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247A -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247A
KR20220002247A KR1020217025597A KR20217025597A KR20220002247A KR 20220002247 A KR20220002247 A KR 20220002247A KR 1020217025597 A KR1020217025597 A KR 1020217025597A KR 20217025597 A KR20217025597 A KR 20217025597A KR 20220002247 A KR20220002247 A KR 2022000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glass plate
holding member
holding
unnecess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코 이타모토
하야토 오쿠
마사토 쿠마가와
쇼 키타가와
나오키 쿠마자키
사다하루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절단실(3)과, 절단실(3) 내에서 세로 자세의 유리판(4)으로부터 불요부(4a)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는 절단 기구(6)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대해서, 절단 전후에서 불요부(4a)의 유지가 가능한 제 1 유지 부재(8)를 구비하고, 절단실(3)이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4a)를 실외로 배출해서 폐기하기 위한 폐기구(12)를 갖고, 폐기구(12)는 상기 제 1 유지 부재(8)의 유지의 해제에 따라 낙하하는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4a)(폐기 대상 불요부(4x))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유리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으로 대표되는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한 방법이나, 플로트법을 이용한 방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들의 방법을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공정의 일례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열거된다.
처음에, 용융 유리로부터 유리 리본을 연속적으로 성형한다. 이 때, 유리 리본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는, 중앙부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귀부라고 불리는 부위가 형성된다. 다음에, 유리 리본을 소정의 길이마다 폭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유리 리본으로부터 제품 유리판의 근본이 되는 유리판을 반복해서 잘라낸다. 다음에 이들의 유리판으로부터 귀부를 포함하는 불요부(제품이 되지 않는 부위)를 절단해서 분리시킨다. 그 후, 불요부를 분리시킨 유리판에 대하여, 연삭·연마 가공이나 세정 처리 등의 각종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제품 유리판이 제조된다.
여기서,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해서 유리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성형 후의 유리 리본이 세로 자세(연직 자세)를 취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평면적인 스페이스를 생략하는 관점 등으로부터, 세로 자세의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 낸 유리판에 대해서, 이것을 세로 자세 그대로 반송함과 아울러, 그 반송 경로 상에서 유리판으로부터 불요부를 절단하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특허공개 2017-206407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 하, 세로 자세의 유리판으로부터 불요부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제품 유리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등으로부터, 분리 후의 불요부를 효율적으로 폐기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세로 자세의 유리판으로부터 절단에 의해 분리된 불요부에 대해서, 그 효율적인 폐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실과, 절단실 내에서 세로 자세의 유리판으로부터 불요부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는 절단 기구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로서, 절단 전후에서 불요부의 유지가 가능한 제 1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절단실이 절단 후의 불요부를 실외로 배출해서 폐기하기 위한 폐기구를 갖고, 폐기구는, 제 1 유지 부재의 유지의 해제에 따라 낙하하는 절단 후의 불요부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제조 장치에서는, 절단 전후에서 불요부를 유지하는 제 1 유지 부재가, 그대로 절단 후의 불요부를 폐기구를 향해서 낙하시키고, 이것에 따라 불요부가 절단실 외부로 배출되어서 폐기된다. 그 결과, 불요부를 효율적으로 폐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제조 장치에 의하면, 부차적으로 하기와 같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불요부의 폐기처보다 절단실이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낙하시킨 불요부에 기인해서 유리 가루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 유리 가루가 절단실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되는 유리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점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낙하 중의 불요부를 폐기구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안내 부재가 폐기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안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폐기구에 불요부를 안내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폐기의 실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안내 부재가 폐기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폐기를 위한 설비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평면적인 스페이스를 가급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제 1 유지 부재가 절단 전후에서 불요부의 흡착 유지가 가능한 흡착부를 구비하고, 안내 부재는 흡착 유지의 해제 시에 흡착부로부터 분사되는 진공 파괴 가스의 분사 방향의 하류측에 적어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흡착 유지의 해제 시에 흡착부로부터 불요부에 대하여 분사되는 진공 파괴 가스에 의해, 불요부가 빠르거나 또한 확실하게 흡착부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불요부는 흡착부로부터 멀어지면서 낙하하므로, 낙하 중의 불요부와 흡착부의 접촉을 바람직하게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진공 파괴 가스의 분사 방향의 하류측에 안내 부재가 위치하므로, 불요부는 폐기구에 확실하게 안내된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절단 후의 불요부를 제 1 유지 부재로부터 수취하여 절단실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인출 기구에 의해, 절단 후의 불요부를 절단실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불요부의 절단면을 평가할 수 있고, 이것에 부수되어서 절단 상태의 양부의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불요부의 강도 평가·관리도 행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인출 기구가 절단 후의 불요부의 유지 및 유지의 해제가 가능한 제 2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제 2 유지 부재가 제 1 유지 부재로부터 절단 후의 불요부를 수취하는 수취 위치와, 제 1 유지 부재에 의한 불요부의 이송 경로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 1 유지 부재로부터 불요부를 수취한 제 2 유지 부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불요부(후에 절단실 밖으로 인출되는 불요부)를 제 1 유지 부재에 의한 불요부의 이송 경로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이것에 따라, 후속의 유리판(불요부와 미분리의 상태에 있는 유리판)을 새롭게 절단 기구에 반입하고, 불요부의 절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새로운 유리판으로부터 불요부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는 작업을 중단하는 일 없이 절단 후의 불요부를 절단실 밖으로 인출하는 적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절단실이 절단 후의 불요부를 실외에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갖고, 인출구가 절단실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 경로의 종단에 배치되고, 인출 기구가 절단 후의 불요부의 유지 및 유지의 해제가 가능한 제 3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제 2 유지 부재와 제 3 유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이, 인출 경로를 따라 상하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 2 유지 부재와 제 3 유지 부재 중, 인출 경로를 따라 상하동이 가능한 유지 부재가, 불요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하동함으로써, 불요부를 인출 경로를 따라 이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불요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장척인 바와 같은 경우에도 이송에 따라 인출구에 도달한 불요부의 부위를 순서대로 잘라 내어 가는 것이 가능해지고, 불요부를 복수의 소부위로 분할하면서 인출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퇴피 위치 및 인출 경로가 폐기구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인출 작업 중에 불요부가 파열되어 유리편이 발생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낙하한 유리편이 폐기구를 통해서 절단실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절단실 내의 오염을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실 내에서 세로 자세의 유리판으로부터 불요부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는 절단 공정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절단실이 절단 후의 불요부를 실외로 배출해서 폐기하기 위한 폐기구를 갖고, 절단 전후에서 불요부의 유지가 가능한 제 1 유지 부재를 사용하고, 제 1 유지 부재에 의한 절단 후의 불요부의 유지를 해제함에 따라서, 절단 후의 불요부를 폐기구를 향해서 낙하시키는 폐기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의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따른 설명에서 상술의 작용·효과를 마찬가지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세로 자세의 유리판으로부터 절단에 의해 분리시킨 불요부에 대해서, 그 효율적인 폐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절단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절단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폐기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유리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인출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복수의 도면의 상호 간에 있어서, X방향끼리, Y방향끼리 및 Z방향끼리는 같은 방향이다. 또한,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이하, 본 제조 방법이라 표기)의 실행에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1)(이하, 단지 제조 장치(1)이라 표기)를 사용한다.
제조 장치(1)는 폐기실(2)과, 절단실(3)을 구비한다. 제조 장치(1)는 복수층 구조의 건축물에 설치되고, 폐기실(2)은 하층에 위치하고, 절단실(3)은 폐기실(2)의 상단에 위치한다. 이 제조 장치(1)는 절단실(3) 내에서 유리판(4)으로부터 제품이 되지 않는 불요부(4a)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조 장치(1)는 절단 후의 불요부(4a)에 대해서, (1) 낙하에 의한 폐기실(2)로의 폐기, (2) 절단실(3) 밖으로의 인출, 중 어느 하나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조 장치(1)는 폐기를 위한 동작(이하, 폐기 동작이라 표기)과 인출을 위한 동작(이하, 인출 동작이라 표기)의 스위칭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절단 후에 폐기되는 불요부(4a)를 폐기 대상 불요부(4x)라 표기하고, 절단 후에 인출되는 불요부(4a)를 인출 대상 불요부(4y)라 표기해서 구별한다. 또한, 양자(4x, 4y)에 공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양자(4x, 4y)를 구별하지 않고 단지 불요부(4a)라 표기한다.
제조 장치(1)는 상기의 폐기실(2) 및 절단실(3)과, 절단실(3) 내에서 유리판(4)을 세로 자세의 상태에서 반송 경로(R1)(유리판(4)의 폭방향)를 따라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5)와, 절단실(3) 내에서 세로 자세의 유리판(4)으로부터 불요부(4a)를 절단해서 분리시키기 위한 절단 기구(6)와, 절단 전후에서 불요부(4a)를 유지하는 제 1 유지 부재(8)와, 제 1 유지 부재(8)로부터 절단 후의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수취해서 절단실(3)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기구(7)를, 주된 구성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유리판(4)은 1쌍의 불요부(4a, 4a)와, 이들 불요부(4a)와는 달리 제품이 되는 제품부(4b)를 갖는다. 1쌍의 불요부(4a, 4a)는, 각각 반송 중에 유리판(4)의 선두부가 되는 부위 및 최후부가 되는 부위이고, 이들 1쌍의 불요부(4a, 4a)의 상호 간에 존재하는 부위가 제품부(4b)이다. 또한, 1쌍의 불요부(4a, 4a)의 각각에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귀부라고 칭해지는 부위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불요부(4a)에 귀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절단실(3)은 천장벽(9)과 바닥벽(10)과 측벽(11)을 갖는다. 바닥벽(10)에는, 절단 후의 폐기 대상 불요부(4x)를 폐기실(2)에 배출해서 폐기하기 위한 폐기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폐기구(12)를 통해서 절단실(3)과 폐기실(2)이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절단실(3) 내는, 폐기실(2)내보다 기압이 높게 되도록 조절되어 있다. 측벽(11)에는, 절단 후의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절단실(3)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폐기실(2)은 천장벽(14)과 바닥벽(15)과 측벽(16)을 갖는다. 바닥벽(15)에는, 절단실(3)로부터 낙하해 오는 폐기 대상 불요부(4x)를 수용하기 위한 상자형의 수용 용기(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수용 용기(17)는 폐기구(12)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폐기구(12)는 평면에서 볼 때에(Z방향으로부터 보아) 유리판(4)의 반송 경로(R1)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개구하고 있다. 이 폐기구(12) 상에는 낙하 중의 폐기 대상 불요부(4x)를 폐기구(12)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18)가 상하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18)는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L자 형상임과 아울러, 그 하단부가 폐기구(12)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안내 부재(18)의 상단부는, 낙하 전의 폐기 대상 불요부(4x)의 상단부와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안내 부재(18)의 상단부가, 낙하 전의 폐기 대상 불요부(4x)의 상단부보다 저위치에 있어도 되고, 고위치에 있어도 된다.
인출구(13)는 절단실(3)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 경로(R2)의 종단(인출 경로(R2)의 하류단)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 경로(R2)는 그 경로 전체 길이가 폐기구(12)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인출구(13)는 안내 부재(18)의 상단부보다 더욱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반송 기구(5)는 유리판(4)의 상변부(제품부(4b)의 상변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파지 부재(19)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파지 부재(19)는 X방향으로 연장된 도시생략의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파지 부재(19)에 의해 유리판(4)을 매어 달아 지지한 상태에서 X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절단 기구(6)는 유리판(4)의 반송 경로(R1)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반송 경로(R1)의 상류측에 배치된 스크라이브 기구(20)와, 상대적으로 반송 경로(R1)의 하류측에 배치된 브레이킹 기구(21)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라이브 기구(20)는 반송 기구(5)에 의해 반입되어 오는 유리판(4)에 절단의 기점이 되는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 스크라이브 기구(20)는 유리판(4)의 표면 상을 불요부(4a)와 제품부(4b)의 경계(L)를 따라 전동하면서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휠(22)과, 유리판(4)을 이면측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스크라이브 휠(22)에서의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을 보조하는 보조 바(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크라이브 라인(S)의 형성 후의 유리판(4)은 반송 기구(5)에 의해 스크라이브 기구(20)로부터 반출된 후, 반송 경로(R1)의 하류측에 반송되어서 브레이킹 기구(21)에 반입된다.
브레이킹 기구(21)는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 완료한 유리판(4)을 브레이킹해서 절단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 브레이킹 기구(21)는 유리판(4)의 제품부(4b)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 라인(S)의 근방을 표리로부터 끼워서 지지하는 1쌍의 지지 바(24, 24)와,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4)의 불요부(4a)를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압입함과 아울러, 스크라이브 라인(S)의 주변부를 표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켜서 굽힘 응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킹 바(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불요부(4a)와 분리시킨 후의 유리판(4)(제품부(4b)만으로 되는 유리판(4))은 절단 후의 불요부(4a)와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반송 경로(R1)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제 1 유지 부재(8)는 브레이킹 기구(21)에 병설되어 있다. 이 제 1 유지 부재(8)는 절단 전후에서 불요부(4a)를 세로 자세인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유지 부재(8)는 브레이킹 기구(21)에 반입된 유리판(4)에 대해서, 상기 유리판(4)의 브레이킹 전으로부터 불요부(4a)를 유지함과 아울러, 브레이킹 중 및 브레이킹 후에 있어서도 불요부(4a)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브레이킹 중에 있어서의 제 1 유지 부재(8)는 브레이킹 바(25)에 의한 불요부(4a)의 압입 동작에 부수되고, 스크라이브 라인(S)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제 1 유지 부재(8)는 불요부(4a)의 유지를 위해, 상기 불요부(4a)의 흡착 유지가 가능한 복수의 흡착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흡착부(26)는 상하 복수단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흡착부(26)는 도시 생략의 부압 발생 수단(예를 들면, 진공 펌프)과 접속되어 있고, 부압 발생 수단의 가동에 따라 유리판(4)의 불요부(4a)를 이면측으로부터 흡착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흡착부(26)는 흡착 유지의 해제 시에 있어서, 불요부(4a)에 대하여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유동하는 방향에 진공 파괴 가스로서의 흡착 파괴 가스(G)(예를 들면, 공기)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지 부재(8)가 흡착부(26)에 의한 흡착 유지에 따라 불요부(4a)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불요부(4a)의 유지를 위해, 제 1 유지 부재(8)에 개폐 동작을 행하는 1쌍의 클로부를 설치하고, 1쌍의 클로부를 닫음으로써 불요부(4a)를 표리로부터 파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하, 브레이킹에 있어서의 제 1 유지 부재(8)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킹 중에 있어서의 제 1 유지 부재(8)는 스크라이브 라인(S)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그 때, 분리한 불요부(4a)가 유리판(4)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유지 부재(8)는 불요부(4a)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해서 이동함과 아울러, 반송 경로(R1)를 따라 유리판(4)으로부터 이간하도록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불요부(4a)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불요부(4a)가 화살표(B)를 따라 제 1 유지 부재(8)에 의해 운반되고, 불요부(4a)가 폐기 위치(P1)에 도달한다. 또한, 폐기 위치(P1)는 폐기구(12)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고, 유리판(4)의 반송 경로(R1)로부터 이간된 위치로 되어 있다. 제조 장치(1)가 인출 동작을 행하는 경우, 폐기 위치(P1)는 인출 기구(7)의 수취 위치가 된다. 이 때문에, 폐기 위치(P1)에 도달하는 시점까지는, 제조 장치(1)가 폐기 동작을 행하는 경우와, 인출 동작을 행하는 경우이고, 제조 장치(1)의 동작이 공통되고 있다.
다음에 제조 장치(1)가 폐기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흡착부(26)에 의한 폐기 대상 불요부(4x)의 흡착 유지를 해제하는 것에 따라, 폐기 대상 불요부(4x)를 세로 자세인채로 폐기구(12)를 향해서 낙하시킨다. 또한, 흡착 유지의 해제 시에, 흡착부(26)가 폐기 대상 불요부(4x)에 대하여 흡착 파괴 가스(G)(여기에서는 안내 부재(18)측으로 흐르는 방향의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폐기 대상 불요부(4x)를 화살표(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안내 부재(18)측으로 유도한다. 또한, 흡착부(26)에 의한 흡착 유지의 해제 후의 제 1 유지 부재(8)는 유리판(4)을 브레이킹하여 절단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고, 새로운 유리판(4)이 브레이킹 기구(21)에 반입되어 올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제조 장치(1)가 인출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인출 기구(7)에 구비된 제 2 유지 부재(27)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를 완료하기까지의 사이, 흡착부(26)에 의한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흡착 유지를 유지한다. 제 2 유지 부재(27)에 의한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가 완료하면, 흡착부(26)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흡착 유지를 해제한다. 이 때, 흡착부(26)는 인출 대상 불요부(4y)에 대하여 흡착 파괴 가스(G)를 분사하고, 신속한 흡착 유지의 해제가 도모된다. 또한, 흡착부(26)에 의한 흡착 유지의 해제 후의 제 1 유지 부재(8)는 유리판(4)을 브레이킹하여 절단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고, 새로운 유리판(4)이 브레이킹 기구(21)에 반입되어 올 때까지 대기한다.
인출 기구(7)는 상기의 제 2 유지 부재(27)와, 제 3 유지 부재(28)(도 1 및 도 2에서는 도시 생략, 도 8∼도 16을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유지 부재(27) 및 제 3 유지 부재(28)의 각각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세로 자세에서의 유지 및 유지의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양 유지 부재(27, 28)의 각각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 및 유지의 해제를 위해, 개폐 동작이 가능한 1쌍의 클로부(27a, 27a(28a, 28a))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1쌍의 클로부(27a, 27a(28a,28a))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를 위해 닫은 상태(인출 대상 불요부(4y)를 표리로부터 파지한 상태)를 닫힌 상태로 표기하고, 유지의 해제를 위해 연 상태를 열린 상태로 표기한다.
제 2 유지 부재(27)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의 주위를 선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선회에 따라 수취 위치(P1)와 퇴피 위치(P2) 사이의 이동이 가능하다(도 2 참조). 이것에 의해, 제 2 유지 부재(27)는 수취 위치(P1)(폐기 위치(P1))에서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제 1 유지 부재(8)로부터 수취한 후,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화살표(D)를 따라 진행시켜서 퇴피 위치(P2)에 도달시킨다. 또한, 퇴피 위치(P2)는 폐기구(12)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고, 유리판(4)의 반송 경로(R1)로부터 이간된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퇴피 위치(P2)는 상기의 인출 경로(R2)의 선단(인출 경로(R2)의 상류단)이기도 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의 수취 위치(P1)와 퇴피 위치(P2)의 쌍방이, 유리판(4)의 반송 경로(R1)로부터 이간해서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취 위치(P1)와 퇴피 위치(P2) 중, 퇴피 위치(P2)만이 유리판(4)의 반송 경로(R1)로부터 이간해서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폐기 동작이나 인출 동작을 행하면서 유리판(4)을 반출함으로써 제조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수취 위치(P1)(폐기 위치(P1))와 퇴피 위치(P2)의 쌍방이, 유리판(4)의 반송 경로(R1)로부터 이간해서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유지 부재(28)는 인출 경로(R2)를 따라 상하동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제 3 유지 부재(28)는 상하동하는 범위의 하한인 스트로크 하단과, 상한인 스트로크 상단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유지 부재(28)의 상하동을 위한 기구의 일례로서는, 실린더 기구가 열거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유지 부재(28)는 1쌍의 클로부(28a, 28a)를 닫힌 상태로 하여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 상태에서, 자신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퇴피 위치(P2)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려서 인출 경로(R2)의 하류측으로 이송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유지 부재(28)와는 달리, 제 2 유지 부재(27)는 상하동이 불가능해지고 있고, 항상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 제 3 유지 부재(28)의 이동 중에는, 제 2 유지 부재(27)는 1쌍의 클로부(27a, 27a)를 열린 상태로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3 유지 부재(28) 대신에, 제 2 유지 부재(27)의 상하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제 3 유지 부재(28)에 더해서, 제 2 유지 부재(27)도 상하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제 2 유지 부재(27)와 제 3 유지 부재(28) 중 적어도 일방이 인출 경로(R2)를 따라 상하동이 가능하면 된다.
이하, 제조 장치(1)를 사용한 본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서는, 각 도면에서 설명하는 공정에서 주로서 기능하는 부재 이외는, 언급하지 않고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송 중에 유리판(4)의 선두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와, 최후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의 취급은 같으므로, 선두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에만 착안해서 설명한다.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처음에 절단실(3) 내로 세로 자세의 유리판(4)으로부터 불요부(4a)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는 절단 공정을 실행한다.
절단 공정의 실행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라인(S)이 형성 완료된 유리판(4)이 브레이킹 기구(21)에 반입되어 오면, 제 1 유지 부재(8)의 흡착부(26)가 불요부(4a)의 흡착 유지를 개시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품부(4b)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 라인(S)의 근방을 1쌍의 지지 바(24, 24)에 의해 지지하면서, 브레이킹 바(25)에 의해 불요부(4a)를 이면측으로 압입한다. 이것에 의해 표면측(스크라이브 라인(S)이 형성된 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스크라이브 라인(S)의 주변부가 만곡하고, 곧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4)이 브레이킹되어 절단된다. 이 시점에서 유리판(4)으로부터 불요부(4a)가 분리된다. 이상에 의해, 절단 공정이 완료한다. 절단 후의 불요부(4a)는, 여전히 제 1 유지 부재(8)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 있다.
절단 공정이 완료하면, 이어서, 절단 후의 불요부(4a)를 폐기 대상 불요부(4x)로서 폐기실(2)에 폐기하는 폐기 공정 또는 절단 후의 불요부(4a)를 인출 대상 불요부(4y)로서 절단실(3) 밖으로 인출하는 인출 공정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우선, 폐기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폐기 공정의 실행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제 1 유지 부재(8)가 유지한 폐기 대상 불요부(4x)를 이송 경로를 따라 수취 위치(P1)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에, 제 1 유지 부재(8)가 흡착부(26)에 의한 폐기 대상 불요부(4x)의 흡착 유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흡착부(26)로부터 안내 부재(18)를 향하는 방향으로 흡착 파괴 가스(G)를 분사한다. 이것에 따라, 폐기 대상 불요부(4x)를 세로 자세인채로 안내 부재(18)측으로 유도하면서 폐기구(12)를 향해서 낙하시킨다. 이렇게 하여 폐기구(12)를 통해서 절단실(3)로부터 폐기실(2)로 배출된 폐기 대상 불요부(4x)는, 폐기실(2)에 배치된 수용 용기(17) 내에 수용된다. 이상에 의해, 폐기 공정이 완료한다. 또한, 폐기 대상 불요부(4x)와 분리시킨 후의 유리판(4)은 폐기 대상 불요부(4x)가 반송 경로(R1)로부터 이간된 수취 위치(P1)로 이동한 후, 브레이킹 기구(21)로부터 반출해서 반송 경로(R1)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이것에 의해, 폐기 대상 불요부(4x)와, 이것과 분리 후의 유리판(4)의 충돌이 회피된다.
이어서, 인출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인출한 후의 인출 대상 불요부(4y)는, 예를 들면 절단면(제품부(4b)와 분단된 면)의 검사에 제공되어 스크라이브 라인(S)의 깊이나, 깊이의 균일성 등의 검사를 행한다.
인출 공정의 실행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의 폐기 공정의 실행 시와 동일하게 하여 제 1 유지 부재(8)가 유지한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이송 경로를 따라 수취 위치(P1)(폐기 위치(P1))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취 위치(P1)로 대기한 제 2 유지 부재(27)가 1쌍의 클로부(27a, 27a)를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시켜,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다. 이 시점에 있어서는, 제 1 유지 부재(8)와 제 2 유지 부재(27)의 쌍방이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 상태에 있다. 또한, 인출 대상 불요부(4y)와 분리시킨 후의 유리판(4)은 인출 대상 불요부(4y)가 반송 경로(R1)로부터 이간된 수취 위치(P1)로 이동한 후, 브레이킹 기구(21)로부터 반출해서 반송 경로(R1)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지 부재(8)가 흡착부(26)에 의한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흡착 유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흡착부(26)로부터 흡착 파괴 가스(G)를 분사한다. 이것에 따라, 제 1 유지 부재(8)로부터 제 2 유지 부재(27)에 인출 대상 불요부(4y)가 수수된다. 그 후는, 제 1 유지 부재(8)로부터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수취한 제 2 유지 부재(27)가 수취 위치(P1)로부터 퇴피 위치(P2)까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인출 대상 불요부(4y)가 인출 경로(R2)의 시단에 도달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유지 부재(27)가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 상태 하, 스트로크 하단에서 대기한 제 3 유지 부재(28)가 1쌍의 클로부(28a, 28a)를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시키고,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다. 이 시점에 있어서는, 제 2 유지 부재(27)와 제 3 유지 부재(28)의 쌍방이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 상태에 있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유지 부재(27)가, 1쌍의 클로부(27a, 27a)를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시키고, 제 2 유지 부재(27)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를 해제한다. 이것에 따라, 제 2 유지 부재(27)로부터 제 3 유지 부재(28)에 인출 대상 불요부(4y)가 수수된다.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수수한 후의 제 2 유지 부재(27)는 1쌍의 클로부(27a, 27a)를 열린 상태로 유지해서 대기한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 상태의 제 3 유지 부재(28)가 스트로크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들어 올려서 인출 경로(R2)의 하류측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제 3 유지 부재(28)가 스트로크 상단에 도달하면 이동이 정지하고,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상부가 인출구(13)에 면한 상태가 된다. 즉,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상부가 인출 경로(R2)의 종단에 도달한다. 인출구(13)의 밖(절단실(3)의 밖)에는,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복수의 소부위로 절단하기 위한 작업자가 대기하고 있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클로부(27a, 27a)를 열린 상태로서 대기하고 있었던 제 2 유지 부재(27)가, 다시 1쌍의 클로부(27a, 27a)를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시키고, 제 2 유지 부재(27)가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다시 제 2 유지 부재(27)와 제 3 유지 부재(28)의 쌍방이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유지 부재(28)가 1쌍의 클로부(28a, 28a)를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시키고, 제 3 유지 부재(28)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를 해제한다. 이것에 따라, 제 3 유지 부재(28)로부터 제 2 유지 부재(27)에 인출 대상 불요부(4y)가 수수된다.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수수한 후의 제 3 유지 부재(28)는 1쌍의 클로부(28a, 28a)를 열린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유지 부재(28)가, 1쌍의 클로부(28a, 28a)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트로크 상단으로부터 스트로크 하단까지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로크 하단에 도달한 제 3 유지 부재(28)가 다시 1쌍의 클로부(28a, 28a)를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이행시키고, 제 3 유지 부재(28)가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다시 제 2 유지 부재(27)와 제 3 유지 부재(28)의 쌍방에 의해 인출 대상 불요부(4y)가 유지된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구(13)의 밖에서 대기하고 있었던 작업자가, 인출구(13)를 통해서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상부를 절단함과 아울러, 절단 후의 상부를 채취 대상부(4ya)로서 채취한다. 이 상부의 절단은 예를 들면,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폭방향(X방향)을 따라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함과 아울러,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브레이킹해서 절단함으로써 행한다. 절단 후의 채취 대상부(4ya)는, 작업자가 인출구(13)를 통해서 절단실(3)의 밖으로 인출한다.
그 후,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1쌍의 클로부(27a, 27a)를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시키고, 제 2 유지 부재(27)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제 3 유지 부재(28)를 스트로크 하단으로부터 스트로크 상단까지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따라, 다시 제 3 유지 부재(28)가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들어 올리고, 그 상부가 인출구(13)에 면한 상태가 된다. 이후에 대해서는, 상술의 동작을 제 2 유지 부재(27)와 제 3 유지 부재(28)와 작업자가 반복함으로써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상부를 반복해서 채취 대상부(4ya)로서 잘라 내어 간다. 이것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전체를 복수의 소부위(복수의 채취 대상부(4ya))로 분할한 후에 인출구(13)로부터 인출한다. 이상에 의해 인출 공정이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의 절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은 인출 공정과 병행되어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출 공정에 있어서,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제 2 유지 부재(27)에 수수한 후의 제 1 유지 부재(8)는 다시 폐기 대상 불요부(4x)의 유지 및 유지의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수 후에 제 2 유지 부재(27)와 제 3 유지 부재(28)와 작업자로 인출 공정에 있어서의 나머지의 작업을 계속하면서, 이것과 병행되어서 제 1 유지 부재(8)를 이용해서 새로운 유리판(4)을 대상으로 하는 절단 공정 및 폐기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출 공정의 도중의 단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인출 대상 불요부(4y)에 파열이 발생한 바와 같은 경우, 또는 파열이 발견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제 2 유지 부재(27) 및 제 3 유지 부재(28)의 쌍방에 대해서,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의 해제를 행하고, 인출 대상 불요부(4y)를 낙하시켜도 된다. 즉, 인출 공정을 중지해도 상관없다. 이 때, 인출 경로(R2)가 폐기구(12) 상에 위치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낙하한 인출 대상 불요부(4y)는 폐기구(12)를 통해서 폐기실(2)에 배출되어서 폐기된다.
이하, 제조 장치(1) 및 본 제조 방법에 의한 주된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조 장치(1) 및 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절단 전후에서 불요부(4a)를 유지하는 제 1 유지 부재(8)가, 그대로 절단 후의 불요부(4a)를 폐기 대상 불요부(4x)로서 폐기구(12)를 향해서 낙하시키고, 이것에 따라 폐기 대상 불요부(4x)가 절단실(3) 외부로 배출되어서 폐기된다. 그 결과, 폐기 대상 불요부(4x)를 효율적으로 폐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이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상부를 절단해서 분리시키고 있지만, 공지의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상부의 절단을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를 위해, 제 2 유지 부재(27)(제 3 유지 부재28)가 1쌍의 클로부(27a, 27a(28a,28a))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유지 부재(27)(제 3 유지 부재(28))가 인출 대상 불요부(4y)의 유지를 위해, 흡착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중에 유리판(4)의 선두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와, 최후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의 각각에 대해서, 제 1 유지 부재(8)의 유지의 해제에 따라 낙하하는 불요부(4a)를 받아 들이는 폐기구(12)를 설치하지만, 선두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와 최후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 중 어느 일방만을 낙하에 따라 폐기구(12)로 수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중에 유리판(4)의 선두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와, 최후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의 각각에 대해서, 인출 기구(7)를 설치하지만, 선두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와 최후부가 되는 측의 불요부(4a) 중 어느 일방만을 인출 기구(7)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유리판의 제조 장치
3 절단실
4 유리판
4a 불요부
4x 폐기 대상 불요부
4y 인출 대상 불요부
4ya 채취 대상부
6 절단 기구
7 인출 기구
8 제 1 유지 부재
12 폐기구
13 인출구
18 안내 부재
26 흡착부
27 제 2 유지 부재
28 제 3 유지 부재
B 이송 경로
G 흡착 파괴 가스
P1 수취 위치(폐기 위치)
P2 퇴피 위치
R1 반송 경로
R2 인출 경로

Claims (8)

  1. 절단실과, 상기 절단실 내에서 세로 자세의 유리판으로부터 불요부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는 절단 기구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로서,
    절단 전후에서 상기 불요부의 유지가 가능한 제 1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실이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를 실외로 배출해서 폐기하기 위한 폐기구를 갖고,
    상기 폐기구는 상기 제 1 유지 부재의 유지의 해제에 따라 낙하하는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낙하 중의 상기 불요부를 상기 폐기구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폐기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 부재가 절단 전후에서 상기 불요부의 흡착 유지가 가능한 흡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흡착 유지의 해제 시에 상기 흡착부로부터 분사되는 진공파괴 가스의 분사 방향의 하류측에 적어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를 상기 제 1 유지 부재로부터 수취하여 상기 절단실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기구가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의 유지 및 유지의 해제가 가능한 제 2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유지 부재가 상기 제 1 유지 부재로부터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를 수취하는 수취 위치와, 상기 제 1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불요부의 이송 경로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실이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를 실외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갖고,
    상기 인출구가 상기 절단실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 경로의 종단에 배치되고,
    상기 인출 기구가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의 유지 및 유지의 해제가 가능한 제 3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유지 부재와 상기 제 3 유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인출 경로를 따라 상하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위치 및 상기 인출 경로가 상기 폐기구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8. 절단실 내에서 세로 자세의 유리판으로부터 불요부를 절단해서 분리시키는 절단 공정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절단실이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를 실외로 배출해서 폐기하기 위한 폐기구를 갖고,
    절단 전후에서 상기 불요부의 유지가 가능한 제 1 유지 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 1 유지 부재에 의한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의 유지를 해제함에 따라서, 절단 후의 상기 불요부를 상기 폐기구를 향해서 낙하시키는 폐기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KR1020217025597A 2019-04-22 2020-04-01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20002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81029 2019-04-22
JP2019081029A JP7276654B2 (ja) 2019-04-22 2019-04-22 ガラス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PCT/JP2020/015090 WO2020217910A1 (ja) 2019-04-22 2020-04-01 ガラス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247A true KR20220002247A (ko) 2022-01-06

Family

ID=7293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597A KR20220002247A (ko) 2019-04-22 2020-04-01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76654B2 (ko)
KR (1) KR20220002247A (ko)
CN (1) CN113396131B (ko)
WO (1) WO2020217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75174A (ja) * 2020-11-06 2022-05-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22097132A (ja) * 2020-12-18 2022-06-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割断装置
JP2022174493A (ja) * 2021-05-11 2022-11-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2022174492A (ja) * 2021-05-11 2022-11-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6407A (ja) 2016-05-18 2017-11-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ガラス板の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032A (ja) * 1998-06-09 1999-12-21 Futaba Corp 基板切断装置
JP4621996B2 (ja) * 2007-04-24 2011-02-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設備
JP2009096087A (ja) * 2007-10-17 2009-05-07 Tokyo Seimitsu Co Ltd ダイシング装置
JP2011144093A (ja) * 2010-01-18 2011-07-2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6738557B2 (ja) * 2016-06-20 2020-08-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6798289B2 (ja) * 2016-12-02 2020-12-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
JP6891561B2 (ja) * 2017-03-16 2021-06-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6407A (ja) 2016-05-18 2017-11-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ガラス板の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7910A1 (ja) 2020-10-29
CN113396131A (zh) 2021-09-14
JP7276654B2 (ja) 2023-05-18
CN113396131B (zh) 2023-09-26
JP2020176038A (ja)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2247A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US9156179B2 (en) Separating processed sheet products
KR100931551B1 (ko) 웨이퍼 디마운트 방법, 웨이퍼 디마운트 장치 및 웨이퍼디마운트 이송기
US9352917B2 (en) Method for removing a substantially planar work piece from the top of a stack of work pieces
CN107810088B (zh) 具有工件承放件的机床和用于机床的工件承放件的装载和卸载的方法
CN109071309B (zh) 板玻璃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CN110402241B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JP5133558B2 (ja) 管材の切断方法
JP5583478B2 (ja) パネルの折割装置
JP2015012180A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WO2021070588A1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12213855A (ja) 管材の切断方法
KR101479766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플라즈마 세정장치
KR20170064756A (ko) 매거진 이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다이 본딩 장치
JP6588513B2 (ja) ワーク取り出し装置
JP2022156757A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07000911A (ja) 板材搬入出システム及び板材搬入システム
CN109160300A (zh) 一种双层烟箱的侧式翻箱方法及翻箱系统
KR101290139B1 (ko) 웨이퍼의 분리방법 및 분리장치
KR101585784B1 (ko)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
CN209793936U (zh) 一种芯片裁切装置
CZ283297B6 (cs) Zařízení ke zhotovování vybrání, zvláště úchytných kapes v porobetonových tvárnicích
WO2017113410A1 (zh) Usb金属外壳的冲切侧槽的装置及方法
JP2022088140A (ja) 搬送システム
CN111360934A (zh) 一种芯片裁切装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