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092A - 크레인 차량 - Google Patents

크레인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092A
KR20210144092A KR1020200060888A KR20200060888A KR20210144092A KR 20210144092 A KR20210144092 A KR 20210144092A KR 1020200060888 A KR1020200060888 A KR 1020200060888A KR 20200060888 A KR20200060888 A KR 20200060888A KR 20210144092 A KR20210144092 A KR 2021014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unit
crane vehicle
limit swit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600B1 (ko
Inventor
서흥구
노수훈
Original Assignee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6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은 아웃트리거가 접힌 상태에서 아웃트리거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차량{CRANE VEHICLE}
본 발명은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 차량에 구비된 아웃트리거가 크레인 차량측에 접혀 있을 때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차량은 크레인 작업 시 전복되지 않도록 아웃트리거가 설치되어 있다.
아웃트리거는 크레인 차량의 전방의 좌우 및 후방의 좌우의 차체의 측방으로 확장 가능하게 설치되어 크레인 차량을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크레인 차량은 고정되어 고정된 방향으로 인출되는 아웃트리거와, 크레인 차량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웃트리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트리거가 설치된 크레인 차량은 한국등록특허 제10-165377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크레인 작업 시 아웃트리거는 크레인 차량 외측으로 회동하여 펼침상태가 될 수 있고, 평상시에 아웃트리거는 크레인 차량측으로 접혀진 폴딩상태가 될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아웃트리거는 크레인 차량 외측으로 먼저 펼쳐진 후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아웃트리거가 접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작동 실수로 인해 아웃트리거가 인출될 경우, 차량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377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 2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아웃트리거가 접힌 상태에서 아웃트리거 인출레버를 작동시킬 경우 유로의 흐름을 바꿔줌으로써 아웃트리거의 인출을 제한하는 크레인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은, 텔레스코픽 실린더부, 데릭 실린더부, 스윙부, 윈치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압라인; 아웃트리거부와 연결되는 제2유압라인; 유압을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유압라인과 연결시키고, 상기 유압을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유압라인과 연결시키는 방향 전환밸브; 아웃트리거의 접힘 각도에 따라 작동하는 제1리미트 스위치; 상기 아웃트리거의 인출 여부에 따라 작동하는 제2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제1, 2리미트 스위치가 모두 작동되면 작동하여 상기 방향 전환밸브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밸브를 제어하는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방향 전환밸브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변경되고, 상기 동작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방향 전환밸브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변경된다.
또한, 상기 아웃트리거부는, 상기 크레인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트리거; 및 상기 아웃트리거를 회동시키는 아웃트리거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아웃트리거가 상기 크레인 차량 측으로 접혀질 때 접촉하여 작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아웃트리거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크레인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을 시도할 경우 아웃트리거의 제2수평부재의 인출을 강제적으로 멈춤으로써, 크레인 차량의 파손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다.
크레인 차량은 아웃트리거의 인출 동작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출레버의 조작만으로 아웃트리거의 펼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붐이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아웃트리거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
도 5(a)는 유압라인에 구비된 방향 전환밸브가 제1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
도 5(b)는 유압라인에 구비된 방향 전환밸브가 제2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
도 6(a)는 작동 스위치가 OFF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b)는 작동 스위치가 ON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리미트 스위치의 전기회로도.
도 8은 아웃트리거부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은 텔레스코픽 실린더부(130), 데릭 실린더부(150), 스윙부(140), 윈치부(16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압라인(310), 아웃트리거부(200)와 연결되는 제2유압라인(320), 유압을 제1위치(1)에서 제1유압라인(310)과 연결시키고, 유압을 제2위치(2)에서 제2유압라인(320)과 연결시키는 방향 전환밸브(360), 아웃트리거(220)의 접힘 각도에 따라 작동하는 제1리미트 스위치(510), 아웃트리거(220)의 인출 여부에 따라 작동하는 제2리미트 스위치(520) 및 제1, 2리미트 스위치부(500)가 모두 작동되면 작동하여 방향 전환밸브(360)를 제2위치(2)에서 제1위치(1)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스위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붐이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아웃트리거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차량(10)은 차량의 상부에 구비되는 크레인부(100)와 차량의 하부에 구비되는 아웃트리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차량(10)는 견인 차량, 카고 크레인, 견인 크레인, 전용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부(100)는 지지부(110)에 연결되는 붐(120), 붐(120)을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픽 실린더부(130), 지지부(110)를 회전시키는 스윙부(140), 붐(120)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데릭실린더부(150) 및 인양되는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윈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실린더부(130)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붐(120)을 신축시킬 수 있다. 텔레스코픽 실린더부(13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텔레스코픽 실린더부(130)는 유압이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붐(120)을 신장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데릭실린더부(150)는 붐(120)의 수직 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데릭실린더부(150)는 내부에 제1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톤(151)은 데릭실린더부(150)에 내삽될 수 있다.
데릭실린더부(150)의 하부는 지지부(110)에 연결되고, 제1피스톤(151)의 상부는 붐(120)과 연결될 수 있다.
데릭실린더부(150)는 유압이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붐(1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데릭실린더부(15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피스톤(151)은 데릭실린더부(150)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데릭실린더부(150)의 내부에서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제1피스톤(151)에 연결된 붐(120)의 상, 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윙부(140)는 지지부(1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윙부(14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스윙부(140)는 유압이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지지부(1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부(11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부(110)에 설치된 붐(120) 또한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다.
윈치부(160)는 붐(120)에 설치될 수 있다. 윈치부(160)에 와이어(16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161)의 일측에 인양기(162)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61)의 일측은 인양기(162)와 결합될 수 있고, 와이어(161)의 타단은 윈치부(160)(160)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61)는 붐(120)의 크기, 용도 및 디자인에 따라 붐(120) 내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하나의 예로 와이어(161)가 붐(1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윈치부(160)는 윈치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윈치 모터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윈치부(160)는 유압이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와이어(161)를 감거나 풀러줌으로써, 와이어(161)의 일측에 결합된 인양기를 붐(120)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트리거부(200)는 크레인 차량(10)에 고정되는 고정바디(210), 고정바디(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트리거(220) 및 아웃트리거(220)를 회동시키는 아웃트리거 실린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디(210)는 크레인 차량(10)의 운전석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바디(210)는 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바디(210)는 크레인부(1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바디(210)의 상면에 지지부(110)가 지지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2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아웃트리거(220)는 고정바디(210)의 모서리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220)는 고정바디(2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9(a)는 아웃트리거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9(b)는 아웃트리거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트리거(220)는 수평부재(250)와 수직부재(260) 및 발판(27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재(250)는 고정바디(210)와 수직부재(26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부재(250)의 일측은 고정바디(210)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수직부재(260)와 연결될 수 있다. 수평부재(250)는 고정바디(2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수평부재(250)는 제1수평부재(251)와 제2수평부재(2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수평부재(251)는 고정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수평부재(251)의 일측은 고정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개구될 수 있다. 제1수평부재(251)의 타측에 제2수평부재(252)가 내삽될 수 있다. 제1수평부재(251)는 고정바디(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수평부재(251)는 고정바디(210)에 힌지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아웃트리거(220)는 크레인 차량(1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쳐질 수 있다.
제1수평부재(251)는 내부에 길이조절 실린더(230)가 구비될 수 있다. 길이조절 실린더(230)는 내부에 제2피스톤(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피스톤(231)은 길이조절 실린더(2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피스톤(231)은 유압이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제2수평부재(252)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다.
제2수평부재(252)는 제1수평부재(2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수평부재(252)의 일측은 제1수평부재(251)에 삽입되어 길이조절 실린더(23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수평부재(252)의 타측은 수직부재(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수평부재(252)는 제1수평부재(251)에 삽입이 된 상태에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수직부재(260)는 수평부재(2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수직부재(260)는 제1수직부재(261)와 제2수직부재(26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재(261)는 제2수평부재(25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수직부재(261)의 일측면은 수평부재(2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수직부재(261)의 하면은 개구될 수 있다. 제1수직부재(261)의 하면에는 제2수직부재(26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수직부재(261)는 실린더일 수 있다.
제2수직부재(262)는 제1수직부재(261)에 내삽될 수 있다. 제2수직부재(262)의 일측은 제1수직부재(261)에 삽입될 수 있고, 타측은 발판(270)에 연결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부(200)는 아웃트리거(220)를 회동시키는 아웃트리거 실린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트리거 실린더(240)는 고정바디(210)와 아웃트리거(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 실린더(240)는 아웃트리거(220)를 크레인 차량(10)의 외측방향으로 펼치거나 크레인 차량(10) 측으로 접을 수 있다. 아웃트리거 실린더(240)는 내부에 제3피스톤(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피스톤(241)은 아웃트리거 실린더(24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3피스톤(241)은 유압이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아웃트리거 실린더(240) 내에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 실린더(240)는 유압이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아웃트리거(220)를 크레인 차량(10)의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거나 크레인 차량(10) 측으로 접힐 수 있다. 아웃트리거(220)는 인입된 상태로 크레인 차량(10) 측에 접힐 수 있다.
크레인부(100)는 제1유압라인(310)과 연결될 수 있고, 아웃트리거부(200)는 제2유압라인(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유압라인(310)은 텔레스코픽 실린더부(130), 데릭실린더부(150), 스윙부(140), 윈치부(16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압라인(320)은 길이조절 실린더(230), 아웃트리거 실린더(24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a)는 유압라인에 구비된 방향 전환밸브가 제1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이고, 도 5(b)는 유압라인에 구비된 방향 전환밸브가 제2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라인은 펌프(340), 체크밸브(350) 및 방향 전환밸브(36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부(100)와 아웃트리거부(200)는 펌프(34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펌프(340)는 동력인출장치(Power Take Off, 3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펌프(340)는 유압을 유압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다. 유압은 체크밸브(350)와 방향 전환밸브(360)를 거쳐 제1유압라인(310) 또는 제2유압라인(3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체크밸브(350)는 유압라인 내에서 펌프(340)와 방향 전환밸브(36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350)는 유압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압의 일방향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방향 전환밸브(360)는 유압을 제1유압라인(310) 또는 제2유압라인(32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방향 전환밸브(360)는 제1위치(1)에서 제1유압라인(310)과 유압을 연결시킬 수 있고, 제2위치(2)에서 제2유압라인(320)과 유압을 연결시킬 수 있다. 방향 전환밸브(360)는 솔레노이드(361)와 복원부재(362)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361)는 방향 전환밸브(36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361)는 방향 전환밸브(360)를 제1위치(1)에서 제2위치(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원부재(362)는 방향 전환밸브(36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원부재(362)는 방향 전환밸브(360)를 제2위치(2)에서 제1위치(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밸브(360)는 평상시에 제1위치(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위치(1)는 유압과 제1유압라인(310)을 연결시켜줄 수 있으며, 방향 전환밸브(360)가 제1위치(1)에 위치하면, 유압은 제1유압라인(3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밸브(360)에 전기가 인가되면, 방향 전환밸브(360)는 제1위치(1)에서 제2위치(2)로 변경될 수 있다. 방향 전환밸브(360)가 제2위치(2)에 위치하면, 유압은 제2유압라인(3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방향 전환밸브(360)는 동작 스위치(4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6(a)는 작동 스위치가 OFF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6(b)는 작동 스위치가 ON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동작 스위치(420)는 방향 전환밸브(36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동작 스위치(420)가 ON되면 방향 전환밸브(360)는 제1위치(1)에서 제2위치(2)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밸브(360)의 솔레노이드(361)는 동작 스위치(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동작 스위치(420)의 일측은 메인전원(410)과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방향 전환밸브(360)의 솔레노이드(361)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스위치(420)와 솔레노이드(361) 사이에는 제어 스위치(4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430)는 동작 스위치(420)와 솔레노이드(36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430)의 일측은 동작 스위치(420)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솔레노이드(361)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430)는 연결 스위치(431)와 작동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스위치(431)는 동작 스위치(420)와 솔레노이드(361)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 스위치(431)는 동작 스위치(420)와 솔레노이드(361)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작동부(432)는 연결 스위치(431)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작동부(432)는 연결 스위치(431)를 ON/OFF 시킬 수 있다.
연결 스위치(431)는 평시에 ON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 스위치(431)는 동작 스위치(420)와 솔레노이드(361)는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432)에 전기가 인가되면 자력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432)에 자력이 형성되면, 자력에 의해 연결 스위치(431)를 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스위치(420)와 솔레노이드(361)는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작동부(432)는 리미트 스위치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부(500)는 고정바디(210)의 전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부(500)는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제2리미트 스위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고정바디(210)의 전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고정바디(210)의 일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전방 좌측 아웃트리거(220)와 맞닿는 좌측 제1리미트 스위치(510a)와 전방 우측 아웃트리거(220)와 맞닿는 우측 제1리미트 스위치(510b)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제1리미트 스위치(510a)는 고정바디(210)의 전방의 좌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우측 제1리미트 스위치(510b)는 고정바디(210)의 전방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고정바디(2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에 설치된 아웃트리거(220)는 크레인 차량(1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인출된다 하더라도, 크레인 차량(10)의 후방으로 인출됨으로써 아웃트리거(220)가 크레인 차량(10)을 파손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방에 설치된 아웃트리거(220)는 크레인 차량(1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인출된다면, 크레인 차량(10)의 운전석을 파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전방에 설치된 아웃트리거(22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아웃트리거(220)의 인출입레버(440)와 연동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리미트 스위치의 전기회로도이다. 도 7은 제1리미트 스위치(510) 및 제2리미트 스위치(520)가 모두 OFF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부(500)는 작동부(4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메인전원(410)과 제2리미트 스위치(5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의 일측은 메인전원(410)과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제2리미트 스위치(5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아웃트리거(220)가 크레인 차량(10) 측으로 접혔을 때, 아웃트리거(220)와 맞닿을 수 있고, 아웃트리거(220)가 펼쳐지면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아웃트리거(220)는 서로 떨어질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아웃트리거(220)가 맞닿으면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ON될 수 있고,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아웃트리거(220)가 떨어지면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OFF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아웃트리거(220)의 접힘 각도에 따라 ON/OFF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를 인출시 크레인 차량(10)과 충돌되지 않는 범위로 펼쳐질 경우 OFF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 시 크레인 차량(10)을 파손 시킬 수 있는 접힘 각도 내에서 아웃트리거(220)와 맞닿아 있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아웃트리거(220)의 인출여부에 따라 ON/OFF될 수 있다.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아웃트리거(220)의 인출입레버(440)가 인출작동 되면 ON될 수 있고, 인출입레버(440)가 인입작동 되거나 초기 위치로 복원되면 OFF될 수 있다.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아웃트리거(220)가 인출되지 않으면 OFF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부(500)는 작동부(43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제2리미트 스위치(520)가 모두 ON 되면 작동부(432)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작동부(432)에 전류가 인가되면 연결 스위치(431)는 OFF되며, 솔레노이드(361)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부(500)는 메인전원(410)으로부터 2개의 전류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부(500)는 좌측라인(3)과 우측라인(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좌측라인(3)은 좌측 제1리미트 스위치(510a)와 좌측 제2리미트 스위치(520)가 구비될 수 있다.
좌측라인(3)의 리미트 스위치부(500)는 크레인 차량(10)의 좌측에 구비된 아웃트리거(220)의 구동 상태에 따라 ON/OFF 될 수 있다.
우측라인(4)은 우측 제1리미트 스위치(510b)와 우측 제2리미트 스위치(520b)가 구비될 수 있다.
우측라인(4)의 리미트 스위치부(500)는 크레인 차량(10)의 우측에 구비된 아웃트리거(220)의 구동 상태에 따라 ON/OFF 될 수 있다.
좌측라인(3)과 우측라인(4)의 일측은 메인전원(410)에 연결될 수 있고, 좌측라인(3)과 우측라인(4)의 타측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좌측라인(3)과 우측라인(4)은 하나의 라인으로 합쳐진 후 작동부(43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라인(3) 또는 우측라인(4)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작동부(432)에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작동부(432)에 전기가 인가되면 연결 스위치(431)가 OFF 됨으로써 방향 전환밸브(360)는 제1위치(1)에서 제2위치(2)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은 아웃트리거부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레버(440)는 크레인 차량(10)의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를 인출입 시킬 수 있다.
폴딩레버(450)는 크레인 차량(10)의 아웃트리거(220)를 접거나 크레인 차량(10)의 외측 방향으로 펼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의 리미트 스위치부(5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유압이 펌프(340)에서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웃트리거부(200)를 구동하기 위하여 동작 스위치(420)를 ON시킬 수 있다. 동작 스위치(420)가 ON 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전원(410)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동작 스위치(420)와 제어 스위치(430)를 거쳐 방향 전환밸브(360)의 솔레노이드(361)로 공급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361)에 전류가 인가되면 방향 전환밸브(360)는 제1위치(1)에서 제2위치(2)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340)에서 공급되는 유압은 방향 전환밸브(360)를 거쳐 제2유압라인(320)으로 공급될 수 있고, 사용자는 아웃트리거(22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동작 스위치가 ON된 상태에서 아웃트리거가 접혀졌을 때의 구동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트리거(220)가 크레인 차량(10) 측에 접힌 상태를 유지하면,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아웃트리거(220)는 맞닿아 있으므로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ON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가 ON된 상태에서, 아웃트리거(220)의 인출입레버(440)가 인출작동 되면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ON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2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을 시도할 경우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모두 ON될 수 있는 것이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와 제2리미트 스위치(520)가 모두 ON되면, 제어 스위치(430)의 작동부(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부(4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작동부(432)는 자력을 형성하게 되고, 작동부(432)의 자력에 의해 연결 스위치(431)는 OFF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스위치(431)가 OFF되면 솔레노이드(361)로 공급되던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361)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방향 전환밸브(360)는 복원부재(362)에 의해 제2위치(2)에서 제1위치(1)로 변경될 수 있다.
방향 전환밸브(360)가 제2위치(2)에서 제1위치(1)로 변경되면 아웃트리거부(200)로 공급되는 유압이 차단됨으로써 아웃트리거부(200)의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동작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웃트리거(220)는 전방 좌측, 우측 중 어느 하나라도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을 시도하게 되면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동작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아웃트리거(2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은 허용되지 않고, 제2수직부재(262)의 인출은 허용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2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2수직부재(262)는 인출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2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2수직부재(262)가 인출 되더라도 크레인 차량(10)의 파손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아웃트리거(2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2수직부재(262)의 인출을 통해 지면에 발판(270)을 지지할 수 있다.
동작 스위치가 ON된 상태에서 아웃트리거가 펼쳐졌을 때의 구동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트리거(220)가 아웃트리거 실린더(240)에 의해 크레인 차량(10)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면 아웃트리거(220)와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떨어지게되고,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OFF될 수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510)가 OFF된 상태에서 아웃트리거(220)의 인출입레버(440)가 인출작동 되면,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ON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2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을 시도할 경우 제1리미트 스위치(510)는 OFF되고 제2리미트 스위치(520)는 ON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 스위치(430)의 작동부(432)는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43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연결 스위치(431)는 ON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솔레노이드(361)는 계속해서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전환밸브(360)는 제2위치(2)를 유지하게 되고, 유압이 제2유압라인(320)으로 공급됨으로써, 사용자는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를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은 리미트 스위치부(500)를 구비함으로써, 아웃트리거(22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을 시도할 경우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을 강제적으로 멈춤으로써, 크레인 차량(10)의 파손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은 동작 스위치(420)가 켜진 상태에서 방향 전환밸브(360)가 제1위치(1)로 변경되어 아웃트리거(220)의 제2수평부재(252)의 인출동작이 멈추더라도, 동작 스위치(420)를 재조작 하지 않고 아웃트리거(220)를 펼침동작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웃트리거(220)가 접힌 상태에서 아웃트리거(220)의 인출을 시도하게 되면 방향 전환밸브(360)의 위치는 제2위치(2)에서 제1위치(1)로 변경될 수 있다. 방향 전환밸브(360)가 제1위치(1)로 변경되면, 제2유압라인(320)으로 공급되는 유압은 차단되므로 아웃트리거(220)의 인출 동작이 차단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220)의 인출 동작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출입레버(440)를 원래위치로 위치시키면, 제2리미트 스위치(520)가 OFF될 수 있다. 제2리미트 스위치(520)가 OFF되면 제어 스위치(430)의 작동부(432)로 공급되던 전류가 차단되므로, 연결 스위치(431)가 ON될 수 있다. 연결 스위치(431)가 ON되면, 방향 전환밸브(360)의 솔레노이드(361)로 전류가 다시 공급될 수 있고, 방향 전환밸브(360)는 제1위치(1)에서 제2위치(2)로 변경됨으로써 아웃트리거 실린더(24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웃트리거(220)의 인출 동작이 차단된 상태에서 동작 스위치(420)의 재조작 없이도 아웃트리거(220)를 펼침동작 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제1위치 2: 제2위치
3: 좌측라인 4: 우측라인
10: 크레인 차량 100: 크레인부
200: 아웃트리거부 500: 리미트 스위치

Claims (4)

  1. 텔레스코픽 실린더부, 데릭 실린더부, 스윙부, 윈치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압라인;
    아웃트리거부와 연결되는 제2유압라인; 및
    유압을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유압라인과 연결시키고, 상기 유압을 제2위치에서 상기 제2유압라인과 연결시키는 방향 전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트리거가 접혀져 있을 때 상기 아웃트리거의 수평방향으로 인출작동시 상기 방향 전환밸브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변경되도록 하여 상기 아웃트리거가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크레인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의 접힘 각도에 따라 작동하는 제1리미트 스위치;
    상기 아웃트리거의 인출 여부에 따라 작동하는 제2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제1, 2리미트 스위치가 모두 작동되면 작동하여 상기 방향 전환밸브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밸브를 제어하는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방향 전환밸브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변경되고,
    상기 동작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방향 전환밸브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변경되는 크레인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부는,
    상기 크레인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트리거; 및
    상기 아웃트리거를 회동시키는 아웃트리거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아웃트리거가 상기 크레인 차량 측으로 접혀질 때 접촉하여 작동하는 크레인 차량.
KR1020200060888A 2020-05-21 2020-05-21 크레인 차량 KR10237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88A KR102378600B1 (ko) 2020-05-21 2020-05-21 크레인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88A KR102378600B1 (ko) 2020-05-21 2020-05-21 크레인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92A true KR20210144092A (ko) 2021-11-30
KR102378600B1 KR102378600B1 (ko) 2022-03-24

Family

ID=7872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888A KR102378600B1 (ko) 2020-05-21 2020-05-21 크레인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6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974A (ja) * 1995-04-12 1996-10-29 Komatsu Ltd アウトリガ装置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ロジック弁
KR20090005417U (ko) * 2007-11-30 2009-06-03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제어장치
KR101653773B1 (ko) 2015-06-11 2016-09-06 하베코리아 주식회사 콘크리트 펌프 트럭의 전복 방지를 위한 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974A (ja) * 1995-04-12 1996-10-29 Komatsu Ltd アウトリガ装置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ロジック弁
KR20090005417U (ko) * 2007-11-30 2009-06-03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제어장치
KR101653773B1 (ko) 2015-06-11 2016-09-06 하베코리아 주식회사 콘크리트 펌프 트럭의 전복 방지를 위한 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600B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7217B2 (ko)
KR102378600B1 (ko) 크레인 차량
CN204572025U (zh) 用于采矿顶板的支撑系统和地下采矿的锚杆机
JP4328849B2 (ja) ブーム付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のブーム旋回制御用電気回路
JP3652435B2 (ja) ウインチの過巻き防止装置
JP2915333B2 (ja) クレーンのフック格納装置
JP3783927B2 (ja) ホースリール巻上げ装置
JP2011026061A (ja) ブーム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車
JP3096005B2 (ja) フック格納装置
JPH0941376A (ja) 杭打機
JPH09208189A (ja) クレーンのフック格納装置
JP7469963B2 (ja) 杭打機
JP2527877Y2 (ja) フック格納式クレーンにおけるフック格納安全装置
JP2001355338A (ja) 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におけるブーム装置
CN210710467U (zh) 单缸插销控制系统、伸缩臂及起重机
JP3096004B2 (ja) クレーンとローダウインチのリモート操作装置
WO2016092719A1 (ja) クレーンの操作装置
KR101726843B1 (ko) 크레인의 자연 하강을 방지하는 작동유 충진장치
JP2023167734A (ja) 把持式穴掘建柱車の安全装置
JPS6339516B2 (ko)
JP2548295Y2 (ja) クレーンの作動装置
JP4291443B2 (ja) クレーン用油圧装置
JP2527847Y2 (ja) タワ−クレ−ンのタワ−起伏制御油圧回路
JP3604349B2 (ja) アースドリル
JPS6447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