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509A -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509A
KR20130100509A KR1020120021756A KR20120021756A KR20130100509A KR 20130100509 A KR20130100509 A KR 20130100509A KR 1020120021756 A KR1020120021756 A KR 1020120021756A KR 20120021756 A KR20120021756 A KR 20120021756A KR 20130100509 A KR20130100509 A KR 20130100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opening
closing means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388B1 (ko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2002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38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1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in the air-conditioning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는 방향제 카트리지, 방향제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방향제의 향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향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내부유로가 형성된 공급부, 공급부와 결합하여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개폐수단과 연결되어 개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향기를 원하는 시점에 자동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편의성 향상 및 스위치 조작 등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그 외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방향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없앰으로써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고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aratus for generating perfume for vehicle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에 방향제의 향기를 발생시켜 차량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유닛에 의하여 유입된 외기를 증발기 또는 히터코어와 선택적으로 열교환 시킨 후, 차량 실내와 연통된 벤트(Venet)를 통하여 토출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장치로서, 최근에는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이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서식하는 곰팡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좋지 않은 냄새를 정화하기 위하여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방향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향제 발생장치는, 공기 중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향료의 소모량이 많고 교체주기가 짧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향제 발생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방식이라 하더라도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향료의 소모량이 많고, 향기 발산을 위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 중 스위치 조작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향기를 원하는 시점에 자동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는 스위치 조작 등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방향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없앰으로써 교체주기를 늘리고 경제적인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는 방향제 카트리지;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향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내부유로가 형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도어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는, 내부에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개폐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잠금 리모컨 또는 도어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잠금 리모컨의 작동 또는 도어개폐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부의 유출구 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유동하게 하고, 상기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향기를 상기 유출구로부터 강제로 유출되게 하는 송풍유닛과, 사용자가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스위치와,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납되고, 차량의 실내에서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폐도어가 구비된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방향제 카트리지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 향기의 유출을 제어하는 개폐수단과, 방향제 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스위치의 온/오프(On/off)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방향제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차량의 시동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경우 차량의 블로어유닛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블로어유닛이 작동하는 경우, 증발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증발기의 온도에 따라 설정시간 동안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블로어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경우 설정시간 동안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설정시간 동안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향기를 원하는 시점에 자동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편의성 향상 및 스위치 조작 등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그 외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방향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없앰으로써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고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개폐수단이 작동하여 유출구를 차단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도어가 구비된 수납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 장착 형태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개폐수단이 작동하여 유출구를 차단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도어가 구비된 수납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 장착 형태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700)는, 방향제 카트리지(100), 공급부(200), 개폐수단(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100)는,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는 것으로, 공지의 방향제 카트리지(100)와 그 구성이 대응된다.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100)와 연통되어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01)와, 유입된 상기 향기가 유출되는 유출구(202)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201)와 유출구(202)를 연통시키는 내부유로(2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공급부(200)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201) 또는 유출구(2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공급부(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내부유로(203)와 연통되고 상기 개폐수단(300)이 수용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수용부(210)에 수용되고 상기 내부유로(203)상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201) 또는 유출구(2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유출구(202)를 개폐하는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설계 등에 따라 상기 유입구(201)를 개폐하는 구조로도 적용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수용부(210)와 내부유로(203)에 해당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100)와 연통되게 유입구(201)가 관통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출구(202)가 관통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러한 박스구조 외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상기 개폐수단(300)은,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응답성이 좋은 솔레노이드밸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 또한 일 실시예로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아닌 도어(미도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도어는 상기 공급부(200)의 유입구(201) 또는 유출구(202)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400)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개폐수단(300)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수단(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차량의 잠금 리모컨 또는 도어시스템(410)과 연결되어, 상기 잠금 리모컨의 작동 또는 도어개폐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3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리모컨/도어시스템(410) 외에 블로어유닛(420), 상기 방향제 스위치(430) 또는 증발기온도 감지센서(440)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수단(300)과 송풍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0)의 제어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700)는, 송풍유닛(500)과, 수납케이스(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풍유닛(500)은, 상기 공급부(200)의 유출구(202) 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유동하게 하고, 유동하는 공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향기를 상기 유출구(202)로부터 유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700)는, 상기 제어부(400)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개폐수단(3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스위치(4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방향제 스위치(43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를 강제적으로 중단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가능 하도록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케이스(600)는,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100) 뿐만 아니라 그 외 구성인 공급부(200), 개폐수단(300) 및 송풍유닛(500)의 구성을 모두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600)는, 내부에 수납된 상기 방항제 카트리지(100)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개폐도어(6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610)는 차량의 실내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70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의 대시보드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장착한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차량의 천장, 바닥, 콘솔 및 룸미러 등 차량 내부의 다양한 곳에 장착되는 형태로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700)는, 개폐수단(300)에 의하여 방향제의 향기를 원하는 시점에 발산되도록 하고, 향기 발산을 원하지 않을 때는 상기 개폐수단(300)을 통하여 방향제의 향기가 발산되지 않기 때문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방향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없앨 수 있으므로 방향제의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고 경제적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는 전술한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700)와 그 구성이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700)의 제어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방향제 스위치(430)의 상태를 확인(S100)하여, 상기 방향제 스위치(430)의 온/오프(On/off) 상태를 확인한다(S110). 이는,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방향제 발생장치(700)를 제어함에 앞서, 사용자의 선택여부를 우선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향제 스위치(43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방향제 발생장치(700)를 제어한다. 즉, 상기 방향제 스위치(430)가 오프(Off)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제 발생장치(700)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방향제 스위치(430)가 온(On)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제 발생장치(700)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방향제스위치(43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한 후에는, 상기 방향제스위치(430)가 온 상태인 경우 다음으로 차량의 시동여부를 확인한다(S200).
이때,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경우에는, 차량의 블로어유닛의 작동여부를 확인한다(S300). 여기서 상기 블로어유닛은 차량의 공조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는 공지의 공조장치의 블로어유닛과 그 구성이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블로어유닛의 작동이 오프상태라면 상기 방향제 발생장치(700)의 작동을 중단하며, 반면 상기 블로어유닛의 작동이 온 상태라면 방향제 발생장치(700)를 제어하여, 방향제가 배출되도록 제어하되, 증발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제어한다(S400).
이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블로어유닛이 온 상태에서 증발기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 사이인 경우 상기 방향제가 설정시간 동안 배출되도록 한다(S510).
반면, 만약 상기 증발기의 온도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설정시간동안 방향제를 분사하거나, 설정시간동안 방향제를 분사중지하는 것을 반복한다(S520).
한편, 상기 차량의 시동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도어리모컨 신호에 따라 제어한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시동이 오프인 상태에서는 도어리모컨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제 발생장치(700)를 제어하되, 상기 도어리모컨이 락(Lock)상태에서 언락(Unlock) 상태로 전환되는 순간인지를 판단한다(S600).
이때 도어리모컨이 락(Lock)상태에서 언락(Unlock) 상태로 전환되는 순간이라고 판단되면 설정시간동안 방향제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한다(S610).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어리모컨이 상기한 락상태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하지 않을 시에는 방향제 발생장치(700)를 작동시키지 않고, 처음의 방향제스위치(430)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700)의 제어방법은, 방향제의 향기를 원하는 시점에 자동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등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방향제 카트리지 200... 공급부
201... 유입구 202... 유출구
210... 수용부 300... 개폐수단
400... 제어부 430... 방향제 스위치
500... 송풍유닛 600... 수납케이스
610... 개폐도어 700...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Claims (11)

  1.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는 방향제 카트리지;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상기 향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내부유로가 형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밸브인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도어인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내부에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개폐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잠금 리모컨 또는 도어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잠금 리모컨의 작동 또는 도어개폐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유출구 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유동하게 하고, 상기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향기를 상기 유출구로부터 강제로 유출되게 하는 송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납되고, 차량의 실내에서 상기 방향제 카트리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폐도어가 구비된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9. 방향제 카트리지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 향기의 유출을 제어하는 개폐수단과, 방향제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스위치의 온/오프(On/off)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방향제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차량의 시동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경우 차량의 블로어유닛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블로어유닛이 작동하는 경우, 증발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증발기의 온도에 따라 설정시간 동안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경우 설정시간 동안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설정시간 동안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21756A 2012-03-02 2012-03-02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2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756A KR101926388B1 (ko) 2012-03-02 2012-03-02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756A KR101926388B1 (ko) 2012-03-02 2012-03-02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509A true KR20130100509A (ko) 2013-09-11
KR101926388B1 KR101926388B1 (ko) 2019-02-20

Family

ID=4945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756A KR101926388B1 (ko) 2012-03-02 2012-03-02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3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782B1 (ko) 2016-08-22 2016-11-16 도우디지텍 주식회사 지중송전케이블의 부분방전 검출 장치
CN113199925A (zh) * 2020-01-31 2021-08-03 马勒国际有限公司 自动闭合的香味筒和香味器
KR20210128557A (ko) 2020-04-16 2021-10-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발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658A (ko) * 2003-08-08 2005-02-22 구성태 차량용 실내의 순간냉각겸 방향제 원격분사제어장치 및 그방법
KR20090022517A (ko) * 2007-08-30 2009-03-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090052962A (ko) * 2007-11-22 2009-05-27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KR20100027180A (ko) * 2007-07-03 2010-03-10 베헤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용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658A (ko) * 2003-08-08 2005-02-22 구성태 차량용 실내의 순간냉각겸 방향제 원격분사제어장치 및 그방법
KR20100027180A (ko) * 2007-07-03 2010-03-10 베헤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용 공기정화기
KR20090022517A (ko) * 2007-08-30 2009-03-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090052962A (ko) * 2007-11-22 2009-05-27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782B1 (ko) 2016-08-22 2016-11-16 도우디지텍 주식회사 지중송전케이블의 부분방전 검출 장치
CN113199925A (zh) * 2020-01-31 2021-08-03 马勒国际有限公司 自动闭合的香味筒和香味器
KR20210128557A (ko) 2020-04-16 2021-10-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발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388B1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0602A1 (en) On-vehicle ion generation system
KR20130100509A (ko)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14336A (ko) 공기 청정 기능 및 송풍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암레스트 장치, 차량용 시트 장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및 차량용 오버 헤드 콘솔 장치
JP2008162475A (ja) 芳香発生装置
CN108656903A (zh) 一种车内环境控制系统和具有其的车辆
EP0483848B1 (en) Vehicle installed fragrance supplying apparatus and deodorant accommodating vessel
US117181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nitizing a vehicle inferior
CN202088844U (zh) 一种汽车芳香空调装置
JP2006290032A (ja) 車両用換気装置
KR102188727B1 (ko) 공기 청정 장치
KR20150117810A (ko) 컵 홀더 장치
KR101915965B1 (ko) 방향제 거치용 콘솔구조
CN108697818B (zh) 机动车辆的乘客舱中的具有改善性能的香气扩散器装置
KR20090052962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23118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JPH01218458A (ja) 芳香剤の散布方法と散布器
KR100844428B1 (ko) 차량용 공기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KR101515884B1 (ko) 차량용 향기 발산장치
CN215662866U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070013552A (ko) 운송수단의 실내 소독 장치
KR102673118B1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과 향기알람기능이 융합된 IoT 스마트 디바이스
KR20140072458A (ko)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4191A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090108196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2689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방향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