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861A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861A
KR20210105861A KR1020210109419A KR20210109419A KR20210105861A KR 20210105861 A KR20210105861 A KR 20210105861A KR 1020210109419 A KR1020210109419 A KR 1020210109419A KR 20210109419 A KR20210109419 A KR 20210109419A KR 20210105861 A KR20210105861 A KR 20210105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jet
shielding plate
j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579B1 (ko
Inventor
유키 코
마사유키 모치타
요시히로 코토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과제) 차폐판이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노즐에 형성된 분출구로부터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보울을 갖는 변기 위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케이싱과, 수납 위치와 진출 위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한 노즐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판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노즐은 전하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제 1 분출구를 갖고, 제어부는 위생 세정 장치의 사용 후에 있어서, 차폐판이 초기 위치로부터 노즐 진출시의 제 1 각도보다 작은 제 2 각도 회동한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하고, 전방 세정 동작에 있어서, 차폐판의 적어도 일부는 노즐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양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변기의 보울에의 오물의 부착이나 퇴적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사용 후에 보울에 물 또는 기능수를 분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예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위생 세정 장치의 인체 국부 세정용 노즐에 보울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분출구를 형성하고, 노즐을 케이싱으로부터 진출시켜서 분출구로부터 보울에 물을 분출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노즐은 보울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케이싱으로부터 전하방을 향해서 진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분출구로부터 일정한 분출 각도로 물을 분출하는 경우, 노즐을 진출시키면 분출구의 높이 위치가 낮아지고,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이 부착되는 범위는 좁아진다. 따라서, 노즐을 크게 진출시킨 상태에서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면, 특히 보울의 전방측 등에 물을 부착시키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또한 이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케이싱에 수납된 상태의 노즐의 전방에는 차폐판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즐을 케이싱에 수납한 상태에서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면, 분출구의 높이 위치는 확보할 수 있지만, 차폐판에 물이 충돌해 버려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일본 특허공개 2015-101942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노즐의 전방에 차폐판이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노즐에 형성된 분출구로부터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보울을 갖는 변기 위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케이싱과,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노즐로서, 상기 케이싱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진출한 진출 위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한 상기 노즐과,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즐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폐판과, 상기 노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전하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제 1 분출구를 갖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노즐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초기 위치에 있고, 상기 노즐이 상기 진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제 1 각도 회동한 제 1 위치에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사용 후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이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각도보다 작은 제 2 각도 회동한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하고, 상기 전방 세정 동작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즐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차폐판을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각도 회동시킨 상태에서 제 1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제 1 분출구로부터 전하방을 향해서 분출된 물이 차폐판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차폐판을 제 1 각도보다 작은 제 2 각도 회동시켜서 차폐판의 적어도 일부가 노즐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 1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노즐의 진퇴에 의해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노즐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진출 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까지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차폐판을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의 진퇴에 의해 회동 가능한 차폐판을 설치함으로써, 차폐판을 자동으로 회동시키는 유닛을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차폐판을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을 소정 위치까지 진출시킴으로써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제 1 분출구의 위치가 낮아지므로,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각도는 상기 노즐의 연직면에 대한 진출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 2 각도를 이러한 각도로 함으로써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하단은 상기 차폐판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분출구의 중심보다 하방 또는 상기 제 1 분출구의 중심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 2 위치를 이러한 위치로 함으로써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제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출구의 분출 범위는 상기 차폐판이 상기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폐판과 겹치고, 상기 차폐판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폐판과 겹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 2 위치를 이러한 위치로 함으로써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1∼제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변좌와, 사용자의 상기 변좌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검지 센서가 상기 착좌를 검지한 상태로부터 상기 착좌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상기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좌를 트리거로 해서 전방 세정 동작 등의 사용 후 세정을 행함으로써 위생 세정 장치의 사용 직후에 사용 후 세정을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음 사용자가 착좌하기 전에 사용 후 세정을 완료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1∼제 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제 1 분출구보다 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제 2 분출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 1 분출구보다 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제 2 분출구를 더 형성함으로써,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부착되기 어려운 보울의 후방측에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울의 보다 넓은 범위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폐판을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제 2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후방 세정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차폐판을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안에 후방 세정 동작을 행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에 보울의 보다 넓은 범위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7 또는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출구 및 상기 제 2 분출구는 상기 노즐의 상기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출구는 상기 제 1 분출구의 측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의 전단부에 있어서 제 2 분출구를 제 1 분출구의 측방에 형성함으로써 노즐의 전단부에 있어서 제 2 분출구를 제 1 분출구의 상방이나 하방에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노즐의 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폐판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할 때의 제 2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2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노즐의 전방에 차폐판이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노즐에 형성된 분출구로부터 보울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변형예의 노즐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각 도면 중,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장치(900)는 양변기(변기)(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 뚜껑(300)을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 뚜껑(300)은 케이싱(400)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변기(800)는 보울(801)을 갖는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방」, 「하방」, 「전방」, 「후방」, 「우측방」, 및 「좌측방」을 사용하지만, 이들 방향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국부의 세정을 실현하는 국부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국부 세정 기능부는 노즐(473)을 포함한다. 노즐(473)은 케이싱(400)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케이싱(400)으로부터 진출한 진출 위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다. 노즐(473)은 케이싱(400)의 전하방에 위치하는 보울(801)의 중심을 향해서 직선상의 궤도로 진출하고, 보울(801)의 후상방에 위치하는 케이싱(400)의 내부를 향해서 직선상의 궤도로 후퇴한다. 또, 도 1에 나타낸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노즐(473)이 진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위생 세정 장치(100)에는 사용자의 변좌(200)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404)(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의 조작부(500)(도 2 참조)를 조작하면, 노즐(473)을 진출 위치에 진출시키거나, 수납 위치에 후퇴시키거나 할 수 있다.
노즐(473)은 케이싱(400)으로부터 진출한 상태에서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세정수)을 토출하여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형성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또는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는 노즐(473)은 그 선단에 형성된 비데 세정 토수구(474c)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변좌(200)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또,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 뿐만 아니라, 가열된 뜨거운 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엉덩이」를 세정하는 모드 중에는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엉덩이 세정」보다 소프트한 수류로 부드럽게 세정하는 「소프트 세정」이 포함된다. 노즐(473)은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소프트 세정」과, 「비데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c)가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의 설치 위치는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3개의 토수구가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가 생략되어 있어도 좋고, 4개 이상의 토수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도수부(20)를 갖는다. 도수부(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이르는 관로(20a)를 갖는다. 도수부(20)는 관로(20a)에 의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에 안내한다. 관로(20a)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전자밸브(431), 열교환기 유닛(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 각 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 형성된다.
도수부(20)의 상류측에는 전자밸브(431)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밸브(431)는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꿔 말하면, 전자밸브(431)는 관로(20a)를 개폐한다. 전자밸브(431)를 개방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관로(20a)에 흐른다.
전자밸브(431)의 하류에는 압력 조절 밸브(432)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조절 밸브(432)는 급수압이 높은 경우에, 관로(20a)내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범위로 조정한다. 압력 조절 밸브(432)의 하류에는 역지밸브(433)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밸브(433)는 관로(20a)내의 압력이 저하된 경우 등에 역지밸브(433)보다 상류측으로의 물의 역류를 억제한다.
역지밸브(433)의 하류에는 열교환기 유닛(440)(가열부)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히터를 갖고,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해서 예를 들면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한다. 즉, 열교환기 유닛(440)은 온수를 생성한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교환기이다. 순간 가열식 열교환기는 저탕 탱크를 사용한 저탕 가열식 열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에 물을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 열교환기 유닛(440)은 순간 가열식 열교환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저탕 가열식 열교환기이어도 좋다. 또한 가열부는 열교환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하는 것 등, 다른 가열 방식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440)을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에서 설정된 온도로 물을 승온한다.
열교환기 유닛(440)의 하류에는 유량 센서(4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토출된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즉, 유량 센서(442)는 관로(20a)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유량 센서(44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유량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5)에 입력한다.
유량 센서(442)의 하류에는 전해조 유닛(450)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내부를 흐르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돗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기능수)을 생성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기능수의 생성을 행한다.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예를 들면 은 이온이나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전해 염소나 오존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산성수나 알카리수이어도 좋다.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는 버큠 브레이커(VB)(452)가 설치되어 있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유로와, 유로내에 공기를 받아 들이기 위한 흡기구와, 흡기구를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갖는다. 밸브기구는 예를 들면 유로에 물이 흐르고 있을 때에 흡기구를 막고, 물의 흐름의 정지와 함께 흡기구를 개방해서 유로내에 공기를 받아 들인다. 즉, 버큠 브레이커(452)는 도수부(20)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관로(20a)내에 공기를 받아 들인다. 밸브기구에는 예를 들면 플로트 밸브가 사용된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로(20a)내에 공기를 받아 들임으로써, 예를 들면 관로(20a)의 버큠 브레이커(452)보다 하류 부분의 물 빠짐을 촉진시킨다. 버큠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물 빠짐을 촉진시킨다. 이렇게, 버큠 브레이커(452)는 노즐(473)내의 물을 빼내어 노즐(473)내에 공기를 받아 들임으로써, 예를 들면 노즐(473)내의 세정수나 보울(801)내에 고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 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버큠 브레이커(452)의 하류에는 압력 변조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도수부(20)의 관로(20a)내의 물의 흐름에 맥동 또는 가속을 주고, 노즐(473)의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나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로부터 토수되는 물에 맥동을 준다. 즉,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내를 흐르는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내의 물의 압력을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의 하류에는 유량 조정부(471)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는 수세(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부(478)에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1개의 유닛으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은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노즐(473), 및 노즐 세정부(478)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노즐 구동부(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보울(801)내에 진출하거나, 보울(801)내로부터 후퇴하거나 한다.
노즐 세정부(478)는 예를 들면 토수부로부터 기능수 또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세정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473)에 공급하는 엉덩이 세정 유로(21)와, 소프트 세정 유로(22)와, 비데 세정 유로(23)가 형성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1)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를 접속한다. 소프트 세정 유로(22)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를 접속한다. 비데 세정 유로(23)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비데 세정 토수구(474c)를 접속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표면 세정 유로(24)와, 제 1 보울 분출 유로(25)와, 제 2 보울 분출 유로(26)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세정 유로(24)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에 안내한다. 제 1 보울 분출 유로(25) 및 제 2 보울 분출 유로(26)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473)의 분출구(479)(후술의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에 안내한다. 분출구(479)에 공급된 물 또는 기능수는 분출구(479)로부터 보울(801)을 향해서 분출된다. 또, 제 2 분출구(479b)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제 2 보울 분출 유로(26)는 생략 가능하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함으로써, 엉덩이 세정 유로(21), 소프트 세정 유로(22), 비데 세정 유로(23), 표면 세정 유로(24), 제 1 보울 분출 유로(25), 및 제 2 보울 분출 유로(26)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이렇게, 유로 스위칭부(472)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 비데 세정 토수구(474c), 노즐 세정부(478), 및 분출구(479) 등의 복수의 토수구의 각각에 대해서 관로(20a)에 연통시킨 상태와, 관로(20a)에 연통시키지 않는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전원회로(40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착좌 검지 센서(404)나, 유량 센서(442)나,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자밸브(431)나, 열교환기 유닛(440)이나, 전해조 유닛(450)이나, 압력 변조부(454)나, 유량 조정부(471)나, 유로 스위칭부(472)나, 노즐 구동부(47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05)는 노즐(473)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서 온풍을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유닛」이나 「실내 난방 유닛」 등의 각종 기구가 적당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케이싱(400)의 측면에는 탈취 유닛으로부터의 배기구(407) 및 실내 난방 유닛으로부터의 배출구(408)가 적당하게 형성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생 세정 기능부나 그 밖의 부가 기능부는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나타내는 A1-A2선에 의한 단면 중, 노즐(473)의 주변을 나타낸다.
도 3(a), 도 3(b), 도 4,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은 예를 들면 노즐 헤드(473a)와, 노즐 커버(473b)를 갖는다. 노즐 헤드(473a)는 노즐 커버(473b)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노즐 커버(473b)는 노즐 헤드(473a)를 덮고 있다.
노즐 헤드(473a)에는 인체 국부를 향해서 물을 토출하는 토수구(474)(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와, 보울(801)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분출구(479)(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헤드(473a)는 엉덩이 세정 유로(21), 소프트 세정 유로(22), 비데 세정 유로(23), 제 1 보울 분출 유로(25), 및 제 2 보울 분출 유로(26)에 접속되어 있다.
노즐 커버(473b)에는 토수구(474)(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와 연통하는 구멍부(475a)와, 분출구(479)(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를 노출시키는 노치부(475b)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치부(475b)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전단부(477)의 상하 방향의 중앙(CL1)보다 하방에 형성된다.
이렇게,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를 노출시키는 노치부(475b)를 노즐(473)의 전단부(477)의 상하 방향의 중앙(CL1)보다 하방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봤을 때에 노치부(475b)는 눈에 띄게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물을 분출하고 있는 상태(즉, 후술의 전방 세정 동작)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물을 분출하고 있는 상태(즉, 후술의 후방 세정 동작)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는 예를 들면 안개형상의 물을 분출한다.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입경은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소프트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입경보다 작다.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입경은 예를 들면 약 400㎛ 정도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분출구(479a)는 전하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제 1 분출구(479a)는 전하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분출구(479a)는 수평면(HP)에 대해서 제 1 분출 각도(θ1)로 물을 분출한다. 제 1 분출 각도(θ1)는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제 1 분출 방향(D1)과 수평면(HP)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 1 분출 방향(D1)은 예를 들면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분출 범위(R1)의 중심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 1 분출 방향(D1)은 예를 들면 제 1 분출구(479a)의 법선으로 나타내어도 좋다.
제 1 분출 각도(θ1)는 예를 들면 수평면(HP)에 대한 노즐(473)의 진출 각도(θ3)보다 크다. 진출 각도(θ3)는 노즐(473)의 진출 방향(ED)과 수평면(HP)이 이루는 각도이다. 바꿔 말하면, 제 1 분출구(479a)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진출 방향(ED)보다 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한다. 제 1 분출 각도(θ1)는 예각이다. 제 1 분출 각도(θ1)는 예를 들면 38도 이상 72도 이하이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분출구(479b)는 제 1 분출구(479a)보다 후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제 2 분출구(479b)는 제 1 분출구(479a)보다 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분출구(479b)는 수평면(HP)에 대해서 제 2 분출 각도(θ2)로 물을 분출한다. 제 2 분출 각도(θ2)는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제 2 분출 방향(D2)과 수평면(HP)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 2 분출 방향(D2)은 예를 들면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분출 범위(R2)의 중심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 2 분출 방향(D2)은 예를 들면 제 2 분출구(479b)의 법선으로 나타내어도 좋다.
제 2 분출 각도(θ2)는 예를 들면 수평면(HP)에 대한 노즐(473)의 진출 각도(θ3)보다 크다. 바꿔 말하면, 제 2 분출구(479b)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진출 방향(ED)보다 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한다. 제 2 분출 각도(θ2)는 제 1 분출 각도(θ1)보다 크다. 바꿔 말하면, 제 2 분출구(479b)는 제 1 분출구(479a)보다 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한다. 제 2 분출 각도(θ2)는 예를 들면 72도 이상 90도 이하이다.
이렇게, 전후방향에 있어서 다른 방향으로 물을 분출하는 2개의 분출구(479)(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를 형성함으로써, 보울(801)의 보다 넓은 범위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하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제 1 분출구(479a)에 의해 보울(801)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킴과 아울러, 제 1 분출구(479a)보다 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제 2 분출구(479b)에 의해 보울(801)의 후방측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부착되기 어려운 보울(801)의 후방측에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분출되는 물을 부착시킬 수 있고, 보울(801)의 보다 넓은 범위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분출구(479b)는 제 1 분출구(479a)의 측방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분출구(479b)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분출구(479a)와 겹치지 않는다. 제 2 분출구(479b)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1 분출구(479a)와 겹친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분출구(479a)는 노즐(473)의 전단부(477)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보다 일방측(이 예에서는 좌측)에 위치하고, 제 2 분출구(479b)는 좌우 방향의 중앙(CL2)보다 타방측(이 예에서는 우측)에 위치한다.
또, 제 1 분출구(479a)가 노즐(473)의 전단부(477)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제 2 분출구(479b)가 좌우 방향의 중앙(CL2)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 1 분출구(479a)의 좌우 방향의 위치와 제 2 분출구(479b)의 좌우 방향의 위치는 반대이어도 좋다.
이렇게, 제 2 분출구(479b)를 제 1 분출구(479a)의 측방에 형성함으로써 제 1 분출구(479a)의 물을 분출하는 방향과 제 2 분출구(479b)의 물을 분출하는 방향이 다른 경우에도, 한쪽의 분출구(479)(예를 들면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분출된 물이 다른쪽의 분출구(479)(예를 들면 제 1 분출구(479a))에 닿아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분출구(479)의 물을 분출하는 방향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보다 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시킬 수 있고, 보울(801)의 전방측에 의해 물을 부착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분출구(479a)는 예를 들면 제 2 분출구(479b)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분출구(479a)의 중심(C1)은 제 2 분출구(479b)의 중심(C2)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렇게, 제 1 분출구(479a)의 중심(C1)을 제 2 분출구(479b)의 중심(C2)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한쪽의 분출구(479)(예를 들면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분출된 물이 다른쪽의 분출구(479)(예를 들면 제 1 분출구(479a))에 닿아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전단부(477)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전단부(477)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중앙(CL1)보다 하방에 형성된다.
이렇게,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를 노즐(473)의 전단부(477)에 형성함으로써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보다 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울(801)의 전방측에 보다 물을 부착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분출구(479b)는 필요에 따라 형성되고, 생략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노즐(473)은 적어도 제 1 분출구(479a)를 갖고 있으면 좋다. 제 2 분출구(479b)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제 1 분출구(479a)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전단부(477)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과 겹치도록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노즐(473)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노즐(473)이 진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00)는 차폐판(600)을 구비한다. 차폐판(600)은 케이싱(4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차폐판(600)은 초기 위치에 있다. 차폐판(600)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노즐(473)의 전방에 위치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이 진출 위치에 있을 때, 차폐판(600)은 제 1 위치에 있다. 차폐판(600)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노즐(473)의 상방에 위치한다.
노즐(473)이 수납 위치로부터 진출 위치에 진출하면, 차폐판(600)은 초기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회동한다. 제 1 위치는 초기 위치로부터 제 1 각도(ψ1) 회동한 위치이다.
초기 위치에 있어서, 차폐판(600)은 예를 들면 연직면(VP)에 대해서 평행하게 설치된다. 초기 위치에 있어서, 차폐판(600)은 예를 들면 연직면(VP)에 대해서 0도를 초과하고 3도 이하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초기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제 1 경사 방향(T1)과 연직면(VP)이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0도 이상 3도 이하이다. 제 1 경사 방향(T1)은 예를 들면 초기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축지지부(60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602)를 따르는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 1 경사 방향(T1)은 예를 들면 초기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나타내어도 좋다.
제 1 각도(ψ1)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제 1 경사 방향(T1)과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제 2 경사 방향(T2)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 2 경사 방향(T2)은 예를 들면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축지지부(60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602)를 따르는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 2 경사 방향(T2)은 예를 들면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나타내어도 좋다. 제 1 각도(ψ1)는 예를 들면 25도 이상 45도 이하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노즐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405)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사용 후에, 사용 후 세정을 행한다. 사용 후 세정에 있어서, 제어부(405)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판(600)이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각도(ψ2) 회동한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한다.
제 2 각도(ψ2)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제 1 경사 방향(T1)과 제 2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제 3 경사 방향(T3)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 3 경사 방향(T3)은 예를 들면 제 2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축지지부(60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602)를 따르는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 3 경사 방향(T3)은 예를 들면 제 2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나타내어도 좋다. 제 2 각도(ψ2)는 예를 들면 3도 이상 25도 이하이다.
제 2 각도(ψ2)는 0도보다 크다. 제 2 각도(ψ2)는 제 1 각도(ψ1)보다 작다. 즉,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할 때의 (제 2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은 노즐(473)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보다 개방된 상태이며, 또한 노즐(473)이 진출 위치에 있을 때의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차폐판(600)보다 폐쇄된 상태이다. 또한 전방 세정 동작에 있어서 (차폐판(600)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차폐판(600)의 적어도 일부는 노즐(473)의 전단부(477)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차폐판(600)을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각도(ψ2) 회동시킨 상태에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전하방을 향해서 분출된 물이 차폐판(600)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울(801)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차폐판(600)을 제 1 각도(ψ1)보다 작은 제 2 각도(ψ2) 회동시켜서 차폐판(600)의 적어도 일부가 노즐(473)의 전단부(477)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801)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300)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차폐판(600)은 노즐(473)의 진퇴에 의해 회동 가능하다. 제어부(405)는 수납 위치에 있는 노즐(473)을 수납 위치와 진출 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까지 진출시킴으로써 차폐판(600)을 소정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회동시킨 상태에서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한다.
이렇게, 노즐(473)의 진퇴에 의해 회동 가능한 차폐판(600)을 설치함으로써, 차폐판(600)을 자동으로 회동시키는 유닛을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차폐판(60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473)을 소정 위치까지 진출시킴으로써 보울(801)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제 1 분출구(479a)의 위치가 낮아지므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300)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각도(ψ2)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연직면(VP)에 대한 진출 각도(ψ3)보다 작다. 진출 각도(ψ3)는 노즐(473)의 진출 방향(ED)과 연직면(VP)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 2 각도(ψ2)를 이러한 각도로 함으로써 보울(801)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801)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300)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600)의 하단은 예를 들면 차폐판(600)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제 1 분출구(479a)의 중심(C1)보다 하방 또는 제 1 분출구(479a)의 중심(C1)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제 2 각도(ψ2)는 예를 들면 차폐판(600)의 하단이 제 1 분출구(479a)의 중심(C1)보다 하방 또는 제 1 분출구(479a)의 중심(C1)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각도로 설정된다. 제 2 각도(ψ2)를 이러한 각도로 함으로써 (제 2 위치를 이러한 위치로 함으로써), 보울(801)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801)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300)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7에 있어서, 분출 범위(R1)는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물을 분출한 경우의 분출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판(600)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분출 범위(R1)는 차폐판(600)과 겹친다. 즉, 차폐판(600)이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물을 분출하면, 차폐판(600)에 의해 방해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판(600)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분출 범위(R1)는 차폐판(600)과 겹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제 2 각도(ψ2)는 예를 들면 제 1 분출구(479a)의 분출 범위(R1)가 차폐판(600)과 겹치지 않는 각도로 설정된다. 제 2 각도(ψ2)를 이러한 각도로 함으로써 (제 2 위치를 이러한 위치로 함으로써), 보울(801)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짐과 아울러,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801)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300)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분출구(479a) 및 제 2 분출구(479b)는 노즐(473)의 전단부(477)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분출구(479b)는 제 1 분출구(479a)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노즐(473)의 전단부(477)에 있어서 제 2 분출구(479b)를 제 1 분출구(479a)의 측방에 형성함으로써 노즐의 전단부(477)에 있어서 제 2 분출구(479b)를 제 1 분출구(479a)의 상방이나 하방에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노즐(473)의 전단부(477)가 상하 방향으로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폐판(6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할 때의 제 2 각도(ψ2)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2 각도(ψ2)를 작게 함으로써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분출된 물의 일부가 보울(801)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닫은 변기 뚜껑(300)에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사용 후 세정에 있어서 분출구(479)로부터 분출되는 물은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이어도 좋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변형예의 노즐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생 세정 장치(100)는 차폐판(600)을 자동으로 회동시키는 유닛(구동 유닛)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어부(40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473)을 진출시키지 않고, 차폐판(600)을 구동 유닛에 의해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켜서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해도 좋다.
이 예에 있어서도, 차폐판(600)을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각도(ψ2) 회동시킨 상태에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제 1 분출구(479a)로부터 전하방을 향해서 분출된 물이 차폐판(600)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울(801)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키기 쉬워진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면서, 사용 후 세정에 있어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전방 세정 동작)만을 행하는 경우의 플로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제어부(405)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착좌를 검지한 상태로부터 착좌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스텝 S101:Yes), 소정 위치까지 노즐(473)을 진출시킨다(스텝 S102). 이것에 의해 차폐판(600)을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이좌를 트리거로 해서 전방 세정 동작 등의 사용 후 세정을 행함으로써 위생 세정 장치(100)의 사용 직후에 사용 후 세정을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음 사용자가 착좌하기 전에 사용 후 세정을 완료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물이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사용 후 세정의 트리거는 사용자의 이좌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화장실로부터의 퇴실이나, 변기 세정의 버튼 조작 등을 트리거로 해서 사용 후 세정을 행해도 좋다.
소정 위치까지 노즐(473)을 진출시키면, 제어부(405)는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전방 세정 동작)을 개시시킨다(스텝 S103).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소정 시간(예를 들면 6초간) 행하면(스텝 S104:Yes), 제어부(405)는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전방 세정 동작)을 정지시킨다(스텝 S105).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정지시키면, 제어부(405)는 수납 위치까지 노즐(473)을 후퇴시킨다(스텝 S106).
스텝 S103은 스텝 S102의 개시 후, 스텝 S102가 완료되기 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진출시키면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개시시켜도 좋다. 또한 스텝 S103은 스텝 S102 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제어부(405)는 노즐(473)의 진출 전에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개시시켜도 좋다.
스텝 S105는 스텝 S106 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제어부(405)는 노즐(473)의 후퇴 후에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정지시켜도 좋다. 또한 스텝 S105는 스텝 S106의 개시 후, 스텝 S106이 완료되기 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후퇴시키면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정지시켜도 좋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면서, 사용 후 세정에 있어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전방 세정 동작) 및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후방 세정 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플로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제어부(405)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착좌를 검지한 상태로부터 착좌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스텝 S201:Yes),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후방 세정 동작)을 개시시킨다(스텝 S202).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개시시키면, 제어부(405)는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물을 분출시킨 상태에서, 소정 위치까지 노즐(473)을 진출시킨다(스텝 S203). 이것에 의해 차폐판(600)을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5)는 차폐판(600)을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안에,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후방 세정 동작을 행한다.
이렇게, 차폐판(600)을 초기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안에 후방 세정 동작을 행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에 보울(801)의 보다 넓은 범위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소정 위치까지 노즐(473)을 진출시키면, 제어부(405)는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후방 세정 동작)을 정지시킴(스텝 S204)과 아울러,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전방 세정 동작)을 개시시킨다(스텝 S205).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소정 시간(예를 들면 6초간) 행하면(스텝 S206:Yes), 제어부(405)는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전방 세정 동작)을 정지시킴(스텝 S207)과 아울러,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후방 세정 동작)을 개시시킨다(스텝 S208).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개시시키면, 제어부(405)는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물을 분출시킨 상태에서, 수납 위치까지 노즐(473)을 후퇴시킨다(스텝 S209).
수납 위치까지 노즐(473)을 후퇴시키면, 제어부(405)는 제 2 분출구(479b)로부터 물의 분출(후방 세정 동작)을 정지시킨다(스텝 S210).
스텝 S202는 스텝 S203의 개시 후, 스텝 S203이 완료되기 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진출시키면서,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개시시켜도 좋다.
또한 스텝 S204 및 스텝 S205는 스텝 S203의 개시 후, 스텝 S203이 완료되기 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진출시키면서,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정지시켜도 좋고, 노즐(473)을 진출시키면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개시시켜도 좋다.
스텝 S210은 스텝 S209의 개시 후, 스텝 S209가 완료되기 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후퇴시키면서,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정지시켜도 좋다.
또한 스텝 S207 및 스텝 S208은 스텝 S209의 개시 후, 스텝 S209가 완료되기 전에 행해져도 좋다. 즉,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후퇴시키면서, 제 1 분출구(479a)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정지시켜도 좋고, 노즐(473)을 진출시키면서, 제 2 분출구(479b)로부터의 물의 분출을 개시시켜도 좋다.
또한 스텝 S202 및 스텝 S204는 필요에 따라 행해지고, 생략 가능하다. 즉, 전방 세정 동작 전에 행해지는 후방 세정 동작은 필요에 따라 행해지고, 생략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스텝 S208 및 스텝 S210은 필요에 따라 행해지고, 생략 가능하다. 즉, 전방 세정 동작 후에 행해지는 후방 세정 동작은 필요에 따라 행해지고, 생략 가능하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방 세정 동작 전 및 전방 세정 동작 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후방 세정 동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405)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사용 전에, 사용 전 세정을 행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착좌 검지 센서(404)가 착좌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착좌를 검지한 상태가 되면, 사용 전 세정을 행해도 좋다.
또, 사용 전 세정의 트리거는 사용자의 착좌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화장실에의 입실이나, 변기 뚜껑(300)을 열기 위한 버튼 조작 등을 트리거로 해서 사용 전 세정을 행해도 좋다. 사용 전 세정은 상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플로우와 같은 플로우로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노즐(473)의 전방에 차폐판(600)이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에 있어서, 노즐(473)에 형성된 분출구(479)로부터 보울(801)의 전방측에 물을 부착시킬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서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하게 설계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급수원, 20: 도수부, 21: 엉덩이 세정 유로, 22: 소프트 세정 유로, 23: 비데 세정 유로, 24: 표면 세정 유로, 25: 제 1 보울 분출 유로, 26: 제 2 보울 분출 유로,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변좌, 300: 변기 뚜껑, 400: 케이싱, 401: 전원회로, 404: 착좌 검지 센서, 405: 제어부, 407: 배기구, 408: 배출구, 431: 전자밸브, 432: 압력 조절 밸브, 433: 역지 밸브, 440: 열교환기 유닛, 442: 유량 센서, 450: 전해조 유닛, 452: 버큠 브레이커, 454: 압력 변조부, 471: 유량 조정부, 472: 유로 스위칭부, 473: 노즐, 473a: 노즐 헤드, 473b: 노즐 커버, 474: 토수구, 474a: 엉덩이 세정 토수구, 474b: 소프트 세정 토수구, 474c: 비데 세정 토수구, 475a: 구멍부, 475b: 노치부, 476: 노즐 구동부, 477: 전단부, 478: 노즐 세정부, 479: 분출구, 479a, 479b: 제 1, 제 2 분출구, 500: 조작부, 600: 차폐판, 601: 축지지부, 602: 하측 연장부, 800: 변기, 801: 보울, 900: 변기 장치, C1, C2: 중심, CL1, CL2: 중앙, D1, D2: 제 1, 제 2 분출 방향, ED: 진출 방향, HP: 수평면, R1, R2: 분출 범위, T1∼T3: 제 1∼제3: 경사 방향, VP: 연직면, θ1, θ2: 제 1 , 제 2 분출 각도, θ3: 진출 각도, ψ1, ψ2: 제 1, 제 2 각도, ψ3: 진출 각도

Claims (6)

  1. 보울을 갖는 변기 위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케이싱과,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노즐로서, 상기 케이싱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진출한 진출 위치 사이에서 진퇴 가능한 상기 노즐과,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즐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폐판과,
    상기 노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전하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제 1 분출구를 갖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노즐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초기 위치에 있고, 상기 노즐이 상기 진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제 1 각도 회동한 제 1 위치에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생 세정 장치의 사용 후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이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각도보다 작은 제 2 각도 회동한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하고,
    상기 전방 세정 동작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즐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 1 분출구보다 후방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제 2 분출구를 더 갖고,
    상기 제 1 분출구 및 상기 제 2 분출구는 상기 노즐의 상기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분출구는 상기 제 1 분출구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분출구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출구와 겹치지 않고, 상기 제 2 분출구의 적어도 일부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출구와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변좌와,
    사용자의 상기 변좌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검지 센서가 상기 착좌를 검지한 상태로부터 상기 착좌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로 되면, 상기 전방 세정 동작을 행하고,
    상기 전방 세정 동작의 전 및 전방 세정 동작의 후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후방 세정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폐판을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제 2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후방 세정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폐판을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제 2 분출구로부터 물을 분출시키는 후방 세정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출구는 상기 노즐의 전단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분출구는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출구의 중심은 상기 제 2 분출구의 중심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210109419A 2019-06-14 2021-08-19 위생 세정 장치 KR102580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0879A JP6765644B1 (ja) 2019-06-14 2019-06-14 衛生洗浄装置
JPJP-P-2019-110879 2019-06-14
KR1020200041940A KR20200143230A (ko) 2019-06-14 2020-04-07 위생 세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940A Division KR20200143230A (ko) 2019-06-14 2020-04-07 위생 세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861A true KR20210105861A (ko) 2021-08-27
KR102580579B1 KR102580579B1 (ko) 2023-09-20

Family

ID=727066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940A KR20200143230A (ko) 2019-06-14 2020-04-07 위생 세정 장치
KR1020210109419A KR102580579B1 (ko) 2019-06-14 2021-08-19 위생 세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940A KR20200143230A (ko) 2019-06-14 2020-04-07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08746B2 (ko)
JP (1) JP6765644B1 (ko)
KR (2) KR20200143230A (ko)
CN (1) CN112081206A (ko)
TW (1) TWI7248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1660434S (ko) * 2019-11-06 2020-06-01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408056B2 (ja) * 2021-06-14 2024-01-0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1941A (ja) * 2013-11-28 2015-06-0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15101942A (ja) 2013-11-28 2015-06-0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17066636A (ja) * 2015-09-29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便器装置
EP3315677A1 (en) * 2015-06-25 2018-05-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anitary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7074A (en) * 1949-07-28 1953-02-03 Karp Harry Bathroom fixture
US3528112A (en) * 1969-02-14 1970-09-15 Philip Warnick Combined bathtub seat and spray head assembly
JP3325874B2 (ja) * 1993-04-28 2002-09-17 株式会社パンウォシュレット 衛生洗浄装置の瞬間加熱式熱交換装置
US5826282A (en) * 1994-03-09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anitary cleaning apparatus
WO1996027053A1 (fr) * 1995-02-28 1996-09-06 Toto Ltd. Appareil de siege
JPH09316968A (ja) * 1996-05-30 1997-12-09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EP0953689A4 (en) * 1996-10-30 2000-03-01 Masako Omoto W.C. AND HOSPITAL BED DEVICE HAVING THIS W.C.
US6754912B1 (en) * 1999-01-25 2004-06-29 Toto Ltd. Human body cleaner
KR100939144B1 (ko) * 2002-01-15 2010-01-28 파나소닉 주식회사 위생 세정 장치
EP1507935B1 (de) * 2002-05-30 2006-07-05 Geberit Technik Ag Spülvorrichtung einer toilettenanlage mit spülarm zum ausspülen einer toilettenschüssel
JP2004263397A (ja) * 2003-02-28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便器洗浄装置
US8495770B2 (en) * 2003-04-28 2013-07-30 Panasonic Corporation Nozzle device and hygienic washing device
JP4486317B2 (ja) * 2003-04-28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US7287286B2 (en) * 2004-10-22 2007-10-30 Hsueh-Hui Lee Closestool with clean water injector and photo catalytic bactericidal lamps
TW200738941A (en) * 2006-02-10 2007-10-16 Toto Ltd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JP2007315110A (ja) * 2006-05-26 2007-12-06 Toto Ltd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939983B2 (ja) * 2007-03-08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ズ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101104119B1 (ko) * 2009-01-21 2012-01-13 주식회사 파세코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EP2397614B1 (en) * 2009-02-12 2016-09-07 Toto Ltd. Hygiene cleaning device
TWM366981U (en) * 2009-04-15 2009-10-21 Fei-Yu Li Rinsing apparatus of toilet for washing private parts of human body
JP5741857B2 (ja) * 2009-08-06 2015-07-0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601570B2 (ja) * 2009-08-06 2014-10-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EP2305903A1 (en) * 2009-09-28 2011-04-06 Toto Ltd. Washing device for user's private parts
JP5633267B2 (ja) * 2009-09-30 2014-12-03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TWI513881B (zh) * 2009-09-30 2015-12-21 Toto Ltd Sanitary cleaning device
JP4756404B1 (ja) * 2010-06-18 2011-08-2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8060953B1 (en) * 2010-06-25 2011-11-22 Auto Cleaning Toilet Seat, L.L.C.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US8776278B1 (en) * 2013-04-16 2014-07-15 Maximo Dorra Auto cleaning toilet seat and drying system
US9049970B2 (en) * 2010-06-25 2015-06-09 Maximo Dorra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EP2407602B1 (en) * 2010-07-16 2020-02-12 Toto Ltd. Sanitary washing apparatus
KR101294110B1 (ko) * 2010-11-15 2013-08-07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CN102900136B (zh) * 2011-07-27 2014-08-13 Toto株式会社 吐水装置
JP2016037702A (ja) * 2014-08-05 2016-03-2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N105507399B (zh) * 2014-10-14 2017-06-16 Toto株式会社 卫生洗净装置
JP6558021B2 (ja) * 2015-03-27 2019-08-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17910B2 (ja) * 2015-07-30 2019-12-1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6805507B2 (ja) * 2016-03-09 2020-12-23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6718590B2 (ja) * 2016-03-28 2020-07-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718591B2 (ja) * 2016-03-28 2020-07-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A3061246C (en) * 2016-05-06 2022-07-12 Whole Bath, Llc Drying nozzle apparatus
US10563390B2 (en) * 2017-12-19 2020-02-18 Whole Bath, Llc Wash and clean apparatus
WO2017193111A1 (en) *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A seat and cover system with dynamic spray nozzle
DE102016007999A1 (de) * 2016-07-01 2018-01-04 GROHEDAL Sanitärsysteme GmbH Toilette mit Reinigungskomponente zum Reinigen der Beckeninnenoberfläche
JP6541096B2 (ja) * 2016-08-24 2019-07-10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23976B2 (ja) * 2016-08-25 2019-12-2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TWM544320U (zh) * 2017-03-27 2017-07-01 Wen Hong Tech Co Ltd 免治洗淨系統
JP6573133B2 (ja) * 2017-06-02 2019-09-11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69995B2 (ja) * 2017-06-02 2020-03-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65832B2 (ja) * 2017-06-02 2020-03-13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14459B2 (ja) * 2017-06-02 2019-12-0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620786B2 (ja) * 2017-06-02 2019-12-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558651B2 (ja) * 2017-12-06 2019-08-14 Toto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JP6558652B2 (ja) * 2017-12-06 2019-08-14 Toto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JP6551756B2 (ja) * 2017-12-06 2019-07-31 Toto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および水まわりシステム
US10851533B2 (en) * 2018-06-01 2020-12-01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US10907334B2 (en) * 2018-06-01 2021-02-02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TWM578312U (zh) * 2018-12-26 2019-05-21 和光工業股份有限公司 Washing toilet seat nozzle that can be sterilized after spraying w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1941A (ja) * 2013-11-28 2015-06-0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15101942A (ja) 2013-11-28 2015-06-0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EP3315677A1 (en) * 2015-06-25 2018-05-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anitary cleaning device
JP2017066636A (ja) * 2015-09-29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便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92713A1 (en) 2020-12-17
TWI724849B (zh) 2021-04-11
KR102580579B1 (ko) 2023-09-20
KR20200143230A (ko) 2020-12-23
JP2020204156A (ja) 2020-12-24
JP6765644B1 (ja) 2020-10-07
TW202045797A (zh) 2020-12-16
US11008746B2 (en) 2021-05-18
CN112081206A (zh)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5861A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580574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784945B2 (ja) 衛生洗浄装置
JP7157904B2 (ja) 衛生洗浄装置
TWI710346B (zh) 衛生洗淨裝置
JP7157922B2 (ja) 衛生洗浄装置
JP7198429B2 (ja) 衛生洗浄装置
JP2022127730A (ja) 衛生洗浄装置
JP6551717B1 (ja) 衛生洗浄装置
JP7392298B2 (ja) 衛生洗浄装置
JP7454126B2 (ja) 衛生洗浄装置
JP7265698B2 (ja) 衛生洗浄装置
JP7265218B2 (ja) 衛生洗浄装置
JP7157903B2 (ja) 衛生洗浄装置
JP2004263397A (ja) 便器洗浄装置
JP2022127782A (ja) 衛生洗浄装置
JP5234404B2 (ja) トイレ装置
JPH0216422B2 (ko)
JPH04213636A (ja) 衛生洗浄装置
JP2014015776A (ja) 洗浄機能付き便座
JP2012067451A (ja) 局部洗浄装置の制御方法及び局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