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405B1 -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405B1
KR101596405B1 KR1020150146338A KR20150146338A KR101596405B1 KR 101596405 B1 KR101596405 B1 KR 101596405B1 KR 1020150146338 A KR1020150146338 A KR 1020150146338A KR 20150146338 A KR20150146338 A KR 20150146338A KR 101596405 B1 KR101596405 B1 KR 10159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agrance
housing
ca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우석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1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in the air-conditioning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내부로 에어(air)를 안내하는 덕트, 덕트의 에어 토출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에어의 토출 방향 설정을 위해 내측에 복수 개의 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을 통해 토출되는 에어에 향기를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에 구비되고 방향제를 수용하는 방향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에어벤트 내측에 방향제를 장착하여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접하여 향기를 발산시킴으로써 차량 실내에 향기가 빠르게 전파될 수 있고, 방향제를 수납한 방향제모듈을 에어벤트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행 중 진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 EQUIPPED WITH AROMATIC AGENT CONTAI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벤트 내측에 방향제를 장착하여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접하여 향기를 발산시킴으로써 차량 실내에 향기가 빠르게 전파될 수 있고, 방향제를 수납한 방향제모듈을 에어벤트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행 중 진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에어벤트는 냉난방 장치가 공급하는 냉,온기를 덕트로부터 제공받아 이에 연결되어 에어컨 작동 시 냉기 또는 히터 작동 시 온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최종 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자동차 부품 중 하나에 해당한다.
이러한 에어벤트는 자동차의 전면을 이루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데, 냉난방 장치는 외기 또는 내기를 증발기로 공급해주는 블로어 모터에 의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냉난방 장치를 통해 실내 공기를 적절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계절에 따른 차량 내부 온도를 운전자에게 알맞게 설정한다.
한편, 차량 내에는 자동차 자체의 차 냄새와 좁은 공간이므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냄새로 인해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나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위에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제 제품을 구입하여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단순히 놓고 탑승객에게 신선하고 향기로운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 현 실태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3771호(2009.06.27.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미니 방향제 케이스)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향제 제품은 교체 시기가 되어 접착 고정된 방향제를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제거하면 접착제 자국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남아 지저분해지는 등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방향제 제품은 외기나 냉온기가 토출되는 에어벤트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방향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방향제 제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됨에 따라 운전자 시야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벤트 내측에 방향제를 장착하여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접하여 향기를 발산시킴으로써 차량 실내에 향기가 빠르게 전파되어 실내를 단시간에 쾌적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방향제를 수납한 방향제모듈을 에어벤트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행 중 진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향제모듈을 에어벤트 내측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방향제모듈 내측에 방향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는: 차량의 내부로 에어(air)를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에어 토출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에어의 토출 방향 설정을 위해 내측에 복수 개의 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통해 토출되는 에어에 향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방향제를 수용하는 방향제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에어의 송풍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방향제를 수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를 통과시키고, 상기 방향제의 이탈을 막는 제 1메쉬부재;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타측에 회동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에 형성되어 에어를 통과시키고, 상기 방향제의 이탈을 막는 제 2메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방향제를 정렬해서 수납하기 위해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접하는 둘레면에 완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덕트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의 대응되는 측을 접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테두리에 조립홈부를 복수 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립홈부에 이탈 가능하게 일대일 수용되는 조립돌부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는 에어벤트 내측에 방향제를 장착하여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접하여 향기를 발산시킴으로써 차량 실내에 향기가 빠르게 전파되어 실내를 단시간에 쾌적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방향제를 수납한 방향제모듈을 에어벤트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행 중 진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향제모듈을 에어벤트 내측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방향제모듈 내측에 방향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방향제모듈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방향제모듈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110)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10)는 덕트(20), 하우징(30) 및 방향제모듈(100)을 포함한다.
덕트(20)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하지 않음)이나 내장재 등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차량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에어는 외기, 온기 또는 냉기이다.
물론, 덕트(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30)은 덕트(20)의 에어 토출 측 즉,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하우징(30)은 덕트(20)를 통해 이송되는 에어의 토출 방향 설정을 위해 내측에 복수 개의 윙부재(3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때, 윙부재(32) 각각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유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어 에어의 토출 저항을 저감시키고, 균일하게 한다.
물론, 윙부재(32)의 개수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윙부재(32)는 프레임(33) 및 윙(35)을 포함한다.
프레임(33)은 환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30)의 내측에 억지 삽입되는 결합되는 등 조립된다. 그리고, 윙(35)은 프레임(33)에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송풍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윙(35)은 개수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33)에 양측이 연결된다.
한편, 방향제모듈(100)은 하우징(30)을 통해 토출되는 에어에 향기를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30)에 구비된다. 그리고, 방향제모듈(100)은 방향제(110)를 수용한다.
특히, 방향제모듈(100)은 에어가 통과하는 하우징(3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로 인해, 에어가 에어벤트(10)를 통과하면서 향기를 함유하게 된다. 그래서, 차량의 실내는 단시간에 쾌적하게 된다.
이때, 방향제(110)는 향기를 발산하는 공지된 것으로 한다.
여기서, 방향제모듈(100)은 케이싱(120), 제 1메쉬부재(130), 링부재(140) 및 제 2메쉬부재(150)를 포함한다.
케이싱(120)은 하우징(30) 내부 일부 또는 전체에 수용된다. 편의상, 케이싱(120)은 일부가 하우징(30) 내부에 수용되고, 나머지가 덕트(2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케이싱(120)은 에어의 송풍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케이싱(120)은 튜브 또는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케이싱(120)은 내부에 방향제(11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물론, 케이싱(1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메쉬부재(130)는 케이싱(120)의 개방된 일측에 망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제 1메쉬부재(130)는 에어와 향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방향제(110)의 이탈을 막는다. 이때, 제 1메쉬부재(130)는 케이싱(120)의 금형 제작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링부재(140)는 케이싱(120)의 개방된 타측에 회동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링부재(140)는 잠금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케이싱(1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메쉬부재(150)는 링부재(140)에 망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제 2메쉬부재(150)는 에어와 향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방향제(110)의 이탈을 막는다. 물론, 제 2메쉬부재(150)는 링부재(140)의 금형 제작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2메쉬부재(150)를 갖는 링부재(140)는 케이싱(120)의 개방된 타측을 막는 커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메쉬부재(150)를 갖는 링부재(140)가 케이싱(12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케이싱(120) 내부에 방향제(110)의 수납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복수 개의 방향제(110)가 케이싱(120) 내부에 적층되어 있을 경우, 방향제(110)가 에어와 접촉하는 면적의 저하로 인해, 향기 발생량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120)은 방향제(110)를 정렬해서 수납하기 위해 격벽(122)을 형성한다. 방향제(110)가 격벽(122)과 격벽(12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방향제(110)의 전체 둘레면이 에어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순간적인 향기 발생량이 유지 또는 증가하게 된다. 이때, 격벽(122)과 격벽(122) 사이의 공간은 방향제(110)의 크기(너비와 높이)보다 소정 넓게 형성됨으로써, 에어의 흐름량을 확보하고, 방향제(110)의 흔들림에 의한 소음 발생을 줄인다.
특히, 격벽(122)은 윙(35)과 일대일 일치되도록 케이싱(120)에 배치되어 송풍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케이싱(120)은 방향성을 갖은 채 덕트(20)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격벽(122)은 대응되도록 케이싱(120)과 링부재(140)에 각각 형성된다. 그래서, 하나의 방향제(110)는 일측이 케이싱(120)의 격벽(122)에 접하거나 지지되고, 타측이 링부재(140)의 격벽(122)에 접하거나 지지된다. 이때, 대응되는 격벽(122)은 서로 유격됨으로써 다방향으로 외기의 흐름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케이싱(120)이 덕트(20)와 하우징(30)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차량의 주행 중,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싱(120)은 둘레면에 완충부재(160)를 구비한다. 완충부재(160)는 하우징(30)의 내측면과 덕트(20)의 내측면에 접함으로써, 상호 부딪힘에 따른 소음 발생이 방지되고, 케이싱(120)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160)는 스폰지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완충부재(160)는 케이싱(120)의 둘레면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케이싱(120)이 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덕트(20)와 하우징(30)은 케이싱(120)의 축 방향으로 대응되는 측(단부)을 접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걸림턱(17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케이싱(120)은 축방향으로 일측이 덕트(2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70)에 접하고, 타측이 하우징(3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70)에 접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물론, 걸림턱(17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30)은 방향제모듈(100)의 인출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덕트(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로서, 덕트(20)는 테두리에 조립홈부(210)를 복수 개 형성하고, 하우징(30)은 조립홈부(210)에 이탈 가능하게 일대일 억지 수용되는 조립돌부(220)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조립홈는 조립돌부(220)를 억지 수용하면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에어벤트 20: 덕트
30: 하우징 32: 윙부재
33: 프레임 35: 윙
100: 방향제모듈 110: 방향제
120: 케이싱 122: 격벽
130: 제 1메쉬부재 140: 링부재
150: 제 2메쉬부재 160: 완충부재
170: 걸림턱 210: 조립홈부
220: 조립돌부

Claims (6)

  1. 차량의 내부로 에어(air)를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에어 토출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에어의 토출 방향 설정을 위해 내측에 복수 개의 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통해 토출되는 에어에 향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방향제를 수용하는 방향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에어의 송풍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방향제를 수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방향제를 정렬해서 수납하고, 상기 방향제 사이사이로 에어의 통과를 안내하며 상기 방향제와 접촉 유도하기 위해 격벽을 형성하고,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상기 격벽은 유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에어의 상하 방향 흐름을 허용함으로써 향기의 발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모듈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를 통과시키고, 상기 방향제의 이탈을 막는 제 1메쉬부재;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타측에 회동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에 형성되어 에어를 통과시키고, 상기 방향제의 이탈을 막는 제 2메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접하는 둘레면에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의 대응되는 측을 접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6. 제 1항, 제 2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테두리에 조립홈부를 복수 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립홈부에 이탈 가능하게 일대일 수용되는 조립돌부를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KR1020150146338A 2015-10-20 2015-10-20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KR101596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338A KR101596405B1 (ko) 2015-10-20 2015-10-20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338A KR101596405B1 (ko) 2015-10-20 2015-10-20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405B1 true KR101596405B1 (ko) 2016-02-23

Family

ID=5544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338A KR101596405B1 (ko) 2015-10-20 2015-10-20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4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7381A (zh) * 2019-01-22 2019-05-14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空调系统和具有该空调系统的车辆
US11077740B2 (en) 2019-02-07 2021-08-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rced air system outlet for a vehicle with a loadable tray to hold an aromatic agent
KR200498061Y1 (ko) * 2023-01-19 2024-06-12 주식회사 플루비오스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464U (ko) * 1998-06-25 2000-01-25 홍종만 차량용 공기 조화기
KR20000021172A (ko) * 1998-09-26 2000-04-15 노성훈 살균·탈취 필터조립체가 내장된 자동차용 송풍장치
JP2001277846A (ja) * 2000-03-30 2001-10-10 Toyoda Gosei Co Ltd 清浄機付車両用空調機
KR20090126784A (ko) * 2008-06-05 2009-12-09 덕양산업 주식회사 향기 발산기능을 구비한 차량의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464U (ko) * 1998-06-25 2000-01-25 홍종만 차량용 공기 조화기
KR20000021172A (ko) * 1998-09-26 2000-04-15 노성훈 살균·탈취 필터조립체가 내장된 자동차용 송풍장치
JP2001277846A (ja) * 2000-03-30 2001-10-10 Toyoda Gosei Co Ltd 清浄機付車両用空調機
KR20090126784A (ko) * 2008-06-05 2009-12-09 덕양산업 주식회사 향기 발산기능을 구비한 차량의 에어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7381A (zh) * 2019-01-22 2019-05-14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空调系统和具有该空调系统的车辆
US11077740B2 (en) 2019-02-07 2021-08-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rced air system outlet for a vehicle with a loadable tray to hold an aromatic agent
KR200498061Y1 (ko) * 2023-01-19 2024-06-12 주식회사 플루비오스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9059A1 (en) Air-freshening dispensing device
CN107031350B (zh) 用于车辆的通风孔调风器
KR102034739B1 (ko) 시계기능을 갖는 차량용 방향제
KR101596405B1 (ko)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JP2010274763A (ja)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JP2010076592A (ja) 車両用静電霧化システム
KR20090126784A (ko) 향기 발산기능을 구비한 차량의 에어벤트
KR20100010265A (ko) 차량용 통풍시트 덕트
JP6505033B2 (ja) 空調装置用芳香消臭剤容器
KR1014300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13331B1 (ko) 자동차용 다중 향공급장치
US10427502B1 (en) Vehicle air freshener module
KR1015780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9713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2018024342A (ja) 車両用コンソール
KR20220128226A (ko) 자동차용 발향기
JP3218692U (ja) 自動車用芳香剤
KR101890890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H0672251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5125872A (ja) 空調用レジス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芳香剤パッケージ
KR101422667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351783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2017056048A (ja) 自動車用芳香剤
JP2006143075A (ja) 車両用空気吹出し装置
JP2005067271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