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246A -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246A
KR20210155246A KR1020200072524A KR20200072524A KR20210155246A KR 20210155246 A KR20210155246 A KR 20210155246A KR 1020200072524 A KR1020200072524 A KR 1020200072524A KR 20200072524 A KR20200072524 A KR 20200072524A KR 20210155246 A KR20210155246 A KR 20210155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ase
battery
battery modu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341B1 (ko
Inventor
김기현
기원용
최욱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341B1/ko
Priority to US17/126,184 priority patent/US11661020B2/en
Priority to DE102020134507.0A priority patent/DE102020134507A1/de
Priority to CN202011561393.5A priority patent/CN113809467B/zh
Publication of KR2021015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60K2001/0472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from be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차량용 배터리를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고정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관통 파이프;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이루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을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관통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관통 파이프 및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VEHICLE BATTERY MOUNT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차량용 배터리를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엔진을 시동시키거나 차량의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도록 전기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원을 필요로 한다.
차량용 배터리는 엔진 시동 시, 또는 차량의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도록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기 공급원으로서, 통상적으로 엔진룸 또는 차체의 바닥 프레임 하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배터리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측면과 중간에 고정홀을 두고, 별도의 체결부를 통하여 차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체결부의 구조는 케이스 상부 및 하부에 볼트 홀이 있고 상기 볼트 홀 사이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즉, 종래에는 별도의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거나, 케이스 내부에 고정된 별도의 부재를 상부와 채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종래의 배터리 마운트 구조는 배터리 팩 내부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팩 내부의 공간 부족 시, 에너지 밀도가 떨어져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고, 배터리 모듈 상부 공간에 마운트 부품이 적용될 경우, 배터리 모듈의 높이가 높아져 차체 공간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부재를 적용할 경우 상기 부재와 하부 케이스 간에 체결을 위한 체결부에 별도 부품이 요구되는 바, 하드웨서 3종 이상, 별도 브라켓 3종 이상의 추가 부품이 필요하다.
반면, 상기한 문제로 인해 별도 부재 없이 볼트만 체결하는 구조는 케이스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연결성이 부족하여 배터리 모듈 고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의 상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부품 수를 줄이며, 차체에 고정되는 배터리 모듈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는, 차체에 고정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관통 파이프;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이루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을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관통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관통 파이프 및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시스템으로 공급할 전원을 저장하는 다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터리 셀이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걸쳐지는 하부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홀을 관통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걸쳐지는 상부 조립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관통 파이프 및 상기 하부 지지부재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 파이프는, 상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접하고, 상기 상부 조립볼트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1 관통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볼트가 관통되는 제2 관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조립볼트의 내경과 상기 제2 관통부의 내경은 상호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관통부의 내경은 상기 제2 관통부의 내경 보다 크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상면에 상기 제2 관통부의 하면이 접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걸쳐지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조립볼트는, 하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걸쳐지는 제2 플랜지부; 및 외주면은 상기 제1 관통부와 상호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내주면은 상기 관통볼트가 관통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볼트는, 상면이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바닥부에 걸쳐지는 제3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는 관통 파이프 및 하부 지지부재와 배터리 모듈의 하부 케이스는 서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관통 파이프와 하부 지지부재 및 하부 케이스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배터리 모듈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고, 부품 및 조립공수가 줄어들어 배터리 모듈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 조립볼트의 외부로 돌출된 관통볼트의 나사부 단부가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어 제3 플랜지가 하부 케이스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에 지지하고, 나사부의 단부가 차량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모듈을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배터리 모듈을 차체에 고정함에 있어 배터리 모듈을 관통하여 차체 바닥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조립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는 배터리 모듈(100)과, 관통 파이프(200)와, 고정부재(300) 및 관통볼트(400)를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100)은 차체, 구체적으로 차체의 바닥 프레임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배터리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100)은 배터리 셀(110)과, 하부 케이스(120) 및 상부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110)은 배터리 시스템으로 공급할 전원을 저장한다.
그리고, 배터리 셀(110)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파우치형(POUCHED TYPE)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우치형 배터리 셀(110)은 유연성을 갖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를 외장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쉽게 휘어짐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파우치형의 배터리 셀(110)은 그 형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 다수의 배터리 셀(110)을 구성해야 하는 차량용 배터리 모듈(100)에 주로 사용된다.
하부 케이스(120)는 배터리 모듈(100)의 하부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에 배터리 셀(110)이 안착되고, 차체에 접하여 차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배터리 셀(110)이 8개가 상호 거리를 두고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터리 셀(110)의 개수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8개 이상, 또는 8개 이하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20)에는 8개의 배터리 셀(110) 사이 영역에 하부 지지부재(310)가 관통되는 제1 고정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30)는 배터리 모듈(100)의 상부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배터리 셀(110)이 안착된 하부 케이스(120)의 상부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30)는 차체의 바닥 프레임 하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30)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에 형성된 제1 고정홀(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 조립볼트(320)가 관통되는 제2 고정홀(131)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통 파이프(20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부 케이스(13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관통 파이프(200)는 일부는 상호 거리를 두고 이격된 다수개의 배터리 셀(11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관통 파이프(200)의 나머지 일부는 배터리 모듈(100)의 측면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관통 파이프(200)는 제1 관통부(210)와 제2 관통부(220)를 포함한다.
제1 관통부(2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상부 케이스(130)의 하면에 접한다.
그리고, 제1 관통부(210)에는 상부 조립볼트(320)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관통부(210)의 내주면에는 상부 조립볼트(320)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관통부(22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관통부(2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즉, 제2 관통부(220)는 제1 관통부(2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관통부(220)는 상기 관통볼트(400)가 관통되고, 관통볼트(400)의 관통방향을 가이드 한다.
한편, 제1 관통부(210)의 내경은 제2 관통부(220)의 내경보다 크다.
제1 관통부(210)와 제2 관통부(220) 사이에는 관통 파이프(200)의 중심방향으로 단턱(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관통부(210)에 삽입되는 상부 조립볼트(320)가 제1 관통부(210)에 과도하게 삽입되면 상부 조립볼트(320)의 하단이 단턱(211)에 접하게 된다.
즉, 단턱(211)은 제1 관통부(210)에 삽입되는 상부 조립볼트(320)가 하방향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배터리 모듈(100)의 하부 케이스(120) 및 상부 케이스(13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하부 지지부재(310) 및 상부 조립볼트(320)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부재(310)는 배터리 모듈(100)의 하면에 걸쳐지는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하부 지지부재(310)는 관통볼트(400)가 상부 조립볼트(320)에 의해 조여질 때, 하부 케이스(120)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이루는 관통 파이프(200) 및 하부 지지부재(310)와 배터리 모듈(100)의 하부 케이스(120)는 서로 용접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관통 파이프(200) 및 하부 지지부재(310)와 배터리 모듈(100)의 하부 케이스(120)는 서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관통 파이프(200)와 하부 지지부재(310) 및 하부 케이스(120)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배터리 모듈(100)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고, 부품 및 조립공수가 줄어들어 배터리 모듈(100)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재(310)는 바닥부(311)와 수직부(312) 및 제1 플랜지부(313)를 포함한다.
바닥부(311)는 상면에 제2 관통부(220)의 하면이 접하는 것으로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닥부(311)는 하부 케이스(120)의 제1 고정홀(121)을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120)의 내부에 위치한다.
바닥부(311)의 중심에는 관통볼트(400)가 관통하는 관통홀(31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14)은 제2 관통부(220)와 동심원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통홀(314)은 관통볼트(400)가 바닥부(31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한다.
수직부(312)는 바닥부(311)의 둘레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312)의 양단부 중 바닥부(311)의 반대방향 단부는 하부 케이스(120)의 제1 고정홀(121) 외부로 돌출된다.
제1 플랜지부(313)는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수직부(312)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 플랜지부(313)는 배터리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케이스(120)의 하면에 걸쳐진다.
즉, 제1 플랜지부(313)는 배터리 모듈(100)의 하부 방향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플랜지부(313)는 제1 고정홀(121)의 내경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플랜지부(313)는 하부 케이스(120)에서 제1 고정홀(121) 주변에 효과적으로 걸쳐질 수 있다.
상부 조립볼트(320)는 관통 파이프(200), 구체적으로 제1 관통부(210)를 관통하고, 배터리 모듈(100)의 상면에 걸쳐진다.
그리고, 상부 조립볼트(320)는 제1 관통부(210)와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 조립볼트(320)는 관통 파이프(200)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조립볼트(320)는 제1 머리부(321)와 제2 플랜지부(322) 및 결합부(323)를 포함한다.
제1 머리부(321)는 상부 조립볼트(32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13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1 머리부(321)는 결합부(323)를 관통 파이프(200)의 제1 관통부(210)에 체결시킬 때, 별도의 공구가 끼워지는 영역이다.
제2 플랜지부(322)는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1 머리부(321)의 하부 둘레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플랜지부(322)는 배터리 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케이스(130)의 상면에 걸쳐진다.
즉, 제2 플랜지부(322)는 배터리 모듈(100)의 상부 방향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플랜지부(322)는 제2 고정홀(131)의 내경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플랜지부(322)는 상부 케이스(130)에서 제2 고정홀(131) 주변에 효과적으로 걸쳐질 수 있다.
결합부(323)는 외주면이 제1 관통부(210)와 상호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부(323)의 외주면에는 제1 관통부(21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결합부(323)의 외경은 제1 관통부(21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조립볼트(320)의 내경과 제2 관통부(220)의 내경은 상호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통볼트(400)가 하부 지지부재(310)의 관통홀(314)으 관통하여 제2 관통부(220) 및 상부 조립볼트(320)의 내경에 삽입될 때, 관통볼트(400)의 진행 방향을 흔들림 없이 가이드할 수 있다.
관통볼트(400)는 배터리 모듈(100)을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하부 지지부재(310)와 관통 파이프(200) 및 상부 조립볼트(320)를 관통한다.
그리고 관통볼트(400)는 하부 지지부재(310)의 바닥부(311) 하면에 걸쳐진다.
이러한 관통볼트(400)는 제2 머리부(410)와 제3 플랜지부(420) 및 나사부(430)를 포함한다.
제2 머리부(410)는 관통볼트(400)의 하부에 형성되고, 나사부(430)를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체결시킬 때, 별도의 공구가 끼워지는 영역이다.
제3 플랜지부(420)는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2 머리부(410)의 하부 둘레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3 플랜지부(420)는 하부 지지부재(310)의 바닥부(311) 하면에 걸쳐진다.
즉, 제3 플랜지부(420)는 하부 지지부재(310)의 하부 방향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3 플랜지부(420)는 하부 지지부재(310)의 관통홀(314) 내경보 큰 외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3 플랜지부(420)는 하부 지지부재(310)의 바닥부(311)에서 관통홀(314) 주변에 효과적으로 걸쳐질 수 있다.
나사부(4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서, 제3 플랜지부(420)의 상면으로부터 로부터 상부 조립볼트(320)의 결합부(323)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나사부(430)는 하부 지지부재(310)와 관통 파이프(200) 및 상부 조립볼트(320)를 관통한다.
한편, 나사부(430)의 길이는 관통 파이프(200)의 길이 및 상부 케이스(130)로부터 돌출된 제1 머리부(321)의 길이의 합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나사부(430)가 하부 지지부재(310)와 관통 파이프(200) 및 상부 조립볼트(320)를 관통하면 나사부(430)의 단부가 제1 머리부(321)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머리부(321)의 외부로 돌출된 나사부(430)의 단부는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관통볼트(400)는 제3 플랜지가 하부 케이스(120)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310)에 지지하고, 나사부(430)의 단부가 차량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모듈(100)을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관통볼트(400)는 배터리 모듈(100)을 차체에 고정함에 있어 배터리 모듈(100)을 관통하여 차체 바닥 프레임(500)에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모듈(100)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나사부(430)의 외경은 제2 관통부(220)의 내경 및 결합부(323)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나사부(430)가 제2 관통부(220) 및 결합부(323)를 관통할 때, 나사부(430)가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조립순서도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00)을 이루는 상부 케이스(13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 관통 파이프(200)를 배치시킨다.
이때, 관통 파이프(200)의 상면이 상부 케이스(130)의 하면에 접한다.
그리고, 관통 파이프(200)는 평면상 상부 케이스(130)에 형성된 제2 고정홀(131) 및 하부 케이스(120)에 형성된 제1 고정홀(121)과 동심원으로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립볼트(320)가 상부 케이스(130)의 제2 고정홀(131)을 관통하여 제1 관통부(210)의 내주면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부 조립볼트(320) 및 제1 관통부(210)는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부재(310)의 바닥부(311) 상면이 관통 파이프(200)를 이루는 제2 관통부(220)의 하면에 접하도록 하부 지지부재(310)를 배치시킨다.
이때, 하부 지지부재(310)를 이루는 바닥부(311)는 제1 고정홀(121)을 관통하다.
또한, 하부 지지부재(310)를 이루는 제1 플랜지부(313)는 하부 케이스(120)의 하면에 접한다.
따라서, 하부 지지부재(310)는 하부 케이스(1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120)와 하부 지지부재(310) 및 관통 파이프(200)는 서로 용접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부품 및 조립공수가 줄어들어 배터리 모듈(100)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바닥 프레임(500)의 하부에 배터리 모듈(100)과 관통 파이프(200)와 상부 조립볼트(320) 및 하부 지지부재(310)를 배치시킨다.
이때, 상부 조립볼트(320)를 이루는 제1 머리부(321)의 상면이 차체 바닥 프레임(500)의 하면에 접한다.
이어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볼트(400)가 하부 지지부재(310)와 관통 파이프(200) 및 상부 조립볼트(320)를 관통하면서 관통볼트(400)를 이루는 나사부(430)가 상부 조립볼트(320)를 이루는 제1 머리부(321)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1 머리부(321)의 외부로 돌출된 나사부(430)의 단부는 차체 바닥 프레임(500)에 고정된다.
그리고, 관통볼트(400)의 조임에 따라 관통볼트(400)의 제3 플랜지부(420)가 지지하는 바닥부(311)가 상방향으로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1 플랜지부(313)가 하부 케이스(120)를 상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바닥부(311)의 상면에 밀착된 관통 파이프(200)가 상부 케이스(130)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부 케이스(130)가 제2 플랜지부(322)를 상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머리부(321)의 상면이 차체 바닥부 프레임(500)의 하면에 밀착된다.
즉, 관통볼트(400)의 조임에 의해 배터리 모듈(100)을 차체 바닥 프레임(5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관통부(210)의 상면은 상부 케이스(130)의 하면에 접하고, 제2 관통부(220)의 하면은 하부 케이스(120)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310)의 상면에 접한다.
즉, 나사부(430) 및 차체 바닥 프레임(500)의 조임에 의해 상부 케이스(130)과 하부 프레임이 상호 대면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 케이스(120)에 안착된 배터리 셀(110)이 하부 케이스(120) 및 상부 케이스(130)의 과도한 가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배터리 모듈 110: 배터리 셀
120: 하부 케이스 121: 제1 고정홀
130: 상부 케이스 131: 제2 고정홀
200: 관통 파이프 210: 제1 관통부
211: 단턱 220: 제2 관통부
300: 고정부재 310: 하부 지지부재
311: 바닥부 314: 관통홀
312: 수직부 313: 제1 플랜지부
320: 상부 조립볼트 321: 제1 머리부
322: 제2 플랜지부 323: 결합부
400: 관통볼트 410: 제2 머리부
420: 제3 플랜지부 430: 나사부
500: 차체 바닥 프레임

Claims (10)

  1. 차체에 고정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관통 파이프;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이루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을 차체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관통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관통 파이프 및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시스템으로 공급할 전원을 저장하는 다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터리 셀이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걸쳐지는 하부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홀을 관통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걸쳐지는 상부 조립볼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관통 파이프 및 상기 하부 지지부재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파이프는,
    상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접하고, 상기 상부 조립볼트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1 관통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볼트가 관통되는 제2 관통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립볼트의 내경과 상기 제2 관통부의 내경은 상호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부의 내경은 상기 제2 관통부의 내경 보다 큰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상면에 상기 제2 관통부의 하면이 접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걸쳐지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립볼트는,
    하면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걸쳐지는 제2 플랜지부; 및
    외주면은 상기 제1 관통부와 상호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내주면은 상기 관통볼트가 관통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볼트는,
    상면이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바닥부에 걸쳐지는 제3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KR1020200072524A 2020-06-15 2020-06-15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KR10245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24A KR102453341B1 (ko) 2020-06-15 2020-06-15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US17/126,184 US11661020B2 (en) 2020-06-15 2020-12-18 Vehicle battery mount structure
DE102020134507.0A DE102020134507A1 (de) 2020-06-15 2020-12-21 Fahrzeugbatteriebefestigungsstruktur
CN202011561393.5A CN113809467B (zh) 2020-06-15 2020-12-25 车辆电池安装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24A KR102453341B1 (ko) 2020-06-15 2020-06-15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246A true KR20210155246A (ko) 2021-12-22
KR102453341B1 KR102453341B1 (ko) 2022-10-11

Family

ID=7871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524A KR102453341B1 (ko) 2020-06-15 2020-06-15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61020B2 (ko)
KR (1) KR102453341B1 (ko)
CN (1) CN113809467B (ko)
DE (1) DE10202013450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645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케이스용 체결유닛
KR20240003256A (ko) *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 동희산업 배터리케이스용 센터파이프 조립체
WO2024019412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641979B1 (ko) * 2023-03-21 2024-02-29 주식회사 코윈 배터리 팩 케이스용 센터파이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11928A1 (de) 2022-11-10 2024-05-16 Mahle International Gmbh Batteri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37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동희산업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861B1 (ko) * 2000-03-27 2002-07-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US7641017B2 (en) * 2005-06-02 2010-01-05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vehicle
WO2012063393A1 (ja) * 2010-11-10 2012-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構造
US20120161472A1 (en) * 2010-12-22 2012-06-28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KR101209935B1 (ko) 2011-07-11 2012-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팩 고정장치
JP5824997B2 (ja) * 2011-09-14 2015-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5734453B2 (ja) * 2011-11-14 2015-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車載構造
JP5971235B2 (ja) * 2013-12-25 2016-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フレーム及び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5692555B2 (ja) * 2014-02-26 2015-04-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の固定構造
DE102015007960A1 (de) * 2015-06-20 2016-12-22 Audi Ag Batteriegehäus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Abdichten eines Batteriegehäuses für ein Kraftfahrzeug
JP6610412B2 (ja) 2016-04-26 2019-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US10112470B2 (en) * 2017-01-11 2018-10-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ructural enhancements of an electric vehicle
CN110352157B (zh) * 2017-03-10 2022-03-25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的下部车身结构
JP7020804B2 (ja) * 2017-06-19 2022-0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KR102171344B1 (ko) 2017-07-18 2020-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419954B1 (ko) 2017-10-20 2022-07-12 가부시키가이샤 페로텍 머티리얼 테크놀로지즈 세라믹스, 프로브 안내 부품, 프로브 카드 및 패키지 검사용 소켓
KR102440612B1 (ko) * 2017-12-15 2022-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측방 차체 보강구조
JP7047479B2 (ja) * 2018-03-09 2022-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6667563B2 (ja) * 2018-03-19 2020-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37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동희산업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645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케이스용 체결유닛
KR20240003256A (ko) *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 동희산업 배터리케이스용 센터파이프 조립체
WO2024019412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641979B1 (ko) * 2023-03-21 2024-02-29 주식회사 코윈 배터리 팩 케이스용 센터파이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09467A (zh) 2021-12-17
CN113809467B (zh) 2023-10-24
US20210387583A1 (en) 2021-12-16
DE102020134507A1 (de) 2021-12-16
US11661020B2 (en) 2023-05-30
KR102453341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341B1 (ko)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US10797280B2 (en) Battery module
US11038236B2 (en) Electrified vehicle battery pack attachment and sealing strategies
CN106997935B (zh) 电池组阵列保持件
JP2011146288A (ja)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JP2004140256A (ja) 太陽電池パネル設置構造
US20210050570A1 (en) Electrified vehicle battery pack to vehicle body attachment and sealing strategies
CN203326501U (zh) 一种汽车线束护套
JP2000299121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US20170263967A1 (en) Fuel cell stack
CN215527858U (zh) 一种挂载组件及电池包
US11588199B2 (en) Vehicle battery system
KR20130059675A (ko) 태양 전지 모듈용 클램프
CN209938839U (zh) 一种平衡车
CN216015581U (zh) 一种用于电池箱体的套筒、电池及用电装置
CN213636194U (zh) 汽车电池包
JP4131311B2 (ja) 燃料電池
JP5115776B2 (ja) 燃料電池のマウント構造体
CN219739182U (zh) 动力电池紧固装置
CN217589247U (zh) 一种电池箱
KR20040069999A (ko) 축전지 장치
CN218101480U (zh) 一种集成式电池包及汽车
WO2015101082A1 (zh) 安装块、太阳能电池组件和太阳能光伏电站系统
CN218351568U (zh) 端盖组件、电池、电池包及用电设备
CN219655062U (zh) 拉铆螺母组件、紧固组件、电池及用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