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470A - 수전 작업기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470A
KR20210131470A KR1020217034843A KR20217034843A KR20210131470A KR 20210131470 A KR20210131470 A KR 20210131470A KR 1020217034843 A KR1020217034843 A KR 1020217034843A KR 20217034843 A KR20217034843 A KR 20217034843A KR 20210131470 A KR20210131470 A KR 2021013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spare seedling
mounting table
tablet terminal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701B1 (ko
Inventor
고지 미야케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1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8181A/ko
Publication of KR2021013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주행시의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며, 또한, 예비 묘 탑재대에 대한 액세스를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표시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조향 핸들 (13) 및 대시보드 (15) 가 형성되는 보닛 (16) 과, 보닛 (16) 의 좌우 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예비 묘 탑재대 (17) 와,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공간에 지지 구조 (43) 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표시 장치 (40)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구조 (43) 는, 표시 장치 (40) 를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의 어느 일측으로 퇴피시켜,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공간을 비우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전 작업기 {PADDY FIEL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수전 (水田) 작업기의 조향 핸들 근방에 표시 장치를 새롭게 배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 등과 데이터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마트 폰을 지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의 스마트 폰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은, 핸들 포스트로부터 우측 비스듬한 전방으로 연장되는 기부 (基部) 와, 기부로부터 절곡되어 횡외측으로 연장되는 중간부와, 더욱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단부를 가짐으로써, 스마트 폰을 작업자의 조향 핸들 부근에 배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65889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스마트 폰 등의 표시 장치를 배치하는 받침대는 고정식이기 때문에, 대형의 태블릿 단말 등, 표시 장치의 대형화를 도모한 경우에, 조향 핸들의 측방의 스페이스가 좁아지고, 예비 묘 탑재대에 대한 액세스가 악화된다는 과제가 있다. 또, 그와 동시에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나 주행시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것, 조향 핸들의 조작성을 악화시키지 않는 것 등, 조향 핸들 부근으로서, 대시보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계기류와는 별도의 표시 장치를 설치할 때에 만족시켜야 할 다양한 요망이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조향 핸들 및 대시보드가 형성되는 보닛과, 상기 보닛의 좌우 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예비 묘 탑재대와, 상기 조향 핸들의 측방 영역으로서,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에 지지 구조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입력 조작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의 어느 일측으로 퇴피시켜,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을 통로로서 비우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예비 묘 탑재대는 전후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 구조를 개재하여 후측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는, 적어도 상하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回動) 가능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전 (前)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예비 묘 탑재대의 측으로 퇴피시킨다.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설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시의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며, 또한, 예비 묘 탑재대에 대한 액세스를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표시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 은,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배면측으로부터 운전석 근방을 본 상방 사시도이다.
도 4 는, 태블릿 단말의 지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태블릿 단말의 지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태블릿 단말의 지지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이앙기 (1) 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앙기 (1) 는, 주행 기체 (2) 와, 그 후방부에 장착되는 식부 작업기 (3) 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 (2) 에 의해 주행하면서 식부 작업기 (3) 에 의해 식부 작업을 실시한다. 수전 작업기로는, 이앙기 (1) 와 마찬가지로, 주행 기체와 특정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면 되고, 파종기, 이식기, 수전 관리 작업기 등을 들 수 있다.
주행 기체 (2) 는, 엔진 (4), 엔진 (4) 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트랜스미션 (5), 엔진 (4) 및 트랜스미션 (5) 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 (6), 엔진 (4) 및 트랜스미션 (5) 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7) 및 후륜 (8) 등을 구비한다.
엔진 (4) 및 트랜스미션 (5) 으로부터의 동력은, 각각 프론트 액슬 케이스 (9), 리어 액슬 케이스 (10) 에 전달된다. 프론트 액슬 케이스 (9) 는, 기체 프레임 (6) 의 전방부에 지지됨과 함께, 그 좌우 양 단부에 전륜 (7) 이 지승 (支承) 된다. 마찬가지로, 리어 액슬 케이스 (10) 는, 기체 프레임 (6) 의 후방부에 지지됨과 함께, 그 좌우 양 단부에 후륜 (8) 이 지승된다. 기체 프레임 (6) 의 상부는, 스텝 (11) 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오퍼레이터는, 스텝 (11) 상을 이동 가능하다.
주행 기체 (2) 의 전후 중도부에 운전석 (12) 이 배치되고, 그 전방에 조향 핸들 (13), 조작 페달 (14), 및, 대시보드 (15) 등이 형성된다. 조향 핸들 (13) 및 대시보드 (15) 는, 엔진 (4) 을 피복하는 보닛 (16) 에 형성되어 있다. 대시보드 (15) 에는, 조향 핸들 (13) 에 더하여 주변속 레버, 조 (條) 정지 스위치 등의 각종 조작용의 조작구나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패널이 배치되어 있다. 스텝 (11) 의 전방 양 측부에는, 예비 묘 탑재대 (17) 가 형성된다. 예비 묘 탑재대 (17) 는, 보닛 (16) 을 사이에 둔 좌우 대향 위치에 배치된다. 예비 묘 탑재대 (17) 는, 스텝 (11) 의 측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전후의 프레임 (18) 에 지지되어 있다.
식부 작업기 (3) 는, 주행 기체 (2) 에 대해, 승강 링크 기구 (20)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승강 링크 기구 (20) 는, 좌우 1 쌍의 상링크 (21) 및 하링크 (22), 승강 실린더 등을 구비한다. 승강 실린더에 의해 하링크 (22), 상링크 (21) 를 회동시켜 식부 작업기 (3) 를 승강시킨다.
식부 작업기 (3) 는, 식부 아암 (31), 식부조 (植付爪) (32), 묘 탑재대 (33), 플로트 (34) 등을 구비한다. 식부조 (32) 는, 식부 아암 (31) 에 장착되어 있다. 식부 작업기 (3) 는, 트랜스미션 (5) 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PTO 축에 의해 구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PTO 축으로부터 식부 센터 케이스 (35) 를 개재하여 식부 작업기 (3) 에 형성되는 식부 전동 (傳動) 케이스 (36) 에 동력이 전달되어, 식부 전동 케이스 (36) 로부터 식부 아암 (31), 식부조 (32) 에 동력이 분배된다.
식부 아암 (31) 은, 식부 전동 케이스 (36) 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식부조 (32) 에는, 묘 탑재대 (33) 로부터 모종이 공급된다. 식부 아암 (31) 의 회전 운동에 수반하여, 식부조 (32) 가 포장 (圃場) 내에 삽입되고, 소정의 식부 깊이가 되도록 모종이 식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식의 식부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크랭크식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묘 탑재대 (33) 는, 판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기체를 측면에서 볼 때에 전고후저 (前高後低) 상으로 경사지도록 배치 형성된다. 묘 탑재대 (33) 의 후면에는, 모종 매트를 재치 (載置) 하는 재치면이 식부 아암의 수 (이앙기의 조 수) 에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6 조 심기의 이앙기이기 때문에, 재치면이 6 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앙기 (1) 의 조향 핸들 (13) 근방에 태블릿 단말 (40) 을 배치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태블릿 단말 (40) 은, 입력 조작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태블릿 단말로, 예를 들어, 이앙기 (1) 의 자동 주행을 실시할 때에 주행 루트를 표시하거나, 자동 주행과 수동 주행의 전환 조작을 실시하거나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 (40) 은, 조향 핸들 (13) 의 측방으로서, 보닛 (16) 과 좌우 일측의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설치 에어리어 (A) 에 배치된다. 요컨대, 태블릿 단말 (40) 은,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통로 상에 설치된다. 또, 태블릿 단말 (40) 은, 대시보드 (15) 의 하단 위치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대시보드 (15) 상에 형성된 각종 조작구나 모니터 패널로부터의 시선 이동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운전 조작 장치로서의 태블릿 단말 (40) 을 도입할 때에도, 운전자가 잘 피로해지지 않는 레이아웃으로 할 수 있다. 즉, 태블릿 단말 (40) 을 설치하는 기준으로는, 시인성의 확보, 운전 조작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대시보드 (15) 의 하단 위치보다 상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태블릿 단말 (40) 을 지나치게 상방에 배치하면, 전방 시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에서, 조향 핸들 (13) 의 높이를 크게 초과하여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요컨대, 시인성 확보 및 작업성 확보의 관점에서 태블릿 단말 (40) 의 설치 에어리어 (A) 로는, 대체로 대시보드 (15) 로부터 측방을 향해 연장된 것과 같은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태블릿 단말 (40) 의 배치를 조향 핸들 (13) 의 측방 영역으로 함으로써, 조향 핸들 (13) 의 조작에 대한 방해가 되는 경우가 없어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 (40) 의 설치 에어리어 (A) 는,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공간인 점에서, 예비 묘 탑재대 (17) 에 놓여진 예비 모종 매트를 추가할 때나, 이앙기 (1) 의 전방을 두렁 근처에 근접시켜 기체 전방측으로부터 승하차할 때에, 그 공간을 통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 (40) 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 즉, 태블릿 단말 (40) 을 사용할 때에는 설치 에어리어 (A) 에 배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설치 에어리어 (A) 로부터 퇴피시켜, 그 공간을 비울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후측의 프레임 (18)) 둘레로 회동 (이앙기 (1) 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관절부 (41) 및 태블릿 단말 (40) 을 유지 가능한 유지부 (42) 를 가진 지지 프레임 (43) 을 사용하여, 예비 묘 탑재대 (17) 의 프레임 (18) 에 장착함으로써, 설치 에어리어 (A) 에 배치한 사용 위치와, 설치 에어리어 (A) 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절부 (41) 는, 프레임 (18) 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된다.
유지부 (42) 는, 관절부 (41) 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태블릿 단말 (40) 을 유지하는 유지구를 가지고 있다.
또, 프레임 (18) 에 고정용 구멍 (44) 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고, 지지 프레임 (43) 의 장착 위치 (요컨대 관절부 (41) 의 장착 위치) 로서 예비 묘 탑재대 (17) 의 프레임 (18) 의 임의의 고정용 구멍 (44) 을 선택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40) 의 상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지 구조에 의하면, 태블릿 단말 (40) 을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의 좌우 방향의 사이 (설치 에어리어 (A)) 에 배치함과 함께, 예비 모종 매트의 모종 추가 작업시 등, 그 공간을 통행할 때에는, 지지 프레임 (43) 을 예비 묘 탑재대 (17) 측으로 접음으로써, 보닛 (16) 과 예비 묘 탑재대 (17) 사이의 공간을 통로로서 비울 수 있다. 이로써, 이앙기 (1) 의 주행시의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예비 묘 탑재대 (17) 에 대한 액세스를 악화시키지 않으며,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대형의 표시 장치로서의 태블릿 단말 (40) 을 양호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 프레임 (43) 을, 비교적 설계 자유도가 높은 예비 묘 탑재대 (17) 의 프레임 (18) 에 장착함으로써 기존 기종에 대한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지지 프레임 (43) 을 프레임 (18) 의 임의의 장착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높이 방향으로 조절하여 운전자의 체격이나 자세 등에 따른 최적의 위치에 태블릿 단말 (40) 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태블릿 단말 (40) 의 지지 프레임 (43) 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관절부 (41) 를 형성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태블릿 단말 (40) 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로는, 태블릿 단말 (40) 을 설치 에어리어 (A) 내의 위치로부터 접은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이면 이것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어, 다관절의 지지 구조로 해도 되고, 예비 묘 탑재대 (17) 측이 아니라, 보닛 (16) 측에 장착해도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지지 구조 (50) 는, 상하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관절부 (41) 와 태블릿 단말 (40) 을 유지하는 유지부 (42) 에 더하여,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경도 (傾倒) 되는 틸트부 (51) 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 (50) 는, 틸트부 (51) 를 구비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40) 을 경도시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태블릿 단말 (40) 을 운전자를 향해 경도시킬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부 (51) 를 유지부 (42) 에 삽입해도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지지 구조 (60) 는, 상하 방향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관절부 (61) 및 제 2 관절부 (62) 와, 태블릿 단말 (40) 을 3 차원 방향으로 자유롭게 경도시킬 수 있는 제 3 관절부 (63) 를 구비한다. 제 3 관절부 (63) 는, 구상의 관절 부재를 포함하고, 태블릿 단말 (40) 을 3 차원 방향으로 경도시킬 수 있게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 구조 (60) 는, 위치 조절을 위한 관절로서, 제 1 관절부 (61) 및 제 2 관절부 (62) 의 2 개의 관절을 가짐으로써, 위치 조절의 범위를 넓힐 수 있어, 보다 적정한 위치에 태블릿 단말 (40) 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지지 구조 (60) 는, 태블릿 단말 (40) 을 3 차원적으로 경도시키기 위한 관절로서, 제 3 관절부 (63) 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 (60) 는, 태블릿 단말 (40) 을 전후 방향으로 경도시킬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태블릿 단말 (40) 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관절 구조로 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40) 의 표시 장치로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앙기 (1) 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상의 예에서는 태블릿 단말 (40) 을 예비 묘 탑재대 (17) 측에 장착하고 있지만, 보닛 (16) 측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때에도,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한 지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 (40) 을 예비 묘 탑재대 (17) 측과 보닛 (16) 측의 양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조향 핸들 근방에 표시 장치를 새롭게 배치하는 수전 작업기에 이용 가능하다.
1 : 이앙기 (수전 작업기)
13 : 조향 핸들
15 : 대시보드
16 : 보닛
17 : 예비 묘 탑재대
18 : 프레임
40 : 태블릿 단말 (표시 장치)
41 : 관절부
42 : 유지부
43 : 지지 프레임 (지지 구조)

Claims (4)

  1. 조향 핸들 및 대시보드가 형성되는 보닛과,
    상기 보닛의 좌우 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예비 묘 탑재대와,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에 지지 구조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작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보닛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작업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보닛과 상기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보닛측으로 퇴피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작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입력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보닛과 예비 묘 탑재대 사이의 공간을 작업자가 통행 가능한 정도로 비우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작업기.
KR1020217034843A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KR102524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3207A KR20230058181A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2553 2017-03-31
JP2017072553A JP6861561B2 (ja) 2017-03-31 2017-03-31 水田作業機
PCT/JP2018/011385 WO2018180883A1 (ja) 2017-03-31 2018-03-22 水田作業機
KR1020197020866A KR102325179B1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866A Division KR102325179B1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207A Division KR20230058181A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470A true KR20210131470A (ko) 2021-11-02
KR102524701B1 KR102524701B1 (ko) 2023-04-21

Family

ID=636756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843A KR102524701B1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KR1020237013207A KR20230058181A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KR1020197020866A KR102325179B1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207A KR20230058181A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KR1020197020866A KR102325179B1 (ko) 2017-03-31 2018-03-22 수전 작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6861561B2 (ko)
KR (3) KR102524701B1 (ko)
CN (2) CN115316090A (ko)
WO (1) WO201818088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5889A (ja)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5847107B2 (ja) * 2013-03-27 2016-01-20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317A (ja) * 2000-02-23 2001-08-28 Iseki & Co Ltd 農作業機
JP2001286211A (ja) * 2000-04-05 2001-10-16 Iseki & Co Ltd 苗植機
JP4378843B2 (ja) * 2000-05-15 2009-12-09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4754725B2 (ja) * 2001-06-20 2011-08-24 ヤンマー株式会社 農作業機
JP4089308B2 (ja) * 2002-06-17 2008-05-28 井関農機株式会社 施肥田植機
KR20120061425A (ko) * 2010-12-03 2012-06-13 이상혁 휴대용 단말기의 침대용 거치대
JP2012157327A (ja) * 2011-02-02 2012-08-23 Yanmar Co Ltd 田植機
CN102349387A (zh) * 2011-10-12 2012-02-15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太阳能光伏发电向图像传感器供电的智能插秧机
JP2015008680A (ja) * 2013-06-28 2015-01-19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FR3012566B1 (fr) * 2013-10-30 2016-05-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upport d'appareil nomade reglable en hauteur
JP6408265B2 (ja) * 2014-06-26 2018-10-17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7107B2 (ja) * 2013-03-27 2016-01-20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2015065889A (ja)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53111A (ja) 2023-04-12
WO2018180883A1 (ja) 2018-10-04
CN110582196B (zh) 2022-10-04
JP6861561B2 (ja) 2021-04-21
JP2021101726A (ja) 2021-07-15
KR20230058181A (ko) 2023-05-02
CN110582196A (zh) 2019-12-17
JP2018171034A (ja) 2018-11-08
KR102524701B1 (ko) 2023-04-21
JP7237279B2 (ja) 2023-03-13
CN115316090A (zh) 2022-11-11
KR102325179B1 (ko) 2021-11-10
KR20190097199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4385B (zh) 具有改善的操作者可视性的机械驾驶室
KR20100002236A (ko) 전자식 팔걸이가 장착되는 농용작업차량의 운전석 의자
KR102325179B1 (ko) 수전 작업기
US9016161B2 (en) Working vehicle
JP4429976B2 (ja) ローダ操作装置
JP2016077200A (ja) 乗用型水田作業機
JP5889147B2 (ja) 作業機
CN105814261A (zh) 控制器组装体以及作业车辆
CN108366529B (zh) 作业车辆
JP2020076243A (ja) 作業車両
JP7154155B2 (ja) 水田作業機
JP2006238790A (ja) 水田作業機
JP7326176B2 (ja) 移植機
JP3752559B2 (ja) ミッドマウント型農作業機
JP2011062118A (ja) 乗用型農作業機
JP7305573B2 (ja) 移植機
JP2007068427A (ja) 農機具の反転アシスト装置
JP2003000018A (ja) 農作業機のステップ取付構造
JP2011152068A (ja) 乗用型田植機
JP2014124114A (ja) コンバイン
JP2015224479A (ja) 作業車両
JP2013203233A (ja) 作業機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2018100089A (ja) 作業車両
JPH10167128A (ja) 乗用型苗植機
JP2017000101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