎/ℓ, 약 20,000 ㎎/ℓ 내지 약 30,000 ㎎/ℓ의 CGA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약 1,200 ㎎/ℓ 내지 약 192,000 ㎎/ℓ, 약 2,000 ㎎/ℓ 내지 약 180,000 ㎎/ℓ, 약 4,000 ㎎/ℓ 내지 약 160,000 ㎎/ℓ, 약 6,000 ㎎/ℓ 내지 약 160,000 ㎎/ℓ, 약 8,000 ㎎/ℓ 내지 약 120,000 ㎎/ℓ, 약 10,000 ㎎/ℓ 내지 약 100,000 ㎎/ℓ, 약 20,000 ㎎/ℓ 내지 약 90,000 ㎎/ℓ, 약 30,000 ㎎/ℓ 내지 약 80,000 ㎎/ℓ, 약 40,000 ㎎/ℓ 내지 약 60,000 ㎎/ℓ의 CGA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유사한 구현예에서, CGA 함량은 5-O-카페오일퀸산(5-CQA) 수준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이러한 구체적인 구현예들에서, 쥬스 제품은 800 ㎎/ℓ 내지 96,000 ㎎/ℓ의 5-CQA 함량을 포함한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1,200 ㎎/ℓ 내지 192,000 ㎎/ℓ의 5-CQA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커피 베리 쥬스 중 CGA 함량은 총 CGA 함량의 80-90% 5-CQA이다.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농축물 유래 쥬스 제품의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농축물 유래 쥬스 제품은 350 ㎎/ℓ 내지 28,0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625 ㎎/ℓ 내지 44,0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구현예에서, 카페인 함량은 적어도 약 350 ㎎/ℓ, 적어도 약 1,000 ㎎/ℓ, 적어도 약 2,000 ㎎/ℓ, 적어도 약 3,000 ㎎/ℓ, 적어도 약 4,000 ㎎/ℓ, 적어도 약 5,000 ㎎/ℓ이다.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의 화학적 프로파일은 약 350 ㎎/ℓ 내지 약 28,000 ㎎/ℓ, 또는 약 1,000 ㎎/ℓ 내지 약 25,000 ㎎/ℓ, 또는 약 2,000 ㎎/ℓ 내지 약 20,000 ㎎/ℓ, 또는 약 3,000 ㎎/ℓ 내지 약 15,000 ㎎/ℓ, 또는 약 4,000 ㎎/ℓ 내지 약 12,000 ㎎/ℓ, 또는 약 5,000 ㎎/ℓ 내지 약 10,000 ㎎/ℓ, 또는 약 7,000 ㎎/ℓ 내지 약 10,000 ㎎/ℓ, 또는 약 8,000 ㎎/ℓ 내지 약 10,0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의 카페인 함량은 약 620 ㎎/ℓ 내지 약 44,000 ㎎/ℓ, 약 2,000 ㎎/ℓ 내지 약 44,000 ㎎/ℓ, 약 5,000 ㎎/ℓ 내지 약 44,000 ㎎/ℓ, 약 10,000 ㎎/ℓ 내지 약 44,000 ㎎/ℓ, 약 15,000 ㎎/ℓ 내지 약 44,000 ㎎/ℓ, 약 19,000 ㎎/ℓ 내지 약 44,000 ㎎/ℓ이다.
일부 관련 구현예에서, 농축물-유래 쥬스 제품은 약 20° 내지 약 65°, 또는 약 25° 내지 약 60°, 또는 약 30° 내지 약 55°, 약 35° 내지 약 55°, 약 40° 내지 약 50°의 브릭스 값을 갖고, 특정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의 브릭스 값은 약 65°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60°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55°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50°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45° 당 당량 이하, 또는 약 40° 당 당량 이하이다.
농축물 유래 쥬스를 포함하는 이러한 관련 구현예들에서, 쥬스 제품은 쥬스 제품의 약 1% 내지 약 100%로 커피 베리 쥬스를 포함하는 최종 제형을 갖는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쥬스 제품의 0% 내지 50%로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을 포함할 것이다. 관련 구현예에서, 감귤류 쥬스는 쥬스 제품의 0% 내지 2%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쥬스 제품의 0% 내지 70%로 열대 과일 쥬스를 포함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쥬스 제품의 2% 내지 15%로 열대 과일 쥬스를 포함할 것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쥬스 제품은 커피 베리 쥬스를 형성하기 전에 0.5% 내지 2%의 열대 과일 쥬스로 전처리된 통 커리 베리를 포함할 것이다.
커피 베리 쥬스 및 쥬스 제품의 생산
수확/건조
본 발명의 요지의 예시적인 일 양태에서, 손상되지 않은 덜 익은(예를 들어, 반익은 또는 거의 익은) 통 커피 베리가 수확된다. 일반적으로, 덜 익은 커피 베리는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덜 익은 커피 베리의 특정 용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정 공급원(들)을 결정할 것으로 상정된다. 그러나,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덜 익은 커피 베리는 유사한 성장 조건(예를 들어, 그늘-성장) 하에 재배되는 코페아 아라비카와 같은 단일 커피 종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피 베리의 특정 제품 또는 용도에 따라 성숙도는 상당히 다를 수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또 다른 추가로 고려되는 양태에서, 덜 익은 커피 베리, 또는 다양한 성숙도의 임의의 적절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익은 커피 베리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커피 베리는 건조 전에 토양 입자 및 다른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물 또는 다른 수용액으로 세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커피 베리 쥬스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1을 참조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커피 베리가 수확된다(100). 성숙도는 커피 베리의 수분 수준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이 인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커피 베리가 실질적으로 적색인 경우, 이는 덜 익은(녹색) 커피 베리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커피 베리 수분 함량을 야기할 것이다. 수확되면, 다음으로 커피 베리는 커피 베리로부터 임의의 외부 먼지 및 잔해를 제거하도록 세척된다.
코페아 아라비카, 코페아 카네포라 또는 이들의 조합의 종의 커피 베리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코페아 카네포라 종으로부터의 커피 베리가 사용되는 경우, 크라시폴리아, 고스웨일레리, 히에르니, 히나울티, 쿠일루엔시스, 라우렌티, 마클라우디, 무니엔시스, 엔간다, 올리고네우라, 오파카, 로부스타, 산쿠루엔시스, 산쿠루엔시스, 스툴만니, 트릴레시, 우간다에, 웰위치이, 윌데마니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변종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코페아 아라비카 커피 베리가 요망되는 경우, 이들 베리는 아카쿠아, 아마렐, 아나카페 14, 안구스티폴리아, 바티안, 브루봉 마야궤스 139, 브루봉 마야궤스 71, 버번, 브레비스티풀라타, 불라타, 카시오피, 카티모르 129, 카티모르, 카티식, 카투아이, 카투이, 카투라, 센트로아메리카노, 컬럼나리스, 코스타 리카 95, 쿠스카틀레코, 에렉타, 에발루나, 프론톤, 게이샤(파나마), H3, 하라 르완다, IAPAR 59, 이카페 90, 잭슨 2/1257, 자바, K7, KP423, 렘피라, 리마니, 로바타, 론지스티풀라타, 마라고기페, 마르셀레사, 미비리자, 밀레니오, 모카, 모노스페르마, 문도 마야, 문도 노보, 무르타 라리에르 펜둘라, 나야리타, 네마야, 냐살란드, 오바타 로조, 오로 아즈테카, 파카마라, 파카스, 파체, 파라이네마, 폴리스퍼마, Pop3303/21, 푸베센스, 푸르푸라센스, RAB C15, 로툰디폴리아, 루이루 11, SL14, SL28, SL34, 스타마야, 스트라미네아, 순다나, T5175, T5296, T8667, 테키식, 투페이, 타이피카, 바리에가테, 베네키아, 빌라 사르키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변종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커피 베리가 세척되면, 베리는 커피 베리의 갈변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도록 가공된다(105).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커피 베리는 효소적 산화 개질제를 포함하는 열대 과일 쥬스를 사용하여 전처리된다. 효소적 산화 개질제는 아세로라 쥬스, 아세로라 퓨레,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열대 과일 및 또는 산의 사용은 커피 베리의 갈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데치는 것과 같은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열대 과일 쥬스 또는 산이 사용된 구현예에서, 이러한 효소적 산화 개질제는 쥬스 제품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대안적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농도로 쥬스 제품에 존재한다.
동결
효소적 산화 개질제를 이용한 처리 시, 커피 베리는 선택적으로 동결될 수 있다(110). 동결 공정 중에 세포 용해가 발생한다. 동결 단계 중에(110) 커피 베리는 적어도 1 회 내지 다회 사이클의 냉동을 거칠 수 있다. 세포는 동결 공정 중에 얼음 결정이 형성됨에 따라 팽윤되고 해동 중에 수축하기 때문에, 세포벽은 결국 샘플이 이러한 공정을 거침에 따라 흐물흐물해지고(give in) 파괴될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동결은 0℉(-18℃)에서 발생한다. 동결 공정은 쥬스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산성화
커피 베리는 이후 산성화되고(115), 여기서 이러한 단계는 밀링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레몬 쥬스는 식품의 안전성을 위해 pH를 4.6 미만까지 낮춘다(고산성 식품). 관련 예에서, 아세로라, 또는 다른 열대 과일 쥬스의 사용은 공정 전반에 걸쳐 산화 안정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밀링 전 또는 후에 발생하는 공정은 7%의 비-농축물-유래(NFC) 레몬 쥬스 및 13.5%의 NFC 아세로라 쥬스 또는 퓨레와 같은 농도를 포함한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작업에 포함된 NFC 레몬 쥬스는 0% 내지 12%(wt/wt)의 범위이다. 적어도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커피 베리는 pH ≤ 4.1까지 감소된다. pH 수준은 베리 pH 및 베리 밀링의 섬도에 좌우된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콩이 고우면 pH가 증가함).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NFC 레몬 쥬스의 백분율은 약 7.00%이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NFC 레몬 쥬스는 0% 내지 50%이다. 관련 구현예에서, NFC 아세로라 쥬스의 사용은 0% 내지 70%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NFC 아세로라 쥬스의 수준은 0% 내지 13.5%(wt/wt)이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NFC 아세로라 쥬스는 약 13.50%이다.
밀링
커피 쥬스 제품의 제조 방법은 밀링 단계(1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공정 단계에서, 커피 베리는 쥬스 수율 및 폴리페놀, 카페인 등과 같은 활성 성분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베리 껍질, 과육 및 콩의 입도를 감소시키도록 밀링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커피 베리는 입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생산 규모 밀에 배치되거나 배합된다. 커피 베리 혼합물이 밀링되면, 혼합물은 선택적으로 pH 4.1 또는 약 pH 4.1에 도달하기 위해 pH 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방법론으로 국한시키려는 것은 아니지만, NFC 감귤류 쥬스 또는 산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NFC 레몬 쥬스의 사용이 이용된다. 밀링되면, 커피 베리 쥬스 혼합물은 선택적으로 효소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효소적 처리는 쥬스 수율을 증가시키 위해 이용된다. 사용될 수 있는 효소는 펙티나제 및 셀룰라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효소는 약 0 ppm 내지 250 ppm으로 첨가된다. 관련 구현예에서, 수율은 약 0% 내지 8% 증가할 것이다.
압착-여과
커피 베리가 밀링 단계를 거치는 경우, 밀링된, 또는 적어도 갈변방지 처리된 커피 베리 혼합물은 추가로 압착되고 여과된다(125). 밀링된 베리와 쥬스 매시는 고형물로부터 쥬스를 분리하기 위해 압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여과된 커피 베리 쥬스는 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평균 입도를 갖는다.
정화
커피 베리 쥬스는 커피 베리 쥬스가 고형물(탁도)을 감소시키고 현탁된 고형물에 의해 초래되는 콩비린내(beany flavor)를 감소시키도록 가공되는 정화 단계(130)를 거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정화 단계는 원심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례는 3000 rpm 내지 18,000 rpm의 연속 원심분리를 포함한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커피 쥬스는 진공 필터, 미세여과(0.2 마이크론 내지 5 마이크론) 시린지 필터 및/또는 워터 필터와 같은 여과 공정을 거친다. 정화 단계(130)는 카페인 수준의 약 10% 감소, 시각적 비교에 의한 탁도 감소, 비공식적 관능 평가에 의한 콩비린내 감소를 제공한다.
저온살균
정화 시, 쥬스 단독 또는 쥬스 제품은 저온살균될 수 있다(135). 하나의 예시적인 공정에서, 쥬스는 표적화된 미생물에 기초하여 상업적인 무균성을 달성하는 시간 및 온도 조건 하에서 가열을 거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커피 쥬스는 10 분 동안 75℃ 병에서 회분식 저온살균되었다. 다른 관련 구현예에서, 커피 쥬스는 적어도 130℃에서 6 초 동안 직접적인 스팀 주입에 의해 열 저온살균된다. 커피 베리 쥬스가 저온살균되면, 커피 베리 쥬스는 추후 사용을 위해 동결되거나(145), 사용을 위해 용기, 토트 또는 탱크에 넣어질 수 있다.
무균 충전
커피 베리 쥬스는 추가로, 단독으로 또는 물, 쥬스,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추가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무균 조건 하에서 살균/멸균 용기에 넣어질 수 있다(140).
이제 두 개의 크로마토그래프가 도시된 도 2를 참조한다. 도 2의 모든 샘플은 SPME-GC/MS로 휘발성 프로파일 스크리닝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커피 베리 쥬스 샘플은 직접 증기 주입(DSI)의 존재 및 부재에서 비교된 후 충전 전에 진공 냉각되었다. 진공 냉각은 콩 비린내 노트(off beany note)를 플래싱한다. 일례에서, 커피 쥬스는 9℃까지 진공 냉각되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I 진공 냉각을 포함하지 않은 도 2b와 비교하여 샘플은 DSI로 처리되었다. 결과는 DSI 처리 샘플(2A)이 생두/벨 페퍼 향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 2-펜틀리푸란, 빈 피라진(2-이소프로필-3-메톡시-피라진) 및 갈바눔 피라진(2-이소부티-3- 메톡시-피라진)과 같은 일부 고휘발성 물질(즉, 알콜 및 에스테르)을 손실한 것으로 보이는 것을 제외하고는 두 가지 상이한 처리 하의 시험 샘플이 일반적으로 휘발성 프로파일 간에 일관되게 유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제 커피 베리 쥬스 제품의 다양한 제조 방법의 비교를 보여주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6을 포함하는 표 2A 및 표 2B를 참조한다. 다양한 방법론 각각은 표 2A 및 표 2B에 제시되어 있다. 결과는 베리 유형에 기초한 쥬스 수율, 산 처리, 베리의 백분율, 쥬스 수율에 대한 열 처리 및 효소 처리, 카페인 농도 및 갈변의 영향을 나타낸다.
커피 베리 쥬스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본 개시에 따른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커피 베리 쥬스 또는 쥬스 제품은 그 자체로 소비자에게 최종 식품으로 역할을 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성분 또는 구성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성분 또는 구성성분과 조합되어 식품, 음료, 또는 최종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식료품 또는 음료와 같은 식품을 제공하며, 여기서 식품은 본원에 기재된 커피 베리 쥬스 또는 쥬스 제품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음료는 본 개시의 커피 베리 쥬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커피 베리는 코페아 아라비카 또는 코페아 카네포라로부터 공급되고, 커피 베리 쥬스는 비-농축물-유래 쥬스 또는 농축물 유래 쥬스이다. 바람직하게는, 커피 베리 쥬스는 음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100%, 또는 약 0.1% 내지 약 50%, 또는 약 0.1% 내지 약 40%, 또는 약 0.1% 내지 약 30%, 또는 약 0.1% 내지 약 20%, 또는 약 0.5% 내지 약 40%, 또는 약 1% 내지 약 30%, 또는 약 5% 내지 약 20%, 또는 약 10% 내지 약 15%이다. 음료는 과일/야채 쥬스, 쥬스 드링크, 과일/야채 스무디, 바로 마실 수 있는 커피 음료, 바로 마실 수 있는 차 음료, 스파클링 음료, 수화 또는 물과 같은 스틸 음료, 다이어리 음료, 요거트와 같은 배양 음료, 즉시 마실 수 있는 식물성 음료, 에너지 음료 또는 샷, 외식 음료용 시럽, 또는 기타 액체 또는 유동성 식품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식료품은 본 개시의 커피 베리 쥬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커피 베리는 코페아 아라비카 또는 코페아 카네포라로부터 공급되고, 커피 베리 쥬스는 비-농축물-유래 쥬스 또는 농축물 유래 쥬스이다. 바람직하게는, 커피 베리 쥬스는 식료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100%, 또는 약 1% 내지 약 100%, 또는 약 5% 내지 약 100%, 또는 약 10% 내지 약 100%, 또는 약 20% 내지 약 100%, 또는 약 0.1% 내지 약 50%, 또는 약 0.1% 내지 약 40%, 또는 약 0.1% 내지 약 30%, 또는 약 0.1% 내지 약 20%이다. 식료품은 고형 식품, 반고형 식품, 푸딩, 스퀴즈 파우치와 같은 기능성 겔, 에너지 바 또는 이의 결합상, 에너지 츄 또는 구미, 에너지 드롭, 에너지 스프레이, 냉동 아이스바, 케이크, 빵, 머핀, 또는 구운 제품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표 1은 추가로 다양한 식료품 및 음료 제품을 위한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커피 베리 쥬스의 용도 및 적용을 기술한다.
[표 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실시예
본 개시의 특정 구현예는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로 기술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를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국한시키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을 실시하기 위해 배타적으로 이용되어야 하는 조건, 파라미터, 시약, 또는 출발 물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표 2A 및 표 2B는 다양한 조건 하에 처리된 커피 베리 쥬스 또는 쥬스 제품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6을 포함한다. 실시예 1은 추가 성분 또는 쥬스 또는 산이 첨가되지 않고 열/효소 처리 없이 생산된 대조 커피 베리 쥬스를 보여준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은 추가 성분으로서 25%의 아세로라 쥬스와 75%의 커피 베리의 쥬스 제품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0은 추가 성분으로서 10% 레몬 쥬스와 90% 커피 베리로 제조된 쥬스 제품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6은 추가 성분으로서 2.4%의 레몬 쥬스 및 15.6%의 아세로라 쥬스와 78%의 커피 베리로 제조된 쥬스 제품을 포함한다. 쥬스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 효소 처리 또는 열 처리 또는 이 둘 모두와 같은 선택적 처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5 및 실시예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놀랍게도 쥬스 제품의 수율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생산 중에 커피 베리에 추가 쥬스를 첨가했을 때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열 처리가 쥬스 제품에서 카페인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3A 및 표 3B는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9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29는 쥬스 수율을 변경하기 위한 재순환된 쥬스의 공정을 보여준다(실시예 17 내지 실시예 18). 커피 베리 쥬스의 재순환은 카페인 수율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또한, 여과는 카페인 수율을 약 9% 감소시켜 선명도를 향상시켰다. 실시예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라제의 사용은 카페인 수율의 유의한 변화를 제공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20 내지 실시예 29는 첨가된 쥬스(아세로라/레몬) 대신에 물의 사용이 카페인 수준(아세로라에 특이적이지 않음)에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열-구배 단계(heat-steep step)가 없는 익은 베리는 혼합 베리보다 카페인이 낮았다. 또한, 익은 베리는 혼합 변종보다 낮은 브릭스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2A]
Figure pct00004
[표 2B]
Figure pct00005
[표 3A]
Figure pct00006
[표 3B]
Figure pct00007
표 4A는 비교 연구로부터의 양조 커피 샘플과 비교하여 커피 베리 쥬스 샘플에서 확인된 다양한 테르펜 양을 제공한다. 커피 베리 쥬스와 Van Drunen Farms로부터 입수한 상업용 커피 베리 추출물 간의 또 다른 비교를 또한 실시하였다(데이터 미도시). 통 커피 베리로부터의 본 발명의 쥬스 제품은 콩, 양조 커피, 또는 커피 베리 추출물과 비교하여 테르펜 수준의 유의한 증가를 제공한 것으로 밝혀졌다. 표 4B는 신선한 오렌지 쥬스 샘플과 비교하여 또 다른 커피 베리 쥬스 샘플에서 확인된 다양한 테르펜 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피 베리 쥬스는 검출 가능한 양의 α-피넨, β-피넨, 미르센, 미르센, 리모넨, 및 γ-터피넨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커피 베리 쥬스는 약 0.60 ppm의 β-피넨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양조 커피에서도 신선한 오렌지 쥬스에서도 확인되지 않았다.
[표 4A]
Figure pct00008
[표 4B]
Figure pct00009
상기 명세서, 실시예 및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에 대한 철저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구현예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된 이하의 청구항 내에 속한다.
하기 번호가 부여된 조항은 본 개시의 추가의 예시적인 양태 및 특징을 규정한다:
1.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커피 베리 쥬스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
2. 조항 1에 있어서,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쥬스 제품.
3. 조항 1 또는 조항 2에 있어서, 열대 과일 쥬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쥬스 제품.
4. 조항 1 내지 조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최종 쥬스 제품 중 카페인 함량은 적어도 약 500 ㎎/ℓ인, 쥬스 제품.
5. 조항 1 내지 조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최종 쥬스 제품 중 카페인 함량은 약 500 ㎎/ℓ 내지 7,000 ㎎/ℓ인, 쥬스 제품.
6. 조항 1 내지 조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피 베리는 코페아 아라비카 또는 이의 유도체, 코페아 카네포라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쥬스 제품.
7. 조항 6에 있어서, 코페아 카네포라 커피 베리는 크라시폴리아, 고스웨일레리, 히에르니, 히나울티, 쿠일루엔시스, 라우렌티, 마클라우디, 무니엔시스, 엔간다, 올리고네우라, 오파카, 로부스타, 산쿠루엔시스, 산쿠루엔시스, 스툴만니, 트릴레시, 우간다에, 웰위치이, 윌데마니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쥬스 제품.
8. 조항 6에 있어서, 코페아 아라비카 커피 베리는 아카쿠아, 아마렐, 아나카페 14, 안구스티폴리아, 바티안, 브루봉 마야궤스 139, 브루봉 마야궤스 71, 버번, 브레비스티풀라타, 불라타, 카시오피, 카티모르 129, 카티모르, 카티식, 카투아이, 카투이, 카투라, 센트로아메리카노, 컬럼나리스, 코스타 리카 95, 쿠스카틀레코, 에렉타, 에발루나, 프론톤, 게이샤(파나마), H3, 하라 르완다, IAPAR 59, 이카페 90, 잭슨 2/1257, 자바, K7, KP423, 렘피라, 리마니, 로바타, 론지스티풀라타, 마라고기페, 마르셀레사, 미비리자, 밀레니오, 모카, 모노스페르마, 문도 마야, 문도 노보, 무르타 라리에르 펜둘라, 나야리타, 네마야, 냐살란드, 오바타 로조, 오로 아즈테카, 파카마라, 파카스, 파체, 파라이네마, 폴리스퍼마, Pop3303/21, 푸베센스, 푸르푸라센스, RAB C15, 로툰디폴리아, 루이루 11, SL14, SL28, SL34, 스타마야, 스트라미네아, 순다나, T5175, T5296, T8667, 테키식, 투페이, 타이피카, 바리에가테, 베네키아, 빌라 사르키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쥬스 제품.
9. 조항 2 내지 조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은 오렌지 쥬스, 레몬 쥬스, 라임 쥬스, 클레멘타인 쥬스, 시트론 쥬스, 탠저린 쥬스, 말산, 시트르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pH 개질제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
10. 조항 3 내지 조항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열대 과일 쥬스는 아세로라 쥬스, 아세로라 퓨레,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효소 산화 개질제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
11. 조항 10에 있어서, 아세로라는 B-17, 드워프, 플로리다 스위트, 마노아 스위트, 보몬트, 헤일리, 하와이안 퀸, 마우나윌리, 레드 점보, 렌보그, 트로피컬 루비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쥬스 제품.
12. 조항 1 내지 조항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농축물 유래가 아닌 쥬스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
13. 조항 12에 있어서, 약 350 ㎎/ℓ 내지 약 24,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14. 조항 12에 있어서, 약 550 ㎎/ℓ 내지 약 24,000 ㎎/ℓ 또는 약 350 ㎎/ℓ 내지 약 12,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15. 조항 12에 있어서, 약 160 ㎎/ℓ 내지 약 5,5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16. 조항 12에 있어서, 약 250 ㎎/ℓ 내지 약 5,500 ㎎/ℓ 또는 약 160 ㎎/ℓ 내지 약 3,5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17. 조항 1 내지 조항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농축물로부터 유래된 쥬스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
18. 조항 17에 있어서, 약 800 ㎎/ℓ 내지 약 96,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19. 조항 17에 있어서, 약 1,200 ㎎/ℓ 내지 약 192,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20. 조항 17에 있어서, 약 350 ㎎/ℓ 내지 약 28,0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21. 조항 17에 있어서, 약 625 ㎎/ℓ 내지 약 44,0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22. 조항 1 내지 조항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약 7° 내지 약 25°의 브릭스 값을 갖는, 쥬스 제품.
23. 조항 1 내지 조항 11 및 조항 17 내지 조항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약 20° 내지 약 75°의 브릭스 값을 갖는, 쥬스 제품.
24. 조항 1 내지 조항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피 베리 쥬스는 쥬스 제품의 약 1% 내지 약 100%인, 쥬스 제품.
25. 조항 2 내지 조항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은 쥬스 제품의 약 0% 내지 약 50%인, 쥬스 제품.
26. 조항 3 내지 조항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열대 과일 쥬스는 쥬스 제품의 약 0% 내지 약 70%인, 쥬스 제품.
27. 조항 26에 있어서, 열대 과일 쥬스는 쥬스 제품의 약 2% 내지 약 15%인, 쥬스 제품.
28. 조항 1 내지 조항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통 커피 베리는 커피 베리 쥬스를 형성하기 전에 약 0.5% 내지 약 2%의 열대 과일 쥬스로 전처리되는, 쥬스 제품.
29. 쥬스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a.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커피 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커피 베리를 밀링함으로써 쥬스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조항 29에 있어서, 커피 베리는 열대 과일 쥬스로 전처리되는, 방법.
31. 조항 30에 있어서, 커피 베리는 약 0.5% 내지 약 2%의 열대 과일 쥬스로 전처리되는, 방법.
32. 조항 29 내지 조항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3. 조항 29 내지 조항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열대 과일 쥬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4. 조항 29 내지 조항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밀링 전에 쥬스 제품의 약 0% 내지 약 50%의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 및 약 0% 내지 약 70%의 열대 과일 쥬스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5. 조항 29 내지 조항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밀링 단계 후 쥬스 제품의 약 0% 내지 약 50%의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 및 약 0% 내지 약 70%의 열대 과일 쥬스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6. 조항 29, 조항 34 또는 조항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을 약 10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가열하는 단계는 쥬스 제품의 카페인 수율을 적어도 약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까지 증가시키는, 방법.
37. 조항 29 내지 조항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을 압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8. 조항 29 내지 조항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을 정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9. 조항 37 내지 조항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을 열 저온살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0. 조항 39에 있어서, 용기에 저온살균된 쥬스 제품을 무균 충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1. 조항 29 내지 조항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용기에 쥬스 제품을 무균 충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2. 조항 29 내지 조항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농축물 유래가 아닌 쥬스를 포함하는, 방법.
43. 조항 42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350 ㎎/ℓ 내지 약 24,000 ㎎/ℓ의 함량을 갖는 클로로겐산(CGA)을 포함하는, 방법.
44. 조항 42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550 ㎎/ℓ 내지 약 24,000 ㎎/ℓ, 또는 약 350 ㎎/ℓ 내지 약 12,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하는, 방법.
45. 조항 42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160 ㎎/ℓ 내지 약 5,5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방법.
46. 조항 42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250 ㎎/ℓ 내지 약 5,500 ㎎/ℓ 또는 약 160 ㎎/ℓ 내지 약 3,5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방법.
47. 조항 29 내지 조항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농축물로부터 유래된 쥬스를 포함하는, 방법.
48. 조항 47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800 ㎎/ℓ 내지 약 96,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하는, 방법.
49. 조항 47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1,200 ㎎/ℓ 내지 약 192,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하는, 방법.
50. 조항 47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350 ㎎/ℓ 내지 약 28,0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방법.
51. 조항 47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625 ㎎/ℓ 내지 약 44,0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방법.
52. 조항 29 내지 조항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약 160 ㎎/ℓ 내지 약 44,000 ㎎/ℓ의 카페인 농도를 포함하는, 방법.
53. 조항 29 내지 조항 41 및 조항 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쥬스 제품은 α-피넨, β-피넨, 미르센, 리모넨, γ-터피넨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테르펜을 포함하는, 방법.

Claims (20)

  1.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커피 베리 쥬스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쥬스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대 과일 쥬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쥬스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쥬스 제품 중 카페인 함량은 약 500 ㎎/ℓ 내지 약 7,000 ㎎/ℓ인, 쥬스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피 베리는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 또는 이의 유도체,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쥬스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코페아 카네포라 커피 베리는 크라시폴리아(crassifolia), 고스웨일레리(gossweileri), 히에르니(hiernii), 히나울티(hinaultii), 쿠일루엔시스(kouilouensis), 라우렌티(laurentii), 마클라우디(maclaudii), 무니엔시스(muniensis), 엔간다(nganda), 올리고네우라(oligoneura), 오파카(opaca), 로부스타(robusta), 산쿠루엔시스(sankuruensis), 산쿠루엔시스(sankuruensis), 스툴만니(stuhlmannii), 트릴레시(trillesii), 우간다에(ugandae), 웰위치이(welwitschii), 윌데마니(wildemanii)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쥬스 제품.
  7. 제5항에 있어서, 코페아 아라비카 커피 베리는 아카쿠아(acaqua), 아마렐(amarelle), 아나카페 14(Anacafe 14), 안구스티폴리아(angustifolia), 바티안(Batian), 브루봉 마야궤스 139(Bourbon Mayaguez 139), 브루봉 마야궤스 71(Bourbon Mayaguez 71), 버번(bourbon), 브레비스티풀라타(brevistipulata), 불라타(bullata), 카시오피(Casiopea), 카티모르 129(Catimor 129), 카티모르(catimor), 카티식(Catisic), 카투아이(Catuai), 카투이(catuey), 카투라(caturra), 센트로아메리카노(Centroamericano), 컬럼나리스(columnaris), 코스타 리카 95(Costa Rica 95), 쿠스카틀레코(Cuscatleco), 에렉타(erecta), 에발루나(Evaluna), 프론톤(Fronton), 게이샤(파나마)(Geisha(Panama)), H3, 하라 르완다(Harrar Rwanda), IAPAR 59, 이카페 90(Ihcafe 90), 잭슨 2/1257(Jackson 2/1257), 자바(Java), K7, KP423, 렘피라(lempira), 리마니(Limani), 로바타(lobata), 론지스티풀라타(longistipulata), 마라고기페(Maragogipe), 마르셀레사(Marsellesa), 미비리자(Mibiriza), 밀레니오(Milenio), 모카(Mokka), 모노스페르마(monosperma), 문도 마야(Mundo Maya), 문도 노보(Mundo Novo), 무르타 라리에르 펜둘라(murta Lali
    Figure pct00010
    re pendula), 나야리타(Nayarita), 네마야(Nemaya), 냐살란드(Nyasaland), 오바타 로조(Obata Rojo), 오로 아즈테카(Oro Azteca), 파카마라(Pacamara), 파카스(Pacas), 파체(Pache), 파라이네마(Parainema), 폴리스퍼마(polysperma), Pop3303/21, 푸베센스(pubescens), 푸르푸라센스(purpurascens), RAB C15, 로툰디폴리아(rotundifolia), 루이루 11(Ruiru 11), SL14, SL28, SL34, 스타마야(Starmaya), 스트라미네아(straminea), 순다나(sundana), T5175, T5296, T8667, 테키식(Tekisic), 투페이(tupey), 타이피카(typica), 바리에가테(variegate), 베네키아(Venecia), 빌라 사르키(Villa Sarchi)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쥬스 제품.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은 오렌지 쥬스, 레몬 쥬스, 라임 쥬스, 클레멘타인 쥬스, 시트론 쥬스, 탠저린 쥬스, 말산, 시트르산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pH 개질제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대 과일 쥬스는 아세로라 쥬스, 아세로라 퓨레,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효소 산화 개질제를 포함하는, 쥬스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아세로라는 B-17, 드워프(Dwarf), 플로리다 스위트(Florida Sweet), 마노아 스위트(Manoa Sweet), 보몬트(Beaumont), 헤일리(Haley), 하와이안 퀸(Hawaiian Queen), 마우나윌리(Maunawili), 레드 점보(Red Jumbo), 렌보그(Rehnborg), 트로피컬 루비(Tropical Ruby)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쥬스 제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350 ㎎/ℓ 내지 약 24,000 ㎎/ℓ의 클로로겐산(CGA)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160 ㎎/ℓ 내지 약 5,500 ㎎/ℓ의 카페인 함량을 포함하는, 쥬스 제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 7° 내지 약 25°의 브릭스 값을 갖는, 쥬스 제품.
  14. 쥬스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a. 통 커피 베리로부터 유래된 커피 베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커피 베리를 밀링함으로써 쥬스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커피 베리는 열대 과일 쥬스로 전처리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쥬스 제품의 약 0% 내지 약 50%의 감귤류 쥬스 및/또는 유기산 및 약 0% 내지 약 70%의 열대 과일 쥬스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쥬스 제품을 약 10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가열하는 단계는 쥬스 제품의 카페인 수율을 적어도 약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까지 증가시키는,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쥬스 제품을 압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쥬스 제품을 정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쥬스 제품을 열 저온살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12099A 2019-09-18 2020-09-18 통 압착 커피 베리 쥬스 KR20220062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02053P 2019-09-18 2019-09-18
US62/902,053 2019-09-18
PCT/US2020/051504 WO2021055757A1 (en) 2019-09-18 2020-09-18 Whole pressed coffee berry ju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601A true KR20220062601A (ko) 2022-05-17

Family

ID=7488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099A KR20220062601A (ko) 2019-09-18 2020-09-18 통 압착 커피 베리 쥬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394992A1 (ko)
EP (1) EP4030923A4 (ko)
JP (1) JP2022548301A (ko)
KR (1) KR20220062601A (ko)
CN (1) CN114727619A (ko)
AU (1) AU2020349545A1 (ko)
BR (1) BR112022005054A2 (ko)
CA (1) CA3154860A1 (ko)
MX (1) MX2022003186A (ko)
WO (1) WO2021055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2323A1 (en) * 2021-05-02 2022-11-17 Kul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kava liquid dietary supplement
AU2022340820A1 (en) 2021-09-01 2024-03-28 The Coca-Cola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caffeine and/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polypheno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52A (zh) * 1990-09-07 1992-03-18 海南省澄迈县福山祥裕咖啡实业公司 咖啡果汁浓缩糖浆及相关的咖啡果饮料制造方法
WO2002062159A1 (en) * 2001-02-06 2002-08-15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Nutraceuticals and methods of obtaining nutraceuticals from tropical crops
US7833560B2 (en) * 2005-03-18 2010-11-16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 derived from the extract of coffee cherry husks and coffee cherry pulp
BE1018194A3 (nl) * 2008-06-24 2010-07-06 P D S Commanditaire Vennootschap Drank gemaakt van koffiebessen.
BE1018195A3 (nl) * 2008-06-24 2010-07-06 P D S Commanditaire Vennootschap Werkwijze voor het optimaliseren van de exploitatie van de oogst van koffiebessen.
KR20120012822A (ko) * 2009-04-28 2012-02-10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고형물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WO2015078594A1 (en) * 2013-11-27 2015-06-04 Pectcof B.V. Coffee pulp preservation and extraction process
WO2014085879A1 (pt) * 2012-12-04 2014-06-12 Yamaguchi Carlos Akio Processo de extração de suco de café, rico em ácido clorogênico a partir de frutos de café
CN105188392A (zh) * 2013-03-14 2015-12-23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含有咖啡樱桃副产物的食品和巧克力组合物及其形成方法
US20160165934A1 (en) * 2013-07-23 2016-06-16 Edward Hirschberg Coffee fruit products and processing
WO2017040810A1 (en) * 2015-09-04 2017-03-09 Koffeefruit Pte. Ltd. Preparation of coffee fruit extracts and powders
ES2833723T3 (es) * 2017-06-22 2021-06-15 Mastercoldbrewer Ag Procedimientos de procesado de cerezas del café
CN109043085A (zh) * 2018-09-19 2018-12-21 安徽咖力士咖啡食品有限公司 一种咖啡果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49545A1 (en) 2022-04-14
CN114727619A (zh) 2022-07-08
US20220394992A1 (en) 2022-12-15
EP4030923A4 (en) 2023-11-01
CA3154860A1 (en) 2021-03-25
WO2021055757A1 (en) 2021-03-25
BR112022005054A2 (pt) 2022-06-21
EP4030923A1 (en) 2022-07-27
JP2022548301A (ja) 2022-11-17
MX2022003186A (es)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602B1 (ko) 차 생잎 분말 및 차 생잎 분말로부터 수득되는 처리물, 추출물, 오일 및 아로마
EP1863354B1 (en) Method of making a beverage derived from extract of coffee cherry husk and coffee cherry pulp
JP4248595B2 (ja)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食物繊維
KR101303401B1 (ko) 식품 또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394992A1 (en) Whole pressed coffee berry juice
KR20170093087A (ko) 아로니아 음료의 제조방법
Oke et al. Biochemistry of fruit processing
Jori et al. Study on effect of carbonation on storage and stability of pineapple fruit juice
KR20190060023A (ko) 오미자와 아로니아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음료
KR20180078658A (ko)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977833B1 (ko) 풋사과 농축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6467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양파즙의 제조방법
AU2022256207A1 (en) Hemp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257489B1 (ko) 오디 추출물 함유 음료의 제조 방법
KR20110012070A (ko)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양파초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314765A (zh) 冰滴冷萃植物原料萃取液的萃取方法及其应用
EP3846637B1 (en) Mace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2166296B1 (ko) 고로쇠 수액으로 추출된 홍삼 추출물
KR101474939B1 (ko) 매실, 과일 혼합 식초와 개똥쑥을 포함한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0738B1 (ko) 커피 로스팅 방법
Shakeel et al. Optimization of colour and cloud stability of carrot juice by using hydrocolloids and antioxidant
KR20160115321A (ko) 액상 드링크에 타먹는 커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 드링크에 타먹는 커피
KR101802402B1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약용식물청 제조 방법
KR20160148842A (ko) 아로니아 음료의 제조방법
Aman et al. Polyphenols in Drinks and Bever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