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458A -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458A
KR20140072458A KR1020120139961A KR20120139961A KR20140072458A KR 20140072458 A KR20140072458 A KR 20140072458A KR 1020120139961 A KR1020120139961 A KR 1020120139961A KR 20120139961 A KR20120139961 A KR 20120139961A KR 20140072458 A KR20140072458 A KR 20140072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t
temperature
discharge amou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영
김종우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2458A/ko
Publication of KR2014007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4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obtaining information from a variable, e.g. by means of a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기 온도부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공조케이스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로부터 차량 내부의 시트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는 토출량 결정 단계(S100) 및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에 의해서 결정된 공기의 토출량에 따라, 연결덕트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시트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시트 통풍 단계(S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통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at ventilatio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가 원하는 차량 실내의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시트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여, 탑승자가 시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에어컨과 히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온도 조절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공기조화장치에는 자동차 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일 예를 들자면, 하절기에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에어컨을 가동시켜 실내의 온도를 낮춘다 하더라도, 시트는 상대적으로 냉각이 늦어질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체온이 작용하므로 탑승자는 높은 실내 온도로 인해 불쾌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동절기에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히터를 가동시켜 실내의 온도를 높인다 하더라도, 장시간 낮은 기온에 노출되어 있던 시트로 인해 탑승자는 추위를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동차 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자동차 시트용 냉난방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기도 한다. 이 때, 자동차 시트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조작 스위치를 단계별로 조작하여, 자동차 시트의 원하는 온도 정도를 다단으로 구분해 작동시켜 준다. 이 경우, 탑승자가 원하는 온도 정도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여러 차례의 스위치 조작이 불가피하며, 또한, 스위치를 잘못 조작한 경우에도, 재조작을 위해서 또다시 여러 차례의 스위치 조작이 수행되야 하므로, 탑승자로 하여금 원하는 자동차 시트의 온도 선택을 위해, 반드시 스위치를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자동차 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2008-0026354호(2008.03.25, 명칭 : 차량용 좌석 가열기의 작동회로장치)에 개시된 바 있으나, 여전히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26354호(2008.03.25, 명칭 : 차량용 좌석 가열기의 작동회로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운전자가 원하는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시트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여, 탑승자가 시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방법은, 외기 온도부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공조케이스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로부터 차량 내부의 시트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는 토출량 결정 단계(S100) 및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에 의해서 결정된 공기의 토출량에 따라, 연결덕트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시트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시트 통풍 단계(S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방 사이클이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S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판단 단계(S110)의 결과에 따라,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방 사이클이 동작할 경우,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상기 외기 온도부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제 1 온도 범위 이상이면, 상기 시트부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상기 외기 온도부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제 2 온도 범위 이하인지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S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판단 단계(S120)의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상기 제 2 온도 범위 이하일 경우,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로 공급되는 온풍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차량의 점화 장치(Ignition)가 오프(OFF)된 지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온(ON)된 경우, 상기 시트부로 공급되는 온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은, 제 1항의 시트 통풍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공조케이스(100), 연결덕트(210)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100)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공급받는 차량 내부의 시트부(200) 및 차량 외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외기 온도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에서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은 입력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력부(4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이 강제 제어되도록 희망 토출량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운전자가 원하는 차량 실내의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시트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시트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 및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자동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으면서도, 쾌적하게 운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량 결정 단계(S100)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0), 시트부(200) 및 제어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조케이스(100)는 각각의 도어(20, 30, 40)에 의해서 개도가 조절되는 벤츠(21, 31, 41)와,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공기유입구와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블로어(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송풍 유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와,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냉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50)는 상기 냉기통로(P1)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P2)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블로어(1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E)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기통로(P1)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벤트(21, 31, 41)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냉풍을 토출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공조케이스(100)의 난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50)는 상기 냉기통로(P1)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P2)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블로어(1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히터코어(H)를 통과하면서, 상기 히터코어(H)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상기 온기통로(P2)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상기 벤트(21, 31, 41)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온풍을 토출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이 때, 상기 도어(20, 30, 40)의 개도에 의해서 차량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토출량이 조절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 시트부(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운적석과 보조석의 시트를 의미하며, 상기 공조케이스(100)와 연결덕트(21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연결덕트(210)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21, 31, 41)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시트부(200)로 전달하며, 상기 시트부(200)는 복수 개의 통공(220)을 구비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연결덕트(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시트부(200)는 상기 연결덕트(210)가 또다른 벤트(21, 31)에 연결된다 하더라도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 외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외기 온도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에서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온도부(310)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0)에서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제어할 수 있으며,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은 입력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강제 제어할 수 있도록, 희망 토출량이 입력되며, 이를 통해서, 운전자가 임의로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자동 차등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주의력을 분산하지 않으면서도 쾌적하게 운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량 결정 단계(S100) 및 시트 통풍 단계(S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상기 시트부(200)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부(2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0)와 상기 연결덕트(210)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에서 결정된 공기의 토출량에 따라서, 상기 연결덕트(210)를 통해서 상기 시트부(200)로 전달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단 단계(S110) 및 제 2 판단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판단 단계(S110)는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냉방 사이클이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의 에어컨 동작 유무를 판단하여, 에어컨이 동작된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목표 설정 온도가 설정 가능한 최저 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은 최대로 되며, 상기 에어컨의 동작이 중단되면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냉풍 또한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제 1 온도 범위 이상이면,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온도 범위를 40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판단 단계(S120)는 상기 제 1 판단 단계(S110)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냉방 사이클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제 2 온도 범위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상기 제 2 온도 범위 이하일 경우,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온풍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목표 설정 온도가 설정 가능한 최고 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온풍의 토출량은 최대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온도 범위를 10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변경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상기 제 2 판단 단계(S120)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상기 제 2 온도 범위 이하일 경우, 차량의 점화 장치(Ignition)가 오프(OFF)된 지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재점화한 경우에는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온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차량의 점화 장치가 오프된 지 소정 시간, 즉, 1시간 정도 지나게 되면, 상기 히터코어(H)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차량 외부의 온도가 거의 유사하게 낮아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점화 장치를 재점화하였을 때, 상기 시트부(200)로 원활하게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서 온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에서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통풍 단계(S200)는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에 의해서, 결정된 냉풍 또는 온풍의 토출량을 따라,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상기 시트부(200)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트부(200)는 복수 개의 통공(220)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220)을 통해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210)에 의해서 상기 공조케이스(100)와 상기 시트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방법은 먼저 차량의 점화 장치가 온(ON)된 후,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냉방 사이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이에 따라서, 냉방 사이클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냉풍을 단계적으로 차등 제어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가 40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냉방 사이클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10도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S120) 이에 따라서, 차량 외부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온풍을 단계적으로 차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점화 장치가 오프(OFF)된 지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시트 통풍 제어 방법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온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는 실시간으로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상기 목표 설정 온도에 따라서 상기 시트부(200)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는 운전자의 번거로운 스위치 조작 없이도, 주행을 위한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공조케이스
10 : 블로어 20, 30, 40 : 도어
21, 31, 41 : 벤트 50 : 템프도어
P1 : 냉기통로 P2 : 온기통로
E : 증발기 H : 히터코어
200 : 시트부
210 : 연결덕트 220 : 통공
300 : 제어부
310 : 외기 온도부
S100 내지 S200 :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통풍 제어 방법의 각 단계

Claims (7)

  1. 외기 온도부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공조케이스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로부터 차량 내부의 시트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는 토출량 결정 단계(S100); 및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에 의해서 결정된 공기의 토출량에 따라, 연결덕트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시트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시트 통풍 단계(S2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통풍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방 사이클이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S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판단 단계(S110)의 결과에 따라,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방 사이클이 동작할 경우,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통풍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상기 외기 온도부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제 1 온도 범위 이상이면, 상기 시트부로 공급되는 냉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통풍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상기 외기 온도부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제 2 온도 범위 이하인지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S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판단 단계(S120)의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상기 제 2 온도 범위 이하일 경우, 상기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시트부로 공급되는 온풍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통풍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결정 단계(S100)는
    차량의 점화 장치(Ignition)가 오프(OFF)된 지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온(ON)된 경우, 상기 시트부로 공급되는 온풍의 토출량을 최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통풍 제어 방법.
  6. 제 1항의 시트 통풍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공조케이스(100);
    연결덕트(210)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100)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공급받는 차량 내부의 시트부(200); 및
    차량 외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외기 온도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온도부(310)를 통해서 센싱되는 차량 외부의 온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공조케이스(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목표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에서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차등 제어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은
    입력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력부(4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시트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토출량이 강제 제어되도록 희망 토출량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KR1020120139961A 2012-12-05 2012-12-05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2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61A KR20140072458A (ko) 2012-12-05 2012-12-05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61A KR20140072458A (ko) 2012-12-05 2012-12-05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458A true KR20140072458A (ko) 2014-06-13

Family

ID=5112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961A KR20140072458A (ko) 2012-12-05 2012-12-05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24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9554A (zh) * 2019-08-27 2021-03-05 动态Ad有限责任公司 控制运载工具的电子组件的温度的方法、系统和存储介质
US11940234B2 (en) 2019-08-29 2024-03-26 Motional Ad Llc Sensor hous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9554A (zh) * 2019-08-27 2021-03-05 动态Ad有限责任公司 控制运载工具的电子组件的温度的方法、系统和存储介质
US11950397B2 (en) 2019-08-27 2024-04-02 Motional Ad Llc Cooling solu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940234B2 (en) 2019-08-29 2024-03-26 Motional Ad Llc Sensor hou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8736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40072458A (ko) 시트 통풍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3159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2006082641A (ja) 車両の温度制御装置
JP3633780B2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H11263123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2016009376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47482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JPH11263116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100796359B1 (ko) 자동차용 공기 순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909086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1208634A (ja) 空調装置
KR2019002703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7094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1146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101406404B1 (ko) 차량 시트용 냉난방 시스템
JP6404994B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30058872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7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H1125494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59128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H0425771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30071573A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200434887Y1 (ko) 자동차용 공기 순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