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203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화상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화상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203A
KR20220043203A KR1020227007770A KR20227007770A KR20220043203A KR 20220043203 A KR20220043203 A KR 20220043203A KR 1020227007770 A KR1020227007770 A KR 1020227007770A KR 20227007770 A KR20227007770 A KR 20227007770A KR 20220043203 A KR20220043203 A KR 20220043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resin
glass
interlayer film
laminat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336B1 (ko
Inventor
요시카즈 마스야마
유우스케 오오타
가즈히코 나카야마
가즈히로 도무라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82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 B32B17/1011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having predetermined tint or excitation pur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1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particles for purposes other than dyeing
    • B32B17/10623Whitening agents reflecting visible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4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r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35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as a preformed layer, e.g. form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windscreen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occupants, e.g. for indicating disabled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09F21/0485Advertising means on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4Number of layers variable across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1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2Tita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20Particles characterised by shape
    • B32B2264/201Flat or platelet-shaped particles, e.g. fl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30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dimension
    • B32B2264/303Average diameter greater than 1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5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5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relation to the windshield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92Manufacturing of instruments
    • B60K2360/96Manufacturing of instruments by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구비하고,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어느 한 수지층이 착색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화상 표시 시스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면 표시 스크린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나아가서는, 접합 유리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이 비산하는 경우가 적어 안전하기 때문에,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등의 각종 탈 것의 창유리, 건축물 등의 창유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유리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시켜, 일체화시킨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는, 프라이버시 보호성을 높이기 위하여, 광을 투과시키지만, 배후에 있는 사람 또는 물체를 시인(視認)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탄산 칼슘이나 실리카를 배합하여 유백색으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프로젝터로부터 투영된 화상을 투명 스크린에 비추는 기술이 실용화되어 있다.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광확산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 등을 구비하는, 투명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3 참조).
최근, 자동차 등의 차량용 창유리, 파티션, 쇼윈도 등의 건축물 등의 창유리에 광고 등을 투영 표시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접합 유리를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4~6에는, 유리판 등의 2장의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의 사이에 중간막이 배치되고, 중간막에 광확산성 미립자를 함유시킨 접합 유리 등의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2016/082800호 국제 공개 2016/104055호 국제 공개 2018/012433호 국제 공개 2016/143566호 일본국 특허공개 2007-57906호 공보 국제 공개 2019/111825호
그러나, 종래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갖는 접합 유리는, 상기와 같이 중간막에 광확산성 미립자를 배합해도, 화상을 표시했을 때의 콘트라스트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접합 유리를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해도, 고(高)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의 결과,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구비함과 함께,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어느 한 수지층, 또는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하의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구비하고,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어느 한 수지층이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 수지 및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을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보다,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측에 배치되는, 상기 [2]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4] 상기 제1 수지층이, 수지, 광확산 입자,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5] JIS R3202(2011)에 준거한 2장의 클리어 유리로 협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JIS R3106(2019)에 준거한 전광선 투과율이 70% 미만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상기 제1 수지층의 두께가 150μm 이하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7]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를 C(질량%)로 하고, 제1 수지층의 두께를 T(μm)로 하면, 이하의 식 (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500≤C×T≤3600 (1)
[8]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가 10질량% 이상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9] 상기 광확산 입자가 탄산 칼슘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0] 각각이 수지를 함유하는 제2 및 제3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2 및 제3 수지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 상기 제1~제3 수지층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2] 수지를 함유하는 제4 수지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4 수지층이, 상기 제1~제3 수지층을 갖는 적층 구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3] 화상 표시 스크린에 이용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4]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스크린에 이용되는, 상기 [13]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5] 한 쌍의 유리 부재와,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한 쌍의 유리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
[16] 한 쌍의 유리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유리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로서,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유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되는 접합 유리.
[17] 상기 한 쌍의 유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착색제를 함유하거나, 또는 그 표면에 상기 착색제를 함유하는 착색층을 갖는, 상기 [16]에 기재의 접합 유리.
[18] 상기 [15]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와, 상기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를 실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합 유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자동차의 짐받이 부분을 나타낸다.
도 12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픽업 트럭의 캡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14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다른 자동차의 차내로부터 자동차의 배면을 관찰한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메시지, 아이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표시용 유리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일례의 외관을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일례의 외관을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차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형태를 참조로 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간단하게 「중간막」이라고도 한다)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고,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구비하고,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어느 한 수지층이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간막은, 제1 수지층이 광확산 입자에 의하여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고, 그에 의하여, 입사된 광에 따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 있어, 화상을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 원리는 확실하지 않지만,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에 의한 광산란은, 다중 산란하면 일부가 미광(迷光)이 되어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중 산란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광이 착색제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그에 의하여, 고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전광선 투과율)
본 발명의 중간막과 기준 유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TvD)은 바람직하게는 70% 미만이다. 전광선 투과율이 70% 미만이 되면, 중간막에 있어서 광산란이 충분히 발생하여 높은 콘트라스트의 화상을 표시하기 쉬워진다. 또, 전광선 투과율을 70% 이하로 함으로써, 중간막을 개재하여 반대측에 배치되고, 화상 표시에 사용하는 광원 장치 등의 물체를 시인하기 어려워져, 나아가서는 프라이버시 보호성 등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중간막과 기준 유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TvD)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8% 이하이다. 전광선 투과율을 예를 들면 50% 이하로 하면, 중간막에 있어서 적절히 광산란을 발생시키면서, 착색제에 의한 콘트라스트 향상의 효과도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중간막의 전광선 투과율(TvD)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이상이다. 전광선 투과율(TvD)을 이들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중간막에 일정한 투명성이 부여되어, 창유리 등에 적용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TvD)은, JIS R3106(2019)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중간막을 JIS R3202(2011)에 준거한 2장의 클리어 유리(즉, 기준 유리) 사이에 끼워 넣어 접합 유리를 제작하고, 그 접합 유리에 대하여, 전광선 투과율(TvD)을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중간막과 기준 유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TvD)로 한다. 또한, 기준 유리로서는, 두께가 2.5mm인 클리어 유리를 사용한다. 클리어 유리는 가시광 투과율 90.4%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일반적으로 가시광선 투과율과는 상이한 지표이다. 가시광선 투과율이란, 반사광 및 산란광을 고려하지 않고, 평행 광선으로 측정한다. 한편, 전광선 투과율은, 반사광 및 산란광을 고려하는 지표이며,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광 및 산란광 양쪽 모두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전광선 투과율(TvD) 및 후술하는 접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TvD)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이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제1 수지층이 설치되는 영역의 전광선 투과율(TvD)이다. 또한, 착색 수지층(또는, 후술하는 착색층, 착색된 유리 부재 등)이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 수지층 및 착색 수지층 등의 양쪽 모두가 설치되는 영역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이 상기의 범위가 되면 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마다 전광선 투과율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전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가 되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광선 투과율이 가장 낮은 영역이 상기 수치 범위가 되면 된다. 또, 예를 들면,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해지는 영역을 갖는 경우, 그 영역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간막과 기준 유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의 헤이즈는,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다. 본 발명의 중간막에 있어서, 기준 유리를 이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의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하여,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높은 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헤이즈 및 후술하는 접합 유리의 헤이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이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후술하는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제1 수지층이 설치되는 영역의 헤이즈이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마다 헤이즈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가 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헤이즈가 가장 낮은 영역이 상기 수치 범위가 되면 된다. 또, 예를 들면,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해지는 영역을 갖는 경우, 그 영역에 있어서,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이즈는 JIS K671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로 했을 때의 상기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에 있어서의 색조 L*a*b*의 L*은 6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L*이 상기 상한 이하인 것에 의하여, 접합 유리가 어두워져, 보다 더 고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색조 L*a*b*는 JIS Z 8781-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층 구성]
본 발명의 중간막은, 각 층이 수지를 갖는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고, 그 중의 어느 한 수지층이 착색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고,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중간막은, 제1 수지층 이외에 수지층을 함유하는 경우, 제1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고, 함유하지 않아도 되지만, 제1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중 적어도 1개가 착색제를 함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중간막은, 수지층으로서 단층의 수지층(제1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는, 그 제1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한다. 중간막은, 수지층으로서 2개의 수지층(제1 및 제2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도, 제1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제2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중간막은, 수지층으로서 3개의 수지층(제1, 제2 및 제3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도, 제1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제2 및 제3 수지층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중간막은, 수지층으로서 4개의 수지층(제1, 제2, 제3 및 제4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도, 제1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제2, 제3, 및 제4 수지층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중간막은, 수지층으로서 5개 이상의 n개(단, n은 5 이상의 정수)의 수지층을 갖는 경우도, 제1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제2, ···, 제n 수지층)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막이 수지층을 3층 이상 갖는 경우, 제2 및 제3 수지층은, 제1 수지층을 그들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 수지층이 4층 이상을 갖는 경우, 제4 수지층은, 제1~제3 수지층에 의하여 구성되는 적층 구조의 외측에 배치되는 수지층이며, 예를 들면, 제2 수지층의 제1 수지층이 설치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는 층이다. 제5 수지층은, 수지층을 5층 이상 갖는 경우에 설치되는 층이고, 제4 수지층의 더욱 외측에 배치되는 층이면 된다.
이하, 중간막의 층 구성의 구체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수지층으로서 단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0)을 나타낸다. 중간막(10)은, 제1 수지층(11)으로 이루어지고, 제1 수지층(11)의 양면이, 접합 유리(25)를 구성하기 위한 유리 부재(21, 22)에 접착하면 된다. 중간막(10)에서는, 제1 수지층(11)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면 된다.
도 2는, 수지층으로서 2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6)을 나타낸다. 중간막(1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수지층(11)에 더하여, 제2 수지층(12)을 갖는다. 제2 수지층(12)은, 제1 수지층(11)의 한쪽 면에 설치된다. 중간막(16)에서는, 제2 수지층(12)의 제1 수지층(11)측과는 반대측의 면, 및 제1 수지층(11)의 제2 수지층(12)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접합 유리(20)를 구성하기 위한 유리 부재(21, 22)에 접착되는 접착면이 되면 된다. 중간막(16)에서는, 제1 및 제2 수지층(11, 1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면 된다.
도 3은, 수지층으로서 3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7)을 나타낸다. 중간막(17)은, 제1 수지층(11), 제2 수지층(12)에 더하여, 제3 수지층(13)을 갖는다. 제3 수지층(13)은, 제1 수지층(11)의 제2 수지층(12)이 설치되는 한쪽 면과는 반대측의 면(다른 쪽 면)에 설치된다. 즉, 제1 수지층(11)이, 제2 수지층(12) 및 제3 수지층(13)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막(17)에 있어서는, 제2 수지층(12), 제3 수지층(13)의 외측의 면(즉, 제1 수지층(11)이 설치되는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접합 유리(27)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21, 22)에 접착하는 면이 되면 된다. 또, 중간막(17)에 있어서는, 제1 수지층(11), 제2 수지층(12), 및 제3 수지층(13)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하면 된다.
도 4는, 수지층으로서 4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8)을 나타낸다. 중간막(18)은, 제1~제3 수지층(11, 12, 13)에 더하여, 제4 수지층(14)을 갖는다. 중간막(18)은, 중간막(17)과 동일하게, 제1 수지층(11)이, 제2 수지층(12) 및 제3 수지층(1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4 수지층(14)은, 이들 제1~제3 수지층(11, 12, 13)에 의하여 구성되는 적층 구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수지층(12)의 외측에 제4 수지층(14)이 설치되면 된다.
중간막(18)에 있어서도, 제1~제4 수지층(11~14)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4 수지층(14)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수지층으로서 5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9)을 나타낸다. 중간막(19)은, 제1~제4 수지층(11, 12, 13, 14)에 더하여, 제5 수지층(15)을 갖는다. 중간막(19)은, 중간막(18)과 동일하게, 제1 수지층(11)이, 제2 수지층(12) 및 제3 수지층(1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제4 수지층(14)은, 이들 제1~제3 수지층(11, 12, 13)에 의하여 구성되는 적층 구조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수지층(12)의 외측에 제4 수지층(14)이 설치되고, 제5 수지층(15)이 제4 수지층(14)의 더욱 외측에 설치되면 된다.
중간막(19)에 있어서도, 제1~제5 수지층(11~15)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4 수지층(14)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으로서는, 중간막(16~19)과 같이, 적어도 2층의 수지층(즉, 제1 및 제2 수지층(11, 12))을 갖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적어도 제1 및 제2 수지층(11, 12)을 가지면,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보다 높은 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그 원리는 확실하지 않지만,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서 적절히 광전파하면서, 광확산 입자에 의한 광산란이 한정된 영역(제1 수지층)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남으로써, 고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를 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또, 중간막은,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제2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을 개재하여,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에 접착되므로, 중간막의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을 높이기 쉬워진다.
또, 중간막으로서는, 중간막(17, 18, 19)과 같이, 적어도 3층의 수지층(즉, 제1~제3 수지층(11, 12, 13))을 갖는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고, 적어도 4층의 수지층(제1~제4 수지층(11, 12, 13, 14))을 갖는 양태도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양태에 의하면, 제1 수지층(11)의 양면에 다른 수지층이 설치되게 되므로, 제1 수지층(11)에 다량의 광확산 입자를 함유시켜도, 중간막의 유리 부재(21, 22)에 대한 접착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중간막이 3층, 4층 또는 5층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지층을 필요 이상으로 설치하는 일 없이, 상기한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확산 입자를 대량으로 배합한 수지층이 최외층에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중간막 성형 시에 광확산 입자에 의하여, 압출기 등의 성형 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중간막은, 상기한 수지층 이외에 층을 가져도 되고, 예를 들면, 각 수지층의 사이에 접착층, 배리어층 등의 다른 층이 배치되어도 된다. 또, 각 유리 부재와 수지층의 사이에도 접착층 등의 다른 층이 배치되어도 된다.
단, 제2 수지층(12)과 제1 수지층(11), 및, 제1 수지층(11)과 제3 수지층(13)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18)에 있어서, 제4 수지층(14)은, 제2 수지층(12)에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막(19)에 있어서, 제5 수지층(15)은, 제4 수지층(14)에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각 중간막에 있어서, 각 유리 부재(21, 22)도 수지층에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되는 경우, 한쪽 면으로부터 프로젝터 등의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고, 제1 수지층에 있어서 광산란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착색제가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함유되는 경우, 제1 수지층은, 그 착색제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이하, 「착색 수지층」이라고도 한다)보다,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한쪽 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착색 수지층에 의하여 흡수되는 일 없이, 제1 수지층에 입사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화상 표시할 수 있다. 또, 착색 수지층을 설치함으로써 차광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 화상 표시 스크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배면 투사형이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에 의하여 형성된 화상은, 중간막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관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수지층을 착색 수지층보다 광원 장치측에 배치하면, 제1 수지층에서 산란한 산란광은, 착색 수지층을 개재하여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되게 되므로, 다중 산란에 의하여 발생한 미광이 충분히 흡수된 후에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되게 된다. 그 때문에,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내는 2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6)에 있어서, 제2 수지층(12)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중간막(16)의 제1 수지층(11)측의 면(유리 부재(22)측)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배면 투사형이며, 제2 수지층(12)측의 면(유리 부재(21)측)으로부터 관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3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7)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2 수지층(12)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중간막(17)의 제3 수지층(13)측의 면(유리 부재(22)측)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배면 투사형이며, 제2 수지층(12)측의 면(유리 부재(21)측)으로부터 관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4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8)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4 수지층(14)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중간막(18)의 제3 수지층(13)측의 면(유리 부재(22)측)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배면 투사형이며, 제4 수지층(14)측의 면(유리 부재(21)측)으로부터 관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5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9)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4 수지층(14)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중간막(19)의 제3 수지층(13)측의 면(유리 부재(22)측)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배면 투사형이며, 제5 수지층(15)측의 면(유리 부재(21)측)으로부터 관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에 있어서는,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한쪽 면측에,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이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을 개재하여 제1 수지층에 입사되면, 보다 높은 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한쪽 면측에 설치되는,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2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6)에 있어서, 제1 수지층(11)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중간막(16)의 제2 수지층(12)측의 면(유리 부재(21)측)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3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7)에 있어서, 제1 수지층(11) 또는 제2 수지층(12)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중간막(17)의 제3 수지층(13)측의 면(유리 부재(22)측)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4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8)에 있어서, 제4 수지층(14)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중간막(18)의 제3 수지층(13)측(유리 부재(22)측)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5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9)에 있어서, 제4 수지층(14)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중간막(19)의 제3 수지층(13)측(유리 부재(22)측)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 4, 5와 같이, 중간막이, 제1~제3 수지층(11, 12, 13)을 갖는 경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제1 수지층(11)이 설치되고, 그 외의 영역에 제1 수지층(11)이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즉, 중간막(17)은,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2 및 제3 수지층(12, 13)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제3 수지층(11, 12, 13)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설치되면 된다. 또, 중간막(18)은,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2~제4 수지층(12, 13, 14)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제4 수지층(11, 12, 13, 14)의 4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설치되면 된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2~제5 수지층(12, 13, 14, 15)의 4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제5 수지층(11, 12, 13, 14, 15)의 5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설치되면 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층(11)에 더하여 제4 수지층(14)도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 수지층(11)이 설치되는 영역과, 제4 수지층(14)이 설치되는 영역은, 중복되면 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2, 제3, 제5 수지층(12, 13, 15)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제5 수지층(11, 12, 13, 14, 15)의 5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제2, 제3, 제5 수지층(11, 12, 13, 15)의 4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제5 수지층(11, 12, 13, 14, 15)의 5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수지층(11)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화상 표시를 위한 광은, 제1 수지층(11)이 설치된 영역에 조사되면 된다.
또, 중간막에서는,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한 영역, 및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예를 들면, 상기한 두께가 일정한 영역으로부터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영역) 중 한쪽을 가지면 되고, 상기 중 한쪽만을 가져도 되지만, 두께가 일정한 영역과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 양쪽 모두를 가져도 된다. 또,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두께가 일정한 영역을 적어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착색 수지층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막(19)과 같이, 제1~제5 수지층(11~15)를 갖고, 또한 제4 수지층(14)이 착색 수지층인 경우에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제4 수지층(14)이 설치되고, 그 외의 영역에 제4 수지층(14)이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를 위한 광은, 제1 수지층(11) 및 제4 수지층(14)(착색 수지층) 양쪽 모두가 설치된 영역에 조사되면 된다. 그리고, 당해 영역은 후술하는 화상 표시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또, 중간막에서는, 착색 수지층(예를 들면, 제4 수지층)은, 두께가 일정한 영역, 및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예를 들면, 상기한 두께가 일정한 영역으로부터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면 되고, 이들 중 한쪽만을 가져도 되지만, 두께가 일정한 영역과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 양쪽 모두를 가져도 된다. 또,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착색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한 영역을 적어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제1 수지층(11)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에, 착색 수지층(예를 들면 제4 수지층(14))도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어도 되고, 그 경우, 제1 수지층(11)이 설치되는 영역과, 착색 수지층(예를 들면, 제4 수지층(14))이 설치되는 영역은, 중복되면 된다. 중복되는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중복되는 영역에, 화상 표시를 위한 광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표시를 적절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중복되는 영역에 의하여, 적절한 차광도 가능해진다. 한편, 제1 수지층(11) 및 착색 수지층이 설치되지 않은 영역은, 전광선 투과율이 높아 시인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자동차의 프런트 유리 등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착색 수지층(예를 들면, 제4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한 영역과,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한 영역이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복되는 영역에 화상 표시를 위한 광을 조사하면 된다.
[제1 수지층]
(광확산 입자)
제1 수지층은, 상기와 같이,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확산 입자는, 중간막에 입사된 광을 산란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탄산 칼슘, 실리카, 산화 티탄, 유리 플레이크, 마이카, 알루미나, 알루미늄 등의 무기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확산 입자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고, 구 형상, 파쇄 형상, 부정형 형상, 다각형 형상, 평판 형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광산란성 등의 관점에서, 탄산 칼슘, 실리카, 또는 산화 티탄 등의 평판 형상 입자가 바람직하고, 탄산 칼슘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면 0.1μm 이상 5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μm 이상 50μm 이하이다. 평균 입자경을 이들 범위 내로 함으로써, 중간막에 입사한 광을 이방(異方) 산란하기 쉬워지고, 그에 의하여, 표시되는 화상이 고콘트라스트가 되기 쉽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광확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1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μ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3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μ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메디안 직경은, 중위경이며, 빈도의 누적(즉, 개수)이 50%가 되는 입자경(=D50)을 의미한다. 메디안 직경은, 구체적으로는, 광산란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Ar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여 동적 광산란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광산란 측정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오츠카 전자사 제조의 「DLS-6000AL」을 들 수 있다.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예를 들면 2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다. 광확산 입자의 농도를 6질량% 이상으로 하면, 입사된 광을 산란시켜, 중간막을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양호해진다. 또, 10질량% 이상으로 하면, 광산란성을 높여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높이기 쉬워진다. 또, 중간막을 개재하여 배면측에 배치되는 광원 장치 등의 물체가 시인하기 어려워지고, 나아가서는 프라이버시 보호성 등도 높이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1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예를 들면 75질량% 이하,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4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함유량을 이들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제1 수지층에 있어서 화상 표시에 사용하는 광원 장치 등으로부터의 광을 필요 이상으로 차광하는 것이 방지되어, 표시되는 화상을 고휘도 또한 고콘트라스트로 하기 쉬워진다. 또, 광확산 입자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차광하는 것이 방지되어, 창유리 등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중간막을 적당한 크기로 커트한 후,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을 벗기고, 제1 수지층만으로 한 시료 1g을 얻는다. 얻어진 시료 1g에 질산 수용액(농도 70질량%) 18mL를 첨가하고, 마이크로파 시료 전처리 장치(마일스톤 제너럴사 제조 「ETHOS One」)를 이용하여, 200℃에서 30분 유지하고, 가열 분해시킨 후, 25℃ 조건하에서 비저항 18.2MΩcm의 초순수를 이용하여 정용하여 시험액을 얻는다. 다음으로, 고주파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석 장치(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ICPE-9000」)에 의하여, 시험액 중의 광확산 입자를 구성하는 금속 원소 또는 규소의 정량 분석을 행한다. 예를 들면, 광확산 입자가 탄산 칼슘인 경우에는, 포함되는 칼슘이 모두 탄산 칼슘이라고 가정하고, 탄산 칼슘의 함유량을 산출했다.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를 C(질량%), 제1 수지층의 두께를 T(μm)로 하면, 이하의 식 (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500≤C×T≤3600 (1)
이상의 관계식을 만족시킴으로써, 중간막을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 중간막을 개재하여 배면측에 배치되는 광원 장치 등의 물체가 시인하기 어려워지고, 프라이버시 보호성 등도 높이기 쉬워진다. 나아가서는, 일정한 광이 투과하기 쉬워져, 창유리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간막은, 상기한 관점에서, 이하의 식 (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하의 식 (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하의 식 (4)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이하의 식 (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000≤C×T≤3200 (2)
1450≤C×T≤3200 (3)
1500≤C×T≤3200 (4)
1550≤C×T≤2500 (5)
또한, 제1 수지층은, 제1 수지층이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나,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이, 상기 식 (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중간막의 전체 영역 중 15% 이상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 이하의 영역에서 식 (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 (2),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3),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4),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 (5))를 만족시키면 된다. 또,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해지는 영역을 갖는 경우, 콘트라스트를 안정시키는 관점에서, 식 (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영역은,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해지는 영역이면 된다.
또한, 제1 수지층의 두께가 변화하고, 또한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 (2),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3),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4),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 (5)를 만족시키면 된다.
또,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0.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를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더 높이기 쉬워진다. 또, 중간막을 개재하여 배면측에 배치되는 광원 장치 등의 물체가 시인하기 어려워져, 프라이버시 보호성 등도 높이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1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7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를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하면,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중간막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차광되는 것이 방지되어, 표시되는 화상을 고휘도 또한 고콘트라스트로 하기 쉬워진다. 또, 중간막을 창유리 등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관점에서,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0μ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μm 이하이다. 제1 수지층의 두께를 250μm 이하로 하면, 광산란이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지 않고, 중간막 등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도 합쳐져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높은 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하기 쉬워진다. 또, 제1 수지층의 두께를 150μm 이하로 하면, 중간막에 입사한 광이 두께 방향을 따라 다중 산란하기 어려워져,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보다 더 높은 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하기 쉬워진다. 제1 수지층의 두께는, 고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μm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μm 이하이다.
또, 제1 수지층의 두께는, 중간막에 있어서 일정량 이상의 광산란을 발생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20μm 이상이 바람직하고, 40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70μ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지층의 두께는, 중간막에 있어서 일정해도 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수지층의 두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이 상기 범위 내가 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제1 수지층의 두께가 변화하고, 또한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수지층의 두께란, 화상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를 의미하면 된다. 즉, 화상 표시 영역에는 제1 수지층이 존재하고, 또한 제1 수지층의 두께의 적합한 범위는 상기와 같다. 또한, 화상 표시 영역이란,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조사되고, 접합 유리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제1 수지층을 갖고, 또한 그 두께가 상기 적합한 범위가 되는 화상 표시 영역은, 전광선 투과율이 상기 적합한 범위 내가 되면 된다.
단, 일정 이상의 영역에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높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중간막의 전체 영역 중 15%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 이하의 영역에서 제1 수지층이 존재하고, 또한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가 되면 된다.
또,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해지는 영역을 갖는 경우, 콘트라스트를 안정시키는 관점에서, 제1 수지층이 존재하고, 두께가 상기 범위 내가 되고, 또한 그 두께로 일정해지는 영역을 가지면 된다. 그리고, 제1 수지층이 존재하고, 두께가 상기 범위 내가 되고, 또한 그 두께로 일정해지는 영역은, 화상 표시 영역이 되면 된다.
또한, 상기 중간막의 제1 수지층의 두께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즉, 예리한 면도날로, 상기 제1 수지층과 그 이외의 수지층의 단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중간막을 절단한다. 그 후, 상기 중간막의 노출된 단면을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OLYMPUS사 제조 「DSX500」)로 관찰하고, 마이크로 게이지에 의하여 상기 중간막 및 각 층의 두께를 측정했다.
제1 수지층은, 상기와 같이 수지를 함유하고, 제1 수지층에 있어서는 광확산 입자가 수지 중에 분산된다. 제1 수지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제1 수지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제1 수지층을 다른 수지층, 유리 부재 등에 접착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1)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1)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제1 수지층의 다른 수지층, 유리 부재 등에 대한 접착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상기 중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1)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 특히 유리 부재가 무기 유리인 경우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쉽다. 또, 내관통성, 차음성 등의 접합 유리에 필요한 특성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제1 수지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1)로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상세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1 수지층은,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지층에 함유되는 가소제는, 가소제 (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수지층은, 가소제 (1)을 함유함으로써 유연해지고, 그 결과, 접합 유리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내관통성이나 차음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광확산 입자 및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화상 표시 스크린에 중간막을 사용했을 때,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이는,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제1 수지층과 광확산 입자의 굴절률차가 커지는 것에 기인한다. 또, 광확산 입자를 가소제에 분산시키고 나서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함으로써, 광확산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고, 영상을 투영했을 때의 화상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 또는 중간막을 구성하는 다른 수지층 등에 대한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가소제 (1)은,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을 사용하는 경우에 함유시키면 특히 효과적이다. 가소제 (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수지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1)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 (1)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은, 예를 들면 20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상이다. 함유량 (1)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함유량 (1)은, 차음성의 관점에서 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관점에서, 함유량 (1)은, 55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유량 (1)을 55질량부 이상으로 하는 경우, 중간막은, 제2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및 제3 수지층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가소제 (1)의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10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부 이하이다. 함유량 (1)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제1 수지층은, 상기와 같이,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사용되는 착색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부터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배합되는 색소를 사용할 수 있고, 청색, 황색, 적색, 녹색, 자색, 흑색, 백색 등의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색소는, 안료, 염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착색제를 사용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착색하고, 상기와 같이 화상 표시 스크린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고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안료로서는, 피그먼트 블루 등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안료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페릴렌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티오인디고계 안료, 이소인돌린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퀴노프탈론계 안료, 트렌계 안료, 산화 티탄계 안료, 피그먼트 블랙 7 등의 카본 블랙, 그라펜, 카본 나노 튜브 등의 탄소계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염료로서는, 아조 염료, 시아닌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나프토퀴논 염료, 퀴논이민 염료, 메틴 염료, 아조메틴 염료, 스쿠아릴륨 염료, 아크리딘 염료, 스티릴 염료, 쿠마린 염료, 퀴놀린 염료, 니트로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염료는 분산 염료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와의 친화성이 높고, 블리드 아웃하기 어려운 점에서,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페릴렌 안료가 바람직하다. 또, 염료로서는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가 바람직하다.
착색제는, 일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제로서는, 탄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계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미광을 흡수하고,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더 높이기 쉬워진다. 또, 차광성도 우수한 것으로 하기 쉬워진다. 탄소계 재료로서는,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또, 착색제로서는, 카본 블랙 등의 탄소계 재료와, 탄소계 재료 이외의 그 외의 색소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착색제의 조합에 의하여,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면서, 접합 유리를 원하는 색으로 착색할 수 있어,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착색제를 구성하는 안료 및 염료는,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그대로 배합되어도 되지만, 잉크, 또는 토너 등의 형태로 된 후에, 수지에 배합되어도 된다. 그와 같은 경우, 착색제의 농도란, 안료 및 염료 그 자체의 질량을 의미한다. 또, 착색제는, 가소제 중에 분산된 후에, 수지에 배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소제에, 착색제를 더하고, 추가로 분산제 등을 더하고, 가소제에 분산시킨 후에, 수지와 혼합시켜도 된다.
제1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 이상 0.4질량% 이하이다. 착색제의 농도를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하면, 다중 산란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광을 적절히 흡수하여,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쉬워진다. 또, 착색제의 농도를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하면, 중간막 중의 광확산 입자에 의한 산란광이 필요 이상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합 유리에 우수한 투영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들 관점에서,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농도는, 0.01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0.3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15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수지층이 2층 이상 함유되고, 또한 제1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지만, 실질적으로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수지층이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전광선 투과율을 높게 하여, 중간막의 투명성을 높이기 쉬워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층이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란, 그 수지층에 의도적으로 착색제를 함유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그 경우의 착색제의 농도는, 각 수지층에 있어서, 예를 들면, 0.005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질량%이다.
또, 제1 수지층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의 합계 함유량이 예를 들면 25질량% 이상이지만,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가 주성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의 합계량이, 제1 수지층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이다.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중간막에 있어서, 제1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은, 수지를 함유하는 층이고, 각 수지층에 사용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각 수지층의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면, 각 수지층을 다른 수지층이나 유리 부재 등에 접착시키기 쉬워진다.
따라서, 중간막이 제1 및 제2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모두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중간막이 제1, 제2, 및 제3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는, 제1, 제2 및 제3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모두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막이 제1, 제2, 제3, 및 제4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는, 제1, 제2, 제3 및 제4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모두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이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는,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모두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2, 제3, 제4 및 제5 수지층 각각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2), 열가소성 수지 (3), 열가소성 수지 (4), 및 열가소성 수지 (5)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2), (3), (4), (5))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각,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1)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 열거한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중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 특히 유리 부재가 무기 유리인 경우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쉽다. 또, 내관통성, 차음성 등의 접합 유리에 필요한 특성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각 수지층에 있어서,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열가소성 수지 (2)는,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등에서, 열가소성 수지 (1)과 동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간막이 제1 및 제2 수지층을 갖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1)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2)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가소성 수지 (3)은, 열가소성 수지 (1) 및 열가소성 수지 (2)와 동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간막이 제1~제3 수지층을 갖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1)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2), (3)이 모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4)는, 열가소성 수지 (1), 열가소성 수지 (2) 및 열가소성 수지 (3)과 동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간막이 제1~제4 수지층을 갖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1)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2), (3), (4)가 모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가소성 수지 (5)는, 열가소성 수지 (1), 열가소성 수지 (2), 열가소성 수지 (3) 및 열가소성 수지 (4)와 동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간막이 제1~제5 수지층을 갖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1)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2), (3), (4), (5)가 모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상세는 후술한다.
중간막에 있어서, 제1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도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간막에 있어서 제2 수지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3 수지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 수지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5 수지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간막이 복수의 수지층을 갖는 경우, 제1 및 제2 수지층 양쪽 모두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이 제1, 제2 및 제3 수지층을 갖는 경우, 제1, 제2 및 제3 수지층 모두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1~제4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는, 제1~4 수지층 모두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1~제5 수지층을 갖는 경우에는, 제1~5 수지층 모두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제3, 제4, 및 제5 수지층 각각에 함유되는 가소제는, 가소제 (2), 가소제 (3), 가소제 (4), 가소제 (5)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2)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 (2)의 함유량은 함유량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고, 제3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3)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3)의 함유량은 함유량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4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4)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 (4)의 함유량은 함유량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5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5)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 (5)의 함유량은 함유량 (5)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중간막은, 상기한 각 수지층이,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유연해지고, 그 결과, 접합 유리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내관통성도 향상된다. 나아가서는, 유리판 등의 유리 부재 또는 중간막의 다른 수지층에 대한 높은 접착성을 발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도,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소제를 함유시키면 특히 효과적이다.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사용하는 가소제(예를 들면, 가소제 (2), (3), (4), (5)) 각각은, 가소제 (1)과 동일한 종류여도 되고, 상이한 종류여도 된다. 또,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사용하는 가소제(예를 들면, 가소제 (2), (3), (4), (5))는 서로 동일한 종류여도 되고, 상이한 종류여도 된다.
또, 제1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에 사용하는 가소제는 각각,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예를 들면, 함유량 (2), (3), (4), (5))은,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다. 가소제의 함유량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들 관점에서,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각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질량부 이상이다.
또,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예를 들면, 함유량 (2), (3), (4), (5))은, 바람직하게는 6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하이다. 이들 함유량 각각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중간막의 굽힘 강성 등의 기계 특성이 양호해진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 (1)은,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소제의 함유량 (1)은, 함유량 (2)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3)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유량 (4)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5)보다 많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함유량 (1)은, 중간막이 제1~제3 수지층을 갖는 경우, 상기 함유량 (2) 및 (3) 양쪽 모두보다 많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제4 수지층이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함유량 (2), (3) 및 (4) 중 어느 것보다 많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5 수지층이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 (3), (4) 및 (5) 중 어느 것보다 많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함유량 (1)이,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 각각보다 많은 경우, 함유량 (1)과,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예를 들면, 함유량 (2), (3), (4), 또는 (5))의 차의 절대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질량부 이상이다. 이와 같이, 함유량의 차의 절대값을 크게 하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더 높이기 쉬워진다. 또, 상기 차의 절대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부 이하이다.
또,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각각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가 주성분이 되는 것이고,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의 합계량이, 각 수지층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제1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예를 들면, 제2 수지층, 제3 수지층, 제4 수지층, 제5 수지층)은, 상기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해도 되고, 함유하지 않아도 되는데,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가, 상기 범위 내가 되도록 설계되면 된다. 따라서, 제2 수지층은, 상기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그 함유량이 소량이거나, 혹은,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3 수지층도, 상기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그 함유량이 소량이거나, 혹은,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4 수지층도, 상기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그 함유량이 소량이거나, 혹은,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5 수지층도, 상기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그 함유량이 소량이거나, 혹은,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에 광확산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거나, 또는 함유시켜도 소량으로 함으로써, 각 수지층에 있어서, 광산란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에 의하여, 중간막을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했을 때,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제1 수지층 이외의 각 수지층(예를 들면, 제2 수지층, 제3 수지층, 제4 수지층 각각)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구체적인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이다.
상기와 같이, 중간막은, 2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 경우,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중 적어도 1개는, 착색제를 함유하고, 착색 수지층이 되어도 된다. 중간막은, 착색 수지층을 함유함으로써, 제1 수지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것과 합쳐져, 화상 표시 스크린에 적용한 경우에,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 또는 제1~제3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 등에 있어서, 제2 또는 제3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고, 착색 수지층이 되면 된다.
또, 중간막이, 제1~제4 수지층을 갖는 경우, 상기와 같이, 제4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하고, 착색 수지층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함으로써, 제1 수지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것과 합쳐져, 중간막을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쉬워진다. 또, 제1~제3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에, 추가로 착색 수지층을 적층하는 것만으로, 착색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을 얻을 수 있으므로, 그 성형이 비교적 용이하다.
또, 중간막이, 제1~제5 수지층을 갖는 경우도, 상기와 같이, 제4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하여, 착색 수지층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수지층(예를 들면, 제2, 제3, 제4 수지층 또는 제5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농도는, 제1 수지층과 동일하게,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 이상 0.4질량% 이하이다. 또, 착색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농도는, 0.01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0.3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1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중 1개가 착색 수지층이 되는 경우, 착색 수지층 이외의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이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전광선 투과율을 높게 하여, 중간막의 투명성을 높이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제2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제2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예를 들면, 수지층을 2층 갖는 경우에는 제1 수지층. 수지층을 3층 갖는 경우에는 제1 및 제3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형광 증백제, 결정핵제, 카르복실산 금속염, 차열 재료 등의 상기 이외의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중간막의 두께)
중간막의 두께(즉, 중간막 전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상 3.0mm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를 10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접착성,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3.0mm 이하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투명성도 확보하기 쉬워진다. 중간막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μm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μm 이상이다.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이다.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의 두께)
제2 수지층, 또는 제2 및 제3 수지층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μm 이상 1.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접착성,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화상의 콘트라스트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1.3mm 이하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투명성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제2 수지층, 또는 제2 및 제3 수지층 각각의 두께는, 100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μ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1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μ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및 제3 수지층의 두께는, 중간막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변화해도 되지만, 변화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가 되면 된다. 단,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즉, 20μm 이상 25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μm 이상 150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μm 이상 90μm 이하)가 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범위 내가 되는 편이 좋다. 그리고, 그 영역이 화상 표시 영역이 되면 된다. 또, 제2 및 제3 수지층 각각이 일정한 두께가 되는 영역에 있어서, 각 두께가 상기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제4, 제5 수지층의 두께 등도 동일하다.
제2 수지층, 또는 제2 및 제3 수지층의 두께는 각각, 제1 수지층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층을 두껍게 함으로써,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쉬워지고, 또, 중간막의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도 향상시키기 쉽다. 이들 관점에서, 제1 수지층의 두께에 대한, 제2 수지층, 또는 제2 및 제3 수지층의 두께의 비는 각각,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1.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 이하가 바람직하며,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수지층의 두께는, 변화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두께 비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범위 내가 되면 되지만,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즉, 20μm 이상 25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μm 이상 150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μm 이상 90μm 이하)가 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범위 내가 되는 편이 좋다. 다른 두께 비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그 영역이 화상 표시 영역이 되면 된다.
제4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μm 이상 1.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접착성,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제4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면,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쉬워진다. 또, 1.3mm 이하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투명성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제4 수지층의 두께는, 100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μ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250μm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또, 1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750μ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00μm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제4 수지층의 두께는, 중간막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변화해도 된다.
제4 수지층의 두께는, 제1 수지층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수지층을 두껍게 함으로써, 제4 수지층이 유리 부재에 접착하는 경우에는, 중간막의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도 향상시키기 쉽다. 또, 제4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면,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제1 수지층의 두께에 대한, 제4 수지층의 두께의 비는,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1.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 이하가 바람직하며, 9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5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μm 이상 1.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0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접착성,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1.3mm 이하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투명성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들 관점에서, 제5 수지층의 두께는, 100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μ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1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μ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5 수지층의 두께는, 중간막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변화해도 된다.
제5 수지층은, 제1 수지층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수지층을 두껍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중간막의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기 쉽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제1 수지층의 두께에 대한, 제5 수지층의 두께의 비는 각각,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1.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 이하가 바람직하며,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이하,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수지층 각각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개별의 구성에 대해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로 하여 설명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다. 즉,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PVA)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 비닐 등의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99.9몰%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2), (3), (4), 및 (5) 각각을 얻기 위한 PVA를, PVA (1), (2), (3), (4), 및 (5) 각각으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이다. 평균 중합도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또, 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또,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하는 경우에는, PVA의 평균 중합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수지층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소제의 함유량 (1)을 55질량부 이상으로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PVA (1)의 평균 중합도를 2000 이상으로 하는 것도 적합하다.
또, PVA (1)의 평균 중합도는, 다른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PVA(예를 들면, PVA (2), (3), (4), (5)) 각각의 평균 중합도보다 낮게 해도 되고, 같게 해도 되며, 높게 해도 된다. 단, PVA (1)의 평균 중합도는, 다른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PVA의 평균 중합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PVA (1)의 평균 중합도를 높게 하면, 제1 수지층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소제의 함유량을 많게 해도 각종 성능이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구해진다.
아세탈화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1~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3~5인 알데히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4 또는 5인 알데히드,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의 알데히드이다.
상기 탄소수가 1~10인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며, n-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 특히 바람직하게는 4이다. 아세탈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부티랄기가 특히 바람직하고,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 (2) 모두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제1~3 수지층을 갖는 경우, 제1~제3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 (2), (3) 모두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제1~4 수지층을 갖는 경우, 제1~제4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4) 모두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5 수지층을 갖는 경우, 제1~제5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1)~(5) 모두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간막은, 복수의 수지층을 갖는 경우, 모든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이며, 또, 예를 들면 38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34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 가소제를 흡수하고,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7몰% 이하이다. 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을 20몰% 이상으로 하면 반응 효율이 높아 생산성이 우수하다.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3), (4), (5))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각각, 예를 들면 2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을 하한 이상으로 하면, 차음성을 유지하면서, 굽힘 강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3), (4), (5))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4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합성 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석출하기 쉬워진다.
차음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은 경우, 그 함유율의 차의 절대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이다. 이에 의하여, 차음성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대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이다. 또, 상기 수산기의 각 함유율의 차의 절대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과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수지 중의 잔류 알데히드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아세탈화도란, 아세탈기가 부티랄기이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를 의미한다.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3), (4), (5))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3몰%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수지 중의 잔류 알데히드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면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이다. 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져, 가소제를 대량으로 배합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아세틸화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이다. 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하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3), (4), (5))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이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비가교형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여도 되고, 또, 고온 가교형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여도 된다. 또,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에틸렌-아세트산 비닐의 가수 분해물 등과 같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변성체 수지도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JIS K 6730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수지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아세트산 비닐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질량%이다. 아세트산 비닐 함량을 이들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리판 등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해지고, 또한,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양호해지기 쉬워진다. 또, 아세트산 비닐 함량을 이들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파단 강도가 높아져,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이 양호해진다.
(아이오노머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다양한 아이오노머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퍼플루오로카본계 아이오노머, 텔레켈릭아이오노머, 폴리우레탄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접합 유리의 기계 강도, 내구성, 투명성 등이 양호해지는 점, 유리판이 무기 유리인 경우 유리판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에틸렌계 아이오노머가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아이오노머로서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가 투명성과 강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는, 적어도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며, 다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1-부텐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로서는, 당해 공중합체가 갖는 전체 구성 단위를 100몰%로 하면,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를 75~99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를 1~25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가 갖는 카르복실기 중 적어도 일부를 금속 이온으로 중화 또는 가교함으로써 얻어지는 아이오노머 수지이지만, 당해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는, 통상은 1~90%이며, 바람직하게는 5~85%이다.
아이오노머 수지에 있어서의 이온원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아연 등의 다가 금속을 들 수 있고, 나트륨, 아연이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이오노머 수지로서,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고온, 고압하에서 라디칼 공중합을 행하여,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그리고, 그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와, 상기의 이온원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올 화합물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올 화합물, 또한, 폴리아민 등의 사슬 연장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우레탄 수지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디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폴리티올 및 함황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하면 된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유기 유리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리판이 유기 유리인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지방족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하드 세그먼트가 되는 스티렌 모노머 중합체 블록과, 소프트 세그먼트가 되는 공액 디엔 화합물 중합체 블록 또는 그 수소 첨가 블록을 갖는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이소프렌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그리고 그 수소 첨가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이어도 되고, 불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쇄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폴리올레핀이어도 되고,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중간막의 보존 안정성, 및,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의 재료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trans-2-부텐, cis-2-부텐, 1-펜텐, trans-2-펜텐, cis-2-펜텐, 1-헥센, trans-2-헥센, cis-2-헥센, trans-3-헥센, cis-3-헥센, 1-헵텐, trans-2-헵텐, cis-2-헵텐, trans-3-헵텐, cis-3-헵텐, 1-옥텐, trans-2-옥텐, cis-2-옥텐, trans-3-옥텐, cis-3-옥텐, trans-4-옥텐, cis-4-옥텐, 1-노넨, trans-2-노넨, cis-2-노넨, trans-3-노넨, cis-3-노넨, trans-4-노넨, cis-4-노넨, 1-데센, trans-2-데센, cis-2-데센, trans-3-데센, cis-3-데센, trans-4-데센, cis-4-데센, trans-5-데센, cis-5-데센, 4-메틸-1-펜텐, 및 비닐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
이하, 각 수지층 각각에 사용되는 가소제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가소제(예를 들면, 가소제 (1)~(4))에 대하여 묶어서 설명한다.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 가소제란, 상온(23℃), 상압(1기압)에서 액상이 되는 가소제이다.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글리콜로서는, 각 알킬렌 단위가 탄소수 2~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또는 3이며, 알킬렌 단위의 반복수가 2~10, 바람직하게는 2~4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또, 글리콜로서는, 탄소수 2~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또는 3이며, 반복 단위가 1인 모노알킬렌글리콜이어도 된다.
글리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탄소수 3~10의 유기산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2-에틸펜탄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이하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며, p는 3~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이다. R1 및 R2의 유기기는, 탄화 수소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이다.
또, 구체적인 글리콜에스테르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2-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등의 탄소수 4~12의 이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10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탄소수 4~10의 알코올은, 직쇄여도 되고, 분기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며, 환상 구조를 가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세바스산 디부틸, 아젤라산 디옥틸, 아디프산 디헥실, 아디프산 디옥틸, 아디프산 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 디이소노닐, 아디프산 헵틸노닐, 디-(2-부톡시에틸)아디페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혼합형 아디프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변성 세바스산 알키드 등이어도 된다. 혼합형 아디프산 에스테르로서는, 탄소수 4~9의 알킬알코올 및 탄소수 4~9의 환상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알코올로부터 제작된 아디프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의 인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가소제는, 상기한 것 중에서도, 디-(2-부톡시에틸)아디페이트(DBEA),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방법]
중간막은,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얻고, 수지 조성물로부터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층(제1 수지층, 제2 수지층, 제3 수지층, 제4 수지층 등)을 성형한 후, 각 층을 적층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공압출 등에 의하여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층을 성형하면서 각 층을 적층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제조해도 된다.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등의 수지,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광확산 입자, 가소제, 착색제, 그 외의 첨가제 등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혼련 장치 등에 의하여 혼합하여 얻으면 된다. 예를 들면, 공압출기 등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층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압출기로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혼합하면 된다.
<접합 유리>
본 발명은, 또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 부재와, 한 쌍의 유리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막을 구비한다. 한 쌍의 유리 부재 각각은,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되면 된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JIS R3106(2019)에 준거한 전광선 투과율(TvD)이 7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TvD)은, 상기한 본 발명의 중간막과 동일하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8% 이하이며, 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이상이다. 또,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중간막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접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에 있어서의 색조 L*a*b*의 L*은 6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L*이 상기 상한 이하인 것에 의하여, 접합 유리가 어두워져, 보다 더 고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의 헤이즈는,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다. 접합 유리의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하여,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높은 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하기 쉬워진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유리(25~29)에 있어서, 각 유리 부재(21, 22)는, 중간막(10)의 양 표면 각각에 적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층의 제1 수지층(11)을 갖는 중간막(10)에서는, 제1 수지층(11)의 양 표면에 유리 부재(21, 22) 각각이 적층되면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층(11)과 제2 수지층(12)을 갖는 중간막(10)에서는, 제2 수지층(12)의 표면에 한쪽 유리 부재(21)가, 제1 수지층(11)의 표면에 다른 쪽 유리 부재(22)가 적층되면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3 수지층(11, 12, 13)을 갖는 중간막(17)에서는, 제2 수지층(12)의 표면에 한쪽 유리 부재(21)가 적층되고, 제3 수지층(13)의 표면에 다른 쪽 유리 부재(22)가 적층되면 된다. 또,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4 수지층(11, 12, 13, 14)을 갖는 중간막(18)에서는, 제4 수지층(14)의 표면에 한쪽 유리 부재(21)가 적층되고, 제3 수지층(13)의 표면에 다른 쪽 유리 부재(22)가 적층되면 된다. 또,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5 수지층(11, 12, 13, 14, 15)을 갖는 중간막(18)에서는, 제5 수지층(15)의 표면에 한쪽 유리 부재(21)가 적층되고, 제3 수지층(13)의 표면에 다른 쪽 유리 부재(22)가 적층되면 된다.
(유리 부재)
접합 유리에서 사용하는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을 사용하면 된다. 유리판은, 무기 유리, 유기 유리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무기 유리가 바람직하다. 무기 유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클리어 유리, 클리어 플로트 유리, 플로트 판유리, 강화 유리, 착색 유리, 마판 유리, 형판 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자외선 흡수 판유리, 적외선 반사 판유리, 적외선 흡수 판유리,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 유리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지 유리라고 불리는 것이 사용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 폴리에스테르판 등으로 구성되는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한 쌍의 유리 부재는, 서로 동종의 재질로 구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한쪽이 무기 유리이고, 다른 쪽이 유기 유리여도 되지만, 한 쌍의 유리 부재 양쪽 모두가 무기 유리이거나, 또는 유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부재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m 이상 3mm 이하이다.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장의 유리 부재의 사이에, 중간막을 사이에 두고, 압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거나 하여, 2장의 유리 부재와 중간막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으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고, 약 120~150℃ 및 1~1.5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복수의 수지층을 적층하여 일체화하고, 중간막을 성형하면서 접합 유리를 제조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 부재와, 한 쌍의 유리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막을 구비하고, 중간막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 것이고,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갖고, 한 쌍의 유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접합 유리는, 제1 수지층에 있어서 광확산 입자가 광산란함으로써 화상이 표시되지만, 그 화상은 높은 콘트라스트로 표시된다. 그 원리는 확실하지 않지만,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에 의한 광산란은, 다중 산란하면 일부가 미광이 되어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지만, 다중 산란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광은, 효율적으로 착색제에 의하여 흡수되고, 그에 의하여, 고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를 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는, 상기의 접합 유리와 동일하게, JIS R3106(2019)에 준거한 전광선 투과율(TvD)이 7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8% 이하이며, 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에 있어서, 중간막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는 생략한다. 단, 중간막에 있어서의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은,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모든 수지층이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는,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 그 자체에 착색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유리 부재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공지의 구성이어도 되고, 무기 유리의 경우에는, 금속 이온 등 공지의 착색제를 무기 유리에 배합시키면 된다. 또, 유기 유리의 경우에는, 상기한 안료, 염료 등을 유기 유리에 배합하면 된다. 유리 부재 그 자체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2개의 유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 유리 부재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면 된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25, 26, 27, 28, 29)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리 부재(21)가 착색제를 함유하면 된다. 그 경우, 각 접합 유리(25, 26, 27, 28, 29)에 있어서는, 유리 부재(22)(즉, 착색제를 함유하는 유리 부재(21)와는 다른 유리 부재)측의 면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배면 투사형이며, 유리 부재(21)측으로부터 관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부재의 표면에 착색제를 함유하는 착색층을 형성해도 된다.
따라서, 도 6, 7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35, 36)와 같이, 예를 들면, 유리 부재(21)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착색층(34)을 가지면 된다. 착색층(3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21)의 중간막(17)측의 면(내측면)에 설치되어도 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21)의 중간막(17)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외측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착색층(34)은, 유리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이며, 착색제를 함유하는 한 어떠한 양태여도 되지만, 당해 피막은 필요에 따라,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의 바인더 성분을 포함해도 되고, 추가로 적절히 첨가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각 접합 유리(35, 36)는, 유리 부재(22)(즉, 착색제를 함유하는 유리 부재(21)와는 다른 유리 부재)측의 면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배면 투사형이며, 유리 부재(21)측의 면으로부터 관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착색층을 갖는 접합 유리에 있어서, 도 6,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막으로서, 제1~제3 수지층(11, 12, 13)을 갖는 중간막(17)을 예로 하여 설명했다. 단, 중간막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1, 2,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층의 수지층을 갖는 중간막(10), 제1 및 제2 수지층(11, 12)을 갖는 중간막(17), 제1~제4 수지층(11, 12, 13, 14)을 갖는 중간막(18)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어떠한 구성의 중간막이어도 된다. 단, 어느 구성에 있어서도, 중간막은,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가질 필요는 없다.
또, 한 쌍의 유리 부재는, 한쪽이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되어 있으면 되고, 다른 쪽은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되어도 되지만,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에 있어서 사용하는 중간막은, 적어도 2층의 수지층(제1 및 제2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2층의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상기와 같이,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한 경우에, 보다 높은 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하기 쉬워진다. 또, 도 3, 6,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3 수지층(11, 12, 13)을 갖는 중간막(17)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중간막은,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는 일 없이, 제1 수지층(11)에 다량의 광확산 입자를 함유시켜도, 중간막의 유리 부재(21, 22)에 대한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는, 우선,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된 유리 부재를 제작하고, 그 후, 상기한 방법으로 2장의 유리 부재를,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제조하면 된다.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된 유리 부재는, 상기와 같이, 공지의 방법으로 착색제를 유리 부재 중에 배합하고, 또, 착색층을 유리 부재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제작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유리에 있어서, 착색층은, 접합 유리의 전체 영역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일부의 영역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 그 자체에 착색제를 함유시켜, 유리 부재를 착색하는 경우여도, 유리 부재의 일부의 영역만을 착색시켜도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이, 제1 수지층이 중간막(즉, 접합 유리)의 일부의 영역에만 설치되는 경우, 착색층이 설치되는 영역, 혹은,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된 영역과, 제1 수지층이 설치되는 영역은, 중복되면 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용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즉, 접합 유리)은, 화상 표시 스크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터 등을 구성하는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조사되고, 그 조사된 광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 산란하여, 접합 유리 상에서 화상으로서 표시되면 된다.
화상 표시 스크린은, 배면 투사형이어도 되고, 정면 투사형이어도 되지만, 배면 투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 투사형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고콘트라스트의 화상 표시를 실현하기 쉬워진다.
또한,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스크린은,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또한 접합 유리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화상 관찰을 행하게 하는 스크린이다. 또, 정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스크린은,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또한 접합 유리의 한쪽 면(즉,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조사된 면)으로부터, 화상 관찰을 행하게 하는 스크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접합 유리를 화상 표시 스크린으로서 사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도 제공한다. 화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한 접합 유리와,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고,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에 의하여 접합 유리에 화상을 표시한다. 화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배면 투사형이어도 되고, 정면 투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배면 투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30)은, 접합 유리(31)와, 광원 장치(32)를 구비한다. 접합 유리(31)는, 상기한 접합 유리 중 어떠한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30)은, 광원(32)이 접합 유리(31)의 한쪽 면(배면(31B))에 광을 조사하고, 그 조사한 광에 의하여 접합 유리(31)의 다른 쪽 면(전면(前面)(31F))으로부터 화상을 표시시킨다. 전면(31F)측에 표시된 화상은, 접합 유리(31)의 전방에 있는 관찰자(OB)에 의하여 시인된다. 전면(31F)으로부터 표시되는 화상은, 동영상 등의 영상이어도 되지만, 정지 화상이나, 문자, 아이콘, 상표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시지, 로고 등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 장치(32)는,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시스템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광원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영상 등의 각종 화상을 비추는 것이 가능한 프로젝터를 사용한다. 프로젝터로서는, 이른바 DLP(등록상표) 프로젝터로서 알려진, 디지털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표시 시스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정 아이콘, 고정 메시지 등, 비추는 화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프로젝터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화상에 따른 일정한 광을 접합 유리(31)에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배면 투사형에 있어서, 접합 유리(31)에 조사되는 광은, 표시 화상에 대하여, 좌우 반전한 화상에 대응한 광이다. 좌우 반전한 화상에 대응한 광을 조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상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좌우 반전시켜도 되고, 반전 미러 등을 사용해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30)에 있어서, 광원 장치(32)로부터 발해진 광은, 접합 유리(31)에 직접 조사되어도 되지만, 반사 미러, 반전 미러 등의 광학 부재를 개재하여 접합 유리(31)에 조사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종 창유리에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등의 탈 것용 창유리, 또는 건축용 창유리 등에 사용 가능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또는 접합 유리는, 각종 창유리에 사용함으로써, 창유리에 영상, 메시지, 로고 등의 각종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가정용 전기 기기 등의 각종 전기 기기의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창유리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동차의 창유리에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동차의 창유리로서는, 중간막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이 70% 미만인 점에서,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가 바람직하지만, 리어 유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이, 제1 수지층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프런트 유리에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건축용 창유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축물 내부에 광원 장치를 설치하고, 창유리의 내측의 표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창유리의 외측의 면에, 각종 화상을 표시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탈 것용 창유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탈 것 내부에 광원 장치를 설치하고, 창유리의 외측의 면에 각종 화상을 표시하면 된다.
또, 건축, 탈 것용 창유리의 외측의 면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고, 창유리의 내측의 면에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보닛, 트렁크 등에 광원 장치를 설치하고,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등에 외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이들 유리의 내측의 면에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중간막 또는 접합 유리를 사용한 창유리는, 광은 투과하지만, 창유리를 개재하여 사람 또는 물체가 시인하기 어려워지므로, 프라이버시 보호성이 높은 창유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각종 차량에 사용되는 탈 것용 유리를 이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하의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여, 예를 들면, 차외나 차내를 향하여 간이한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다양한 화상을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은, 표시용 유리와, 표시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고,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에 의하여 표시용 유리에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용 유리는, 자동차 등의 각종 차량의 창유리 등에 사용되는 탈 것용 유리이다.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는,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가지면 된다. 표시용 유리는,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면, 광확산 입자에 의한 광산란이 발생하고, 표시용 유리 상에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은, 표시용 유리의 전체 영역에 설치되어도 되지만, 표시용 유리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어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은, 표시용 유리를 화상 표시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는 투사 시스템이며, 표시용 유리를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면 된다.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스크린은, 표시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입사하고, 또한 표시용 유리 다른 쪽 면으로부터 화상 관찰을 행하게 하는 스크린이다.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은, 표시시키는 화상에 대응한 가시광이다. 또, 광원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단색광이어도 되지만, 복수의 색이 조합된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복수의 색을 조합함으로써, 표시용 유리에는 풀 컬러 화상도 표시 가능하다.
또한, 표시용 유리의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한쪽 면은, 차내측의 면이고, 다른 쪽 면이 차외측의 면이며, 화상은 차외를 향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대여도 된다. 즉, 표시용 유리의 차내측의 면에 화상을 표시시켜, 차내를 향하여 화상을 표시시킴과 함께, 그 반대측의 면에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는, 상기한 광확산 입자를 가짐으로써, 유백색을 가져도 되고, 또, 후술하는 착색제를 함유함으로써, 유백색에 적절히 색이 부여된 양태여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TvD)은 예를 들면 70% 미만이다. 전광선 투과율이 70% 미만인 것에 의하여, 표시용 유리에 있어서 충분히 광산란이 발생하여 높은 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 표시용 유리를 개재하여, 차체 내부 등이 시인하기 어려워져, 프라이버시 보호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들 관점에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TvD)은,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광선 투과율(TvD)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전광선 투과율(TvD)을 이들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외를 향하여 높은 콘트라스트로 화상 표시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TvD)은, JIS R3106(2019)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는, 상기와 같이 전광선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높은 투명성이 필요로 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의 전광선 투과율(TvD)이란, 상기와 같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이 설치되는 영역(광확산 영역이라고도 한다)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광확산 영역의 전광선 투과율(TvD)이다. 그 경우,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층(즉, 후술하는 제1 수지층)이 설치되지 않은 영역(투명 영역이면도 한다)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TvD)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실용적으로는 99% 이하, 바람직하게는 97% 이하이다. 이와 같이, 전광선 투과율(TvD)이 높은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표시용 유리를 프런트 유리 등으로 해도 운전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광확산 영역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이 형성되고, 위치마다 전광선 투과율이 상이한 경우가 있지만,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일부의 영역의 전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가 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광선 투과율이 가장 낮은 영역이 상기 수치 범위가 되면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광원 장치는,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시스템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광원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영상 등의 각종 화상을 비추는 것이 가능한 프로젝터를 사용한다. 프로젝터로서는, 이른바 DLP(등록상표) 프로젝터로서 알려진, 디지털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영상 표시 시스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시스템은, 터치 센서를 구비해도 된다. 터치 센서는, 손가락 등에 의한, 표시용 유리에 대한 터치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이다. 터치 센서가 검지하는 터치 동작은, 표시용 유리에 손가락 등을 반드시 접촉시킬 필요는 없다. 즉, 터치 센서는 손가락 등을 표시용 유리의 소정 위치에 근접시킨 것을 검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터치 센서의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IR형 센서, 제스처 검지형, 울트라 소닉형 등이다.
또, 화상 표시 시스템은, 공지의 프로세서 등에 의하여 구성되고, 터치 센서의 입력에 의거하여 자동차, 자동차에 장착되는 각종 기기의 동작, 표시용 유리의 표시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 화상 표시 시스템은, 메모리 등에 의하여 구성되고, 터치 센서의 입력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나, 안테나 등의 무선 통신 기기에 의하여 구성되고, 터치 센서의 입력 정보를 차외로 송신하는 송신부 등을 구비해도 된다.
이하, 화상 표시 시스템에 대하여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적용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9,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화상 표시 시스템(6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시스템(60)은 자동차에 적용되고, 표시용 유리가 자동차의 측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동차는, 밴 타입이다. 자동차의 내부는, 예를 들면, 프런트 시트가 설치되는 프런트 부분과, 그 후방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후방 부분은 일반적으로는, 짐이 수납되는 짐받이 부분이 된다.
자동차의 측면부에는, 프런트 사이드 유리(61A)가 설치된 프런트 사이드 도어(62A)가 설치되어 있고, 표시용 유리(65)는 그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프런트 사이드 도어(62A)의 후방에는, 백 사이드 도어가 설치되고, 표시용 유리(65)는, 백 사이드 도어에 설치되어도 되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사이드 도어는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표시용 유리(65)는, 광원 장치(63)로부터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영상 등의 화상이 표시된다. 화상은, 차외를 향하여 표시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광고 등이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가 밴 타입인 것에 의하여, 표시용 유리는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광고 표시에 적합하다. 단, 자동차는, 밴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타입의 자동차여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장치(63)는, 표시용 유리(65)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면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천장면(64)에 설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내부의 후방 부분(예를 들면, 짐받이 부분)의 천장면에 설치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1,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화상 표시 시스템(7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나타낸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시스템(70)은 트럭에 적용되고, 표시용 유리(75)가 트럭의 배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트럭은, 운전석 등을 구비하는, 캡(71)과, 캡(71)의 후방에 있는 짐받이(72)를 구비한다. 짐받이(72)는, 지붕(윗면(72T))을 갖는 상자형이며, 짐받이(72)의 배면(72B) 중 적어도 일부가 표시용 유리(75)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면(72B)은,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쪽으로 열리는 2짝의 문(72C, 72D)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표시용 유리(75)는, 그 문(72C, 72D) 각각의 일부를 구성하는 2장의 유리(75A, 75B)로 이루어지고, 문(72C, 72)이 닫혔을 때에 2장의 유리(75A, 75B)에 의하여 1개의 스크린으로서 구성되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표시용 유리(75)는, 한쪽 문만에 의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또, 배면의 문은 2장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1장이어도 된다.
광원 장치(73)는, 짐받이(72)의 내부에 설치되고, 짐받이(72)의 윗면(72T) 등에 설치되면 된다. 표시용 유리(75)는, 광원 장치(73)로부터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영상 등의 화상이 표시된다. 화상은, 차외를 향하여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촬영 장치가 트럭에 설치되고, 촬영 장치에 의하여 트럭의 전방이 촬영된다. 촬영 장치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 화상은, 광원 장치(73)에 보내지고, 광원 장치(73)는 촬영 화상에 따른 광을 조사하면 된다. 그리고, 그 촬영 화상이 표시용 유리(75)에 표시되면 된다. 트럭은 일반적으로 차고가 높고, 후방의 자동차 등으로부터의 시계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전방의 시야의 화상을, 표시용 유리(75)에 표시함으로써, 트럭에 의한 전방의 시야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단, 표시용 유리(75)에 표시되는 화상은, 전방의 시야의 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광고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가 트럭인 것에 의하여, 표시용 유리(75)는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광고 표시에도 적합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용 유리(75)는, 짐받이(72)의 배면(72B)에 설치되는 양태를 나타내지만, 짐받이(72)의 측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측면의 표시용 유리(75)에 표시되는 화상은, 예를 들면 광고 등이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3,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화상 표시 시스템(8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나타낸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시스템(80)은 픽업 트럭에 적용되고, 표시용 유리가 픽업 트럭의 배면에 설치된다.
픽업 트럭은, 캡(81)과, 캡(81)의 후방에 있는 짐받이(82)를 구비하고, 짐받이(82)가 지붕을 갖고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81)의 리어 유리(85)가 표시용 유리로서 사용된다. 또, 광원 장치(83)는, 차내(즉, 캡(81)의 내부)에 설치되고, 캡(81)의 천장(84)에 설치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캡(81)의 배면의 근방이나, 캡(81) 내부의 후열 시트의 상방 등에 설치되면 된다.
표시용 유리(리어 유리(85))는, 광원 장치(83)로부터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영상 등의 화상이 표시된다. 화상은, 차외를 향하여 표시되는 것이고, 각종 영상이 표시되어, 엔터테인먼트성이 높은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리어 유리(85)에는, 광고 등이 표시되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5, 1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화상 표시 시스템(9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나타낸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시스템(90)은 자동차에 적용되고, 프런트 유리(91)가 화상 표시 시스템(90)의 표시용 유리로서 사용된다.
광원(93)은 자동차의 차내에 배치되고, 표시용 유리를 구성하는 프런트 유리(91)에 대하여 광을 조사한다. 광원(93)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자동차의 천장(94), 대시보드(95)의 내부, 또는 이들 양쪽 모두 등에 설치된다. 광원(93)은, 천장(94)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맵 램프 부분 등의 램프 부분에 설치되면 된다. 즉,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를 피복하는 램프 커버(98)의 내측 등에 설치되면 된다.
또한, 광원(93)은, 후술하는 화상 표시 영역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천장(94)에 설치되는 광원(93)은, 프런트 유리(91)의 상단 부분(91A)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면 되고, 대시보드(95)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93)은, 프런트 유리(91)의 하단 부분(91B)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런트 유리(91)는, 광원(93)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화상 표시 영역)은, 운전수의 시야의 방해가 되지 않는 영역이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유리(91)의 상단 부분(91A), 프런트 유리(91)의 하단 부분(91B), 또는 그 양쪽 모두이다. 또한, 상단 부분(91A), 하단 부분(91B) 각각은, 프런트 유리(91)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5~35%의 높이를 갖는 영역이면 된다.
또한, 프런트 유리(91)(표시용 유리)는, 화상 표시 영역을 광확산 영역으로 하고, 상단 부분(91A)과 하단 부분(91B) 사이의 중앙 부분을, 적어도 상기한 투명 영역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프런트 유리(91)에 형성한 광확산 영역이 운전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런트 유리(91)에 표시되는 화상으로서는, 차외를 향한 메시지(97)를 들 수 있다. 차외를 향한 메시지(97)로서는, 주위의 자동차, 보행자, 경차량 등을 향한 메시지를 들 수 있다. 또한, 경차량이란, 자전거, 오토바이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lease Go Ahead” 등과 같이, 자동차의 운전 상황이나 향후의 움직임을 다른 자동차, 보행자, 경차량 등에게 전하는 메시지 등을 표시하면 된다. 또한, 메시지(37)는, 문자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도안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문자와 도안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메시지(97)는, 예를 들면, 자동차 내에 설치된 메모리에 메시지 후보를 미리 하나 또는 복수 기억해 두고, 운전수 등의 승차자의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하여 메시지 후보 중 적어도 1개가 호출되어, 표시용 유리에 표시되면 된다.
또, 자동차 내에 마이크가 설치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에 의거하여, 메시지를 발광 유리에 표시해도 된다. 여기서, 입력된 음성을 그대로 발광 유리에 표시해도 되고, 입력된 음성에 의거하여, 복수의 메시지 후보로부터 1개 또는 그 이상의 메시지를 선택하여, 발광 유리에 표시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7, 1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화상 표시 시스템(10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나타낸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시스템(100)은 자동차에 적용되고, 리어 유리(101)가 화상 표시 시스템(100)의 표시용 유리로서 사용된다.
광원(103)은 자동차의 차내에 배치되고, 표시용 유리를 구성하는 리어 유리(101)에 대하여 광을 조사한다. 광원(103)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자동차의 천장(104) 등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리어 유리(101)의 근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어 유리(101)는, 광원(103)으로부터 광이 입사됨으로써, 그 광에 대응한 화상이 리어 유리(101)에 표시된다.
리어 유리(101)에 표시되는 화상으로서는, 차외를 향한 메시지(107)를 들 수 있다. 차외를 향한 메시지(107)로서는, 주위의 자동차, 보행자, 경차량 등을 향한 메시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운전 상황이나 향후의 움직임, 긴급 정보 등을 다른 자동차, 보행자, 경차량 등에게 전하는 메시지 등을 표시하면 된다.
메시지(107)로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안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되지만, 제4 실시 형태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로부터 구성되어도 되고, 도안과 문자의 조합이어도 된다. 도안으로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회전, U턴, 정지를 의미하는 도안을 표시해도 되고, 이모티콘 등이어도 된다.
메시지(107)는,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스위치 조작이나 음성 입력에 의거하여 표시되면 된다.
[제6 실시 형태]
도 19~22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화상 표시 시스템(11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나타낸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시스템(110)은 자동차에 적용되고, 사이드 유리(111)가 화상 표시 시스템(110)의 표시용 유리로서 사용된다. 사이드 유리(111)는, 일반적으로 사이드 도어(112)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 사이드 유리(111)로서는, 전형적으로는, 프런트 사이드 도어(112A)에 설치되는 프런트 사이드 유리(111A), 리어 사이드 도어(112B)에 설치되는 리어 사이드 유리(111B) 등이 있다. 사이드 유리(111)에 있어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사이드 유리(111B)가 표시용 유리가 되면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는, 상기와 같이 전광선 투과율이 낮지만, 리어 사이드 유리(111B)에 설치됨으로써, 운전수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가 없다.
광원(113)은 자동차의 차내에 배치되고, 표시용 유리를 구성하는 사이드 유리(111)에 대하여 광을 조사한다. 광원(113)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112), 또는 천장(114) 등에 설치된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는, 광원(113)은, 사이드 도어(112) 및 천장(114) 양쪽 모두에 설치되는 양태가 나타내어지지만, 통상은 사이드 도어(112) 및 천장(114)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다. 광원(113)은, 천장(114)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램프 부분 등에 설치되면 된다. 즉,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를 피복하는 램프 커버 등의 내측에 설치되면 된다. 램프 부분으로서는, 리어 사이드 유리(111B)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기 쉬운 관점에서, 루프 램프라고 불리는 프런트 시트의 후방 부분(예를 들면, 후열 시트)의 상방에 설치되는 램프이면 된다.
또, 광원(113)은, 사이드 도어(112)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이드 도어 트림(112C)의 내부 등에 설치되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리어 사이드 유리(111B)에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리어 사이드 도어(112B)에 설치되면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12)에 표시되는 화상은, 차외를 향하여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이며, 도 20~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문자 이상의 문자, 1개 이상의 도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문자 또는 도안은, 기호, 아이콘, 도형, 도화 등이어도 된다.
사이드 도어(112)에 표시되는 화상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입력 조작 키,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메시지는, 주로 자동차에 타기 전, 또는 자동차로부터 하차한 운전수 등의 승차자를 향한 메시지이다. 메시지로서는, 문장, 도안, 문장과 도안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차자를 향한 인사문, 자동차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경고 메시지,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각 표시용 유리에는, 메시지가 하나 이상 표시되면 된다.
메시지의 구체예로서는, 도 20,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Welcome Open”, “Hi Dylan”, “Good Morning”, “Have a nice evening”등의 인사문(120A),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120B), 충전율 등의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120C), 연료 잔량을 나타내는 메시지(120D), 타이어압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120E) 등의 각종 자동차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메인터넌스, 충전, 타이어의 교환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120F), 자동차의 제조 회사명 등을 나타내는 상표(120G), QR 코드(등록상표)(120H), 바코드(도시하지 않음) 등의 코드 문자 등을 들 수 있다. 코드 문자는, 주변의 가게 정보 등의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나타내도 된다. 또, 코드 문자 이외에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나타내도 된다.
입력 조작 키로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버튼(121)을 들 수 있다. 입력 조작 키는, 도시하지 않지만, 텐 키나, 키보드 등이어도 된다. 또,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로서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하여 사인 등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블랭크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블랭크 박스(122) 등을 들 수 있는데,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는 화살표나 언더라인 등이어도 되고, 문자 등에 의한 메시지에 의하여 나타내어져도 된다.
조작 키나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는, 터치 센서와 조합하여 사용되면 된다. 즉, 조작 키를 터치하는 동작이 터치 센서에 의하여 검지되고, 그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 정보에 의하여, 자동차의 동작이 제어되거나, 입력 정보를 자동차 내부의 기억부에 기억되거나, 입력 정보가 차외에 송신 등 되거나 하면 된다. 또 입력 정보에 의하여, 표시용 유리의 표시가 변경되거나, 자동차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의 동작이 제어되거나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키에 의하여 입력된 패스워드나 비밀번호 등에 의하여, 자동차의 락이 해제되거나 하면 된다. 또,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에 위치가 나타내어지는 블랭크에 패스워드나 서명이 기입됨으로써 자동차의 락이 해제되거나 하면 된다. 또, 특정 조작 키에 대하여, 터치 동작을 행하면, 표시용 유리에 표시되는 화상이 전환되어도 된다.
또한, 터치 센서는, 조작 키나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와 조합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사이드 유리에 대하여 터치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화상 표시가 개시되어도 된다. 단, 사이드 유리에 대한 화상 표시의 개시는, 터치 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키를 근접시키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하여 개시되어도 된다.
또, 조작 키나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시지(123)와 함께, 동일한 사이드 유리(111)(예를 들면, 리어 사이드 유리)에 표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작 키의 조작, 또는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에 나타내어지는 블랭크에 입력되어야 하는 정보가, 메시지(123)에 의하여 표시되어, 유저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표시 양태에서는, 계약 내용에 동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블랭크에 서명해야 하는 것을 나타낸 메시지(123)가 블랭크 박스(122)와 함께 표시되므로, 승차자는 그 메시지(123)에 따라 서명을 행하면 된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표시 양태는, 예를 들면 렌트 카나 카 셰어링용 자동차 등에 적용되면 된다.
[제7 실시 형태]
도 23~25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화상 표시 시스템(13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나타낸다.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시스템(130)은, 자동 운전차에 적용되고, 자동 운전차의 외주면의 일부에 표시용 유리(135)가 설치된다. 표시용 유리(135)는, 자동 운전차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런트 유리여도 되고, 자동 운전차의 배면에 설치되는 리어 유리여도 되며, 자동 운전차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유리여도 된다. 또한, 도 24에서는, 프런트 유리가 표시용 유리(135)가 되는 양태가 나타내어지고, 도 25에서는 사이드 유리가 표시용 유리(135)가 되는 양태가 나타내어진다.
또, 자동 운전차는, 예를 들면 라스트 원 마일 트럭 등의 운송 트럭으로서 사용되지만, 다른 용도에 사용되는 자동 운전차여도 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133)은 자동 운전차의 차내에 배치되고, 표시용 유리(135)에 대하여 광을 조사한다. 광원(133)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자동 운전차의 천장(134) 등에 설치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표시용 유리(135)는, 광원(133)으로부터 광이 입사됨으로써, 그 광에 대응한 화상이 표시된다.
표시용 유리(135)에 표시되는 화상은, 차외를 향한 메시지, 영상, 광고 등이어도 된다. 메시지로서는, 운전 중에는 그 운전 상황 등을 표시하면 된다. 또, 목적지에 도착 후에는 짐의 시리얼 번호 등의 시리얼 번호 등을 표시하면 된다.
또, 화상은, 제6 실시 형태(도 22 참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조작 키,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 등이어도 되고,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조작 키, 또는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와 메시지 등의 조합이어도 된다. 입력 조작 키,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를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화상 표시 시스템(130)은, 제6 실시 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면 된다.
예를 들면, 자동 운전차가 운송 트럭으로서 사용되고, 또한 입력 조작 키,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가 화상으로서 표시되는 경우에는, 입력 조작 키에 의하여 비밀 번호, 패스워드가 입력되거나,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에 따라 서명, 비밀 번호, 패스워드가 입력되거나 함으로써, 자동 운전차의 키가 해제되면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자동 운전차의 문이 열려, 짐을 수취하기 가능해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짐의 수취인에 의하여 자동 운전차의 키가 해제되면, 수도인(受渡人)이 없어도, 짐의 배달이 가능해진다. 또, 짐의 수취인이 문자 입력 위치 가이드 등에 따라 서명하면, 화상 표시 시스템(130)은, 그 서명 정보를 기억부 등에 보존하거나, 송신부에 의하여 외부로 송신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운전차의 창유리를 구성하는 표시용 유리는, 전광선 투과율이 낮으므로, 실은 짐이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려워져, 프라이버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26, 27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화상 표시 시스템(140)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나타낸다.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 시스템(140)은 자동차에 적용되고, 표시용 유리(145)는, 자동차의 운전석의 전방에 인스트루먼트 패널로서, 운전석에 대향하여 배치되면 된다. 그리고, 광원 장치(143)는, 표시용 유리(145)의 더욱 전방측에 배치된다. 또, 표시용 유리(145)의 전방에는, 각종 부품을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부(146)가 설치되고, 광원 장치(143)도 수납부(146)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표시 유리(145)의 운전석에 대향하는 면(즉, 차내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광원 장치(143)로부터의 광이 입사되고, 그 입사광에 의거하여, 표시용 유리(145)의 운전석에 대향하는 면에 화상이 표시된다.
표시용 유리(145)에 표시되는 화상은, 운전수에 자동차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계기류의 화상을 포함하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속도 표시기, 연료 잔량 표시기, 엔진 회전수 표시기, 주행 거리 표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자동차의 오디오류 혹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류의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을 조작하기 위한 키 버튼 등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방향 지시기, 디프로스터, 디포거, 와이퍼 등의 온 오프, 창유리의 개폐, 도어의 개폐 등을 조작하기 위한 키 버튼 등이 표시되어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140)은, 제6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터치 센서를 구비해도 되고, 터치 센서의 입력에 의거하여,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차의 동작이나, 자동차에 장착되는 각종 기기(오디오류,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류 등)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센서가 설치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유저빌리티가 보다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제1~제8 실시 형태는, 화상의 표시 양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차량의 표시용 유리에 어떠한 화상을 표시시켜도 된다. 또, 터치 센서는, 제6 및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자동차의 사이드 유리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자동차의 리어 유리 등의 다른 창유리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 자동차나 자동 운전차 이외의 탈 것에 화상 표시 시스템을 적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자동차나 자동 운전차 이외의 차량의 창유리를 표시용 유리로 해도 된다.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의 구성]
다음으로,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에 사용되는 표시용 유리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용 유리는,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가지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접합 유리이다. 접합 유리는, 2장의 유리 부재와, 2장의 유리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2장의 유리 부재를 접착시킨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단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복수 구조를 가져도 되지만, 어느 경우도 적어도 1층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층(제1 수지층)을 가지면 된다.
바람직한 접합 유리의 구성을 도 28, 29에 나타낸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유리(150)는, 제1 유리 부재(151A)와, 제2 유리 부재(151B)와, 이들 유리 부재(151A, 151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153)을 구비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153)은, 제1 유리 부재(151A)측으로부터 제2 수지층(155),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154), 제3 수지층(156)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제2 및 제3 수지층(155, 156)이 각각 제1 및 제2 유리 부재(151A, 151B)에 접착하면 된다.
또, 접합 유리(150)는, 상기 제1~제3 수지층(154~156)에 더하여, 제4 수지층(157)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접합 유리용 중간막(153)은, 제1 유리 부재(151A)측으로부터 제4 수지층(157), 제2 수지층(155),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154), 제3 수지층(156)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제4 및 제3 수지층(157, 156)이 각각 제1 및 제2 유리 부재(151A, 151B)에 접착하면 된다.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도시하지 않지만 2층 구조여도 되고,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3 수지층(156)이 생략되어도 되고, 이 경우, 제2 및 제1 수지층(155, 154)이 각각 제1 및 제2 유리 부재(151A, 151B) 각각에 접착하면 된다.
또한, 접합 유리(150)는, 제2 유리 부재(151B)측의 표면으로부터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고, 또한 제1 유리 부재(151A)의 표면에 화상 표시되면 된다.
광확산 입자는, 접합 유리(표시용 유리)에 입사된 광을 산란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탄산 칼슘, 실리카, 산화 티탄, 유리 플레이크, 마이카, 알루미나, 알루미늄 등의 무기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광산란성 등의 관점에서, 탄산 칼슘,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나 알루미늄이 바람직하고, 탄산 칼슘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층(즉,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6~50질량%이다.
또, 도 28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150)에서는, 수지층(154~156)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수지층(154) 또는 제2 수지층(155)이 착색제를 함유한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2층 구조의 경우도, 바람직하게는, 제1 수지층(154) 또는 제2 수지층(155)이 착색제를 함유한다.
또한, 도 29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150)에서는, 수지층(154~157)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4 수지층(157)이 착색제를 함유한다.
이와 같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 혹은, 그 제1 수지층보다 관찰측에 배치되는 수지층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면, 표시되는 화상이 보다 고콘트라스트가 되고, 또, 효율적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농도는, 예를 들면 0.005~0.4질량%이다.
각 수지층에 있어서, 광확산 입자 및 착색제는,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에 분산하여 배합되면 된다.
단, 착색제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성하는 수지층에 함유시킬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유리 부재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착색층을 가져도 되고, 유리 부재로서 착색제를 포함하는, 유리를 이용해도 된다. 착색층은, 바람직하게는 제1 유리 부재(151A)의 표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하여, 착색층은, 제1 수지층보다 관찰측에 배치되게 되고, 표시되는 화상이 보다 고콘트라스트가 되며, 또, 효율적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색층은, 제1 유리 부재(151A)의 중간막측의 면(도 28, 29에서는, 하면)에 설치되어도 되고, 유리 부재(151A)의 중간막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도 28, 29에서는, 상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착색층은, 유리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이며, 착색제를 함유하는 한 어떠한 양태여도 되지만, 당해 피막은 필요에 따라,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의 바인더 성분을 포함해도 되고, 추가로 적절히 첨가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착색제로서는, 안료, 염료 등의 색소가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탄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계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미광을 흡수하여,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더 높이기 쉬워진다. 탄소계 재료로서는,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또, 착색제로서는, 카본 블랙 등의 탄소계 재료와, 탄소계 재료 이외의 그 외의 색소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착색제의 조합에 의하여, 화상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면서, 접합 유리를 원하는 색으로 착색할 수 있어,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유리를 착색하는 안료 또는 염료로서는,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망간, 크롬, 니켈, 철 등을 들 수 있다.
각 수지층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면 된다. 또,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수지층은,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각 수지층은 각각, 추가로 필요에 따라, 내습성 향상제, 접착력 조정제, 적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형광 증백제, 결정핵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2~3.0mm이다.
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제1 수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250μm이다. 또, 제2 및 제3 수지층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μm~1.5mm이다. 또, 제4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μm~1.5mm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각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제1 수지층이 최대의 두께가 되는 부분에서 상기 범위 내가 되면 된다.
또, 접합 유리에서 사용하는 유리 부재(제1 및 제2 유리 부재(151A, 151B))로서는, 유리판을 사용하면 된다. 유리판은, 무기 유리, 유기 유리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무기 유리가 바람직하다. 무기 유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클리어 유리, 클리어 플로트 유리, 플로트 판유리, 강화 유리, 착색 유리, 마판 유리, 형판 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자외선 흡수 판유리, 적외선 반사 판유리, 적외선 흡수 판유리,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 유리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지 유리라고 불리는 것이 사용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 폴리에스테르판 등으로 구성되는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유리 부재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7~3mm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광확산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수지층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8, 29와 같이, 중간막이, 제1~제3 수지층을 갖는 경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제1 수지층이 설치되고, 그 외의 영역에 제1 수지층이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즉, 중간막은, 도 28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2 및 제3 수지층(155, 156)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제3 수지층(154~156)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설치되면 된다. 또, 중간막은, 도 29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2~제4 수지층(155~157)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제1~제4 수지층(154~157)의 4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설치되면 된다.
또한, 중간막에서는,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일정한 영역, 및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예를 들면, 상기한 두께가 일정한 영역으로부터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영역) 중 한쪽을 가지면 되고, 상기 중 한쪽만을 가져도 되지만, 두께가 일정한 영역과 두께가 점차 변화하는 영역 양쪽 모두를 가져도 된다. 또,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두께가 일정한 영역을 적어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화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차외나 차내를 향하여 간이한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다양한 화상을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 터치 센서와 조합함으로써 유저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하여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종 물성의 측정 및 평가는, 이하와 같이 행했다.
[전광선 투과율(TvD)]
전광선 투과율(TvD)은, JIS R3106(2019)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사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투과한 광선을 모두 적분구에 수광하도록 적분구의 개구부에, 접합 유리를 평행하게 또한 밀착시켜, 분광 투과율을 측정했다. 얻어진 상기 분광 투과율로부터 전광선 투과율을 산출했다.
[투영성]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DLP 프로젝터(세이코 엡손사 제조, 상품명 「EB-1780W」)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접합 유리에 화상을 비추었다. 비추어진 화상을, 접합 유리의 다른 쪽 면측으로부터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하여 평가했다. 또한, 실시예 1~8에서는, 제3 수지층측으로부터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제4 수지층측으로부터 화상을 관찰했다. 비교예 2, 실시예 9, 10에서는, 제3 수지층측으로부터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제2 수지층측으로부터 관찰했다.
0: 화상을 판별할 수 없다.
1: 대략 무엇이 비치고 있는지의 판별은 가능하다.
2: 비치고 있는 화상을 확실하게 판별 가능하지만, 약간 흐리게 보인다.
3: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 매우 선명하게 화상이 표시된다.
4: 주변이 밝은 경우여도 매우 선명하게 화상이 표시된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은, 이하와 같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PVB1: 평균 중합도 17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수산기량, 아세틸화도, 및 부티랄화도는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PVB2: 평균 중합도 23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수산기량, 아세틸화도, 및 부티랄화도는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가소제)
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광확산 입자)
탄산 칼슘 (1)(마루오 칼슘사 제조 「슈퍼#1500」, 메디안 직경 4μm)
탄산 칼슘 (2)(마루오 칼슘사 제조 「슈퍼#2000」, 메디안 직경 2μm)
실리카(토소 실리카사 제조 「Nipsil E170」, 평균 입자경 3μm)
산화 티탄(이시하라 산업사 제조 「CR-50」, 평균 입자경 0.25μm)
(착색제)
CB: 카본 블랙(피그먼트 블랙 7)
[실시예 1]
(중간막의 제작)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2를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60질량부와, 광확산 입자로서의 탄산 칼슘 (1)을 혼련하여, 제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탄산 칼슘 (1)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8.0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또,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를 혼련하여, 제2 및 제3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다른 압출기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와, 착색제로서의 카본 블랙을 혼련하여, 제4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카본 블랙은, 제4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0.2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상기 공압출기에 있어서, 얻어진 제1~제3층용 수지 조성물을 공합출함으로써, 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의 적층체를 얻은 후, 또 다른 압출기로부터 제4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상기 적층체 상에 압출하여, 제4 수지층(착색 수지층)/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층 구조의 중간막을 얻었다.
(접합 유리의 제작)
JIS R3202(2011)에 준거한 2장의 클리어 유리(세로 10cm×가로 10cm×두께 2.5mm, 가시광 투과율 90.4%, 센트럴 글라스사 제조)를 준비하고, 제작한 중간막을 2장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로 오븐 내로 옮기고, 추가로 90℃에서 30분간 유지하여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가압착(假壓着)했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으로, 가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고, 유리판/제4 수지층/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11]
각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종류, 광확산 입자의 종류, 가소제의 배합량, 광확산 입자의 배합량, 각 수지층의 두께, 착색제의 배합량을 표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비교예 1]
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와, 광확산 입자로서의 탄산 칼슘 (1)을 혼련하여, 제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탄산 칼슘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3.0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상기 압출기에 있어서, 얻어진 제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두께 800μm의 제1 수지층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막을 얻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고, 유리판/제1 수지층/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유리를 얻었다.
[비교예 2]
(중간막의 제작)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와, 광확산 입자로서의 탄산 칼슘을 혼련하여, 제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탄산 칼슘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8.0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또,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를 혼련하여, 제2 및 제3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공압출기에 있어서, 얻어진 제1~제3층용 수지 조성물을 공합출함으로써, 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중간막을 얻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고, 유리판/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2]
(중간막의 제작)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2를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60질량부와, 광확산 입자로서의 탄산 칼슘 (1)을 혼련하여, 제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탄산 칼슘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16.0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또,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와, 착색제로서의 카본 블랙을 혼련하여, 제2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카본 블랙은, 제2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0.1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또한,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를 혼련하여, 제3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공압출기에 있어서, 얻어진 제1~제3층용 수지 조성물을 공합출함으로써, 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중간막을 얻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고, 유리판/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3]
(중간막의 제작)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와, 광확산 입자로서의 탄산 칼슘 (1)과, 착색제로서의 카본 블랙을 혼련하여, 제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탄산 칼슘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16.0질량%가 되도록 첨가함과 함께, 카본 블랙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0.1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또,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를 혼련하여, 제2 및 제3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 후,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고, 유리판/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14]
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와, 광확산 입자로서의 탄산 칼슘 (1)과, 착색제로서의 카본 블랙을 혼련하여, 제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탄산 칼슘 (1)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2.0질량%가 되도록, 카본 블랙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0.1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상기 압출기에 있어서, 얻어진 제1 층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제1 수지층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막을 얻었다. 그 후,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접합 유리를 제작했다.
[실시예 15]
(중간막의 제작)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와, 광확산 입자로서의 탄산 칼슘을 혼련하여, 제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서, 탄산 칼슘은, 제1 수지층 전량에 대한 함유량이 16.0질량%가 되도록 첨가했다. 또,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의 PVB1을 100질량부와, 가소제로서의 3GO를 40질량부를 혼련하여, 제2 및 제3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공압출기에 있어서, 얻어진 제1~제3층용 수지 조성물을 공합출함으로써, 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의 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간막을 얻었다.
(접합 유리의 제작)
제1 유리 부재로서 프라이버시 유리(가시광선 투과율 19%,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한 유리)와, 제2 유리 부재로서 JIS R3202(2011)에 준거한 클리어 유리(세로 10cm×가로 10cm×두께 2.5mm, 센트럴 글라스사 제조)를 준비하고, 제작한 중간막을 2장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 제1 유리 부재/제2 수지층/제1 수지층/제3 수지층/제2 유리 부재의 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각 표에 있어서, 가소제의 함유량은,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질량부)이다.
※각 표에 있어서, 광확산 입자의 함유량은, 제1 수지층, 및 중간막 전체 각각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질량%)이다.
※각 표에 있어서, 착색제의 농도는, 그 착색제가 함유되는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농도(질량%)이다.
이상과 같이, 각 실시예의 중간막은,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구비하고,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어느 한 수지층이 착색제를 포함함으로써, 투영성이 양호해지고, 화상 표시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면, 고콘트라스트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대하여, 각 비교예에서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착색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화상 표시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면, 고콘트라스트로 화상을 표시할 수 없었다.
11 제1 수지층
12 제2 수지층
13 제3 수지층
10, 16, 17, 18, 19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 22 유리 부재
25, 26, 27, 28, 31, 35, 36 접합 유리
30 화상 표시 시스템
32 광원 장치
34 착색층
OB 관찰자

Claims (18)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구비하고,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어느 한 수지층이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지 및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1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보다, 광원 장치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측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이, 수지, 광확산 입자,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R3202(2011)에 준거한 2장의 클리어 유리로 협지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JIS R3106(2019)에 준거한 전광선 투과율이 70% 미만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의 두께가 150μ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를 C(질량%)로 하고, 제1 수지층의 두께를 T(μm)로 하면, 이하의 식 (1)의 관계를 만족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500≤C×T≤3600 (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확산 입자의 농도가 10질량%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가 탄산 칼슘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이 수지를 함유하는 제2 및 제3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제2 및 제3 수지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제3 수지층 중 어느 하나가 착색제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0에 있어서,
수지를 함유하는 제4 수지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4 수지층이, 상기 제1~제3 수지층을 갖는 적층 구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 표시 스크린에 이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3에 있어서,
배면 투사형의 화상 표시 스크린에 이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한 쌍의 유리 부재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한 쌍의 유리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
한 쌍의 유리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유리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로서,
수지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유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착색제에 의하여 착색되는, 접합 유리.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착색제를 함유하거나, 또는 그 표면에 상기 착색제를 함유하는 착색층을 갖는, 접합 유리.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와, 상기 접합 유리의 한쪽 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KR1020227007770A 2019-11-28 2020-11-26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화상 표시 시스템 KR102496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15868 2019-11-28
JP2019215868 2019-11-28
US202063029036P 2020-05-22 2020-05-22
US63/029,036 2020-05-22
PCT/JP2020/044128 WO2021107062A1 (ja) 2019-11-28 2020-11-26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203A true KR20220043203A (ko) 2022-04-05
KR102496336B1 KR102496336B1 (ko) 2023-02-06

Family

ID=7613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770A KR102496336B1 (ko) 2019-11-28 2020-11-26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화상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42873B2 (ko)
EP (1) EP4011848A4 (ko)
JP (1) JPWO2021107062A1 (ko)
KR (1) KR102496336B1 (ko)
CN (1) CN114340894B (ko)
MX (1) MX2022002781A (ko)
TW (1) TW202130513A (ko)
WO (1) WO2021107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4529B (zh) * 2019-11-28 2023-09-26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夹层玻璃和图像显示系统
EP4349794A1 (en) * 2021-06-01 2024-04-10 Sekisui Chemical Co., Ltd. Resin film, laminated glass and screen
JP2022184685A (ja) * 2021-06-01 2022-12-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JP2022189700A (ja) * 2021-06-11 2022-12-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CN117425635A (zh) * 2021-06-11 2024-01-19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树脂膜、夹层玻璃及屏幕
WO2022260083A1 (ja) * 2021-06-11 2022-12-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スクリーン
WO2023020778A1 (de) 2021-08-17 2023-02-23 Saint-Gobain Glass France Projektion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3000A1 (en) * 2002-05-03 2003-11-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yer composite structure for laminating glass with controlled diffusing properties at high transmission and a process for making same
KR20060082800A (ko) 2005-01-13 2006-07-19 벤야콥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라커 코팅의 건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6082800A1 (ja) * 2005-02-03 2006-08-10 Sekisui Chemical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2007057906A (ja) 2005-08-25 2007-03-08 Central Glass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KR20160104055A (ko) 2014-02-04 2016-09-02 브리지스톤 어메리카스 타이어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둥근 스톤 이젝터
KR20160143566A (ko)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WO2017154583A1 (en) * 2016-03-08 2017-09-14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Glass window having a luminous capability
KR20180012433A (ko) 2016-07-27 2018-02-06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90111825A (ko) 2018-03-22 2019-10-02 포레시아 이미션스 콘트롤 테크놀로지스, 저머니 게엠베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JP2019200392A (ja) * 2018-05-18 2019-11-21 Agc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4172B2 (ja) * 2003-07-03 2010-09-29 株式会社きもと 透過型スクリーン
CN101124176A (zh) * 2005-02-03 2008-02-1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JP2008145499A (ja) * 2006-12-06 2008-06-26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性光拡散部材
JP2010024061A (ja) * 2008-07-15 2010-02-04 Sekisui Chem Co Ltd 光拡散性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5548485B2 (ja) * 2009-03-27 2014-07-16 株式会社きもと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モニタ
CN109049894A (zh) * 2012-09-28 2018-12-2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6491478B2 (ja) 2013-09-27 2019-03-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WO2016068087A1 (ja) 2014-10-27 2017-08-31 旭硝子株式会社 透過型透明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CN105701040B (zh) 2014-11-28 2018-12-07 杭州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激活内存的方法及装置
JP6147932B2 (ja) 2014-12-24 2017-06-14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明フィルム、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WO2016143566A1 (ja) 2015-03-06 2016-09-15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視可能な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JP6736958B2 (ja) 2016-04-26 2020-08-05 Agc株式会社 透過型透明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6654515B2 (ja) * 2016-06-15 2020-02-26 日本化薬株式会社 赤外線遮蔽シート、赤外線遮蔽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並びに赤外線遮蔽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224942A1 (en) 2016-07-13 2019-07-25 Jxtg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Visibility improvement film, laminate compris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004289A1 (ja) 2017-06-30 2019-01-03 旭硝子株式会社 反射型スクリーン
US20210170719A1 (en) * 2017-12-05 2021-06-10 Sekisui Chemical Co., Ltd.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19101433A (ja) 2017-12-05 2019-06-2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ミラー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EP3778516A4 (en) * 2018-03-29 2021-12-0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LAYER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HEAD-UP DISPLAY SYSTEM ATTACHMENT METHOD
MX2021002039A (es) * 2018-08-23 2021-04-28 Sekisui Chemical Co Ltd Capa intermedia para vidrio laminado, vidrio laminado y estructura de vidrio.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3000A1 (en) * 2002-05-03 2003-11-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yer composite structure for laminating glass with controlled diffusing properties at high transmission and a process for making same
KR20060082800A (ko) 2005-01-13 2006-07-19 벤야콥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라커 코팅의 건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6082800A1 (ja) * 2005-02-03 2006-08-10 Sekisui Chemical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2007057906A (ja) 2005-08-25 2007-03-08 Central Glass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KR20160104055A (ko) 2014-02-04 2016-09-02 브리지스톤 어메리카스 타이어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둥근 스톤 이젝터
KR20160143566A (ko)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WO2017154583A1 (en) * 2016-03-08 2017-09-14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Glass window having a luminous capability
KR20180012433A (ko) 2016-07-27 2018-02-06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90111825A (ko) 2018-03-22 2019-10-02 포레시아 이미션스 콘트롤 테크놀로지스, 저머니 게엠베하 배기 시스템 구성요소
JP2019200392A (ja) * 2018-05-18 2019-11-21 Agc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42873B2 (en) 2023-05-09
US20220347976A1 (en) 2022-11-03
TW202130513A (zh) 2021-08-16
JPWO2021107062A1 (ko) 2021-06-03
WO2021107062A1 (ja) 2021-06-03
EP4011848A4 (en) 2022-10-19
CN114340894B (zh) 2022-10-04
KR102496336B1 (ko) 2023-02-06
MX2022002781A (es) 2022-10-07
EP4011848A1 (en) 2022-06-15
CN114340894A (zh)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6336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화상 표시 시스템
KR20220108760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화상 표시 시스템
US11065844B2 (en) Laminated glass
EP3722876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CN113574029B (zh) 夹层玻璃及车辆系统
EP4353697A1 (en) Resin film, laminated glass, and screen
EP4129945A1 (en)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24071339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4349794A1 (en) Resin film, laminated glass and screen
US20220152990A1 (en) Laminated glass and vehicle system
CN216526357U (zh) 玻璃组件、窗体总成及显示装置
JP7497288B2 (ja) 合わせガラス、及び車両システム
EP4353696A1 (en) Resin film, laminated glass and screen
WO2023140297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950630A1 (en) Laminated glass and vehic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