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895A -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895A
KR20210100895A KR1020200014827A KR20200014827A KR20210100895A KR 20210100895 A KR20210100895 A KR 20210100895A KR 1020200014827 A KR1020200014827 A KR 1020200014827A KR 20200014827 A KR20200014827 A KR 20200014827A KR 20210100895 A KR20210100895 A KR 20210100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layer
electrode mixtur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식
허준혁
김정수
김기웅
안인구
성기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1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895A/ko
Priority to US17/433,858 priority patent/US20220149355A1/en
Priority to PCT/KR2021/000816 priority patent/WO2021157915A1/ko
Priority to EP21749758.5A priority patent/EP3910700B1/en
Priority to CN202180002684.7A priority patent/CN113646918A/zh
Publication of KR2021010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1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trimming or tuning of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2010/4292Aspects relating to capacity ratio of electrodes/electrolyte or anode/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이 전극 집전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수행하는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전극 합재층의 미스매치를 방지하고, 경계 영역에서 슬라이딩 발생 정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CLEANING STEP USING LASER, ELECTROD MANUFACTRUED BY THE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리튬 이차전지는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 제품들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전지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된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극(10)은 집전체(11)의 양면에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12)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13)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각 전극 합재층(12, 13)은 전극 합재층이 도포된 유지부와 그렇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한다. 전극 합재층이 형성된 유지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무지부 폭(DG)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집전체(11)의 일면에 전극 합재층을 탑 코팅한 후, 반대면에 백 코팅하는 과정을 거쳐 전극을 제조한다. 이 과정에서, 집전체(11)를 기준으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12)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13)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탑/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미스매치 영역(DM)이 발생한다. 이러한 미스매치 영역(DM)은 전극의 용량을 저하시키고, 이차전지에 적용시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전극 조립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극 조립체(40)는 분리막(30)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전극(10)과 제2 전극(10)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러나, 제1 및 제2 전극(10, 20)을 각각 제조하는 과정에서, 전극 합재층의 경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슬라이딩 정도(10a, 20a)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는, 제1 전극 유지부 끝단의 슬라이딩 정도(10a) 보다 제2 전극 유지부 끝단의 슬라이딩 정도(20a)가 더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제2 전극(20)이 음극인 경우라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음극에 대한 양극의 로딩량이 커지면서, 해당 부위에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전지 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9-0292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극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제조방법은,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하여,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유지부의 끝단을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는,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이 전극 집전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수행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에서,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 및 전극 집전체의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은 동시에 수행한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에서,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 및 전극 집전체의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은 어느 하나의 레이저 조사 과정을 먼저 수행한 후, 다른 하나의 레이저 조사 과정을 수행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 이전에, 전극 집전체에 전극 합재층을 탑 코팅하는 과정과 전극 합재층을 백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코팅에 의해 형성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형성 면적은, 미리 설정된 최종 전극 합재층의 면적 대비, 각각 101 내지 105% 범위이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는,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에서,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가 75° 이상이 되도록 수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극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전극 집전체;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 및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집전체를 개재한 상태로 대면하는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을 기준으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지 않은 영역(중심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한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중량비(RWb)에 대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는 영역(경계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한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중량비(RWa)의 비율(RWa / RWb)은, 0.85 내지 1.15 범위이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에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는 각각 75° 내지 90°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대면하는 양극과 음극을 기준으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지 않은 영역(중심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음극 합재층에 대한 양극 합재층의 중량비(RW1)에 대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는 영역(경계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음극 합재층에 대한 양극 합재층의 중량비(RW2)의 비율(RW2 / RW1)은, 0.8 내지 1 범위이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층; 및 상기 집전체층의 양면에 형성되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실리콘(Si)계 활물질을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층; 및 상기 집전체층의 양면에 형성되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활물질과 실리콘계 활물질을 10~95 : 5~90 중량비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제조방법은,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이 전극 집전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수행하는 클리닝 단계를 통해, 전극 합재층의 미스매치를 방지하고, 경계 영역에서 슬라이딩 발생 정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된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전극 조립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극 조립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하여,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유지부의 끝단을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는,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이 전극 집전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수행한다.
본 발명은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을 통해 유지부의 끝단을 클리닝하게 된다. 이 때, 레이저 조사는 전극 집전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극 집전체를 기준으로, 탑 및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유지부 끝단을 맞춤으로써, 양 전극 합재층의 미스매치(mismatch) 영역을 최소화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양 전극 합재층의 유지부 단부의 형성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에서,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 및 전극 집전체의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은 동시에 수행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에서,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 및 전극 집전체의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은 어느 하나의 레이저 조사 과정을 먼저 수행한 후, 다른 하나의 레이저 조사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집전체를 기준으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이 전극 집전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양면에 대한 레이저 조사를 동시에 하거나,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 이전에, 전극 집전체에 전극 합재층을 탑 코팅하는 과정과 전극 합재층을 백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코팅에 의해 형성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형성 면적은, 미리 설정된 최종 전극 합재층의 면적 대비, 각각 101 내지 105%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합재층을 형성한 후, 전극 합재층의 끝단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전극 집전체에 전극 합재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클리닝하는 단계를 감안하여 최종 전극 합재층의 면적 대비 넓은 면적으로 전극 합재층을 형성하게 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는,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에서,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가 75° 이상이 되도록 수행한다.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에서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는 슬라이딩 각도(sliding angle)이라고도 하며, 구체적으로는 전극 집전체와 동일한 평면을 기준으로, 유지부 끝단으로부터 유지부 중심부의 평균 높이까지 도달하는 경계부의 각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를 매우 높은 수준, 구체적으로는 90°에 가깝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는 75° 내지 90°, 80° 내지 90°, 75° 내지 88°, 80° 내지 85° 또는 85° 내지 90° 범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전극 집전체;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 및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집전체를 개재한 상태로 대면하는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을 기준으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지 않은 영역(중심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한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중량비(RWb)에 대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는 영역(경계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한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중량비(RWba)의 비율(RWa / RWb)은, 0.85 내지 1.15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율(RWa / RWb)은, 유지부의 중심 영역과 경계 영역에서 전극 집전체의 양면에 형성된 전극 합재층의 균일성 내지 미스매치 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율(RWa / RWb)은 0.85 내지 1.1 범위, 0.85 내지 1 범위, 0.9 내지 1.15 범위, 0.9 내지 1.1 범위, 1 내지 1.15 범위 또는 0.95 내지 1.05 범위이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에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가 각각 75° 내지 90°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를 매우 높은 수준, 구체적으로는 90°에 가깝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는 75° 내지 90°, 80° 내지 90°, 75° 내지 88°, 80° 내지 85° 또는 85° 내지 90° 범위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은 이차전지용 전극이며, 예를 들어, 양극, 음극 또는 양극과 음극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대면하는 양극과 음극을 기준으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지 않은 영역(중심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음극 합재층에 대한 양극 합재층의 중량비(RW1)에 대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는 영역(경계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음극 합재층에 대한 양극 합재층의 중량비(RW2)의 비율(RW2 / RW1)은, 0.8 내지 1 범위이다.
상기 비율은(RW2 / RW1)은 양극 합재층의 로딩량에 대응하는 음극 합재층의 로딩량의 비율이 균일한 정도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유지부의 중심 영역과 경계 영역을 대비한 것이다. 전극 집전체 상에 전극 합재층을 토출하는 과정에서, 유지부의 끝단에서 코팅 두께의 슬라이딩(sliding)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음극의 슬라이딩 정도가 양극 대비 커지게 되면, 양극과 대면하는 음극의 로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리튬 석출로 인한 전지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율은(RW2 / RW1)이 1인 경우는, 중심 영역과 경계 영역에서 일정한 비율로 양극 합재층과 음극 합재층이 형성된 경우이다. 상기 비율(RW2 / RW1)이 1 보다 큰 경우는, 경계 영역에서 음극 합재층이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율은(RW2 / RW1)은 0.85 내지 1 범위, 0.9 내지 1 범위 또는 0.95 내지 1 범위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층; 및 상기 집전체층의 양면에 형성되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실리콘(Si)계 활물질을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층; 및 상기 집전체층의 양면에 형성되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활물질과 실리콘계 활물질을 10~95 : 5~90 중량비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은 앞서 설명한 전극 구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 이차전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함침시키는 비수 전해액;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비수 전해액을 내장하는 전지 케이스를 포함한다.
양극은, 양극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양극 합제층이 형성된 구조이다. 하나의 예에서, 양극 합제층은 양극 활물질 외에 도전재 및 바인더 고분자 등을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극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이 이차전지의 양극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양극 합제층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양극에 사용되는 집전체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양극 활물질 슬러리가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는 금속이면서, 이차전지의 전압 범위에서 반응성이 없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극용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층; 및 상기 집전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실리콘(Si)계 활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계 활물질은 실리콘(Si), 실리콘 산화물(SiOx, 0<x≤2) 및 실리콘-금속(M) 합금(여기서, 금속(M)은 Cr 및 Ti 중 1종 이상을 포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실리콘 성분을 함유하는 활물질은 실리콘(Si) 및 실리콘 산화물(SiOx, 0<x≤2) 중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극 합제층에 적용되는 활물질로 실리콘계 활물질을 적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탄소계 활물질과 실리콘계 활물질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탄소계 활물질과 실리콘계 활물질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제층을 단일층으로 형성하거나 둘 이상의 층으로 나누어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층; 및 상기 집전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활물질과 실리콘계 활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이 이차전지의 음극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음극 합제층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탄소계 활물질은 저결정 탄소 및/또는 고결정성 탄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 (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 (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 (pyrolytic carbon), 액정피치계 탄소섬유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 (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 (Mesophase pitches),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 (petroleum or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계 활물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흑연 성분이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극 활물질에서, 탄소계 활물질과 실리콘계 활물질의 함량 비율은 10~95 : 5~90 중량비 범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계 활물질과 실리콘계 활물질의 함량 비율은 20~95 : 5~80 중량비, 30~80 : 20~70 중량비, 50~80 : 20~50 중량비, 70~80 : 20~30 중량비, 10~80 : 20~90 중량비, 10~50 : 50~90 중량비, 10~30 : 70~90 중량비, 30~60 : 40~70 중량비, 40~50 : 50~60 중량비 또는 40~60 : 40~60 중량비 범위이다. 탄소계 활물질 대비 실리콘계 활물질은 전지의 용량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리콘계 활물질은 충방전 과정에서 큰 폭으로 부피 변화를 유발한다. 이러한 부피 변화는 전극의 퇴화 내지 전지의 수명 열화를 가속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리콘계 활물질은 실리콘계 성분의 수명 향상을 위해 바인더 내지 도전재를 다량으로 혼합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탄소계 활물질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충방전시 부피 변화를 일정 수준 낮출 수 있고, 바인더 내지 도전재의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음극에 사용되는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집전체는 상기 물질들로 이루어진 기재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은 당해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리튬 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기재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막(membrane) 또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막의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한 고분자로 형성한 막(membrane)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액은 비수 전해액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수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리튬 이차전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전해액 성분들이 적절한 범위 내에서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노트북 및 자동차 중 1종 이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는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이다.
이하, 도면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은 전극 집전체(110)의 양면에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120)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130)이 형성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따라 레이저 조사(141, 142)를 통해 유지부의 끝단을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100)를 거쳐 전극을 제조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141, 142)를 통해 전극 합재층(120, 130)의 끝단에 슬라이딩된 경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제조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리닝 단계(200)에서, 전극 집전체(210)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220)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230)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이 전극 집전체(2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수행한다. 이를 통해, 전극 집전체(210)를 기준으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220)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230)의 형성 면적 및 위치가 서로 정확히 대응되며, 미스매치된 영역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극(300)은 집전체(310)의 양면에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320)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330)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각 전극 합재층(320, 330)은 전극 합재층이 도포된 유지부와 그렇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한다. 전극 합재층이 형성된 유지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무지부 폭(DG')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조사를 통한 클리닝 단계에서, 전극 집전체(310)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320)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330)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이 전극 집전체(3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전극 집전체(310)를 기준으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320)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330)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탑/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미스매치 영역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3 실시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극 조립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400)는 분리막(430)을 기준으로 양면에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10)이 형성된 구조이다. 제1 및 제2 전극(410, 420)을 각각 제조하는 과정에서, 전극 합재층의 경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슬라이딩 정도(410a, 420a)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조사를 통해 클리닝 단계를 거치면서 제1 및 제2 전극(410, 420)의 전극 합재층이 경계 영역에서 거의 유사하거나 동등한 슬라이딩 정도(410a, 420a)를 보이게 된다. 이를 통해, 전극 합재층의 가장자리 경계 영역에서도, 음극 합재층에 대응되는 양극 합재층의 로딩 비율을 동등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300, 410: 제1 전극
10a, 410a: 제1 전극 유지부 끝단의 슬라이딩 정도
11, 110, 210, 310: 전극 집전체
12, 120, 220, 320: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
13, 130, 230, 330: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
20, 420: 제2 전극
20a, 420a: 제2 전극 유지부 끝단의 슬라이딩 정도
30, 430: 분리막
100, 200: 클리닝 단계
141, 142, 241, 242, 251, 252: 레이저 조사
40, 400: 전극 조립체
DG: 무지부 폭
DM: 탑/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미스매치 영역

Claims (11)

  1.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하여,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유지부의 끝단을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는,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이 전극 집전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에서,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 및
    전극 집전체의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은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cleaning)하는 단계에서,
    전극 집전체의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 및
    전극 집전체의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은 어느 하나의 레이저 조사 과정을 먼저 수행한 후, 다른 하나의 레이저 조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 이전에,
    전극 집전체에 전극 합재층을 탑 코팅하는 과정과 전극 합재층을 백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코팅에 의해 형성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형성 면적은, 미리 설정된 최종 전극 합재층의 면적 대비, 각각 101 내지 10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는,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에서,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가 75° 이상이 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제조방법.
  6. 전극 집전체;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 및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집전체를 개재한 상태로 대면하는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을 기준으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지 않은 영역(중심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한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중량비(RWb)에 대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는 영역(경계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에 대한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중량비(RWa)의 비율(RWa / RWb)은, 0.85 내지 1.15 범위인 전극.
  7. 제 6 항에 있어서,
    무지부와 접하는 유지부의 경계 라인에서, 탑 코팅된 전극 합재층과 백 코팅된 전극 합재층의 유지부 끝단의 형성 각도가 각각 75° 내지 90° 범위인 전극.
  8.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대면하는 양극과 음극을 기준으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지 않은 영역(중심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음극 합재층에 대한 양극 합재층의 중량비(RW1)에 대한,
    유지부의 경계 라인을 포함하는 영역(경계 영역)에서 선택된 단위 면적(1 cm x 1 cm) 당 음극 합재층에 대한 양극 합재층의 중량비(RW2)의 비율(RW2 / RW1)은, 0.8 내지 1 범위인 전극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층; 및 상기 집전체층의 양면에 형성되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실리콘(Si)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층; 및 상기 집전체층의 양면에 형성되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활물질과 실리콘계 활물질을 10~95 : 5~90 중량비로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11. 제 8 항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0200014827A 2020-02-07 2020-02-07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10100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27A KR20210100895A (ko) 2020-02-07 2020-02-07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17/433,858 US20220149355A1 (en) 2020-02-07 2021-01-21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Cleaning Step Using Laser, Electrode Manufactured By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PCT/KR2021/000816 WO2021157915A1 (ko) 2020-02-07 2021-01-21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P21749758.5A EP3910700B1 (en) 2020-02-07 2021-01-21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cleaning step using laser, electrode manufactured by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N202180002684.7A CN113646918A (zh) 2020-02-07 2021-01-21 包括使用激光的清洁步骤的电极制造方法、通过该方法制造的电极、以及包括该电极的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27A KR20210100895A (ko) 2020-02-07 2020-02-07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95A true KR20210100895A (ko) 2021-08-18

Family

ID=7720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827A KR20210100895A (ko) 2020-02-07 2020-02-07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49355A1 (ko)
EP (1) EP3910700B1 (ko)
KR (1) KR20210100895A (ko)
CN (1) CN113646918A (ko)
WO (1) WO2021157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022000209U1 (de) * 2021-12-24 2024-02-20 Lg Energy Solution, Ltd. Elektro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9256A (ja) 2017-08-01 2019-02-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369B1 (ko) * 2004-07-28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극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이차 전지
JP2008243658A (ja) * 2007-03-28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系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201067736Y (zh) * 2007-06-19 2008-06-04 李亚光 带机器视觉装置的涂布机
JP5354646B2 (ja) * 2008-07-31 2013-11-27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929400B2 (en) * 2012-08-06 2018-03-27 Ut-Battelle, Llc High capacity monolithic composite Si/carbon fiber electrode architectures synthesized from low cost materials and process technologies
CN104466229A (zh) * 2013-09-25 2015-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锂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JP2015076229A (ja) * 2013-10-08 2015-04-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の製造方法
WO2016121734A1 (ja) * 2015-01-30 2016-08-04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二次電池
CN106469825B (zh) * 2015-08-21 2019-03-29 北京好风光储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功率大容量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KR102116676B1 (ko) * 2016-02-25 2020-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198496B1 (ko) * 2016-05-30 2021-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용량 증대와 용접 기능성 향상이 동시에 구현 가능한 전극의 제조 방법
KR102079929B1 (ko) * 2016-09-08 2020-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전극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JP2018088357A (ja) * 2016-11-29 2018-06-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池の製造方法
CN107240671A (zh) * 2017-04-07 2017-10-10 深圳市优特利电源有限公司 柔性电极和柔性电芯
EP3409645B1 (de) 2017-06-01 2019-10-02 Evonik Degussa GmbH Triphenylgermylsilan und trichlorsilyl-trichlorgerman für die erzeugung von germanium-silizium-schichte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us trichlorsilyl-triphenylgerma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9256A (ja) 2017-08-01 2019-02-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49355A1 (en) 2022-05-12
WO2021157915A1 (ko) 2021-08-12
EP3910700A4 (en) 2022-05-04
EP3910700A1 (en) 2021-11-17
CN113646918A (zh) 2021-11-12
EP3910700B1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119A (ko)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3480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KR102141964B1 (ko) 음극 활물질 슬러리,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608796B1 (ko) 서로 다른 입경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의 합제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9831B1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CN112689915B (zh) 具有改善的热稳定性的二次电池正极及其制造方法
KR20210100895A (ko)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227802B1 (ko) 전극 활물질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92760B1 (ko)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EP3907785B1 (en) Metal thin film for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omprising taping reg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using same
CN114424380B (zh) 用于测试内部短路的电池单体以及用于通过使用该电池单体进行内部短路测试的方法
US20220006083A1 (en) Cathode comprising mixture layer having dual layer structure with different lno amounts,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JP7217358B2 (ja) 平行に並列配置された複数の集電体を含む負極及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
EP3706207A1 (en) Cathod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athode
WO2021091168A1 (ko) Lno 함량이 상이한 이중층 구조의 합제층을 포함하는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10059918A (ko) 버퍼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4828A (ko) 평균 입경이 상이한 이종의 입자상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의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20042728A (ko) 휴지 기간을 갖는 이차전지 충방전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포메이션 방법
KR20210108566A (ko) 서로 다른 이종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7275A (ko) 탄소 와이어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00109861A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