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804A - 적층 박리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 박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804A
KR20220039804A KR1020227007312A KR20227007312A KR20220039804A KR 20220039804 A KR20220039804 A KR 20220039804A KR 1020227007312 A KR1020227007312 A KR 1020227007312A KR 20227007312 A KR20227007312 A KR 20227007312A KR 20220039804 A KR20220039804 A KR 20220039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yer body
concave
circumferenti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노리 스즈키
세이이치 아사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22003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27Hollow longitudinal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36Hollow circonferential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외층체(2)와, 외층체(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감용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3)과,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이어지는 외기 도입구(9)를 구비한 적층 박리 용기(1)로서, 통형상 입구부(4)와, 입구부(4)에 이어지는 숄더부(5)와, 숄더부(5)에 이어지는 몸통부(6)와, 몸통부(6)에 이어지는 저부(7)를 가지는 보틀 형상이며, 몸통부(6)가, 둘레 방향 단차부(11) 또는 둘레 방향 리브부를 거쳐서 숄더부(5)에 이어지는 스퀴즈 영역(6a)을 구비하며, 단차부(11) 또는 리브부에,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박리 용기(1).

Description

적층 박리 용기
본 발명은, 적층 박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간장 등의 식품 조미료 또는 음료 등의 식품이나, 화장수 등의 화장료, 샴푸, 린스 또는 액체 비누 등의 욕실 용품 등을 내용물로서 수납하는 용기로서, 외층체와,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감용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체와, 외층체와 내층체 사이에 이어지는 외기 도입구를 구비한 적층 박리 용기가 알려져 있다. 적층 박리 용기에서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한 후, 외기 도입구에서 외층체와 내층체 사이로 외기를 도입하여 내용물의 토출에 맞춰서 내층체를 감용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내용물이 외기와 치환되지 않고 토출되도록 하여, 내층체로 수납된 내용물로의 외기의 접촉을 억제하여, 그 열화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적층 박리 용기로는, 통 형상 입구부와, 입구에 이어지는 숄더부와, 숄더부에 이어지는 몸통부와, 몸통부에 이어지는 저부를 갖는 보틀(bottle) 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몸통부에 가요성과 복원성을 갖는 스퀴즈 영역을 구비하고, 스퀴즈 영역을 스퀴즈(가압)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을 입구부에서 외부로 압출하여 토출시킬 수 있는 스퀴즈 타입 용기가 있다.
이와 같은 스퀴즈 타입 적층 박리 용기로서, 종래, 숄더부와 스퀴즈 영역 사이에 둘레 방향 단차부 또는 둘레 방향 리브부를 설치함으로써, 스퀴즈 영역의 가요성 및 복원성을 높여, 스퀴즈에 의한 내용물의 토출 조작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18892호
숄더부와 스퀴즈 영역 사이에 둘레 방향 단차부 또는 둘레 방향 리브부를 설치한 상기한 종래의 적층 박리 용기에서는, 용기의 재질 등에 따라서는, 스퀴즈 영역의 가요성 및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차부의 단차를 크게 하거나, 혹은 리브부를 더 깊은 형상으로 만들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단차부의 단차를 크게 하거나, 혹은 리브부를 더 깊은 형상으로 만들게 되면, 단차부 내지 리브부 부분에 있어서 내층체도 눌리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토출한 후에, 단차부 내지 리브부에 있어서 내층체가 외층체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 단차부의 단차를 작게 하거나, 혹은 리브부를 더 얕은 형상으로 만들게 되면, 스퀴즈 영역의 가요성 및 복원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게 되어, 내용물의 토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용물의 토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내층체의 박리성을 높일 수 있는 스퀴즈 타입 적층 박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외층체와, 상기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감용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체와, 상기 외층체와 상기 내층체 사이에 이어지는 외기 도입구를 구비한 적층 박리 용기로서,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이어지는 숄더부와, 상기 숄더부에 이어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이어지는 저부를 가지는 보틀 형상이며, 상기 몸통부가, 둘레 방향 단차부 또는 둘레 방향 리브부를 거쳐서 상기 숄더부에 이어지는 스퀴즈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단차부 또는 상기 리브부에,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숄더부 쪽으로부터 상기 몸통부 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세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또는 상기 리브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에,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오목 리브의 하방에 상기 오목 리브와 둘레 방향 위치를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가, 상기 숄더부 쪽으로부터 상기 스퀴즈 영역 쪽으로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감소하는 동시에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가, 둘레 방향 부단차부 또는 둘레 방향 부리브부를 거쳐서 상기 스퀴즈 영역 하단에 이어지는 보강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가, 상기 스퀴즈 영역의 하방에 설치된 보강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 영역에, 축선 둘레로 연장되는 둘레 홈과, 각각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동시에 상기 보강 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둘레 홈에 걸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강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복수 개의 상기 둘레 홈과, 각각의 상기 둘레 홈에 대응하는 복수 쌍의 상기 부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강 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의 상기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오목부가, 상기 숄더부 쪽으로부터 상기 저부 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세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둘레 홈의 저면 벽부가,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동시에 축선 둘레로 연장되는 볼록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오목부가, 상기 오목부와 둘레 방향 위치를 일치시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박리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층체와 상기 내층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토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내층체의 박리성을 높일 수 있는 스퀴즈 타입 적층 박리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박리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례의 적층 박리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적층 박리 용기(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 범위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박리 용기(1)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축선(O)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고, 반경 방향은, 적층 박리 용기(1)의 축선(O)을 통과하는 동시에 축선(O)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적층 박리 용기(1)는, 예컨대, 간장 등의 식품 조미료 또는 음료 등의 식품이나, 화장수 등의 화장료, 샴푸, 린스 또는 액체 비누 등의 욕실 용품 등 다양한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스퀴즈 타입의 것으로, 외층체(2)와 내층체(3)를 갖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외층체(2)는 적층 박리 용기(1)의 외각을 구성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제로 되어 있다. 또한, 외층체(2)는, 단층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재료로 하여 구성되어 있기만 하면, 배리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층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내층체(3)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제로 되어 있다. 내층체(3)는, 외층체(2) 보다도 얇은 두께의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층체(2)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다. 외층체(2)의 내면에 대한 내층체(3)의 박리는, 접착 상태로부터의 박리, 상용성(相溶性)이 없는 수지 적층물의 경우에서의 의사(擬似) 접착 상태로부터의 박리, 밀착 상태로부터의 이격, 중 어떤 것이라도 좋다. 내층체(3)의 내부는, 입구부(4)의 개구에 이러지는 수납 공간(S)으로 되어 있으며, 수납 공간(S)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다. 내층체(3)는, 내용물이 수납 공간(S)으로부터 외부로 주출되는 것에 수반하여, 외층체(2)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되면서, 그 내용적을 감소시키도록 감용(減容) 변형이 자유롭다. 또한, 내층체(3)도, 단층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재료로 하여 구성되어 있기만 하면, 배리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층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 박리 용기(1)는, 외층체(2) 및 내층체(3) 모두 2 축 연신 가능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는, 예컨대, 모노 PET 등을 들 수 있으나, IPA(이소프탈산) 변성 PET 또는 CHDM 변성 PET 등의 다른 PET를 사용할 수도 있다. 외층체(2)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내층체(3)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층체(2) 및 내층체(3)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로 함으로써, 적층 박리 용기(1)를 경량이고 강도가 높게, 또한 투명도가 높은 용기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층체(2) 및 내층체(3)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로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폴리 프로필렌(PP)제나 폴리에틸렌(PE)제 등, 다른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적층 박리 용기(1)는, 입구부(4)와, 입구부(4) 하단에 이어지는 숄더부(5)와, 숄더부(5) 하단에 이어지는 몸통부(6)와, 몸통부(6) 하단에 이어지는 저부(7)를 갖는 보틀(bottle) 형상으로 되어 있다.
입구부(4)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주출 캡 등의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수나사(4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구부(4)의 수나사(4a) 보다도 하방측에는 네크 링(8)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입구부(4)의 외주면에, 수나사(4a) 대신에, 주출 캡 등의 부재를 타전에 의해서 언더컷 결합시키는 돌기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크 링(8)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입구부(4)에는 외기 도입구(9)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외기 도입구(9)는, 외층체(2)의 입구부(4)를 구성하는 부분에 해당 외층체(2)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9)는,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이어져 있으며,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는 것에 수반하여,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숄더부(5)는 하방으로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숄더부(5)는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볼록한 돔(dome)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축선(O)에 수직인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이다.
숄더부(5)에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복수(18 개)의 오목 리브(10)(편의상, 도 1에 있어서는 1 개의 오목 리브에만 부호를 첨부함)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들 오목 리브(10)는, 각각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 숄더부(5)에 복수의 오목 리브(10)를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구부(4)에 설치된 외기 도입구(9)에서 몸통부(6)로 향해서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외기 통로가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숄더부(5)는, 하방으로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커지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숄더부(5)는, 오목 리브(10)가 설치되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몸통부(6)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스퀴즈 영역(6a)과 보강 영역(몸통부 하부 영역)(6b)을 가지고 있다. 적층 박리 용기(1)는, 몸통부(6)의 스퀴즈 영역(6a)을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스퀴즈(가압)함으로써, 수납 공간(S)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을 입구부(4)에서 외부로 압출하여 토출시킬 수 있다.
스퀴즈 영역(6a)은, 몸통부(6)의 상하 방향 숄더부(5) 쪽의 소정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다.
스퀴즈 영역(6a)은, 상단(6a1)과 하단(6a2) 사이에 최대 직경 부분을 갖는 북 모양(나무통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그 축선(O)에 수직인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다. 스퀴즈 영역(6a)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서 스퀴즈(가압)됨으로써 반경 방향 내측(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스퀴즈 영역(6a)은 복원성을 가지고 있으며, 스퀴즈가 해제되면 변형 상태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스퀴즈 영역(6a)에는, 둘레 방향 리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스퀴즈 영역(6a)을, 상단(6a1)과 하단(6a2) 사이에 최대 직경 부분을 갖는 북 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스퀴즈 영역(6a)을 상단(6a1)과 하단(6a2) 사이의 전체 범위에서 외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한 경우에 비해서, 스퀴즈에 의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된 스퀴즈 영역(6a)의, 원래 형상으로의 복원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토출 후, 스퀴즈를 해제할 때, 스퀴즈 영역(6a)이 빠르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도록 하여, 스퀴즈 타입으로 된 적층 박리 용기(1)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 조작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퀴즈 영역(6a)은, 북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상단(6a1)과 하단(6a2) 사이에서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상단(6a1)과 하단(6a2) 사이에 최소 직경 부분을 갖는 잘록한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스퀴즈 영역(6a) 상단(6a1)의 외경은 숄더부(5) 하단의 외경 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스퀴즈 영역(6a) 상단(6a1)과 숄더부(5) 하단 사이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 단차부(11)로 되어 있다. 즉, 스퀴즈 영역(6a) 상단(6a1)은, 둘레 방향 단차부(11)를 거쳐서 숄더부(5) 하단에 이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부(11)는, 숄더부(5) 쪽으로부터 스퀴즈 영역(6a) 쪽으로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감소하는 동시에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단차부(11)의 강성을 높여, 스퀴즈 영역(6a)이 스퀴즈될 때, 단차부(11)가 스퀴즈 영역(6a)과 함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여, 스퀴즈 영역(6a)의 토출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보강 영역(6b)은, 스퀴즈 영역(6a) 보다도 직경이 큰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홈 형상의 2 개의 고리 형상 리브(6b1)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영역(6b)은, 2 개의 고리 형상 리브(6b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퀴즈 영역(6a) 보다도 반경 방향으로 향한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보강 영역(6b) 상단의 외경은 스퀴즈 영역(6a) 하단(6a2)의 외경 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보강 영역(6b) 상단과 스퀴즈 영역(6a) 하단(6a2) 사이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 부단차부(12)로 되어 있다. 즉, 보강 영역(6b) 상단은, 부단차부(12)를 거쳐서 스퀴즈 영역(6a) 하단(6a2)에 이어져 있다.
몸통부(6)에, 부단차부(12)를 거쳐서 스퀴즈 영역(6a) 하단(6a2)에 이어지는 보강 영역(6b)을 설치함으로써, 스퀴즈 영역(6a) 하단(6a2)이 부단차부(12)를 거쳐서 보강 영역(6b)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스퀴즈 영역(6a)의 토출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강 영역(6b)에 고리 형상 리브(6b1)를 설치함으로써, 적층 박리 용기(1)를 블로 성형에 의해서 형성한 직후에 발생하는 내층체(3)의 외층체(2)로부터의 초기 박리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저부(7)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둥근 고리 형상의 접지부(7a)와, 접지부(7a)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 패널(7b)을 가지고 있다. 저부(7)는 몸통부(6)의 하단을 폐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적층 박리 용기(1)는, 블로 성형품으로 되어 있다.
적층 박리 용기(1)를 블로 성형품으로 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 외체와, 외체와는 별도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 내체를 조합한 이중 구조의 프리폼을 이축 연신 블로 성형함으로써 적층 박리 용기(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체는 외층체(2)에 대응하고, 내체는 내층체(3)에 대응한다.
또한, 적층 박리 용기(1)는, 외층체(2)에 대응하는 합성 수지 재료와 내층체(3)에 대응하는 합성 수지 재료를 적층한 구성의 적층 프리폼을 이축 연신 블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적층 박리 용기(1)는, 외층체(2)에 대응하는 합성 수지 재료와 내층체(3)에 대응하는 합성 수지 재료가 적층된 원통 형상의 적층 프리폼을, 분할식 금형에 사용하여 블로 성형하는 압출 블로 성형(EBM, Extrusion Blow Molding)에 의해서 성형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숄더부(5)와 몸통부(6)의 스퀴즈 영역(6a) 사이에 설치된 단차부(11)에는,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차부(11)에는, 6 개의 오목부(20)가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3 개의 오목부(20)만 도시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에 있어서 평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저벽(20a)과, 저벽(20a) 주위를 둘러싸는 동시에 저벽(20a)을 단차부(11)의 외주면에 잇는 만곡된 둘레벽(20b)을 가지는 동시에, 숄더부(5) 쪽으로부터 몸통부(6) 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세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20b)은, 단차부(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저벽(20a)으로 향해서 이어지는 경사벽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숄더부(5)와 몸통부(6)의 스퀴즈 영역(6a) 사이에 설치된 단차부(11)에, 용기 안쪽으로 향해 오목한 오목부(2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내용물이 토출되어 내층체(3)가 외층체(2)에 대해서 감용 변형할 때, 오목부(20)를 기점으로 하여 내층체(3)가 눌려질 수 있도록 하여, 단차부(11)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에 대해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층 박리 용기(1)를, 스퀴즈 영역(6a)의 가요성 및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숄더부(5)와 스퀴즈 영역(6a) 사이에 둘레 방향 리브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내용물의 토출시에, 단차부(11)에 있어서 내층체(3)를 오목부(20)를 기점으로 하여 외층체(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박리 용기(1)를, 내용물의 토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내층체(3)의 외층체(2)로부터의 박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층 박리 용기(1)를, 외층체(2)와 내층체(3)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로 이루어진 블로 성형품으로 한 경우에는, 단차부(11)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차부(11)에 오목부(20)를 설치함으로써, 이와 같은 적층 박리 용기(1)에 있어서도, 단차부(11)에 있어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오목부(20)를, 숄더부(5) 쪽으로부터 몸통부(6) 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세로 리브 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단차부(11)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되고, 내용물의 토출시에, 단차부(11)에 있어서 내층체(3)를, 오목부(20)를 기점으로 하여 외층체(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단차부(11)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오목부(20)를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단차부(11)의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하여, 내용물의 토출 시에, 단차부(11)에 있어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오목부(20)를, 숄더부(5)에 설치된 대응하는 오목 리브(10)의 하방에 해당 오목 리브(10)와 둘레 방향 위치를 일치시켜서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구부(4)에 설치된 외기 도입구(9)에서, 오목 리브(10)에 의해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형성된 외기 통로가, 오목부(20)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한 부분을 통해서 몸통부(6) 쪽의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연통되도록 하여, 몸통부(6)에 있어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도입구(9)의 직하에 위치하는 오목 리브(10)의 하방에 오목부(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 입구부(4)에 설치된 외기 도입구(9)에서 몸통부(6)로 향해서 똑바로 외기 통로를 설치할 수 있어, 몸통부(6)에 있어서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더욱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례의 적층 박리 용기(1)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있어서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도 4에 있어서, 상술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였다.
스퀴즈 타입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보강 영역(6b)에 축선 둘레로 연장하는 홈 형상의 고리 형상 리브(6b1)를 설치함으로써, 보강 영역(6b)의 강성을 높이고, 이에 의해서 스퀴즈 영역(6a)의 가요성 및 복원성을 높여 스퀴즈에 의한 내용물의 토출 조작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퀴즈 타입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몸통부(6)에 요철이 적은 부분이 있으면, 적층 박리 용기(1)를 블로 성형에 의한 성형 직후에, 해당 부분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예상하지 못한 초기 박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초기 박리가 발생하게 되면, 내층체(3)의 내용적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충전 용량에 편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우려된다. 상기와 같이 보강 영역(6b)에 축선 주위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 리브(6b1)를 설치함으로써, 해당 초기 박리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보강 영역(6b)에 고리 형상 리브(6b1)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경우, 고리 형상 리브(6b1)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 내층체(3)도 눌리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에, 고리 형상 리브(6b1)가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도 3, 도 4에 나타낸 변형례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보강 영역(6b)에, 축선 주위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 리브(6b1)로서 두 개의 둘레 홈(30)을 설치하는 동시에, 각각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동시에 보강 영역(6b)의 외주면(6b2)과 둘레 홈(30)에 걸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두 개의 둘레 홈(30)은, 각각 보강 영역(6b)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외주면(6b2)에 이어지는 동시에 외주면(6b2)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한 쌍의 측면 벽부(30a)와, 한 쌍의 측면 벽부(30a) 사이에 설치된 저면 벽부(30b)를 가지고 있으며, 저면 벽부(30b)는,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동시에 축선(O) 주위로 연장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저면 벽부(30b)를 볼록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둘레 홈(30)의 반경 방향 강성을 높여, 적층 박리 용기(1)의 좌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 쌍의 부오목부(40) 중 상측 부오목부(40)는, 보강 영역(6b) 외주면(6b2)으로부터 둘레 홈(30)의 상측 측면 벽부(30a)에 상방측으로부터 걸쳐지고, 한 쌍의 부오목부(40) 중 하측 부오목부(40)는 보강 영역(6b) 외주면(6b2)으로부터 둘레 홈(30)의 하측 측면 벽부(30a)에 하방측으로부터 걸쳐져 있다. 상측 부오목부(40)와 하측 부오목부(40)의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 위치는 상호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일부의 부오목부(40)만 도시되어 있다.
변형례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보강 영역(6b)에, 각각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동시에 보강 영역(6b)의 외주면(6b2)과 둘레 홈(30)에 걸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를 설치함으로써, 보강 영역(6b)에 둘레 홈(30)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 즉 내용물이 토출되어 내층체(3)가 외층체(2)에 대하여 감용 변형할 때, 내층체(3)를, 둘레 홈(30)이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를 기점으로 하여 용기 안쪽으로 구부러지도록 변형시켜 외층체(2)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이 때, 외층체(2)는 이와 같은 용기 안쪽으로 구부러지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서, 내층체(3)는,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에 용기 안쪽으로 구부러지므로, 외층체(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례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보강 영역(6b)에 둘레 홈(30)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보강 영역(6b)에, 각각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동시에 보강 영역(6b)의 외주면(6b2)과 둘레 홈(30)에 걸쳐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를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둘레 홈(30)에 의한 내층체(3)의 보강 영역(6b)에서의 성형 직후의 초기 박리를 억제하면서,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의 내층체(3)의 박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층 박리 용기(1)를, 외층체(2)와 내층체(3)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로 이루어진 블로 성형품으로 한 경우에는, 보강 영역(6b)의 둘레 홈(30)을 설치한 부분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더욱 박리하기 어렵게 되지만, 변형례에서와 같이, 보강 영역(6b)에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를 설치함으로써, 이와 같은 적층 박리 용기(1)에 있어서도, 보강 영역(6b)의 둘레 홈(30)을 설치한 부분에 있어서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에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용기에서 박리시킬 수 있다.
각각의 부오목부(40)는, 예컨대, 숄더부(5) 쪽으로부터 저부(7) 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세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례에서는, 부오목부(40)를, 그 상단 및 하단이 뾰족한 형상의 세로 리브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내용물이 토출되어 내층체(3)가 외층체(2)에 대하여 감용 변형할 때, 내층체(3)가,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의 상단 및 하단을 연결하는 중심선 부분 또는 그 인접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용기 안쪽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형례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보강 영역(6b)에 설치된 상하 2 개의 각각의 둘레 홈(30)에 대응하도록, 복수 쌍의 부오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측 둘레 홈(30)에 대응하도록 보강 영역(6b)의 외주면(6b2)과 상측 둘레 홈(30)에 걸쳐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가 설치되는 동시에, 하측 둘레 홈(30)에 대응하도록 보강 영역(6b)의 외주면(6b2)과 하측 둘레 홈(30)에 걸쳐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둘레 홈(30)에 설치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와 하측 둘레 홈(30)에 설치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의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 위치는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강 영역(6b)에 상하 두 개의 둘레 홈(30)이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도, 내용물이 토출되어 내층체(3)가 외층체(2)에 대하여 감용 변형할 때, 내층체(3)가, 각각의 둘레 홈(30)이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를 기점으로 하여 용기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둘레 홈(30) 중 하나로부터의 박리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내층체(3)를 외층체(2)로부터 확실하게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 영역(6b)에 두 개로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의 둘레 홈(30)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1 개의 둘레 홈(30)에 대응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만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적어도 한 개의 둘레 홈(30)에 대응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기의 도입 통로를 확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외기 도입구(9)에 가장 근접한 둘레 홈(30)(본 실시예에서는, 외기 도입구(9)는 입구부(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장 상측의 둘레 홈(30))에 대응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만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변형례의 적층 박리 용기(1)에서는, 보강 영역(6b)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6 쌍)의 부오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강 영역(6b)에는, 상측 둘레 홈(30)에 대응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쌍 설치되는 동시에, 하측 둘레 홈(30)에 대응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쌍 설치되어 있다. 상측 둘레 홈(30)에 복수 쌍 설치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와, 하측 둘레 홈(30)에 복수 쌍 설치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는, 상호 대응하는 것들끼리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강 영역(6b)에 둘레 홈(30)이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 내용물이 토출되어 내층체(3)가 외층체(2)에 대하여 감용 변형할 때, 내층체(3)가, 각각의 둘레 홈(30)이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 스퀴즈 위치나 성형 편차 등에 따라서, 보강 영역(6b)의 둘레 방향 부오목부(40)가 설치된 복수 부분 중, 더욱 변형하기 쉬운 일부 부분에 있어서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40)를 기점으로 하여 용기 안쪽으로 구부러지도록 변형하도록 하여, 내층체(3)를 둘레 방향의 넓은 범위에서 외층체(2)로부터 박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부오목부(40)는, 단차부(11)에 설치된 오목부(20)와 둘레 방향 위치를 일치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례와 같이, 보강 영역(6b)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6 쌍)의 부오목부(40)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들 부오목부(40)를, 각각 단차부(11)에 설치된 대응하는 오목부(20)와 둘레 방향 위치를 일치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내층체(3)를, 단차부(11) 부분과 보강 영역(6b)에 있어서 둘레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 외층체(2)로부터 박리하기 쉽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숄더부(5)에서 몸통부(6)에 도입된 외기의 경로가 보강 영역(6b)에 도달하기 쉽도록 하여, 내용물의 토출시에, 몸통부(6) 전체에 있어서 내층체(3)가 외층체(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차부(11)에 복수의 오목부(20)를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차부(11)에 적어도 1 개의 오목부(20)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목부(20)의 형상은 세로 리브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차부(11)에, 오목부(20)를 대신하여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볼록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볼록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한 돌출 높이는, 숄더부(5)의 최대 반경 이하가 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단차부(11)는, 숄더부(5) 쪽으로부터 스퀴즈 영역(6a) 쪽으로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감소하는 동시에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만곡 형상으로 하거나, 숄더부(5) 쪽으로부터 스퀴즈 영역(6a) 쪽으로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면(원추) 형상으로 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스퀴즈 영역(6a) 상단을,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고리 형상 홈으로 형성된 둘레 방향 리브부를 거쳐서 숄더부(5) 하단에 이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이 리브부에 오목부(2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브부를, 저벽, 상측 경사벽 및 하측 경사벽을 갖는, 종단면이 반원형 내지 사다리꼴 형상의 것으로 하고, 저벽, 상측 경사벽 및 하측 경사벽의 적어도 하나에만 오목부(2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혹은 저벽, 상측 경사벽 및 하측 경사벽의 적어도 두 군데 부분에 걸쳐서 오목부(20)를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 박리 용기(1)를, 스퀴즈 영역(6a)의 가요성 및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숄더부(5)와 스퀴즈 영역(6a) 사이에 둘레 방향 리브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서도, 내용물의 토출시에, 단차부(11)에 있어서 내층체(3)를, 오목부(20)를 기점으로 하여 외층체(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몸통부(6)에 보강 영역(6b)을 설치한 경우에는, 보강 영역(6b) 상단을, 둘레 방향 부리브부를 거쳐서 스퀴즈 영역(6a) 하단(6a2)에 이어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둘레 방향 부리브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용기 안쪽으로 오목한 고리 형상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입구부(4), 숄더부(5) 및 몸통부(6)는, 각각 축선(O)에 수직인 단면이 원형으로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해당 단면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기 도입구(9)를, 외층체(2)의 입구부(4)를 구성하는 부분에, 해당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층체(2)와 내층체(3) 사이에 외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숄더부(5), 몸통부(6) 및 저부(7)의 임의의 부분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그 형태도 관통공에 한정하지 않고, 슬릿 형상이라고 하여도, 외층체(2)와 내층체(3)의 경계로 개구하는 갭을 갖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부오목부(40)는 세로 리브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부오목부(40)의 형상이나 개수는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스퀴즈 영역(6a)과 보강 영역(6b) 사이에 부단차부(12)가 설치되어 있지만, 단차부(11)가 설치되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스퀴즈 영역(6a)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개 내지 여러 개의 리브 내지 홈을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 : 적층 박리 용기
2 : 외층체
3 : 내층체
4 : 입구부
4a : 수나사
5 : 숄더부
6 : 몸통부
6a : 스퀴즈 영역
6a1 : 상단
6a2 : 하단
6b : 보강 영역
6b1 : 고리 형상 리브
6b2 : 외주면
7 : 저부
7a : 접지부
7b : 저면 패널
8 : 네크 링
9 : 외기 도입구
10 : 오목 리브
11 : 단차부
12 : 부단차부
20 : 오목부
20a : 저벽
20b : 둘레벽
30 : 둘레홈
30a : 측면 벽부
30b : 저면 벽부
40 : 부오목부
O : 축선
S : 수납 공간

Claims (13)

  1. 외층체와, 상기 외층체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감용 변형이 자유로운 내층체와, 상기 외층체와 상기 내층체 사이에 이어지는 외기 도입구를 구비한 적층 박리 용기로서,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이어지는 숄더부와, 상기 숄더부에 이어지는 몸통부(6)와, 상기 몸통부(6)에 이어지는 저부(7)를 가지는 보틀 형상이며,
    상기 몸통부가, 둘레 방향 단차부 또는 둘레 방향 리브부를 거쳐서 상기 숄더부에 이어지는 스퀴즈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단차부 또는 상기 리브부에,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박리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숄더부 쪽으로부터 상기 몸통부 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세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또는 상기 리브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에,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오목 리브의 하방에 상기 오목 리브와 둘레 방향 위치를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가, 상기 숄더부 쪽으로부터 상기 스퀴즈 영역 쪽으로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감소하는 동시에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만곡 형상인,
    적층 박리 용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가, 둘레 방향 부단차부 또는 둘레 방향 부리브부를 거쳐서 상기 스퀴즈 영역 하단에 이어지는 보강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적층 박리 용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가, 상기 스퀴즈 영역의 하방에 설치된 보강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 영역에, 축선 둘레로 연장되는 둘레 홈과, 각각 용기 안쪽으로 향해서 오목한 동시에 상기 보강 영역의 외주면과 상기 둘레 홈에 걸치는 상하 한 쌍의 부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복수 개의 상기 둘레 홈과, 각각의 상기 둘레 홈에 대응하는 복수 쌍의 상기 부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 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의 상기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부오목부가, 상기 숄더부 쪽으로부터 상기 저부 쪽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세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홈의 저면 벽부가, 용기 바깥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동시에 축선 둘레로 연장되는 볼록한 형상인,
    적층 박리 용기.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부오목부가, 상기 오목부와 둘레 방향 위치를 일치시켜서 설치되어 있는,
    적층 박리 용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체와 상기 내층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인,
    적층 박리 용기.
KR1020227007312A 2019-09-13 2020-08-11 적층 박리 용기 KR20220039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67595A JP7455460B2 (ja) 2019-09-13 2019-09-13 積層剥離容器
JPJP-P-2019-167595 2019-09-13
PCT/JP2020/030630 WO2021049236A1 (ja) 2019-09-13 2020-08-11 積層剥離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804A true KR20220039804A (ko) 2022-03-29

Family

ID=7486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312A KR20220039804A (ko) 2019-09-13 2020-08-11 적층 박리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32458A1 (ko)
EP (1) EP4029798A4 (ko)
JP (1) JP7455460B2 (ko)
KR (1) KR20220039804A (ko)
CN (1) CN114364612B (ko)
CA (1) CA3150128A1 (ko)
WO (1) WO2021049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60813A (ja) * 2020-04-01 2021-10-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8892A (ja) 2017-07-20 2019-02-07 北海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多重ボト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184A (en) * 1997-10-28 1999-10-26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Hot-fillable plastic container with grippable body
JP3842005B2 (ja) * 2000-03-30 2006-11-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胴部の補強リブ
JP2001315740A (ja) * 2000-04-28 2001-11-13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JP4357183B2 (ja) * 2003-02-14 2009-11-04 大成化工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296930B2 (ja) * 2003-12-25 2009-07-15 東洋製罐株式会社 容器
US9944453B2 (en) * 2007-04-19 2018-04-17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n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preform for making it
CA2889206C (en) * 2012-10-31 2017-03-07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 container
JP6703898B2 (ja) * 2016-05-27 2020-06-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ウエスト部を有するボトル
JP7174906B2 (ja) 2016-08-31 2022-11-1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二重容器
JP6986836B2 (ja) * 2016-11-30 2021-12-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ボトル
JP6910714B2 (ja) 2017-04-28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7090977B2 (ja) * 2017-11-30 2022-06-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6980348B2 (ja) 2017-12-28 2021-12-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CN111511648B (zh) * 2017-12-28 2022-07-05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合成树脂制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8892A (ja) 2017-07-20 2019-02-07 北海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多重ボト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236A1 (ja) 2021-03-18
US20220332458A1 (en) 2022-10-20
CN114364612B (zh) 2023-09-19
EP4029798A4 (en) 2023-10-18
CN114364612A (zh) 2022-04-15
EP4029798A1 (en) 2022-07-20
JP7455460B2 (ja) 2024-03-26
CA3150128A1 (en) 2021-03-18
JP2021041989A (ja)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3875B2 (en) Double container
US20240051702A1 (en) Preform assembly, double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 container
US11873132B2 (en) Double container
US11472591B2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JP2019177908A (ja) 積層剥離容器
JP7094620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20193021A (ja)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39804A (ko) 적층 박리 용기
JP2020193020A (ja) 二重容器、プリフォーム組立体、プリフォーム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JP7292804B2 (ja) 積層剥離容器
WO2021199925A1 (ja) 積層剥離容器
JP7337445B2 (ja) 積層剥離容器
JP2024034468A (ja) 積層剥離容器
JP7399557B2 (ja) 二重容器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JP2023111714A (ja) 積層剥離容器
JP2023111718A (ja) 積層剥離容器
JP2022086878A (ja) 積層剥離容器
JP2023035227A (ja) 積層剥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