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404A -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404A
KR20210088404A KR1020200073695A KR20200073695A KR20210088404A KR 20210088404 A KR20210088404 A KR 20210088404A KR 1020200073695 A KR1020200073695 A KR 1020200073695A KR 20200073695 A KR20200073695 A KR 20200073695A KR 20210088404 A KR20210088404 A KR 20210088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user
service providing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151B1 (ko
Inventor
이재영
성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Publication of KR2021008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06F21/6254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by anonymising data, e.g. decorrelating personal data from the owner's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7/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3Multi-level security, e.g. mandatory access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관리에 관한 것으로 여러 곳에 흩어져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최신 정보로 변경하거나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최신의 정보를 유지하는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방법 {PERSONAL INFORMATION MATCH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인정보 관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여러 곳에 흩어져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모으고 갱신 필요성을 판단하여 최신 개인정보로 갱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최신 개인정보로 갱신하는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개인은 이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 가입 시 개인정보를 그 서비스 사업자(예: 이커머스 기업)에 전달하고 그 서비스 사업자는 전달받은 개인정보를 자신의 지휘하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관리한다. 하지만 서비스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보관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법 등과 관련하여 법률적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입시 수집된 개인정보는 적시에 업데이트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시간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나아가 서비스 가입/변경/탈퇴시 개인이 직접 일일이 개인정보를 입력/변경/삭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서비스마다 개인이 직접 일일이 개인정보를 입력/변경/삭제해야 하는 경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어떤 서비스에 가입하여 어떤 정보를 입력했는지 잊어버리는 경우도 빈번하여 입력된 개인정보 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개인정보 간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은 입력된 개인정보가 개인의 현재 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소가 변경되거나, 전화번호나 이메일 등의 개인정보가 해지 또는 변경된 경우 과거의 개인정보는 더 이상 서비스 사업자에게 활용가치가 없다. 한편 개인정보가 적시에 갱신되지 않을 경우 개인정보 노출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개인이 어떤 서비스에 가입한 이후 전화번호를 변경하였음에도 전화번호를 업데이트하지 않아 여전히 과거의 전화번호가 해당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만, 실제로 이전의 전화번호는 다른 사람에게 할당된 경우,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알림 기능은 과거 전화번호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노출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미영"의 전화번호가 "이은철"에게 할당되었지만 갱신되지 않아 여전히 "김미영"의 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김미영"이 가입한 A 서비스가 "김미영님, A VOD 서비스입니다. 김미영님은 가입하신 저희 VOD 서비스를 오랫동안 이용하지 않으셨습니다. 보유하신 5000포인트가 한달 후 소멸될 예정이오니 조속한 사용부탁드립니다. 아울러 20대 여성만을 위한 혜택이 준비되어 있사오니 사이트에서 확인해 주십시오"라고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이 문자를 받은 "이은철"은 "김미영"이 20대의 여성이며 A VO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5000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모두 알게 된다.
한편 최근 정보주체인 개인이 본인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관리, 통제하고, 이를 신용관리, 자산관리, 나아가 건강관리까지 개인생활에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는 마이데이터(MyData)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마이데이터 기술은 서비스 사업자가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를 가져와서 별도의 서버에 저장하고 활용하는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어 여전히 다량의 개인정보가 해킹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즉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중심 설계가 부족한 문제가 있다. 나아가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복수의 서비스로부터 가져온 개인정보를 취합하여 정합하므로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부당하게 개인정보가 사용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개인정보 노출 및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부당 사용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개인이 각자 관리하고 각 서비스의 개인정보도 개인이 최신의 개인정보로 직접 일치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이 소지한 단말에서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개인이 일일이 변경하지 않고 현재 개인의 상태에 부합하는 개인정보로 일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개인이 개인정보를 갱신한 이후에 갱신된 개인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와 개인정보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면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 간에 불일치되는 정보에 대하여 가장 최신의 개인정보를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저장하는 개인정보를 갱신하거나 개인에게 제시하고 확인을 받거나 또는 최신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항상 최신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투명도와 신뢰도가 높으면서도 개인정보의 실시간성이 보장되고 거래의 실시간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안전한 개인정보 거래가 가능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프라이버시 중심 설계를 통해 정보주체인 개인이 자신의 지휘 하에 본인의 정보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개인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와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해 주도권을 가지면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로 하여금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개인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의 경과율 또는 일치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경과율 또는 일치율에 기반하여 갱신할 개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경과율은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의 경과시간에 기반하여 계산된다.
상기 일치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와 전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신된 개인정보와의 일치되는 비율이다.
상기 갱신할 개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결정된 개인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개인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갱신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단계; 상기 수수료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실제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 내부에서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의 열람을 제공하며, 열람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맞춤정보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로 하여금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개인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비교하고 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갱신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단계; 상기 수수료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의 열람을 제공하며, 열람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맞춤정보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실제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이 소지한 단말에서 복수의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일일이 변경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현재 상태에 부합하도록 갱신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자신의 개인정보가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개인정보를 정합한 이후에 정합된 개인정보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면서도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와 간편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항상 최신의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 간 정보의 불일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도와 신뢰도가 높으면서도 개인정보의 실시간성이 보장되고 거래의 실시간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안전한 개인정보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라이버시 중심 설계를 통해 정보주체인 개인이 자신의 지휘 하에 본인의 정보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와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해 주도권을 가지면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가 포함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가 포함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인정보 저장소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인정보 정합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의 경과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치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정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정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개인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개인정보가 다른 경우 표시되는 팝업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정합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정합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오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정보의 정합은 각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된 개인정보를 개인의 현재상황에 부합하는 최신의 개인정보로 일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맞춤정보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정보 열람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노출되는 광고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가 포함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500)은 사용자가 가입한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각각 저장된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서 정합함으로써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최신의 개인정보로 갱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고 그 이용에 대해 스스로 결정권을 갖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통신가능 하도록 연결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Wifi, Blutooth, LAN 등과 같은 근거리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 WAN 등과 같은 원거리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500)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산재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개인의 현재 상황에 부합하는 최신의 개인정보로 정합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관리와 정합을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서 수행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개인정보 관리와 정합을 수행하는 것보다 개인정보의 대량 유출 위험이 없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개인정보의 무단 사용 위험이 줄어들며 개인정보를 개인이 직접 관리하게 되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a 및 이하의 도면에서 실선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부터의 개인정보 열람 또는 제공을 나타내고 점선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의 개인정보 제공을 나타낸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최신 개인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서로 비교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최신 개인정보를 결정한 후에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정보를 결정된 최신 개인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최신 개인정보는 정보 저장 시각 및/또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 간 일치율을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할 수 있다. 즉,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전달받거나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를 통하여 전달받거나 후술할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내부에서만 개인정보 열람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전달된 개인정보도 포함된다. 즉,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던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복사하거나 이동시킨 후 그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내부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관리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외부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나아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외부에서 열람하거나 외부로의 발송을 허용하지 않는 것까지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다양한 유무선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HMD(Head Mounted Display)), 유무선 방송수신기(예: 스마트 TV), A/V(Audio/Video) 시스템, 디지털 사이니지 등을 포함한다. 특히,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가 휴대용 전자 장치 -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 로 구현되면 개인정보 자체의 정확성 및 실시간성이 확보되고 언제 어디서나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함이 더욱 증대되며 개인정보 및 그 관리에 대한 프라이버시가 보다 보호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개인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후술할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개인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거나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가 직접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요청하여 수집할 수 있다. 한편으로 후술할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동되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으로 개인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서비스와 관련된 개인정보를 마이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전력이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전력사용량을 마이데이터로서 저장하고, 국민카드가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에 대한 카드 청구액을 마이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마이데이터를 수집한다(여기서 마이데이터는 마이데이터가 누구의 데이터인지 특정하기 위한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수집되는 마이데이터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집된 동일항목의 개인정보들이 서로 달라 충돌이 발생하여 상충하면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의 개인정보 활용도가 떨어지고 한편 개인정보 유출 위험도 증가하므로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서로 다르게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통상적인 ID와 패스워드 뿐만 아니라 공인인증서, 네이버, 카카오,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ID와 패스워드, 지문, 홍채 등의 생체 정보 및 잠금 패턴 등을 포함한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인증 정보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나 후술할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개인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직접 개인정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개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개인정보 요청을 위해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 목록과 그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공받은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여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것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개인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고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전달받은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최신 개인정보,즉 개인의 현재상황에 부합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갱신할 개인정보를 요청하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부터 개인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거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내에서 열람하기 위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개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의 개인정보 '열람'은 열람한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외부로 내보내지 않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령,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내에서 실행됨으로써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내부에서 개인정보를 열람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외부로 내보내지 않는다는 것은 열람한 개인정보를 '그대로' 내보내지 않는다는 의미로서, 개인을 특정하는 식별자를 제거하는 등의 비식별화 작업을 거친 이후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내보내는 것은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라도 밖으로 내보내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개인정보 이용 허락 범위에 따라 밖으로 내보내지 않는 정보의 범위 및/또는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 관리 사업을 하는 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개인정보 요청 및 관리를 의뢰받은 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단순히 개인정보에 대한 중개자 역할에 머무르고 실제 개인정보를 사업에 활용하는 주체는 제3자(예: 서비스 사업자)가 되며, 맞춤정보는 제3자인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된다.
한편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상대방이 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붙여진 이름일 뿐, 개인정보 관리사업을 수행하거나 대행하는 자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가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고객지향적인 서비스 사업을 수행하는 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이 경우 맞춤정보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네트워크(200)에 분산된 다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서비스 사업자(위탁받은 서버 운영자 포함)에 의해 운영되며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지방자치단체 및/또는 공기업 등 국가기관 및/또는 공공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를 포함한다.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커머스, 금융, 보험 등 온라인으로 제공가능한 모든 서비스를 망라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와 별개로 다른 주체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한편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도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개인정보의 활용 효과를 높이며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서로 다르게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일치시켜 저장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후술할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동되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받은 개인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개인정보를 요청한 주체, 가령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 또는 개인정보 관리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개인정보를 그대로 보관하거나 모두 삭제하거나 아니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개인정보만을 남겨놓고 나머지는 삭제할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전달되고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삭제되는 개인정보는 이후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내부에서만 열람되며 외부로 전송되지 않거나 또는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부분이 삭제된 다음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내부에서 열람하고 열람한 개인정보 또는 전달받은 개인정보에 기초한 소정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요청된 소정 정보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전달되는 소정 정보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 보여질 맞춤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 중'코성형수술 후유증으로 재수술 원함'을 열람한 다음 식별자 정보 없이'코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에 관한 정보만을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요청한다. 이처럼 식별자 정보가 삭제되거나 비식별화된 상태로 단순히 필요한 정보만을 요청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다. 나아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서 개인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가 직접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요청하지 않으며, 요청된 맞춤정보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직접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를 특정하거나 정보를 요청한 개인이 누구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비식별화 처리된 개인정보'30대 서울거주 직장여성'을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맞춤정보, 예를 들면 '30대 서울거주 직장여성이 선호하는 향수 리스트'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 그룹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로 '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정보 수집을 요청하면,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개인정보 중'코성형 재수술 원함'을 열람한 다음 식별자 정보 없이 가명화 처리한 후'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임을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하거나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개인정보 전달을 허락한 경우에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여 '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임을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한다.
맞춤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전달되는 소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다. 위의 예에서,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코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을 포함한 상위 카테고리 정보로서 '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받아둔 다음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맞춤정보로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개인정보의 이용 허락 범위에 따라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작업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가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는 개인이 누구인지 특정할 수 없도록 처리되고,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으며 따라서 개인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가 보호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경우와는 반대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가입 또는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를 직접 수신하고 정합하여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최신의 개인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합하여 갱신한다는 의미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모순되거나 상이한 개인정보를 추려낸 다음 최신의 또는 검증된 정보를 기준으로 나머지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최신의 일관되고 정확한 개인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또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요청한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동하는 후술할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전달하는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개인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 간의 일치율을 계산하여 산출된 비율에 따라 갱신 기준이 되는 개인정보(예: 최신 개인정보 또는 개인의 현재 상태에 부합하는 개인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를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전달받은 개인정보로 기존의 정보를 갱신한다. API는 ActiveX, EXE, 플러그인, 컴파일 되는 프로그래밍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갱신 기준 개인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통지받은 정보를 그대로 수용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전술한 갱신 기준이 되는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개인정보 또는 갱신 기준이 되는 개인정보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서로 상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정확한 개인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상충을 해소할 수 있는 정보(예: 최신 정보, 오류 정보 확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및/또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가 포함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500)은 도 1a와 마찬가지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포함하며 추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를 더 포함한다. 도 1a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블록체인은 제3의 신뢰기관(Trusted third party) 없이 거래정보의 무결성과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는 혁신적인 개념으로서, 다수의 컴퓨터에 동일한 거래원장사본이 보관되는 디지털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 '블록'이라는 단위에 디지털화되어 저장되는 - 을 말한다. '블록'은 바디와 헤더로 나뉘고 바디에는 거래내용, 헤더에는 암호코드 등이 저장된다. '블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가자의 컴퓨터(node) 상에 분산되어 보관되며, 신규거래가 발생하거나 기존거래가 변경되면 새로운 블록이 생성, 기존의 블록에 시간적 순서에 따라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이 사슬(chain)처럼 이어진다.
분산원장의 운용구조는 미리 결정된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에 의해 정해지고 자동화되어 운영되며 모든 네트워크 참가자는 원장 전체를 각각 보관하고 새로운 거래를 반영하여 갱신하는 작업도 공동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일부 참가자에게 저장된 블록에서 거래 정보가 훼손되거나 위조되더라도 나머지 블록에서는 해당 정보가 온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한 사실을 쉽게 확인하고 복원할 수 있으므로 합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블록에 저장되기로 확정된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보관되고 변개가 불가능하며, 원칙적으로 모든 참가자가 접근 가능하여 거래 추적이 용이하므로 투명성도 높다. 따라서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가 관리하는 분산원장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를 관리함에 있어 정보 제공자로서 개인과 정보 이용자(주로 기업)가 모두 안전하게 개인정보 거래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로 연결된 블록체인 참여자가 된다.
블록체인은 개인정보 소유자, 개인정보 이용 시간, 횟수, 이용자 등 거래기록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뿐 아니라 각 블록에 개인정보의 이용 조건, 계약 내용, 계약 체결 여부, 계약 실행, 계약 변경 상태 등을 저장함으로써 저장 오류나 외부의 조작 등의 위험이 제거된 상태에서 계약을 체결하고 실행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계약의 실행 조건 만족 여부 등에 대해 신뢰성 높은 검증이 가능하므로 개인정보 이용을 위한 조건 만족시 즉시 실행가능한 스마트 계약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로는 블록체인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요청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가져오는 개인정보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즉,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개인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에 대한 수신자를 특정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지정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 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으로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블록체인을 검색하여 개인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요청된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으로 전송하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을 검색하여 요청한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프로세서(10), 디스플레이부(20), 센서부(30), 통신부(40) 및 저장부(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통신부(40)를 거쳐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최신의 개인정보 여부를 판단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최신 정보가 아닐 경우 최신의 개인정보로 갱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최신의 개인정보 여부를 확인받은 개인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설정한 이용 허락 범위에 따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내부에서 개인정보의 열람을 제공하고, 열람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맞춤정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부(20), 센서부(30), 통신부(40), 및/또는 저장부(50)를 제어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운영체제, 미들웨어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메인프로세서(예: 중앙처리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프로세서(예: 그래픽처리장치,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프로세서는 메인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의 일부 기능은 분리되어,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개인정보 관리 장치(50)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 센서부(30), 통신부(40) 및/또는 저장부(5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구현 방식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망라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대한 개인정보 갱신 요청을 하거나 터치입력을 통해 개인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개인정보의 이용 허락 범위를 설정할 수 있게 터치 인터랙션을 지원하도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20)는 터치 감지(터치에 의한 압력의 변화 포함)를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대한 개인정보 갱신 요청, 개인정보의 입력 및/또는 이용 허락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입출력 구성요소(예: 키보드, 버튼, 마우스, 전자펜, 스피커, 마이크)를 터치 인터랙션과 독립적으로 혹은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3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동작 상태(예: 전력,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예: 터치, 압력, 조도,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데이터값을 생성한다. 센서부(30)는 예를 들면, 이미지센서, 터치센서, 제스처센서, 사운드센서, 자이로센서, 기압센서, 마그네틱센서, 가속도센서, 그립센서, 근접센서, 컬러센서, IR센서, 생체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개인정보의 입력, 열람, 개인정보 이용 관련 다양한 알림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저장부(5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물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 센서부(30) 및/또는 통신부(40)에 의해 생성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5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마이데이터(MyData)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읽어들여지며, 사용자는 나머지 개인정보만 입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먼저 일부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나머지 개인정보는 마이데이터(MyData)를 읽어들여 갱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가 "주소"인 경우 "주소" 항목이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삭제되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만 저장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는 개인정보의 삭제 여부와 삭제 범위를 지정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서비스 제공서버(400)로부터 모든 개인정보가 삭제되거나 각 서비스 제공에만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이 남겨지고 삭제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 개인정보 저장소(70) 및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과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저장부(50)에 저장되며, 프로세서(10)에 의해 실행된다. 개인정보 저장소(70)는 저장부(50)에 위치하며 저장부(50)와 역할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지만,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과 관련된 동작 설명을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관점에서 별개로 관념되고 이름 붙여졌다. 개인정보 저장소(70)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이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일 수도 있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다른 프로그램 코드와 공유할 수 있는 저장공간일 수도 있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 및/또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처음부터 설치되어 있는 네이티브 앱일 수도 있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설치할 수도 있다. 설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으나, 통상 앱스토어 등에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양한 버전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제조업자가 상이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개인정보 관리를 수행할 수 있음으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가 개인정보 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과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이 설치되면 상응하는 앱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20)에 각각 표시되고 사용자는 앱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과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의 설치 및 실행은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그 이름이 암시하듯이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운영체제 및/또는 미들웨어의 일부로서 구현되거나 운영체제 및/또는 미들웨어와 상호 인터랙션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거나 협업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프로그램 집합체로서 구현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하드웨어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에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을 통해 키쌍(key pair: 비밀키 + 공개키)을 생성한 다음 생성된 공개키를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에 등록하여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키쌍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자신의 생년월일, 나이, 주소, 지역 등 준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고유한 ID, 인증서, 이메일주소, 생체정보 등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 등록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등록이 완료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된 식별정보(예: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 곧바로 개인을 특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결합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준식별정보(예: 생년월일, 나이, 주소, 지역 등), 및/또는 개인의 성향이나 특성 등 프라이버시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예: 취미, 검색어, 앱/Youtube사용이력, 연소득, 쇼핑정보 등)를 포함한다.
한편,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의 최신성을 확인하여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할 때 기존에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충돌이 발생하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확인한 후 확인된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통상적인 ID와 패스워드 뿐만 아니라 공인인증서, 네이버, 카카오,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ID와 패스워드, 지문, 홍채 등의 생체 정보 및 잠금 패턴 등을 포함한다.
개인정보 및 인증 정보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에 의해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한 이후에는 사용자인증을 통과한 사용자에게만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조회, 열람, 수정 및/또는 다운로드 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인증 수준,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그 레벨에 따라 사용자에게 허락되는 개인정보에 대한 권한이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낮은 수준의 사용자인증(예: 비밀번호)을 통과한 경우에는 조회나 열람만을 가능하게 하고, 보다 높은 수준의 사용자인증(예: 비밀번호+생체인증 조합)을 통과한 경우에만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개인정보를 요청하며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 간의 일치율을 계산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개인정보를 최신의 개인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간의 일치율은 개인정보 필드 또는 개인정보 항목간의 일치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는 개인정보 항목이며 "010-1234-5678"과 "82-10-1234-5678"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주소는 지번주소와 도로명 주소가 일치되는 것으로, 직장은 "주식회사 삼성전자"와 "㈜ 삼성전자"가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개인정보를 자신의 관리 하에 두고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와의 개인정보 거래를 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독자적으로 또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에게 개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으로 하여금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한다. 개인정보를 열람한다는 의미는 개인정보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내부에서만 제공될 뿐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외부로 나가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읽어들여서 또는 읽어들인 개인정보를 가공하여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에게 전달하지만,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전달받은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외부에 있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대신,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열람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소정 정보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 로 요구하여 송신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의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으로의 요청이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 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이루어진 경우,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읽어들여서 또는 읽어들인 개인정보를 가공하여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으로 전달하고,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전달받은 개인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한 이용 허락 범위 내에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바깥에 있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한다. 대안적으로, 개인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이용 허락 범위 내에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으로부터 직접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송신될 수 있다. 나아가,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으로 직접 개인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 또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제공되어 사용자에 보여질 맞춤정보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한다. 가령,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이 개인정보 중 프라이버시 정보로서'코성형수술 후유증으로 재수술 원함'을 열람한 다음'코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요청한다. 마찬가지로'코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에 관한 정보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를 통해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으로 송신되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으며 정보를 요청한 개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 그룹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으로'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정보 수집을 요청하면,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을 통해 개인정보 중'코성형 재수술 원함'을 열람한 다음 식별자 정보 없이 가명화 처리된'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임을 알리는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하거나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식별자 정보 전달을 허락한 경우에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여 '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임을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한다.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식별자 정보 없이 가명화 처리되거나 또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코성형 재수술을 원하는 개인'임을 알리는 개인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비식별화 처리된 개인정보'30대 서울거주 직장여성'을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맞춤정보, 예를 들면 '30대 서울거주 직장여성이 선호하는 향수 리스트'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맞춤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로 전달되는 소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다. 위의 예에서,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코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을 포함한 상위 카테고리 정보로서 '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받아둔 다음 필요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맞춤정보로서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코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을 포함한 상위 카테고리 정보로서'성형수술 후유증 및 재수술'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받아둔 다음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맞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제공되는 개인정보는 프로세서(1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이용 허락 범위에 적합하도록 준비된다. 이용 허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10)는 개인정보의 카테고리, 개인정보를 제공받을 외부 이용자, 및/또는 개인정보의 비식별화 수준을 입력할 수 있는 설정화면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등록되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8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80)은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등록되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가져올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등록되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 전달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서로 간에 약속되어 설치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등록되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API는 ActiveX, EXE, 플러그인, 컴파일 되는 프로그래밍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API를 통하여 최신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아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개인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80) 또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등록되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직접 가져오는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사용하여 접속한 후 개인정보가 기록된 페이지를 호출하고 크롤링(crawling)이나 스크레이핑(scraping)등을 사용하여 개인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과 연동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등록되거나 저장된 개인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과 연동하여 개인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과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 간에 개인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API가 설치될 수 있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동되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거나 등록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가져와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과 사전인증을 수행하여 사전인증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게 ID와 패스워드를 질의하거나 공인인증서, 사용자 지문 등을 이용하여 인증이 필요할 때마다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과 연동되는 경우 API를 이용해 개인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에서 직접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여 크롤링이나 스크레이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개인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거나 등록된 개인정보를 가져오기 위해서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거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은 서비스별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이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정합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을 쉽게 다운로드 받고 삭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설치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동되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을 통하여 개인정보 지갑 어플리케이션(60)으로 개인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500)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포함하며 추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도 3a와 마찬가지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 개인정보 저장소(70) 및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을 포함한다.
도 3a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6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개인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에 대한 수신자를 특정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지정할 수 있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 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00)에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를 검색하여 개인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요청된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로 전송하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를 검색하여 요청한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인정보 저장소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4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저장소(70)는 물리적으로는 도 2의 저장부(50)에 위치하며 저장부(50)와 역할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지만,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과 관련된 동작 설명을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관점에서 별개로 관념되고 이름 붙여졌다. 개인정보 저장소(70)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이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일 수도 있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다른 프로그램 코드와 공유할 수 있는 저장공간일 수도 있다.
개인정보 저장소(70)는 암호화 저장소(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암호화 저장소(71)는 암호화가 필요한 개인정보,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나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저장소(7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ID와 패스워드, 공인인증서 또는 네이버, 카카오 등의 포털사이트,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 등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는 대체 인증 정보, 지문이나 홍채 인식 등의 생체 정보 및 잠금 패턴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5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설치되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은 수행 기능의 관점에서 관리부(61), 개인정보 제공부(62), 개인정보 정합부(63) 및 블록체인 통신부(6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의 관리부(61)는 사용자가 설정한 개인정보의 이용 허락 범위를 조건으로 한 청약을 생성하고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에 제시할 수 있다. 청약에는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외부 이용자가 특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되어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외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청약이 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테고리 정보는 서비스 사업의 종류, 지역, 규모, 업력, 신용등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청약에 대한 승낙의 의사표시를 관리부(61)로 전달할 수 있다. 승낙의 의사표시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관리부(61)는 승낙의 의사표시가 도착하였음을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부(61)는 작은 팝업창이 띄워지도록 하고 사용자 터치(클릭)시에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관리부(61)는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의 아이콘 색깔(휘도, 채도, 밝기, 명도, 투명도 포함) 및/또는 형태가 변경되도록 하거나 움직임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알림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를 응시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동안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아이콘을 터치(클릭)하거나 아이콘을 응시하면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의 관리부(61)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로부터 개인정보 이용을 위한 청약을 수신할 수 있다. 청약에는 이용하고자 하는 개인정보와 이용하고자 하는 외부 이용자가 특정되어 있을 수 있다. 관리부(61)는 청약이 도착하였음을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부(61)는 작은 팝업창이 띄워지도록 하고 사용자 터치(클릭)시에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사용자 알림에 대한 내용이 여기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관리부(61)는 청약에 대한 사용자의 승낙의 의사표시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화면 터치 등을 통한 사용자의 승낙의 의사표시 방식에 대해서도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여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청약과 승낙에 의해 계약이 체결되면 해당 이용자는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승낙이 도달하거나 승낙을 전달하였더라도 관리부(61)는 청약 또는 승낙에 대해 재차 사용자의 확인 절차를 밟도록 한 이후에 계약이 체결되도록 한다. 계약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계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계약 체결 조건이 사용자 또는 이용자가 제시한 개인정보 이용 조건으로 표시되고, 양측의 의사가 합치되는 경우 스마트 계약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으로 구현된 경우에도 청약과 승낙에 더하여 사용자의 확인 절차를 밟은 이후에 스마트 계약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계약을 위한 청약은 디지털 이용권(티켓) 형태로 발행된다. 블록체인 통신부(64)는 관리부(61)가 발행한 이용권을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로 전송함으로써, 블록체인 참여자, 특히 서비스 사업자가 볼 수 있게 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로 전달된 이용권을 인식한 서비스 사업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600) 및/또는 블록체인 통신부(64)를 통해 승낙의 의사표시, 즉 이용권을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관리부(6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용권 구매 의사가 전달되면 관리부(61)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위의 알림 방식 및 계약 체결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도 모두 적용가능하다.
개인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외부 이용자(예: 서비스 사업자) 또한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를 통해 개인정보 이용에 대한 청약을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이용자의 청약은 디지털 이용권(티켓) 형태로 발행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로 전송되어 블록체인 참여자, 특히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 및/또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및/또는 개인정보 요청 애플리케이션(80)이 볼 수 있게 한다.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의 관리부(61)는 블록체인 통신부(64)로 하여금 블록체인 네트워크(5)로 전달된 이용권 중 개인정보 저장소(200)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매칭되는 이용권 정보만을 필터링하여 읽어들이도록 할 수 있다. 관리부(61)는 매칭되는 이용권 정보(즉 서비스 사업자의 개인정보 이용 요청)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위의 알림 방식 및 계약 체결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도 모두 적용가능하다. 스마트 계약이 체결되었다는 것은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60)에 의해 발행된 이용권이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구매되거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행된 이용권(개인정보 이용 요청)에 대해 개인정보 소유자인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그 이용을 허락함으로써 이후 서비스 사업자가 해당 이용권을 제시하여 해당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스마트 계약이 체결되었다는 사실은 블록체인 통신부(64)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로 전달되어 해당 블록에 기록된다.
관리부(61)는 이용권 발행 요청 정보 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행된 이용권에 대한 승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용권 발행 요청 정보 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행된 이용권에 대한 승인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이용권이 이미 발행되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발행된 이용권이 저장된 개인정보 저장소(70) 또는 암호화되어 저장된 암호화 저장소(71)에 상응하는 이용권이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승인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이용권이란 이용 허락된 개인정보 범위(예: 카테고리 정보), 이용기간, 횟수, 목적 등 이용권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스마트 계약의 실행 조건)이 이용권 발행 요청 정보 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행된 이용권에 대한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 이용 요청 범위에 의해 충족되는 이용권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이용권은 사용자 승인을 조건으로 외부 이용자가 원하는대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권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의 일부만이 이용권 발행 요청 정보 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행된 이용권에 대한 승인 요청 정보에 의해 만족될 경우, 나머지 조건에 대한 외부 이용자의 수용 여부를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를 통해 타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관리부(61)는 나머지 조건을 이용권 발행 요청 정보 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행된 이용권에 대한 승인 요청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경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개인정보 소유자인 사용자의 의사를 타진할 수 있다. 의사 타진을 구현하는 방식은 전술한 청약 및/또는 승낙의 알림 방식 및/또는 상세정보 제공 방식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적용가능하다.
관리부(61)는 요청에 상응하는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신규 이용권을 발행한다. 발행을 위해, 관리부(61)는 전술한 알림 방식 및/또는 상세정보 제공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용권 발행을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부(61)는 디스플레이부(20)에 사용자에게 사용자 본인의 서명을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터치, 클릭, 생체정보(예: 지문, 홍채) 입력, 서명파일 첨부, 디지털 인증 등으로 서명이 입력되면 관리부(61)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용 허락 범위를 기초로 신규 이용권을 발행한다. 다른 실 시예에서, 이미 사용자가 이용 허락 범위를 설정해 두었고 그 범위 내에서 이용권 발행 요청 정보에 따른 이용권 발행이 가능하다면 사용자에게 재차 이용권 발행을 요청하지 않고서도 신규 이용권을 발행할 수 있다.
개인정보에 대한 이용 허락 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부(61)는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권 발행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이용 허락 범위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돕는다. 안내 정보는 설정화면에 또는 추가화면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화면에 개인정보 카테고리(및/또는 하위 세부 항목)와 선택을 위한 체크박스를 표시하였다면 이용권 발행 요청에 해당하는 개인정보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체크박스에 미리 비활성화된 선택 완료 표시를 해둘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체크박스에 체크하면 선택 완료 표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발행된 신규 이용권은 이용권 발행을 요청한 외부 이용자에게 전달되고 사용될 수 있다. 신규 발행된 이용권 정보, 거래 정보 또한 블록체인 통신부(64)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로 송신되어 해당 블럭에 기록된다.
또한 관리부(61)는 요청에 상응하는 이용권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발행된 이용권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을 위해, 관리부(61)는 전술한 알림 방식 및/또는 상세정보 제공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승인을 요청한다. 개인정보에 대한 이용 허락 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술한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승인은 승인을 요청한 외부 이용자에게 전달되고 해당 이용권은 개인정보 이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신규 승인된 이용권 정보, 거래 정보 또한 서비스 사업자 및/또는 블록체인 통신부(64)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00)로 송신되어 해당 블럭에 기록된다.
개인정보 정합부(63)는 개인정보 수신부 및 개인정보 추천부를 포함하며 개인정보 정합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정합하여 차이가 발생하는 개인정보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정합부(63)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개인정보로부터 개인의 현재 상황에 부합하는 최신의 개인정보를 결정하고 각 서비스 제공서버(400)의 개인정보를 결정된 최신의 개인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정보의 최신성 여부와 서비스 제공 서버간 공통되는 개인정보의 비율에 따라 갱신할 개인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신뢰성 있는 기관이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경우 최우선적으로 갱신할 개인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개인정보의 최신성은 개인정보를 입력한 날짜로부터의 경과일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간 공통되는 개인정보의 비율은 공통되는 개인정보를 보유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신뢰성 있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는, 이를 테면 신용카드 회사에서 제공하는 카드 사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 정합에 관한 구체적인 예는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인정보 정합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개인정보 정합부는 개인정보 수신부(65) 및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를 포함한다.
개인정보 수신부(65)는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수신부(65)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서버(400)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들이 서로 불일치하는지 판단하며 서로 일치하면 다른 개인정보를 복수개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만약 가져온 개인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일치하는 개인정보들간의 일치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일치율은 개인정보의 경과일, 공통되는 개인정보를 보유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개인정보 수신부(65)는 일치율이 높은 개인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개인정보의 일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서버(400)로부터 가져온 개인정보 필드 또는 개인정보 항목의 완전한 일치 또는 동일로 인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는 "01012345678"과 "010-1234-5678" 및 "82-10-1234-5678"이 일치하는 개인정보로 판단될 수 있으며, 직장명은 "삼성전자", "삼성전자 주식회사"와 "㈜삼성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는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수신부(65)는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할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전술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개인정보 수신부(65)는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개인정보관리 장치(100)에 저장하고 기존에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불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개인정보 수신부(65)는 만약 사용자로부터 새롭게 입력되는 개인정보와 기존에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간에 차이가 발생하면 개인정보 관리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입력되는 개인정보와 기 저장된 개인정보 간에 차이가 있음을 통지할 수 있다.
개인정보 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전술한 개인정보의 일치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즉, 개인정보들이 서로 완전히 다르거나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와 "삼명전자"는 차이가 직장명이며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와 "삼성전자 DS"는 서로 차이가 있는 직장명이다.
개인정보 수신부(65)는 개인정보의 전체를 놓고 개인정보 차이를 판단하며 일부 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는 경우 동일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개인정보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개인정보 수신부(65)는 개인정보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면 다른 개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개인정보 수신부(65)는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입이나 등록한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개인정보 저장소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 서버(400) 이외에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검색하여 개인정보 저장소(7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이 가능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직접 검색하는 경우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서 부하가 많이 발생하므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의 조작이 거의 없는 야간 시간에 검색을 하거나,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에 인증정보를 일시적으로 전달하고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가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검색한 후 그 결과를 개인정보 수신부(65)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가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400) 접속을 위한 토큰을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에 제공하며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제공받은 토큰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여 개인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인정보 요청 서버(3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것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접속하여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갱신할 개인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갱신할 개인정보를 요청하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로부터 개인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개인정보 수신부(65)에 의해 계산된 일치되는 개인정보들간의 일치율을 계산하여 일치율이 높은 개인정보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추천하는 개인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가 추천하는 개인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인정보를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갱신할 수 있으며 추천하는 개인정보를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개인정보로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갱신할 수 있다.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의 갱신 후에 사용자에게 개인정보가 갱신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개인정보의 일치율이 기준 수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 대한 추천과 사용자의 확인없이 일치율이 기준 수치 이상인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개인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치율 80%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확인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개인정보를 갱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수치는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일치율과 정확도를 통계로 산출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신뢰성이 높은 기관 또는 업체가 등록하거나 생성한 개인정보 또는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갱신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기록된 개인정보가 취향에 관한 것으로서 "스타벅스 선호"인데 카드회사에서 수집된 정보는 "이디야"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을 때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는 "스타벅스 선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의 사용 데이터는 "이디야"이므로 "이디야"로 취향에 관한 개인정보로서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갱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대하여 최신의 개인정보로 갱신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최신의 개인정보가 갱신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에 수수료를 지불하고,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수수료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추천되는 개인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거나 사용자가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갱신될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한 경우에도 저장한 개인정보에 대하여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사용자가 확인하여 저장한 개인정보와 함께 신뢰도를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신뢰도에 기반하여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 부(66)가 제공한 개인정보를 채택하여 갱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신뢰도는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와 다른 방법을 통하여 확인된 개인정보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취향과 관련된 개인정보 예시를 다시 기술하면, "스타벅스"를 취향 정보로서 사용자가 확인한 경우에도 신용카드 내역을 확인하여 실제로 이용한 카페는 "이디야"인 경우 신뢰도는 낮아질 수 있다.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사용자가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가 추천하는 개인정보를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갱신할 수 있다. 이후 각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개인정보의 갱신 후에 사용자에게 개인정보가 갱신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상충하면 어떤 개인정보를 선택할지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개인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개인정보도 갱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66)는 사용자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갱신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의 경과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경과율은 개인정보의 경과 시간에 비례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즉, 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가져온 개인정보는 최신 정보일수록 낮은 경과율을 갖는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가져온 개인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지 1일 이하로 경과된 경우 그 개인정보의 경과율은 0%, 365일 이상 경과된 개인정보의 경과율은 100%로 계산될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가져온 복수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가 저장된 시점을 기준으로 경과율이 계산되고 가장 낮은 경과율을 갖는 개인정보, 이 경우 가장 최근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선택되고 선택된 개인정보로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갱신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치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4개의 서비스에서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개인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A서비스와 B서비스에서 동일한 개인정보는 전체 4개의 서비스 중 2개의 서비스에서 개인정보가 동일하므로 일치율은 2/4*100=50% 이며 A서비스, B서비스 및 C 서비스가 동일한 개인정보는 전체 4개의 서비스 중 3개의 서비스에서 개인정보가 동일하므로 일치율은 3/4*100=75%이다.
한편 서비스 D의 개인정보는 다른 세 개의 서비스의 개인정보와 동일하지 않으므로 일치율은 1/4*100=25%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가져오는 개인정보의 일치율은 개인정보가 일치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수에 따라 계산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가 일치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수가 많을수록 일치율이 높아지며 그에 따라 일치율이 높은 개인정보가 선택되거나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정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01에서 개인정보 수신부는 개인정보 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한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개인정보를 가져온다.
단계 802에서 개인정보 수신부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가져온 개인정보가 상충하는지 판단한다. 개인정보 간에 차이가 없는 경우 단계 801로 돌아가 다른 개인정보를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가져오며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절차가 매번 수행되거나 한 번의 인증후에 더 이상의 인증이 필요 없을 수도 있다.
개인정보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단계 803에서 복수의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가져온 개인정보의 경과율 또는 일치율을 계산한다. 이 경우 전술한 도 7a 또는 도 7b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804에서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는 계산된 경과율 또는 일치율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가져온 개인정보 중에서 가장 높은 일치율 또는 가장 낮은 경과율을 갖는 개인정보를 갱신할 개인정보로 선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단계 805에서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는 사용자에게 갱신할 개인정보에 대한 선택여부를 수신한다. 이는 갱신할 개인정보의 확인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갱신할 개인정보가 사용자의 현재 상황과 부합하는 경우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가 추천하는 개인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개인정보의 일치율 또는 경과율이 기준 수치(예: 임계 수치)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사용자에 대한 추천과 사용자의 확인없이 일치율 또는 경과율이 기준 수치 이상 또는 이하인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개인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가 추천한 개인정보를 선택하면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기존 개인정보를 갱신한다.(단계 806) 또한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 각각은 개인정보가 갱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단계 807)
단계 805에서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가 추천한 개인정보가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부합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추천된 개인정보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는 사용자로부터 갱신할 개인정보를 입력받은 후(단계 808) 입력한 개인정보로 복수의 서비스 제공 서버 각각의 개인정보를 갱신한다.(단계 806)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정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901에서 개인정보 수신부는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인정보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변경된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902에서 개인정보 수신부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개인정보와 사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개인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판단하며 동일한 경우 단계 901로 돌아가 다른 개인정보를 입력 받는다.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개인정보와 사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개인정보가 서로 다르면 사용자에게 기존 개인정보와 차이가 발생함을 통지하고 어떤 개인정보를 선택할 지 사용자에게 질의한다.(단계 903)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수정하는 경우 입력되는 주소가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주소와 다른 경우 개인정보 수신부는 도 11과 같이 주소가 충돌된다는 팝업창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기존정보를 유지할 것인지 새로운 정보를 입력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904에서는 단계 903에서 선택된 개인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저장소에 저장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갱신한다.
도 9에서는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9의 실시예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의 일치율에 기반하여 개인정보 추천 및 갱신부가 추천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거나 추천되는 개인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한 후 저장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정합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한국전력공사, 국민카드 및 쿠팡에서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김동수"에 대한 마이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의 마이데이터는 "김동수"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 5kw, 이름, 주소, 이메일 및 전화번호이며, 국민카드의 마이데이터는 "김동수"의 카드 사용액에 대한 청구액 110만원, 이름, 주소, 이메일 및 전화번호, 쿠팡의 마이데이터는 "김동수"의 주문내역 KF 95 마스크 대형 5개, 이름, 주소 및 이메일이다.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마이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국전력공사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2019.1.4 입력된"김동수"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국민카드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2019.5.1 입력된 "김동수"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쿠팡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2019.10.12 입력된 "김동수"의 이름, 주소 및 이메일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나 전화번호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예시에서는 경과율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공통되는 개인정보의 일치율은 그 다음으로 고려된다고 가정한다.
쿠팡의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개인정보가 가장 최근에 입력되었으므로 "김동수"의 주소는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 25"가 되고 "김동수"의 이메일 주소는 mydata@naver.com이 된다.
쿠팡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김동수"의 전화번호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한국전력공사와 국민카드의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갖고 있는 전화번호의 일치율이 계산되며 이 경우 일치율은 2/3*100=66.7% 가 되고 전화번호 "010-5678-8988"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다.
또한 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수집된 개인정보인 사용전력 5kw, 국민카드 사용액 110만원, 쿠팡 주문내역 KF 95 대형 마스크 대형 마스크가 "김동수"의 개인정보로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정합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현재 "이선영"에 대해 전화번호, 주소 및 이메일 주소등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선영"이 이메일 주소를 변경하여 자신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변경된 이메일 주소인 mysnplab@snplab.io를 입력하려고 하는 경우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는 yoursnplab@nsplab.io가 저장되어 있고 기존 이메일 주소와는 다르므로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인 "이선영" 에게 이메일 주소를 변경할 것인지 확인한다.
"이선영"이 이메일 주소 변경을 확인하면 변경된 이메일 주소 mysnplab@snplab.io가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에 저장되고 개인정보 관리 장치(100)는 한국전력공사, 국민카드 및 쿠팡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도 변경된 이메일 주소 mysnplab@snplab.io를 제공하여 각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변경된 이메일 주소로 갱신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로 하여금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개인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의 경과율 또는 일치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경과율 또는 일치율에 기반하여 갱신할 개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율은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의 경과시간에 기반하여 계산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와 전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신된 개인정보와의 일치되는 비율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할 개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결정된 개인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개인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단계;
    상기 수수료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실제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 내부에서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의 열람을 제공하며, 열람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맞춤정보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9.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로 하여금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개인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비교하고 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단계;
    상기 수수료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의 열람을 제공하며, 열람한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맞춤정보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실제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확인한 개인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





KR1020200073695A 2020-01-06 2020-06-17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2435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1595 2020-01-06
KR1020200001595 2020-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404A true KR20210088404A (ko) 2021-07-14
KR102435151B1 KR102435151B1 (ko) 2022-08-23

Family

ID=7613589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72A KR102257403B1 (ko) 2020-01-06 2020-02-28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73695A KR102435151B1 (ko) 2020-01-06 2020-06-17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20200125299A KR102439436B1 (ko) 2020-01-06 2020-09-26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KR1020210065843A KR102426884B1 (ko) 2020-01-06 2021-05-22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20108802A KR102641669B1 (ko) 2020-01-06 2022-08-30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72A KR102257403B1 (ko) 2020-01-06 2020-02-28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299A KR102439436B1 (ko) 2020-01-06 2020-09-26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KR1020210065843A KR102426884B1 (ko) 2020-01-06 2021-05-22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20108802A KR102641669B1 (ko) 2020-01-06 2022-08-30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01582B2 (ko)
EP (1) EP3931778B1 (ko)
JP (1) JP7290359B2 (ko)
KR (5) KR102257403B1 (ko)
CN (1) CN113077253A (ko)
WO (1) WO2021141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2984B2 (en) * 2020-12-10 2023-01-10 KnowBe4,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ssessment of security risk based on personal internet account data
KR20220168177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개인정보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WO2023039376A1 (en) * 2021-09-09 2023-03-16 Data Vault Holdings, Inc. Carbon credit tokenization
KR20230115620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소금광산 타겟 마케팅에 필요한 개인 정보의 열람 및 보상 시스템
KR102541464B1 (ko) 2022-03-28 2023-06-13 주식회사 소금광산 타겟 마케팅에 필요한 개인 데이터의 열람 및 열람에 대한 보상 방법 및 시스템
KR102533861B1 (ko) * 2022-09-27 2023-05-18 주식회사 윙크스톤파트너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긱워커 신용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JP7432974B1 (ja) 2023-09-05 2024-02-19 力 森 データ生成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8025A (ja) * 2001-03-26 2002-10-04 Hitach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個人情報登録・閲覧システム
JP2005018488A (ja) * 2003-06-26 200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顧客情報同期共有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00060130A (ko) 2008-11-27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정보 보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851A (ja) 2000-04-18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商取引仲介方法、商取引仲介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US6947897B2 (en) * 2001-02-13 2005-09-20 Capital One Financi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sumer information
JP2002334162A (ja) 2001-05-11 2002-11-22 Yoshitsugu Tsujita 本人及び事物情報管理システム
JP3998935B2 (ja) 2001-05-22 2007-10-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個人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3122878A (ja) * 2001-10-17 2003-04-25 Fujitsu Ltd 個人情報管理装置
AU2002354202A1 (en) * 2002-12-11 2004-06-30 Fujitsu Limited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system, mediation system, and terminal unit
JP2005128953A (ja) 2003-10-27 2005-05-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交換方法とこ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06218B2 (en) * 2005-03-18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CN101416198B (zh) * 2006-04-04 2010-09-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个人信息管理装置
US8583341B2 (en) * 2008-02-11 2013-11-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ethod for the open-loop and closed-loop control of traffic flow
JP5267027B2 (ja) 2008-10-03 2013-08-21 富士通株式会社 個人情報システム
US8745153B2 (en) 2009-02-09 2014-06-03 Apple Inc.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US20100306834A1 (en) 2009-05-19 2010-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curity and/or privacy settings
US20110152663A1 (en) * 2009-12-22 2011-06-23 Kabushiki Kaisha Toshiba Medical image diagnostic apparatus, medical image display devic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228336B1 (ko) 2011-04-01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행동패턴을 이용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US20130185206A1 (en) 2012-01-16 2013-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System for Approving Purchases Made with a Mobile Phone
WO2013188312A1 (en) 2012-06-11 2013-12-19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US20150379510A1 (en) * 2012-07-10 2015-12-31 Stanley Benjamin Smith Method and system to use a block chain infrastructure and Smart Contracts to monetize data transactions involving changes to data included into a data supply chain.
WO2014015305A1 (en) 2012-07-20 2014-01-23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Information targeting systems and methods
US10268775B2 (en) * 2012-09-17 2019-04-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d displaying private user information
US9405930B2 (en) 2013-03-12 2016-08-02 Jacqueline K. Vestevich User-controlled centralized privacy marketplace system
US10572684B2 (en) * 2013-11-01 2020-02-25 An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forcing centralized privacy controls in de-centralized systems
KR102172367B1 (ko) * 2014-01-20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20170B1 (ko) 2014-06-24 2016-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정보 유출 차단 장치 및 방법
US10904261B2 (en) * 2014-10-23 2021-01-26 Dele Atanda Intelligent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10686738B2 (en) * 2015-07-24 2020-06-16 Facebook, Inc. Providing personal assistant service via messaging
KR102131976B1 (ko) 2016-01-14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개인 정보 제공 방법
KR101719198B1 (ko) 2016-03-21 2017-03-23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이나 디바이스 내 개인정보 및 지불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CN109643300A (zh) 2016-08-05 2019-04-16 传感器有限公司 在提供产品和/或服务的应用程序中维护用户隐私的系统和方法
US10380359B2 (en) * 2016-08-05 2019-08-13 Sensoriant, Inc. Software-based switch for providing products and/or services to users without compromising their privacy
EP3510492A4 (en) * 2016-09-09 2020-04-08 Sensoriant, Inc. SOFTWARE-BASED SWITCH FOR PROVIDING PRODUCTS AND / OR SERVICES TO USERS WITHOUT INTERFERENCE TO YOUR PRIVACY
US10521604B2 (en) 2017-03-17 2019-12-31 Labyrinth Research Llc Unified control of privacy-impacting devices
WO2019032113A1 (en) * 2017-08-10 2019-02-14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BIOMETRIC VERIFICATION METHOD USING A CERTIFICATION TOKEN
US20190102850A1 (en) 2017-09-29 2019-04-04 David McMakin Wheeler Smart city commodity exchange with smart contracts
CN107911216B (zh) * 2017-10-26 2020-07-14 矩阵元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区块链交易隐私保护方法及系统
EP3477527A1 (en) 2017-10-31 2019-05-01 Twinpeek Privacy management
WO2019089044A1 (en) * 2017-11-03 2019-05-09 Visa International Service Corporation Secure identity and profiling system
KR20190082150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레이니스트 금융정보를 이용한 금융생활패턴 분석 방법 및 장치
US11544708B2 (en) * 2017-12-29 2023-01-03 Ebay Inc. User controlled storage and sharing of personal user information on a blockchain
WO2019146084A1 (ja) * 2018-01-26 2019-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システム
DE102018204447B4 (de) 2018-03-22 2019-12-19 Madana Ug (Haftungsbeschränkt) Automatisiertes Verfahren zum Schutz von elektronischen Daten zum Zwecke der Datenverarbeitung durch Dritte unter Einbezug transparenter und unterbrechungssicherer Vergütung
KR20190126652A (ko) 2018-05-02 2019-11-12 (주)스마트코인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서명을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CN110602023A (zh) * 2018-06-12 2019-12-2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个人信息安全管控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494004B1 (ja) 2018-06-18 2019-04-03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63274B1 (ko) 2018-06-22 2020-10-08 블록체인보안협동조합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CN109726595A (zh) * 2019-01-17 2019-05-07 杭州趣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信息共享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8025A (ja) * 2001-03-26 2002-10-04 Hitach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個人情報登録・閲覧システム
JP2005018488A (ja) * 2003-06-26 200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顧客情報同期共有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00060130A (ko) 2008-11-27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정보 보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884B1 (ko) 2022-07-29
KR102435151B1 (ko) 2022-08-23
KR20210088409A (ko) 2021-07-14
WO2021141235A1 (en) 2021-07-15
EP3931778A1 (en) 2022-01-05
JP7290359B2 (ja) 2023-06-13
KR102257403B1 (ko) 2021-05-27
KR20220124666A (ko) 2022-09-14
CN113077253A (zh) 2021-07-06
US11645417B2 (en) 2023-05-09
JP2022545049A (ja) 2022-10-25
KR20210110246A (ko) 2021-09-07
EP3931778A4 (en) 2022-12-07
US20210209245A1 (en) 2021-07-08
KR102641669B1 (ko) 2024-02-28
US20210390208A1 (en) 2021-12-16
US11301582B2 (en) 2022-04-12
EP3931778B1 (en) 2024-02-07
KR102439436B1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151B1 (ko)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방법
US10410016B1 (en) Cloud-based system for pro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in shared content
US8893297B2 (en) Personal data management system with sharing revocation
US20140143838A1 (en) Personal Data Management System With Global Data Store
US20100185871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secure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WO2019210391A1 (en) Privacy controls for network data communications
JP6810674B2 (ja) 契約管理支援装置および契約管理支援方法
US20200125247A1 (en) Dynamic credit report obfuscation
JP5287027B2 (ja) アンケート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それを用いたアンケート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
JP621618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参照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51115B2 (en) Information linkage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2467829B1 (ko) 손해사정사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9383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5616293B2 (ja) 情報流通システム及び情報流通制御方法
JP5160803B2 (ja) 法人用ポイント交換システム及び画面制御方法
JP2002366572A (ja) 個人情報管理方法、個人情報管理装置、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それ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202302743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legitimacy reports and customizing policies
JP4601227B2 (ja) 属性情報管理装置、属性情報利用装置および属性情報認証装置
KR20230044232A (ko) 바이러스 감염 위험도를 측정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시스템
JP2022042736A (ja) 顧客情報管理サーバ、顧客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ollect et al. Privacy policy
JP2021149718A (ja) 特典情報管理方法、特典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2128813A (ja) 事前入力システム、個人情報の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78558A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53791A (ja) 顧客情報管理サーバ、顧客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