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784B1 -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5784B1 KR101585784B1 KR1020140107537A KR20140107537A KR101585784B1 KR 101585784 B1 KR101585784 B1 KR 101585784B1 KR 1020140107537 A KR1020140107537 A KR 1020140107537A KR 20140107537 A KR20140107537 A KR 20140107537A KR 101585784 B1 KR101585784 B1 KR 101585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d frame
- downstream side
- pitch
- cutting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브레이킹 장비는 장비본체에 설치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패키지화된 리드프레임이 이송하기 위한 2개의 레일; 상기 2개의 레일의 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프레임을 로딩하는 로딩장치; 상기 2개의 레일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사각형으로 4개의 제1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타격부재가 상기 리드프레임의 테두리를 타격해 상기 테두리를 절단하여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생성하는 제1커터; 상기 2개의 레일 후류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레일로부터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공급받아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후류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2타격부재가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길이방향을 따라 한줄씩 타격해 절단하여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생성하는 제2커터; 상기 지지대의 후류측에 직각되게 설치되고, 복수의 제1레일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2커터에 의해 생성된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 복수개가 상기 복수의 제1레일홈에 삽입된 상태로 후류측으로 이송되게 하는 라인커팅 이송레일; 상기 라인커팅 이송레일의 후류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3타격부재가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 복수개를 한꺼번에 절단하여 복수의 개별패키지를 생성하는 제3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릭스 형태로 된 반도체 패키지들을 절단하여 개별패키지로 분리하기 위한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는 리드프레임상에 LED부품, IC칩과 같은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제조된다(참고로, 본 출원인은 전자부품이 실장된 리드프레임상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장치에 대해서 등록특허 10-0960830호에서 개시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는 리드프레임상에 전자부품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 형태로 패키징되며, 상기 리드프레임을 절단하여 매트릭스형태로 패키징된 패키지들을 개별패키지로 분리한 후, 분리된 개별패키지를 링테이블에 안착시켜 후 공정으로 보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의 반도체패키지들을 개별패키지로 분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회전하는 원형톱(절삭날)을 이용하여 리드프레임을 절단하는 장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리드프레임에는 각각의 개별패키지를 구획하도록 격자형태로 하프커팅되어 있어, 원형톱이 하부커팅된 격자선을 따라 리드프레임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원형톱을 이용한 리드프레임 절단장비는 절단공정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원형톱이 마모되어 절삭력이 쉽게 저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형톱을 자주 교체해야 주어야 하므로 원형톱 사용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격자형태의 하프커팅된 리드프레임을 용이하게 절단함으로써, 매트릭스 형태의 반도체 패키지를 개별패키지로 분리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품교체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형태의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레이팅 장비는 장비본체에 설치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패키지화된 리드프레임이 이송하기 위한 2개의 레일; 상기 2개의 레일의 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프레임을 로딩하는 로딩장치; 상기 2개의 레일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사각형으로 4개의 제1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타격부재가 상기 리드프레임의 테두리를 타격해 상기 테두리를 절단하여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생성하는 제1커터; 상기 2개의 레일 후류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레일로부터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공급받아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후류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2타격부재가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길이방향을 따라 한줄씩 타격해 절단하여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생성하는 제2커터; 상기 지지대의 후류측에 직각되게 설치되고, 복수의 제1레일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2커터에 의해 생성된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 복수개가 상기 복수의 제1레일홈에 삽입된 상태로 후류측으로 이송되게 하는 라인커팅 이송레일; 상기 라인커팅 이송레일의 후류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3타격부재가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 복수개를 한꺼번에 절단하여 복수의 개별패키지를 생성하는 제3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인커팅 이송레일의 후류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제2레일홈을 구비하여, 상기 개별패키지가 상기 복수의 제2레일홈에 삽입된 상태로 후류측으로 이송되는 파트피더; 상기 파트피더에 후류측에 직각되게 설치되며, 일렬로 연결된 복수의 이송블럭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블럭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이송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개별패키지를 이송시키는 피치이송부; 및, 상기 피치이송부의 후류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럭의 상기 이송홈에 삽입된어 이송된 상기 개별패키지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피커;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웃하는 이송홈의 간격은 1피치이고, 상기 복수의 이송블럭은 함께 소정높이 상승하고, 상기 1피치만큼 전류측으로 이동한 후 하강하여 상기 1피치 만큼 후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송홈에 삽입된 상기 개별패키지를 상기 1피치씩 후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피치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별패키지를 촬상하여 불량품을 검출하여 상기 피치이송부에서 배출해내는 불량품검출/배출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불량품검출/배출유닛은 제1불량품검출/배출유닛 및 제2불량품검출/배출유닛을 구성되며, 상기 제1불량품검출/배출유닛은, 상기 피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상기 개별패키지를 촬상하여 상기 개별패키지에 마킹표시된 불량개별패키지를 검출하는 제1비전카메라; 및, 상기 제1비전카메라의 후류측의 상기 피치이송부에 설치형성되어, 상기 마킹표시된 불량개별패키지를 상기 피치이송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제1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불량품검출/배출유닛은, 상기 제1셔터의 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별패키지를 촬상하여 상기 개별패키지 중 크기적으로 불량인 불량개별패키지를 검출하는 제2비전카메라; 및, 상기 제2비전카메라의 후류측의 상기 피치이송부에 설치형성되어, 상기 크기적으로 불량인 개별패키지를 상기 피치이송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제2셔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로딩장치는 상기 리드프레임 복수개가 끼워진 매거진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놓여진 매거진을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매거진 그립유닛; 및, 상기 매거진 그립유닛이 파지한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상기 리드프레임을 밀어 상기 2개의 레일에 공급하는 제1푸셔;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밀어 상기 라인커팅이송레일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레일홈에 삽입시키는 제2푸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라인커팅이송레일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레일홈에 삽입된 복수의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후류측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푸싱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터는, 상기 2개의 레일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보조타격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보조타격부재가 상기 리드프레임의 단변측 테두리를 타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브레이킹 장비는 기존과 같이 리드프레임을 회전하는 원형톱으로 쏘잉하여 절단하는 구성이 아니라, 격자형으로 하프커팅된 리드프레임을 타격해서 충격에 의해 절단해 내는 방식이므로, 절단작업이 신속하여 개별패키지의 생산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기존과 같이 원형톱을 교체할 필요없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격자형으로 하프커팅된 리드프레임(P)에서 불필요한 테두리를 티격해 절단하여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생성하고, 이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한줄씩 타격해 절단하여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생성하고, 복수개의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한꺼번에 절단하여 낱개의 개별패키지를 생성해주기 때문에, 절단작업속도가 더욱 향상되고, 개별패키지 생성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킹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킹 장비에서 매거진에 끼어진 리드프레임이 푸셔유닛에 의해 매거진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제1커터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1차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개랴적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2커터에 의해 1차커팅된 리드프레임이 2차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개략적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제3커트에 의해 2차커팅된 리드프레임이 3차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개략적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2차커터와 3차커터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절단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3차커팅된 리드프레임 즉, 개별패키지가 피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피치이송부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비전검사용 카메라를 나타내기 위해 도 7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9은 도 1에서 흡착피커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10는 도 1에서 카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킹 장비를 통해 리드프레임의 절단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킹 장비에서 매거진에 끼어진 리드프레임이 푸셔유닛에 의해 매거진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제1커터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1차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개랴적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2커터에 의해 1차커팅된 리드프레임이 2차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개략적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제3커트에 의해 2차커팅된 리드프레임이 3차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개략적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2차커터와 3차커터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절단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3차커팅된 리드프레임 즉, 개별패키지가 피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피치이송부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비전검사용 카메라를 나타내기 위해 도 7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9은 도 1에서 흡착피커를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10는 도 1에서 카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킹 장비를 통해 리드프레임의 절단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레이킹 장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브레이킹 장비는 매트릭스 형태의 반도체 패키지들을 개별패키지로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반도체패키지들은 리드프레임(P)에 복수의 전자부품(E)이 열과 행으로 배열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이 반도체패키지들은 리드프레임(P)을 X축과 Y축으로 열과 행을 따라 절단해 줌으로써, 개별 패키지로 분리해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리드프레임(P)은 각각의 전자부품(E)을 사이에 두고 격자형태로 하프커팅된 선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브레이킹 장비는 로딩장치(100), 레일(210), 제1커터(250), 지지대(310), 제2커터(340), 라인커팅이송레일(410), 제3커터(450), 파트피더(440), 피치이송부(510), 제1불량품검출유닛(520,530), 제2불량품검출유닛(540,550), 흡착피커(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의 모든 구성은 장비본체(10)에 설치된다.
로딩장치(100)는 장비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반도체 패키지화된 리드프레임(P)을 2개 의 레일(210)에 로딩하기 위하는 역할 을 한다. 로딩유닛(100)은 컨베이어유닛(110), 제1푸셔(120), 매거진 그립유닛(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드프레임(P)에는 전 공정에서 전자부품(E)이 실장되고, 이 전자부품(E)에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어 매트릭스형태의 복수의 패키지들이 패키징된 상태이다.
컨베이어유닛(110)은 반도체 패키지화된 리드프레임(P)이 삽입된 매거진(M)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올려진 매거진(M)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컨베이어유닛(110)의 하부에 별도의 컨베이어유닛을 설치하여, 리드프레임(P)의 로딩이 완료되어 빈 매거진(M)을 올려놓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푸셔(120)는 2개의 레일(210) 상에 리드프레임(P)을 공급하도록 레일(21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제1푸셔(120)는 매거진(M)의 슬릿에 끼워진 리드프레임(P)을 밀어 줌으로써, 레일(210) 상에 리드프레임(P)이 로딩된다.
매거진 그립유닛(130)은 컨베이어유닛(110) 상에 놓여진 매거진(M)을 잡아 파지하고, 매거진(M)을 파지한 상태에서 매거진(M)에 형성된 리드플레임(P) 삽입슬릿의 상하간격만큼 매거진(M)을 점차적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딩유닛(100)은 매거진 그립유닛(130)이 매거진(M)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을 이동시키면서, 제1푸셔(120)가 리드프레임(P)을 레일(210)방향으로 밀어 매거진(M)에 끼워진 리드프레임(P)을 순차적으로 레일(210)에 로딩한다.
레일(210)은 2개로 구성되어, 리드프레임(P)을 지지대(31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210)의 상부 일측에는 제1커터(250)가 설치되어, 레일(210) 상에서 정지된 리드프레임(P)에서 불필요한 테두리 부분을 제거해준다.
이때,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2개의 레일(210)의 사이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기는 레일간격조절부(220)가 구비된다. 즉, 2개의 레일(210)은 공압실린더와 같은 실린더로 구성되어, 레일(210)을 측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줌으로써 레일(210)의 사이간격을 좁히거나 넓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210)의 하부에는 레일(210)상의 리드프레임(P)을 올리거나 내리는 승강유닛(230)이 설치된다. 승강유닛(230)은 실린더 방식으로 리드프레임(P)을 승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승강유닛(230)의 상면 상에 리드프레임(P)을 흡착고정하기 위한 진공흡착구(240)가 복수개 마련된다.
제1커터(250)는 레일(210)의 상부일측에 설치되어, 레일(210) 상에 정지된 리드프레임(P, 도 11의 a참조)으로부터 불필요한 테두리를 커팅하여 1차커팅 리드프레임(P1, 도 11의 b참조)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커터(250)는 제1커터본체(251)와, 이 커터본체(251)의 4개의 측면으로부터 하향되게 이동되거나, 하향된 후 원상태로 상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제1타격부재(253,254)로 구성된다. 제1타격부재(253,254)가 커터본체(251)에 대해 상하왕복되는 구조는 공압실린더(또는 공압액츄에이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커터본체(251)는 수평단면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4개의 제1타격부재(253,254) 중 제1커터본체(251)에서 장축을 이루는 양측방에 2개의 장변측 제1타격부재(254)가 설치되고, 제1커버본체(251)에서 단축을 이루는 양측방에 나머지 2개의 단변측 제1타격부재(253)가 설치되어, 4개의 제1타격부재(253,254)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커터본체(251)는 실린더모듈(미도시)과 연결되어,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로딩유닛(100)에 의해 레일(210)상에 로딩된 리드프레임(P)은 레일(210) 상을 일정거리 이동하다가 정지한다. 이후, 레일(210)상에 정지된 리드프레임(P)은 승강유닛(230)에 의해 소정높이 상승되고, 승강유닛(230)의 상면에 형성된 진공흡착구(240)에 의해 진공흡착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승강유닛(230)에 의해 리드프레임(P)이 상승된 상태에서, 레일(210)은 레일간격조절부(220)에 의해 사이간격이 일정길이만큼 벌어지게 된다. 이후, 리드프레임(P)의 상부에 위치한 2개의 단변측 제1타격부재(253)와 2개의 장변측 제1타격부재(254)가 제1커터본체(251)에 대해 하강 이동하면서, 리드프레임(P)의 테두리부분을 타격해 줌으로써, 리드프레임(P, 도 11의 a참조)의 불필요한 테두리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되어 1차커팅 리드프레임(P1, 도 11의 b참조)이 형성된다.
이때, 통상의 리드프레임(P)에는 격자형태로 하프커팅선(h)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타격부재(253,254)가 적은 충격량으로 리드프레임(P)을 테두리부분을 타격하더라도 쉽게 테두리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다만, 리드프레임(P)의 테두리부분 중 2개의 장변보다 2개의 단변의 커팅이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커터(250)는 도 3과 같이 레일(210)의 하부에 설치된 2개의 단변측 보조타격부재(257)를 구비한다. 이 단변측 보조타격부재(257)는 각각의 보조커터본체(256)에 대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단변측 보조타격부재(257)가 보조커터본체(256)에 대해 상하왕복되는 구조는 공압실린더(또는 공압액츄에이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커터(250)가 4개의 제1타격부재(253,254)와 보조타격부재(25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승강유닛(230)에 의해 리드프레임(P)이 상승된 상태에서 2개의 단변측 제1타격부재(253)가 하강하면서 리드프레임(P)의 단변측 테두리부분을 타격하고, 단변측 보조타격부재(257)가 상승하면서 리드프레임(P)의 단변측 테두리부분을 타격한 다음, 다시 단변측 제1타격부재(253)가 하강하면서 리드프레임(P)의 단변측 테두리부분을 타격함으로써, 리드프레임(P)의 단변측 테두리부분이 절단되게 되고, 또한, 2개의 장변측 제1타격부재(254)는 1회 하강하면서 리드프레임(P)의 장변측 테두리부분을 타격함으로써, 리드프레임(P)의 장변측 테두리부분이 절단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리드프레임(P)의 단변측 테두리부분과 장변측 테두리부분이 절단되어 1차커팅리드프레임(P1, 도11의 b참조)이 형성되게 된다.
도 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310)는 레일(210)의 후류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레일(210) 상에서 제1커터(250)에 의해 형성된 1차커팅 리드프레임(P1)을 공급받아 지지된다. 이때, 본 발명의 지지대(310)는 후류측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보조블럭(315)이 형성되어, 이 보조블럭(315)과 지지대(310)의 후류측 사이로 1차커팅 리드프레임(P1)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10)의 일측에는 직각되게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이 설치된다.
제2커터(340)는 지지대(310)의 후류측에 상부에 설치되어 지지대(310)에 놓여진 1차커팅 리드프레임(P1)을 한줄씩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2커터(340)는 제2커터본체(341)와, 이 제2커터본체(341)에 대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원위치로 상승하는 제2타격부재(343)으로 구성된다. 제2타격부재(343)가 제2커터본체(341)에 대해 상하왕복되는 구조는 공압실린더(또는 공압액츄에이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대(310)에 놓여진 1차커팅 리드프레임(P1)을 제2커터(340) 측으로 밀어주는 푸싱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제2커터(340)에 의해, 지지대(310)에 놓여진 1차커팅 리드프레임(P1)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줄씩 절단되어 2차커팅 리드프레임(P2, 도 11의 c참조)이 형성된다.
한편, 제2커터(340)에 의해 한줄씩 절단되어 형성된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은 지지대(310)의 후류측단에 형성된 슬릿홈(313)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슬릿홈(313)에 떨어진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을 밀어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의 레일홈(415)에 삽입시키는 제2푸셔(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은 사각 프레이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홈(415)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이며, 지지대(3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라인커팅이송레일(410)에는 7개의 레일홈(415)이 형성되어, 한번에 7개의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이 이송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은 지지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즉, 도 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이 지지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씩 이동하면서, 제푸셔(320)에 의해 푸시되어 공급되는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이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의 7개의 의 레일홈(415)에 모두 삽입되어지게 된다.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의 후류측에는 파트피더(440)가 연결되며, 이 파트피더(440)와와 연결부분에는 제3커터(450)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의 7개의 레일홈(415)에 삽입된 7개의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을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의 후류측 즉 제3커터(450)를 향해 밀어주는 푸싱이송유닛(420)을 구비한다. 푸싱이송유닛(420)은 7개의 푸시바(425)가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구성되어,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의 7개의 레임홈에 삽입된 7개의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을 한꺼번에 밀어 이송시킨다.
제3커터(450)는 라인커팅이송레일(410)의 후류측의 상부 즉, 라인커팅이송레일(410)과 파트피더(440)의 연결부분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라인커팅이송레일(410)에 놓여진 7줄의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을 한꺼번에 절단하여 복수의 3차커팅 리드프레임(P3) 즉 한번의 절단에 의해 7개의 개별패키지(P3, 도 11의 d참조)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3커터(450)는 제3커터본체(451)와, 이 제3커터본체(451)에 대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원위치로 상승하는 제3타격부재(453)으로 구성된다. 제3타격부재(453)가 제3커터본체(451)에 대해 상하왕복되는 구조는 공압실린더(또는 공압액츄에이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파트피더(440)는 사각 플레이트에 7개의 레일홈(445)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예의 파트피더(440)는 진동방식에 의해 7개의 레일홈(445)에 놓여진 개별패키지(P3)를 파트피더(440)의 후류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다. 이러한 진동방식에 의해 파트피더(440)는 공압실린더에 의한 이송방식과 더불어 공지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피치이송부(510)는 파트피더(440)의 후류측단에 직각되게 형성되어, 파트피더(440)로부터 배출되는 개별패키지(P3)를 흡착피커(600)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피치이송부(510)는 파트피더(440)에 직각되게 형성된 지지레일(512)과 상기 지지레일(512)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일(512) 상에서 상승-후퇴-하강-전진을 반복하면서, 지지레일(512) 상의 개별패키지(P3)를 지지레일(512)의 후류측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블럭(513)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이송블럭(513)은 구체적으로, 지지레일(512)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되며, 각각의 이송블럭(513)에는 복수개의 이송홈(515)이 형성된다.
이때, 인접한 2개의 이송홈(515)의 간격을 1피치(Pitch)가 되어, 복수의 이송블럭(513)은 소정높이 상승하고, 1피치만큼 도 6의 좌측방향 즉 전류측으로 이동하고, 하강한 후, 1피치만큼 도 7의 우측방향 즉, 후류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에 복귀함으로써, 이송홈(515)에 삽입된 개별패키지(P3)들을 1피치씩 후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제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불량품검출/배출유닛(520,530)은 피치이송부(5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비전카메라(520)와, 제1비전카메라(520)의 후류측 지지레일(512) 상에 설치되는 제1셔터(530)를 포함한다.
제1비전카메라(520)는 피치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개별패키지(P3)를 촬상하여 개별패키지(P3)에 기 표시된 마킹을 검출한다. 여기서, 개별패키지(P3)에 표시된 마킹은 전공정에서 불량품에 대해 표시된다.
제1셔터(530)는 제1비전카메라(520)를 통해 기 마킹표시된 불량 개별패키지(P3)를 지지레일(512)에서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비전카메라(520)에 대해 지지레일(512)을 따라 후류측에 설치되며, 공압실린더와 같은 구동부(531)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제1셔터(530)는 후퇴시 지지레일(512) 상에 놓여진 하나의 개별패키지(P3)가 빠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지레일(512)에 구멍이 형성되게 하고, 전진시 지지레일(512)과 연결되는 평평한 면을 형성하여 개별패키지(P3)가 지지레일(512) 상에서 이송될 있게 한다.
제2불량품검출/배출유닛(540,550)은 피치이송부(5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셔터(530)보다 후류측에 설치되는 제2비전카메라(540)와, 제1비전카메라(540)의 후류측 지지레일(512) 상에 설치되는 제2셔터(550)를 포함한다.
제2비전카메라(540)는 피치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개별패키지(P3)를 촬상하여 개별패키지(P3)의 크기를 검출한다. 여기서, 개별패키지(P3)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크면 불량품으로 간주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비전카메라(540)는 지지레일(512)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2비전카메라(540)를 통해 지지레일(512)의 상부에 놓여진 개별패키지(P3)를 촬상하기 위해, 지지레일(512)의 일부는 투명창(512a)으로 구성되어, 이 투명창(512a)을 통해 촬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셔터(550)는 제2비전카메라(540)를 통해 크기불량인 불량 개별패키지(P3)를 지지레일(512)에서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비전카메라(540)에 대해 지지레일(512)을 따라 후류측에 설치되며, 공압실린더와 같은 구동부(551)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2셔터(550)의 불량 개별패키지(P3) 배출원리는 제1셔터(53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피치이송부(510)에 의해 개별패키티(P3)가 흡착피커(600)쪽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1비전카메라(520)를 통해 마킹된 불량개별패키지(P3)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불량 개별패키지(P3)가 제1셔터(530)에 의해 배출되게 하며, 제2비전카메라(540)를 통해 크기적으로 불량한 불량개별패키지(P3)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불량 개별패키지(P3)를 제2셔터(550)에 의해 배출하게 함으로써, 불량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흡착피커(600)는 직공흡착에 의해 개별패키지(P)를 흡착고정하여, 링테이블(RT)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흡착피커(600)는 피치이동부(510)의 후류측 상부에 설치된다. 흡착피커(600)의 하단에는 7개의 흡착노즐(610)이 형성되어 이송블럭(513)의 이송홈(515) 내에 있는 개별패키지(P3)를 흡착할 수 있으며, 이 흡착피커(600)는 공압실린더(공압액츄에이터) 등으로 구성된 이송수단을 통해, 링테이블(RT) 측으로 이동하여, 링테이블(RT) 상면에 개별패키지(P3)를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상에 도시된 카세트(C)는 도 10과 같이 개별패키지(P3)가 부착되지 않은 복수의 링테이블(RT)이 슬릿에 꽂혀 있는 형태로서, 도 1의 링테이블(RT)에 개별패키지(P3)가 부착되는 것이 완료되면, 개별패키지(P3)가 부착된 링테이블(RT)은 후공정으로 이송하고, 카세트(C)에서 링테이블(RT)을 인출하여 개별패키지(P3)를 부착할 수 있다. 아울러, 카세트(C)는 엘리베이터유닛(L)상에 설치되어, 장비본체(1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브레이킹 장비는 리드프레임(P)을 회전하는 원형톱으로 쏘잉하여 절단하는 구성이 아니라, 격자형으로 하프커팅된 리드프레임(P)을 타격해서 충격에 의해 절단해 내는 방식이므로, 절단작업이 신속하여 개별패키지의 생산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기존과 같이 원형톱을 교체할 필요없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격자형으로 하프커팅된 리드프레임(P)에서 불필요한 테두리를 타격해 절단하여 1차커팅 리드프레임(P1)을 생성하고, 이 1차커팅 리드프레임(P1)을 길이방향으로 한줄씩 타격해 절단하여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을 생성하고, 복수개의 2차커팅 리드프레임(P2)을 한꺼번에 절단하여 낱개의 개별패키지(P3)를 생성해주기 때문에, 절단작업속도가 더욱 향상되고, 개별패키지 생성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도 7의 미설명부호 525 및 545는 조명수단으로서 링형태로 형성되어, 제1비전카메라(520) 및 제2비전카메라(520)가 밝은 조도에서 명확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단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장비본체
100...로딩장치
210...레일
250...제1커터
310...지지대
340...제2커터
410...라인커팅이송레일
450...제3커터
440...파트피더
510...피치이송부
520...제1비전카메라
530...제1셔터
540...제2비전카메라
550...제2셔터
600...흡착피커
100...로딩장치
210...레일
250...제1커터
310...지지대
340...제2커터
410...라인커팅이송레일
450...제3커터
440...파트피더
510...피치이송부
520...제1비전카메라
530...제1셔터
540...제2비전카메라
550...제2셔터
600...흡착피커
Claims (9)
- 장비본체에 설치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패키지화된 리드프레임이 이송하기 위한 2개의 레일;
상기 2개의 레일의 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프레임을 로딩하는 로딩장치;
상기 2개의 레일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사각형으로 4개의 제1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타격부재가 상기 리드프레임의 테두리를 타격해 상기 테두리를 절단하여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생성하는 제1커터;
상기 2개의 레일 후류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레일로부터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공급받아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후류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2타격부재가 상기 1차커팅 리드프레임을 길이방향을 따라 한줄씩 타격해 절단하여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생성하는 제2커터;
상기 지지대의 후류측에 직각되게 설치되고, 복수의 제1레일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2커터에 의해 생성된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 복수개가 상기 복수의 제1레일홈에 삽입된 상태로 후류측으로 이송되게 하는 라인커팅 이송레일;
상기 라인커팅 이송레일의 후류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3타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3타격부재가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 복수개를 한꺼번에 절단하여 복수의 개별패키지를 생성하는 제3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커팅 이송레일의 후류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제2레일홈을 구비하여, 상기 개별패키지가 상기 복수의 제2레일홈에 삽입된 상태로 후류측으로 이송되는 파트피더;
상기 파트피더에 후류측에 직각되게 설치되며, 일렬로 연결된 복수의 이송블럭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블럭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이송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개별패키지를 이송시키는 피치이송부; 및,
상기 피치이송부의 후류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럭의 상기 이송홈에 삽입되어 이송된 상기 개별패키지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송홈 중 이웃하는 두 이송홈의 간격은 1피치이고, 상기 복수의 이송블럭은 함께 소정높이 상승하고, 상기 1피치만큼 전류측으로 이동한 후 하강하여 상기 1피치 만큼 후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송홈에 삽입된 상기 개별패키지를 상기 1피치씩 후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별패키지를 촬상하여 불량품을 검출하여 상기 피치이송부에서 배출해내는 불량품검출/배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품검출/배출유닛은
제1불량품검출/배출유닛 및 제2불량품검출/배출유닛을 구성되며,
상기 제1불량품검출/배출유닛은,
상기 피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상기 개별패키지를 촬상하여 상기 개별패키지에 마킹표시된 불량개별패키지를 검출하는 제1비전카메라; 및,
상기 제1비전카메라의 후류측의 상기 피치이송부에 설치형성되어, 상기 마킹표시된 불량개별패키지를 상기 피치이송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제1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불량품검출/배출유닛은,
상기 제1셔터의 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별패키지를 촬상하여 상기 개별패키지 중 크기적으로 불량인 불량개별패키지를 검출하는 제2비전카메라; 및,
상기 제2비전카메라의 후류측의 상기 피치이송부에 설치형성되어, 상기 크기적으로 불량인 개별패키지를 상기 피치이송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제2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는
상기 리드프레임 복수개가 끼워진 매거진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놓여진 매거진을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매거진 그립유닛; 및,
상기 매거진 그립유닛이 파지한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상기 리드프레임을 밀어 상기 2개의 레일에 공급하는 제1푸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후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밀어 상기 라인커팅이송레일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레일홈에 삽입시키는 제2푸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라인커팅이송레일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레일홈에 삽입된 복수의 상기 2차커팅 리드프레임을 후류측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푸싱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는, 상기 2개의 레일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보조타격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보조타격부재가 상기 리드프레임의 단변측 테두리를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킹 장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7537A KR101585784B1 (ko) | 2014-08-19 | 2014-08-19 |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7537A KR101585784B1 (ko) | 2014-08-19 | 2014-08-19 |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5784B1 true KR101585784B1 (ko) | 2016-01-22 |
Family
ID=5530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7537A KR101585784B1 (ko) | 2014-08-19 | 2014-08-19 |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5784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6163A (ja) * | 1994-01-24 | 1995-08-08 | Sony Corp | リードフレームの搬送装置 |
JP2001135655A (ja) * | 1999-11-05 | 2001-05-18 | Nec Corp | リードフレーム供給機構 |
KR20020079653A (ko) * | 2002-09-02 | 2002-10-19 | 주식회사 한미 |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 시스템 |
KR20040035447A (ko) * | 2002-10-22 | 2004-04-29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반도체패키지 적재장치 |
KR20050096351A (ko) | 2004-03-30 | 2005-10-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제조공정의 소잉장치 |
KR20060063318A (ko) | 2004-12-07 | 2006-06-12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용 절단 및 핸들러시스템 |
KR20130063402A (ko) | 2011-12-06 | 2013-06-14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반도체 제조 장치 |
-
2014
- 2014-08-19 KR KR1020140107537A patent/KR1015857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6163A (ja) * | 1994-01-24 | 1995-08-08 | Sony Corp | リードフレームの搬送装置 |
JP2001135655A (ja) * | 1999-11-05 | 2001-05-18 | Nec Corp | リードフレーム供給機構 |
KR20020079653A (ko) * | 2002-09-02 | 2002-10-19 | 주식회사 한미 |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 시스템 |
KR20040035447A (ko) * | 2002-10-22 | 2004-04-29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반도체패키지 적재장치 |
KR20050096351A (ko) | 2004-03-30 | 2005-10-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제조공정의 소잉장치 |
KR20060063318A (ko) | 2004-12-07 | 2006-06-12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용 절단 및 핸들러시스템 |
KR20130063402A (ko) | 2011-12-06 | 2013-06-14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반도체 제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9815B1 (ko) | 다이 본더 및 본딩 방법 | |
CN108367450B (zh) | 工件输送系统以及工件输送方法 | |
JP5687037B2 (ja) | 発光素子検査装置 | |
US20190023503A1 (en) | Part feeding apparatus and part feeding method | |
US9550307B2 (en) | Discharging workpieces | |
JP6189428B2 (ja) | 積み重ねられた被加工物の一番上から略平らな被加工物を取り出す方法及び装置 | |
CN102205912B (zh) | 一种太阳能电池片的搬运装置 | |
KR101585784B1 (ko) | 반도체 패키지 브레이킹 장비 | |
KR20150005269A (ko) | 반도체 자재 절단 적재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자재 절단 적재방법 | |
CN208932585U (zh) | 一种隔纸分离防呆装置 | |
KR102401362B1 (ko) | 다이 본딩 장치 | |
KR20130097034A (ko) | 다이 소터 | |
CN116793413A (zh) | 一种类矩形硅片的检测方法 | |
KR20020079653A (ko) |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 시스템 | |
KR101189175B1 (ko) | 엘이디소자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소자 검사장치 | |
CN105460539A (zh) | 太阳能光伏组件生产线中的玻璃移载装置 | |
KR20020079652A (ko) | 반도체 패키지 이송장치 | |
JPH06271028A (ja) | 電子部品の移送機構および前記移送機構を用いた電子部品用検査機 | |
KR101422405B1 (ko) | 발광 소자 타발 장치 | |
JP2020075381A (ja) | ブレイク装置 | |
KR102699744B1 (ko) | 반도체 스트립 이송 유닛 | |
KR20110050027A (ko) | 반도체 다이의 픽업 장치 | |
KR102572327B1 (ko) | 세라믹기판의 자동분할시스템 | |
KR101446274B1 (ko) |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치용 가이드슈트 | |
CN109515809B (zh) | 一种自动上料的镭雕包装生产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