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567B1 -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567B1
KR101294567B1 KR1020070126693A KR20070126693A KR101294567B1 KR 101294567 B1 KR101294567 B1 KR 101294567B1 KR 1020070126693 A KR1020070126693 A KR 1020070126693A KR 20070126693 A KR20070126693 A KR 20070126693A KR 101294567 B1 KR101294567 B1 KR 10129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bumper
plate
bumper stopper
st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697A (ko
Inventor
정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5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와 스톱퍼 플레이트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20)가 접촉되는 스톱퍼 플레이트(10)는 범퍼 스톱퍼(20)와 처음 만나는 시점에서 범퍼 스톱퍼(20)가 최대로 압축되는 시점까지 기울기와 같게끔 설정이 되어 있어서 범퍼 스톱퍼(20)가 닿는 시점까지 일정한 기울기가 생기게 되고, 범핑(Bumping)시 범퍼 스톱퍼(20)와 스톱퍼 플레이트(10) 사이에 자연스럽게 슬립(slip)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범프 스톱퍼(20)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고 승차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상부면에 범퍼 스톱퍼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스톱퍼 플레이트를 힌지축을 통해 범퍼 스톱퍼의 접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범퍼 스테이에 힌지 결합하여서 되는 것과, 스톱퍼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지지막대를 마련하고, 스테이의 내부에 가이드 브라켓트를 설치하며, 지지막대 가이드의 지지막대 접촉단에 완충스톱퍼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범퍼 스톱퍼와 스톱퍼 플레이트 간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범퍼 스톱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차량 리바운드시 승차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범퍼 스톱퍼, 스톱퍼 플레이트, 슬립

Description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a bumper stoper silp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와 스톱퍼 플레이트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범퍼 스톱퍼의 접촉방향에 맞추어 스톱퍼 플레이트가 회전하면서 양 부재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의 요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종래에는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20)가 접촉되는 스톱퍼 플레이트(10)는 범퍼 스톱퍼(20)와 처음 만나는 시점에서 범퍼 스톱퍼(20)가 최대로 압축되는 시점까지 기울기와 같게끔 설정이 되어 있어서 범퍼 스톱퍼(20)가 닿는 시점까지 일정한 기울기가 생기게 되고, 범핑(Bumping)시 범퍼 스톱퍼(20)와 스톱퍼 플레이트(10) 사이에 자연스럽게 슬립(slip)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 범퍼 스톱퍼(20)는 범핑 최대 스트로크를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이면서 차량 승차감을 가지는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스톱퍼 플레이트(10)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면서 범퍼 스톱퍼(20)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고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도 2에는 범퍼 스톱퍼의 슬립이 발생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스톱퍼 플레이트(10)만을 리바운드(Rebound)에서부터 범퍼 스톱퍼(20)가 닿는 부분까지 범핑시킨 궤적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스톱퍼 플레이트 궤적 예시도와 같이 스톱퍼 플레이트(10)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범프(Bump)를 하면서 약간의 타원에 모양을 보이면서 운동을 하게 되며,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범퍼 스톱퍼(20)와 슬립이 발생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범퍼 스톱퍼(20)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범퍼 스톱퍼가 스톱퍼 플레이트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슬립을 방지하여 범퍼 스톱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물론 차량의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범퍼 스톱퍼가 접촉되는 스톱퍼 플레이트를 범퍼 스톱퍼의 접촉방향과 같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는 상부면에 범퍼 스톱퍼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스톱퍼 플레이트를 힌지축을 통해 범퍼 스톱퍼의 접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범퍼 스테이에 힌지 결합하여서 되는 것이며, 스톱퍼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지지막대를 마련하고, 스테이의 내부에 가이드 브라켓트를 설치하며, 지지막대 가이드의 지지막대 접촉단에 완충스톱퍼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톱퍼 플레이트의 힌지 포인트는 범퍼 스톱퍼 센터 포인트보다 앞쪽에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범퍼 스톱퍼와 스톱퍼 플레이트 간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범퍼 스톱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차량 리바운드시 승차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서스펜션 암에서 범퍼 스톱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기존 스트로크양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중량을 저감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a 및 도 6b에는 동 실시예의 작동상태의 요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는 동 실시예의 일부 절제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는 상부면에 범퍼 스톱퍼(20)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스톱퍼 플레이트(10)를 힌지축(11)을 통해 범퍼 스톱퍼(20)의 접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범퍼 스테이(30)에 힌지 결합하여서 되는 것이다.
아울러 스톱퍼 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지지막대(12)를 마련하고, 스테이(30)의 내부에 가이드 브라켓트(13)를 설치하며, 각 가이드 브라켓트(13)의 지지막대 접촉단에 완충스톱퍼(14)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6b와 같이 스톱퍼 플레이트(10)의 힌지 포인트(a)는 범퍼 스톱퍼 센터 포인트(b)보다 앞쪽에 있어서야 한다.
즉, 스톱퍼 플레이트 힌지 포인트(a)가 너클쪽으로 앞에 위치하게 되면 아래에서 올라오는 리바운드 힘이 작용하여서 지탱하고 있는 스톱퍼 플레이트(10)와 범 퍼 스톱퍼(10)는 평행하게 된다.
도 6a는 풀 리바운드시 범퍼 스톱퍼(20)가 접촉할 때까지 스톱퍼 플레이트(10)의 위치 및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스톱퍼 플레이트(10)에 범퍼 스톱퍼(20)가 접촉하게 되면 아래에서 올라오는 라비운드 힘에 의해서 도 6b와 같이 스톱퍼 플레이트(10)가 위치가 변하면서 저절로 범퍼 스톱퍼(20)와 스톱퍼 플레이트(10)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평행하게 되며, 그 이유는 도 5에 도시한 스톱퍼 플레이트 힌지 가상축(R1)이 범퍼 스톱퍼 힌지 가상축(R2)보다 앞쪽에 있기 때문에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스톱퍼 플레이트(10)가 범퍼 스톱퍼(20) 아래 평면과 일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톱퍼 플레이트 힌지 가상축(R1)이 앞에 있더라도 범퍼 스톱퍼(20)와 스톱퍼 플레이트(10) 사이의 평행하게 되는 부분을 가상축만으로 잡기 힘들기 때문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톱퍼 플레이트(10) 양측에 마련되는 지지막대(12)가 접촉되는 양쪽 가이드 브라켓트(13)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고무재질에 완충스톱퍼(14)를 설치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이상적인 부분이 아닌 현실적인 기술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존 스톱퍼 플레이트 중량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의 설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의 요부 정면도
도 2는 스톱퍼 플레이트 궤적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정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요부 저면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동 실시예의 작동상태의 요부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동 실시예의 일부 절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스톱퍼 플레이트 11 : 힌지축
12 : 지지막대 13 : 가이드 브라켓트
14 : 완충스톱퍼 20 : 범퍼 스톱퍼

Claims (2)

  1. 상부면에 범퍼 스톱퍼(20)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스톱퍼 플레이트(10)를 힌지축(11)을 통해 범퍼 스톱퍼(20)의 접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범퍼 스테이(30)에 힌지 결합한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지지막대(12)를 마련하고, 스테이(30)의 내부에 가이드 브라켓트(13)를 설치하며, 각 가이드 브라켓트(13)의 지지막대 접촉단에 완충스톱퍼(1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2. 삭제
KR1020070126693A 2007-12-07 2007-12-07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KR10129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93A KR101294567B1 (ko) 2007-12-07 2007-12-07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93A KR101294567B1 (ko) 2007-12-07 2007-12-07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97A KR20090059697A (ko) 2009-06-11
KR101294567B1 true KR101294567B1 (ko) 2013-08-07

Family

ID=4098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693A KR101294567B1 (ko) 2007-12-07 2007-12-07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5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882U (ko) * 1994-06-25 1996-01-17 차량의 코일 스프링 시트판 구조
KR20060016334A (ko) * 2004-08-17 200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KR20060120731A (ko) * 2005-05-23 2006-1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882U (ko) * 1994-06-25 1996-01-17 차량의 코일 스프링 시트판 구조
KR20060016334A (ko) * 2004-08-17 200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KR20060120731A (ko) * 2005-05-23 2006-1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97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3940B2 (ja) 装軌車両の走行装置
JP5367410B2 (ja) 作業用装軌車両の走行装置
KR20010013089A (ko) 이중 트레일링암을 갖춘 차량서스펜션
RU2012114834A (ru)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гибким в попереч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соединением кузова вагона и ход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WO2009054788A1 (en) Scissor-arm suspension for vehicle seat allowing sidewise movement of the seat
JP2516568B2 (ja) 自動車のロ―ル抑制装置
KR101294567B1 (ko)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JP2004098874A (ja) スタビライザ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JP200414270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20054255A (ko) 멀티링크 서스펜션의 구조
JP2004306805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509649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547481B1 (ko) 차량모듈 연결을 위한 관절장치
KR100501388B1 (ko) 프런트캡 틸팅용 서스펜션
KR100348058B1 (ko) 트럭의 토션 바아 아암 지지장치
JPS6350220Y2 (ko)
KR101270344B1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
US20220242192A1 (en) Anti-roll wheel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nti-roll of a vehicle with an anti-roll wheel suspension system
KR100527741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448790B1 (ko) 트럭의 리어서스펜션 헬퍼스프링의 차체지지구조
KR101043129B1 (ko) 차량용 독립식 현가장치
JPH0230364Y2 (ko)
KR20080023432A (ko) 리프 서스펜션 시스템
KR200246569Y1 (ko) 차량용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리바운드 완충장치
US1977547A (en) Vehicle susp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