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670B1 -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670B1
KR100588670B1 KR1020030075585A KR20030075585A KR100588670B1 KR 100588670 B1 KR100588670 B1 KR 100588670B1 KR 1020030075585 A KR1020030075585 A KR 1020030075585A KR 20030075585 A KR20030075585 A KR 20030075585A KR 100588670 B1 KR100588670 B1 KR 10058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frame
inclined surface
bush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391A (ko
Inventor
배경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6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바디와 프레임 사이에 볼트로 장착되는 어퍼 부시와 로워 부시가 구비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 장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좌우 방향 거동시 상기 어퍼 부시를 통해 상기 바디쪽으로 하중이 전달되도록 상기 바디측과 프레임측에 각각 하중 전달부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하중 전달부는 상기 바디에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바디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상기 하중 전달부는 상기 바디측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어퍼 플레이트에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거동시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어퍼 부시를 통해서 대부분의 하중이 차체측인 바디로 전달되고 일부분의 하중만이 볼트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도록 하여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크게 저감하도록 한 것이다.
바디, 프레임, 마운팅, 인장-압축 변형, 전단 변형

Description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BODY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의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디 15 ; (바디의) 경사면
20 ; 프레임 25 : (프레임의) 경사면
30 ; 어퍼 부시 40 ; 로워 부시
50 ; 어퍼 플레이트 55 ; (어퍼 플레이트의) 경사면
60 ; 로워 플레이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전후좌우 방향 거동시 어퍼 부시를 통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차체측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충격 및 진동을 저감하도록 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차체와 프레임간의 연결 방식은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부시에 의한 바디 마운팅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와 프레임(2) 사이에 부시를 배치하여 바디에 볼트(B)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구조로서, 프레임(2)의 상측에는 어퍼 부시(3)를 바디(1)와의 사이에 설치하고, 프레임(2)의 하측에는 로워 부시(4)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바디 마운팅 구조에서는 노면으로부터 프레임(2)으로 전달된 하중이 일부는 부시(3)(4)를 거쳐서 바디(1)로 전달되고, 또 다른 부분은 부시(3)(4)를 통해서 볼트(B)로 전달되어 다시 볼트(B)를 통해서 바디(1)로 전달되는 하중 전달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하중 전달 구조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은 대부분 어퍼 및 로우 부시(3)(4)를 통해서 전달되며 일부가 볼트(B)를 통해서 바디(1)로 전달되는데 반하여, 전후좌우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은 거의 대부분이 볼트(B)를 통해서 바디(1) 즉, 차체로 전달된다.
따라서 입력되는 하중 중에서 전후좌우 방향의 입력 하중의 경우에는 볼트의 차체 취부 강성이 매우 중요한 설계인자가 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종래의 마운팅 구조는 차체에 볼트가 한점으로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취부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볼트의 차체 취부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보강 구조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으로부터 프레임에 가해지는 전후좌우 방향의 입력하중에 대한 차체측으로의 하중 전달 경로를 변경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노면의 충격 및 진동 특성을 개선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디와 프레임 사이에 어퍼 부시가 개재되어 상기 바디와 프레임 및 어퍼 부시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가 구비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어퍼 부시의 내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볼트측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차단하는 하중차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하중차단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어퍼 부시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하중차단부에 차단되는 하중을 바디측으로 전달받는 하중흡수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차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볼트를 향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중흡수부는 상기 바디중 일부면이 상기 하중차단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차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볼트를 향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중흡수부는 상기 바디와 어퍼 부시 사이에 어퍼 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상기 하중차단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프레임의 전후좌우 방향 거동시 하중 전달 방향의 작용도이 며, 도 3b는 프레임의 전후좌우 방향 거동시 부시의 변형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는 바디(10)와 프레임 (20)사이에 어퍼 부시(30)가 개재되고, 상기 프레임(20)의 하면에 로워 부시(40)가 설치되어 상기 어퍼 부시(30)와 로워 부시(40)를 관통하여 볼트(B)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어퍼 부시(30)의 상면에는 어퍼 플레이트(50)가 조립되고, 상기 로워 부시(40)의 하면에는 로워 플레이트(60)가 조립된 상태로 볼트(B)가 관통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프레임(20)에 가해지는 하중 중 특히 횡방향(전후좌우 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이 볼트(B)측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개선하여 상기 어퍼 부시(30)를 통해서 바디(10)측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0)에서 볼트(B)를 둘러싸는 내측에는 횡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달되는 횡방향 하중을 차단하는 경사면(25)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 플레이트(50)에는 상기 프레임(20)의 경사면(25)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5)에 의해 차단된 하중을 흡수하는 경사면(55)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의 주행시 프레임(20)이 횡방향인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거동하게 되면, 프레임(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의 하중이 어퍼 플레이트의 경사면(55)과 프레임의 경사면(25) 사이에서 큰 하중으로 작용되어 어퍼 부시(30)로 전달되고, 로워 부시(4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이 작용된다.
이러한 하중의 전달에 의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퍼 부시(30)는 어퍼 플레이트의 경사면(55)과 프레임의 경사면(25) 사이에 인장-압축 변형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되고, 동시에 로워 부시(40)는 프레임(20)의 하면과 로어 플레이트(60)의 상면 사이에서 전단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어퍼 부시(30)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하중이 차체측인 바디(10)로 전달되고 일부분의 하중만이 볼트(B)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은 어퍼 부시(30)에 의해 크게 저감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디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에 형성된 경사면(25)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어퍼 플레이트에 하중흡수부인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고, 바디(10)에 직접 경사면(15)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는 횡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대한 볼트측으로의 진동 저감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어퍼 플레이트(50)의 구성을 배제하게 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주로 하중차단부와 하중흡수부를 바디, 프레임 및 어퍼 플레이트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바디 또는 프레임에 하중차단부 및 하중흡수부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면으로 형성하더라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수직면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사면에 의한 구조는 어퍼 부시의 조립시 안착성을 향상시켜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는 전후좌우 방향인 횡방향의 입력하중이 마운팅 부재인 볼트(파이프)쪽으로 전달되지 않고 어퍼 부시를 통해 차체측으로 전달하도록 하여 노면으로부터 차체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현저하게 저감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바디와 프레임 사이에 어퍼 부시가 개재되어 상기 바디와 프레임 및 어퍼 부시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가 구비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어퍼 부시의 내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볼트측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차단하는 하중차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하중차단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어퍼 부시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하중차단부에 차단되는 하중을 바디측으로 전달받는 하중흡수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차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볼트를 향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중흡수부는 상기 바디중 일부면이 상기 하중차단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차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볼트를 향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중흡수부는 상기 바디와 어퍼 부시 사이에 어퍼 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상기 하중차단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KR1020030075585A 2003-10-28 2003-10-28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KR10058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585A KR100588670B1 (ko) 2003-10-28 2003-10-28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585A KR100588670B1 (ko) 2003-10-28 2003-10-28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391A KR20050040391A (ko) 2005-05-03
KR100588670B1 true KR100588670B1 (ko) 2006-06-12

Family

ID=3724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585A KR100588670B1 (ko) 2003-10-28 2003-10-28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6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391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88B1 (ko)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JP6299486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1322517A (ja) バンパビーム構造
JP6136845B2 (ja) 車両前部構造
KR100588670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JP4245702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19025945A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4269401B2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衝突安全装置
CN210101319U (zh) 一种变速器侧悬置系统
JP5201865B2 (ja) 車体構造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101338429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1637260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JP4689203B2 (ja) 作業車両のキャビン
KR100814621B1 (ko) 트랙터의 진동방지 구조
KR20190068129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0257315B1 (ko) 차량의 진동에 따른 갭 흡수용 범퍼 마운팅 구조물
KR100362078B1 (ko) 차량의 리어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
JP4014170B2 (ja) 車両用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KR100370835B1 (ko) 대형 트럭의 캡 전방부 지지구조
KR200185233Y1 (ko) 로워 암 리어 수직 부싱
KR100471838B1 (ko) 차량의 리어휠하우징 구조
JP2005112228A (ja) 自動車車両
KR100362401B1 (ko)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GB2573773A (en) Improved load structure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