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274B1 -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274B1
KR102163274B1 KR1020180072120A KR20180072120A KR102163274B1 KR 102163274 B1 KR102163274 B1 KR 102163274B1 KR 1020180072120 A KR1020180072120 A KR 1020180072120A KR 20180072120 A KR20180072120 A KR 20180072120A KR 102163274 B1 KR102163274 B1 KR 10216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server
user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61A (ko
Inventor
유도욱
Original Assignee
블록체인보안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록체인보안협동조합 filed Critical 블록체인보안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8007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2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은 하나의 개인정보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개인정보가 각각 저장되되,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복호화된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조합하여 인증 개인정보를 생성하는 인증서버,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개인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되,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요청을 받으면, 상기 인증서버로 사용자 본인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본인인증을 요청받으면,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 각각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송받은 상기 인증키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서버로 상기 인증개인정보 생성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 중 일부 블록체인 서버는 가상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using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개인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분산 저장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인인증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은 전통적으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본인인증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인증방식은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유출될 경우 정상적인 인증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본인인증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휴대폰 본인인증, 공인인증서를 통한 본인인증, OTP를 이용한 본인인증,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본인 인증 등이 있다.
하지만, 공인인증서 인증은 비교적 보안등급이 높은 인증 프로토콜이지만, 공인인증서를 안정적으로 휴대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 본인인증은 인증번호를 이용해 휴대폰의 점유를 인증하는 방식으로 스미싱 등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들 종래의 기술들은 민감한 정보인 주민등록번호, CI(Connecting Information), IPIN 등의 개인식별정보가 어떤 형태로든 네트워크상에서 전송되어야 하므로 해킹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한편, 가상화폐를 온라인 거래상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비트코인(Bitcoin)이 가장 대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필명의 일본인 프로그래머가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기존의 명목화폐(fiat currency)와는 달리 중앙권한이나 은행 없는 운영을 위해 P2P(peer-topeer)기술이 사용된다.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어 화폐를 임의로 생산 및 복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블록체인이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780636호가 개시된 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개인정보를 분산저장하여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은 하나의 개인정보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개인정보가 각각 저장되되,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복호화된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조합하여 인증 개인정보를 생성하는 인증서버,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개인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되,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요청을 받으면, 상기 인증서버로 사용자 본인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본인인증을 요청받으면,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 각각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송받은 상기 인증키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서버로 상기 인증개인정보 생성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 중 일부 블록체인 서버는 가상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분할 개인정보가 분할된 개수만큼 다수개의 그룹서버로 그룹핑되어 있으며, 동일한 그룹에 속한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는 동일한 상기 분할 개인정보 각각 저장되며,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각각의 그룹서버에서 랜덤으로 하나의 상기 블록체인 서버를 선택하여,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는, 가상화폐를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의 on/off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 되며,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각각의 그룹서버에서 랜덤으로 하나의 상기 블록체인 서버를 선택할 때, 상기 활성화된 블록체인 서버 중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는, 같은 그룹에 속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끼리 일정시간마다 동기화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은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개인정보를 분산하되, 각각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므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에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의 블록체인 서버가 그룹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은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100), 인증서버(200), 서비스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서버(100)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분할된 분할 개인정보(1)를 저장하되, 각각 다른 암호화방식으로 분할된 개인정보(1)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1)는 분할되어 각각 블록체인 서버(100)에 저장된다. 이때, 분할 개인정보(1)는 하나의 개인정보(1)가 분할되어 생성된 개인정보(1)를 말하며, 개인정보(1)는 서비스 서버(300)에 가입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핸드폰 번호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즉, 블록체인 서버(100)에는 하나의 개인정보(1)가 다수개로 분할되어 저장된다. 이때, 분할 개인정보(1)는 블록체인 서버(100) 마다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므로 해커가 개인정보(1)를 유출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100)에 분산된 개인정보(1)를 찾아 이를 조합하여야 한다. 하지만, 각각의 블록체인 서버(100)는 각기 다른 암호화 방식을 적용하여 분할 개인정보(1)를 보호하고 있으므로, 해커는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100)를 찾고,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된 분할 개인정보(1)를 각각 해독하고, 이를 조합하여야 하므로 개인정보(1)를 유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100)는 최소 수백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증서버(200)는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100)로부터 복호화된 분할 개인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분할 개인정보(1)를 조합하여 인증 개인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달하여 서비스 서버(300)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300)에 가입할 때, 사용자 식별을 위한 개인정보(1)를 서비스 서버(300)에 입력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300)는 개인정보(1)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1)를 인증서버(200)로 전달하고, 인증서버(200)는 개인정보(1)를 분할하여 분할 개인정보(1)를 생성 후 이를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100)에 분할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는 서버는 인증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 개인정보와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개인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개인정보와 인증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 개인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기(400)의 접속을 허용하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개인정보와 인증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 개인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가 서비스 서버(300)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3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온라인 상거래, 인터넷 뱅킹 등 본인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개인정보를 입력받으며, 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사용자가 접속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개인정보를 입력받으면, 서비스 서버(300)로 접속요청을 전송한다. 이는, 인증 개인정보로 사용자 단말기(400)의 접속을 허가하기 전,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300)에 입력된 개인정보(1)를 아는 타인이 서비스 서버(300)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접속요청을 전송받으면, 인증서버(200)로 사용자 본인인증을 요청하며, 인증서버(200)는 본인 인증을 요청받으면 인증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 및 서비스 서버(300)로 각각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본인 인증을 위해 개인정보(1)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인증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키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인증키를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기(400)와, 접속요청을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한 사용자 단말기(400)가 서로 상이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전달받은 인증키를 서비스 서버(300)로 접속요청을 전달한 사용자 단말기(400)에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인증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키와,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한 후, 일치하면 인증서버(200)로 인증 개인정보를 요청한다. 즉 인증키를 통해 1차적으로 사용자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1)를 알고 있는 타인이 서비스 서버(300)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100) 중, 일부 블록체인 서버(100)는 가상화폐를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400)이다. 즉,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100)를 확보하기 위해 가상화폐를 보유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400)를 블록체인 서버(100)로 사용한다. 이를 위해, 가상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단말기(400)에는 인증서버(200)와 통신하며, 분할 개인정보(1)를 암호화 및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또한, 이때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상화폐는 사용자가 개인정보(1) 보호를 위해 지불할 수 있는 화폐로,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300)에 가입 시, 상기 가상화폐를 서비스 서버(300)에 지불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개인정가 블록체인 서버(100)에 분할되어 저장되며, 개인정보(1)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화폐를 지불받으면, 이를 다시 인증서버(200)에 지불하여 개인정보(1)가 분할되어 보호되도록 한다.
한편, 가상화폐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화폐 서버는 사용자에게 가상화폐를 판매하고, 인증서버(200)가 지불받은 가상화폐를 관리한다. 또한 가상화폐는 개인정보(1)와 동일하게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블록체인 서버(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그룹서버(110)로 그룹핑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의 블록체인 서버(100)가 그룹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100)는 1그룹부터 n그룹까지 다수개의 그룹서버(110)로 그룹핑되어 있다. 이때,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100)는 동일한 분할개인정보(1)가 저장된다. 한편, 개인정보(1)도 그룹서버(110)와 동일한 개수로 n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인증서버(200)는 분할 개인정보(1)를 전송받을 때, 각각의 그룹서버(110)에서 랜덤으로 하나의 블록체인 서버(100)를 선택하여 분할 개인정보(1)를 전송받고, 이들을 조합하여 인증 개인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해커가 블록체인 서버(100)를 모두 찾아내어도, 블록체인 서버(100)는 그룹핑되어 있으므로 이들로부터 분할 개인정보(1)를 모두 찾아내어 조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개인정보(1)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100) 중, 일부는 가상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단말기(400)이므로, 사용자 단말기(400)의 on/off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인증서버(200)는 그룹서버(110)에서 분할 개인정보(1)를 전송받을 때, 활성화된 블록체인 서버(100) 중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분할 개인정보(1)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100)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일정시간마다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록체인 서버(100)가 비활성화된 동안 저장되는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그룹서버(110)에 속한 블록체인 서버(100)는 모두 동일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개인정보(1)가 분할되되,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100)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100)는 그룹화되어 있으므로 개인정보(1)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블록체인을 방식을 통해 보호되는 정보는 탈취 및 변조가 불가능하다고 발표되고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은 개인정보(1)의 유출이 절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분할 개인정보
100: 블록체인 서버
110: 그룹서버
200: 인증서버
300: 서비스 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3)

  1. 하나의 개인정보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개인정보가 각각 저장되되,
    상기 분할 개인정보가 분할된 개수만큼 다수개의 서버로 그룹핑 되어 있으며, 동일한 그룹에는 동일한 상기 분할 개인정보가 각각 저장되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다수의 블록 체인 서버;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복호화된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조합하여 인증 개인정보를 생성하는 인증서버;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개인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되,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요청을 받으면, 상기 인증서버로 사용자 본인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본인인증을 요청받으면,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 각각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송받은 상기 인증키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서버로 상기 인증 개인정보 생성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 중 일부 블록체인 서버는 가상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단말기이며,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분할 개인정보가 분할된 개수만큼 다수개의 그룹서버로 그룹핑되어 있으며, 동일한 그룹에 속한 상기 다수의 블록체인 서버는 동일한 상기 분할 개인정보 각각 저장되며,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각각의 그룹서버에서 랜덤으로 하나의 상기 블록체인 서버를 선택하여, 상기 분할 개인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인증 개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블록체인 서버는, 같은 그룹에 속한 상기 블록체인 서버끼리 일정시간마다 동기화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시스템.
KR1020180072120A 2018-06-22 2018-06-22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KR10216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20A KR102163274B1 (ko) 2018-06-22 2018-06-22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20A KR102163274B1 (ko) 2018-06-22 2018-06-22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61A KR20200000161A (ko) 2020-01-02
KR102163274B1 true KR102163274B1 (ko) 2020-10-08

Family

ID=6915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120A KR102163274B1 (ko) 2018-06-22 2018-06-22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403B1 (ko) * 2020-01-06 2021-05-27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400455B1 (ko) * 2020-04-13 2022-05-2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분산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개인키 백업 및 복원 프레임워크
KR102495724B1 (ko) * 2020-08-12 2023-02-02 두나무 주식회사 비정상 트랜잭션 요청의 발생 위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93830A (ko)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블로코 블록체인을 위한 데이터 관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260B1 (ko) 2015-12-14 2016-11-2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KR101720268B1 (ko)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US20170308872A1 (en) 2015-04-20 2017-10-26 Coinplug Inc. Digital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block chain between concerned parties
KR101812969B1 (ko) 2017-11-06 2018-01-31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인체정보를 이용한 보안 및 해킹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KR101837168B1 (ko) 2017-04-18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08872A1 (en) 2015-04-20 2017-10-26 Coinplug Inc. Digital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block chain between concerned parties
KR101720268B1 (ko)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KR101680260B1 (ko) 2015-12-14 2016-11-2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KR101837168B1 (ko) 2017-04-18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12969B1 (ko) 2017-11-06 2018-01-31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인체정보를 이용한 보안 및 해킹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61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747B1 (ko)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인증서비스 제공방법
US113613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onal distributed ledger
KR102163274B1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KR20190075793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일회성 접근 권한 부여 시스템
KR102177848B1 (ko) 액세스 요청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6537432A (zh) 对存储加密货币的钱包进行安全访问的方法及装置
KR20210040078A (ko) 안전한 보관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1326632A (ja) 分散グループ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501176A (ja) プライバシーを保護する情報配布システム
KR20200118303A (ko) 월렛 앱이 설치된 소유 디바이스 및/또는 블록체인 노드에 키를 분산 저장하는 비밀 키 보안 방법
KR101923943B1 (ko)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GB2527189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enerating transaction-signing one-time password
EP3867849B1 (en) Secure digital wallet processing system
EP3395004B1 (en) A method for encrypting data and a method for decrypting data
US202002596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managing keys for signing transactions using key of cluster managed in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JP2023535013A (ja) 量子安全支払いシステム
CN108810017A (zh) 业务处理安全验证方法及装置
KR20190132159A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90132052A (ko)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KR20190132054A (ko)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JP2010231404A (ja) 秘密情報管理システム、秘密情報管理方法、および秘密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190132160A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WO20200762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access
JP2007110175A (ja) 管理サービス装置、バックアップサービス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記憶媒体
TW202101267A (zh) 帳戶資料處理方法及帳戶資料處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