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800A - 포백 및 섬유 제품 - Google Patents

포백 및 섬유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800A
KR20210091800A KR1020217019015A KR20217019015A KR20210091800A KR 20210091800 A KR20210091800 A KR 20210091800A KR 1020217019015 A KR1020217019015 A KR 1020217019015A KR 20217019015 A KR20217019015 A KR 20217019015A KR 20210091800 A KR20210091800 A KR 2021009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fiber
composite
d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565B1 (ko
Inventor
노부아키 오가타
아키오 우쿠마
소노미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04B1/20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crimp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4Bulked yarns or threads, e.g. formed from staple fibre components with different relaxa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02G3/286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with alternatively "S" and "Z" direction of twist, e.g. Self-twist proces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02G3/326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the elastic properties due to the construction rather than to the use of elas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46Fitt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61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e.g. bag-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2Head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Abstract

과제는, 스트레치성 및 흡한 속건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포백 및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며, 해결 수단은, 예를 들어, 권축사와 신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사용하여 포백을 얻는 것이다.

Description

포백 및 섬유 제품
본 발명은, 스트레치성 및 흡한 속건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포백 및 섬유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포츠 의료의 분야에서는, 경기자용 고기능 상품이 요구되고 있으며, 권축 섬유를 사용한 스트레치 포백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나 특허문헌 2). 또, 흡한 속건성도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스트레치성 및 흡한 속건성의 면에서 아직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국제공개 제2008/001920호 팸플릿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38287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트레치성 및 흡한 속건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포백 및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수한 복합사를 사용하여 포백을 구성함으로써, 스트레치성 및 흡한 속건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포백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고, 추가로 예의 검토를 거듭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복합사를 포함하는 포백으로서, 상기 복합사가, 권축사와 신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백.」이 제공된다.
그 때, 상기 권축사가,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假撚)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신축성 섬유가, 2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 (core/sheath) 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 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권축사 또는 상기 신축성 섬유에 있어서, 단섬유 섬도가 0.00002 ∼ 2.0 dtex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복합사가, 교락 (交絡) 의 개수 1 ∼ 150 개/m 로 인터레이스 가공이 실시된 교락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복합사에 있어서, 총 섬도가 40 ∼ 180 dtex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백에 있어서, 포백이 직물 또는 편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JIS L 1018-1990 에 의해 측정한, 가로 방향의 스트레치성이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JIS L 1018-1990 에 의해 측정한, 가로 방향의 스트레치성 회복률이 8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JIS L 1058-1995 D3 법의 쇠톱에 의해 15 시간 테스트하여, 항스내깅성이 3 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포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 안감, 심지 (心地), 양말, 복대, 모자, 장갑, 침의 (寢衣), 이불 측지 (側地), 이불 커버, 및 카 시트 표피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섬유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치성 및 흡한 속건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포백 및 섬유 제품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백은, 권축사와 신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포함한다. 그 때, 상기 권축사에,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연 권축 가공사에는 제 1 히터역에서 가연을 세팅한, 이른바 one heater 가연 권축 가공사와, 그 실을 추가로 제 2 히터역에 도입하여 이완 열처리함으로써 토크를 줄인, 이른바 second heater 가연 권축 가공사가 있다. 또, 트위스팅의 방향에 따라,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가연 권축 가공사를 사용할 수 있다.
가연 권축 가공의 조건은 한정되지 않지만, 가연 권축 가공시의 연신 배율은, 0.8 ∼ 1.5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가연수는, 가연수 (T/m) = (32500/(D)1/2) × α 의 식에 있어서, α 가 0.5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1.2)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D 는 사조 (絲條) 의 총 섬도 (dtex) 이다. 사용하는 연사 장치로는, 디스크식 혹은 벨트식의 마찰식 연사 장치가 실을 걸기 쉽고, 실 끊어짐도 적어 적당하지만, 핀 방식의 연사 장치여도 된다.
상기 가연 권축 가공사 A 또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형성하는 섬유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나일론 섬유, 레이온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나아가서는, 면, 울, 견 (絹) 등의 천연 섬유나 이것들을 복합한 것이 사용 가능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적어도 1 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합 섬유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 심초형 복합 섬유, 해도 (海島) 형 복합 섬유 등이 예시된다. 또, 나일론 섬유는, 나일론 6 섬유나 나일론 66 섬유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로는, 테레프탈산을 주된 산 성분으로 하고,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글리콜, 즉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주된 글리콜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을 주된 글리콜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렌글리콜을 주된 글리콜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에는, 필요에 따라 소량 (통상적으로 30 몰% 이하) 의 공중합 성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때, 사용되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2 관능성 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나프탈린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조산, P-옥시벤조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의 2 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글리콜 이외의 디올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S 와 같은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의 디올 화합물 및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합성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거나, 테레프탈산디메틸과 같은 테레프탈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거나 또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옥사이드를 반응시키거나 하여 테레프탈산의 글리콜에스테르 및/또는 그 저중합체를 생성시키는 제 1 단계의 반응과, 제 1 단계의 반응 생성물을 감압하 가열하여 원하는 중합도가 될 때까지 중축합 반응시키는 제 2 단계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머티리얼 리사이클 또는 케미컬 리사이클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70097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1126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특정한 인 화합물 및 티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나아가서는, 폴리락트산이나 스테레오컴플렉스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또,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자외선 흡수제가 폴리에스테르 중량 대비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 5.0 중량%) 함유되어 있으면, 포백에 자외선 차폐성이 부가되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옥사진계 유기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유기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유기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계 유기 자외선 흡수제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방사의 단계에서 분해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벤조옥사진계 유기 자외선 흡수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벤조옥사진계 유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1744호에 개시된 것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즉,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2-페닐-3,1-벤조옥사진-4-온, 2,2'-에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테트라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1,3,5-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벤젠, 1,3,5-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등이다.
또,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광택 제거제 (이산화티탄) 가 폴리에스테르 중량 대비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 4.0 중량%) 함유되어 있으면, 포백의 방투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폴리에스테르에는, 필요에 따라, 미세공 형성제 (유기 술폰산 금속염),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난연제 (삼산화이안티몬), 형광 증백제, 착색 안료, 대전 방지제 (술폰산 금속염), 흡습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항균제, 그 밖의 무기 입자의 1 종 이상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또,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에 있어서, 섬유를 구성하는 성분 또는 단섬유 횡단면 형상 또는 단섬유 섬도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면, 포백이 신규 외관을 나타내어 바람직하다.
여기서,「성분이 상이하다」란, 이종 폴리머의 조합 뿐만 아니라, 동종 폴리머에서 제 3 성분이나 첨가물이 상이한 조합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카티온 가염성 (可染性) 폴리에스테르와 카티온 불염성 폴리에스테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산화티탄의 함유량이 서로 상이한 폴리에스테르의 조합 (예를 들어, 브라이트 폴리에스테르와 세미 덜 폴리에스테르, 브라이트 폴리에스테르와 풀 덜 폴리에스테르, 세미 덜 폴리에스테르와 풀 덜 폴리에스테르 등) 등이 예시된다.
또, 상기 신축성 섬유로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1 성분으로 구성되는 섬유, 2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 탄성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섬유, 흡수성 엘라스토머 섬유 등),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2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는, 가열에 의해 코일상의 크림프를 발현시켜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성 섬유는 상기 권축사와는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합 섬유로는, 적어도 1 성분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2 성분으로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여기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란,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말하며,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가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인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제 3 성분으로서의 다른 산 성분 및/또는 글리콜 성분의 합계량이 5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한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와 트리메틸렌글리콜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촉매의 존재하에서 적당한 반응 조건하에서 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첨가하는 제 3 성분으로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아디프산 등),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소듐술포이소프탈산 등), 지방족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1,2-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 지환족 글리콜 (시클로헥산글리콜 등), 방향족 디옥시 화합물 (하이드로퀴논 비스페놀 A 등), 방향족을 포함하는 지방족 글리콜 (1,4-비스(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등),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 (p-옥시벤조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3 성분을 공중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 머티리얼 리사이클 또는 케미컬 리사이클된 것이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70097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1126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특정한 인 화합물 및 티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에는, 미세공 형성제, 카티온 염료 가염제,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형광 증백제, 광택 제거제, 착색제, 흡습제, 무기 미립자가 1 종 또는 2 종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복합 섬유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6800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사는, 권축사 (바람직하게는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포함한다) 와, 신축성 섬유를 포함한다.
그 때, 상기 권축사 또는 상기 신축성 섬유에 있어서, 단섬유 섬도가 0.00002 ∼ 2.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0 dtex,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0.95 tex)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권축사 또는 상기 신축성 섬유에 있어서, 단섬유 단면 형상으로는, 환단면 외에, 타원형 단면, 삼각, 사각, 십자, 편평, 잘록부가 형성된 편평, H 형, W 형 등이 예시된다. 그 때, 편평한 단면 형상의 길이 중심선 방향의 길이 b 의 이 길이 중심선 방향에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폭 c1 에 대한 비 b/c1 에 의해 나타내는 단면 편평도가 2 ∼ 6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 5.0) 의 범위 내인 것이, 포백의 소프트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그 폭의 최대값 c1 의 최소값 c2 에 대한 비 c1/c2 가, 1.05 ∼ 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 1.5) 의 범위 내인 것이, 포백의 흡수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와 신축성 섬유를 가지런하게 하여, 공기 가공 (인터레이스 가공이나 타슬란 (등록 상표) 가공) 에 의해 공기 혼섬해도 되고, 복합 가연이나 합연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공기 혼섬법이다.
그 때, 상기 복합사가, 교락의 개수 1 ∼ 150 개/m 로 인터레이스 가공이 실시된 교락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3 종의 사조를 복합시킬 때, 적절히 오버 피드율을 변경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먼저 2 종의 사조를 복합시킨 후, 다음의 공정에서 다른 사조를 복합시켜도 된다.
이러한 복합사에 있어서, 총 섬도가 40 ∼ 180 dtex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권축률이 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권축률이 2 % 미만에서는, 스트레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포백은, 상기 복합사를 포함한다. 그 때, 상기 복합사가 포백 중량 대비 5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백의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편물, 직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평직, 능직, 새틴 등의 직조직을 갖는 직물이나, 천축, 니트 미스, 스무스, 프라이스, 피케, 플레이팅편, 덴비, 하프 등의 편조직을 갖는 편물,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층수도 단층이어도 되고, 2 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우수한 스트레치성을 얻는 데에 있어서 편물 (편지 (編地)) 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편 또는 위편 (환편) 조직을 갖는 편물이 바람직하다.
그 때, 상기 편물에 있어서, 편물 밀도가, 코스수 40 ∼ 100/2.54 ㎝ 또한 웨일수 30 ∼ 60/2.54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백에 있어서, 포백의 겉보기 중량이 50 ∼ 200 g/㎡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백은, 상기 복합사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섬유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편직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어서, 염색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상기 염색 가공의 온도로는 100 ∼ 1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135 ℃), 시간으로는 톱 온도의 킵 시간이 5 ∼ 40 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 가공이 실시된 편지에는, 건열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건열 파이널 세트의 온도로는 120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 180 ℃), 시간으로는 1 ∼ 3 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색 가공의 열처리에 의해, 2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가 포백에 포함되는 경우, 그 복합 섬유가 잠재 권축을 발현시켜 코일상이 된다. 그 결과, 우수한 스트레치성이 포백에 부가된다.
또, 본 발명의 포백에는 흡수 가공 (친수화제의 부여) 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백에 흡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흡수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흡수 가공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나 그 유도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등의 친수화제 (흡수 가공제) 를 포백에, 포백 중량에 대하여 0.25 ∼ 0.50 중량% 부착시키는 것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흡수 가공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염색 가공시에 염액에 흡수 가공제를 혼합하는 욕중 가공법이나, 건열 파이널 세트 전에, 포백을 흡수 가공액 중에 디핑하고 맹글로 짜는 방법, 그라비아 코팅법, 스크린 프린트법과 같은 도포에 의한 가공 방법 등이 예시된다.
나아가서는, 통상적인 방법의 기모 (起毛) 가공, 자외선 차폐 혹은 항균제, 소취제, 방충제, 축광제, 재귀 반사제, 마이너스 이온 발생제, 발수제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각종 가공을 부가 적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포백은, 권축사 (바람직하게는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포함한다) 의 소프트한 연신과, 신축성 섬유 (바람직하게는 2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이다) 의 우수한 킥백성을 복합시킨 독자적인 스트레치성을 갖고, 이상적인 착압감을 나타낸다. 또, 랜덤한 실 구조에 의한 천연 섬유풍의 상질의 질감과 소프트하고 밀도감이 있는 컴팩트성을 갖고, 고급감이 있는 질감을 나타낸다. 또, 2 종류의 상이한 크림프 (권축사의 마이크로크림프와 신축성 섬유의 코일상 크림프) 를 복합한 층 구조사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우수한 흡한 속건성을 갖는다. 나아가서는, 발수 가공을 실시한 경우, 권축사에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가 포함되면, 미세 요철에 의해 우수한 발수성을 갖는다.
여기서, 포백의 표리 중 적어도 어느 일방 표면에 있어서, JIS L1907-1998 5.1.2 바이렉법에 의해 측정한 흡수성이 7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1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JIS L0217-1998, 103 법에 의해 3 회의 세탁을 실시한 후의 포백의 표리 중 적어도 어느 일방 표면에 있어서, JIS L1907-1998 5.1.2 바이렉법에 의해 측정한 흡수성이 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16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항스내깅성으로는, JIS L 1058-1995 D3 법의 쇠톱에 의해 15 시간 테스트하여, 항스내깅성이 3 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시에, 본 발명의 포백에 있어서, 상기 권축 섬유에 의해 스트레치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스트레치성으로는, JIS L 1018-1990 에 의해 측정한, 가로 스트레치성으로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3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JIS L 1018-1990 에 의해 측정한, 가로 방향의 스트레치성 회복률이 8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포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 안감, 심지, 양말, 복대, 모자, 장갑, 침의, 이불 측지, 이불 커버, 및 카 시트 표피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섬유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의료에는, 패션 의료, 학생복, 유니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섬유 제품은 상기 포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스트레치성 및 흡한 속건성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각 물성은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1) 인터레이스도
교락사를 8.82 mN × 표시 텍스 (0.1 g/de) 의 하중하에서 1 m 의 길이를 취하고, 제중 (除重) 후, 실온에서 24 시 방축 (放縮) 후의 결절점의 수를 판독하여, 개/m 로 표시한다.
(2) 권축률
공시 사조를, 둘레 길이가 1.125 m 인 검척기의 둘레에 감고, 건섬도가 3333 dtex 인 테실을 조제한다. 상기 테실을, 스케일판의 매달린 못에 현수 (懸垂) 하고, 그 아래 부분에 6 g 의 초하중을 부가하고, 또한 600 g 의 하중을 부가하였을 때의 테실의 길이 L0 을 측정한다. 그 후, 바로 상기 테실로부터 하중을 제거하고, 스케일판의 매달린 못으로부터 떼어내고, 이 테실을 비등수 중에 30 분간 침지시켜, 권축을 발현시킨다. 비등수 처리 후의 테실을 비등수로부터 꺼내어, 테실에 포함되는 수분을 여과지에 의해 흡수 제거하고, 실온에 있어서 24 시간 풍건시킨다. 이 풍건된 테실을 스케일판의 매달린 못에 현수하고, 그 아래 부분에 600 g 의 하중을 가하고, 1 분 후에 테실의 길이 L1a 를 측정하고, 그 후 테실로부터 하중을 제거하고, 1 분 후에 테실의 길이 L2a 를 측정한다. 공시 필라멘트 사조의 권축률 (CP) 을,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한다.
CP (%) = ((L1a - L2a)/L0) × 100
(3) 가로 방향의 스트레치성, 가로 방향의 스트레치성 회복률
JIS L 1018-1990 에 의해 측정한다.
(4) 항스내깅성
JIS L 1058-1995 D3 법의 쇠톱에 의해 15 시간 테스트한다.
(5) 겉보기 중량
JISL1018-1998 6.4 에 의해 측정한다.
(6) 흡한 속건성 (잔류 수분율)
20 × 20 ㎝ 의 시험편에 정제수 0.6 ㎖ 적하하고, 시험편이 수적을 흡수하였으면 자동 건조 속도 측정 장치에 시료를 장착하고, 5 분마다의 질량 변화를 90 분간 측정한다. 흡한 속건성의 기준이 되는 55 분 후의 잔류 수분율로 비교 평가를 실시하였다.
잔류 수분율 (%) = (임의 시간에 잔류하고 있는 수 적하량 ÷ 측정 개시시의 수 적하량) × 100
[실시예 1]
카티온 불염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 제거제의 함유율 0.3 중량%, 세미 덜 (SD))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사 장치로부터 280 ℃ 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사조 (총 섬도 35 dtex/24 개, 단섬유의 단면 형상 : 환단면, POY) 를 얻었다.
이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S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絲速)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22 dtex/24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A 를 얻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Z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22 dtex/24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얻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6800호의 실시예 24 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총 섬도와 필라멘트수만을 변경하여, 총 섬도 33 dtex/24 개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TT) 성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 (신축성 섬유) 를 얻었다.
이어서, 이들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와 복합 섬유 (신축성 섬유) 를 합사하고 공기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복합사 (총 섬도 77 dtex/72 fil, 권축률 16 %, 토크 0 T/m) 를 얻었다. 그 때, 공기 교락 처리는,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한 인터레이스 가공이고, 103 개/m 의 교락을 부여하였다.
이어서, 46 게이지의 환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사를 사용하여 천축 조직의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그리고, 그 편물을,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온도 130 ℃, 킵 시간 15 분으로 염색 가공하였다. 그 때, 친수화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를 염액에 대하여 2 밀리리터/리터의 비율로, 염색 가공시에 동욕 (同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물에 친수화제를 부여하였다. 이어서, 그 환편물에, 온도 160 ℃, 시간 1 분으로 건열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물 (포백) 은, 흡수 속건성, 스트레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이나 질감의 불균일감에 의해,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것이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카티온 불염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 제거제의 함유율 0.3 중량%, 세미 덜)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사 장치로부터 280 ℃ 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사조 (총 섬도 35 dtex/72 개, 단섬유의 단면 형상 : 환단면, POY) 를 얻었다.
이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S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22 dtex/72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A 를 얻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Z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22 dtex/72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얻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6800호의 실시예 24 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총 섬도와 필라멘트수만을 변경하여, 총 섬도 33 dtex/24 개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 (신축성 섬유) 를 얻었다.
이어서, 이들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와 복합 섬유 (신축성 섬유) 를 합사하고 공기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복합사 (총 섬도 77 dtex/168 fil, 권축률 13 %, 토크 0 T/m) 를 얻었다. 그 때, 공기 교락 처리는,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한 인터레이스 가공이고, 98 개/m 의 교락을 부여하였다.
이어서, 46 게이지의 환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섬유를 사용하여 천축 조직의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그리고, 그 편물을,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온도 130 ℃, 킵 시간 15 분으로 염색 가공하였다. 그 때, 친수화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를 염액에 대하여 2 밀리리터/리터의 비율로, 염색 가공시에 동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물에 친수화제를 부여하였다. 이어서, 그 환편물에 온도 160 ℃, 시간 1 분으로 건열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물 (포백) 은, 흡수 속건성, 스트레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이나 질감의 불균일감에 의해,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것이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카티온 불염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 제거제의 함유율 2.5 중량%, 풀 덜 (FD))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사 장치로부터 280 ℃ 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사조 (총 섬도 56 dtex/36 개, 단섬유의 단면 형상 : 환단면, POY) 를 얻었다.
이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S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33 dtex/36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A 를 얻었다.
한편, 카티온 가염성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 광택 제거제의 함유율 0.3 중량%, CD)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사 장치로부터 280 ℃ 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사조 (총 섬도 56 dtex/36 개, 단섬유의 단면 형상 : 환단면, POY) 를 얻었다.
이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Z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33 dtex/36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얻었다.
또, 총 섬도 56 dtex/36 개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독으로 구성되는 섬유 (신축성 섬유) 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이들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와, 총 섬도 56 dtex/36 개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독으로 구성되는 섬유 (신축성 섬유) 를 합사하고 공기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복합사 (총 섬도 122 dtex/108 fil, 권축률 21 %, 토크 0 T/m) 를 얻었다. 그 때, 공기 교락 처리는,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한 인터레이스 가공이고, 90 개/m 의 교락을 부여하였다.
이어서, 28 게이지의 환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사를 사용하여 천축 조직의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그리고, 그 편물을,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온도 130 ℃, 킵 시간 15 분으로 염색 가공하였다. 그 때, 친수화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를 염액에 대하여 2 밀리리터/리터의 비율로, 염색 가공시에 동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물에 친수화제를 부여하였다. 이어서, 그 환편물에 온도 160 ℃, 시간 1 분으로 건열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물 (포백) 은, 흡수 속건성, 스트레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이나 질감의 불균일감에 의해,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것이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카티온 불염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 제거제의 함유율 2.5 중량%, 풀 덜 (FD))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사 장치로부터 280 ℃ 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사조 (총 섬도 56 dtex/36 개, 단섬유의 단면 형상 : 환단면, POY) 를 얻었다.
이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S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33 dtex/36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A 를 얻었다.
한편, 카티온 가염성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 광택 제거제의 함유율 0.3 중량%, CD)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사 장치로부터 280 ℃ 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사조 (총 섬도 56 dtex/36 개, 단섬유의 단면 형상 : 환단면, POY) 를 얻었다.
이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Z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33 dtex/36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얻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6800호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총 섬도와 필라멘트수만을 변경하여, 총 섬도 56 dtex/36 개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 (신축성 섬유) 를 얻었다.
이어서, 이들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와 복합 섬유 (신축성 섬유) 를 합사하고 공기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복합사 (총 섬도 122 dtex/108 fil, 권축률 16 %, 토크 0 T/m) 를 얻었다. 그 때, 공기 교락 처리는,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한 인터레이스 가공이고, 100 개/m 의 교락을 부여하였다.
이어서, 28 게이지의 환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사를 사용하여 천축 조직의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그리고, 그 편물을,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온도 130 ℃, 킵 시간 15 분으로 염색 가공하였다. 그 때, 친수화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를 염액에 대하여 2 밀리리터/리터의 비율로, 염색 가공시에 동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물에 친수화제를 부여하였다. 이어서, 그 환편물에 온도 160 ℃, 시간 1 분으로 건열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물 (포백) 은, 흡수 속건성, 스트레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이나 질감의 불균일감에 의해, 천연 소재와 같은 질감 및 외관을 갖는 것이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카티온 불염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광택 제거제의 함유율 2.5 중량%, 풀 덜)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사 장치로부터 280 ℃ 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사조 (총 섬도 56 dtex/36 개, 단섬유의 단면 형상 : 환단면, POY) 를 얻었다.
이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S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33 dtex/36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A 를 얻었다.
한편, 카티온 가염성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 광택 제거제의 함유율 0.3 중량%) 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사 장치로부터 280 ℃ 에서 용융 방사하고, 2800 m/분의 속도로 인취하고, 연신하지 않고 권취하여, 반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사조 (총 섬도 56 dtex/36 개, 단섬유의 단면 형상 : 환단면, POY) 를 얻었다.
이어서, 그 폴리에스테르 사조를 사용하여, 연신 배율 1.6 배, 가연수 2500 T/m (Z 방향), 히터 온도 180 ℃, 사속 350 m/분의 조건에서 동시 연신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하여, 총 섬도 33 dtex/36 개의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얻었다.
이어서, 이들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합사하고 공기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복합사 (총 섬도 66 dtex/72 fil, 권축률 18 %, 토크 4 T/m) 를 얻어 권축 섬유로 하였다. 그 때, 공기 교락 처리는, 인터레이스 노즐을 사용한 인터레이스 가공이고, 오버 피드율 1.0 % 로 95 개/m 의 교락을 부여하였다.
이어서, 28 게이지의 환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사를 사용하여 허니컴 조직의 환편물을 편성하였다.
그리고, 그 편물을, 카티온 염료를 사용하여, 온도 130 ℃, 킵 시간 15 분으로 염색 가공하였다. 그 때, 친수화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를 염액에 대하여 2 밀리리터/리터의 비율로, 염색 가공시에 동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지에 친수화제를 부여하였다. 이어서, 그 환편물에 온도 160 ℃, 시간 1 분으로 건열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물은, 스트레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이나 질감의 불균일감에 의해 신규 외관 및 신규 질감을 나타내는 것이었지만 속건성의 면에서 떨어지는 것이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치성 및 흡한 속건성이 매우 우수한 포백 및 섬유 제품이 제공되어, 그 공업적 가치는 매우 크다.

Claims (11)

  1. 복합사를 포함하는 포백으로서, 상기 복합사가, 권축사와 신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사가, S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A 와 Z 방향의 토크를 갖는 가연 권축 가공사 B 를 포함하는, 포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섬유가, 2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으로 접합된 복합 섬유, 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포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사 또는 상기 신축성 섬유에 있어서, 단섬유 섬도가 0.00002 ∼ 2.0 dtex 의 범위 내인, 포백.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가, 교락의 개수 1 ∼ 150 개/m 로 인터레이스 가공이 실시된 교락사인, 포백.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에 있어서, 총 섬도가 40 ∼ 180 dtex 의 범위 내인, 포백.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백이 직물 또는 편물인, 포백.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L 1018-1990 에 의해 측정한, 가로 방향의 스트레치성이 10 % 이상인, 포백.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L 1018-1990 에 의해 측정한, 가로 방향의 스트레치성 회복률이 85 % 이상인, 포백.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L 1058-1995 D3 법의 쇠톱에 의해 15 시간 테스트하여, 항스내깅성이 3 급 이상인, 포백.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의료, 안감, 심지, 양말, 복대, 모자, 장갑, 침의, 이불 측지, 이불 커버, 및 카 시트 표피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섬유 제품.
KR1020217019015A 2018-11-27 2019-11-21 포백 및 섬유 제품 KR102574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21391 2018-11-27
JPJP-P-2018-221391 2018-11-27
PCT/JP2019/045588 WO2020110890A1 (ja) 2018-11-27 2019-11-21 布帛および繊維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800A true KR20210091800A (ko) 2021-07-22
KR102574565B1 KR102574565B1 (ko) 2023-09-05

Family

ID=7085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015A KR102574565B1 (ko) 2018-11-27 2019-11-21 포백 및 섬유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381141A1 (ko)
EP (1) EP3889329A4 (ko)
JP (1) JP7231649B2 (ko)
KR (1) KR102574565B1 (ko)
CN (1) CN113056580B (ko)
CA (1) CA3119438A1 (ko)
TW (1) TWI830821B (ko)
WO (1) WO2020110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036A (zh) * 2021-07-30 2021-10-26 烟台鑫泰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膨体纱及其制备方法
WO2023100570A1 (ja) * 2021-12-01 2023-06-08 東レ株式会社 偏心芯鞘複合仮撚糸及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CN114931306B (zh) * 2022-06-29 2023-09-01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一种棉被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536A (ko) * 2004-07-30 2007-04-12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직편물
WO2008001920A1 (fr) 2006-06-28 2008-01-03 Teijin Fibers Limited Tricot et vêtement de sport
JP2009138287A (ja) 2007-12-04 2009-06-25 Teijin Fibers Ltd 表面がフラットなストレッチ性織物およびスポーツ衣料
JP2016125166A (ja) * 2015-01-06 2016-07-11 東レ株式会社 複合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織編物
KR20180044910A (ko) * 2015-08-31 2018-05-03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포백 및 섬유 제품
KR20180101542A (ko) * 2016-01-20 2018-09-12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편지 및 섬유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830B2 (ko) * 1972-11-25 1977-04-09
JPS528153A (en) * 1975-07-08 1977-01-21 Teijin Ltd Bulk blended fiber yarn
US4332762A (en) * 1976-04-29 1982-06-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 spreadable acrylic fiber tow
US4184316A (en) * 1976-09-13 1980-01-22 Akzona Incorporated Production of novelty yarns
JPS6211744A (ja) 1986-07-28 1987-01-20 Teijin Ltd 新規な紫外線吸収剤を用いる紫外線からの保護
JPH0482913A (ja) * 1990-07-19 1992-03-16 Teijin Ltd ポリアミド/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3262903B2 (ja) * 1993-06-14 2002-03-04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嵩高加工糸
JP3275478B2 (ja) * 1993-09-22 2002-04-15 東洋紡績株式会社 編織物用複合糸
JPH10121325A (ja) * 1996-10-14 1998-05-12 Toray Ind Inc 炭素繊維用前駆体繊維束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炭素繊維の製造方法
EP0908544A4 (en) * 1997-03-31 2005-03-23 Toray Industries FIBER YARN, 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6105224A (en) * 1998-09-28 2000-08-22 O'mara Incorporated Bulk yarns having improved elasticity and recovery,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KR100698003B1 (ko) * 2000-01-07 2007-03-23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권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것으로 이루어진 섬유구조체
US6872352B2 (en) * 2000-09-12 2005-03-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of making web or fiberfill from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staple fibers
JP2002146641A (ja) * 2000-11-08 2002-05-22 Toray Ind Inc 被覆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3005962A (es) 2001-02-02 2003-09-05 Asahi Chemical Ind Fibra compleja excelente en post-procesabilidad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CN100419144C (zh) * 2001-11-30 2008-09-17 帝人株式会社 具有潜在三维卷曲性能的机器卷曲的合成纤维及其生产方法
JP2004270097A (ja) 2003-03-11 2004-09-30 Teijin Fibers Ltd ポリエステル織物
JP2004211268A (ja) 2003-01-09 2004-07-29 Teijin Fibers Ltd ポリエステル織物
JP4349145B2 (ja) * 2003-02-19 2009-10-21 東レ株式会社 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織編物
WO2005102683A1 (ja) * 2004-04-26 2005-11-03 Teijin Fibers Limited 複合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18062A (ja) * 2004-10-19 2006-05-11 Teijin Fibers Ltd 湿潤時に空隙率が低下する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KR101576509B1 (ko) * 2008-03-17 2015-12-10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지.케이 단섬유를 포함하는 심초구조의 낚시줄
JP2012207328A (ja) * 2011-03-29 2012-10-25 Du Pont-Toray Co Ltd 接触冷感と耐切創性に優れた防護布帛
JP5916107B2 (ja) * 2012-03-29 2016-05-11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複合糸およびその織編物
US9702064B2 (en) * 2015-09-25 2017-07-11 Welspun India Limited Woven fabric with bulky continuous filaments yarn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KR20180108828A (ko) * 2016-04-20 2018-10-04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사조 및 패브릭 및 섬유 제품
JP6933707B2 (ja) * 2017-04-25 2021-09-08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布帛および繊維製品
KR101908901B1 (ko) * 2018-07-11 2018-10-16 이종만 Pet 원착사를 이용한 ity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환편 니트 원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536A (ko) * 2004-07-30 2007-04-12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직편물
WO2008001920A1 (fr) 2006-06-28 2008-01-03 Teijin Fibers Limited Tricot et vêtement de sport
JP2009138287A (ja) 2007-12-04 2009-06-25 Teijin Fibers Ltd 表面がフラットなストレッチ性織物およびスポーツ衣料
JP2016125166A (ja) * 2015-01-06 2016-07-11 東レ株式会社 複合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織編物
KR20180044910A (ko) * 2015-08-31 2018-05-03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포백 및 섬유 제품
KR20180101542A (ko) * 2016-01-20 2018-09-12 데이진 프론티아 가부시키가이샤 편지 및 섬유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565B1 (ko) 2023-09-05
JP7231649B2 (ja) 2023-03-01
EP3889329A1 (en) 2021-10-06
CA3119438A1 (en) 2020-06-04
EP3889329A4 (en) 2022-01-19
JPWO2020110890A1 (ja) 2021-10-21
CN113056580A (zh) 2021-06-29
TW202106190A (zh) 2021-02-16
WO2020110890A1 (ja) 2020-06-04
CN113056580B (zh) 2023-06-30
US20210381141A1 (en) 2021-12-09
TWI830821B (zh)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106B1 (ko) 다층 구조 패브릭 및 섬유 제품
JP5155162B2 (ja) 編地およびスポーツ衣料
KR102574565B1 (ko) 포백 및 섬유 제품
JP5584297B2 (ja) 多層構造布帛および繊維製品
US20220081811A1 (en) Fabric and fiber product
JP7015697B2 (ja) 多層構造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6933707B2 (ja) 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23002088A (ja) 経編地および衣料
KR20220015455A (ko) 복합사 및 포백 및 섬유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