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461A -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461A
KR20210134461A KR1020200053024A KR20200053024A KR20210134461A KR 20210134461 A KR20210134461 A KR 20210134461A KR 1020200053024 A KR1020200053024 A KR 1020200053024A KR 20200053024 A KR20200053024 A KR 20200053024A KR 20210134461 A KR20210134461 A KR 2021013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steamed
steamed egg
raw material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841B1 (ko
Inventor
정홍근
Original Assignee
정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근 filed Critical 정홍근
Priority to KR102020005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8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30Addition of substanc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A23L15/20 – A23L15/2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22Packaging articles of food, e.g. fish fillets, intended to be cooked in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은 즉석조리용 계란찜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S100); 계란찜 원료를 가열시 소정의 내부압력이 유지되며 높이가 낮은 찜팩용기(100)에 주입하는 원료주입단계(S200); 계란찜 원료가 주입된 찜팩용기(100)의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단계(S300); 및 상기 계란찜 원료가 포장된 상태로 급속 동결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란찜 원료는 전란액, 육수, 야채, 조미료, 설탕, 증점제, 천연색소, 젓갈 및 이취제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Instant steamed egg using steam-pac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반숙 또는 완숙 계란을 데워서 먹는 계란찜 간편식과 달리, 요리되지 않은 계란을 극초단파를 조사하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즉석 조리함으로써 간편하게 취식 가능하게 하고, 종래 반조리 또는 완전 조리상태로 제조한 HMR 계란찜 제품의 계란 본연의 부드러움과 시원한 맛과 풍성함을 느낄 수 없는 기술적 한계를 넘어 계란찜 본연의 맛을 발현할 수 있는 찜팩용기를 활용한 간편식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를 활용한 각종 HMR(Home Meal Replacement/가정간편식)제품들은 간단한 조리를 할 수 있어 새로운 음식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의 대부분은 반조리, 또는 완전 조리상태로 간단한 전자레인지 조리를 활용하여 취식 할 수 있게 냉동, 또는 냉장의 형태로 구성되어져 있다.
예컨대,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현재 시중에 판매되 있는 계란찜 제품은 완숙된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도 1 좌측그림 참조). 이러한 계란찜 제품 용기는 상단 전면부가 밀봉되어 소비자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할 경우 상부의 일부분을 개봉하여 조리한다. 이때 비산되는 음식 제품의 수분이 많은 양으로 배출됨으로써 음식 내용물의 상단 또는 가장자리 표면이 마르게 되어 부드러운 계란찜의 질감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1 우측그림 참조).
또한, 특허문헌 0001에는 할란액 및 소스가 1:1 내지 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75℃ 내지 80℃의 온도로 20분 내지 50분 동안 스팀 오븐에서 열처리 후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혼합물에 물을 붓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는 정제수, 정제염, 당알코올 및 변성전분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는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80℃ 내지 90℃에서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1 건조단계; 상기 제1 건조단계를 거친 상기 혼합물을 55℃ 내지 65℃에서 13시간 내지 17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2 건조단계; 및 상기 제2 건조단계를 거친 상기 혼합물을 45℃ 내지 55℃에서 8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3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건조인 즉석 계란찜 제조방법에 대한 기재가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계란찜 제품과 상기 특허문헌 0001에 개시된 제품은, 계란이 완전히 조리된 제품(완제품)을 전자레인지로 조리를 하는 것이어서 계란 본연의 부드러움과 시원한 맛과 풍성함을 느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9386호(명칭 : 즉석 계란찜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요리되지 않은 계란을 극초단파를 조사하는 전자레인지를 이용 즉석 조리하여 간편하게 취식 가능하게 하고, 계란찜 본연의 부드러움과 시원한 맛과 풍성함을 느낌을 발현할 수 있는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은 즉석조리용 계란찜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S100); 계란찜 원료를 가열시 소정의 내부압력이 유지되며 높이가 낮은 찜팩용기(100)에 주입하는 원료주입단계(S200); 계란찜 원료가 주입된 찜팩용기(100)의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단계(S300); 및 상기 계란찜 원료가 포장된 상태로 급속 동결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란찜 원료는 전란액, 육수, 야채, 조미료, 설탕, 증점제, 천연색소, 젓갈 및 이취제거제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주입단계(S200) 시, 상기 계란찜 원료를 상기 찜팩용기(100)의 전체부피 대비 50% 이하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야채는 무 및 양파를 포함하고, 상기 조미료는 돈육, 우육 및 계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축산물; 바지락, 명태살 및 광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산물; 및 느타리버섯, 나물, 더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산물;을 포함하고, 상기 이취제거제는 청양고추, 맛술, 팔각, 후추, 정향 및 산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찜팩용기(100)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리되지 않은 계란을 극초단파를 조사하는 전자레인지를 이용 즉석 조리하여 간편하게 취식 가능하게 하고, 계란찜 본연의 부드러움과 시원한 맛과 풍성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화된 제조공법을 통해 계란찜 원료에서 발생하는 자체 수분에 의해 100℃ 이상의 고온과 고압이 형성되므로, 집에서 갓 지은 계란찜의 맛에 가까운 즉석 계란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수증기) 압력에 의하여 조리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에너지(전기) 절약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계란찜 제품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료 주입단계(S200) 시 상기 계란찜 원료를 주입하는 찜팩 용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 찜팩용기(100)의 내부 온도 및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 찜팩용기(100)에 주입된 계란찜 원료의 수분 감량율 변화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을 통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상술함에 있어, "즉석조리용 계란찜"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즉석에서 계란찜을 제조할 수 있는 반제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상술함에 있어, "찜팩용기"라 함은 계란찜 원료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용기로서, 가열 시 소정의 내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용기의 상부 둘레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증기배출구가 형성된 찜팩 용기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용기에 비해, 50%의 짧은 시간 안에 100℃ 이상의 높은 온도에 도달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높은 압력이 발생되어 기존 일반적인 용기에 비해 수분 배출은 30% 이상 적게 배출되고, 35% 이상의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찜팩용기는 계란찜 원료에서 발생하는 자체 수분에 의해 100℃ 이상의 고온과 고압이 형성되므로 짧은 시간 안에 조리됨으로써 계란찜 본연의 맛에 가까운 즉석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고온, 고압의 짧은 조리시간을 이용하여 완조리 또는 반조리된 제품이 아닌 원재료가 냉동 또는 냉장으로 보관된 비조리 상태의 제품을 만들어 즉석에서 조리됨과 동시에 맛과 영양이 보존된 형태의 제품을 안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2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은 원료준비단계(S100), 원료주입단계(S200), 밀봉단계(S300) 및 급속동결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준비단계(S100)는 즉석조리용 계란찜의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료준비단계(S100)에서 준비하는 즉석조리용 계란찜의 재료로는 계란찜의 기본 원료가 되는 전란 뿐만 아니라 육수, 각종 첨가재료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계란찜 원료는 전란액, 육수, 야채, 조미료, 설탕, 증점제, 천연색소, 젓갈 및 이취 제거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계란찜 원료는 전란액 40 내지 60 중량부, 육수 40 내지 60 중량부, 야채 1 내지 5 중량부, 조미료 1 내지 5 중량부, 설탕 0.5 내지 2 중량부, 증점제 0.5 내지 1 중량부, 천연색소 0.1 내지 1 중량부, 젓갈 0.1 내지 0.5 중량부 및 이취제거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란찜 원료의 중량범위는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야채는 무 및 양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은 무 및 양파를 1:1 중량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시원한 계란찜 국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풍부한 수분이 압력으로 작용하여 보다 더 짧은 조리시간을 제공하므로, 조리 시간이 길 수 밖에 없는 전란을 짧은 시간에 조리하는 즉석조리용 계란찜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미료는 화학조미료(MSG)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미료는 돈육, 우육 및 계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축산물; 바지락, 명태살 및 광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산물; 및 느타리버섯, 나물, 더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축산물, 수산물 및 임산물을 포함함에 따라 기존 계란찜 보다 식감, 감칠맛이 더해지고, 계란찜의 맛을 더욱 풍부하게 하며, 영양성분을 보다 증대시키게 된다.
보다 더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조미료는 돈육, 우육, 계육, 바지락, 명태살, 광어, 느타리버섯, 나물 및 더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상기 조미료는 상기 축산물, 수산물 및 임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혼합물을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충진된 충진물을 급속 동결하는 단계; 급속 동결된 동결물을 냉동보관하는 단계; 냉동보관된 보관물을 자외선 살균하는 단계; 살균된 살균물을 질소충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조미료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계란찜 조리시 약 2~3배까지 부풀어 올라 넘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증점제는 옥수수 전분 0.2 내지 0.8 중량부, 밀가루 0.2 내지 0.8 중량부, 카제인산나트륨 0.2 내지 0.5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알기네이트 0.02 내지 0.05 중량부, 알긴산나트륨 0.3 내지 0.6 중량부, 잔탄검 0.5 내지 0.8 중량부, 구아검 0.2 내지 0.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04 내지 0.08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색소는 강황가루, 치자 황색소 일 수도 있다. 여기서, 강황가루는 전란(계란)의 단백질 구조를 끊어 거품을 잡아주고 팽창율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취제거제는 계란의 비린맛을 잡아주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이취제거제는 청양고추, 맛술, 팔각, 후추, 정향 및 산초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이취 제거제는 청양고추 0.1 내지 0.3 중량부, 맛술 0.1 내지 0.5 중량부, 팔각 0.05 내지 0.2 중량부, 후추 0.02 내지 0.05 중량부, 정향 0.02 내지 0.08 중량부 및 산초 0.01 내지 0.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료주입단계(S200)는 상술한 계란찜 원료를 가열 시 소정의 내부압력이 유지되며 높이가 낮은 찜팩용기에 주입하는 단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주입단계(S200) 시 상기 계란찜 원료를 주입하는 찜팩용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찜팩용기(100)는 상기 계란찜 원료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부 둘레를 따라 둘레면(110)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둘레면(110)을 따라 내부 밀폐가 가능하도록 포장필름(10)과 접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측 포장필름 돌출부(111); 상기 외측 포장필름 돌출부(111) 내측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측 포장필름 돌출부(111) 보다 높이가 낮은 증기 배출면(110a)를 형성하며, 가열시 증기 발생에 따른 내부압력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증가하면 상기 포장필름(10)과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측 포장필름 돌출부(112); 상기 증기배출면(110a)에 형성되어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구(113)는 상기 찜팩용기(1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둘레면(11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포장필름 돌출부(111) 및 내측 포장필름 돌출부(112)가 함께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외측 포장필름 돌출부(111)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상기 내측 포장필름 돌출부(112)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종류가 상이한 것으로서, 접착력으로 보자면 상기 외측 포장필름 돌출부(111)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상기 내측 포장필름 돌출부(112)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접착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재료 주입단계(S200) 시 상기 계란찜 원료를 상기 찜팩용기(100)의 전체부피 대비 50% 이하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찜팩용기(100)의 높이가 너무 높거나 상기 찜팩용기(100)의 전체부피 대비 50% 이상으로 충진하게 되면, 용기 외부에서 내부 쪽으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에 인해 중앙부 쪽이 매우 늦게 조리되어 균일하게 조리되지 못하고 긴 조리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원료주입단계(S200) 시 상기 계란찜 원료를 상기 찜팩용기(100)의 전체부피 대비 50% 이하로 충진하게 되면,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계란찜이 균일하게 조리되고 짧은 조리시간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밀봉단계(S300)는 상기 계란찜 원료가 주입된 찜팩용기(100)의 입구를 밀봉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상기 찜팩용기(100)의 입구를 밀봉하는 방법은 상기 찜팩용기(100)의 입구에 형성된 외측 포장필름 돌출부(111) 및 내측 포장필름 돌출부(112) 상에 자외선 접착제를 도포한 후 포장필름(20)을 접촉시킨 다음, 최종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밀봉단계(S30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찜팩용기(100)의 입구는 열변형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밀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급속동결단계(S400)는 상기 계란찜 원료가 포장된 상태로 상기 찜팩용기(100)를 급속 동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급속동결단계(S500)시 상기 계란찜 원료가 포함된 찜팩용기(100)를 -40 ~ -50℃ 급속동결실에서 8~24시간 급속동결한다.
여기서, 찜팩용기(100)에 충진된 계란찜 원료를 급속동결하는 것은 계란찜 원료의 질감을 유지하면서 단시간 내에 결빙점에 도달시켜 계란찜 원료를 보호하여 계란찜 원료의 노화를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이러한 급속동결단계(S400)를 통해 즉석조리용 계란찜의 생산 및 유통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즉석조리용 계란찜은 포장된 상태로 상기 찜팩용기(100)에 극초단파를 가하여 가열함으로써 완제품의 즉석조리용 계란찜을 취식할 수 있다.
여기서, 극초단파란 2,400 내지 2,500MHz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를 의미한다. 상기 주파수 범위는 계란찜 원료 속에 있는 물분자까지 전자파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열 시 상기 찜팩용기(100)에 극초단파를 약 1 내지 15 분 정도 조사하도록 구성하고, 약 100 내지 200 ℃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찜팩용기(100) 내부에 물 또는 육수 등의 액상재료가 함께 포장되어 있어 있으므로, 가열장치(미도시)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즉석조리용 계란찜 원료가 삶아지는 효과가 얻어지고, 즉석조리용 계란찜 원료를 삶은 진한 육수도 얻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찜팩용기(100)를 포함하는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의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 찜팩용기(100)의 내부 온도 및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은 계란찜의 건조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종 계란찜의 식감과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에 있어, 찜팩용기(100)에 주입된 계란찜 원료의 수분 감량율 변화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은 내부 압력이 생겨 수분을 잡아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종 즉석 계란찜 요리는 마치 집에서 갓 지은 찜 음식을 먹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을 통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은 증기(수증기) 압력에 의하여 조리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에너지(전기) 절약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즉석 계란찜의 제조
전란액 및 육수를 호모게나이저 믹서를 사용하여 균질화시킨 후 30 메쉬 필터망으로 여과시켜 전란액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전란액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야채 2 중량부, 조미료 1.5 중량부, 설탕 1 중량부, 증점제 0.5 중량부, 천연색소 0.5 중량부, 젓갈 0.3 중량부 및 이취제거제 0.3 중량부를 첨가 및 혼합하였다.
이후 혼합된 계란찜 원료를 도 3의 찜팩용기(100)에 용기 최대 수용 부피의 50%까지 주입하고, 찜팩용기(100) 입구를 밀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계란찜 원료가 포함된 찜팩용기(100)를 -50 내지 -60 ℃의 온도가 유지되는 급속 동결실로 이송하여 급속 동결함으로써 최종 즉석조리용 계란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시원한 계란찜 국물을 만들기 위해 일반 야채 분말 대신에 무 및 양파를 1 중량부 씩 잘게 썰어 넣어주었다. 또한 맛의 비중을 더 높여주기 위해 일반 조미료 대신에 상술한 축산물, 수산물 및 임산물을 각각 0.5 중량부 씩 첨가하였다. 또한 계란의 비린 맛을 잡기 위해 청양고추, 맛술, 팔각, 후추, 정향 및 산초를 각각 0.05 중량부 씩 첨가하였다.
(평가예)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즉석조리용 계란찜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극초단파를 8분간 가함으로써 관능평가용 계란찜을 얻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A사 계란찜을 비교예 1로 하여, 관능 평가(sensory test)를 실시하였다. 즉, 관능 평가는 10대부터 60대까지의 각 연령별로 10명씩 60명에게,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계란찜을 시식하게 한 후 9점 척도법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즉석 계란찜을 시식한 후, 생수로 입안을 깨끗이 헹구고 수초 후에 다시 다른 즉석 계란찜을 시식하게 하였다. 관능 평가 항목은 기호성을 지표하는 5개의 요소, 즉 외관, 맛, 식감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외관 8.43 ± 0.43 8.31 ± 0.35 5.59 ± 0.75
8.55 ± 0.41 8.83 ± 0.39 5.41 ± 0.81
식감 8.51 ± 0.45 8.82 ± 0.37 5.56 ± 0.91
선호도 8.72 ± 0.48 8.85 ± 0.33 5.12 ± 0.95
(1점 = 매우 나쁘다, 9점 = 매우 좋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즉석조리용 계란찜, 특히 실시예 2에 따른 즉석 계란찜이 비교예 1에 따른 즉석 계란찜보다 외관, 맛 및 식감 항목 모두에서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즉석조리용 계란찜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S100);
    계란찜 원료를 가열시 소정의 내부압력이 유지되며 높이가 낮은 찜팩용기(100)에 주입하는 원료주입단계(S200);
    계란찜 원료가 주입된 찜팩용기(100)의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단계(S300); 및
    상기 계란찜 원료가 포장된 상태로 급속 동결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란찜 원료는
    전란액, 육수, 야채, 조미료, 설탕, 증점제, 천연색소, 젓갈 및 이취제거제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주입단계(S200) 시, 상기 계란찜 원료를 상기 찜팩용기(100)의 전체부피 대비 50% 이하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는
    무 및 양파를 포함하고,
    상기 조미료는
    돈육, 우육 및 계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축산물; 바지락, 명태살 및 광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산물; 및 느타리버섯, 나물, 더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산물;을 포함하고,
    상기 이취제거제는
    청양고추, 맛술, 팔각, 후추, 정향 및 산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용 계란찜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찜팩용기(100)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KR1020200053024A 2020-05-01 2020-05-01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24A KR102366841B1 (ko) 2020-05-01 2020-05-01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24A KR102366841B1 (ko) 2020-05-01 2020-05-01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461A true KR20210134461A (ko) 2021-11-10
KR102366841B1 KR102366841B1 (ko) 2022-02-22

Family

ID=7850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024A KR102366841B1 (ko) 2020-05-01 2020-05-01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8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024A (ko) * 2008-11-12 2010-05-20 (주) 젠푸드 용기형 계란찜 제조방법
KR101939386B1 (ko) 2017-11-15 2019-01-17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즉석 계란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024A (ko) * 2008-11-12 2010-05-20 (주) 젠푸드 용기형 계란찜 제조방법
KR101939386B1 (ko) 2017-11-15 2019-01-17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즉석 계란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841B1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1110C1 (ru) Консервированный продукт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1999705B (zh) 一种鱼类食品及其制作方法
CN102068002A (zh) 一种肉类菜品类食品及其制作方法
KR101921026B1 (ko) 닭고기를 포함하는 패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669759A (zh) 一种冷冻调理菜肴的制作方法
KR101710660B1 (ko) 즉석 조리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 조리밥
KR102218974B1 (ko) 등갈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등갈비
CN105104938A (zh) 一种丸子及其加工方法
CN1079365A (zh) 袋装中式快菜的精加工方法
JPH08294374A (ja) 牡蠣加工食品
KR102366841B1 (ko)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
CN111264629A (zh) 一种即食的猪血丸子食品
JP4117610B2 (ja) 常温流通の可能なレトルト炊き込み御飯とその製造方法
KR102366835B1 (ko) 찜팩용기를 활용한 즉석조리용 닭가슴살 계란찜 및 그 제조방법
KR101884595B1 (ko) 브리또 및 그 제조방법
KR100937334B1 (ko) 즉석 해물누룽지탕의 제조방법
JP4338087B2 (ja) 味噌とその製造方法
KR19980073802A (ko) 즉석 취식용 닭죽의 제조방법
KR0130027B1 (ko) 즉석취식용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0260406B1 (ko) 홍합밥 및 인스턴트 홍합밥의 제조 방법
US20230276837A1 (en) Process for preparing battered food
CN105285705A (zh) 一种袋装自动排气微波面
US20230217968A1 (en) Method for preparing semi-finished products in a package with the possibility of their further automated heating and/or cooking
KR101677218B1 (ko) 즉석 조리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 조리면
JPH03198756A (ja) 米飯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