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528A - 향발생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향발생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528A
KR20130057528A KR1020110123281A KR20110123281A KR20130057528A KR 20130057528 A KR20130057528 A KR 20130057528A KR 1020110123281 A KR1020110123281 A KR 1020110123281A KR 20110123281 A KR20110123281 A KR 20110123281A KR 20130057528 A KR20130057528 A KR 20130057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rrier
case
fragranc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172B1 (ko
Inventor
이성제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1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발생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제1홈부 및 제2홈부가 형성된 담지체를 이용하며, 지지체가 형성된 케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고, 이에 따라 방향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향발생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발생 카트리지{Cartridge for generating perfume}
본 발명은 향발생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제1홈부 및 제2홈부가 형성된 담지체를 이용하며, 지지체가 형성된 케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고, 이에 따라 방향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향발생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자동차의 유리창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d, 12d, 13d)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 12, 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에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14);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5); 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공조장치는 외기를 유입하여 적정 온도로 열교환한 후,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비하는 장치인데, 환경오염에 따라 도로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매연가스 등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된 외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공조장치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로 그대로 전달된다.
또한, 공조장치 내부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 세균성 이물질 등이 존재할 경우에, 차량 실내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향발생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특정한 하나의 기능 또는 단일 향을 토출할 수밖에 없어 일본공개특허 2개의 향을 토출 가능한 일본공개특허 2010-179786호(발명의 명칭 : 방향 발생 장치, 공개일 : 2010.08.19)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79786호는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며, 방향제 용기와,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방향제 연통홀 중 입구경로를 개폐하는 도어와 출구경로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며 한 쌍의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캠;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는 캠의 조작에 의해 2개의 향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는 공기의 압력 저항이 발생되어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 충분한 방향 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74763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방향 장치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 장치, 공개일 : 2010.12.09)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차량용 방향 장치는 방향제 용기(5)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향을 발향하는 제1방향제(1a) 및 제2방향제(1b)를 포함하는 방향수단(1)이 구비되며, 방향제 용기(5) 상측에 실링부재(52)가 구비된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74763호는 방향수단의 휘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방향수단의 방향성능이 저하되었을 때 이를 교체하는 것이 어려우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방향 정도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79786호(공개일 : 2010.08.19) 특허 2 :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274763호(공개일 : 2010.12.0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홈부 및 제2홈부가 형성된 담지체를 이용하며, 지지체가 형성된 케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내부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의 압력 강하를 저감하며,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어 방향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향발생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동일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11) 및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공기유입구(111) 및 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된 면에 대향된 하측을 개폐하는 커버(12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 및 상기 공기유입구(111) 및 공기배출구(112) 이격방향인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발향하며, 길이방향으로 양측 단부 사이의 상면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1홈부(210) 및 폭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 일정 영역이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홈부(220)가 형성되는 담지체(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지체(200)는 상기 제1홈부(210) 일정 영역이 돌출되어 폭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구획하는 돌출부(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담지체(200)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대응되는 영역이 돌출되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홈부(210) 및 제2홈부(220) 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0)는 내면에 상기 담지체(200)를 지지하되, 상기 담지체(200)와 케이스(100) 내면 사이에 공기가 유동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131)가 복수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몸체(110)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부(131)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110)의 상면 내부 및 상기 커버(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부(13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는 제1홈부 및 제2홈부가 형성된 담지체를 이용하며, 지지체가 형성된 케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내부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의 압력 강하를 저감하며,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어 방향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방향제 발생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향발생 카트리지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도 3의 AA'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향발생 카트리지의 몸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향발생 카트리지의 다른 담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향발생 카트리지의 또 다른 담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및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케이스(100) 및 담지체(2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몸체(110)와 커버(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담지체(200)가 내장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몸체(110)는 동일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11) 및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내부의 담지체(200)의 방향성분과 혼합된 후, 상기 공기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상기 공기유입구(111) 및 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된 면에 대향되는 면은 중공되어 커버(12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담지체(200)가 내장되는 케이스(100)가 몸체(110) 및 커버(120)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담지체(200)의 교체를 포함하는 유지 및 점검이 용이하며,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담지체(200)는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되, 방향제 성분이 담지되어 발향한다.
본 발명에서 길이방향은 공기유입구(111) 및 공기배출구(112)의 이격방향을 의미하며, 도 3 내지 도 8에서 길이방향,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표시하였다.
상기 담지체(200)는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인 제1홈부(210) 및 제2홈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홈부(210)는 육면체 형태를 기준으로, 상면 일정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된 영역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양측 단부를 제외한 그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담지체(200)의 상면이란, 상기 케이스(100) 몸체(110)의 공기유입구(111) 및 공기배출구(112)와 마주하게 위치되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2홈부(220)는 폭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 일정 영역이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 때, 상기 제2홈부(220)는 일정 영역이 상기 제1홈부(210)와 연통되어 공기가 분배되어 유동된 후, 다시 상기 제1호부(210)로 이동되며, 상기 제1홈부(210)와 별도의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상기 제2홈부(220)는 길이방향으로 넓은 "U"자 형태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담지체(200)의 제1홈부(210) 및 제2홈부(220)를 따라 유동되면서 방향제 성분과 혼합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공기의 유동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공기와 담지체(200)의 접촉 면적을 늘려 방향 강도를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공기 유동 유로 확보 및 접촉 면적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더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상기 몸체(110) 및 커버(120) 내면에 상기 담지체(200)를 지지하되, 상기 담지체(200)와 케이스(100) 내면 사이에 공기가 유동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131)가 복수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31)는 케이스(100) 내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케이스(100) 내면과 담지체(200) 외면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131)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의 흐름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몸체(110)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부(131)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상면 내부 및 상기 커버(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부(13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담지체(200)의 제1홈부(210) 일정 영역이 돌출되어 폭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구획하는 돌출부(2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상기 돌출부(211)는 총 4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며, 돌출부(211)의 중앙 영역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출부(211)의 크기 및 개수는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대응되는 영역이 돌출되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의 제1홈부(210) 및 측면의 제2홈부(220) 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공기유입구(111)가 상기 한 쌍의 돌출부(211)와, 상기 제1홈부(210)가 형성되지 않은 우측 단부 사이에 상기 경사부(212)가 형성된 예로서, 상기 경사부(212)는 상기 담지체(200)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하측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212)의 중앙 영역은 상기 제1홈부(210)와 만나도록 형성되며, 측면에서 상기 제2홈부(220)와 만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경사부(212)의 중앙 영역은 상기 공기유입구(111)의 중심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은 상기 담지체(120)의 3 면에서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 (b)는 상면, 도 9 (a) 및 도 9 (c)는 도면 후측면 및 도면 전측면 부분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상기 경사부(21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홈부(210) 및 제2홈부(220)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으며, 압력 강하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형태의 담지체(200) 역시 내면에 상기 지지부(131)가 형성된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 유로를 더욱 증대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향발생 카트리지(10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면과 상기 담지체(200) 전체 둘레 사이에 공기가 유동가능하여, 공기와 담지체(200)의 접촉 면적을 늘려 충분한 발향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향발생 카트리지
100 : 케이스
110 : 몸체 111 : 공기유입구
112 : 공기배출구
120 : 커버
131 : 지지부
200 : 담지체 210 : 제1홈부
211 : 돌출부 212 : 경사부
220 : 제2홈부

Claims (6)

  1. 동일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11) 및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공기유입구(111) 및 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된 면에 대향된 하측을 개폐하는 커버(12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 및
    상기 공기유입구(111) 및 공기배출구(112) 이격방향인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발향하며, 길이방향으로 양측 단부 사이의 상면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1홈부(210) 및 폭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 일정 영역이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홈부(220)가 형성되는 담지체(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생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200)는 상기 제1홈부(210) 일정 영역이 돌출되어 폭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구획하는 돌출부(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생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200)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대응되는 영역이 돌출되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홈부(210) 및 제2홈부(220) 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생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내면에 상기 담지체(200)를 지지하되, 상기 담지체(200)와 케이스(100) 내면 사이에 공기가 유동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131)가 복수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생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부(131)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생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상면 내부 및 상기 커버(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부(13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발생 카트리지.
KR1020110123281A 2011-11-24 2011-11-24 향발생 카트리지 KR10168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81A KR101681172B1 (ko) 2011-11-24 2011-11-24 향발생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81A KR101681172B1 (ko) 2011-11-24 2011-11-24 향발생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28A true KR20130057528A (ko) 2013-06-03
KR101681172B1 KR101681172B1 (ko) 2016-12-01

Family

ID=4885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281A KR101681172B1 (ko) 2011-11-24 2011-11-24 향발생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1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812U (ja) * 1993-02-04 1994-08-16 アロマジックケミカル株式会社 芳香発生器
KR200351495Y1 (ko) * 2004-02-20 2004-05-24 황현성 향발생용 카트리지
JP2010179786A (ja) 2009-02-05 2010-08-1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
JP2010274763A (ja) 2009-05-28 2010-12-0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KR20110003850A (ko) * 2009-07-06 2011-0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JP2011177459A (ja) * 2010-03-04 2011-09-15 Okamoto Sangyo Kk 多孔質性芳香液担持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812U (ja) * 1993-02-04 1994-08-16 アロマジックケミカル株式会社 芳香発生器
KR200351495Y1 (ko) * 2004-02-20 2004-05-24 황현성 향발생용 카트리지
JP2010179786A (ja) 2009-02-05 2010-08-1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
JP2010274763A (ja) 2009-05-28 2010-12-0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KR20110003850A (ko) * 2009-07-06 2011-0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JP2011177459A (ja) * 2010-03-04 2011-09-15 Okamoto Sangyo Kk 多孔質性芳香液担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172B1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7180A (ko) 자동차용 공기정화기
WO2010090141A1 (ja) 車両用芳香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ル部品
JP5390877B2 (ja) 車両用芳香装置
US20160236542A1 (en) Fragrancing device
CN104968516A (zh) 用于将芳香剂引入车辆的内部的系统
JP2010274763A (ja)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JP5592972B2 (ja) 車両用芳香装置
CN105073460A (zh) 车辆用空调装置
US8887797B2 (en) Air-conditioner for vehicle
US9809089B2 (en) Aroma-diffusing cartridge for vehicle
KR101435670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101436950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20130057528A (ko) 향발생 카트리지
KR1014958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101353427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KR101760305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US8932526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erfume for vehicles
CN106103150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15780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96405B1 (ko)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KR101201666B1 (ko)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KR101351783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681047B1 (ko) 차량용 방향제 취출 장치
WO2021106419A1 (ja) 空調ユニット
KR102287672B1 (ko) 교체형 필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