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334A -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334A
KR20060016334A KR1020040064739A KR20040064739A KR20060016334A KR 20060016334 A KR20060016334 A KR 20060016334A KR 1020040064739 A KR1020040064739 A KR 1020040064739A KR 20040064739 A KR20040064739 A KR 20040064739A KR 20060016334 A KR20060016334 A KR 2006001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topper
suspension arm
bumper
stopp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6334A/ko
Publication of KR2006001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5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combination o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9Suspension element selection procedure depending on loading or performance requirements, e.g. selection of damper, spring or b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호를 그리며 상측으로 이동되는 현가암이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범퍼스토퍼와; 상기 범퍼스토퍼 상단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내부브라켓과; 상기 내부브라켓에는 상기 범퍼스토퍼가 상기 현가암과 수직으로 접하도록 탄성적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범퍼스토퍼 상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설치높이가 다르도록 편심되게 설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범퍼스토퍼가 현가암과 접하여 작동됨에 있어서, 범퍼스토퍼와 접촉부가 수직으로 접하도록 탄성부재를 사용하게 되어 범퍼스토퍼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이 향상된다.
범퍼스토퍼, 탄성부재, 현가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bumper stopper in car}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동작된 상태의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A" 부분을 상세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현가장치 32 : 차체
34 : 상부브라켓 36 : 패드
38 : 코일스프링 40 : 내부브라켓
42 : 고정편 50 : 돌기부
52 : 하측돌기 54 : 상측돌기
60 : 탄성부재 70 : 장착편
72 : 걸림편 80 : 취부패널
85 : 범퍼스토퍼 90 : 크로스멤버
92 : 현가암 94 : 장착홈
96 : 접촉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퍼스토퍼가 압축됨에 따라서 현가암과 만나는 접촉부와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에 의한 범퍼스토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범퍼스토퍼 상측에 편심된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범퍼스토퍼와 접촉부가 직각을 이루며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범퍼스토퍼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구동축은 엔진의 출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말하며, 변속기에서 종감속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종 감속 장치에서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 등이 있다.
이중에서, 종감속 장치에서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는 액슬 샤프트라고도 하며, 액슬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상기 액슬 하우징은 상기 액슬 샤프트 뿐 아니라 종감속 장치 및 차동기어 장치를 감싸는 튜브 형상의 부재이며, 종감속 장치가 들어 있는 부분의 형식에 따라 밴조 악기 모양과 비슷한 밴조형(banjo axle), 하우징을 거의 중앙에서 좌우로 분할한 스플릿형(split type), 및 종감속 장치와 캐리어(housing)에 액슬 샤프트의 케이스를 붙인 형식의 빌드업형(build-up type)이 있다.
이러한 액슬 하우징은 또한 현가 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차량의 운행시 노면의 상태에 따라 상하로 요동된다. 따라서, 액슬 하우징 상부의 차체 프레임에는 상기 액슬 하우징의 요동을 제한하기 위한 범퍼 스토퍼가 장착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현가장치(1)는 차체(3)에 부착되는 상부브라켓(5)의 내측에는 패드(7)에 의하여 코일스프링(9)의 상측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5) 하측에는 내부브라켓(11)과 범퍼스토퍼(13)가 차례로 설치된다.
그리고, 하측에는 크로스멤버(15) 부분에 힌지 연결된 현가암(17)이 구비되며, 상기 코일스프링(9)의 하측이 장착되도록 상기 현가암(17)의 대응되는 부분에는 장착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범퍼스토퍼(13)와 접하는 상기 현가암(17)에는 접촉부(2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크로스멤버(15) 부분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된 현가암(17)은 차체 운전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크로스멤버(1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1차로 상기 코일스프링(9)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며, 2차로 상기 범퍼스토 퍼(13)가 접촉부(21)와 접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접촉부(21)가 연결된 현가암(17)은 원호를 그리며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범퍼스토퍼(13)는 고정된 상태로 인하여, 상기 범퍼스토퍼(13)와 상기 접촉부(21)는 경사진 상태의 접촉상태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범퍼스토퍼(13)에는 지속적인 편심압축으로 인한 내구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스토퍼와 원호를 그리며 상측으로 이동되는 현가암의 접촉되는 각도가 직각을 이루지 못하는 것에 의하여 범퍼스토퍼에 편심하중이 발생되며, 이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호를 그리며 상측으로 이동되는 현가암이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범퍼스토퍼와; 상기 범퍼스토퍼 상단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내부브라켓과; 상기 내부브라켓에는 상기 범퍼스토퍼가 상기 현가암과 수직으로 접하도록 탄성적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범퍼스토퍼 상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설치높이가 다르도록 편심되게 설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내부브라켓 내측면에서 높이가 서로 다른 상측돌기와 하측돌기에 의하여 상측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편심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범퍼스토퍼가 현가암과 접하여 작동됨에 있어서, 범퍼스토퍼와 접촉부가 수직으로 접하도록 탄성부재를 사용하게 되어 범퍼스토퍼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동작된 상태의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서 "A" 부분을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현가장치(30)가 설치되는 차체(32)의 하부에는 내측 공간을 갖는 상부브라켓(34)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브라켓(34)의 내측 둘레에는 패드(36)가 설치되어, 코일스프링(38)의 상단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34) 내측면에 고정되는 내부브라켓(40)의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브라켓(40)의 하측면은 통공되어 있으며, 그 주변은 절곡 형성된 고정편(42)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브라켓(40) 내측면에는 돌기부(5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돌기(52)와 상측돌기(54)로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갖게 된다.
상기 돌기부(50)에 의하여 고정되는 탄성부재(6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상측은 상측돌기(54)와 하측돌기(52)에 걸려서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60)의 형상은 상측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은 평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60)의 하측을 지지하는 장착편(70)은 상기 내부브라켓(40)의 고정편(42)에 걸리도록 측면에 걸림편(7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편(70) 하측에는 취부패널(80)이 고정되며, 상기 취부패널(80) 내측에는 범퍼스토퍼(85)가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에는 크로스멤버(90) 부분에 힌지 연결된 현가암(92)이 구비되며, 상기 코일스프링(38)의 하측이 장착되도록 상기 현가암(92)의 대응되는 부분에는 장착홈(9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범퍼스토퍼(85)와 접하는 상기 현가암(92)에는 접촉부(9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크로스멤버(90) 부분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된 현가암(92)은 차량 운전이나 외부에서 충격등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크로스멤버(9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원호를 그리며 상측으로 이동된 현가암(92)은 상기 코일스프링(38)에 의하여 충격이 1차로 흡수되며, 상기 범퍼스토퍼(85)가 상기 현가암(92)의 접촉부(96)와 접하면서 2차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범퍼스토퍼(85)가 상기 원호를 그리며 상측으로 이동된 현가암(92)의 접촉부(96)와 접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퍼스토퍼(85)의 상단은 상기 접촉부(96)와 수직을 이루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탄성부재(60)도 경사진 방향으로 압축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60)의 압축 동작에 의하여 상기 범퍼스토퍼(85)는 상기 접촉부(96)와 수직으로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접촉부(96)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범퍼스토퍼(85)는 초기 장착위치로 복원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에 의하면, 범퍼스토퍼의 상단이 편심되게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범퍼스토퍼가 경사진 동작상태를 갖는 것에 의하여, 상기 범퍼스토퍼와 원호를 그리며 상측으로 이동되는 현가암의 접촉되는 각도가 직각을 이루게되어 상기 범퍼스토퍼에 편심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원호를 그리며 상측으로 이동되는 현가암이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범퍼스토퍼와;
    상기 범퍼스토퍼 상단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내부브라켓과;
    상기 내부브라켓에는 상기 범퍼스토퍼가 상기 현가암과 수직으로 접하도록 탄성적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범퍼스토퍼 상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설치높이가 다르도록 편심되게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내부브라켓 내측면에서 높이가 서로 다른 상측돌기와 하측돌기에 의하여 상측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편심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KR1020040064739A 2004-08-17 2004-08-17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KR20060016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39A KR20060016334A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39A KR20060016334A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34A true KR20060016334A (ko) 2006-02-22

Family

ID=3712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739A KR20060016334A (ko) 2004-08-17 2004-08-17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63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648B1 (ko) * 2007-05-25 2008-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범프스토퍼용 컵
KR101294567B1 (ko) * 2007-12-07 201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DE102019218641A1 (de) * 2019-11-29 2021-06-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srichten einer Feder gegenüber einem Auflageel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648B1 (ko) * 2007-05-25 2008-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범프스토퍼용 컵
KR101294567B1 (ko) * 2007-12-07 201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DE102019218641A1 (de) * 2019-11-29 2021-06-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srichten einer Feder gegenüber einem Auflagee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6334A (ko)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JP2000142053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100813025B1 (ko) 자동차 서스펜션 휠
KR20030040959A (ko) 차량용 공기 스프링
KR101372115B1 (ko) 자동차용 ctba 타입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KR100853921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장치
KR101941920B1 (ko)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KR100456967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고정구조
KR100836925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유닛
KR20060114128A (ko) 마운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KR100535085B1 (ko)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KR100188539B1 (ko) 자동차용 미션 충격완충댐퍼
KR100348079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아암 장착 구조
KR100229167B1 (ko) 일체형 더스트커버를 가진 차량용 쇽업소버의 스트럿마운팅
KR200161610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JP2002127812A (ja) 車両のヘッドランプ取付装置
KR200147931Y1 (ko)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JP2008221946A (ja) 弾性部材
KR20210045069A (ko) 차량용 언더커버
KR20100038996A (ko)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KR19990025221U (ko) 쇽업쇼바용 더스트커버의 고정구조
KR19980029746A (ko) 차량용 스트럿마운팅러버 구조
KR19980064448U (ko) 자동차용 리프스프링의 지지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