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692A -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692A
KR20210135692A KR1020200053641A KR20200053641A KR20210135692A KR 20210135692 A KR20210135692 A KR 20210135692A KR 1020200053641 A KR1020200053641 A KR 1020200053641A KR 20200053641 A KR20200053641 A KR 20200053641A KR 20210135692 A KR20210135692 A KR 20210135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vibration
tractor
shock absorber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0005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692A/ko
Publication of KR2021013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6Mounting of vehicle body on chassis
    • B60G2204/162Cabins, e.g. for trucks,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캐빈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완충장치에 방진부재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방진고무의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차체측의 소음 및 진동이 이중 절연구조에 의해 완화되어 캐빈측에서 느끼는 소음 및 진동이 심해지지 않도록 한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Shock-absorbing Apparatus for Cabin of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캐빈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완충장치에 방진부재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방진고무의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차체측의 소음 및 진동이 이중 절연구조에 의해 완화되어 캐빈측에서 느끼는 소음 및 진동이 심해지지 않도록 한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용 캐빈은 트랙터의 운전을 위한 실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캐빈 프레임(100)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프레임(110)과,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120) 및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루프 프레임(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차체 프레임(200)과 캐빈 프레임(100)을 연결하되, 차체측의 진동 및 소음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장치(300)가 구비되어 있다. 또, 차체 프레임(200)에는 운전석의 브레이크 페달에 의한 제동력을 차체측의 브레이크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로드(410)와 전동링크(420)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재(4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완충장치(300)는 차체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바디(311)와; 캐빈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상부바디(317)와;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부바디(317)와 하부바디(311)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측의 소음 및 진동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부재(313)와; 하부바디(311)에 설치되며 완충부재(313)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한 지지부재(312)와; 완충부재(313)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부바디(317)에 밀착되는 방진 플레이트(316)와; 상부바디측에서 삽입되며 방진 플레이트(316)와 완충부재(313)를 관통하도록 상부바디측에서 삽입되는 고정볼트(318)와; 하부바디의 하측에서 메인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너트(319)와; 완충부재(3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부와셔(315) 및 하부와셔(314)와; 상부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의 간격이 일정 이하로 줄어들지 않게 하는 스틸 스토퍼(32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랙터의 차체 프레임(100)과 캐빈 프레임(200)이 완충장치(300)로 연결됨에 따라 차체 측에서 발생한 진동이나 소음이 캐빈측으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완화된 상태로 전달되므로 캐빈의 운전자가 느끼게 되는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트랙터에는 상기한 완충장치(300)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트랙터는 논이나 밭과 같은 농지나 비포장 도로에서 주로 운행되므로, 노면의 굴곡에 따라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때 복수의 완충장치(300) 중 하나 이상에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완충장치(300)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방진 플레이트(316)가 눌리게 되면서 캐빈이 꺼지게 되는 캐빈 꺼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안 캐빈 꺼짐 현상은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트랙터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발생하며, 캐빈 꺼짐 현상에 의해 방진 플레이트가 눌려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종래의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서는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캐빈 꺼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방진 플레이트가 눌리게 되면서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상부바디에 구비된 스틸 스토퍼가 하부바디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스틸간 접촉이 발생하고 소음 및 진동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049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376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0749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는 방진 구조물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브레이크 작동시 금속간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중으로 소음 및 진동을 절연하여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방진고무의 눌림이 발생하더라도 소음 및 진동이 심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브레이크 작동으로 인한 캐빈 상부의 눌림 현상과 방진고무가 변형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는, 캐빈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캐빈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체측의 진동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하며, 차체 프레임에 구비된 브레이크 부재의 전동링크에 의한 압력을 받는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바디와; 캐빈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바디와;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측의 소음 및 진동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부재와; 하부바디에 설치되며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한 지지부재와; 완충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부바디에 밀착되는 방진 플레이트와; 하부바디의 하측에서 완충부재의 하단을 막아주는 하부캡과; 지지부재를 하부바디에 고정하도록 하부바디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보조 고정볼트와; 상부바디측에서 삽입되며 방진 플레이트와 완충부재를 관통하도록 상부바디측에서 삽입되는 메인 고정볼트와; 하부바디의 하측에서 메인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너트와; 하부바디에 구비되어 하부바디와 상부바디 사이의 금속간 접촉을 차단하는 러버 스토퍼;를 포함하고, 브레이크 작동시 러버 스토퍼가 방진 플레이트에 접촉되어 금속간 접촉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러버 스토퍼는 보조 고정볼트의 헤드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방진캡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고정볼트는 완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완충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와셔와 하부와셔가 개재되어 메인 고정볼트의 헤드 및 고정너트와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재의 수용부가 삽입되도록 하부바디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진 플레이트는 러버 스토퍼가 접촉되는 평판부와, 상부바디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평판부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원 형상의 밀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는 상부바디의 하부에 방진 플레이트가 구비됨과 동시에 하부바디에 러버 스토퍼가 구비됨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에 따라 캐빈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방진 플레이트가 눌리더라도 러버 스토퍼가 방진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압축 변형되고 그로 인해 차체측의 소음 및 진동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러버 스토퍼로 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 고정볼트에 결합되는 방진캡을 이용함에 따라 러버 스토퍼의 설치가 쉬워지게 된다.
또한, 러버 스토퍼가 구비되어 캐빈 꺼짐시 고무간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러버 스토퍼의 탄성력에 의해 캐빈 상부의 눌림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러버 스토퍼가 방진 플레이트에 접촉되어 변형됨에 따라 방진 플레이트의 변형이 완화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랙터용 캐빈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캐빈 및 완중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와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 캐빈 하중만 가해진 경우 완충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 캐빈 하중과 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하중이 동시에 작용한 경우 완충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20) 사이에 구비되어 캐빈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체측의 진동 및 소음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하며, 차체 프레임(20)에 구비된 브레이크 부재(50)의 전동링크(52)에 의한 압력을 받는 것으로, 차체 프레임(20)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1)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바디(32)와; 캐빈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상부바디(40)와;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부바디(40)와 하부바디(32)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측의 소음 및 진동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부재(34)와; 하부바디(32)에 설치되고 하부바디(32)의 관통공(32')에 관통 설치되며 완충부재(34)가 삽입되는 수용부(33')를 구비한 지지부재(33)와; 완충부재(34)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부바디(40)에 밀착되는 방진 플레이트(39)와; 하부바디(32)의 하측에서 완충부재(34)의 하단을 막아주는 하부캡(42)과; 지지부재(33)를 하부바디(32)에 고정하도록 하부바디(32)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보조 고정볼트(37)와; 방진 플레이트(39)와 완충부재(34)를 관통하도록 상부바디측에서 삽입되는 메인 고정볼트(41)와; 하부바디(32)의 하측에서 메인 고정볼트(41)에 체결되어 완충부재(34)를 지지하는 고정너트(44)와; 하부바디(32)에 구비되어 하부바디(32)와 상부바디(40) 사이의 금속간 접촉을 차단하는 러버 스토퍼(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러버 스토퍼(38)는 하부바디(32)의 상면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보조 고정볼트(37)의 헤드에 각각 결합되어 보조 고정볼트(37)와 상부바디(40) 사이의 금속간 접촉을 차단하는 방진캡(38)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러버 스토퍼를 설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 고정볼트(41)는 완충부재(34)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스(36)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완충부재(34)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와셔(35)와 하부와셔(43)가 개재되어 완충부재(34)가 방진 플레이트(39) 및 고정너트(44)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스(36)는 완충부재(34)를 구성하는 탄성체가 메인 고정볼트(41)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완충장치(30)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 방진 플레이트(39)는 러버 스토퍼(38)가 접촉되는 평판부(39a)와, 상부바디(4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평판부(39a)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원 형상의 밀착부(39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방진 플레이트(39)의 평판부와 상부바디 사이에 일정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어 캐빈의 꺼짐시 밀착부가 눌리면서 꺼짐량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브레이크 부재(50)는 완충장치(30)의 부근에서 차체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동링크(53)와, 브레이크 페달(51)의 움직임을 전동링크(53)의 일측으로 전달하는 제1연결로드(52)와, 전동링크(53)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동링크(53)의 움직임을 브레이크 장치(55)로 전달하는 제2연결로드(54)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51)의 움직임이 제1연결로드(52)를 통해 전동링크(53)로 전달되어 전동링크(53)를 회전시키게 되고, 전동링크(53)의 회전에 따라 제2연결로드(54)가 전후 이동하면서 브레이크 장치(55)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완충장치(30)는 차체 프레임(20)에 고정된 하부바디(31)와 캐빈 프레임(10)에 고정된 상부바디(40) 사이의 완충부재(34)를 이용하여 캐빈 프레임(10)을 탄성 지지하고, 완충부재(34)의 상측에 위치한 방진 플레이트(39)는 차체 측의 진동을 완화시켜 캐빈 프레임(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완충장치(30)에 캐빈의 하중만 가해지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고정볼트(37)의 헤드와 상부바디(40) 사이에 일정한 갭이 형성되고 방진 플레이트(39) 또한 눌려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하지만,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트랙터는 노면의 굴곡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방향의 완충장치(30)에 하중이 집중된다. 이에 따라 완충장치(30)에 구비된 방진 플레이트(39)의 밀착부(39b)가 압착되는 눌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바디(40)와 하부바디(3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보조 고정볼트(37)의 헤드에 결합된 방진캡(38)이 방진 플레이트(39)의 평판부(39a) 하측에 밀착되면서 탄성 변형되고, 이들의 고무간 접촉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된다.
또한, 트랙터의 제동을 위하여 브레이크 부재(50)의 브레이크 페달(51)을 밟게 되면, 브레이크 페달(51)의 움직임이 제1연결로드(52)와 전동링크(53) 및 제2연결로드(54)를 통해 브레이크 장치(55)로 전달되고, 브레이크 장치(55)에 의해 차체가 정지되면서 캐빈의 앞쪽이 순간적으로 하강하여 완충장치(30)에 제동하중이 더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플레이트(39)에 눌림 현상이 발생하여 방진 플레이트(39)의 밀착부(39b)가 압착되고 평판부(39a)가 상부바디(40)의 하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보조 고정볼트(37)의 헤드에 결합된 방진캡(38)이 방진 플레이트(39)의 평판부(39a) 하측에 밀착되면서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시 방진캡(38)과 방진 플레이트(39)의 고무간 접촉이 발생하게 되어 금속간 접촉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방진캡(38)이 방진 플레이트(39)와 함께 탄성 변형되어 방진 플레이트(39)의 변형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방진 플레이트(39)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방진캡(38)과 방진 플레이트(39)의 이중 절연 구조로 인해 캐빈 상부의 눌림 현상이 완화되고 캐빈으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도 줄어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캐빈 프레임 11 : 바닥 프레임
12 : 측면 프레임 20 : 차체 프레임
30 : 완충장치 31 : 고정브래킷
32 : 하부바디 32' : 수용공
33 : 지지부재 33' : 수용부
34 : 완충부재 35 : 상부와셔
36 : 보스 37 : 보조 고정볼트
38 : 러버 스토퍼(방진캡) 39 : 방진 플레이트
39a : 평판부 39b : 밀착부
40 : 상부바디 41 : 메인 고정볼트
42 : 하부캡 43 : 하부와셔
44 : 고정너트 50 : 브레이크 부재
51 : 브레이크 페달 52 : 제1연결로드
53 : 전동링크 54 : 제2연결로드
54 : 브레이크 장치

Claims (5)

  1. 캐빈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캐빈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체측의 진동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하며, 차체 프레임에 구비된 브레이크 부재의 전동링크에 의한 압력을 받는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바디와;
    캐빈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바디와;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차체측의 소음 및 진동이 캐빈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부재와;
    하부바디에 설치되며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한 지지부재와;
    완충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부바디에 밀착되는 방진 플레이트와;
    하부바디의 하측에서 완충부재의 하단을 막아주는 하부캡과;
    지지부재를 하부바디에 고정하도록 하부바디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보조 고정볼트와;
    상부바디측에서 삽입되며 방진 플레이트와 완충부재를 관통하도록 상부바디측에서 삽입되는 메인 고정볼트와;
    하부바디의 하측에서 메인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너트와;
    하부바디에 구비되어 하부바디와 상부바디 사이의 금속간 접촉을 차단하는 러버 스토퍼;를 포함하고,
    브레이크 작동시 러버 스토퍼가 방진 플레이트에 접촉되어 금속간 접촉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러버 스토퍼는 보조 고정볼트의 헤드에 각각 결합되는 방진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 고정볼트는 완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완충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와셔와 하부와셔가 개재되어 메인 고정볼트의 헤드 및 고정너트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수용부가 삽입되도록 하부바디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진 플레이트는,
    러버 스토퍼가 접촉되는 평판부와, 상부바디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평판부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원 형상의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KR1020200053641A 2020-05-06 2020-05-06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KR20210135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41A KR20210135692A (ko) 2020-05-06 2020-05-06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41A KR20210135692A (ko) 2020-05-06 2020-05-06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92A true KR20210135692A (ko) 2021-11-16

Family

ID=7871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41A KR20210135692A (ko) 2020-05-06 2020-05-06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69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911A (ja) 1999-06-23 2001-01-12 Asahi Optical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
JP2003237621A (ja) 2002-02-19 2003-08-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キャビンの防振支持構造
JP2004074940A (ja) 2002-08-20 2004-03-1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の振動低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911A (ja) 1999-06-23 2001-01-12 Asahi Optical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
JP2003237621A (ja) 2002-02-19 2003-08-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キャビンの防振支持構造
JP2004074940A (ja) 2002-08-20 2004-03-1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の振動低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5234A (en) Stabilizing and isolation system for a vehicle cab
KR20210135692A (ko) 트랙터용 캐빈의 완충장치
JPH10204924A (ja) 運転室付き作業機
KR20030040959A (ko) 차량용 공기 스프링
KR20010056013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853921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장치
KR100356654B1 (ko) 프레임 타입 차량의 차체 마운팅
KR100501375B1 (ko)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팅구조
KR100836925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유닛
KR20040032394A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터 브라켓 어셈블리
KR200161611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80021408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9990027561U (ko) 버스의 에어 스프링 설치구조
KR0113065Y1 (ko) 전동 리치 트럭의 플로워 플레이트
KR200300862Y1 (ko)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KR20060016334A (ko)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KR20020055049A (ko) 자동차의 프론트 캡 에어 스프링의 장착구조
KR20220136645A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KR0126063Y1 (ko) 자동차폐달의 충격흡수용 압축코일스프링의 설치구조
KR20030083111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0181865B1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9980057778A (ko) 캐빈 마운팅 결합장치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KR100394955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100588670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