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061Y1 -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 Google Patents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061Y1
KR200498061Y1 KR2020230000135U KR20230000135U KR200498061Y1 KR 200498061 Y1 KR200498061 Y1 KR 200498061Y1 KR 2020230000135 U KR2020230000135 U KR 2020230000135U KR 20230000135 U KR20230000135 U KR 20230000135U KR 200498061 Y1 KR200498061 Y1 KR 200498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t
wax
air
tablet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루비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루비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루비오스
Priority to KR2020230000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0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는, 왁스가 함침된 펠트부; 및 상기 펠트부를 수용하는 논우븐 패브릭(Non-woven Fabric)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TABLET-SHAPED SCENTED SEMI-SOLID AND DIFFUSER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디퓨저는 해당 공간에 향이 퍼지게 하는 것으로, 실생활에서 다양한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차량용 방향제는 실생활에 밀접한 수단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방향제의 경우 크게 액체 방향제와 고체 방향제로 나눌 수 있다. 액체 방향제는, 액체를 직접 용기에 담아서 사용하는 용기형 방향제, 에센셜 오일 등의 액체를 섬유에 흡수시켜 사용하는 섬유형 방향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용기형 방향제의 경우 용기에 담겨진 액체가 곧바로 증발할 수 있으며, 섬유형 방향제의 경우 섬유에 베어있는 액체가 바로 증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방향제의 경우 고체 방향제에 비해 증발 속도가 더 빨라 고체 방향제가 사용 지속 시간이 더 긴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 방향제의 경우 점토형 또는 석고형 방향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점토형 또는 석고형 방향제의 경우, 점토형 또는 석고형 함침물은 그 특성상 향료를 최대 약 5퍼센트 정도밖에 함유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5퍼센트 이상 향료를 넣을 경우에는 석고의 특성상 점토 또는 석고가 단단히 경화되지 않아 고체 방향제로서의 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점토 또는 석고의 크기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향료만 점토 또는 석고에 함유시킬 수 밖에 없으므로, 방향제의 사용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점토 또는 석고의 특성상 점토 또는 석고의 내부에 깊숙히 함침된 향료는, 점토 또는 석고 내부에 향료가 갇히게 되어 증발시키기 어려워 잔여 향료가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향료를 온전히 사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향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방향제의 지속 사용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제 및 방향제를 포함한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는, 왁스가 함침된 펠트부; 및 상기 펠트부를 수용하는 논우븐 패브릭(Non-woven Fabric)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에서, 상기 펠트부는 복수의 공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왁스는 상기 펠트부의 공극들 사이에 함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에서, 상기 논우븐 패브릭부는 액체는 차단하고 기체는 통과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는, 적어도 하나의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에서, 상기 수용부는 복수 개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용 공간 각각에 수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 중 적어도 두 개의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의 성분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에서, 상기 수용부에는 공기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공기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기 인입부가 송풍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는, 반고체 상태의 왁스가 함침된 펠트가 포함된 방향제를 통해, 왁스로부터 적정량의 향료를 천천히 증발시킬 수 있어 방향제의 사용 지속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는, 펠트의 섬유 구조 및 논우븐 패브릭부를 통해 왁스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고온의 환경에서 왁스가 녹아내리는 상황을 방지해 차량 내부를 훼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실되는 양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는, 펠트에 형성된 공극 구조 내부에 왁스가 함침되게 되어, 석고와 달리 펠트 내부에 배치된 왁스도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어 향료 사용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펠트 내부에 배치된 반고체 상태의 왁스가 확산 현상에 의해 펠트 내부에서 고르게 퍼지게 되어 향료를 반고체 방향제의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는, 펠트 내부의 공극에 왁스가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왁스만 사용할 때와 달리 왁스를 펠트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표면장력을 통해 왁스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향료의 발산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향료의 방향 성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는,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시키는 논우븐 패브릭 부를 통해 왁스가 함침된 펠트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여, 불가피하게 녹아 펠트로부터 이탈한 왁스를 제 위치에 고정해 소실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왁스가 차량 내부 직물 등에 묻어 훼손되는 상황을 막고, 방향제의 향료 사용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는, 고정부를 통해 송풍구 위치에 디퓨저를 고정시킬 수 있어 왁스에 포함된 향료의 증발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는, 송풍구 부분에 위치한 공기 인입구, 왁스가 함침된 펠트부, 공기 배출구가 송풍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 왁스가 공기 배출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증발되어 실내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판상형의 펠트를 층층이 배치하고 그들 사이로 공기가 순환하므로, 덩어리 형태로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석고 방향제, 점토 방향제 등과 달리 방열판과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어 발향 현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는, 각각의 고체 방향제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고체 방향제는 서로 이격되어 삽입되므로, 각 반고체 방향제들이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대비 각 반고체 방향제들이 공기와 맞닿는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는, 각 수용 공간에 기능과 향기가 다른 반고체 방향제를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어 방향제의 향과 기능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블렌딩(Blending)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방향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펠트를 현미경으로 확대(abrasion: 마모가 된 펠트부 모습, No abrasion: 마모가 일어나지 않은 펠트부 모습)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일반적인 석고형 방향제에 쓰이는 석고를 현미경으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확산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a)는 본 고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확산되는 모습, (b)는 일반적인 석고형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확산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남아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a)는 본 고안에 따른 왁스 향료가 거의 증발한 모습, (b)는 일반적인 석고형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석고의 내부에 남아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를 타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방향제가 디퓨저 내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예 따른 디퓨저의 수용부 내부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a)는 방향제가 장착된 수용부 내부의 모습, 도 8(b)은 방향제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수용부 내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장착된 고정 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공기 인입부, 방향제, 공기배출구, 실내로 이어지는 공기 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고안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방향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펠트를 현미경으로 확대(abrasion: 마모가 된 펠트부 모습, No abrasion: 마모가 일어나지 않은 펠트부 모습)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일반적인 석고형 방향제에 쓰이는 석고를 현미경으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확산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a)는 본 고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확산되는 모습, (b)는 일반적인 석고형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확산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고체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남아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a)는 본 고안에 따른 왁스 향료가 거의 증발한 모습, (b)는 일반적인 석고형 방향제의 왁스 향료가 석고의 내부에 남아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는, 향료가 포함된 왁스(Wax)가 함침된 펠트부(F) 및 펠트부(F)를 수용하는 논우븐 패브릭(Non-woven Fabric)부(NWF)를 포함할 수 있다.
타블렛(Tablet)은 단단한 물질로 된 얇고 평평한 사각형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타블렛 형태는 판 모양으로 압축한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타블릿 형태의 고체 방향제는, 도 1의 방향제(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된 방향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방향제는, 펠트(Felt)의 공극 사이사이에 향료인 왁스(Wax)가 함침된 구조를 가진 펠트부(F)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형 방향제로서 사용되는 석고형 방향제는, 석고에 향료를 함침한다고 해도 석고가 향료를 약 5퍼센트 가량밖에 함유하지 못하는, 즉 부향률을 5퍼센트 이상 올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향료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결과적으로 방향제의 사용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석고에 함침 가능한 향료의 비율(부향율)이 최대 5퍼센트이며, 이 이상 함유하는 경우 석고과 불완전 경화하여 쉽게 부스러지거나 가루가 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공극부가 형성된 펠트부(F)에 왁스를 함침한 구조의 경우, 부향률이 최대 20퍼센트까지 향상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많은 향료를 사용할 수 있게되어 방향제의 사용 기간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석고형 방향제의 경우 석고의 특성상 석고 내부 깊숙히 함침된 향료의 경우 증발이 어려워 해당 부분에 함침된 향료를 온전히 사용하기 어렵고 잔여 향료가 남게되어 향료 사용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펠트부(F)는 공극부가 형성된 구조이며, 공극부의 사이사이에 왁스가 침투하여 형성된 구조로서 공극부를 통해 펠트 내부에 함침되었던 왁스도 펠트의 외부로 증발되기 용이하므로, 향료 사용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왁스는 반고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석고형 방향제 내부의 향료는 견고한 석고분자 내부 공간(S)에 고정되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펠트부(F)에 의해 고정된 왁스는 반고체 상태이므로 펠트부(F) 내부 공극부(AG)에서의 확산이 자유로우며,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는 타블렛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중심에서 그 표면까지의 거리가 짧아 표면의 향료 증발시 짧은 시간 내에 내부의 향료가 다시 표면까지 쉽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왁스는 특성상 왁스 내부의 향료가 왁스를 이탈하기 위해 표면의 바람이나 실온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액체형 방향제에 비해 적정량이 천천히 증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는 액체 방향제에 비해 천천히 증발되므로 일반적인 액체형 방향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속시간이 길다.
또한 방향제로 왁스만 사용할 경우, 왁스 자체는 평균 60 내지 70도의 온도에서 완전히 녹아내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름철 더위 혹은 겨울철 히터 등의 이유로 차량 내부가 고온의 온도로 상승할 경우 왁스가 녹아내릴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왁스를 공극부를 포함하여 적절한 밀도를 가진 펠트에 흡수시킨 펠트부(F) 구조를 통해, 도 2의 펠트(Felt)의 섬유 구조 사이 공극부에 왁스를 함침시키는 구조를 고안하였다. 이를 통해 고온의 환경에서도 왁스가 펠트의 공극 구조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고 펠트 내부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펠트 섬유 구조가 만들어내는 표면장력을 통해 왁스의 누설을 방지하고 왁스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펠트의 섬유 구조가 가지는 공극은 그 단면적이 협소하므로, 반고체 상태의 왁스가 표면장력을 가진 상태로 펠트 내부 공극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온의 환경에서 반고체 상태의 왁스가 일정부분 액체화 된다고 하더라도, 협소한 펠트 공극 구조 안에서 표면장력을 유지하며 펠트 내부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펠트의 내부는 얽힌 섬유 구조를 형성하며, 구조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극부(AG)는 서로 연결된 공간 구조를 가지며, 연결된 공극부들에 함침된 왁스는 공극부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방향제의 내부에서의 균일한 향료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펠트의 내부는 폴리에스터 섬유가 50μm~200μm의 간격으로 얽혀져 형성되어 있어, 공극 공간이 미세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함침된 왁스가 액체상태에서도 미세한 공극 공간에 의해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표면 장력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장력을 가진 왁스의 경우 불규칙한 섬유의 얽힘이 만들어내는 미세한 표면의 굴곡에 의해 왁스 자체의 외부에 대한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향료의 발산 면적이 증가하여 발향 능력이 제고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 펠트부 표면의 왁스 향료가 증발하면 펠트부 내부의 왁스 향료가 천천히 재확산될 수 있어, 펠트부 내부에 함침된 왁스 향료까지 외부로 발산되어 원료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반면에 석고형 방향제의 내부는 분절된 공극들로 이루어져 있어 공극에 머금은 향료가 외부와 가까운 경우 증발이 가능하지만 내부에 갇혀있는 향료는 증발시킬 수 없으며 석고 내부에서 표면으로 확산이 불가능 하다.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 표면의 향료가 증발한 후 내부 향료가 그대로 남아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펠트부(F)를 수용하는 논우븐 패브릭부(NW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논우븐 패브릭부(NWF)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머니 형상은 펠트부(F)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일면부(D)는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폐쇄될 수 있다. 개방된 일면부(D)를 통해 펠트부(F)가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는 펠트부(F)의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형상이 직사각형의 수용공간을 가진 주머니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펠트부(F)의 형상 및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펠트부(F) 및 이에 대응한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펠트 구조를 통해 반고체 상태의 왁스를 일정 부분 고정시킬 수 있으나, 고온 환경에서 일정 부분 녹은 왁스가 공극을 통해 펠트 구조의 외부로 소량이 배출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왁스가 함침된 펠트부(F)를 논우븐 패브릭부(NWF)가 감싸도록 형성하여, 녹아내린 왁스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논우븐 패브릭부(NWF)는 방역용 마스크 등에 사용되는 소재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논우븐 패브릭부(NWF)는 기체 분자는 통과시키는 반면 액체는 차단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의 방향 성능은 유지할 수 있는 반면, 액체화가 진행된 왁스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왁스를 고정시킨 펠트를 논우븐 패브릭부(NWF)에 담아놓을 경우, 예를 들어 차량 내부 등의 고온의 환경에서도 왁스의 흘러내림 현상 없이 방향제를 사용할 수 있다. 왁스가 외부로 흘러내릴 경우, 실내의 다른 구성물에 왁스가 묻어 왁스가 묻은 다른 구성물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논우븐 패브릭부(NWF)가 상기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다.
또한 잠시 녹아 나온 왁스가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내면부와 접촉한다고 하더라도,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상 펠트부(F)에 재흡수 될 수도 있다. 또한 펠트부(F)와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사이 부분에 위치하여 펠트부(F)와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논우븐 패브릭부(NWF)의 내면부 상에서 증발하여 외부로 발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논우븐 패브릭부(NWF)를 통해 왁스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투입된 향료를 거의 대부분 사용할 수 있어 향료 사용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블릿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를 타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방향제가 디퓨저 내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수용부 내부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a)는 방향제가 장착된 수용부 내부의 모습, 7(b)은 방향제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수용부 내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장착된 고정 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공기 인입부, 방향제, 공기배출구, 실내로 이어지는 공기 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100)는, 적어도 하나의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수용되는 수용부(120) 및 수용부(120)를 커버하는 커버부(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20)에는 복수의 수용 공간(S1, S2, S3, S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S1, S2, S3, S4)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방향제(10a, 10b, 10c, 10d)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10a, 10b, 10c, 10d) 중 적어도 두 개의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의 성분은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 및 향기를 가진 방향제(10a, 10b, 10c, 10d)를 조합하여 자신만의 향기를 블렌딩(Blending)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디퓨저(100)에 향기와 기능, 즉 성분이 다른 여러 종류의 방향제를 함께 결합 시켜 사용할 수 있어, 다른 종류의 방향제 간의 블렌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서로 다른 방향제를 원하는 조합으로 블렌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방향제 블렌딩 레시피를 마련할 수 있는 등 사용되는 향료 종류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S1, S2, S3, S4)는, 수용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23)를 통해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23)는 수용부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수용 공간을 구획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각각의 방향제(10a, 10b, 10c, 10d)는 복수의 돌출부(123) 중 인접한 두 돌출부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부(120)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23)는 각각의 방향제(10a, 10b, 10c, 10d)와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촉함과 동시에, 각각의 방향제를 수용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23)가 최소한의 면적으로 각각의 방향제와 접촉함으로써, 각각의 방향제의 표면적을 확보하여 향기가 외부로 자연스럽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는 수용 공간(S1, S2, S3, S4)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수용 공간들에 삽입된 복수의 방향제(10a, 10b, 10c, 10d)들이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방향제들 간에 접촉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복수의 방향제들 각각이 외부와 접하는 표면적을 최대한 넓힘으로써 향기가 외부로 자연스럽게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20)에는 공기 인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0)에는 공기 배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20)의 공기 인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방향제(10)를 통과하여 공기 배출구(111)를 통해 차량 내부 또는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11)는 홀(Hole) 형상으로 된 복수의 홀이 커버부(110)의 전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배치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방향제(10)에서 발향된 향기가 공기 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균일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용부(120)는 고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2)는 수용부(120)의 공기 인입구(121)가 위치한 부분에서 수용부(120)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2)에는 다양한 고정 부재가 결합되어 디퓨저(100)를 외부 구성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핀(G)을 고정부(122)에 결합시켜, 고정 핀(G)을 통해 차량의 송풍구에 디퓨저(10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송풍구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는 고정부(122) 부근에 형성된 공기 인입구(121)를 통해 디퓨저(10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풍구의 바람에 의해 향료 증발이 가속화되어 방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P)의 송풍 방향(d)과, 디퓨저(100)의 내부의 공기 인입구(121), 방향제(10) 및 공기 배출구(111)로 이어지는 공기 이동 방향(d)이 일치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디퓨저(100)를 송풍구(P)에 장착함으로써, 송풍구(P)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방향제(10)를 지나 공기 배출구(111)를 통해 실내 혹은 차량 내부로 자연스럽게 전달되어 향료의 발향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안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고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고안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고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고안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디퓨저
110: 커버부
111: 공기 배출구
120: 수용부
121: 공기 인입구
122: 고정부
123: 돌출부
10: 방향제
d: 공기 이동 방향
P: 송풍구
G: 고정핀
F: 펠트부
NWF: 논우븐 패브릭부

Claims (6)

  1. 왁스가 함침된 펠트부; 및
    상기 펠트부를 수용하는 논우븐 패브릭(Non-woven Fabric)부를 포함하고,
    상기 논우븐 패브릭부의 일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개방된 일면부를 통해 상기 펠트부가 상기 논우븐 패브릭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복수 개의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용 공간 각각에 수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 중 적어도 두 개의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의 성분은 같거나 다르고,
    같거나 다른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타블렛 형태의 고체 방향제는 블렌딩되는 디퓨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부는 복수의 공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왁스는 상기 펠트부의 공극들 사이에 함침되는 디퓨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논우븐 패브릭부는 액체는 차단하고 기체는 통과시키는 디퓨저.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공기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공기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공기 인입부가 송풍구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고정시키는 디퓨저.
KR2020230000135U 2023-01-19 2023-01-19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KR200498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135U KR200498061Y1 (ko) 2023-01-19 2023-01-19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135U KR200498061Y1 (ko) 2023-01-19 2023-01-19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8061Y1 true KR200498061Y1 (ko) 2024-06-12

Family

ID=9146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135U KR200498061Y1 (ko) 2023-01-19 2023-01-19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06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0050A (ko) * 1997-01-09 2000-11-25 베로니카 (수잔) 로빈슨 머리착용 물품용 방충 기판
KR200405067Y1 (ko) * 2005-10-19 2006-01-10 (주)쥬얼테크 펜던트
KR20130000962U (ko) * 2011-08-01 2013-02-12 신광섭 장기간 균일하게 향을 발산하게 하는 방향제 패키지
KR101596405B1 (ko) * 2015-10-20 2016-02-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KR20160076517A (ko) * 2013-08-23 2016-06-30 아메리칸펠트앤드필터캄파니 향이 나는 웨이퍼
KR20190002247U (ko) * 2018-02-28 2019-09-05 권혜윤 차량용 방향제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0050A (ko) * 1997-01-09 2000-11-25 베로니카 (수잔) 로빈슨 머리착용 물품용 방충 기판
KR200405067Y1 (ko) * 2005-10-19 2006-01-10 (주)쥬얼테크 펜던트
KR20130000962U (ko) * 2011-08-01 2013-02-12 신광섭 장기간 균일하게 향을 발산하게 하는 방향제 패키지
KR20160076517A (ko) * 2013-08-23 2016-06-30 아메리칸펠트앤드필터캄파니 향이 나는 웨이퍼
KR101596405B1 (ko) * 2015-10-20 2016-02-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방향제 매립형 차량용 에어벤트
KR20190002247U (ko) * 2018-02-28 2019-09-05 권혜윤 차량용 방향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27918B (en) Time release fragrance sachet, method of using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5240653A (en) House freshener
EP1586335B1 (en) Diffuser device for volatile substances
US20020157540A1 (en) Scenting device for air flow apparatus
US4815659A (en) Method for releasing a gas into the atmosphere
US20070176015A1 (en) System for delivering volatile materials
EP3634504B1 (en) Volatile diffuser pods and related systems
JP6423881B2 (ja) ウエハー状芳香性物質保持体
KR102470460B1 (ko) 공기 필터를 위한 방향제 분배기
KR200498061Y1 (ko)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 및 타블렛 형태의 반고체 방향제가 포함된 디퓨저
JP2006090632A (ja) 空気調和機
CA2823417C (en) Improved scent pad and mechanism for housing the same
JP2007000187A (ja) 揮散性物質放散用容器
KR101960674B1 (ko) 차량용 향발생 카트리지
CN105324625B (zh) 全热交换元件用分隔部件、使用该部件的全热交换元件和全热交换式换气装置
JP2968506B2 (ja) 芳香装置
JP4863421B2 (ja) 揮散性薬剤の送風放散装置
KR102179425B1 (ko) 방향제의 제조 방법
ES2242724T3 (es) Medio fibroso anti-microbiano.
JP2020189691A (ja) 揮発性液体の収容装置
JPH01293113A (ja) フィルタ要素、フィルタ、フィルタを備えた空気調和機及びフィルタ要素の製造方法
JP5639702B1 (ja) 吸水性多孔シート
JP2010017195A (ja) 薬剤揮散装置
WO2023002961A1 (ja) フレグランス装置およびフレグランスカートリッジ
JP7270482B2 (ja) 薬液揮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