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731A -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731A
KR20060120731A KR1020050042831A KR20050042831A KR20060120731A KR 20060120731 A KR20060120731 A KR 20060120731A KR 1020050042831 A KR1020050042831 A KR 1020050042831A KR 20050042831 A KR20050042831 A KR 20050042831A KR 20060120731 A KR20060120731 A KR 20060120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stop
vehicle
lower arm
spring sheet
arm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0731A/ko
Publication of KR2006012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로어암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스프링시트와 범프 스톱 컵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용접공수를 줄일 뿐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로어암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로어암, 스프링, 시트, 범프 스톱 컵

Description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로어암어셈블리{Spring sheet assembly and Lower arm assembly for vehicl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사시도.
도 2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조립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0 : 하부패널 600 : 측부패널
700 : 스프링시트 710 : 바닥
720 : 측벽 730 : 상부플랜지부
800 : 범프 스톱 컵 810 : 캡부
820 : 돌기부 830 : 플랜지부
710a : 관통공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로어암어셈 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스프링시트와 범프 스톱 컵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용접공수를 줄일 뿐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로어암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로어암 어셈블리는, 측부패널(60), 상기 측부패널(6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패널(50), 상기 측부패널(60) 상단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을 따라 상부패널플랜지가 형성된 상부패널(70),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중심부에 범프 스톱 컵(81)이 형성된 스프링시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부패널(60)은 제1측부패널(61)과 제2측부패널(62)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패널(50)은 측부패널(60)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스프링시트(80) 하단에 고정된다.
상부패널(70)은 제1측부패널(61)과 제2측부패널(62) 사이에 삽입되어 측부패널(60) 상단에 배치된다.
상부패널(70) 중심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주위에는 상부패널플랜지가 형성되어 측부패널(60)에 연결된다.
스프링시트(8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면(82)과 측벽(83)으로 이루어지며, 저면(82)에는 그 중심부에 범프 스톱 컵(80)이 형성되어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측벽(83)은 상부패널(70)과 소정길이 겹쳐질 만큼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스프링시트(80)가 삽입공에 삽입된 후 측벽(83)과 상부패널(70)은 용접되어 고정되게 된다.
한편, 코일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부패널(70)의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일단은 스프링시트(80)의 안착홈에 위치고정되도록 안착되게 된다.
이로써, 차량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입력하중이 전달되어 오면 코일스프링이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을 일으키면서 그 충격력을 완충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차체쪽으로의 충격전달이 최소화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시트(80)는 차량 주행시 휠이 일정높이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하며, 성형시 측벽의 성형 높이가 너무 높아서 상부패널(70)과 스프링시트(80)로 나누어 용접하여 형성한다. 이로 인한 용접추가로 인해서 품질이 저하되고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프링 시트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용접공수를 줄일 뿐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로어암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는 바닥과 측 벽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시트와, 범프 스톱 컵과, 상기 범프 스톱 컵을 상기 바닥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시트와 범프 스톱 컵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용접공수를 줄일 뿐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는 삽입홈이 형성된 로어암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바닥(710)과 측벽(720)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시트(700)와, 범프 스톱 컵(800)과, 상기 범프 스톱 컵(800)을 상기 바닥(710)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어암은 측부패널(600)과, 상기 측부패널(6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패널(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부패널(600)은 상부 및 하부에 절곡부가 형성된다.
측부패널(600)은 제1측부패널과 제2측부패널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스프링시트(7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스프링시트(700)는 바닥(710)과 바닥(710)을 둘러싼 측벽(720)으로 이루어진 접시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720) 둘레에는 상부플랜지부(730)를 형성하여 측부패널(600)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시트(700)의 상부플랜지부(730)는 상기 상부절곡부와 연결되어 상부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패널(500)의 일단에는 하부절곡부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바닥(710)의 하면과 연결되어 하부공간부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공간부를 형성할 때, 각 면을 중첩시켜서 연결하되 용접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바닥(710)은 스프링의 하단과 접촉하여 압축시 스프링을 종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측벽(720)은 스프링의 압축시 횡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시트(700)의 바닥(710)에는 범프 스톱 컵(800)이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범프 스톱 컵(800)은 스프링의 흔들거림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의 위치를 결정지음으로써, 제작과정에서도 스프링과 스프링시트(70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범프 스톱 컵(800)은 단조로 제작되며, 상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캡부(810)와, 상기 캡부(810) 자유단에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부(8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부(810)는 상면은 각부분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부(830)가 형성되어 범프 스톱 컵(800)이 안정적으로 바닥(7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바닥(710)에 관통공(710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710a)에 캡부(810) 하면에 형성된 돌기부(820)를 삽입한 후 그 끝단을 확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돌기부(820)는 속이 빈 중공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관통공(710a) 및 돌기부(820)는 단면이 원형상이 아닌 일부분이 찌그러진 폐곡선(예를 들어 오뚜기형상)으로 형성되어 확관이 용이하면서, 확관이 된 후에도 쉽게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면(710)에 대한 캡부(810) 상면의 상대적인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로어암어셈블리를 성형하는 공정이 단순해지면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도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에 따르면, 다 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프링시트의 바닥에 범프 스톱 컵을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용접공수를 줄일 뿐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바닥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범프 스톱 컵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부로 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스프링시트와 상기 범프 스톱 컵을 결합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찌그러진 폐곡선의 중공관으로 하여, 돌기부 끝단을 확관하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범프 스톱 컵이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 역할도 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범프 스톱 컵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캡부와, 상기 캡부 자유단에 형성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범프 스톱 컵이 안정적으로 상기 스프링시트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9)

  1.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시트;
    범프 스톱 컵;
    상기 범프 스톱 컵을 상기 바닥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바닥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범프 스톱 컵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찌그러진 폐곡선의 중공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시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스톱 컵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캡부와, 상기 캡부의 자유단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5. 삽입홈이 형성된 로어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시트;
    범프 스톱 컵;
    상기 범프 스톱 컵을 상기 바닥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은 측부패널과, 상기 측부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부패널은 상부 및 하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절곡부와 상기 스프링시트가 연결되어 상부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절곡부와 상기 하부패널이 연결되고 상기 바닥과 상기 하부패널이 연결되어 하부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바닥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범프 스톱 컵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단면이 찌그러진 폐곡선의 중공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스톱 컵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캡부와, 상기 캡부의 자유단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어암어셈블리.
KR1020050042831A 2005-05-23 2005-05-23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KR20060120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31A KR20060120731A (ko) 2005-05-23 2005-05-23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31A KR20060120731A (ko) 2005-05-23 2005-05-23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731A true KR20060120731A (ko) 2006-11-28

Family

ID=3770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831A KR20060120731A (ko) 2005-05-23 2005-05-23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07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567B1 (ko) * 2007-12-07 201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CN111806182A (zh) * 2019-04-11 2020-10-23 德国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单壳式弹簧控制臂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567B1 (ko) * 2007-12-07 201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륜 범퍼 스톱퍼 슬립 방지구조
CN111806182A (zh) * 2019-04-11 2020-10-23 德国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单壳式弹簧控制臂
CN111806182B (zh) * 2019-04-11 2024-03-08 德国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单壳式弹簧控制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1734B (zh) 车辆的前部车体构造
KR101732063B1 (ko) 볼 조인트 일체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암 및 그 제조 방법
JP5142073B2 (ja) 後部車体構造
JP5000235B2 (ja) シリンダ装置
CN105593043A (zh) 车体框架和车辆底板下侧结构
US6402172B1 (en) Suspension frame construction
CN101319697A (zh) 筒形隔振装置
KR20060120731A (ko)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로어암어셈블리
CN104924871A (zh) 车辆的悬架
EP3290241A1 (en) Hybrid lower arm
JP4859833B2 (ja) 横揺れ防止機能を組み入れた横梁を含む自動車のフレキシブルアクスルと、対応する横梁および自動車の製造方法
JP4759855B2 (ja) 鋼構造物の水平2軸免震装置
CN110588798A (zh) 后缓震座及汽车
WO2014136261A1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5569974B2 (ja) ゴムストッパ
KR20160139859A (ko) 자동차용 하프타입 서브프레임
CN217814529U (zh) 一种固定防震型汽车底盘球销
JP6737550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14173703A (ja) 防振装置
CN116902076B (zh) 一种车辆的底盘
CN211258770U (zh) 一种排气管吊钩
JP2006168641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5676932B2 (ja) 振動衝撃力緩衝装置及び該振動衝撃力緩衝装置を含む立体駐車場
KR20080107038A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JP4994189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