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557A - 차량용 발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557A
KR20210128557A KR1020200046255A KR20200046255A KR20210128557A KR 20210128557 A KR20210128557 A KR 20210128557A KR 1020200046255 A KR1020200046255 A KR 1020200046255A KR 20200046255 A KR20200046255 A KR 20200046255A KR 20210128557 A KR20210128557 A KR 20210128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air
shaf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수
김태군
연동원
박상진
최한순
이종곤
송원석
서용은
변상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557A/ko
Priority to US17/103,464 priority patent/US20210323383A1/en
Priority to CN202011352572.8A priority patent/CN113525036A/zh
Publication of KR2021012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42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with ventilating means for adding the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6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adding more than one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발향장치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공조 작동과 무관한 구조를 가지며, 개폐 수단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에 수용된 방향제를 선택적으로 발향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발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향제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에 탄성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일측에 장착된 블로워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의 이동로와, 상기 이동로 상에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카트리지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방향제 또는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개폐 부재를 작동시키는 개폐 수단; 및 상기 개폐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발향장치{PERFUME DIFFUS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발향장치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공조 작동과 무관한 구조를 가지며, 개폐 수단에 의해 복수의 카트리지에 수용된 방향제를 선택적으로 발향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발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자동차의 실내를 냉난방 하거나,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닛, 증발기 유닛 및 히터코어 유닛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세 개의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 증발기 유닛과 히터코어 유닛이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워 유닛이 별도의 유닛으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 및 세 개의 유닛이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 마운팅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주행시 차량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공조장치를 가동하면, 도로에서 발생된 먼지나 매연가스 등 각종 유해물질이 외기와 함께 섞여 차량 실내로 유입된다.
또한, 습한 날에 공조장치를 가동하면, 공조덕트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 세균성 이물질에 의하여 악취가 발생하여,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공조장치의 일측에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방향제 공급 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0509호(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방향제가 수용된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방향제의 향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내부유로가 형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만, 상술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0509호에 따르면, 유출되는 방향제 HAV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블로워에 흘러들어가는 구조로서, 방향제에 포함된 수용성 액이 HAVC의 에어콘 응축수에 의해 용해되면 향 발생 저감의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0509호(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공조 작동과 무관한 구조로서 향 발생 저감의 우려가 없으며, 샤프트-캠의 단순한 구조를 통해 복수의 카트리지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향을 선택적으로 발향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발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향제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에 탄성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일측에 장착된 블로워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의 이동로와, 상기 이동로 상에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카트리지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방향제 또는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개폐 부재를 작동시키는 개폐 수단; 및 상기 개폐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종래 HAV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블로워를 사용하여 발향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향 원액 중 수용성 물질이 에어컨의 응축수에 의해 용해 가능성이 있어 향 발생이 저감될 우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별도의 독립된 블로워를 사용하므로 공조 작동과 무관하므로, 향 발생 저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개폐 수단으로 샤프트-캠 구조가 적용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보수 및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셋째, 샤프트의 회전에 따른 제어캠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카트리지에 수용된 방향제가 선택적으로 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어캠의 위치를 제어하여 유출되는 방향제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향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개폐 수단이 제거된 차량용 발향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을 따라 공기 및 방향제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우측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캠이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우측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우측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우측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에 의해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이 모두 닫힌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전방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에 의해 제1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전방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에 의해 제2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전방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에 의해 제3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전방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향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개폐 수단이 제거된 차량용 발향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을 따라 공기 및 방향제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우측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0)에 덮개부(11)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향장치는, 하우징(10), 카트리지(20a, 20b, 20c), 개폐 수단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공기의 토출 수단, 카트리지(20a, 20b, 20c) 및 개폐 수단이 장착되는 공간과, 공기 및 방향제가 이동하는 공간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의 토출 수단은 블로워(40)로서, 차량 내부의 HAV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블로워(미도시)와는 별도의 블로워(40)이다.
하우징(10)의 일측에는 블로워(40)가 장착되고, 블로워(40)와 인접하는 부위에 블로워(40)의 토출구(42)에서 공급된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된다.
하우징(10)의 내측에는 공기의 이동로가 형성되고, 공기의 이동로 상에 카트리지(20a, 20b, 20c)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삽입구는 복수로 구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10에서는 카트리지(20a, 20b, 20c)가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10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삽입구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a, 20b, 20c)는 케이스(21a, 21b, 21c)와, 방향제(22a, 22b, 22c)를 수용하도록 케이스(21)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과, 탄성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케이스(21a, 21b, 21c)에 연결된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카트리지는 복수로 구성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3개의 카트리지(20a, 20b, 20c)가 구성되어 하우징(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각각의 카트리지(20a, 20b, 20c)에 서로 다른 방향제(22a, 22b, 22c)가 수용되는 이외에 각각의 카트리지(20a, 20b, 20c)를 구성하는 요소는 동일하다. 즉, 도 3에는 제1 카트리지(20a)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2 및 제3 카트리지(20b, 20c)도 제1 카트리지(20a)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는다.
케이스(21a, 21b, 21c)의 일측에는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제1 개폐홀(23a, 23b, 23c)이 형성되고, 케이스(21a, 21b, 21c)의 타측에는 내부 공간의 공기가 하우징(1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제2 개폐홀(24a, 24b, 24c)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 부재는 플런저(25a, 25b, 25c)와 이동 부재(26a, 26b, 26c)를 포함한다. 플런저(25a, 25b, 25c)의 일단은 케이스(21a, 21b, 21c) 내부에서 이동 부재(26a, 26b, 26c)와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21a, 21b, 21c) 외부로 노출된다. 플런저(25a, 25b, 25c)의 타단과 케이스(21a, 21b, 21c) 사이에는 스프링(27a, 27b, 27c)이 연결된다. 따라서, 플런저(25a, 25b, 25c)가 가압되면 스프링(27a, 27b, 27c)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부재(26a, 26b, 26c)는 케이스(21a, 21b, 21c)의 내부 방향(가압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고, 플런저(25a, 25b, 25c)에 가해진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회복력에 의해 이동 부재(26a, 26b, 26c)는 케이스(21a, 21b, 21c)의 외부 방향(가압 해제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다.
플런저(25a, 25b, 25c) 및 이동 부재(26a, 26b, 26c)가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면 케이스(21a, 21b, 21c)와 이동 부재(26a, 26b, 26c) 사이에는 이격 공간(28a, 28b, 28c)이 형성된다. 이때, 이동 부재(26a, 26b, 26c)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의해 이격 공간(28a, 28b, 28c)과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제1 개폐홀(23a, 23b, 23c)을 통해 케이스(21a, 21b, 21c)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이격 공간(28a, 28b, 28c) 및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내부 공간에서 방향제(22a, 22b, 22c)가 섞인 공기가 이격 공간(28a, 28b, 28c)을 따라 제2 개폐홀(24a, 24b, 24c)을 통해 유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이격 공간(28a, 28b, 28c)의 크기는 플런저(25a, 25b, 25c)에 가해진 가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격 공간(28a, 28b, 28c)의 크기에 따라 제2 개폐홀(24a, 24b, 24c)을 통해 유출되는 방향제(22a, 22b, 22c)의 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2 개폐홀(24a, 24b, 24c)에서 유출된 방향제(22a, 22b, 22c)가 섞인 공기는 하우징(10)에 형성된 유출구(14a, 14b, 14c)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유출구(14a, 14b, 14c)는 각각의 카트리지(20a, 20b, 20c)에 형성된 제2 개폐홀(24a, 24b, 24c)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복수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캠이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우측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타측에는 개폐 부재를 작동시키는 개폐 수단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 수단은 샤프트(30), 제어캠(32a, 32b, 32c) 및 액츄에이터(34)를 포함한다.
샤프트(30)는 카트리지(20a, 20b, 20c)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하우징(10)에 연결된다. 하우징(10)에는 샤프트(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34)가 장착된다. 액츄에이터(34)는 샤프트(3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샤프트(30)에는 케이스(21a, 21b, 21c)의 외부로 노출된 플런저(25a, 25b, 25c)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제어캠(32a, 32b, 32c)이 연결된다. 각각의 제어캠(32a, 32b, 32c)은 중심축인 캠축(33a, 33b, 33c)을 포함하고, 각각의 캠축(33a, 33b, 33c)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샤프트(3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캠(32a, 32b, 32c)은 3개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캠축(33a, 33b, 33c)은 샤프트(30)의 일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120°의 각도를 가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의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캠축(33a)과 제2 캠축(33b) 사이의 각도는 120°이고, 제2 캠축(33b)과 제3 캠축(33c) 사이의 각도는 120°이다.
다만, 각각의 캠축(33a, 33b, 33c)이 이루는 각도는 샤프트(30)의 일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비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캠축(33a, 33b, 33c)이 이루는 각도 또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a, 20b, 20c)의 개수에 따라 제어캠(32a, 32b, 32c)의 개수도 변할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캠축(33a, 33b, 33c)이 이루는 각도 또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캠축(33a, 33b, 33c)이 이루는 각도는 샤프트(30)의 회전 상태인 제1 회전 상태와 제2 회전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설정된다. 제1 회전 상태란, 제어캠(32a, 32b, 32c) 중 어느 것도 대응되는 플런저(25a, 25b, 25c)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이고, 제2 회전 상태란, 제어캠(32a, 32b, 32c)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플런저(25a, 25b, 25c)를 가압하면 나머지 제어캠(32a, 32b, 32c)은 각각 대응되는 플런저(25a, 25b, 25c)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의 작동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샤프트(30)를 제1 회전 상태 또는 제2 회전 상태로 회전하도록 액츄에이터(3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가 방향제(22a, 22b, 22c) 중 어느 하나를 유출시키거나 방향제(22a, 22b, 22c)가 유출되지 않도록 의도하는 신호를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어캠(32a, 32b, 32c)이 플런저(25a, 25b, 25c)를 가압하는 각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제(22a, 22b, 22c)의 유출 패턴을 인식하거나, 방향제(22a, 22b, 22c)가 유출되는 설정 시간을 인식하여 액츄에이터(3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에는 메모리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부(미도시)는 샤프트(30)의 제1 회전 상태 및 제2 회전 상태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원하는 샤프트(30)의 회전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고,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해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우측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우측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개폐 수단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캠(32a)이 플런저(25a)를 가압하면 이동 부재(26a)는 가압 방향인 하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21a)와 이동 부재(26a) 사이에는 이격 공간(28a)이 형성된다. 이때, 유로가 형성되어, 블로워(40)에서 공급된 공기는 제1 개폐홀(23a)을 통해 카트리지(20a)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제2 개폐홀(24a)을 통해 유출구(14a)로 유출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캠(32a)이 회전하여 플런저(25a)에 가해진 가압이 해제되면 이동 부재(26a)는 가압 해제 방향인 상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21a)와 이동 부재(26a) 사이의 이격 공간(28a)은 소멸된다. 이 경우에는 해당 카트리지(20a)를 통해 방향제가 유출될 수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에 의해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이 모두 닫힌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전방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에 의해 제1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전방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에 의해 제2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전방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수단에 의해 제3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도 1의 전방 절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츄에이터(34)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향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샤프트(30)가 회전하여 제1 회전 상태가 되면 각각의 제어캠(32a, 32b, 32c) 중 어느 것도 플런저(25a, 25b, 25c)를 가압하지 않는다. 그러면 카트리지(20a, 20b, 20c)의 내부 공간은 개방되지 않으므로 방향제(22a, 22b, 22c) 중 어느 것도 유출될 수 없다.
도 8을 참조하면, 샤프트(30)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첫 번째 제2 회전 상태가 되면 제1 제어캠(32a)은 플런저(25a)를 가압하여 제1 카트리지(20a)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2 제어캠(32b)은 제1 제어캠(32a)과 120°벌어진 상태이고, 제3 제어캠(32c)은 제1 제어캠(32a)과 240°벌어진 상태이므로, 제2 제어캠(32b)과 제3 제어캠(32c)은 대응되는 각각의 플런저(25b, 25c)를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카트리지(20b) 및 제3 카트리지(20c)는 개방되지 않으므로, 제1 카트리지(20a)에 수용된 제1 방향제(22a)만이 유출된다. 여기서, 제1 제어캠(32a)이 플런저(25a)를 완전히 가압한 상태라면 유출되는 제1 방향제(22a)의 농도가 최대이다. 이 상태에서 제1 제어캠(32a)을 정·역회전시켜 가압 상태를 줄이는 정도에 따라 유출되는 제1 방향제(22a)의 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상태에서 샤프트(30)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두 번째 제2 회전 상태가 되면 제2 제어캠(32b)은 플런저(25b)를 가압하여 제2 카트리지(20b)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3 제어캠(32c) 및 제1 제어캠(32a)은 각각 제2 제어캠(32b)과 120° 벌어진 상태이므로, 제1 제어캠(32a)과 제3 제어캠(32c)은 대응되는 각각의 플런저(25a, 25c)를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카트리지(20a) 및 제3 카트리지(20c)는 개방되지 않으므로, 제2 카트리지(20b)에 수용된 제2 방향제(22b)만이 유출된다. 여기서, 제2 방향제(22b)의 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상태에서 샤프트(30)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세 번째 제2 회전 상태가 제3 제어캠(32c)은 플런저(25c)를 가압하여 제3 카트리지(20c)를 개방시킨다. 상술한 내용을 유추하면 이 경우 제3 카트리지(20c)만 개방되고, 제3 방향제(22c)만이 유출된다. 여기서, 제2 방향제(22c)의 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하우징 11 : 덮개부
12 : 유입구 14a, 14b, 14c : 유출구
20a, 20b, 20c : 카트리지 21a, 21b, 21c : 케이스
22a, 22b, 22c : 방향제 23a, 23b, 23c : 제1 개폐홀
24a, 24b, 24c : 제2 개폐홀 25a, 25b, 25c : 플런저
26a, 26b, 26c : 이동 부재 27a, 27b, 27c : 스프링
28a, 28b, 28c : 이격 공간 30 : 샤프트
31 : 회전축 32a, 32b, 32c : 제어캠
33a, 33b, 33c : 캠축 34 : 액츄에이터
40 : 블로워 42 : 토출구

Claims (10)

  1. 방향제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연장되어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일측에 장착된 블로워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의 이동로와, 상기 카트리지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방향제 또는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개폐 부재를 작동시키는 개폐 수단; 및
    상기 개폐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플런저;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플런저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한 유로를 개폐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격 공간의 크기는 상기 플런저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제1 개폐홀과, 상기 제1 개폐홀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유출구로 유출될 수 있는 제2 개폐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각각의 카트리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복수의 제어캠;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각 제어캠은, 상기 샤프트의 제1 회전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개폐 부재를 가압하면 다른 개폐 부재를 가압하지 않도록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각 제어캠은, 상기 샤프트의 제2 회전 상태에서 모든 개폐 부재를 가압하지 않도록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수단이 상기 개폐 부재 중 어느 하나만 작동시키거나 상기 개폐 부재 모두 작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 장치.
KR1020200046255A 2020-04-16 2020-04-16 차량용 발향장치 KR20210128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55A KR20210128557A (ko) 2020-04-16 2020-04-16 차량용 발향장치
US17/103,464 US20210323383A1 (en) 2020-04-16 2020-11-24 Fragrance diffuser for vehicle
CN202011352572.8A CN113525036A (zh) 2020-04-16 2020-11-27 用于车辆的香气散发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55A KR20210128557A (ko) 2020-04-16 2020-04-16 차량용 발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557A true KR20210128557A (ko) 2021-10-27

Family

ID=7808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255A KR20210128557A (ko) 2020-04-16 2020-04-16 차량용 발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23383A1 (ko)
KR (1) KR20210128557A (ko)
CN (1) CN113525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6030A1 (ko) * 2022-12-23 2024-06-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발향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574797U (zh) * 2021-11-29 2022-10-14 广东爱车小屋电子商务科技有限公司 一种后视镜香薰机切换香型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509A (ko) 2012-03-02 2013-09-11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509A (ko) 2012-03-02 2013-09-11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6030A1 (ko) * 2022-12-23 2024-06-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발향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23383A1 (en) 2021-10-21
CN113525036A (zh)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8557A (ko) 차량용 발향장치
JP4638147B2 (ja) フレグランス拡散装置
JP2003237364A (ja) 自動車の車室の付臭装置
JP5390877B2 (ja) 車両用芳香装置
WO2010090141A1 (ja) 車両用芳香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ル部品
CN107031350B (zh) 用于车辆的通风孔调风器
JP6217522B2 (ja) 加湿装置
JP5592972B2 (ja) 車両用芳香装置
KR102444445B1 (ko)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TWI799288B (zh) 香氛釋放系統
KR1014231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4894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JP2002137631A (ja) 香り発生装置
JPH10309429A (ja) 除湿換気装置
US20090250526A1 (en) Fragrance Device
KR1014232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WO2005077427A3 (de) Vorrichtung und behälter zur abgabe von duftstoffen
KR100624708B1 (ko) 환기장치
KR200338558Y1 (ko) 향 발산 장치
KR101760305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101353427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JP2024032368A (ja) 拡散装置
JPS61238243A (ja) 自動車用異臭除去装置
KR101316761B1 (ko)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KR20220079288A (ko) 차량용 향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