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931Y1 -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931Y1
KR200147931Y1 KR2019940031557U KR19940031557U KR200147931Y1 KR 200147931 Y1 KR200147931 Y1 KR 200147931Y1 KR 2019940031557 U KR2019940031557 U KR 2019940031557U KR 19940031557 U KR19940031557 U KR 19940031557U KR 200147931 Y1 KR200147931 Y1 KR 200147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clamp
vehicle
bolt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786U (ko
Inventor
김순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31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931Y1/ko
Publication of KR960016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7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13Mountings on the ax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액슬에 평행 판스프링을 현가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소음을 방지하고, 판스프링의 횡방향 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판스프링(1)의 센터부 상하에 고무패드(2)(2')를 대고 클램프(3)를 덮은 후 시트 (4)에 블트(5)로 고정하고, 시트(4)를 U 볼트(6)(6')로서 U 볼트(6)(6')가 클램프(3)에 접촉되게 리어 액슬 하우징(7)에 고정한 것에 있어서, 판스프링(1)중 제 2 판스프링(11)의 센터부 양측에 지지판(12)(12')을 제 2 판스프링(11)과 일체로 형성하여 고무패드(2)(2')의 측벽과 동일면으로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클램프(3)의 내면과 접촉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A-A 선에 따른 종래의 것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 스프링 2, 2' : 고무패드
3 : 클램프 4 : 시트
6, 6' : U볼트 11 : 제 2 판스프링
12, 12' : 지지판
본 고안은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어 액슬에 평행 판스프링 (1)을 현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리어 액슬에 평행 판스프링을 현가하는 구조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의 센터부 상하에 타이어의 진동을 절연하기 위한 고무패드(2)(2')를 대고 클램프(3)를 덮은 후 시트(4)에 볼트(5)로 고정하고, 시트(4)를 U 볼트(6)(6')로서 U 블트(6)(6')가 클램프(3) 에 접촉되게 리어 액슬 하우징(7)에 고정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고무패드(2)(2')는 탄성이 풍부하고 판스프링(1)과 클램프(3) 또는 U 볼트(6) 사이의 유격으로 인하여 판스프링(1)의 센터부에서 비틀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판스프링(1)의 끝에서는 많은 양의 비틀림이 발생하므로서 판 스프링(1)과 를램프(3)에서 소음이 발생될 뿐 아니라 판스프링(1)의 횡방향의 강성이 저하되어서 자동차의 조향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판스프링의 횡방향 강성을 증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스프링의 센터부 상하에 고무패드를 대고 클램프를 덮은 후 시트에 블트로 고정하고, 시트를 U 볼트로 리어 액슬 하우징에 고정한 것에 있어서, 판스프링중 제 2 판스프링의 센터부 양측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클램프의 내면과 접촉되게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의 센터부 상하에 고무패드 (2)(2')를 대고 클램프(3)를 덮은 후 시트(4)에 볼트(5)로 고정하고, 시트(4)를 U 볼트(6)(6')로서 U 볼트(6)(6')가 를램프(3)에 접촉되게 리어 액슬 하우징(7)에 고정한 것에 있어서, 판스프링 (1)중 계 2 판스프링(11)의 센터부 양측에 지지판(12)(12')을 제 2 판스프링(11)과 일체로 형성 하여 고무패드(2)(2')의 측벽과 동일면으로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클램프(3)의 내면과 접촉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판스프링(1)중 제 2 판스프링(11)의 센터부 양측에 지지판(12)(12')을 일체로 형성하여 고무패드(2)(2')의 연결부를 통하여 클램프(3)의 내면과 접촉되고 를램프(3)는 U 볼트(6)(6')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고무패드(2)(2') 측벽의 탄성변형이 억제되어 판스프링(1)에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판스프링중 제 2 판스프링의 센터부 양측에 지지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클램프의 내면과 접촉되게 하였으므로 제 2 판스프링의 지지판, 클램프 및 U 볼트가 상호 접촉 되어서 고무패드의 탄성변형을 억제할 뿐 아니라 판스프링 자체의 비틀림도 발생되지 않아서 판 스프링과 클램프 사이등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판스프링의 횡방향 강성이 증대되어 차체의 롤링도 없으므로 조향성능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판스프링의 센터부 상하에 고무패드를 대고 클램프를 덮은 후 시트에 볼트로 고정하고, 시트를 U 볼트로 리어 액슬 하우징에 고정한 것에 있어서, 판스프링중 제 2 판스프링의 센터부 양측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클램프의 내면과 접촉되게 한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KR2019940031557U 1994-11-28 1994-11-28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KR200147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557U KR200147931Y1 (ko) 1994-11-28 1994-11-28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557U KR200147931Y1 (ko) 1994-11-28 1994-11-28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786U KR960016786U (ko) 1996-06-17
KR200147931Y1 true KR200147931Y1 (ko) 1999-06-15

Family

ID=1939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557U KR200147931Y1 (ko) 1994-11-28 1994-11-28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9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786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6847B2 (ja) 自動車の車体下部構造体の下面部のための被覆装置および自動車
US7445076B2 (en) Drive motor mounting structure
KR200147931Y1 (ko) 자동차의 평행 판스프링 현가구조
CN210082868U (zh) 稳定杆固定装置、稳定杆总成以及车辆
JPS5871225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支持装置
KR100410846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구
KR200179255Y1 (ko) 판스프링의 클램프구조
JPH01126447A (ja) 防振マウント
JPH0431137Y2 (ko)
KR200147379Y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JPH0714128Y2 (ja) キャブマウント
KR200178377Y1 (ko) 자동차의 판 스프링형 현가장치
JPH051503Y2 (ko)
JPS595608Y2 (ja) 緩衝器のバンプクツシヨン
JPH0126916B2 (ko)
JPH063722Y2 (ja) バンパ構造
KR0140743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20060016334A (ko)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JPH04212674A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車体取付装置
KR200211030Y1 (ko) 차량용 현가장치 고정 차체구조
KR200146469Y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팅구조
JPH0318261Y2 (ko)
KR200169117Y1 (ko) 자동차의 리프스프링
JPH027701Y2 (ko)
KR0122048Y1 (ko) 자동차 리어 판스프링용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