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669B1 -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 Google Patents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669B1
KR102641669B1 KR1020220108802A KR20220108802A KR102641669B1 KR 102641669 B1 KR102641669 B1 KR 102641669B1 KR 1020220108802 A KR1020220108802 A KR 1020220108802A KR 20220108802 A KR20220108802 A KR 20220108802A KR 102641669 B1 KR102641669 B1 KR 10264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nancial data
leading indicator
user
pers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666A (ko
Inventor
이재영
성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Publication of KR2022012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06F21/6254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by anonymising data, e.g. decorrelating personal data from the owner's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3Multi-level security, e.g. mandatory access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개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기초로 미래에 일어날 사건을 알려주는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선행지표가 알려주는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개인 단말기가 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추천정보를 보다 시의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a recommend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leading indicator prediction and a computer readable non-transitory medium therefor}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한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해 필요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컴퓨터 코드가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를 보여준다.
PC, 스마트폰 등 정보기기 사용자는 탑재된 인터넷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보의 홍수로 인해 개인이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시간만 허비하고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아내기 위한 수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령, 인터넷에 남겨진 사용자의 흔적(검색어, 구매이력 등)을 모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상품을 추천하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인터넷 사이트에 방문했는지, 어떤 상품을 선택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선호도를 추정하여 개인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거나 개인 맞춤형 광고를 내보낸다.
하지만 인터넷에 누적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시의적절한 추천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목적을 달성하거나 이미 상황이 바뀌어 쓸모없게 된 정보까지 누적되어 때로는 추천이 도움을 주기는 커녕 오히려 사용자를 성가시게 하여 짜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선택 패턴에만 의존하는 추천은 과거가 앞으로도 반복된다는 전제 하에 효과가 있을 뿐 사용자의 미래에 대한 선제적인 추천은 하기 어렵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1592호 (2012. 10.10 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시의적절하게 선제적으로 추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는 개인 맞춤형 상품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개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개인정보를 기초로 미래에 일어날 사건을 알려주는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선행지표가 알려주는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갖는 휴대용 개인 단말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개인정보와, 상기 개인정보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선행지표를 예측하거나, 포터블 개인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금융데이터가 유효한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선행지표를 예측하거나, 개인정보를 기초로 제1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제1 선행지표와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제2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개인정보로서 금융데이터를 포함하고, 금융데이터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시의적절하게 선제적으로 추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는 개인 맞춤형 상품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품질 및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개인정보의 유효기간 개념을 도입하고 그 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필터링해냄으로써 더 이상 유효하지 않거나 의미없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행지표를 예측함에 있어서 그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선행지표를 예측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하여 휴대용 개인 단말기에서 실행하고 휴대용 개인 단말기를 통해 추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진다. 더욱이, 휴대용 개인 단말기를 통해 개인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행지표를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추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관리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사용자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추천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추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추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에 설치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과 추천 서버(3)간의 대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에 설치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과 추천 서버(3)간의 대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오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추천 시스템은 네트워크(2)를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개인정보 단말기(1)와 추천 서버(3)를 포함한다. 네트워크(2)는 Wifi, Blutooth, LAN 등과 같은 근거리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 WAN 등과 같은 원거리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망라한다.
일 실시예에서 추천 서버(3)는 사용자에 대한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적절한 시점에 개인정보 단말기(1)로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추천 서버(3)는 개인정보 단말기(1)로부터 예측된 선행지표를 전달받고 이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개인정보 단말기(1)로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추천 서버(3)는 미리 다양한 추천정보를 개인정보 단말기(1)로 전송하여 필요시 개인정보 단말기(1)로 하여금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곧바로 추출하거나 가공할 수 있게 한다.
선행지표는 사용자에게 앞으로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 사건(이벤트)에 대한 정보로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예측된다. 일 실시예에서 선행지표는 금융데이터와 비금융데이터의 조합을 기초로 예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타 개인정보에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검색데이터를 결합시켜 이를 기초로 보다 정교하게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검색데이터 또한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포함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타 개인정보와 별개로 특정하여 선행지표 예측에 사용된다. 선행지표 예측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개인정보 단말기(1)는 다양한 유무선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HMD(Head Mounted Display), 유무선 방송수신기(예: 스마트 TV), A/V(Audio/Video) 시스템, 디지털 사이니지, 등을 포함한다. 특히, 개인정보 단말기(1)가 휴대용 전자 장치 -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 로 구현되면 실시간성이 확보되고 편리함이 더욱 증대되며 프라이버시가 보다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정보 단말기(1)는 프로세서(10), 디스플레이(20), 센서부(30), 통신부(40), 및 저장부(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금융데이터, 구매데이터, 검색데이터, 직업정보 등)를 추천 서버(3)로 제공하고, 추천 서버(3)로부터 수신된 맞춤 추천정보가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혹은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금융데이터 등)를 기초로 선행지표를 예측해서 추천 서버(3)로 전달하고, 전달된 선행지표에 상응하는 맞춤 추천정보를 추천 서버(3)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맞춤 추천정보가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는 미리 다양한 추천정보를 추천 서버(3)로부터 전달받아 저장부(50)에 저장해두고, 저장부(50)에 저장된 추천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금융데이터 등)를 기초로 예측된 선행지표에 해당하는 맞춤 추천정보를 추출한 다음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추천 서버(3)는 개인정보 단말기(1)로 맞춤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붙여진 이름일 뿐, 그 밖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추천 서버(3)는 예측된 선행지표에 기초한 맞춤 추천기능을 활용하여 보다 선제적이고 고객지향적인 다양한 서비스 사업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 시스템의 일부로서 운영될 수 있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커머스, 금융, 보험, 등 온라인으로 제공가능한 모든 서비스를 망라한다. 또한 추천 서버(3)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네트워크에 분산된 다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로 구현가능함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0)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20), 센서부(30), 통신부(40), 및/또는 저장부(50)를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프로그램 코드는 운영체제, 미들웨어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메인프로세서(예: 중앙처리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프로세서(예: 그래픽처리장치,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프로세서는 메인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의 일부 기능은 분리되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인정보 단말기(50)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 센서부(30), 통신부(40) 및/또는 저장부(5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하는 기능의 일부가 디스플레이(20)에 마련된 제어회로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구현 방식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망라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개인정보 단말기(1)의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통해 개인정보 및/또는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는 등 터치 인터렉션을 지원하도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20)는 터치 감지(터치에 의한 압력의 변화 포함)를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개인정보, 검색어 등을 입력함에 있어서 개인정보 단말기(1)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입출력 구성요소(키보드, 버튼, 마우스, 전자펜, 스피커, 마이크 등)를 터치 인터렉션과 독립적으로 혹은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부(30)는 개인정보 단말기(1)의 동작 상태(전력, 온도 등), 또는 외부의 환경(터치, 압력, 조도, 사용자 상태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데이터값을 생성한다. 센서부(30)는 예를 들면, 이미지센서, 터치센서, 제스처센서, 사운드센서, 자이로센서, 기압센서, 마그네틱센서, 가속도센서, 그립센서, 근접센서, 컬러센서, IR센서, 생체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맞춤형 추천정보가 도착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등 정보 입력, 열람, 알림 등 사용자 인터렉션과 관련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저장부(5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물론 개인정보 단말기(1)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 센서부(30) 및/또는 통신부(40)에 의해 생성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50)는 개인정보 단말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개인정보는 마이데이터(MyData)로서 네트워크(2)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읽어들여지며, 사용자는 나머지 개인정보만 입력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먼저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마이데이터(MyData)를 읽어들여와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저장부(50)는 개인정보 및/또는 선행지표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50)는 금융데이터, 구매데이터, 직업정보, 검색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금융데이터는 사용자의 금융기관 등과의 거래행위로 인해 발생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급여계좌의 잔액정보, 카드결제내역 등을 포함한다. 구매데이터는 비금융데이터로서 구매금액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행지표는 금융데이터 및 비금융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된 확률을 기초로 추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행지표는 금융데이터 및 비금융데이터에 더하여 사용자의 검색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된 확률을 기초로 예측된다. 예를 들어, 금융데이터 및 비금융데이터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로서 의미가 있는 유효기간 이내에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더하여 선행지표를 예측함으로써 선행지표의 예측 정확도(히트율)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금융데이터 및/또는 비금융데이터의 유효기간이란 그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유효하고 의미있는 기간으로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데이터로서 급여계좌의 잔액정보가 특정기간에 감소하는 경우'급여계좌 잔액정보 감소'라는 금융데이터에 대한 유효기간은 그 잔액정보가 감소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감소란 수학적으로 절대적인 감소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다소의 증감이 있더라도 특정기간을 기준으로 보아'감소'로 판단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비금융데이터(구매데이터 등)로서 쇼핑금액은 카드결제일을 기준으로 결제가 완료된 경우 제로가 되고 결제주기를 기준으로 새롭게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쇼핑금액의 유효기간이란 결제가 완료되기 이전을 의미한다. 쇼핑금액은 미결제금액 또는 다음 결제일에 결제해야 할 총금액으로 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유효기간은 예를 들면 오는 결제일 이전 또는 오는 결제일 일주일 이전까지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추천 서버(3)는 사용자의 금융데이터, 구매데이터(비금융데이터), 검색데이터 등을 인터넷 등으로부터 수집한 다음 추천 서버(3)의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거나 개인정보 단말기(1)의 저장부(50)로 전달한다. 나아가, 추천 서버(3)는 수집된 금융데이터, 구매데이터, 검색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금융데이터 및 구매데이터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반으로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대응하는 맞춤형 추천정보를 개인정보 단말기(1)로 전송한다.
선행지표 예측이 개인정보 단말기(1)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저장부(50)에는 이를 위한 선행지표 예측 알고리즘이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고 저장되어 필요시 프로세서(10)에 의해 실행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선행지표 예측이 추천 서버(3)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추천 서버(3)의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는 이를 위한 선행지표 예측 알고리즘이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저장되어 필요시 추천 서버(3)의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행된다.
도 3은 도 1의 추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인정보 단말기(1)는 추천 어플리케이션(100) 및 개인정보 저장소(200)를 포함한다.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도 1의 저장부(50)에 저장되며, 프로세서(10)에 의해 실행된다. 개인정보 저장소(200)는 물리적으로는 도 1의 저장부(50)에 위치하며 역할면에서 저장부(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지만, 추천 어플리케이션(100)과 관련된 동작 설명을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관점에서 별개로 관념되고 이름 붙여졌다. 개인정보 저장소(200)는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일 수도 있고, 개인정보 단말기(1)의 다른 프로그램 코드와 공유할 수 있는 저장공간일 수도 있다.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개인정보 단말기(1)에 처음부터 설치되어 있는 네이티브 앱일 수도 있고, 개인정보 단말기(1)의 사용자가 설치할 수도 있다. 설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으나, 통상 앱스토어 등에서 네트워크(2)를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된다.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양한 버전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제조업자가 상이한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되면 상응하는 앱 아이콘이 디스플레이(20)에 각각 표시되고 사용자는 앱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의 설치 및 실행은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 맞춤형 추천에 주목하여 붙여진 이름일 뿐 다른 기능의 수행을 배제하지 않는다.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기능 등 다양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어플리케이션이라는 단어가 암시하듯이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운영체제 및/또는 미들웨어의 일부로서 구현되거나 운영체제 및/또는 미들웨어와 상호 인터렉션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거나 협업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프로그램 집합체로서 구현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하드웨어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개인정보에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된 식별정보(예: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 곧바로 개인을 특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결합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개인을 수 있는 준식별정보(예: 생년월일, 나이, 주소, 지역 등), 및/또는 개인의 성향이나 특성 등 프라이버시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예: 취미, 앱/Youtube사용이력, 연소득, 쇼핑정보, 직업 등)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속성정보는 금융데이터 및 비금융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금융데이터로는 급여계좌 잔액정보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비금융데이터로는 신용카드 구매액정보, 검색어, 직업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데이터 또한 개인정보로서 속성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선행지표 예측에서는 금융데이터 및 비금융데이터에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결합하거나, 금융데이터 및/또는 비금융데이터의 유효기간 내에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결합하고 그 결합에 기초하여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검색데이터가 별개로 언급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별개로 언급되고 취급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선행지표 예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데이터베이스 관리 관점에서는 속성정보로서 분류되어 다른 속성정보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개인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한다. 선행지표는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직접 예측할 수도 있고,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전달해준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서버(3)에 의해 예측될 수도 있다.
선행지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현재 도래하지 않은 일정 시점 이후의 미래에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 특정 사건(이벤트) 정보로서, 일 실시예에서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시점은 사용자에게 실제로 그 일이 일어난 이후 또는 실제로 그 일이 일어난 이후 사용자가 그에 대응하여 필요한 상품, 서비스, 정보를 찾을 때 비로소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 그 일이 일어나기 이전 또는 사용자가 그 정보를 찾기 이전에 선제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선행지표에 의해'카드결제 연체'가 예측된 경우 실제로'카드결제 연체'가 일어나기 이전에'마이너스통장 개설'을 추천한다.
한편, 실제 선행지표에 의해 예측된 일이 일어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는 보다 정교한 선행지표 예측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를 기초로 제1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와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제2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가령, 제1 선행지표로서 '카드결제 연체'가 예측되었으며, 그 이후 실제 카드결제 연체가 일어나기 이전에 사용자 검색어로서 '금리'가 입력되었다면 제2 선행지표로서 '카드결제 연체'가 동일하게 예측되더라도 그 확신도(정확도, 히트율)가 높아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추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다만 도 3의 개인정보 단말기(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단말기(1)는 정보검색 어플리케이션(30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정보검색 어플리케이션(300)은 웹브라우저, 검색엔진 등으로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서,'마이너스통장 개설'이라는 추천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노티스는 추천정보와 연동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정보검색 어플리케이션(300)을 실행하는 경우 그 실행화면에 추천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노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행화면에 오버랩되는 별개의 아이콘 등을 사용하여 노티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천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노티스는 정보검색 어플리케이션(300) 및/또는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실행되기 이전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의 아이콘 자체 또는 그 주변에 노티스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별개의 아이콘 등을 사용하여 노티스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실행되었을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노티스를 띄우는 방식도 가능하다.
노티스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더 상세한 추천정보가 제공되거나 추천정보가 권유한 특정 액션을 수행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선행지표 예측이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에는 이를 위한 선행지표 예측 알고리즘이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포함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선행지표 예측 알고리즘은 필요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과 연동되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경우 예측된 선행지표는 일 실시예에서 추천 서버(3)로 전달된다. 추천 서버(3)는 전달받은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선행지표를 예측하더라도 예측된 선행지표를 추천 서버(3)로 전달하지 않는다. 대신,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추천 서버(3)로부터 미리 다양한 추천정보를 받아 두거나, 추천에 관련된 정보를 미리 받아두고 이로부터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추출하거나 가공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선행지표 예측이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아닌 추천 서버(3)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추천 서버(3)의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는 이를 위한 선행지표 예측 알고리즘이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저장되어 필요시 추천 서버(3)의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행된다. 추천 서버(3)는 예측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전달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 즉 금융데이터, 비금융데이터를 기초로 예측된 선행지표와 이에 부합하는 추천정보의 예를 보여준다. 가령, 금융데이터로서 급여계좌의 잔액이 감소하고 비금융데이터로서 구매데이터 금액이 증가하면 예측되는 선행지표는'신용카드 연체'가 될 수 있다. 추천정보는 '마이너스통장 개설'이 된다. 또한,적금 만기일이 다가오고 급여계좌의 잔액이 증가하며 영문잔고증명서를 발급 받았으며, 영어시험(TOFEL,IELTS 등)에 응시하고 해외호텔을 예약하는 경우 예측되는 선행지표는 '유학','해외여행'이 되고 추천정보는 '환전서비스', '여행자보험', '유학생보험'이 된다. 공과금 이체일이 불규칙하고 출퇴근 시간이 불규칙하고 업무시간이 늘어날 경우 예측되는 선행지표는 '공과금 납부지연'이 되고 추천정보는 '공과금 자동납부 서비스'가 된다. 급여예금 증가하고 소비성향을 분석한 결과 소비성향이 높지 않은 경우 예측되는 선행지표는 '신용등급 상승'이 되고 추천정보는 '우대금리 적용'이 될 수 있다. 또한, 급여계좌의 잔액이 증가하고 개인성향을 분석한 결과 금융상품에 관심이 있으며 가족정보를 분석한 결과 필요한 자금소비가 낮은 경우 예측되는 선행지표는 '금융투자'가 되며 추천정보는'펀드 신규가입'이 된다. 나아가, 적금만기일이 다가오고 오래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으며 자동차 소모품 구매가 이어질 때 예측되는 선행지표는 '자동차 구매'가 되며 추천정보는 '적금예금 우대상품 추천'이 될 수 있다.
도 6은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U의 지난 6개월간 월별 급여계좌 잔액, 신용카드 구매데이터, 카드대금 연체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카드대금 결제일이 매달 5일이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 U의 7월 27일자 급여계좌 잔액을 B, 신용카드 구매금액을 S라고 할 때 앞으로 올 미래, 즉 다음달 카드 결제일(8월 5일)에 연체가 일어날 확률 P를 구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위 수식에서 각 항목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 P(H) - 카드대금 연체 확률
· P(E|H) - 카드대금 연체가 발생했을 때 급여계좌 잔액과 신용카드 구매 금액이 각각 B, S일 가능성
· P(E) - 급여계좌 잔액과 신용카드 구매 금액이 각각 B, S일 가능성
· P(H|E) - 급여계좌 잔액과 신용카드 구매 금액이 각각 B, S일때 카드 연체가 발생할 확률
여기서, 8월 5일 카드 결제일에 연체가 일어날 확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다음 세 항목의 값을 구한다.
· P(H) - 사용자의 지난 6개월 동안의 카드 연체 이력으로부터 구함
· P(E|H) - 사용자의 지난 6개월 동안의 카드 연체 이력, 카드 연체가 발생한 시점의 급여계좌 잔액과 신용카드 구매 금액으로부터 구함
· P(E) - 사용자의 지난 6개월 동안의 급여계좌 잔액과 신용카드 구매 금액으로부터 구함
위에서 급여계좌 잔액과 신용카드 구매 금액을 서로 독립인 사건 A, B로 간주하면 아래와 같이 수식을 전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은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기존의 지식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예측하고자 할 때 효과적이며, 사용자의 이력 데이터(개인정보)가 충분하지 않을 때에도 잘 동작하는 편이며, 이력 데이터(개인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사전 지식(동일 그룹의 평균값 등)을 적용할 수 있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앞서 도 2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선행지표 예측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포함되거나 선행지표 예측 프로그램과 연동될 수 있다. 즉,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의 일부로서, 또는 추천 서버(3)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 즉 금융데이터, 구매데이터, 검색데이터, 직업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선행지표와 이에 부합하는 추천정보의 예를 보여준다. 가령, 급여계좌의 잔액이 감소하고 구매금액이 증가하여 구매금액이 급여계좌의 잔액을 초과하고, 사용자가 '금리'를 검색하면, 예측되는 선행지표는'카드 연체'가 될 수 있다. 추천정보는 직업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가령 공무원일 경우'E-채움공무원 가계자금'이라는 금융상품이, 군인일 경우 'NHe군인 대출'이, 직장인일 경우 '올원 마이너스 대출'이 추천된다. 동시에 마케팅 도구로서 공무원인 경우는 상황에 대한 유연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상담사 연결'이, 군인과 직장인의 경우에는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에 설치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의 대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선행지표를 예측하고(801),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도록 한다(802).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에 설치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과 추천 서버(3)간의 대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개인정보(금융데이터, 비금융데이터)를 수집하고(901), 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선행지표를 예측한다(902).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추천 서버(3)가 개인정보(금융데이터, 비금융데이터)를 수집하고(901'), 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902'). 일 실시예에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예측된 선행지표를 추천 서버(3)로 전달하고, 추천 서버(3)는 선행지표에 대응하는 맞춤형 추천정보를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한다(903).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전달받은 추천정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도록 한다(904).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단말기(1)에 설치된 추천 어플리케이션(100)과 추천 서버(3)간의 대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개인정보(금융데이터, 비금융데이터)를 수집하고(1001), 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선행지표를 예측한다(1002).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추천 서버(3)는 추천정보를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1003'). 추천정보 제공 시점은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선행지표 예측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수집하기 이전, 이후, 선행지표를 예측하기 이전에도 가능하다. 추천정보(DB형태로 구현)가 선행지표와 추천정보 아이템이 대응된 테이블 형태로 구성되고, 특정 사용자에 대한 선행지표가 예측되면 추천정보 DB를 기초로 해당 추천정보 아이템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맞춤형 추천정보를 생성한다면 추천 서버(3)가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시점이 언제가 되더라도 예측된 선행지표의 사건이 일어나기 이전이라면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추천 서버(3)는 추천정보 DB 전체를 보내는 대신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이 개인정보를 바탕으로(1001) 예측한 선행지표를(1002) 추천 서버(3)로 전달한 이후에 선행지표에 상응하는 맞춤 추천정보를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1003). 추천 어플리케이션(100)은 전달받은 추천정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도록 한다(1004).
앞서 설명한 것처럼 추천정보는 추천 서버(3)로부터 미리 받아놓은 정보로부터 추출하거나 가공할 수도 있고, 예측된 선행정보를 추천 서버(3)로 전달한 다음 추천 서버(3)로부터 추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개인 단말기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개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개인정보를 기초로 미래에 일어날 사건을 알려주는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선행지표가 알려주는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는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포터블 개인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금융데이터가 유효한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는 개인정보를 기초로 제1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제1 선행지표와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제2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개인정보를 기초로 제1 선행지표를 예측하고, 예측된 제1 선행지표와, 개인정보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제2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추천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휴대용 전자 장치로 하여금 추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추천 방법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미래에 일어날 사건을 알려주는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선행지표가 알려주는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기 이전에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는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금융데이터가 유효한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선행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는 개인정보를 기초로 제1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제1 선행지표와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제2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는 제1 선행지표와, 개인정보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기초로 제2 선행지표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미래에 일어날 선행사건을 알려주는 선행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금융기관 사이의 거래와 연관된 금융데이터 및 상기 금융데이터가 아닌 비금융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금융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건 및 상기 비금융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하고,
    선행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선행사건이 일어났을 때 상기 금융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건 및 상기 비금융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하고,
    계산된 확률들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건 및 상기 비금융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상기 선행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금융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건 및 상기 비금융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상기 선행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선행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인정보의 유효기간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검색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선행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금융데이터가 유효한 유효기간 내에 입력된 사용자 검색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선행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선행지표에 부합하는 추천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지표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일어날 선행사건에 대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천 정보가 상기 선행사건이 발생하는 미래의 특정 시점 이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삭제
KR1020220108802A 2020-01-06 2022-08-30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KR102641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595 2020-01-06
KR20200001595 2020-01-06
KR1020200125299A KR102439436B1 (ko) 2020-01-06 2020-09-26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299A Division KR102439436B1 (ko) 2020-01-06 2020-09-26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666A KR20220124666A (ko) 2022-09-14
KR102641669B1 true KR102641669B1 (ko) 2024-02-28

Family

ID=7613589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72A KR102257403B1 (ko) 2020-01-06 2020-02-28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73695A KR102435151B1 (ko) 2020-01-06 2020-06-17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20200125299A KR102439436B1 (ko) 2020-01-06 2020-09-26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KR1020210065843A KR102426884B1 (ko) 2020-01-06 2021-05-22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20108802A KR102641669B1 (ko) 2020-01-06 2022-08-30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72A KR102257403B1 (ko) 2020-01-06 2020-02-28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73695A KR102435151B1 (ko) 2020-01-06 2020-06-17 개인정보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20200125299A KR102439436B1 (ko) 2020-01-06 2020-09-26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KR1020210065843A KR102426884B1 (ko) 2020-01-06 2021-05-22 개인정보 관리 장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그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01582B2 (ko)
EP (1) EP3931778B1 (ko)
JP (1) JP7290359B2 (ko)
KR (5) KR102257403B1 (ko)
CN (1) CN113077253A (ko)
WO (1) WO2021141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2984B2 (en) * 2020-12-10 2023-01-10 KnowBe4,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ssessment of security risk based on personal internet account data
KR20220168177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에스앤피랩 개인정보 관리 서버 및 이의 작동 방법
WO2023039376A1 (en) * 2021-09-09 2023-03-16 Data Vault Holdings, Inc. Carbon credit tokenization
KR20230115620A (ko)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소금광산 타겟 마케팅에 필요한 개인 정보의 열람 및 보상 시스템
KR102541464B1 (ko) 2022-03-28 2023-06-13 주식회사 소금광산 타겟 마케팅에 필요한 개인 데이터의 열람 및 열람에 대한 보상 방법 및 시스템
KR102533861B1 (ko) * 2022-09-27 2023-05-18 주식회사 윙크스톤파트너스 인공지능을 이용한 긱워커 신용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JP7432974B1 (ja) 2023-09-05 2024-02-19 力 森 データ生成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084A1 (ja) * 2018-01-26 2019-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851A (ja) 2000-04-18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商取引仲介方法、商取引仲介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US6947897B2 (en) * 2001-02-13 2005-09-20 Capital One Financi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sumer information
JP2002288025A (ja) 2001-03-26 2002-10-04 Hitach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個人情報登録・閲覧システム
JP2002334162A (ja) 2001-05-11 2002-11-22 Yoshitsugu Tsujita 本人及び事物情報管理システム
JP3998935B2 (ja) 2001-05-22 2007-10-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個人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3122878A (ja) * 2001-10-17 2003-04-25 Fujitsu Ltd 個人情報管理装置
EP1574978A4 (en) * 2002-12-11 2008-09-17 Fujitsu Ltd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SYSTEM, MEDIATION SYSTEM AND TERMINAL
JP2005018488A (ja) 2003-06-26 200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顧客情報同期共有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5128953A (ja) 2003-10-27 2005-05-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交換方法とこ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06218B2 (en) * 2005-03-18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CN101416198B (zh) * 2006-04-04 2010-09-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个人信息管理装置
WO2009101114A1 (de) * 2008-02-11 2009-08-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automatischen steuerung und regelung eines fahrzeugs
JP5267027B2 (ja) * 2008-10-03 2013-08-21 富士通株式会社 個人情報システム
KR20100060130A (ko) * 2008-11-27 2010-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정보 보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8745153B2 (en) * 2009-02-09 2014-06-03 Apple Inc.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US20100306834A1 (en) 2009-05-19 2010-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curity and/or privacy settings
US20110152663A1 (en) * 2009-12-22 2011-06-23 Kabushiki Kaisha Toshiba Medical image diagnostic apparatus, medical image display devic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228336B1 (ko) 2011-04-01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행동패턴을 이용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US20130185206A1 (en) 2012-01-16 2013-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System for Approving Purchases Made with a Mobile Phone
CN104603813A (zh) 2012-06-11 2015-05-06 英特托拉斯技术公司 数据收集和分析的系统和方法
US20150379510A1 (en) * 2012-07-10 2015-12-31 Stanley Benjamin Smith Method and system to use a block chain infrastructure and Smart Contracts to monetize data transactions involving changes to data included into a data supply chain.
AU2013292323B2 (en) 2012-07-20 2017-02-02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Information targeting systems and methods
US10268775B2 (en) * 2012-09-17 2019-04-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d displaying private user information
US9405930B2 (en) * 2013-03-12 2016-08-02 Jacqueline K. Vestevich User-controlled centralized privacy marketplace system
US10572684B2 (en) * 2013-11-01 2020-02-25 An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forcing centralized privacy controls in de-centralized systems
KR102172367B1 (ko) * 2014-01-20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20170B1 (ko) 2014-06-24 2016-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정보 유출 차단 장치 및 방법
US10904261B2 (en) * 2014-10-23 2021-01-26 Dele Atanda Intelligent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10686738B2 (en) * 2015-07-24 2020-06-16 Facebook, Inc. Providing personal assistant service via messaging
KR102131976B1 (ko) 2016-01-14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개인 정보 제공 방법
KR101719198B1 (ko) 2016-03-21 2017-03-23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이나 디바이스 내 개인정보 및 지불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US10380359B2 (en) * 2016-08-05 2019-08-13 Sensoriant, Inc. Software-based switch for providing products and/or services to users without compromising their privacy
JP2019531532A (ja) 2016-08-05 2019-10-31 センソリア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製品および/またはサービスを提供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いてユーザのプライバシーを維持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510492A4 (en) * 2016-09-09 2020-04-08 Sensoriant, Inc. SOFTWARE-BASED SWITCH FOR PROVIDING PRODUCTS AND / OR SERVICES TO USERS WITHOUT INTERFERENCE TO YOUR PRIVACY
US10521604B2 (en) 2017-03-17 2019-12-31 Labyrinth Research Llc Unified control of privacy-impacting devices
US11018870B2 (en) * 2017-08-10 2021-05-2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Biometric verification process using certification token
US20190102850A1 (en) 2017-09-29 2019-04-04 David McMakin Wheeler Smart city commodity exchange with smart contracts
CN107911216B (zh) * 2017-10-26 2020-07-14 矩阵元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区块链交易隐私保护方法及系统
EP3477527A1 (en) 2017-10-31 2019-05-01 Twinpeek Privacy management
CN117150581A (zh) * 2017-11-03 2023-12-01 维萨国际服务协会 安全身份和档案管理系统
KR20190082150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레이니스트 금융정보를 이용한 금융생활패턴 분석 방법 및 장치
US11544708B2 (en) * 2017-12-29 2023-01-03 Ebay Inc. User controlled storage and sharing of personal user information on a blockchain
DE102018204447B4 (de) 2018-03-22 2019-12-19 Madana Ug (Haftungsbeschränkt) Automatisiertes Verfahren zum Schutz von elektronischen Daten zum Zwecke der Datenverarbeitung durch Dritte unter Einbezug transparenter und unterbrechungssicherer Vergütung
KR20190126652A (ko) 2018-05-02 2019-11-12 (주)스마트코인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서명을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CN110602023A (zh) * 2018-06-12 2019-12-2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个人信息安全管控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494004B1 (ja) 2018-06-18 2019-04-03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63274B1 (ko) 2018-06-22 2020-10-08 블록체인보안협동조합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CN109726595A (zh) * 2019-01-17 2019-05-07 杭州趣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信息共享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084A1 (ja) * 2018-01-26 2019-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1778B1 (en) 2024-02-07
US20210209245A1 (en) 2021-07-08
US11645417B2 (en) 2023-05-09
KR20210088404A (ko) 2021-07-14
EP3931778A4 (en) 2022-12-07
KR102426884B1 (ko) 2022-07-29
KR102257403B1 (ko) 2021-05-27
KR20210088409A (ko) 2021-07-14
JP7290359B2 (ja) 2023-06-13
US11301582B2 (en) 2022-04-12
US20210390208A1 (en) 2021-12-16
KR20220124666A (ko) 2022-09-14
KR102435151B1 (ko) 2022-08-23
EP3931778A1 (en) 2022-01-05
KR102439436B1 (ko) 2022-09-02
JP2022545049A (ja) 2022-10-25
WO2021141235A1 (en) 2021-07-15
CN113077253A (zh) 2021-07-06
KR20210110246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669B1 (ko) 선행지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추천 장치, 추천 시스템, 그 추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비휘발성 매체
US201803221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entity performance
US104382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rchant fraud alerts
US7853493B2 (en) Personal finan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EP28844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entity performance
US201700263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card breaches
EP29882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hort
CN103678452B (zh) 可视化以及与业务对象的分析的整合
CN111028087B (zh) 信息展示方法、装置和设备
US20210217093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plans and warranty data analytics
US10529017B1 (en) Automated business plan underwriting for financial institutions
US117487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user interface for making recommendations
US20210192496A1 (en) Digital wallet reward optimization using reverse-engineering
KR20150004027A (ko) 복수의 업체를 관리하기 위한 업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487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s
KR20190109320A (ko) 개인별 맞춤형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84502A1 (en) Item level data determination system
CN107423362B (zh) 行业确定方法、对象获取方法和装置、客户端、服务器
US11010808B1 (en) System and medium for providing financial products via augmented reality
JP2017199080A (ja) 情報処理端末、情報提供装置、企業の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情報処理端末に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230056653A1 (en) Document analysis to identify document characteristics and appending the document characteristics to a record
US20230334339A1 (en) Supervised and/or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models for supplementing records stored in a database for retrieval
JP2002342583A (ja) 取引明細管理システム
CN115375434A (zh) 一种界面布局的调整方法及相关装置
CN114201679A (zh) 数据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