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305B1 -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305B1
KR101760305B1 KR1020110092377A KR20110092377A KR101760305B1 KR 101760305 B1 KR101760305 B1 KR 101760305B1 KR 1020110092377 A KR1020110092377 A KR 1020110092377A KR 20110092377 A KR20110092377 A KR 20110092377A KR 101760305 B1 KR101760305 B1 KR 10176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low path
hole
opening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156A (ko
Inventor
김재호
이동석
박지용
김기홍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305B1/ko
Priority to US13/599,192 priority patent/US8932526B2/en
Priority to EP12006190.8A priority patent/EP2565066B1/en
Priority to CN201210326065.6A priority patent/CN102975593B/zh
Publication of KR2013002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입구파이프가 상부 커버의 상측에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입 흐름을 원활히 하고, 공기의 압력 강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1향발생부와 제2향발생부를 통해 방향되는 2개의 향 강도 차이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 공기 유량을 증대 가능한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perfum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입구파이프가 상부 커버의 상측에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입 흐름을 원활히 하고, 공기의 압력 강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1향발생부와 제2향발생부를 통해 방향되는 2개의 향 강도 차이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 공기 유량을 증대 가능한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자동차의 유리창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d, 12d, 13d)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 12, 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에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14);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5); 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공조장치는 외기를 유입하여 적정 온도로 열교환한 후,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비하는 장치인데, 환경오염에 따라 도로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매연가스 등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된 외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공조장치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로 그대로 전달된다.
또한, 공조장치 내부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 세균성 이물질 등이 존재할 경우에, 차량 실내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향발생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특정한 하나의 기능 또는 단일 향을 토출할 수밖에 없어 일본공개특허 2개의 향을 토출 가능한 방향발생 장치(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79786호)가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는 캠의 조작에 의해 2개의 향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는 공기가 유동되는 입구 및 출구의 위치에 따라 2개의 향 강도에 차이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입구파이프에 인접한 연통홀에 비해 멀리 위치한 연통홀로는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지 않으며, 공기가 상기 케이스 또는 커버에 부딪힐 경우에 그만큼 공기 유량이 줄어들어 향 발생 강도가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강하되어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 충분한 방향 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79786호(공개일 : 2010.08.1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구파이프가 상부 커버의 상측에 구비됨으로써 입구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강하를 저감하여 공기의 유입 흐름을 원활히 하고, 공기의 압력 강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1향발생부와 제2향발생부를 통해 방향되는 2개의 향 강도 차이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 공기 유량을 증대 가능한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상부 일측에 제1홀(111) 및 타측에 제2홀(112)이 형성된 제1향발생부(110)와, 상부 일측에 제3홀(121) 및 제4홀(122)이 형성된 제2향발생부(120)가 나란하게 내장되는 몸체(100);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1홀(111)과 연통되는 제1유로(131)와,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2홀(112)과 연통되는 제2유로(132)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3홀(121)과 연통되는 제3유로(133)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4홀(122)과 연통되는 제4유로(134)를 포함하는 공기유로형성부(130); 각각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폐하는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와,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일 회전축(250)을 포함하는 개폐수단(200); 상기 개폐수단(200)의 회전축(25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5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300); 상기 몸체(100)와 체결되며, 상기 제1유로(131) 및 제3유로(133)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401) 및 상기 제2유로(132) 및 제4유로(134)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402)가 구획되는 상부 커버(400); 상기 상부 커버(400)의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510) 및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520); 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파이프(510)는 상기 회전축(250)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공간부(401)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구파이프(520)는 상기 상부 커버(400) 측면 중 상기 제2공간부(402)의 제2유로(132)에 인접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파이프(510)가 상기 출구파이프(52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출구파이프(520)는 상기 회전축(250)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2공간부(402)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입구파이프(510)와 상기 출구파이프(520)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의 상측 단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향발생부(110)와 제2향발생부(120) 사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경사부(141)의 상측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 연통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142)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경사부(141) 및 구획부(142)가 형성된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상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와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로(131)와 연통되는 제1연통홀(261), 상기 제2유로(132)와 연통되는 제2연통홀(262), 상기 제3유로(133)와 연통되는 제3연통홀(263), 및 상기 제4유로(134)와 연통되는 제4연통홀(264)이 형성되는 도어안착부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방하도록 유지하는 스프링(201)이 개재되고,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회전축(250)에 부채꼴 형태로 상기 제1도어(210)와 제3도어(23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1개폐부(251)와, 상기 제2도어(220)와 제4도어(24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2개폐부(252)가 각각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폐쇄하도록 유지하는 스프링(201)이 개재되고,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회전축(250)과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4)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회전축(250)에 부채꼴 형태로 상기 제1도어(210)와 제3도어(23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1개폐부(251)와, 상기 제2도어(220)와 제4도어(24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2개폐부(252)가 각각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는 입구파이프가 상부 커버의 상측에 구비됨으로써 입구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강하를 저감하여 공기의 유입 흐름을 원활히 하고, 공기의 압력 강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1향발생부와 제2향발생부를 통해 방향되는 2개의 향 강도 차이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 공기 유량을 증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AA' 방향 단면도, 및 BB'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의 개폐수단을 나타낸 다른 도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를 나타낸 다른 분해사시도 및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의 개폐수단을 나타낸 다른 도면.
도 13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몸체(100); 공기유로형성부(130); 개폐수단(200); 구동수단(300); 상부 커버(400); 입구파이프(510) 및 출구파이프(5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를 형성하는 기본 몸체(100)로서, 향을 발산하는 제1향발생부(110) 및 제2향발생부(120)가 내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향발생부(110) 및 제2향발생부(120)는 도 2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나란하게 구비되어 2열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1향발생부(110)는 상부 일측에 제1홀(111) 및 타측에 제2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향발생부(120)는 상부 일측에 제3홀(121) 및 타측에 제4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홀(111) 및 제2홀(112)은 상기 제1향발생부(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3홀(121) 및 제4홀(122)은 상기 제2향발생부(120)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홀(111) 내지 제4홀(122)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향발생부(110) 및 제2향발생부(120)는 상기 제1홀(111)과 제3홀(121)이, 상기 제2홀(112)과 제4홀(122)과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몸체(100) 상측, 상기 제1향발생부(110) 및 제2향발생부(120)가 구비되는 상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1홀(111)과 연통되는 제1유로(131)와,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2홀(112)과 연통되는 제2유로(132)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3홀(121)과 연통되는 제3유로(133)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4홀(122)과 연통되는 제4유로(13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제1향발생부(110)로 공급되는 공기와, 상기 제1향발생부(1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로 공급되는 공기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고 독립적인 흐름을 갖도록 하기 위한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몸체(100)는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으며, 원가 절감을 위하여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제1향발생부(110)와 제2향발생부(120)가 내장되기 위한 공간을 제외하고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각각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폐하는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와,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일 회전축(250)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축(2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개폐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제어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도어(210)는 상기 제1유로(131)를 개폐하고, 상기 제2도어(220)는 상기 제2유로(132)를 개폐하며, 상기 제3도어(230)는 상기 제3유로(133)를 개폐하고, 상기 제4도어(240)는 상기 제4유로(134)를 개폐하며,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는 상기 회전축(25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은 단일 회전축(2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을 가져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개폐수단(200)은 단일 회전축(250)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그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다시 설명한다.
상기 구동수단(300)은 상기 개폐수단(200)의 회전축(25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50)을 구동하는 수단으로서, 액추에이터와 같은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400)는 상기 몸체(100)와 체결되며, 제1유로(131) 및 제3유로(133)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401) 및 제2유로(132) 및 제4유로(134)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402)가 구획된다.
이 때, 상기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는 상부 커버(400) 형태가 두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되거나, 내부에 배플(4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상부 커버(400) 내부에 배플(420)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즉, 상기 상부 커버(400)는 상기 몸체(100)의 상측을 밀폐하되,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1홀(111) 및 제2향발생부(120)의 제3홀(121)(도면에서 좌측)과 연통되는 제1공간부(4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2홀(112) 및 제2향발생부(120)의 제4홀(122)(도면에서 우측)과 연통되는 제2공간부(40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커버(400)의 상기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는 각각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510) 및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520)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 상기 입구파이프(510)가 연결되는 제1공간부(401)는 공기가 유입되어 제1도어(210)와 제3도어(230)에 의해 상기 제1향발생부(110) 또는 제2향발생부(12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제어되며, 상기 출구파이프(520)가 상기 제2공도 2 내지 도 11에서, 상기 입구파이프(510)가 상기 상부 커버(400) 상면의 제1공간부(401) 중앙에 형성되간부(402) 중 나머지와 연결되어 배출된다.
고, 상기 출구파이프(520)가 상기 상부 커버(400) 측면 중 상기 제2공간부(402)의 제2유로(132)에 인접한 면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를 설명하면, 상기 입구파이프(510)는 상기 상부 커버(400)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401)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입구파이프(5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향발생부(110)와 관련된 제1유로(131) 또는 상기 제2향발생부(120)와 관련된 제2유로(132)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공간부(401)의 중앙 영역은 상기 회전축(250)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상기 입구파이프(510)가 상기 제1공가눕(401)의 중앙 영역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50)의 제어에 의해 제1도어(210) 또는 제3도어(230)제1도어(210) 또는 제3도어(2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향발생부(110) 또는 제2향발생부(120)로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입구파이프(510)의 크기는 상기 출구파이프(520)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공기의 압력 강하를 저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몸체(100)의 상측 외주면에 외측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며, 상기 상부 커버(400)의 하측에 상기 몸체(100)의 돌출된 부분이 걸려 고정되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다양한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단일 회전축(250)에 의한 개폐 제어가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상측에 경사부(1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의 상측 부분에 경사부(141)가 형성되는데, 단면이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향발생부(110)와 제2향발생부(120) 사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경사부(141)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향발생부(110)와 제2향발생부(120) 사이 부분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AA'방향 단면과 같이 대략 "V"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14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상측 부분(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경사부(141) 상측 영역)과 상기 상부 커버(400)와의 사이에 각각 상기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 연통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142)가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구획한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경사부(141) 및 구획부(142)가 형성된 공간에 형성될 수 있는데, 밀폐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도어안착부재(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안착부재(260)는 상기 몸체(100)의 경사부(141) 및 구획부(142)가 형성된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상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와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로(131)와 연통되는 제1연통홀(261), 상기 제2유로(132)와 연통되는 제2연통홀(262), 상기 제3유로(133)와 연통되는 제3연통홀(263), 및 상기 제4유로(134)와 연통되는 제4연통홀(264)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도어안착부재(26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100)의 상측과 상기 상부 커버(400)의 하측 사이에도 연장 형성되어 밀폐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안착부재(260), 몸체(100) 또는 상부 커버(400)는 상기 회전축(250)의 일정 영역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수단(3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가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는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된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방하도록 유지하는 스프링(201)이 개재되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50)에 부채꼴 형태의 제1개폐부(251)와, 제2개폐부(252)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폐쇄하도록 유지하는 스프링(201)이 개재되며, 연결부재(204)에 의해 회전축(250)과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가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먼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방하도록 유지하는 스프링(201)이 개재되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스프링(201)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가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개폐가 조절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회전축(250)에 부채꼴 형태로 상기 제1도어(210)와 제3도어(23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1개폐부(251)와, 상기 제2도어(220)와 제4도어(24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2개폐부(25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를 개폐한다.
상기 제1개폐부(251) 및 제2개폐부(252)는 상기 회전축(2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나란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축(250)과 일체로 연동되며,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개폐부(251)가 상기 제1도어(210)를 개방하면 상기 제2개폐부(252) 역시 제2도어(220)를 개방하고, 상기 제3도어(230) 및 제4도어(240)는 폐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개폐부(251)가 상기 제3도어(230)를 개방하면 상기 제2개폐부(252) 역시 상기 제4도어(24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도어(210) 및 제2도어(220)는 폐쇄된다.
상기 제1개폐부(251) 및 제2개폐부(252)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개폐부(251)가 상기 제1도어(210) 및 제3도어(230)를, 상기 제2개폐부(252)가 상기 제2도어(220) 및 제4도어(24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크기의 부채꼴 형태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는 상기 제1개폐부(251) 또는 제2개폐부(252)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개폐부(251) 또는 제2개폐부(252)가 이동되는 영역의 양측이 돌출되는 가이드부(20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상기 개폐수단(200)은 연결부재(204)에 의해 회전축(250)과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를 개폐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회전축(250)은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밀폐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부채꼴 형태로 상기 제1도어(210)와 제3도어(23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1개폐부(251)와, 상기 제2도어(220)와 제4도어(24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2개폐부(252)가 형성되고, 부가적으로,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에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폐쇄하도록 유지하는 스프링(201)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251) 및 제2개폐부(252)는 상기 도 2 도 8에 도시한 형태와 동일하며, 물론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에 가이드부(20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몸체(100)의 하측이 개구되고, 제1향발생부(110) 및 제2향발생부(120)가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방향종류를 변경하기 용이하며, 교체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제1홀(111) 내지 제4홀(122)과 맞닿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 하측 각각에 제2실링부재(101)가 더 구비되어 실링성능을 더욱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링부재(101)는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1홀(111)과 제2홀(112),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3홀(121)과 제4홀(122)이 연통되는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 사이에 구비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 (a)에 상기 개폐수단(200)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 7 (b)에 상기 도 7 (a) 상태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었다.
도 7 에 도시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단면도의 고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25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도어(210) 및 제2도어(220)가 개방되고, 상기 제3도어(230) 및 제4도어(240)가 폐쇄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 때,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입구파이프(510)를 통해 상부 커버(400)의 제1공간부(40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도어(210) 및 제2도어(22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안착부재(260)의 제1연통홀(261),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제1유로(131), 및 제1홀(111)을 통해 상기 제1향발생부(110)로 이동되며, 다시 상기 제2홀(112),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제2유로(132), 및 상기 도어안착부재(260)의 제2연통홀(262)을 따라 상기 상부 커버(400)의 제2공간부(402)로 이동되어 상기 출구파이프(520)를 통해 배출된다.
즉, 상기 도 7에 도시한 공기는 상기 제1향발생부(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단면도의 고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2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3도어(230) 및 제4도어(240)가 개방되고, 상기 제1도어(210) 및 제2도어(220)가 폐쇄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때,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2향발생부(1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입구파이프(510)를 통해 상부 커버(400)의 제1공간부(40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3도어(230) 및 제4도어(24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안착부재(260)의 제3연통홀(263),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제3유로(133), 및 제3홀(121)을 통해 상기 제2향발생부(120)로 이동되며, 다시 상기 제4홀(122),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제4유로(134), 및 상기 도어안착부재(260)의 제4연통홀(264)을 따라 상기 상부 커버(400)의 제2공간부(402)로 이동되어 상기 출구파이프(520)를 통해 배출된다.
도 1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상기 입구파이프(510) 및 출구파이프(520)가 상부커버(400)의 상측에 위치되며, 각각 제1공간부(401) 및 (402)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회전축(250)은 단일개로, 상기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에 걸쳐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의 중앙 영역은 상기 회전축(250)의 상부에 대응된다.
이 때, 상기 입구파이프(510)와 상기 출구파이프(520)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출구파이프(520)의 형성 위치 및 상기 입구파이프(510) 및 출구파이프(520)의 크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1000)는 입구파이프(510)가 상부커버(400)의 제1공간부(401) 중앙에 위치됨으로써 공기 압력 강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단일 회전축(250)을 이용하여 제1향발생부(110)와 제2향발생부(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밀폐성능을 높여 안정적으로 향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100 : 몸체 101 : 제2실링부재
110 : 제1향발생부 111 : 제1홀
112 : 제2홀
120 : 제2향발생부 121 : 제3홀
122 : 제4홀
130 : 공기유로형성부 131 : 제1유로
132 : 제2유로 133 : 제3유로
134 : 제4유로
141 : 경사부 142 : 구획부
200 : 개폐수단 201 : 스프링
202 : 제1실링부재 203 : 가이드부
204 : 연결부재
210 : 제1도어
220 : 제2도어 230 : 제3도어
240 : 제4도어 250 : 회전축
251 : 제1개폐부 252 : 제2개폐부
260 : 도어안착부재 261 : 제1연통홀
262 : 제2연통홀 263 : 제3연통홀
264 : 제4연통홀
300 : 구동수단
400 : 상부 커버 401 : 제1공간부
402 : 제2공간부
420 : 배플
510 : 입구파이프
520 : 출구파이프

Claims (9)

  1. 상부 일측에 제1홀(111) 및 타측에 제2홀(112)이 형성된 제1향발생부(110)와, 상부 일측에 제3홀(121) 및 제4홀(122)이 형성된 제2향발생부(120)가 나란하게 내장되는 몸체(100);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1홀(111)과 연통되는 제1유로(131)와,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2홀(112)과 연통되는 제2유로(132)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3홀(121)과 연통되는 제3유로(133)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4홀(122)과 연통되는 제4유로(134)를 포함하는 공기유로형성부(130);
    각각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폐하는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와,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일 회전축(250)을 포함하는 개폐수단(200);
    상기 개폐수단(200)의 회전축(25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5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300);
    상기 몸체(100)와 체결되며, 상기 제1유로(131) 및 제3유로(133)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401) 및 상기 제2유로(132) 및 제4유로(134)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402)가 구획되는 상부 커버(400);
    상기 상부 커버(400)의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510) 및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520); 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파이프(510)는 상기 회전축(250)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공간부(401)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의 상측 단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향발생부(110)와 제2향발생부(120) 사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파이프(520)는 상기 상부 커버(400) 측면 중 상기 제2공간부(402)의 제2유로(132)에 인접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파이프(510)가 상기 출구파이프(52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파이프(520)는 상기 회전축(250)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2공간부(402)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입구파이프(510)와 상기 출구파이프(520)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는 상기 경사부(141)의 상측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 연통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142)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경사부(141) 및 구획부(142)가 형성된 공기유로형성부(130)의 상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공기유로형성부(130)와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로(131)와 연통되는 제1연통홀(261), 상기 제2유로(132)와 연통되는 제2연통홀(262), 상기 제3유로(133)와 연통되는 제3연통홀(263), 및 상기 제4유로(134)와 연통되는 제4연통홀(264)이 형성되는 도어안착부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7. 상부 일측에 제1홀(111) 및 타측에 제2홀(112)이 형성된 제1향발생부(110)와, 상부 일측에 제3홀(121) 및 제4홀(122)이 형성된 제2향발생부(120)가 나란하게 내장되는 몸체(100);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1홀(111)과 연통되는 제1유로(131)와,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2홀(112)과 연통되는 제2유로(132)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3홀(121)과 연통되는 제3유로(133)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4홀(122)과 연통되는 제4유로(134)를 포함하는 공기유로형성부(130);
    각각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폐하는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와,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일 회전축(250)을 포함하는 개폐수단(200);
    상기 개폐수단(200)의 회전축(25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5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300);
    상기 몸체(100)와 체결되며, 상기 제1유로(131) 및 제3유로(133)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401) 및 상기 제2유로(132) 및 제4유로(134)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402)가 구획되는 상부 커버(400);
    상기 상부 커버(400)의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510) 및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520); 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파이프(510)는 상기 회전축(250)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공간부(401)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방하도록 유지하는 스프링(201)이 개재되고,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회전축(250)에 부채꼴 형태로 상기 제1도어(210)와 제3도어(23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1개폐부(251)와, 상기 제2도어(220)와 제4도어(24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2개폐부(252)가 각각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8. 상부 일측에 제1홀(111) 및 타측에 제2홀(112)이 형성된 제1향발생부(110)와, 상부 일측에 제3홀(121) 및 제4홀(122)이 형성된 제2향발생부(120)가 나란하게 내장되는 몸체(100);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1홀(111)과 연통되는 제1유로(131)와, 상기 제1향발생부(110)의 제2홀(112)과 연통되는 제2유로(132)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3홀(121)과 연통되는 제3유로(133)와, 상기 제2향발생부(120)의 제4홀(122)과 연통되는 제4유로(134)를 포함하는 공기유로형성부(130);
    각각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개폐하는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와,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일 회전축(250)을 포함하는 개폐수단(200);
    상기 개폐수단(200)의 회전축(25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5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300);
    상기 몸체(100)와 체결되며, 상기 제1유로(131) 및 제3유로(133)와 연통되는 제1공간부(401) 및 상기 제2유로(132) 및 제4유로(134)와 연통되는 제2공간부(402)가 구획되는 상부 커버(400);
    상기 상부 커버(400)의 제1공간부(401) 및 제2공간부(402)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510) 및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520); 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파이프(510)는 상기 회전축(250)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공간부(401)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는 상기 제1유로(131) 내지 제4유로(134)를 폐쇄하도록 유지하는 스프링(201)이 개재되고,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회전축(250)과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4)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어(210) 내지 제4도어(24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회전축(250)에 부채꼴 형태로 상기 제1도어(210)와 제3도어(23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1개폐부(251)와, 상기 제2도어(220)와 제4도어(240)를 동시에 폐쇄가능한 제2개폐부(252)가 각각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1020110092377A 2011-09-05 2011-09-14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101760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377A KR101760305B1 (ko) 2011-09-14 2011-09-14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US13/599,192 US8932526B2 (en) 2011-09-05 2012-08-30 Apparatus for generating perfume for vehicles
EP12006190.8A EP2565066B1 (en) 2011-09-05 2012-08-31 Apparatus for generating perfume for vehicles
CN201210326065.6A CN102975593B (zh) 2011-09-05 2012-09-05 车用产生香味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377A KR101760305B1 (ko) 2011-09-14 2011-09-14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156A KR20130029156A (ko) 2013-03-22
KR101760305B1 true KR101760305B1 (ko) 2017-07-24

Family

ID=4817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377A KR101760305B1 (ko) 2011-09-05 2011-09-14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3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288A (ko) 2020-12-04 2022-06-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향 발생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493A (ja) 2004-02-19 2005-09-02 Kojima Press Co Ltd 車載芳香消臭装置
JP2010179786A (ja) * 2009-02-05 2010-08-1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
JP2010179787A (ja) 2009-02-05 2010-08-1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
JP2010274763A (ja) 2009-05-28 2010-12-0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493A (ja) 2004-02-19 2005-09-02 Kojima Press Co Ltd 車載芳香消臭装置
JP2010179786A (ja) * 2009-02-05 2010-08-1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
JP2010179787A (ja) 2009-02-05 2010-08-1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
JP2010274763A (ja) 2009-05-28 2010-12-0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288A (ko) 2020-12-04 2022-06-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향 발생기
DE112021005061T5 (de) 2020-12-04 2023-07-06 Hanon Systems Dufterzeuger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156A (ko) 201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3011A (zh) 车用空调
WO2010090141A1 (ja) 車両用芳香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ル部品
JPH1071828A (ja) 送風ユニット
US20090318070A1 (en) Louvre for an air-conduction housing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WO2019216069A1 (ja) 吹出装置
US8887797B2 (en) Air-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35670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101760305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20130072587A (ko) 차량용 방향발생 장치
KR101436950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EP2565066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erfume for vehicles
KR101353427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1014958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CN106103150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1681047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EP3718799B1 (en) Blower device for air-conditioning of vehicle
KR10202406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2131308A (ja) 車両用送風装置
KR20130057528A (ko) 향발생 카트리지
KR2010004159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CN100425921C (zh) 落地式空调机
KR101351783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689557B1 (ko) 차량용 방향 장치
KR101422667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2009061805A (ja) 空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