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612B1 - 측방 차체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측방 차체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612B1
KR102440612B1 KR1020170173620A KR20170173620A KR102440612B1 KR 102440612 B1 KR102440612 B1 KR 102440612B1 KR 1020170173620 A KR1020170173620 A KR 1020170173620A KR 20170173620 A KR20170173620 A KR 20170173620A KR 102440612 B1 KR102440612 B1 KR 10244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reinforcing member
center floor
side sill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345A (ko
Inventor
최성은
박건호
정승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612B1/ko
Priority to US16/041,162 priority patent/US10661841B2/en
Priority to CN201810824386.6A priority patent/CN109941356B/zh
Priority to JP2018169988A priority patent/JP7051651B2/ja
Priority to DE102018218372.4A priority patent/DE102018218372A1/de
Publication of KR2019007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2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a foamable synthetic material or metal being added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가 구비되면서도 하중 전달의 효율이 향상되고, 차량의 충돌 특히, 측방 충돌에 대한 대응 성능이 개선된 측방 차체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는, 차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센터 플로어 패널과,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의 단면을 갖는 사이드 실과,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을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사이드 실에 결합되는 시트 크로스 멤버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 상기 사이드 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 및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고정되는 파이프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방 차체 보강구조{SIDE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본 발명은 측방 차체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용량 배터리가 내장된 차량의 측방 차체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차체에서 엔진 룸의 하부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가 차량의 차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어 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강화시킨다.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방에는 사이드 실이 연결되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차량의 차체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한편, 차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은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전후방향을 따라 프런트 플로어 패널, 센터 플로어 패널, 및 리어 플로어 패널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플로어 패널은 엔진룸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은 승객실의 바닥면을 구성하며,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은 러기지 컴파트먼트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이 중에서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브레이크 페달, 탑승자를 위한 시트 등이 장착되고, 하면에는 배기 파이프, 프로펠러 샤프트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실은 차체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결합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응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를 포함하는 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차량의 총칭으로서의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 또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 하면에 고용량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하여 배터리 케이스가 구비된다. 또한, 전방에 엔진 또는 구동모터가 장착되고, 후륜이 구동륜인 차량과 같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추진축이 가로지르는 차량에서는 상기 추진축이 통과하도록 오목하게 상측으로 패인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터널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고용량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케이스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러한 구조들을 통한 하중의 전달이 단절되는 부분이 증가하면, 차량의 충돌 특히, 측방 충돌에 대한 대응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케이스가 구비되면서도 하중 전달의 효율이 향상되고, 차량의 충돌 특히, 측방 충돌에 대한 대응 성능이 개선된 측방 차체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는, 차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센터 플로어 패널과,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의 단면을 갖는 사이드 실과,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을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사이드 실에 결합되는 시트 크로스 멤버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 상기 사이드 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 및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고정되는 파이프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너트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너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는, 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체결되어 구성요소를 결합시키도록 기능하는 체결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실의 내측판에 결합되는 결합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는, 상기 사이드 실의 박스 형상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실의 내측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실의 상측판과 상기 사이드 실의 하측판을 연결하는 제1 보강 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멤버는 상기 사이드 실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는, 상기 제1 보강 멤버에 지지되도록 상기 사이드 실의 박스 형상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보강 멤버로부터 차체의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보강 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 멤버는 상기 사이드 실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멤버의 차체 폭 방향 내측면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차체 폭 방향 외측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실 및 상기 제1 보강 멤버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발포 폼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 멤버 및 상기 제1 보강 멤버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발포 폼이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케이스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하중의 전달이 단절되는 부분이 감소되고,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차체와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특히, 측방 충돌에 대한 대응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를 전방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의 상, 하, 전, 후로 표현되는 방향은 일반적인 차체의 상, 하, 전, 후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 및 내측은 일반적인 차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외측 및 내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를 전방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1)는 배터리 케이스(100)와 연결된다. 또한, 승객실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센터 플로어 패널(200)의 차체의 폭 방향 양측에는 사이드 실(300)이 결합된다. 이러한 센터 플로어 패널(200) 및 사이드 실(300)의 기본적인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100)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를 포함하는 전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차량의 총칭으로서의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100)는 내부에 고용량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에 고용량 배터리를 장착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고용량 배터리의 전력은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며, 고용량 배터리와 구동모터를 연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고전압 와이어(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력을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고용량 배터리 및 구동모터 그리고 전력 공급을 위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에는 시트 크로스 멤버(220)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220)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을 차체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220)는 하단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에 결합되고, 차체의 폭 방향 양단이 상기 사이드 실(300)에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220)는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 차체 보강구조(1)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100)의 상측에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이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100)의 차체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사이드 실(300)이 배치됨으로써 구성되며, 결합 보강부(210), 제1 보강 멤버(340), 제2 보강 멤버(350), 파이프 너트(N), 및 체결 볼트(B)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 보강부(210)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 보강부(210)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사이드 실(3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실(300)은 차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패널과 상대적인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패널이 결합되어 박스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사이드 실(300)의 이너 패널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사이드 실(30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 실(300)은 박스 형상을 형성하는 상측판인 사이드 실 상판(310), 내측판인 사이드 실 내판(320), 및 하측판인 사이드 실 하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실 상판(310) 및 상기 사이드 실 하판(330)은 상기 사이드 실(300)의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실 내판(320)은 상기 사이드 실(300)의 이너 패널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의 차체의 폭 방향 양측은 상기 사이드 실(300)의 사이드 실 상판(310)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보강부(210)는 상기 사이드 실(300)의 사이드 실 내판(3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보강부(210)에 의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과 상기 사이드 실(300)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상기 제1 보강 멤버(340)는 상기 사이드 실(300)의 박스 형상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멤버(340)는 상기 사이드 실 내판(320)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실 상판(310)과 상기 사이드 실 하판(330)을 연결한다. 나아가, 상기 제1 보강 멤버(340)는 상기 사이드 실(30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 멤버(350)는 상기 사이드 실(300)의 박스 형상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보강 멤버(350)는 상기 제1 보강 멤버(340)에 지지되고, 상기 제1 보강 멤버(340)로부터 차체의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 보강 멤버(350)의 "U"자 형상의 단면은 상기 사이드 실(300)의 아우터 패널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보강 멤버(340)는 상기 사이드 실(30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너트(N)는 하측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케이스(100), 상기 사이드 실 하판(330), 상기 사이드 실 상판(310),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 및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22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상하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N)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nut)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파이프 너트(N)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100)에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100)에는 상기 파이프 너트(N)를 수용하도록 천공된 수용홀(10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보강 멤버(340)의 차체 폭 방향 내측면은 상기 파이프 너트(N)의 차체 폭 방향 외측단에 지지된다. 이러한 파이프 너트(N)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100), 상기 사이드 실 하판(330), 상기 사이드 실 상판(310),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200),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220), 및 상기 제1 보강 멤버(340)가 연속적인 하중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나로 연결된다. 도 1에는 차체의 측방 충돌 시의 개략적인 하중 전달 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상기 체결 볼트(B)는 하측으로부터 상기 파이프 너트(N)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 볼트(B)는 서스펜션(도시하지 않음) 등의 차체 구성요소를 결합시키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사이드 실(300)의 박스 형상 내부에서 상기 사이드 실 상판(310), 상기 사이드 실 측판(320), 상기 사이드 실 하판(330), 및 상기 제1 보강 멤버(340)로 둘러싸인 공간 또는 상기 제2 보강 멤버(350)의 "U"자 형상의 단면 및 상기 제1 보강 멤버(340)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강성이 증대되도록 발포 폼(F)이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케이스(100)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하중의 전달이 단절되는 부분이 감소되고,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차체와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특히, 측방 충돌에 대한 대응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측방 차체 보강구조
100: 배터리 케이스
200: 센터 플로어 패널
210: 결합 보강부 220: 시트 크로스 멤버
300: 사이드 실
310: 사이드 실 상판 320: 사이드 실 내판
330: 사이드 실 하판 340: 제1 보강 멤버
350: 제2 보강 멤버
B: 체결 볼트
F: 발포 폼
N: 파이프 너트

Claims (11)

  1. 차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센터 플로어 패널;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케이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박스 형상의 단면을 갖는 사이드 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을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사이드 실에 결합되는 시트 크로스 멤버;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 상기 사이드 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 및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각각에 체결되도록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고정되는 파이프 너트;
    를 포함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체결되어 구성요소를 결합시키도록 기능하는 체결 볼트를 더 포함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실의 내측판에 결합되는 결합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의 박스 형상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실의 내측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실의 상측판과 상기 사이드 실의 하측판을 연결하는 제1 보강 멤버를 더 포함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멤버는 상기 사이드 실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멤버에 지지되도록 상기 사이드 실의 박스 형상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보강 멤버로부터 차체의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2 보강 멤버를 더 포함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멤버는 상기 사이드 실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멤버의 차체 폭 방향 내측면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차체 폭 방향 외측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및 상기 제1 보강 멤버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발포 폼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멤버 및 상기 제1 보강 멤버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발포 폼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차체 보강구조.
KR1020170173620A 2017-12-15 2017-12-15 측방 차체 보강구조 KR10244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620A KR102440612B1 (ko) 2017-12-15 2017-12-15 측방 차체 보강구조
US16/041,162 US10661841B2 (en) 2017-12-15 2018-07-20 Side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CN201810824386.6A CN109941356B (zh) 2017-12-15 2018-07-25 侧车身加强结构
JP2018169988A JP7051651B2 (ja) 2017-12-15 2018-09-11 側方車体補強構造
DE102018218372.4A DE102018218372A1 (de) 2017-12-15 2018-10-26 Fahrzeugkarosserieseitenstärkungs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620A KR102440612B1 (ko) 2017-12-15 2017-12-15 측방 차체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345A KR20190072345A (ko) 2019-06-25
KR102440612B1 true KR102440612B1 (ko) 2022-09-05

Family

ID=6667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620A KR102440612B1 (ko) 2017-12-15 2017-12-15 측방 차체 보강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61841B2 (ko)
JP (1) JP7051651B2 (ko)
KR (1) KR102440612B1 (ko)
CN (1) CN109941356B (ko)
DE (1) DE102018218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7899B2 (en) * 2018-10-23 2021-05-18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Mounting structures for battery packs in electric vehicles
KR102664126B1 (ko) * 2019-12-16 2024-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실구조
KR102453341B1 (ko) * 2020-06-15 2022-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마운트 구조
US11584238B2 (en) * 2020-09-22 2023-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structural stopper brack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483A (ja) 2009-12-11 2011-06-23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63A (ja) * 1994-07-07 1996-01-23 Honda Motor Co Ltd 車体のサイドシル構造
US7481485B2 (en) * 2006-11-08 2009-0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body to frame load absorbing structure
JP4900095B2 (ja) * 2007-07-06 2012-03-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CN201922912U (zh) * 2011-03-07 2011-08-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轿车的电堆安装支架
JP5405519B2 (ja) * 2011-04-01 2014-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JP5375886B2 (ja) * 2011-07-26 2013-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電池保護構造
JP5716792B2 (ja) * 2013-05-23 2015-05-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5900480B2 (ja) * 2013-05-24 2016-04-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5899182B2 (ja) * 2013-10-23 2016-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車両
CN105992702B (zh) * 2013-12-02 2018-06-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电池搭载结构
JP5846193B2 (ja) * 2013-12-25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5870992B2 (ja) * 2013-12-25 2016-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6032258B2 (ja) * 2014-10-23 2016-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6172179B2 (ja) * 2015-02-25 2017-08-0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CN205523634U (zh) * 2015-12-22 2016-08-31 康迪电动汽车(上海)有限公司 组合式电动车电池框架
JP6512163B2 (ja) * 2016-04-21 2019-05-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17193299A (ja) 2016-04-22 2017-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6734709B2 (ja) * 2016-06-23 2020-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下部構造
US10336373B2 (en) * 2016-09-07 2019-07-02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Lateral energy absorption system
JP6597562B2 (ja) * 2016-11-08 2019-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6447616B2 (ja) * 2016-11-15 2019-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KR101896336B1 (ko) * 2016-11-16 2018-09-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JP6555236B2 (ja) * 2016-11-30 2019-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475270B2 (ja) * 2017-01-20 2019-02-27 株式会社Subaru 自動車車両
KR102440609B1 (ko) * 2017-12-27 2022-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측방 차체 보강구조
US10293860B1 (en) * 2018-01-15 2019-05-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cker with internal crush p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483A (ja) 2009-12-11 2011-06-23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1841B2 (en) 2020-05-26
KR20190072345A (ko) 2019-06-25
DE102018218372A1 (de) 2019-06-19
US20190185071A1 (en) 2019-06-20
JP7051651B2 (ja) 2022-04-11
JP2019108113A (ja) 2019-07-04
CN109941356A (zh) 2019-06-28
CN109941356B (zh)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370B1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KR102440612B1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CN107031366B (zh) 车辆地板下结构
US10850597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KR20210041154A (ko) 차량의 고전압배터리유닛 및 차량의 언더바디
US9576701B2 (en) High-voltage wire wiring structure in vehicle
CN110304152B (zh) 车辆的前部车身结构
CN112606905B (zh) 车辆下部构造
JP2013147137A (ja) 電動車両のフロア構造
KR102446656B1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KR102105843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의 마운팅 유닛
JP6516232B1 (ja) 電気自動車用の車台、及び、電気自動車
KR20210103624A (ko) 고전압배터리를 탑재하는 차량의 차체
CN110920757B (zh) 车辆的下部结构
JP2018161934A (ja) 車体のフロア構造
JP7272991B2 (ja) 車両
US12005962B2 (en) Vehicle
KR102359713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CN209776545U (zh) 车辆下部结构
KR20120000920A (ko) Fr차량의 엔진룸부 보강구조
JP2018122749A (ja) 電気自動車の車両前部構造
JP6180265B2 (ja) 電気駆動機器を備える車両
JP2022180720A (ja) 車両の下部構造
JP5948309B2 (ja) 車体構造
CN114889703A (zh) 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